KR100627244B1 - Sturcture between layers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for - Google Patents

Sturcture between layers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7244B1
KR100627244B1 KR1020030090072A KR20030090072A KR100627244B1 KR 100627244 B1 KR100627244 B1 KR 100627244B1 KR 1020030090072 A KR1020030090072 A KR 1020030090072A KR 20030090072 A KR20030090072 A KR 20030090072A KR 100627244 B1 KR100627244 B1 KR 100627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building
interlayer structure
concrete
fo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00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57862A (en
Inventor
이동우
고경훈
성부경
오희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앤씨글로벌
티페이지글로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앤씨글로벌, 티페이지글로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앤씨글로벌
Priority to KR1020030090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7244B1/en
Publication of KR20050057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78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7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72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6Layered panels f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5/00Polymers of vinyl-aromatic compounds, e.g. polystyren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층간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파트 등 다층을 이루는 집합건물의 층간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의 층간 구조에 있어서, 콘크리트로 제 1 층을 형성하는 제 1 층 형성단계와; 상기 제 1 층의 상면에 부직포로 이루어진 제 2 층을 형성하는 제 2 층 형성단계와; 상기 제 2 층의 상면에 발포체로 이루어진 제 3 층을 형성하는 제 3 층 형성단계와; 상기 제 3 층의 상면에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제 4층을 형성하는 제 4층 형성단계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층간 구조 시공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layer structure of a build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ter-layer structure of a multi-story assembly such as an apartment. In the inter-layer structure of a building, a first floor forming step of forming a first layer of concrete and ; A second layer forming step of forming a second layer made of a nonwoven fabric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layer; A third layer forming step of forming a third layer made of foam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layer; And a fourth layer forming step of forming a fourth layer made of concret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layer.

건물, 아파트, 층간, 차음Building, apartment, floor, sound insulation

Description

층간 구조 및 층간 구조 시공방법 {STURCTURE BETWEEN LAYERS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FOR}Interlaye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STURCTURE BETWEEN LAYERS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F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 구조의 구성을 보여주는 일부 단면도이다. 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terlay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시공되는 차음부재의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ound insulating member constructed in FIG. 1.

도 3a는 도 2의 차음부재의 II-II 방향의 일부 단면도이다. 3A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sound insulation member of FIG. 2 in the II-II direction.

도 3b는 도 2의 차음부재가 제 2 섬유층이 추가로 형성된 차음부재의 일부 단면도이다.3B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sound insulation member of FIG. 2, in which the second fiber layer is further formed.

도 4 도 1에 시공되는 차음부재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ate of the sound insulation member constructed in FIG. 1.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층간 구조의 시공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n interlay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

10 : 제 1 층 20 : 차음부재10: first layer 20: sound insulation member

100 : 제 2 층 200 : 제 3 층100: second layer 200: third layer

300 : 제 4 층 400 : 제 5 층300: fourth layer 400: fifth layer

500 : 제 1 섬유층500: first fiber layer

본 발명은 건물의 층간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파트 등 다층을 이루는 집합건물의 층간 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layer structure of a build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ter-layer structure of an aggregate building, such as an apartment.

인간의 주거문화는 산업사회의 발전과 함께 인구가 밀집된 도시의 발달로 인하여 단독주택에서 다세대가 거주하는 아파트, 빌라 등의 집합건물로 발전하게 되었다. Human dwelling culture has developed from single-family homes to multi-family apartments and villas due to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society and the development of dense cities.

한편 집합건물의 발달로 다수의 세대가 함께 살면서 다양한 성격을 가지는 사람들이 모여살게 되면서 이웃간의 사적인 생활을 보장할 필요가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ith the development of assembly buildings, many generations live together and people with various personalities live together, so it is necessary to guarantee the private life between neighbors.

특히 집합건물은 복수층의 건물로 구성되어 다층을 이루는 구조를 이루게 되는데 통상 사람들이 거주하는 상층을 가지는 구조에서는 단열은 물론 상층에서 발생하는 소음 또는 진동이 그대로 하층으로 전달됨으로써 하층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In particular, the assembly building is composed of a multi-storey building to form a multi-layered structure. In the structure having the upper floor where people usually live, the insulation or the noise or vibration generated from the upper floor is transferred to the lower floor to people living in the lower floor. I have a stressful problem.

그리고 상층에서 발생하는 소음 또는 진동이 지대한 경우에는 문제가 원활하게 해결되지 못할 경우 이웃간의 불화로 이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And when the noise or vibration generated in the upper layer is huge, if the problem is not solved smoothly, there is a problem leading to discord between neighbor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층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이 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층간 구조 및 그 층간 구조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provide an interlayer structure having a structure that can reduce the transmission of noise and vibration generated in the upper layer to the lower layer and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interlayer structur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건물의 층간 구조에 있어서, 콘크리트로 제 1 층을 형성하는 제 1 층 형 성단계와; 상기 제 1 층의 상면에 부직포로 이루어진 제 2 층을 형성하는 제 2 층 형성단계와; 상기 제 2 층의 상면에 발포체로 이루어진 제 3 층을 형성하는 제 3 층 형성단계와; 상기 제 3 층의 상면에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제 4층을 형성하는 제 4층 형성단계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층간 구조 시공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terlayer structure of the building, the first layer forming step of forming a first layer of concrete; A second layer forming step of forming a second layer made of a nonwoven fabric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layer; A third layer forming step of forming a third layer made of foam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layer; And a fourth layer forming step of forming a fourth layer made of concret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layer.

상기 제 1 층에는 철근이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rebar is built in the said 1st layer.

상기 제 4 층의 콘크리트는 발포콘크리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fourth layer of concrete is foamed concrete.

상기 제 3 층의 발포체는 스티로폴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foam of the third layer is preferably styropol.

그리고 상기 제 3 층의 부직포는 합성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nonwoven fabric of the third layer is preferably a synthetic resin.

그리고 상기 부직포의 두께는 2 내지 7㎜인 것이 바람직하다.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said nonwoven fabric is 2-7 mm.

상기 발포체의 두께는 10 내지 25㎜인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said foam is 10-25 mm.

상기 발포체와 부직포의 사이에는 폴리에스터로 이루어진 제 2 섬유층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섬유층은 2 내지 5㎜인 것이 바람직하다. A second fiber layer made of polyester may be further formed between the foam and the nonwoven fabric.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2nd fiber layer is 2-5 mm.

또한 본 발명은 건물의 층간 구조에 있어서,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제 1 층과; 상기 제 1 층의 상면에 부직포로 형성된 제 2 층과; 상기 제 2 층의 상면에 발포체로 이루어진 제 3 층과; 상기 제 3 층의 상면에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제 4층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층간 구조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terlayer structure of the building, and the first layer made of concrete; A second layer formed of a nonwoven fabric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layer; A third layer made of foam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layer; It provides a building interlayer structure comprising a; and a fourth layer made of concret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layer.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층간 구조를 가지는 건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building having such an interlayer structure.

상기 건물은 집합건물, 특히 아파트 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building is preferably an assembly, in particular an apartmen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층간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 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building interlayer structur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층간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제 1 층(10)과; 상기 제 1 층(10)의 상면에 부직포로 형성된 제 2 층(100)과; 상기 제 2 층(100)의 상면에 발포체로 이루어진 제 3 층(200)과; 상기 제 3 층(200)의 상면에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제 4층(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interlayer structure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the first floor (10) made of concrete; A second layer (100) formed of a nonwoven fabric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layer (10); A third layer (200) made of foam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layer (10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ourth layer 300 made of concret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layer (200).

한편 상기 제 4층(300)의 상면에는 마감재가 설치된 마감층(40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감재는 장판, 마루바닥, 타일 등이 설치될 수 있다. Meanwhile, the upper surface of the fourth layer 300 may further include a finishing layer 400 having a finishing material installed thereon. The finishing material may be installed flooring, floorboards, tiles and the like.

상기 건물은 아파트, 빌라 등 다세대가 거주하는 집합건물로서, 시공방법에 따라서 철골구조 등을 이룰 수 있다. The building is an assembly building in which multiple households, such as an apartment and a villa, live and can form a steel structure according to a construction method.

상기 제 2층(100) 및 제 3 층(200)은 도 1 내지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층간에서 단열은 물론 진동 및 소음을 차단하는 차음부재이다. As shown in FIGS. 1 to 3a, the second layer 100 and the third layer 200 are sound insulation members that block vibration and noise as well as insulation between floors of a building.

한편 상기 제 3 콘크리트 층(300) 상에는 바닥의 마감을 위한 마감부재 층(400)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감부재 층(400)은 장판, 마루바닥 등과 같은 마감재가 설치될 수 있으며, 타일 등이 설치될 수도 있다. Meanwhile, a finishing member layer 400 for finishing the bottom may be additionally formed on the third concrete layer 300. The finishing member layer 400 may be installed a finishing material, such as flooring, flooring, etc., may be installed tiles.

상기 제 1 층(10)은 도 2, 3a와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기본 골격을 이루는 층으로서 그 구조보강을 위하여 철근(미도시)이 내장되기도 한다. As shown in FIGS. 2, 3A and 3B, the first layer 10 is a layer forming a basic skeleton of a building, and reinforcing bars (not shown) may be embedded to reinforce the structure.

상기 제 2 층(100)을 이루는 부직포는 다양한 재질을 가지며, 특히 청수세미, 녹색수세미, 흑색수세미, 합성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직포는 폴리에스터 및 나이론 섬유의 혼합, 폴리에스터 또는 나이론 섬유 등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2 층(100)의 두께는 2 내지 7㎜인 것이 바람직 하다.The nonwoven fabric constituting the second layer 100 has a variety of materials, and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hat the fresh water scrubber, green scrubber, black scrubber, synthetic resin. In addition, the nonwoven fabric is preferably made of a mixture of polyester and nylon fibers, polyester or nylon fibers and the like.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layer 100 is preferably 2 to 7mm.

상기 제 3 층(200)은 스티로폴(또는 스티로폼) 등과 같은 발포체가 사용된다. 특히 상기 발포체는 롤러(미도시) 또는 프레스(미도시) 등에 의하여 1 회이상 가압하여 눌러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발포체가 제 2 층(100)을 이루는 부직포와 결합시킬 때 동시에 일정한 압력에 의하여 눌러주는 경우 (가압 성형), 별도의 가공을 요하지 아니하므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third layer 200 may be made of foam such as styropol (or styrofoam). In particular, the foam is preferably pressed by pressing one or more times by a roller (not shown) or a press (not shown). Of course, when the foam is pressed by a certain pressure at the same time when combined with the non-woven fabric forming the second layer (100) (pressure molding),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increase the productivity because it does not require a separate processing.

그리고 상기 제 3 층(200)의 두께는 사용되는 곳에 따라서 바뀌는데, 사용되는 건물의 벽체 또는 층간의 두께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된다. And the thickness of the third layer 200 is changed depending on where it is used, it is appropriately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thickness of the walls or floors of the building used.

그리고 특히 건물의 규격 또는 표준규격 등을 고려하면 상기 제 3 층(200)의 두께는 10 내지 25㎜인 것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building standard or standard, etc., the thickness of the third layer 200 is preferably 10 to 25 mm.

한편, 상기 제 2 층(100)와 제 3 층(200)의 사이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에스터로 이루어진 제 2 섬유층(500)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3B, a second fiber layer 500 made of polyester may be additionally formed between the second layer 100 and the third layer 200.

물론 상기 제 2 섬유층(500)은 상기 제 2층(100)과 순서가 바뀌어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 1 층(10) 상에 상기 제 2 섬유층(500)이 설치되고, 상기 제 2 섬유층(500)에 제 2 층(100)이 형성될 수 있다.Of course, the second fiber layer 500 may be arranged in a reverse order with the second layer 100. That is, the second fiber layer 500 may be installed on the first layer 10, and the second layer 100 may be formed on the second fiber layer 500.

상기 제 2 섬유층(500)은 폴리에스터로 이루어진 얇은 부직포층을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fiber layer 500 is preferably formed of a thin nonwoven layer made of polyester.

상기 제 2 섬유층(500)에 의하여 스티로폴의 탄성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발포체(200)와의 결합시에 보다 효과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By increasing the elasticity of the styropol by the second fiber layer 500,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more effectively bonded at the time of bonding with the foam 200.

그리고 상기 제 2 섬유층(500)의 두께는 2 내지 5㎜인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fiber layer 500 is preferably 2 to 5mm.

한편 상기 제 2 층(100)과 제 3 층은 별도로 시공될 수 있느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수단(110)에 의하여 미리 부착시켜 하나로 가공하여 구성될 있다.Meanwhile, although the second layer 100 and the third layer may be separately constructed, as shown in FIG.

상기 결합수단(110)은 본드 등과 같은 접착제에 의하여 부착될 수 있으며, 제 2 층(100) 또는 제 3 층(100)의 일면 전체 또는 일부분에 접착제를 바르고 눌러줌으로써 제 2 층(100)와 제 3 층(100)을 결합시키게 된다. The coupling means 110 may be attached by an adhesive such as a bond, or the like, and the second layer 100 and the second layer 100 or the third layer 100 by applying and pressing the adhesive on the entire surface or a part of the second layer 100 and the first layer The three layers 100 are combined.

상기 결합수단(110)은 또한 매직테이프 또는 테이프 등과 같은 별도의 결합부재를 사용하여 상기 제 2 층(100)과 제 3 층(200)을 결합시킬 수도 있다. The coupling means 110 may also couple the second layer 100 and the third layer 200 using a separate coupling member such as a magic tape or tape.

한편 상기 제 2 층(100)은 부직포 대신에 수세미가 사용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수세미는 부직포 형태를 이룰 수 있느나, 직물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수세미는 청수세미, 녹색수세미, 특히 별표 다목적 수세미인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a scrubber may be used for the second layer 100 instead of the nonwoven fabric. Of course, the scrubber may be in the form of a nonwoven fabric, but may also be in the form of a woven fabric. And the loofah is preferably a fresh loofah, green loofah, in particular, a star multipurpose loofah.

한편 상기 제 2 층(100) 및 제 3 층(200)은 그 시공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일정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도록 규격화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layer 100 and the third layer 200 is preferably standardized to have a certain size and shape in consideration of the ease of construction.

상기 제 4 층(300)은 상기 제 3 층(20)의 상면에 형성되어 건물의 바닥면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제 4 층(300)의 내부에는 난방, 수도, 배수 등을 위한 배관 및 전기, 통신을 위한 부재들이 설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4 층(300)은 발포콘크리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ourth layer 30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layer 20 to form a bottom surface of the building, and the inside of the fourth layer 300 includes piping and electricity for heating, water, and drainage. , Members for communication will be installed. The fourth layer 300 is preferably formed of foamed concrete.

상기 제 5 층(400)은 상기 제 4 층(300)의 상면에 건물의 바닥면을 이루도록 미장 또는 타일 등으로 이루어진다. The fifth layer 400 is made of plaster or tile to form the bottom surface of the build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urth layer 300.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건물의 층간 구조의 시공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interlayer structure of a building having the above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먼저 건물의 골격을 이루는 제 1 층을 콘크리트 타설 등에 의하여 형성하게 된다(S10). 상기 제 1 콘크리트 층(10)은 건물의 골격을 이루게 되며, 건물의 구조에 따라서 다른 재질을 가지는 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First, the first floor constituting the skeleton of the building is formed by concrete pouring (S10). The first concrete layer 10 forms a skeleton of a building, and may be composed of layers having different materials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building.

상기 제 1 층(10)이 형성된 이후에, 상기 제 1 층(10) 상에는 차음부재 층(20)을 형성하게 된다(S20). 상기 차음부재 층(20)에는 먼저 부직포(또는 수세미)를 상기 제 1 층(10)에 깔아서 제 2 층(100)을 형성하게 되고(S21) 난 후에, 상기 제 2 층 상에 발포체, 즉 스티로폴을 깔아서 제 3층(200)을 형성하게 된다(S22). After the first layer 10 is formed, the sound insulation layer 20 is formed on the first layer 10 (S20). In the sound insulation layer 20, a nonwoven fabric (or scrubber) is first applied to the first layer 10 to form a second layer 100 (S21), and then a foam, that is, styropol, is formed on the second layer. The third layer 200 is formed by laying (S22).

상기 차음부재 층(20)을 형성한 후에, 상기 차음부재 층(20) 상에는 난방을 위한 배관 및 수도, 배수 및 전기 등의 배선을 위한 부가부재들이 설치되며, 상기 부가부재의 설치와 함께 발포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제 4 층(300)을 형성하게 된다(S30). After the sound insulation member layer 20 is formed, additional members are installed on the sound insulation member layer 20 for wiring such as pipes for heating and wiring such as water, drainage, and electricity, and foamed concrete together with the installation of the additional members. The fourth layer 300 is formed (S30).

상기 제 4 층(300)을 형성한 후에는 건물의 바닥면을 이루도록 마감이 필요한데, 장판, 마루바닥 또는 타일 등과 같은 마감재를 상기 제 4층(300) 상에 설치하여 마감층(400)을 형성(S40)함으로써 건물의 바닥 구조를 마감하게 된다. After the fourth layer 300 is formed, a finish is required to form the floor of the building. A finishing layer 400 is formed by installing a finishing material such as a floor covering, a floor, or a tile on the fourth layer 300. By (S40) it is to finish the floor structure of the building.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층간 구조의 실험에 의한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On the other hand, the effect by the experiment of the interlayer structure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본 실험은 고유진동수 및 상대 진동측정을 위한 실험장치를 사용하였으며, 임팩트 햄머 및 가속도 픽업을 사용하여 진동 및 소음을 발생시켰다. In this experiment, an experimental apparatus was used to measure natural frequency and relative vibration, and vibration and noise were generated using impact hammer and acceleration pickup.

본 실험의 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are shown in Table 1.

구분division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3Example 3 구성Configuration 스티로폼 17㎜+ 녹색수세미 5㎜Styrofoam 17mm + Green Scrubber 5mm 스티로폼 15㎜+ 흑색수세미 5㎜Styrofoam 15mm + Black Scrubber 5mm 스티로폼 10㎜+폴리에스터 5㎜+녹색수세미 5㎜Styrofoam 10mm + polyester 5mm + green scrubber 5mm 스티로폼 대비 상대 경량진동 저감량(dB)Relative lightweight vibration reduction compared to styrofoam (dB) -12.1-12.1 -7.6-7.6 -13.7-13.7 스티로폼 대비 상대 중량진동저감량 (63 Hz) (dB)Relative weight vibration reduction compared to styrofoam (63 Hz) (dB) -10.8-10.8 -2.7-2.7 -14.8-14.8

상기 표 1과 같이, 스티로폼 만을 사용한 것 보다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가지는 층간 구조를 사용하는 것이 진동 및 소음의 차단 효과를 높임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Table 1, it can be seen that using the interlayer structure having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using only styrofoam increases the blocking effect of vibration and noise.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층간 구조는 부직포 및 발포체 층을 가짐으로써 상층에 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Building interlay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can effectively block the vibration and noise generated in the upper floor by having a non-woven fabric and a foam layer.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층간 구조의 시공방법은 부직포 및 발포체로 이루어진 차음부재 층을 함께 시공함으로써 종래에 스티로폴 만으로 시공된 건물의 층간 구조보다 효과적으로 진동 및 소음을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building interlay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can effectively block the vibration and noise than the interlayer structure of the building conventionally constructed only by styropol by constructing the sound insulation member layer consisting of non-woven fabric and foam.

Claims (25)

건물의 층간 구조에 있어서,In the interlayer structure of a building, 콘크리트로 제 1 층을 형성하는 제 1 층 형성단계와;A first layer forming step of forming a first layer of concrete; 상기 제 1 층의 상면에 수세미로 이루어진 제 2 층을 형성하는 제 2 층 형성단계와;A second layer forming step of forming a second layer made of a scrubber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layer; 상기 제 2 층의 상면에 발포체로 이루어진 제 3 층을 형성하는 제 3 층 형성단계와;A third layer forming step of forming a third layer made of foam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layer; 상기 제 3 층의 상면에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제 4층을 형성하는 제 4층 형성단계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nd a fourth layer forming step of forming a fourth layer made of concret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layer. 건물의 층간 구조 시공방법.Method of construction of interlayer structure of building.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4층의 상면에 마감재를 설치하는 마감재층 형성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층간 구조 시공방법.The building interlayer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forming a finishing material layer for installing the finishing materia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urth floo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층에는 철근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층간 구조 시공방법.Building construction method between the first floor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ing bar is built.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제 4 층의 콘크리트는 발포콘크리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층간 구조 시공방법.The fourth layer of concrete is building interlayer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foam concrete.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제 3 층의 발포체는 스티로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층간 구조 시공방법.And the foam of the third layer is styropol.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2 층의 두께는 2 내지 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층간 구조 시공방법.The thickness of the second layer is between 2 to 7 mm building interlayer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제 3 층의 두께는 10 내지 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층간 구조 시공방법.The thickness of the third layer is between 10 to 25 mm building interlayer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제 2 층과 제 3 층의 사이에는 폴리에스터로 이루어진 제 2 섬유층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층간 구조 시공방법.And a second fiber layer made of polyester is further formed between the second layer and the third layer.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 2 섬유층은 2 내지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층간 구조 시공방법.The second fiber layer is 2 to 5mm building interlayer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층간 구조에 있어서,In the interlayer structure,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제 1 층과;A first layer made of concrete; 상기 제 1 층의 상면에 수세미로 형성된 제 2 층과;A second layer formed of a scrubber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layer; 상기 제 2 층의 상면에 발포체로 이루어진 제 3 층과;A third layer made of foam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layer; 상기 제 3 층의 상면에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제 4층과;A fourth layer made of concrete on an upper surface of the third layer;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층간구조.Building interlayer structure comprising a. 제 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제 4층의 상면에 마감재를 설치하는 마감재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층간 구조.Building interlayer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nish layer for installing the finish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urth floor. 제 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제 1 층에는 철근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층간 구조.The first floor is a building interlayer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ement is built. 제 10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to 11, 상기 제 4 층의 콘크리트는 발포콘크리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층간 구조.The fourth floor concrete is interlayer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foam concrete. 제 10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to 11, 상기 제 3 층의 발포체는 스티로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층간 구조.And the foam of the third layer is styropol. 제 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제 2 층의 두께는 2 내지 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층간 구조.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layer is between 2 and 7 mm. 제 10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to 11, 상기 발포체의 두께는 10 내지 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층간 구조.The building interlayer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of the foam is 10 to 25mm. 제 10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to 11, 상기 제 2 층과 제 3 층의 사이에는 폴리에스터로 이루어진 제 2 섬유층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층간 구조.And a second fiber layer made of polyester is further formed between the second layer and the third layer. 제 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제 2 섬유층은 2 내지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층간 구조.The second fiber layer is between 2 and 5 mm building interlayer structur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30090072A 2003-12-11 2003-12-11 Sturcture between layers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for KR1006272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0072A KR100627244B1 (en) 2003-12-11 2003-12-11 Sturcture between layers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0072A KR100627244B1 (en) 2003-12-11 2003-12-11 Sturcture between layers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7862A KR20050057862A (en) 2005-06-16
KR100627244B1 true KR100627244B1 (en) 2006-09-25

Family

ID=37251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0072A KR100627244B1 (en) 2003-12-11 2003-12-11 Sturcture between layers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724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4029B1 (en) * 2016-10-31 2017-04-06 김정환 Floor covering structure of building using felt and crack prevention mortar
KR101724030B1 (en) * 2016-10-31 2017-04-06 김정환 Method for installing floor covering of building using felt and crack prevention mort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7862A (en) 2005-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1455B1 (en) Soundproof interfloor structure for apartment house
KR101324261B1 (en) Floors structure of an apartment house using impact sound insulating material
KR102231260B1 (en) Floor and partition structure for insulation and soundproofing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20180029335A (en) The construction method for floor structure for preventing interlayer noise
KR100931511B1 (en) Soundproof and adiabatic unit between the storeys of a structure
KR100627244B1 (en) Sturcture between layers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for
KR20090090925A (en) Floor construction structure of building
KR200406912Y1 (en) Multi-storey Sound Insulation Flooring
KR100647476B1 (en) Soundproofing Slave for Floor of a Structure And Method Thereof
KR101207288B1 (en) Isolating structure for floor to floor impact sound of apartment buildings and construction method
KR101001590B1 (en) A floor structure falling a noise transmission
KR100961318B1 (en) Building bottom floor for noise prevention panel structure
CN210177722U (en) Composite graphite polystyrene heat-preservation sound-insulation board
KR200349094Y1 (en) Non-woven fabric body and sound absorption product
KR100627246B1 (en) Non-woven fabric body and sound absorption product
KR100634983B1 (en) Assembly type Ondol panel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827852B1 (en) Semi-dry Interlayer Noise Isolation Device
KR200216459Y1 (en) Soundproofing Slave for Floor of a Structure
KR102528587B1 (en) A construction method that forms an air layer between the wall and the finishing mortar to block the finishing mortar and structure thereof
KR200315831Y1 (en) Noise isolation structure of apartment house
KR102605092B1 (en) Construction slab structure for interlayer noise prevention of apartment building
KR102319581B1 (en) Floor constructing method for reducing floor noise
KR20070074532A (en) Noiseless of sand sealed floor
KR20090090931A (en) Floor construction structure of building
KR200300626Y1 (en) Sound insulation between build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