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7242B1 - 휴대용 크리너 - Google Patents

휴대용 크리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7242B1
KR100627242B1 KR1020040069562A KR20040069562A KR100627242B1 KR 100627242 B1 KR100627242 B1 KR 100627242B1 KR 1020040069562 A KR1020040069562 A KR 1020040069562A KR 20040069562 A KR20040069562 A KR 20040069562A KR 100627242 B1 KR100627242 B1 KR 100627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housing
case
cap
cleaning cl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9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0861A (ko
Inventor
윤영근
박인혁
Original Assignee
윤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영근 filed Critical 윤영근
Priority to KR1020040069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7242B1/ko
Publication of KR20060020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0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7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7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4Wipes; Absorbent members, e.g. swabs or sponges
    • B08B1/143W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52Devices for discharging successive articles or portions of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크리너에 관한 것이다. 이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일측에는 상기 내부공간을 외부로 개방하는 관통슬릿이 마련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단부에 장착되는 캡과; 상기 케이스내에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둘레에 감기며 상기 관통슬릿을 통해 케이스 외부로 인출되는 크리닝천과; 상기 샤프트에 크리닝천이 감기는 방향의 탄성 토오크를 제공하되 크리닝천이 인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샤프트의 감기는 방향 회전을 차단하는 스토핑수단을 갖는 탄성지지장치와; 상기 스토핑수단의 작용을 해제하여 탄성지지장치로 하여금 샤프트를 감는 방향으로 축회전시켜 크리닝천을 케이스내에 감아들이는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휴대용 크리너는, 손에 넣을 수 있을 정도로 콤팩트하여 휴대에 불편이 없음은 물론 크리닝천이 케이스 내에 감기는 구조를 가지므로 충분한 넓이의 크리닝천을 내장시킬 수 있고 휴대중 크리닝천에 외부의 오물이 묻을 염려가 없어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에 다수의 걸고리가 구비되므로 원하는 악세사리나 휴대폰 등을 포함하는 원하는 기존의 휴대품에 줄을 연결하여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크리너{Potable cleaner}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크리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휴대용 크리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휴대용 크리너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부분 절제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휴대용 크리너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크리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도 5에 도시한 휴대용 크리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도 6에 도시한 캡을 뒤집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상기 도 6에 도시한 휴대용 크리너의 일부를 별도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도 6에 도시한 휴대용 크리너의 변속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상기 도 5에 도시한 휴대용 크리너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휴대용 크리너 13:케이스 13a:내부공간 13b:바닥부
13c:걸고리 13d:수나사산 15:캡 15a:걸고리
15b:관통구멍 15c:내벽 15d:외벽 15e:홈
15f:고정돌기 15g:암나사산 17:손잡이링 17a:조임부
19:조인트 21:토오크전달소켓 21a:수용공간 21c:핀
23:구름방지돌기 25:관통슬릿 27:크리닝천 29:인출손잡이
31:고정축 33:토오크전달부재 33a:결합부 33c:아암
35:샤프트 35a:끼움슬릿 35b:걸림턱 35c:삼각돌기
35d:와셔끼움부 37:하우징 37a:톱니 37b:지지돌기
37c:외향홈 39:스프링 41:가압볼 43:이탈방지디스크
43a:돌기수용홈 45:와셔 51:휴대용 크리너 53:케이스
53a:관통슬릿 53b:구름방지돌기 53c:내부공간 53d:바닥부
53e:걸고리 53f:돌기삽입홈 55:캡 55a:걸고리
55b:회전방지돌기 55c:버튼지지돌기 55d:수용부 55f:힌지
55g:관통구멍 55h:태엽스프링고정부 55k:스토핑돌기 57:버튼
57b:사이드홈 57c:스프링보스 57d:스프링 57e:걸림홈
59:레버 59a:회동축 59b:스토핑부 59c:프레싱부
59d:스프링 59e:스프링보스 61:태엽스프링 61a:하우징결합부
63:태엽하우징 63a:라쳇부 63c:스프링끼움부 63d:걸림턱
65:선기어 67:기어지지디스크 67a:기어지지축 67c:회전방지돌기
69:유성기어 71:링기어 71a:치합공간 73:이탈방지하우징
73a,73b:돌기삽입홈
본 발명은 휴대용 크리너에 관한 것이다.
일상생활 중 깨끗한 상태의 크리너가 종종 필요할 때가 있다. 예컨대 안경을 사용하는 사람의 경우 안경에 지문이 묻거나 기타의 이유로 안경의 렌즈를 닦아야 할 때 안경용 크리너나 손수건 또는 휴지 등으로 닦는다. 그러나 안경용 크리너는 매번 가지고 다니기 귀찮고 분실하기도 쉽다.
또한 손수건은 이를테면 얼굴의 땀을 닦는다거나 식사후 입 주변을 닦아 깨끗하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안경의 렌즈를 청소하기에 불충분하고 오히려 렌즈를 더 불결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휴지의 경우에는 부피가 어느 정도 되는 휴지를 가지고 다녀야 하는 불편이 있으며 또한 고급휴지가 아닐 경우에는 휴지의 표면이 거칠어 렌즈에 기스나 흠집이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손에 넣을 수 있을 정도로 콤팩트하여 휴대에 불편이 없음은 물론 크리닝천이 케이스 내에 감기는 구조를 가지므로 충분한 넓이의 크리닝천을 내장시킬 수 있고 휴대중 크리닝천에 외부의 오물이 묻을 염려가 없어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케이스에 다 수의 걸고리가 구비되므로 원하는 악세사리나 휴대폰 등을 포함하는 원하는 기존의 휴대품에 줄을 연결하여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는 휴대용 크리너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공간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일측에는 상기 내부공간을 외부로 개방하는 관통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단부에 장착되고 그 중앙부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캡과; 상기 케이스 내에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둘레에 감기며 상기 관통슬릿을 통해 케이스 외부로 인출되는 크리닝천과; 상기 캡의 관통구멍을 통해 케이스 내부의 샤프트에 연결된 상태로 샤프트를 수동으로 축회전시키는 것으로서 외부로 인출된 크리닝천을 케이스 내부로 감아들이는 수동롤링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동롤링장치는; 상기 샤프트의 상단에 샤프트와 동일한 회전중심축을 갖도록 고정된 원통형 부재로서 그 내주면에 다수의 톱니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장착되되 상기 샤프트와 동일한 회전중심축을 가지고 상기 톱니에 지지되어 크리닝천의 인출에 따른 하우징의 회전시 상기 톱니에 밀려 하우징과 함께 회전하는 토오크전달부재와, 상기 캡의 외부에 위치하며 캡의 관통구멍을 통해 상기 토오크전달부재에 전동 이음되어 필요시 토오크전달부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토오크전달부재는; 상기 손잡이부에 결합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하측 외주면에 구비되며 수평으로 연장되되 적어도 한번 굴곡되고 그 연장단부가 상기 톱니의 이(tooth)에 지지되는 하나 이상의 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캡은; 상기 케이스의 상단부에 결합하는 외벽과, 상기 외벽의 내측에 외벽과 나란하게 위치하며 그 내부 영역에 상기 하우징을 수용 지지하는 내벽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공간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일측에는 상기 내부공간을 외부로 개방하는 관통슬릿이 마련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단부에 장착되는 캡과; 상기 케이스내에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둘레에 감기며 상기 관통슬릿을 통해 케이스 외부로 인출되는 크리닝천과; 상기 샤프트에 크리닝천이 감기는 방향의 탄성 토오크를 제공하되 크리닝천이 인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샤프트의 감기는 방향 회전을 차단하는 스토핑수단을 갖는 탄성지지장치와; 상기 스토핑수단의 작용을 해제하여 탄성지지장치로 하여금 샤프트를 감는 방향으로 축회전시켜 크리닝천을 케이스내에 감아들이는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탄성지지장치는; 상기 샤프트에 전동 이음된 상태로 캡의 하부에 축회전 가능하게 위치하고 그 테두리에는 다수의 걸림턱을 제공하는 라쳇부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그 일단부는 캡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하우징에 고정 지지되어 상기 캡에 대한 하우징의 상대 회전시 탄성 변형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캡의 라쳇의 연직 상부에 해당하는 부위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핑수단은; 상기 캡의 상부에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것으로서, 그 선단부에는 상기 관통구멍을 하향 통과한 후 상기 하우징의 라쳇부에 도달하여 걸림턱에 걸려 샤프트의 감는 방향 회전을 차단하는 스토핑부가 구비되고, 후단부에는 상기 버튼에 의해 눌려 상기 스토핑부를 상승시켜 걸림턱으로부터 이격시키는 프레싱부를 갖는 레버와, 상기 레버의 스토핑부를 라쳇부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샤프트와 하우징의 사이에는, 샤프트의 회전력을 하우징으로 전달하거나 하우징의 회전력을 샤프트로 전달하되 그 회전속도를 변환하여 전달하는 변속장치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속장치는; 상기 샤프트의 상단부에 고정되며 샤프트의 회전중심축과 동일한 회전중심축을 갖는 링기어와, 상기 링기어에 치합하는 하나 이상의 유성기어와, 상기 캡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유성기어를 자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어지지디스크와, 상기 유성기어에 치합하며 그 회전축이 상기 하우징의 회전 중심에 연결되는 선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크리너의 외부 형상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크리너(11)는, 속이 빈 원통의 형태를 취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일측에는 크리닝천(27)이 통과하는 관통슬릿(25)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13)와, 상기 케이스(13)의 상단부에 결합하는 캡(15)과, 상기 케이스(13)의 내부에 축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크리닝천(도 2의 27)을 감는 샤프트(도 2의 35)와, 상기 캡(15)의 상부에 설치되며 케이스(13) 내부의 샤프트(35)를 수동으로 축회전 시키기 위한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3)는 손에 넣을 수 있는 정도의 사이즈를 가지며 외주면 일측에는 구름방지돌기(2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름방지돌기(23)는 원통형 케이스(13)가 평면상에서 굴러가지 않도록 마련한 것으로서그 형상이나 개수는 얼마든지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는, 토오크전달소켓(21)과, 상기 토오크전달소켓(21)의 상단부에 핀 연결되며 좌우로 회동하여 눕혀질 수 있는 조인트(19)와, 상기 조인트(19)에 연결되는 손잡이링(17)으로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링(17)은 하나의 고리로서 예컨대 손가락을 그 내부에 넣어 토오크전달소켓(21)을 원하는 방향으로 축회전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캡(15)의 상면 양측에는 판상의 걸고리(15a)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걸고리(15a)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악세사리나 휴대폰 등 원하는 기존의 휴대품에 줄을 연결하여 쉽게 휴대할 수 있다. 상기 걸고리(15a)의 형상이나 개수도 경우에 따라 변경할 수 있고 걸고리 자체를 아예 형성하지 않을 수 도 있다.
상기 크리닝천(27)은 필요시 케이스(13)로부터 인출되어 대상물을 닦는 것으로서 종이나 피혁 또는 헝겊으로 제작 할 수 있다. 상기 크리닝천(27)은 그 표면이 부드럽고 유연성을 갖는 다면 다른 소재를 얼마든지 적용할 수 도 있다. 특히 상기 크리닝천(27)의 선단부에는 인출손잡이(29)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인출손잡이(29)는 그 두께가 상기 관통슬릿(25)의 폭보다 두꺼워 크리닝천(27)이 케이스(13) 내부로 완전히 들어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크리닝천(27)을 용이하게 당길 수 있게 한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휴대용 크리너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크리너(11)는. 그 하단이 바닥부(13b)에 의해 막혀있고 상부로 개방되며 측부에는 관통슬릿(25)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13)와, 상기 케이스(13)의 상단부에 나사 결합하며 그 중앙부가 관통구멍(15b)에 의해 수직으로 관통되어 있는 캡(15)과, 상기 케이스(13)의 내부공간(13a)에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소정단면을 갖는 샤프트(35)와, 상기 샤프트(35)에 감기며 상기 관통슬릿(25)을 통해 필요한 길이만큼 외부로 인출되는 크리닝천(27)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샤프트(35)의 상단부에는 하우징(37)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37)의 내부에는 토오크전달부재(33)가 장착된다. 상기 토오크전달부재(33)는 상기 캡(15)의 관통구멍(15b)을 통해 상기한 손잡이부의 토오크전달소켓(21)에 연결된다.
먼저, 상기 케이스(13)는 샤프트(35)에 감긴 크리닝천(27)을 수용하는 원통의 내부공간(13a)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할 수 도 있고 알루미 늄이나 기타 다른 경금속으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3)의 하단을 막는 바닥부(13b)의 저면에는 걸고리(13c)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걸고리(13c)에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악세사리나 휴대폰 등 원하는 기존 휴대품의 줄을 매달아 걸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3)의 상단부 외주면에는 수나사산(13d)이 형성된다. 상기 수나나산(13d)은 캡(15)의 외벽(15d) 내주면에 마련되어 있는 암나사산(15g)에 결합한다.
상기 케이스(13)의 측부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슬릿(25)은 케이스(13)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되 그 중앙부의 폭이 다른 부분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손가락 끝으로 인출손잡이(29)를 용이하게 집을 수 있게 한다. 상기 관통슬릿의 형상도 경우에 따라서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샤프트(35)는 케이스(13)의 내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며 그 중앙부에는 끼움슬릿(35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끼움슬릿(35a)의 폭은 크리닝천(27)의 일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축(31)의 두께보다 좁다. 따라서 상기 크리닝천(27)의 일단부를 끼움슬릿(35a)의 아래에서 위로 삽입한 후 당기면 고정축(31)이 끼움슬릿(35a)에 걸려 크리닝천(27)을 샤프트(35)에 지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샤프트(35)의 하측부에는 와셔끼움부(35d)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와셔끼움부(35d)에는 삼각돌기(35c)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와셔끼움부(35d)는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와셔(45)가 끼워지는 부위로서 그 직경이 샤프트(35)의 다른 부분의 직경보다 작아 걸림턱(35b)을 이룬다.
상기 와셔(45)는 샤프트(35)의 아래에서 위로 압입되어 삼각돌기(35c)와 걸림턱(35b)의 사이에 위치한 상태로 크리닝천(27)을 상부로 지지함으로써 크리닝천(27)이 하부로 쏠리지 않도록 한다.
상기 샤프트(35)의 상단부에는 하우징(37)이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37)은 상부로 개방된 원통형 부재로서 그 내주면에는 수직방향으로 평행한 다수의 톱니(37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37)의 회전중심축은 샤프트(35)의 회전중심축과 동일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37)의 외주면은 후술할 캡(15)의 내벽(15c) 내주면에 면접 지지된다.
상기 하우징(37)의 내부 바닥면 중앙에는 지지돌기(37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돌기(37b)는 하우징(37) 내에 안착되는 토오크전달부재(33)를 축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37)의 외주면 일측에는 외향홈(37c)이 형성된다. 상기 외향홈(37c)에는 스프링(39)과 가압볼(41)이 장착된다. 상기 가압볼(41)은 캡(15)에 대한 하우징(37)의 상대 회전시 내벽(15c)의 내주면에 마련되어 있는 다수의 홈(15e)을 거쳐가는 구형 부재이다.
상기 토오크전달부재(33)는, 캡(15)의 관통구멍(15b)을 통해 상부로 돌출되는 결합부(33a)와, 상기 결합부(33a)의 하부에 일체로 연결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단부가 상기 톱니(37a)에 각각 지지되는 네 개의 아암(33c)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아암(33c)은 사각 단면을 가지며 결합부(33a)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 칭을 이룬다. 또한 상기 아암(33c)은 한 번 절곡되어 ㄴ 자의 평면형태를 취하며 그 단부가 톱니(37a)에 걸려 있으므로 결국 토오크전달부재(33)는 고정되어 있는 하우징(37)에 대해 도 3의 화살표 b방향으로 상대 운동하지 못하고 그 반대방향으로는 회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캡(15)은 상기 케이스(13)에 나사 결합한 상태로 하우징(37)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같이, 상기 캡(15)에는 상기 암나사산(15g)이 형성되어 있는 외벽(15d) 이외에 내벽(15c)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내벽(15c)은 외벽(15d)에 나란하며 그 내부영역에 상기 하우징(37)을 수용 지지한다.
상기 내벽(15c)의 내주면에는 다수의 홈(15e)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15e)은 하우징(37)의 회전시 가압볼(41)이 거쳐가는 홈으로서 등간격을 이룬다. 또한 상기 내벽(15c)의 하단부에는 하부로 돌출된 고정돌기(15f)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돌기(15f)에 대해서는 후술된다.
상기 캡(15)의 상부에 구비되는 손잡이부에 있어서, 상기 토오크전달소켓(21)의 하부에는, 상기 결합부(33a)를 수용 지지하는 수용공간(21a)이 마련되어 있고, 상부에는 상기 조인트(19)에 끼워지는 핀(21c)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링(17)에는 상기 조인트(19)에 의해 물리는 조임부(17a)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37)의 하부에는 이탈방지디스크(43)가 구비된다. 상기 이탈방지디스크(43)는 일정두께를 갖는 와셔형 디스크로서 그 중앙부로 상기 샤프트(35)를 통과시킨다.
상기 이탈방지디스크(43)는 하우징(37)이 내벽(15c)에 수용된 상태로 내벽 (15c)의 하부에서 고정돌기(15f)에 결합하여 하우징(37)이 내벽(15c)으로부터 하부로 빠지지 않게 한다. 이는 크리닝천의 교체를 위한 분해 편리성을 위해 감안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이탈방지디스크(43)의 테두리부에는 내벽(15c)의 고정돌기(15f)를 수용 고정하는 다수의 돌기수용홈(43a)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휴대용 크리너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부분 절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캡(15)의 내벽(15c)이 제공하는 내부 영역에 하우징(37)이 수용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37)의 하부에는 이탈방지디스크(4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이탈방지디스크(43)가 각 고정돌기(15f)에 끼움 결합함으로써 하우징(37)이 캡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함은 상기한 바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37)의 내부에 토오크전달부재(33)가 안착되어 있고 아암(33c)의 단부가 톱니(37a)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아암(33c)이 한쪽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므로 상기 손잡이링(17)을 회전시켜 결합부(33a)를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각 아암(33c)이 접하고 있는 톱니(37a)를 밀어 결국 가해진 회전토오크는 하우징(37)을 거쳐 샤프트(35)에 전달되고 크리닝천(27)이 샤프트(35)에 감기게 된다.
마찬가지로 크리닝천(27)을 화살표 F방향으로 당겨 케이스(13) 외부로 인출하면 샤프트(35)의 축회전에 의해 하우징(37) 및 토오크전달부재(33)가 화살표 b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37)의 외주면에 장착되며 외부로 탄성 지지되는 가압볼 (41)이 홈(15e)에 걸려 있다. 상기 가압볼(41)은 하우징(37)의 회전시 각 홈(15e)을 거쳐가면서 사용자에게 약간씩 걸리는 감각을 제공함과 아울러 크리닝천(27)을 원하는 만큼만 인출한 상태로 지지력을 제공한다.
상기 토오크전달부재(33)를 고정되어 있는 하우징(37) 내에서 화살표 a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면 상기 아암(33c)의 단부가 톱니(37a)를 넘어가며 하우징(37)의 내부에서 헛돌게 된다.
도 4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휴대용 크리너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케이스(13)의 내부에 샤프트(35)가 축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고 캡(15)이 케이스(13)의 상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샤프트(35)의 상단부는 하우징(37)을 통해 내벽(15c)에 간접 지지되고, 하단부는 와셔(45)를 통해 케이스(13)의 내벽면에 지지된다. 상기 와셔(45)의 외주면은 케이스(13)의 내벽면에 거의 접하여 크리닝천(27)을 세게 당기더라도 샤프트(35)가 중심을 잃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샤프트(35) 상단부에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하우징(37)이 내벽(15c)과 이탈방지디스크(43)가 제공하는 공간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37)의 내부에는 토오크전달부재(33)가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토오크전달부재(33)의 상측부에는 토오크전달소켓(21)과 조인트(19)를 통해 손잡이링(17)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손잡이링(17)은 샤프 트(35)를 수동으로 감기 위한 손잡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크리너의 외부 형상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다른 휴대용 크리너(51)는, 내부공간을 제공하고 일측에 관통슬릿(53a)이 위아래로 길게 형성된 케이스(53)와, 상기 케이스(53)의 내부에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설치되며 필요시 샤프트(도 6의 35)로부터 풀려 화살표 F방향으로 인출되는 크리닝천(27)과, 상기 케이스(53)의 상단부에 장착 고정되는 캡(55)과, 상기 캡(55)의 상부에 설치되며 화살표 z방향으로 눌려 상기 크리닝천(27)을 자동으로 감아들이는 버튼(5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캡(55)에는 버튼(57)이 화살표 y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게 지지하는 버튼지지돌기(55c)가 형성되어 있고 버튼(57)에는 각 버튼지지돌기(55c)에 끼워지는 사이드홈(57b)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캡(55)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악세사리의 줄을 걸 수 있는 걸고리(55a)가 마련되어 있다.
도면부호 53b는 구름방지돌기이다. 상기 구름방지돌기(53b)는 원통형의 케이스(53)가 평면상을 굴러가지 않도록 마련한 것이다.
도 6은 상기 도 5에 도시한 휴대용 크리너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케이스(53)는 원통형 내부공간(53c)을 제공하고 그 하단은 바닥부(53d)에 의해 막혀있다. 상기 바닥부(53d)의 저면에는 줄을 걸 수 있는 걸고리(53e)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53)의 상단부 일측에는 돌기삽입홈(53f)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삽입홈(53f)은 후술할 캡(55)의 저면에 마련되어 있는 회전방지돌기(도 7의 55b)가 끼워지는 홈이다.
한편 상기 케이스(53)의 내부에 설치되는 샤프트(35)의 상단부에는 샤프트(35)의 회전력을 후술할 태엽하우징(63)으로 전달하되 그 회전속도를 변화시켜 전달하는 변속장치가 구비된다.
상기 변속장치는, 샤프트(35)의 상단부에 고정되며 샤프트(35)와 동일한 회전중심축을 가지고 치합공간(71a)을 제공하는 링기어(71)와, 상기 링기어(71)에 치합하는 두 개의 유성기어(69)와, 상기 링기어(71)의 상부에 위치하며 그 저면에 상기 유성기어(69)를 자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어지지축(67a)을 갖는 와셔형 기어지지디스크(67)와, 상기 유성기어(69)에 치합하며 태엽하우징(63)의 하부에 고정되는 선기어(6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어지지디스크(67)의 테두리부에는 회전방지돌기(67c)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회전방지돌기(67c)는 후술할 이탈방지하우징(73)의 돌기삽입홈(73a)에 각각 끼워지는 돌기이다. 후술하는 바와같이 상기 이탈방지하우징(73)은 케이스(53)에 고정되는 캡(55)에 고정되므로 결국 기어지지디스크(67)는 이탈방지하우징(73)을 통해 케이스(53)에 간접적으로 고정된다.
상기 변속장치의 상부에는 태엽하우징(63)이 구비된다. 상기 태엽하우징(63)은 상부로 개방된 원통형 부재로서 그 내부에 태엽스프링(61)을 수용한 상태로 도 10에 도시한 바와같이 캡(55)의 하부에 위치한다. 상기 태엽하우징(63)의 외주면을 캡(55)의 내주면에 면접 시킬 수 있다.
상기 태엽하우징(63)의 테두리부 두께면에는 라쳇부(63a)과 스프링끼움부(63c)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라쳇부(63a)는 캡(55)을 향한 두께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공지의 라쳇과 같이 다수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걸림턱(63d)을 제공한다.
상기 태엽스프링(61)은 태엽하우징(63)의 내부에 장착되며 그 일단부는 캡(55) 저면의 태엽스프링고정부(도 7의 55h)에 끼워져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스프링끼움부(63c)에 걸려 지지된다. 상기 태엽스프링(61)의 타단부에는 스프링끼움부(63c)에 끼워지는 하우징결합부(61a)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태엽스프링(61)은 태엽하우징(63)이 화살표 c방향으로 회전할수록 긴장된다. 화살표 c방향이라 함은 상기 크리닝천(27)을 인출할 때 회전하는 방향이다. 따라서 크리닝천(27)은 상기 태엽스프링(61)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항상 케이스(53)의 내부로 탄성적으로 당겨진다.
상기 라쳇부(63a)의 상부에는 후술할 레버(59)의 스토핑부(59b)가 위치한다. 상기 스토핑부(59b)는 도 8에 도시한 바와같이 화살표 c방향으로 회전하는 태엽하우징(63)의 라쳇부(63a)를 넘으며 태엽하우징(63)의 화살표 c방향 회전을 용인하거나 걸림턱(63d)에 걸려 그 반대방향 회전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캡(55)의 상부에는 수용부(55d)가 마련된다. 상기 수용부(55d)는 상기한 레버(59) 및 버튼(57)을 수용하는 부위로서 그 바닥면 일측에는 사각의 관통구멍(55g)이 형성되어 있고 중앙부에는 힌지(55f)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55d)를 제공하는 원통형 벽면에는 상기 버튼(57)의 사이드홈(57b)에 끼워져 지지력을 제공하는 버튼지지돌기(55c)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힌지(55f)는 레버(59) 중앙에 마련되어 있는 회동축(59a)을 지지하는 지지대이다. 또한 상기 관통구멍(55g)은 레버(59) 선단부인 스토핑부(59b)가 하향 통과하여 상기 라쳇부(63a)에 도달하도록 마련한 구멍이다.
한편 상기 캡(55)의 저면 테두리부에는 회전방지돌기(도 7의 55b)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방지돌기(55b)는 케이스(53)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삽입홈(53f)과 이탈방지하우징(73)의 돌기삽입홈(73b)에 동시에 끼워지는 것이다.
상기 돌기삽입홈(53f,73b)은 일직선상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방지돌기(55b)를 공동 수용한다. 따라서 케이스(53)에 대해 캡(55)이 회전하지 못하고 또한 이탈방지하우징(73)이 캡(55)에 의해 움직이지 못하도록 지지된다.
상기 레버(59)는 그 중앙부가 상기 힌지(55f)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막대형 부재이다. 상기 레버(59)의 선단부는 스토핑부(59b)로서 상기 관통구멍(55g)을 하향 통과하여 라쳇부(63a)에 도달하고, 후단부 상면은 프레싱부(59c)로서 버튼(57)의 저면에 접한다.
아울러 상기 레버(59)의 후단부 저면에는 스프링(59d)이 스프링보스(59e)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59d)은 압축스프링으로서 레버(59)의 후단부가 항상 상승한 상태가 되도록 탄성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버튼(57)을 도 5의 화살표 z방향으로 누르면 스프링(59d)이 압축되고 상기 스토핑부(59b)가 상부로 올려지게 된다.
상기 레버(59)의 상부에 설치되는 버튼(57)은 상기 수용부(55d)를 커버하도 록 원판의 형태를 취한다. 또한 상기 버튼(57)의 양 외측부에는 사이드홈(57b)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사이드홈(57b)은 상기 버튼지지돌기(55c)를 수용한다.
상기 버튼(57)의 저면에는 두 개의 스프링보스(57c)가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보스(57c)에는 스프링(57d)이 각각 끼워진다. 또한 상기 스프링보스(57c)의 반대측 부위에 해당하는 버튼의 테두리부에는 걸림홈(57e)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홈(57e)은 수용부(55d)의 내주면에 마련되어 있는 스토핑돌기(55k)에 걸리는 부위이다. 이와같이 걸림홈(57e)이 스토핑돌기(55k)에 걸려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버튼(57)을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상기 도 6에 도시한 캡(55)을 뒤집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캡(55)의 저면 중앙에 태엽스프링고정부(55h)가 마련되어 있고, 테두리부 일측에는 회전방지돌기(55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태엽스프링고정부(55h)는 태엽스프링(61)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것이다.
도 8은 상기 도 6에 도시한 휴대용 크리너의 요부를 발췌하여 별도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샤프트(35) 상단에 고정되는 링기어(71)의 상부에 기어지지디스크(67)와 태엽하우징(63)이 차례로 설치되어 있다. 이와같이 적층된 상태로 링기어(71)와 기어지지디스크(67) 및 태엽하우징(63)의 일부가 이탈방지하우징(73)의 내부에 수용된다.
특히 상기 기어지지디스크(67)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회전방지돌기(67c)는 이탈방지하우징(73)의 돌기삽입홈(73a) 내에 끼워져 있다. 상기한 바와같 이 이탈방지하우징(73)은 캡(55)에 고정되므로 기어지지디스크(67)는 이탈방지하우징(73)에 수용된 상태로 회전하지 못한다. 아울러 상기 태엽하우징(63)의 상부에는 레버(59)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레버(59)의 스토핑부(59b)는 태엽하우징(63)이 화살표 c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라쳇부(63a)를 반복적으로 넘고 그동안 태엽하우징(63) 내부의 태엽스프링은 점점 압축된다. 따라서 태엽하우징(63)이 어느 정도 회전한 상태에서 버튼(57)을 눌러 스토핑부(59b)를 들어올리면 태엽하우징(63)은 태엽스프링(61)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역회전하며, 인출되었던 크리닝천이 샤프트(35)에 자동적으로 감기게 한다.
결국, 크리닝천(27)을 인출하다가 놓으면 상기 라쳇부(63a)를 넘어 이동하던 스토핑부(59b)가, 위치하던 라쳇부(63a)의 걸림턱(63d)에 걸려 태엽하우징(63)의 역회전을 막게 되므로 크리닝천(27)이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버튼(57)을 누르면 태엽스프링(61)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샤프트(35)가 역회전하여 크리닝천(27)을 탄성적으로 감아들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9는 상기 도 6에 도시한 휴대용 크리너에 적용된 변속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링기어(71)의 내부 중앙에 선기어(65)가 위치하여 있고, 상기 선기어(65)의 양측에는 유성기어(69)가 치합하고 있다. 상기 유성기어(69)는 상기 기어지지디스크(67)에 의해 그 자리에서 자전(自轉)만 가능하다. 상기 샤프트(35)를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선기어는 화살표 c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링기어(71)와 선기어(65) 및 유성기어(69)의 기어비는 경우에 따라 변경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도 10은 상기 도 5에 도시한 휴대용 크리너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케이스(53)의 상단부에 캡(55)이 장착되어 있고, 사기 캡(55)의 하부에 태엽스프링(61)과, 태엽하우징(63)과, 변속장치와, 이탈방지하우징(73)과, 샤프트(35)가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샤프트(35)의 하단부에는 와셔(45)가 끼워져 샤프트(35)의 하단부는 케이스(53) 내벽면에 간접적으로 지지된다.
상기 캡(55)의 상부에는 레버(59)와 버튼(57)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버튼(57)의 선단부인 스토핑부(59b)는 관통구멍(55g)을 하향 통과하여 태엽하우징(63) 라쳇부(63a)의 걸림턱(63d)에 걸려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버튼(57)의 일측을 화살표 z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스토핑부(59b)가 걸려 있는 라쳇부(63a)로부터 이탈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휴대용 크리너는, 손에 넣을 수 있을 정도로 콤팩트하여 휴대에 불편이 없음은 물론 크리닝천이 케이스 내에 감기는 구 조를 가지므로 충분한 넓이의 크리닝천을 내장시킬 수 있고 휴대중 크리닝천에 외부의 오물이 묻을 염려가 없어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에 다수의 걸고리가 구비되므로 원하는 악세사리나 휴대폰 등을 포함하는 원하는 기존의 휴대품에 줄을 연결하여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다.

Claims (9)

  1. 삭제
  2. 내부공간(13a)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일측에는 상기 내부공간(13a)을 외부로 개방하는 관통슬릿(25)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13)와;
    상기 케이스(13)의 상단부에 장착되고 그 중앙부에는 관통구멍(15b)이 형성되어 있는 캡(15)과;
    상기 케이스(13) 내에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35)와;
    상기 샤프트(35)의 둘레에 감기며 상기 관통슬릿(25)을 통해 케이스(13) 외부로 인출되는 크리닝천(27)과;
    상기 캡(15)의 관통구멍(15b)을 통해 케이스(13) 내부의 샤프트(35)에 연결된 상태로 샤프트(35)를 수동으로 축회전시키는 것으로서 외부로 인출된 크리닝천(27)을 케이스(13) 내부로 감아들이는 수동롤링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수동롤링장치는;
    상기 샤프트(35)의 상단에 샤프트(35)와 동일한 회전중심축을 갖도록 고정된 원통형 부재로서 그 내주면에 다수의 톱니(37a)를 갖는 하우징(37)과,
    상기 하우징(37) 내에 장착되되 상기 샤프트(35)와 동일한 회전 중심축을 가지고, 상기 톱니(37a)에 지지되어 크리닝천(27)의 인출에 따른 하우징(37)의 회전시 상기 톱니(37a)에 밀려 하우징(37)과 함께 회전하는 토오크전달부재(33)와,
    상기 캡(15)의 외부에 위치하며 캡(15)의 관통구멍(15b)을 통해 상기 토오크전달부재(33)에 전동 이음되어 필요시 토오크전달부재(33)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크리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토오크전달부재(33)는;
    상기 손잡이부에 결합하는 결합부(33a)와,
    상기 결합부(33a)의 하측 외주면에 구비되며 수평으로 연장되되 적어도 한번 굴곡되고 그 연장단부가 상기 톱니(37a)의 이(tooth)에 지지되는 하나 이상의 아암(33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크리너.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캡(15)은;
    상기 케이스(13)의 상단부에 결합하는 외벽(15d)과,
    상기 외벽(15d)의 내측에 외벽(15d)과 나란하게 위치하며 그 내부 영역에 상 기 하우징(37)을 수용 지지하는 내벽(15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크리너.
  5. 삭제
  6. 삭제
  7. 내부공간(53c)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일측에는 상기 내부공간(53c)을 외부로 개방하는 관통슬릿(53a)이 마련된 케이스(53)와;
    상기 케이스(53)의 상단부에 장착되는 캡(55)과;
    상기 케이스(53)내에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35)와;
    상기 샤프트(35)의 둘레에 감기며 상기 관통슬릿(53a)을 통해 케이스(53) 외부로 인출되는 크리닝천(27)과;
    상기 샤프트(35)에 크리닝천(27)이 감기는 방향의 탄성 토오크를 제공하되 크리닝천(27)이 인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샤프트(35)의 감기는 방향 회전을 차단하는 스토핑수단을 갖는 탄성지지장치와;
    상기 스토핑수단의 작용을 해제하여 탄성지지장치로 하여금 샤프트(35)를 감는 방향으로 축회전시켜 크리닝천(27)을 케이스(53)내에 감아들이는 버튼(57)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지지장치는;
    상기 샤프트(35)에 전동 이음된 상태로 캡(55)의 하부에 축회전 가능하게 위치하고 그 테두리에는 다수의 걸림턱(63d)을 제공하는 라쳇부(63a)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하우징(63)과,
    상기 하우징(63)의 내부에 설치되며 그 일단부는 캡(55)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하우징(63)에 고정 지지되어, 상기 캡(55)에 대한 하우징(63)의 상대 회전시 탄성 변형되는 스프링(61)을 포함하며,
    상기 캡(55)의 라쳇부(63a)의 연직 상부에 해당하는 부위에는 관통구멍(55g)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핑수단은;
    상기 캡(55)의 상부에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것으로서, 그 선단부에는 상기 관통구멍(55g)을 하향 통과한 후 상기 하우징(63)의 라쳇부(63a)에 도달하여 걸림턱(63d)에 걸려 샤프트(35)의 감는 방향 회전을 차단하는 스토핑부(59b)가 구비되고, 후단부에는 상기 버튼(57)에 의해 눌려 상기 스토핑부(59b)를 걸림턱(63d)으로부터 이격시키는 프레싱부(59c)를 갖는 레버(59)와,
    상기 레버(59)의 스토핑부(59b)를 라쳇부(63a)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59d)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크리너.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35)와 하우징(63)의 사이에는, 샤프트(35)의 회전력을 하우징(63)으로 전달하거나 하우징(63)의 회전력을 샤프트(35)로 전달하되 그 회전속도를 변환하여 전달하는 변속장치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크리너.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장치는;
    상기 샤프트(35)의 상단부에 고정되며 샤프트(35)의 회전중심축과 동일한 회전중심축을 갖는 링기어(71)와,
    상기 링기어(71)에 치합하는 하나 이상의 유성기어(69)와,
    상기 캡(55)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유성기어(69)를 자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어지지디스크(67)와,
    상기 유성기어(69)에 치합하며 그 회전축이 상기 하우징(63)의 회전 중심에 연결되는 선기어(6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크리너.
KR1020040069562A 2004-09-01 2004-09-01 휴대용 크리너 KR100627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9562A KR100627242B1 (ko) 2004-09-01 2004-09-01 휴대용 크리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9562A KR100627242B1 (ko) 2004-09-01 2004-09-01 휴대용 크리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0861A KR20060020861A (ko) 2006-03-07
KR100627242B1 true KR100627242B1 (ko) 2006-09-25

Family

ID=37127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9562A KR100627242B1 (ko) 2004-09-01 2004-09-01 휴대용 크리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724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0861A (ko) 2006-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9163A (en) Quick squeezing wringable mop
KR100489751B1 (ko) 화장용구의 수납 기능을 갖는 화장품케이스
US20090178218A1 (en) Cloth Accessory with Removable Insert
US8347519B2 (en) Drainer basket assembling structure of stepping wringer bucket
WO2013136238A1 (en) Detergent box of washing machine
CN105996932A (zh) 清洁工具
KR100627242B1 (ko) 휴대용 크리너
US6571419B1 (en) Mop with a sucking plate and a mop unit having changeable soft and coarse sponge sides
WO1995017844A1 (fr) Structure support d&#39;une plaque de montage pour siege de w-c.
TWM494585U (zh) 自擰乾平板拖把
JP2013138849A5 (ko)
JP2013138849A (ja) 清掃モップ及びその洗浄バケツ
US8356381B2 (en) Structure for automatically rotating a spiral rod
KR200381937Y1 (ko) 광학렌즈 클리너를 갖춘 악세사리
JP6898278B2 (ja) 化粧料容器
CN212165735U (zh) 清洁工具
KR200466791Y1 (ko) 매립형 휴지걸이
JP4238670B2 (ja) 冷蔵庫の給水装置、冷蔵庫
WO2022195571A2 (fr) Smartphone avec molette adaptable
KR20200063927A (ko) 밀어! 밀어! 액정닦이 휴대폰 케이스
JP3199890U (ja) 折りたたみ式簡易傘立て
JP3145888U (ja) 歯ブラシ掛け
KR200355710Y1 (ko) 옷의 보풀소제구
KR200429399Y1 (ko) 휴대가 간편한 소형 안경케이스
KR200235587Y1 (ko) 물걸레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