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7116B1 - 절수형 전자동 세탁기용 부동식 밀봉장치 - Google Patents

절수형 전자동 세탁기용 부동식 밀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7116B1
KR100627116B1 KR1020047017922A KR20047017922A KR100627116B1 KR 100627116 B1 KR100627116 B1 KR 100627116B1 KR 1020047017922 A KR1020047017922 A KR 1020047017922A KR 20047017922 A KR20047017922 A KR 20047017922A KR 100627116 B1 KR100627116 B1 KR 100627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floating
ring
water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7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8782A (ko
Inventor
지아오즈후 와이이
Original Assignee
와이 이, 지아오즈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 이, 지아오즈후 filed Critical 와이 이, 지아오즈후
Publication of KR20040108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8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7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7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06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by rotary impell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Sealing With Elastic Sealing Lips (AREA)

Abstract

절수형 전자동 세탁기의 부동식 밀봉장치는, 외통(1) 밑부분 내측에 고정되어 있는 밀봉뚜껑(11)과 내통(2) 밑부분에 고정되어 있는 받침판(5) 그리고 외통(1)과 밀봉뚜껑(11) 및 받침판(5)에 둘러쌓고 있는 배수강(排水腔),또한 밀봉뚜껑(11)과 받침판(5) 사이의 틈새를 밀봉시키는데 사용하는 밀봉환(20)을 포함한다.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밀봉환(20)은 탈수축(18a)을 밖에서 둘러쌓고 있고, 밀봉뚜껑(11)과 받침판(5) 사이의 틈새를 밀폐한 환형부동체(20c)가 탈수축(18a)을 따라 위로 떠오르게 할 수 있다. 부상(浮上)하는 밀봉환(20)의 위 표면과 받침판(5)의 밑면 및 밀봉뚜껑의 위 테두리의 내면은 밀봉면(面)이고, 또한 밀봉뚜껑(11)과 받침판(5) 사이의 밀봉부(付)를 구성한다. 그 장점은 밀봉효과가 좋고, 제조 및 설치가 간단하며, 단가도 비교적 낮으므로, 근본적으로 밀봉부가 마찰이 생기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이를테면 소음, 전기소모량의 과다, 및 탈수시동 시 저항력이 큰 것 등의 일련의 문제를 해결하였다.

Description

절수형 전자동 세탁기용 부동식 밀봉장치{A floatable sealed device used for automatical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의 밀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절수형 전자동 세탁기 부동식(floatable) 밀봉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절수형 전자동 세탁기는 주로 세탁 시 세탁기의 외통에 물을 주입시키지 않고, 내통에만 물을 주입시켜 세탁하는 세탁기이다. 이런 세탁기는 세탁 시 세탁기 내, 외통에 모두 물을 주입시켜 세탁하는 세탁기보다 20%~30%의 물을 절약할 수 있다. 이런 절수형 전자동세탁기는 중국 특허 제 95117171.2 호의 《전자동 세탁기》와 실용신안 제 97231435.0 호의 《절수형 전자동 세탁기》에서 공개한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이들 특허 및 실용신안의 구조의 특징은 외통의 안쪽에 설치된 내통(회전통 또는 탈수통이라고도 한다)에는 중간하단 측벽에 구멍이 없고 위쪽에만 일 열의 구멍이 있는 탈수용 출수구와 밑 부분의 중앙에 환형으로 설치된 배수구멍의 통에 있다. 외통에 물을 주입시키지 않기 위해 내통의 배수통로는 반드시 외통과 분리시켜야 한다. 즉, 외통과 내통 사이에 밀봉장치가 있어야 한다.
이러한 밀봉장치에 대해선, 중국 실용신안 제 96228625.7 호의 《세탁기의 내통과 외통 사이의 밀봉장치》와 제 01218004.1 호의 《절수형 전자동 세탁기의 성수통(盛水桶)》에 보다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통(1) 내의 내통(2, 즉 앞서 언급한 회전통)이 받침판(5, 플렌지 플레이트(flange plate)라고도 함)과 회전당환(6, 밀봉용기라고도 함)과 함께 탈수축(18a)에 고정되어 있다. 내통(2)의 배수통로에는 밑부분 중앙의 환형으로 설치된 받침판(5)과 회전당환(6)을 관통하는 배수구멍(7) 및 외통(1)의 밑부분 내측에 설치된 밀봉뚜껑(11, 밀봉함 또는 뚜껑이라고도 함)과 외통(1)의 밑부분의 배수강(16)이 포함된다. 이 배수강(16)은 주배수구(15)를 통하여 주배수관(13), 배수밸브(14), 배수관(21)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배수통로와 연관된 밀봉장치에는 내통(2)과 받침판(5) 사이, 회전당환(6)과 받침판(5) 사이, 밀봉뚜껑(11)과 외통(1) 사이 및 회전당환(6)과 밀봉뚜껑 위부분 중앙에 있는 회전당환(6)의 위부분 사이의 틈새의 밀봉 등이 포함된다. 그러나 사실상, 후자 이외의 기타 틈새는 모두 상대성 운동이 없는 두개의 부품을 연결하여 형성했기 때문에, 정적 상태의 밀봉을 사용하면 밀봉요구를 쉽게 만족할 수 있다. 그러므로 밀봉장치의 관건은 앞서 언급한 후자 -- 회전당환(6)과 밀봉뚜껑의 상구환(11b)사이의 틈새에 대한 밀봉이다. 내통(2)이 외통(1)을 상대하여 탈수축(18a)으로 부터 회전을 시작하여 탈수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회전당환(6)은 밀봉뚜껑(11)에 대하여 상대운동이 존재한다. 즉, 이들 사이의 밀봉은 일종의 축 유형의 회전밀봉 구조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당환의 외주면(6a)과 밀봉뚜껑(11b) 사이의 틈새는 밀봉환(10)으로 밀봉된다. 이 밀봉환(10)은 내측, 외측에 있는 원통형 바깥 테두리 및 두 바깥 테두리를 단일체로 연결한 환형의 상부 테두리로 구성되어 있다. 안쪽 테두리에 있는 상, 하 양단은 각각 안쪽에 경사지게 뻗어 있고, 회전당환의 외주면(6a)과 합치하는 여분의 상부 치합체와 하부 치합체가 있다.
세탁 시, 내통(2)에 물을 주입시키면 내통은 위에서 설명한 밀봉장치를 통하여 물이 외통(1)으로 흘러들어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세탁 시 배수밸브(14)가 닫힘으로 물은 내통(2)와 배수강(16) 내에만 주입된다. 탈수 시, 배수밸브(14)가 열리면서 내통(2)의 물이 배수통로를 통해 배출된다. 이어서, 내통이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세탁물에 있는 물이 원심력의 작용으로 내통의 벽을 따라 상승하고, 위부분의 탈수용 출수구(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로 빠져나가, 외통(1)에 모여진 후 부배수구(4) 및 부배수관(19)를 통해 배수관(21)으로 빠져나간다.
상기 종래의 기술의 단점은 다음과 같다.
(1) 이러한 종래 기술의 일반적인 밀봉구조에 의하면, 밀봉환(10)의 치합체가 항상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당환의 외주면(6a)에 밀착하여 누르기 때문에 내통이 고속으로 회전할 때 마찰로 인해 밀봉환(10)의 수명이 짧아짐으로 밀봉의 효과가 저하되게 된다. 이는 세탁기의 동작과정에서, 상기 밀봉부가 세탁과 탈수의 두개의 과정에서 동적인 밀봉상태에 있기 때문이다. 세탁과정에 있어서는, 내통(2)이 회전하는 각도가 매우 작기에 밀봉환(10)의 치합체와 회전당환의 외주면(6a)의 상대운동도 작다. 이 때 밀봉부는 매개체가 있는 정적인 밀봉상태에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탈수과정에서는 회전당환의 외주면(6a)은 내통(2)을 800 회/분 이상으로 고속회전하며, 밀봉환(10)의 치합체에 상응하여 선속도 4m/s 로 회전한다. 이 때 배수강(16)내의 물이 이미 다 빠졌기 때문에, 밀봉부는 매개체가 없는 마찰상태로 되며, 밀봉부는 또한 과잉 배합이기에, 이 때 생긴 마찰력은 매우 커서, 회전당환의 외주면(6a)과 밀봉환(10)의 치합체의 접촉부분이 파손을 일으켜, 밀봉의 효능이 저하되게 되며, 밀봉부의 수명은 짧아지게 된다.
(2) 밀봉부는 고속의 건조마찰에서 쉽게 소음을 내게 된다.
(3) 마찰력이 크면 전동기의 출력이 대량으로 소모되며, 심하면 탈수 과정 중에 전동기가 시동하는데 어려움이 생길 것이다.
(4) 제조공정에서 밀봉성능을 보장하기 비교적 어려울 것이다. 즉, 밀봉환(10)의 치합체와 회전당환의 외주면(6a)은 비교적 좋은 동심도(同心度)가 있어야 만 양호한 밀봉 성능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설치 과정이 많고 복잡하여, 상관된 부품이 제조오차를 일으키기 쉽고, 특히 외통(1)과 밀봉뚜껑(11)은 대형 플라스틱 부품으로 아주 쉽게 변형하여 아주 좋은 동심도를 보장하기 어렵다. 때로는 설치 오차를 보충하기 위하여, 밀봉 치합체가 회전당환 외주면(6a)의 조립 과잉량을 크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하면 밀봉부의 마찰력 증가를 일으킬 수 있어 따라서 상기 (1) - (3)의 여러 가지 문제를 가중시킨다.
(5) 동적 밀봉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마찰, 부식을 견디는 재료를 사용하여 회전당환 외주면(6)을 만들 필요가 있다. 또한 밀봉부의 손상을 줄이기 위해 회전당환 외주면(6a)은 비교적 높은 정밀도와 표면조도를 갖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것은 모두 원가의 증가를 초래하며, 건성마찰이 일으키는 소음을 해결하고 수명을 높이기 위해 밀봉환(10)의 재료의 성분을 개선할 필요가 있으며, 이것도 원가의 증가 를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방안을 따른다면, 원가가 대폭 증가할 뿐 아니라 이상적인 기술 효과를 얻기 힘들어 여러 가지로 절수형 전자동 세탁기의 발전을 제한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절수형 전자동 세탁기의 밀봉부 구조의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밀봉환의 절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밀봉환의 절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밀봉환의 절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의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의 정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의 정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의 밀봉부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의 밀봉환의 절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의 밀봉부의 정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의 정단면도.
종래의 절수형 전자동 세탁기의 회전당환과 밀봉뚜껑 상단의 입구사이의 밀 봉 구조가 쉽게 마모되어 밀봉 효과가 저하되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새로운 절수형 전자동 세탁기의 부동식 밀봉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밀봉 장치는 절수형 전자동 세탁기의 밀봉 요구와, 밀봉의 확실함 및 긴 수명 등을 효과적으로 보장할 수 있고, 설치가 쉽고 원가가 낮은 절수형 전자동 세탁기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된 기술적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사용하는 본 발명의 기술 방안은 다음과 같다:
세탁기의 실제 내통만 물을 저장하고 세탁 과정 중에만 내통과 외통의 밀봉이 필요하며 탈수 과정 중 밀봉이 필요하지 않은 특징에 근거하여, 종래 기술의 밀봉 장치 중에서 밀봉환의 치합체와 회전당환 사이의 직경방향의 동적 밀봉 즉 축류(軸類) 회전 밀봉을 축 방향의 평면 혹은 원추면(錐面) 밀봉으로 바꾸고, 유동하는 밀봉환을 채용하여, 물의 부력과 수압을 이용하여, 내통이 물을 저장하고 세탁 시 밀봉환이 떠서 밀봉뚜껑과 받침판 사이의 틈새를 밀봉시키고 또한 신뢰성 있는 밀봉을 할 수 있다. 또한 탈수 시는, 내통의 물은 배출되고, 밀봉환은 물의 하강에 따라 하강하고 밀봉부는 분리되어, 밀봉환과 고속 회전하는 부품과의 접촉을 피하게 된다. 그리하여 밀봉부가 일으키는 마찰과 그로 인해 일어나는 여러 가지 불량한 결과를 피하게 된다.
구체적인 구조는 다음과 같다:
밀봉 장치는 외통 밑부분의 내측에 고정시킨 밀봉뚜껑과 내통 밑부분에 고정시킨 받침판과 내통, 밀봉뚜껑, 받침판이 둘러싸여 형성된 배수강이 포함되고 밀봉 뚜껑과 받침판 사이의 틈새를 밀봉시키는 밀봉환이 포함된다. 특징으로서는, 밀봉환은 탈수축을 밖에서 둘러쌓고 있고, 밀봉뚜껑과 받침판 사이의 틈새를 밀봉시키는 환형 부동체를 탈수축을 따라 위로 떠오르게 할 수 있다. 부상(浮上)하는 밀봉환의 위 표면과 받침판의 밑면 및 밀봉뚜껑의 위 테두리의 내면은 밀봉면이고, 상기 밀봉면은 밀봉뚜껑과 받침판 사이의 밀봉부를 결합하여 구성한다.
세탁기의 세탁과정이 시작될 때, 내통으로 물을 주입하여 물이 내통 밑부분의 배수 구멍을 통하여 배수강에 주입된다. 배수 밸브가 닫혀 있기 때문에 물은 우선 배수강에 채워지고 배수강의 수위가 올라감에 따라 밀봉환은 부동체의 부력 작용으로 위로 상승하고, 설정된 높이에 이르러 밀봉환의 위표면과 밀봉뚜껑의 위 테두리 내면과 받침판 밑면의 밀봉면과 접촉한다. 수위가 더 상승함에 따라 수압은 더 커지고 수압은 부동체에 작용하여 밀봉환의 위표면이 단단히 밀봉면을 압박하게 하여 내통과 외통사이의 물의 통로를 밀봉시키는 목적을 이룬다.
탈수 과정이 시작 될 때, 배수 밸브는 열리고 물은 배수구멍, 배수강, 배수관과 배수 밸브 등 배수 통로를 통하여 배출된다. 배수강 내에 수위가 하락함에 따라 밀봉환은 자체의 중력 작용으로 하강하고, 배수강 내의 물이 완전히 배수되었을 때 밀봉환의 위표면과 밀봉뚜껑의 위 테두리 내면과 받침판의 밀봉면은 완전히 분리되어 밀봉환이 하강하고, 세탁용기 밑부분의 내측의 불연속적인 돌기근(凸筋)은 물이 순조롭게 배수되도록 밀봉환을 지지하며, 이 때 내통은 고속 회전하고 세탁물 중의 물은 원심력으로 내통 벽을 따라 상승하여 위부분의 탈수 출구(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로 빠져서, 외통(1)에 모여진 후, 부배수구(4)와 부배수관(19)을 통하여 배수관(21)으로 배출된다. 때문에 배수강(16)에는 물이 없으며 밀봉환은 뜨지 않고 어느 운동 부품과도 접촉이 없기에 손상이나 소음 문제가 전혀 생기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밀봉환의 위표면은 두개의 밀봉면을 갖고 있으며 그들은 각각 외밀봉면과 내밀봉면이다. 밀봉환의 외밀봉면 위부분의 밀봉뚜껑과 대응하는 곳에 밀봉뚜껑의 밀봉면을 설치한다. 내 밀봉면 위부분의 받침판 밑부분과 그와 대응하는 곳에 받침판의 밀봉면을 설치하고 위로 뜬 밀봉환의 내, 외 밀봉면은 각각 밀봉 뚜껑의 밀봉면과 접촉하여 밀봉뚜껑과 받침판 사이의 틈새를 밀봉시킨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밀봉뚜껑의 밀봉면과 받침판의 밀봉면은 밀봉환의 내, 외 밀봉면에 대응하여 위부분에 수평으로 설치하고, 또한 같은 수평면 상에 있다. 또한, 밀봉뚜껑의 밀봉면과 받침판의 밀봉면의 높이도 위치가 엇갈리게 할 수 있으나, 밀봉환의 내, 외 밀봉면도 상응하는 높이로 대응하여 엇갈리게 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밀봉뚜껑 위부분의 내면과 받침판 밑면의 밀봉면은 또한 원추면으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밀봉환의 외밀봉면의 바깥 테두리의 외경은 밀봉뚜껑의 밀봉면의 내경보다 크고, 내 밀봉면의 안 테두리의 내경은 내통 밑부분에 환형으로 배열한 배수구멍의 환형 최대 직경과 받침판의 밀봉면 안 테두리의 내경보다 크거나 같고, 밀봉 시 밀봉환의 내, 외 밀봉면은 밀봉뚜껑의 밀봉면과 받침판의 밀봉면을 압박하여, 밀봉뚜껑과 받침판 사이의 틈새를 밀봉시켜, 내통과 외통 간의 물의 통로를 밀봉하는 목적을 이루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밀봉뚜껑의 밀봉면과 받침판의 밀봉면은 매끄러운 표면이 고, 밀봉환의 내, 외 밀봉면도 매끄러운 표면이다. 밀봉환의 내, 외 밀봉면과 밀봉뚜껑의 밀봉면과 받침판의 밀봉면은 밀봉부를 형성할 때 밀봉은 더욱 확실하다.
본 발명은 더 개선할 수 있다. 상기 밀봉환은 내, 외 밀봉면에 하나 혹은 하나 이상의 환형돌기를 갖고 있고, 이것이 부동체의 위부분에 있는 밀봉환의 내, 외 밀봉면을 구성한다. 밀봉환의 환형돌기는 끝부분이 각각 밀봉뚜껑의 밀봉면과 받침판의 밀봉면과 접촉하여 밀봉뚜껑과 받침판사이의 틈새를 밀봉시킨다.
본 발명은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상기 밀봉 장치는 상기 밀봉뚜껑의 밀봉면일 수 있고, 받침판의 밀봉면은 각각 환형 돌기를 갖고 있을 수 있다. 이 환형 돌기의 끝 부분은 같은 평면위에 있고 떠오른 밀봉환의 내, 외 밀봉면과 밀봉뚜껑의 밀봉면의 환형 돌기(끝부분)와 받침판의 밀봉면상의 환형 돌기(끝부분)는 밀봉면이다. 상기 환형 돌기의 끝부분의 위치는 높이를 엇갈리게 할 수 있고, 밀봉환의 내, 외 밀봉면의 높이도 대응으로 엇갈리게 할 수 있다. 떠오른 밀봉환의 내, 외 밀봉면은 각각 밀봉뚜껑의 밀봉면의 환형 돌기와 받침판의 밀봉면의 환형돌기와 접촉하여 밀봉뚜껑과 받침판 사이의 틈새를 밀봉시킨다.
본 발명의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상기 밀봉환은 두개의 밀봉돌기가 있는데, 각각 외측 밀봉돌기와 내측 밀봉돌기이다. 환형 내측, 외측 밀봉돌기는 각각 밀봉환 부동체의 위부분에 있고 밀봉환의 밀봉면을 구성한다. 외측 밀봉돌기 위부분의 밀봉뚜껑과 대응하는 곳에 밀봉뚜껑의 밀봉면을 설치하여 내측 밀봉돌기 위부분의 받침판 밑부분과 그의 대응하는 곳에 받침판의 밀봉면을 설치한다. 이러한 환형 편상(片狀) 밀봉돌기 구조를 사용하여 압축성을 증가시켜 밀봉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외측 밀봉돌기의 바깥 외경은 밀봉뚜껑의 위테두리 내경보다 크며 내측 밀봉돌기의 안테두리의 내경은 내통 밑부분의 환형 배열의 배수구멍의 환형 최대직경보다 크거나 같다. 떠오른 밀봉환의 외측 밀봉돌기와 내측 밀봉돌기는 각각 밀봉뚜껑의 밀봉면과 받침판의 밀봉면과 접촉하여 밀봉뚜껑과 받침판사이의 공간을 밀봉시킨다. 만약 상기 밀봉뚜껑의 밀봉면과 받침판의 밀봉면의 높이를 엇갈리게 하여 밀봉환의 내측, 외측 밀봉돌기의 높이도 대응시켜 엇갈리게 하여 떠오른 밀봉환의 외측 밀봉돌기와 내측 밀봉돌기는 여전히 각각 밀봉뚜껑의 밀봉면 및 받침판의 밀봉면과 접촉하여 밀봉뚜껑과 받침판 사이의 틈새를 밀봉시킨다.
본 발명은 또 다음의 개선을 할 수 있다. 상기 밀봉환은 외측 밀봉돌기와 내측 밀봉돌기를 갖고 있고, 내측 밀봉돌기 위부분의 받침판 밑부분과 대응하는 곳에 수평으로 받침판의 밀봉면을 설치하여, 상기 밀봉환의 외측 밀봉돌기는 환형 자락이 있어, 이 자락과 밀봉뚜껑의 위테두리는 반드시 고정식으로 밀봉하여 연결시킨다. 외측 밀봉돌기는 연결체를 갖고 있어, 이 연결체는 충분한 길이가 있어 밀봉환의 부동체가 떠오를 때 내 밀봉돌기와 받침판의 밀봉면을 긴밀히 접촉하여 밀봉부를 형성한다. 세탁기가 탈수 시, 배수강 내의 수위가 하강하면 부동체는 하강하고, 내측 밀봉돌기와 받침판의 밀봉면은 분리된다. 상기 연결체는 신축성이 있는 연결체로 만들 수 있어, 물결형 관형과 같다. 이리하여 부동체의 상승과 하강은 더욱 순조롭다. 상기 밀봉환의 부동체는 외측 밀봉돌기, 내측 밀봉돌기와 연결체로 구성된 밀봉환의 부품이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음의 개선을 할 수 있다. 상기 밀봉환은 외측 밀봉돌기와 내측 밀봉돌기를 갖고 있어, 내측 밀봉돌기의 위부분의 받침판 밑부분과 그의 대응하는 곳에 수평으로 받침판의 밀봉면을 설치하여 상기 밀봉환의 외측 밀봉돌기의 환형 자락을 직접 고정하고, 세탁통 밑부분의 내측에 밀봉시킨다. 환형 자락과 밀봉뚜껑은 하나로 된 것과 같다. 그리하여 독립된 밀봉뚜껑을 제거하여서, 간단한 설치작업과 상품의 원가를 낮추는 목적을 이룬다. 외측 밀봉돌기는 하나의 연결체를 갖고 있고, 이 연결체의 길이는 충분하여 밀봉환의 부동체가 떠오를 때 내측 밀봉돌기와 받침판의 밀봉면이 긴밀히 접촉하게 하여 밀봉부를 형성한다. 세탁기가 탈수 시, 배수강 내 수위는 하강하면, 부동체는 하강하고, 내측 밀봉돌기와 받침판의 밀봉면은 분리된다. 상기 연결체는 신축성이 있는 연결체로 만들 수 있고 물결형 관형과 같으며, 그리하여 부동체의 상승과 하강이 더욱 순조롭다. 상기 밀봉환 부동체는 외측 밀봉돌기, 내측 밀봉돌기와 연결체로 구성된 밀봉환의 부품이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음의 개선을 할 수 있다. 상기 밀봉환은 외측 밀봉돌기와 내측 밀봉돌기를 갖고 있고 외측 밀봉돌기의 위부분에 밀봉뚜껑과 그의 대응하는 곳에 수평으로 밀봉뚜껑의 밀봉면을 설치한다. 상기 밀봉환의 내측 밀봉돌기와 받침판의 밀봉면은 고정으로 밀폐시켜 연결하고, 내측 밀봉돌기는 신축성이 있는 연결체를 갖고 있다. 이 신축성이 있는 연결체는 밀봉환의 부동체가 떠오를 때 외측 밀봉돌기와 밀봉뚜껑의 밀봉면을 긴밀히 접촉하게 하여 밀봉부를 형성한다. 세탁기의 탈수 시, 배수강 내 수위가 하강하면, 부동체는 하강하고, 외측 밀봉돌기와 밀봉뚜 껑의 밀봉면은 분리한다. 상기 신축성이 있는 연결체는 신축성이 있는 물결형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상기 밀봉환의 부동체 절단면은 원형, 직사각형, 혹은 기타 기하 형태일 수 있다. 부동체는 환형의 속이 빈(空心) 밀봉구조일 수 있고, 환형의 속이 뚫린(空腔) 구조일 수도 있다. 상기 밀봉환 부동체 속에 물보다 더 비중이 작은 재료인 발포(發泡)재료를 채울 수 있다. 속에 채운 재료는 밀봉환 전체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밀봉환 전체는 물속에서 뜰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에 상기 밀봉환 부동체가 환형의 속이 뚫린(空腔) 구조일 때, 그 윗부분은 밀봉되고 밑면이 뚫렸고, 부동체의 작용으로 전체 밀봉환은 물속에서 뜰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 중에, 밀봉환은 압축력이 좋으며 기계강도와 탄성이 비교적 좋은 고무 혹은 기타 고분자 재료 등 밀봉환을 만들기 적합할 뿐 아니라 세제 중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재료가 적합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개선은 다음과 같다:
상기 밀봉환의 외밀봉면과 내밀봉면은 기본재료(基材) 상에 압축력이 강하고 탄성이 좋고 기계강도가 높은 재료를 복합한다. 예를 들면 밀봉환의 본체 재료보다 더 부드러운 고무 혹은 기타 고분자재료이다. 이것은 밀봉환의 제조 원가를 크게 절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개선은 다음과 같다:
상기 밀봉뚜껑의 밀봉면과 받침판의 밀봉면은 기본재료(基材) 상에 한 층의 압축력이 강하고 탄성이 좋고 기계강도가 높은 재료를 복합한다. 예를 들면 밀봉환의 본체 재료보다 더 부드러운 고무 혹은 기타 고분자재료이다.
본 발명 중에, 만약 밀봉뚜껑의 밀봉면과 받침판의 밀봉면이 압축력이 강하고 탄성이 좋고 기계강도가 높은 재료로 복합됐다면, 밀봉환은 상대적으로 딱딱한 재료 즉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원가를 낮추고 밀봉환의 가공공정을 간략화 할 수 있다.
본 발명 중에, 상기 복합은 표면에 피복을 입힘, 상감, 점합(粘合), 사출성형 등 여러 가지 형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익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1) 밀봉환이 움직일 수 있어 밀봉면과 밀봉뚜껑의 밀봉면과 받침판의 밀봉면은 수평으로 접촉하고 밀봉 압력은, 수압이 제공하며, 접촉면이 크고 매끄러우면, 밀봉은 반드시 확실하다. 만일 더 나아가 판형(片狀)의 밀봉돌기 구조를 사용한다면, 압축성이 더 좋으며, 혹은 밀봉부 중 적어도 한쪽 재료가 압축성, 탄성, 기계강도가 좋으면, 밀봉 효과는 더 좋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통 세탁 시 내통의 수위는 약 25~50cm이면, 수압은 0.25~0.5 N/cm2이다. 밀봉건(件)의 내경이 8cm이고, 외경이 12cm이면, 밀봉환이 받는 수압의 면적은 62.8cm2이고, 받는 압력은 15.7~31.4N 이다. 접촉면 너비가 2mm 일 때, 밀봉부의 접촉압력은 1.25 ~ 2.5 N/cm2 이고, 수압은 5배이다.
(2) 축 방향의 평면 밀봉의 동심도(同心度)는 반경의 동적 밀봉의 요구처럼 높지 않아, 밀봉부의 접촉과 이탈은 수위가 조정한다. 그래서 본 발명의 밀봉장치는 제작과 설치가 많이 쉬워졌고 원가도 비교적 낮다.
(3) 밀봉환과 고속 회전하는 내통과 기타 연관된 부품의 접촉을 피했기 때문에 밀봉부가 발생하는 마찰과 그로 인한 소음, 많은 전력 소모, 탈수 시동 시 큰 저항력 등 여러 가지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였다.
(4) 본 발명 중 밀봉환 재료의 요구가 높지 않으며, 제조 원가가 높은 회전당환(밀봉뚜껑까지)을 제거했기 때문에, 전체 기계 제조 원가는 낮아질 것이다.
(5) 일본의 TOSHIBA, SHARP 등 세탁기의 제조상사는 20세기의 70~80년대부터 외통이 세탁 시 물을 저장하지 않는 절수형 세탁기(예를 들어, 일본 특허 소화 54-12098 호, 일본 특허 소화 61-9878호 참조)를 개발하였다. 국내 세탁기 제조상사도 20세기의 90년대에 같은 상품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외통과 내통 사이의 동적 밀봉을 잘 해결하지 못하여, 줄곧 대량으로 널리 보급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의 밀봉 장치를 사용하면 밀봉문제를 비교적 잘 해결할 수 있어, 절수형 전자동 세탁기의 보급에 응용하는데 유리할 것이다.
도 2에 표시한 절수형 전자동 세탁기의 부동식 밀봉 장치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 이다. 도면 중 밀봉부는 두 가지 상태이며, 왼쪽 밀봉부는 분리상태(탈수 혹은 내통 물이 없는 상태)이고, 오른편은 밀봉부의 결합상태이며, 밀봉환(20)은 밀봉뚜껑(11)과 받침판(5) 사이의 틈새(세탁 혹은 내통의 물 저장 상태)를 밀봉시킨다. 이 밀봉장치는 외통(1)의 아래 부분 안쪽에 고정한 밀봉뚜껑(11)과 내통 (2)의 아래 부분에 고정시킨 받침판(5)이 포함되고, 또 외통(1)과 밀봉뚜껑(11)에 받침판(5)이 둘러쌓은 배수강(16)과, 밀봉뚜껑(11)과 받침판(5) 사이의 틈새를 밀봉시키는 밀봉환(20)이 포함된다. 그 중 받침판(5)은 내통(2)과 함께 회전할 수 있고, 즉 밀봉뚜껑(11)을 상대하여 운동한다. 밀봉뚜껑(11)의 위 테두리 내면에 설치한 밀봉뚜껑의 밀봉면(11a)은 받침판(5)의 밑부분 바깥 테두리의 받침판의 밀봉면(5a)과 밀봉환(20)의 위 표면의 외밀봉면(20e)과, 내밀봉면(20f)은 밀봉면이 되고, 그들은 결합하여 밀봉뚜껑(11)과 받침판(5) 사이의 밀봉부를 조성한다. 밀봉뚜껑의 밀봉면(11a)과 받침판의 밀봉면(5a)은 같은 수평면에 있다. 밀봉환(20)의 본체는 고무로 만들어진 부동체(20c)로서 수중에서 생기는 부력으로 자체를 충분히 뜨게 할 수 있다. 이는 밀봉면의 위표면으로 평면이고 위 부분에 외밀봉면 (20e)과 내밀봉면(20f)을 설치하고, 환형 부동체의 내경은 내통(2)의 밑부분의 환형 배열의 배수구멍(7)의 환형 최대 직경보다 크고, 외경은 밀봉뚜껑의 밀봉면(11a)의 내경보다 크고, 밀봉뚜껑의 상구환(11b)의 내경보다 작다. 밀봉환(20)은 탈수축 (18a) 밖에 둘러 쌓여있고, 탈수축(18a)을 따라서 위로 떠서 밀봉뚜껑(11)과 받침판(5) 사이의 틈새를 밀봉시킨다.
세탁기의 세탁 과정이 시작 될 때, 내통(2)에 물을 주입하여, 물은 배수구멍(7)을 통하여 배수강(16)에 주입되면, 배수강(16) 내의 수위가 상승함에 따라 밀봉환(20)은 부동체(20c)의 부력작용으로 위로 상승한다. 일정한 수위에 이르면 떠오른 밀봉환(20)의 위 표면의 외밀봉면(20e)과 내밀봉면(20f)은 각각 밀봉뚜껑의 밀봉면(11a)과 받침판의 밀봉면(5a)에 접촉한다. 수위가 더 상승함에 따라 내통(2)에 물이 충분하게 되면, 수압은 더욱 커지며, 수압은 밀봉환(20)에 작용하여 밀봉면에 대한 압력도 더욱 커져 밀봉면(11)과 받침판(5) 사이를 확실히 밀봉시킬 수 있다. 즉 내통(2)과 외통(1) 사이의 물의 통로를 밀봉시킨다. 도 2의 오른편 밀봉환(20)을 표시한 것과 같다.
탈수 과정이 시작될 때, 배수밸브(14)는 열리고, 물은 배수구멍(7)과 배수강(16)과 주 배수구(15), 주 배수관(13), 배수밸브(14), 배수관(21)을 통하여 배수된다. 배수강(16) 내의 수위가 하강함에 따라 밀봉환(20)은 자체의 중력 작용 하에 아래로 하강하고, 배수강(16) 내의 완전히 배수가 되었을 때 밀봉환(20)은 외통(1)의 밑부분으로 하강한다. 밀봉환(20)은 밀봉뚜껑의 밀봉면(11a)과 받침판(5a)을 완전히 이탈한다. 본 발명 중 외통(1)의 밑부분의 안쪽 표면에 불연속인 돌기근(1b)을 설치하여, 배수강(16) 내의 수위가 하락할 때, 돌기근(1b)은 밀봉환(20)을 받쳐 들어 물이 순조롭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 내통(2)이 고속으로 회전하며 탈수될 때, 세탁물의 물은 원심력의 작용으로 내통(1)의 내벽을 따라 올라가 위부분의 탈수출구(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로 빠진다. 외통(1)에 모여진 후 부배수구(4)와 부배수관(19)을 통과하여 직접 배수관(21)으로 배출된다. 이때 배수강(16) 내는 항상 물이 없는 상태이고, 밀봉환(20)은 상승하지 않고, 어느 운동 부품과도 접촉하지 않는다. 때문에 손상이나 소음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 2의 왼쪽 밀봉환(20)을 표시한 것과 같다.
도 3에 표시한 절수형 전자동 세탁기 부동식 밀봉장치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 이다. 제 1 실시예와 다른 점은 밀봉환(20)이 환형 편형(片狀)의 외측 밀봉돌 기(20a)와 내측 밀봉돌기(20b)로 두개의 밀봉돌기를 갖고 있어, 이것들은 "Y"자형으로 형성되어 밀봉환 부동체(20c)의 상단면에 위치한다. 부동체(20c)는 속이 빈 밀봉 구조로서 물속에서 부력을 생성시켜 밀봉환(20) 전체를 뜨게 한다. 외측 밀봉돌기(20a)의 외경은 밀봉뚜껑의 밀봉표면(11a)의 내경보다 크며, 밀봉뚜껑의 상구환(11b)의 내경보다 작고, 내측 밀봉돌기(20b)의 내경은 환형 배열의 배수구멍(7)의 환형 최대 직경보다 크다. 밀봉환(20)이 부동체(20c)의 부력작용으로 일정한 높이로 위로 상승하면 밀봉환(20)의 외측 밀봉돌기(20a)와 내측 밀봉돌기(20b)는 각각 밀봉뚜껑의 밀봉면(11a) 및 받침판의 밀봉면(5a)과 접촉하게 된다. 수위가 더 상승함에 따라 수압이 더 커지며, 수압은 밀봉환(20)에 작용하여 외측 밀봉돌기(20a)와 내측 밀봉돌기(20b)을 각각 밀봉뚜껑의 밀봉면(11a)과 받침판의 밀봉면(5a)을 단단하게 압박하여, 밀봉뚜껑(11)과 받침판(5) 사이의 틈새를 밀봉시킨다. 도 3의 오른쪽 밀봉환(20)을 표시한 것과 같다.
세탁기 탈수 과정 중에는, 내통의 물이 완전 배수되고 밀봉환(20)은 자체의 중력의 작용으로 외통(1) 밑부분으로 하강하여 외측 밀봉돌기(20a)와 내측 밀봉돌기(20b)를 밀봉뚜껑의 밀봉면(11a)과 받침판의 밀봉면(5a)을 완전히 이탈시켜 어느 운동 부품과도 접촉이 없어서 손상이나 소음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 3의 왼쪽 밀봉환(20)과 같다.
이외에, 본 실시 예 중의 부동체(20c)는 그 위부분의 환형 내측 밀봉돌기(20b)와 외측 밀봉돌기(20a)로 두개의 독립 부분으로 분리되어, 동일한 기술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오히려 이런 분리 구조의 밀봉환은 생산에서 더욱 쉽게 실현 될 수 있고, 원가를 낮추는데 유익하다.
도 4에 표시한 밀봉환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 이다. 상기 밀봉환(20)의 부동체(20c)는 환형 개방형으로 속이 빈 구조이고, 그 절단면은 "ㅠ"자형이며 아래 부분이 열려 부동체 "ㅠ"자형 위부분의 두 모서리에 각각 외측 밀봉돌기(20a)와 내측 밀봉돌기(20b)가 연결되어 있다. 부동체(20c)가 수중에서 발생하는 부력으로 수중에서 밀봉환(20) 전체를 뜨게 한다.
도 5에 표시한 밀봉환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 이다. 그 부동체(20c)는 환형 개방형 속이 빈 구조로서 그 절단면은 원형이고, 아래 부분은 열려 있고, 부동체(20c)의 상부에 각각 외측 밀봉돌기(20a)와 내측 밀봉돌기(20b)가 연결되어 있1다. 두 밀봉돌기는 수평선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며 거꾸로 된 八자형 즉 "Y"자형을 이룬다. 부동체(20c)는 수중에서 부력을 일으켜 수중에서 밀봉환(20) 전체를 뜨게 한다.
도 6에 표시한 밀봉환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 이다. 밀봉환(20)의 부동체(20c)는 환형 공심(空心) 밀폐구조로서, 빈 속(空腔) 내에 발포(發泡) 재료를 채웠다. 편상의 외측 밀봉돌기(20a)와 내측 밀봉돌기(20b)는 "Y"자형을 형성하여 밀봉환(20)의 부동체(20c)의 상부에 위치하여, 부동체(20c)와 일체를 이루고 있다.
도 7에 표시한 절수형 전자동 세탁기의 부동식 밀봉 장치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 이다. 제 2 실시예와 다른 점은 상기 밀봉환(20)의 외측 밀봉돌기(20a)와 밀봉뚜껑의 상구환(11b)이 고정밀폐로 연접하고, 외측 밀봉돌기(20a)와 부동체(20c) 사이에 연결체(20d)가 있고, 연결체(20d)의 길이는 밀봉환의 부동체(20c)가 위로 뜰 때 충분히 내측 밀봉돌기(20b)와 받침판의 밀봉면(5a)을 밀히 접촉시켜 밀봉부를 형성한다. 부동체(20c)가 하강할 때 밀봉환(20)의 자체 중력작용으로 내측 밀봉돌기(20b)와 받침판의 밀봉면(5a)은 분리한다.
세탁기의 세탁과정이 시작될 때, 배수강(16) 내의 수위는 상승하고, 밀봉환의 부동체(20c)는 내측 밀봉돌기(20b)가 상승하도록 이끈다. 연결체(20d)는 고정단 부동체(20c)의 당김을 받아 위쪽으로 경사지면서, 중심 부분의 내측 밀봉돌기(20b)는 받침판의 밀봉면(5a)에 가깝게 된다. 일정한 수위가 되면 위로 떠오른 내측 밀봉돌기(20b)는 부동체(20c)의 부력과 수압의 작용으로 받침판의 밀봉면(5a)을 압박하여, 내통(2)과 외통(1) 사이의 밀봉을 이룬다. 도 7의 오른쪽 밀봉환(20)을 표시한 것과 같다. 탈수과정 중에는, 배수강(16) 내의 수위가 하강함에 따라 내측 밀봉돌기(20b)와 부동체(20c)는 자체의 중력 작용으로 하강한다. 밀봉부 이탈은 도 7의 왼쪽 밀봉환(20)을 표시한 것과 같다. 본 실시예 중에는, 외측 밀봉돌기(20a)를 고정하여, 내측 밀봉돌기(20b)가 상향 운동하는 방식을 채용하고, 하나의 밀봉돌기와 밀봉면을 고정하여, 밀봉을 더 확실하게 한다. 또한 축방향의 설치오차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외에 본 실시예 가운데 부동체(20c)와 그 위부분의 환형 내, 외 밀봉돌기와 연결체(20d)는 두개의 독립적인 부분으로 분리되어 똑같은 기술효과를 이룬다. 오히려 이런 분리 구조의 밀봉환은 생산에서 더 쉽게 이루어지며 원가를 낮추는데 유익하다.
도 8에 표시한 절수형 전자동 세탁기의 부동식 밀봉장치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 이다. 제 6 실시예와 다른 점은 상기 밀봉환(20)의 부동체(20c)가 속이 빈 밀봉 구조이며 절단면 모형은 도면의 원형 혹은 다른 기하 모형이다. 내측 밀봉돌기(20b)를 받침판(5)의 밑면과 감속기(18)의 플랜지(flange) 상면 사이에 고정하여 동시에 밀봉작용을 한다. 상기 내측 밀봉돌기(20b)에 대응하는 배수구멍(7)은 상응하는 구멍위치와 고정위치 설계를 열고 있어 내통(2)의 배수 통로는 막히지 않도록 유지한다. 내측 밀봉돌기(20b)는 주름관 형태의 연결체(20d)를 갖고 있고, 이것의 신축 길이는 밀봉환(20)의 부동체(20c)가 위로 뜰 때 충분히 외측 밀봉돌기(20a)와 밀봉뚜껑의 밀봉면(11a)이 긴밀히 접촉하여 밀봉부를 형성한다. 부동체(20c)가 하강할 때, 외측 밀봉돌기(20a)와 밀봉뚜껑의 밀봉면(11a)이 분리된다.
세탁기의 세탁과정이 시작될 때, 배수강(16) 내의 수위는 상승하고 부동체(20c)는 밀봉동기(20a)을 당겨 상승시키며 부동체(20c)의 부력과 수압의 작용으로 밀봉뚜껑의 밀봉면(11a)을 단단히 압박하여 내통(2)과 외통(1) 사이의 밀봉을 이룬다. 도 8의 오른쪽 밀봉환(20)을 표시한 것과 같다. 탈수과정 중에, 배수밸브(4)가 열려 배수강(16) 내의 수위가 하강함에 따라 밀봉환(20)은 자체의 중력 작용으로 하강하고 밀봉부를 이탈시킨다. 도 8의 왼쪽 밀봉환(20)을 표시한 것과 같다. 밀봉환(20)이 내통(2)과 함께 고속으로 회전해도 설계만 타당하다면, 원심력은 밀봉환(20)이 밀봉뚜껑(11)에 부딪치거나 마찰을 가져오지 않도록 한다. 본 실시예 중에서, 내측 밀봉돌기(20b)가 고정되어, 외측 밀봉돌기(20a)가 축방향운동의 방식을 이용한다. 밀봉환(20)의 제작은 비교적 간단하고 원가가 낮다.
이외에, 본 실시예 가운데 부동체(20c)는 그 위부분의 환형 내측, 외측 밀봉돌기와 연결체(20d)와 분리되어 두개의 독립적인 부분으로 똑같은 기술효과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분리 구조의 밀봉환은 생산하기 더 쉽고 원가를 낮추는데 유리하다.
도 9에 표시한 절수형 전자동 세탁기의 부동식 밀봉 장치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 이다. 제 6 실시예와 다른 점은 상기 밀봉장치를 더 간단하게 한 것이다. 직접 제 6 실시예에 상기 밀봉환(20)의 외측 밀봉돌기(20a) 아래 부분의 환형 자락을 직접 고정시키고, 외통(1)의 밑부분 내측에 밀봉하고, 환형 자락과 외통(1)의 밑부분 내측이 상기 배수강(16) 을 형성하게 하였다. 따라서 독립적인 밀봉뚜껑(11)을 제거하고, 조립작업을 간략화하고 상품 원가를 낮추는 목적을 이루었다. 본 실시예 가운데 밀봉환(20)의 내밀봉면(20f)과 받침판의 밀봉면(5a)은 밀봉부를 형성하여 내통(2)과 외통(1)사이의 통로를 밀봉시킨다.
밀봉환(20)이 부동체(20c)의 부력 작용으로 위로 상승하여 일정한 수위에 도달하면, 밀봉환(20)의 내밀봉면(20f)은 받침판의 밀봉면(5a)과 접촉한다. 내통(2)에 물이 찼을 때, 수압은 부동체(20c)와 내밀봉면(20f)에 작용하여 내밀봉면(20f)으로 하여금 받침판의 밀봉면(5a)을 단단히 압박하여 내통(2)과 외통(1) 사이의 물의 통로를 밀폐시킨다. 도 9의 오른쪽 밀봉환(20)에 표시한 것과 같다. 배수강(16) 내의 물이 배수된 후에, 밀봉환(20)은 외통(1)의 밑부분으로 하강하여 내밀봉면(20f)이 받침판의 밀봉면(5a)을 완전히 이탈한다. 도 9의 왼쪽 밀봉환(20)에 표시한 것과 같다.
도 10에 표시한 절수형 전자동 세탁기의 부동식 밀봉장치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 이다. 위에 상기 실시예와 다른 점은 밀봉뚜껑의 밀봉면(11a)과 받침판의 밀봉면(5a)을 원추면으로 설치하고, 밀봉환(20)의 부동체(20c)의 절단면이 원형으로 양호한 압축성과 탄성이 있게 하여 밀봉부의 확실성을 보증한다.
도 11에 표시한 밀봉환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 이다. 위에 상기 실시예와 다른 점은 본 실시예의 밀봉환(20)은 환형의 빈 밀폐구조를 갖고 있어 외밀봉면(20e)과 내밀봉면(20f)이 같은 수평면에 있지 않고, 외밀봉면(20e)은 내밀봉면(20f)보다 낮으며, 그 외밀봉면(20e)과 내밀봉면(20f)은 각각 하나의 환형돌기(22)를 갖고 있고, 밀봉환(20)의 환형돌기(22)의 끝 부분이 각각 밀봉뚜껑의 밀봉면(11a)과 받침판의 밀봉면(5a)과 접촉하여 밀봉뚜껑(11)과 받침판(5) 사이의 틈새를 밀봉시킨다.
도 12에 표시한 절수형 전자동 세탁기의 부동식 밀봉장치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 이다. 위에 상기 실시예와 다른 점은, 본 실시예는 밀봉뚜껑의 밀봉면(11a)과 받침판의 밀봉면(5a)이 각각 하나의 환형돌기(22)를 갖고 있어, 밀봉환(20)이 위로 일정한 높이로 떠오를 때, 밀봉환의 외밀봉면(20e)와 내밀봉면(20f)은 각각 상기 환형돌기(22)의 끝부분에 접촉하여 밀봉뚜껑(11)과 받침판(5) 사이의 틈새를 밀봉시킨다.
도 13에 표시한 절수형 전자동 세탁기의 부동식 밀봉장치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 이다. 제 6 실시예와 다른 점은 상기 밀봉환(20)의 외측 밀봉돌기(20a)와 밀봉뚜껑의 상구환(11b)을 밀폐 연결하여 고정시키고, 이외에 밀봉돌기(20a)가 신축성이 있는 주름관형의 연결체(20d)를 갖고 있고, 이 연결체(20d)의 신장(伸張) 길이는 밀봉환의 부동체(20c)가 위로 떠오를 때, 내측 밀봉돌기(20b)와 받침판의 밀봉면(5a)이 긴밀히 접촉하여 밀봉부를 형성시킨다. 부동체(20c)가 하강할 때 밀봉환(20)의 자체 무게와 밀봉돌기(20a)의 주름관형의 연결체(20d)의 수축 작용으로 내측 밀봉돌기(20b)와 받침판의 밀봉면(5a)이 분리한다.
세탁기의 세탁과정이 시작할 때, 배수강(16) 내의 수위는 상승하고, 밀봉환(20)의 부동체(20c)는 내측 밀봉돌기(20b)를 상승시키고, 주름관형의 연결체(20d)는 위로 늘어난다. 내측 밀봉돌기(20b)는 부동체(20c)의 부력과 수압 작용으로 받침판의 밀봉면(5a)을 단단히 압박하여 내통(2)과 외통(1) 사이의 밀봉을 이룬다. 도 7의 오른쪽 밀봉환(20)을 표시한 것과 같다. 탈수과정 중에, 배수강(16) 내의 수위가 하강함에 따라 내측 밀봉돌기(20b)와 부동체(20c)는 자체의 중력 작용과 외측 밀봉돌기(20a)의 주름형의 연결체(20d)의 수축작용으로 하강한다. 밀봉부의 이탈은 도 7의 왼쪽 밀봉환(20)을 표시한 것과 같다. 본실시예 중에, 외측 밀봉돌기(20a)가 고정되어, 내측 밀봉돌기(20b)가 위로 운동하는 방식을 채용하여, 한 밀봉돌기와 밀봉면을 고정시켜 밀봉은 더욱 확실하게 될 것이며, 축방향의 설치 오차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밀봉이 보다 확실하며, 제작과 설치가 보다 용이해 졌으며, 원가도 낮아졌고 또한, 마찰로 인한 소음, 전력 소모, 탈수 시동 시 큰 저항력 등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였다.

Claims (23)

  1. 외통의 밑부분 내측에 고정한 밀봉뚜껑과, 내통의 밑부분에 고정한 받침판과, 외통과 밀봉뚜껑과 받침판을 둘러쌓고 있는 배수강 및 밀봉뚜껑과 받침판 사이의 틈새를 밀봉하는 밀봉환을 포함하는 절수형 전자동 세탁기의 부동식 밀봉장치에 있어서,
    상기 밀봉환은 탈수축을 밖에서 둘러쌓고 있고, 상기 밀봉뚜껑과 받침판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는 환형부동체가 탈수축을 따라 위로 떠오르게 할 수 있으며, 부상(浮上)하는 밀봉환의 위 표면과 받침판의 밑면 및 밀봉뚜껑의 위 테두리의 내면은 밀봉면이며, 상기 밀봉환은 밀봉뚜껑과 받침판 사이의 틈새를 밀봉시키고,
    상기 밀봉환의 위 표면은 두개의 밀봉면 즉, 외밀봉면과 내밀봉면을 갖고 있고, 상기 밀봉환의 외밀봉면의 위쪽의 밀봉뚜껑과 이에 대응하는 곳에 밀봉뚜껑의 밀봉면를 설치하고, 내밀봉면의 위쪽의 받침판의 아래 부분과 이에 대응하는 곳에 상기 받침판의 밀봉면을 설치하며, 위로 떠오른 밀봉환의 외밀봉면과 내밀봉면은 각각 밀봉뚜껑의 밀봉면과 상기 받침판의 밀봉면과 접촉하여 밀봉뚜껑과 받침판사이의 틈새를 밀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전자동 세탁기의 부동식 밀봉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뚜껑의 밀봉면(11a)과 받침판의 밀봉면(5a)은 밀봉환의 외밀봉면(20e)과 내밀봉면(20f)에 대응하여 위부분에 모두 수평으로 설치하고, 또한 동일 수평면상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전자동 세탁기의 부동식 밀봉 장치.
  4. 제 1에 있어서,
    상기 밀봉뚜껑의 밀봉면(11a)과 받침판의 밀봉면(5a)은 밀봉환(20)의 외밀봉면(20e)과 내밀봉면(20f)에 대응하여 위부분에 모두 수평으로 설치하고, 또한 높이는 엇갈리게 위치하며, 상기 밀봉환(20)의 외밀봉면(20e)과 내밀봉면(20f)의 높이도 엇갈리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전자동 세탁기의 부동식 밀봉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뚜껑(11)의 위 테두리의 내면과 받침판(5)의 아래 면은 원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전자동 세탁기의 부동식 밀봉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환(20)은 적어도 2개 혹은 2개 이상의 환형돌기를 갖고 있고, 이것이 부동체(20c)의 위 부분에서 밀봉환(20)의 외밀봉면(20e)과 내밀봉면(20f)에 구성되어서, 상기 밀봉환(20)의 위쪽에 있는 환형돌기가 상기 밀봉뚜껑의 밀봉면(11a)과 받침판의 밀봉면(5a)과 각각 접촉하여, 밀봉뚜껑(11)과 받침판(5) 사이의 틈새를 밀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전자동 세탁기의 부동식 밀봉 장치.
  7. 제 1항, 제3항, 제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뚜껑의 밀봉면(11a) 및 받침판의 밀봉면(5a) 위에 각각 환형돌기를 갖고 있으며, 상기 환형돌기의 끝부분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전자동 세탁기의 부동식 밀봉 장치.
  8. 제 1항, 제3항, 제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뚜껑의 밀봉면(11a) 및 받침판의 밀봉면(5a) 위에 각각 환형돌기를 갖고 있으며, 상기 환형돌기의 끝부분의 높이는 엇갈리게 위치하고, 상기 밀봉환(20)의 외밀봉면(20e)과 내밀봉면(20f)의 높이도 엇갈리게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전자동 세탁기의 부동식 밀봉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환(20)은 2개의 밀봉돌기를 갖고 있으며, 이들은 외측 밀봉돌기(20a)와 내측 밀봉돌기(20b)로 구별하고, 환형의 외측 밀봉돌기(20a)와 내측 밀봉돌기(20b)는 밀봉환(20)의 부동체(20c)의 상부에 균일하게 위치하여 밀봉환(20)의 밀봉면을 구성하며, 외측 밀봉돌기(20a) 위쪽의 밀봉뚜껑(11)과 이에 대응하는 곳에 밀봉뚜껑의 밀봉면(11a)이 설치되어 있으며, 내측 밀봉돌기(20b) 위쪽에 있는 받침판(5)의 밑면과 이에 대응하는 곳에 받침판의 밀봉면(5a)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전자동 세탁기의 부동식 밀봉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환(20)에 두개의 밀봉돌기가 있으며, 이들은 외측 밀봉돌기(20a)와 내측 밀봉돌기(20b)로 구분하며, 내측 밀봉돌기(20b)의 위쪽에 있는 받침판(5)의 밑 부분과 이에 대응하는 곳에 받침판의 밀봉면(5a)을 설치하며, 외측 밀봉돌기(20a)와 밀봉뚜껑(11)의 위 테두리 부분을 고정으로 밀폐시켜 연결하며, 외측 밀봉돌기(20a)와 부동체(20c) 사이에 연결체(20d)를 설치하고 있으며, 이 연결체(20d)의 길이가 충분하여 밀봉환의 부동체(20c)가 위로 떠 있을 때 내측 밀봉돌기(20b)과 받침판의 밀봉면(5a)이 긴밀히 접촉하도록 밀봉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전자동 세탁기의 부동식 밀봉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환의 부동체(20c)와 그 위쪽의 환형 내측, 외측 밀봉돌기와 연결체(20d)가 두개의 독립체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전자동 세탁기의 부동식 밀봉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연결체(20d)가 신축 가능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전자동 세탁기의 부동식 밀봉 장치.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환(20)이 두개의 밀봉돌기가 있고, 외측 밀봉돌기와 내측 밀봉돌기로 구별하며, 외측 밀봉돌기(20a) 위쪽에 있는 밀봉뚜껑(11)과 상응하는 곳에 밀봉뚜껑의 밀봉면(11a)을 설치하며, 내측 밀봉돌기(20b)와 받침판(5)은 고정으로 밀폐시켜 연결하며, 내측 밀봉돌기(20b)와 부동체(20c) 사이에 연결체(20d)를 설치하며, 이 연결체(20d)는 충분히 길어서 밀봉환의 부동체(20c)가 떠 있을 때 외측 밀봉돌기(20a)와 밀봉뚜껑의 밀봉면(11a)이 긴밀히 접촉하도록 긴밀히 접촉하도록 밀봉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전자동 세탁기의 부동식 밀봉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환의 부동체(20c)가 밀봉환의 하나의 독립적인 부품이며, 그 위쪽의 환형 내, 외측 밀봉돌기와 연결체(20d)가 구성한 밀봉환이 또 다른 하나의 독립 적인 부품으로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전자동 세탁기의 부동식 밀봉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연결체(20d)가 신축(伸縮)이 가능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전자동 세탁기의 부동식 밀봉 장치.
  16. 제 1, 제 3, 제 4, 제 5, 제 6, 제 9, 제 10, 제 11, 제 12, 제 13, 제 14,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환(20)의 부동체(20c)가 환형의 속이 빈(空心)밀폐구조로서, 그 절단면이 임의의 기하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전자동 세탁기의 부동식 밀봉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환(20)의 부동체(20c)가 비중이 물보다 작은 재료로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전자동 세탁기의 부동식 밀봉 장치.
  18. 제 1, 제 3, 제 4, 제 5, 제 6, 제 9, 제 10, 제 11, 제 12, 제 13, 제 14,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환(20)의 부동체(20c)가 환형의 개방형으로 속이 빈(空腔) 구조로서, 그 상부는 밀폐되고, 하부면은 열려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전자동 세탁기의 부동식 밀봉 장치.
  19. 제 1, 제 3, 제 4, 제 5, 제 6, 제 9, 제 10, 제 11, 제 12, 제 13, 제 14,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환(20)의 밀봉면의 표면이 한 층의 압축성, 탄성 및 기계강도가 좋은 재료로 덮여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전자동 세탁기의 부동식 밀봉 장치.
  20. 제 1, 제 3, 제 4, 제 5, 제 6, 제 9, 제 10, 제 11, 제 12, 제 13, 제 14,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뚜껑의 밀봉면(11a) 및 받침판의 밀봉면(5a)이 한 층의 압축성, 탄성 및 기계강도가 좋은 재료로 덮여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전자동 세탁기의 부동식 밀봉 장치.
  2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환(20)의 밀봉면의 표면이 한 층의 압축성, 탄성 및 기계강도가 좋은 재료로 덮여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전자동 세탁기의 부동식 밀봉 장치.
  22. 삭제
  2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환(20)의 밀봉면의 표면이 한 층의 압축성, 탄성 및 기계강도가 좋은 재료로 덮여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전자동 세탁기의 부동식 밀봉 장치.
KR1020047017922A 2002-05-16 2003-05-13 절수형 전자동 세탁기용 부동식 밀봉장치 KR1006271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B021152268A CN1236127C (zh) 2002-05-16 2002-05-16 一种节水型全自动洗衣机浮体式密封装置
CN02115226.8 2002-05-16
PCT/CN2003/000346 WO2003097920A1 (fr) 2002-05-16 2003-05-13 Dispositif d'etancheite flottable pour lave-linge automat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8782A KR20040108782A (ko) 2004-12-24
KR100627116B1 true KR100627116B1 (ko) 2006-09-25

Family

ID=29426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7922A KR100627116B1 (ko) 2002-05-16 2003-05-13 절수형 전자동 세탁기용 부동식 밀봉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119889B2 (ko)
KR (1) KR100627116B1 (ko)
CN (1) CN1236127C (ko)
AU (1) AU2003242097A1 (ko)
WO (1) WO200309792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90456A (zh) * 2017-04-20 2017-09-22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082160B (zh) * 2006-05-31 2010-12-01 海尔集团公司 波轮摇摆式洗衣机摇摆装置的水封结构
CN101158102B (zh) * 2007-11-13 2011-05-18 宋莉芳 壳桶合一无孔节水洗衣机的离合式封水机构
CN105696244A (zh) * 2016-03-22 2016-06-22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一种无孔内桶洗衣机
CN105937132B (zh) * 2016-05-31 2018-04-20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波轮洗衣机
CN105937121B (zh) * 2016-06-29 2019-03-26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洗衣机
CN105937120B (zh) * 2016-06-29 2019-03-26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洗衣机
CN105951366B (zh) * 2016-06-29 2019-05-21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洗衣机
CN107630333B (zh) * 2016-07-18 2021-04-02 安徽聚隆传动科技股份有限公司 无孔内桶洗衣机排水装置及其洗衣机
CN106352090B (zh) * 2016-08-31 2017-09-29 李泓涵 密封圈及密封圈生产模具
CN107794687B (zh) * 2016-09-01 2023-08-22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波轮洗衣机
JP6827122B2 (ja) * 2016-11-03 2021-02-10 安徽聚隆伝動科技股▲ふん▼有限公司Anhui Julong Transmission Technology Co., Ltd 封水式クラッチとそれを用いた洗濯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87201751U (zh) * 1987-02-06 1987-11-25 李维纲 盆桶组合多用压力式洗衣机
CN1081727A (zh) * 1992-07-30 1994-02-09 纪经玉 全自动搓揉内液力冲击式洗涤机
CN2260203Y (zh) * 1996-08-19 1997-08-20 青岛海尔洗衣机有限总公司 洗衣机的内外桶间的密封装置
CN2316328Y (zh) * 1997-12-25 1999-04-28 金羚电器有限公司 节水型全自动洗衣机
CN2460541Y (zh) * 2001-01-16 2001-11-21 山东小鸭集团有限责任公司 节水洗衣机
CN2474559Y (zh) * 2001-03-21 2002-01-30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节水全自动洗衣机的盛水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90456A (zh) * 2017-04-20 2017-09-22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
CN107190456B (zh) * 2017-04-20 2021-07-06 重庆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8782A (ko) 2004-12-24
AU2003242097A1 (en) 2003-12-02
CN1458330A (zh) 2003-11-26
CN1236127C (zh) 2006-01-11
WO2003097920A1 (fr) 2003-11-27
JP4119889B2 (ja) 2008-07-16
JP2005532093A (ja) 2005-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7116B1 (ko) 절수형 전자동 세탁기용 부동식 밀봉장치
CN109881438B (zh) 一种洗衣机内桶的锁止机构及洗衣机
US10358758B2 (en) Inner tub of water-saving washing machine
CN1217050C (zh) 单桶全自动洗衣机
CN105624976A (zh) 一种洗衣机内桶
CA1311936C (en) Self cleaning lint filters for clothes washing machines
WO2016176985A1 (zh) 一种洗衣机内桶轴密封安装结构
CN1769580A (zh) 一种节水型波轮式或搅拌式全自动洗衣机内桶排水阀结构
CN1277973C (zh) 一种节水型全自动洗衣机浮体式密封结构
CN204298639U (zh) 一种洗衣机内桶
CN107794683B (zh) 波轮洗衣机
KR960041485A (ko) 세탁기
CN1683647A (zh) 洗衣机防漏水结构
CN2749906Y (zh) 一种节水型波轮式或搅拌式全自动洗衣机内桶排水阀结构
CN113265846A (zh) 一种节水型工业洗衣机
CN216904511U (zh) 一种长寿命深井泵电机
JPH0731790A (ja) 脱水兼用洗濯機
CN107794687B (zh) 波轮洗衣机
CN111863701B (zh) 一种光掩模湿法工艺卡盘
CN204716552U (zh) 永磁同步电机排水泵
KR100220930B1 (ko) 일조식 전자동 세탁기
CN217029943U (zh) 一种底置推进器用自防护机械密封装置
CN110857491A (zh) 洗衣机
KR200148968Y1 (ko) 절수형 세탁기
CN215668603U (zh) 基于洗衣机离合器能防渗漏水的导流密封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