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7022B1 - 초음파를 이용한 미세기포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초음파를 이용한 미세기포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7022B1
KR100627022B1 KR1020040078508A KR20040078508A KR100627022B1 KR 100627022 B1 KR100627022 B1 KR 100627022B1 KR 1020040078508 A KR1020040078508 A KR 1020040078508A KR 20040078508 A KR20040078508 A KR 20040078508A KR 100627022 B1 KR100627022 B1 KR 100627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ing device
micro
wastewater
air
bub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8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9523A (ko
Inventor
정 흠 한
Original Assignee
정 흠 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 흠 한 filed Critical 정 흠 한
Priority to KR1020040078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7022B1/ko
Publication of KR20060029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9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7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7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echanical oscillations
    • C02F1/3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echanical oscillations ultrasonic vib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량의 미세한 공기방울(Micro-Bubble)을 인위적으로 발생시키고 이 공기방울을 폐수처리장치로 공급하여 폐수속의 불순물을 포집하여 공기방울을 부력으로 부상시켜서 폐수를 처리하기 위하여 초음파를 이용하여 미세한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초음파를 이용한 미세기포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약품과 물을 일정 비율로 투입하여 골고루 섞어주는 교반기와, 상기 교반기에 의해 섞어진 혼합물을 공급하는 정량펌프와, 상기 정량펌프에 연결설치되어 혼합물과 공급수를 혼합하여 공급하는 스태틱 믹서와, 상기 스태틱 믹서의 일측에 설치되어 공기를 여과 공급하는 에어 공급기와, 상기 혼합물과 공기를 공급하여 미세한 기포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 1 및 제 2미세기포 발생장치로 이루어져서 미세하게 발생시킨 기포를 이용하여 폐수내의 불순물을 포집하여 폐수를 처리하는 폐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미세기포 발생장치는 일측에 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통로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공급수 및 순환수가 공급되는 벤튜리를 구비한 제 1미세기포 발생장치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측부는 노즐들이 구비된 제 1격벽에 의해 상하로 구분되어 제 1 및 제 2챔버로 구획되고 상기 제 1격벽의 하부에 하우징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부는 제 2격벽에 의해 상하로 구분되어 제3 및 제 4챔버로 구획되고 상기 제 2격벽에는 라인믹서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노즐들과 대응하는 디퓨저들이 상기 라인믹서의 내측 상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노즐들에 의해 공급수를 분사시켜서 상기 라인믹서 및 디퓨저를 통해 미세하게 분쇄 하여 미세기포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초음파를 이용한 미세기포발생장치는 동력의 소모가 적어서 운영, 관리 및 보수비가 적은 효과가 있고, 미세기포를 더욱 잘게 분쇄시키게 됨으로서 폐수의 이물질 및 불순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비용이 저렴하면서도 페수처리양은 최대로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생산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기포발생장치, 초음파 발생기, 미세기포, 폐수, 불순물, 라인믹서, 노즐

Description

초음파를 이용한 미세기포 발생장치{AN APPARATUS FOR MAKING A MICRO BUBBLE USE AN ULTRASONIC GENERATOR}
도 1은 본 발명의 초음파를 이용한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초음파를 이용한 미세기포 발생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2 : 입구
18 : 제 1격벽 20 : 하우징
22 : 제 1챔버 24 : 제 2챔버
26 : 제 2격벽 28 : 제 3챔버
30 : 제 4챔버 32 : 노즐
34 : 라인믹서 36 : 디퓨저
37 : 에어벤트 38 : 몸체
40 : 하우징 41 : 초음파 발생기
42 : 제 3격벽 44 : 출구
46 : 제 5챔버 48 : 제 6챔버
100 : 제 1 미세기포발생장치 102 : 제 2 미세기포발생장치
104 : 벤튜리 106 : 순환라인
108 : 공급펌프 110 : 분기관
112 : 에어 공급기 114 : 스태틱 믹서
116 : 엘라멘트 118 : 밸브
120 : 체크밸브 122 : 유량 조절기
124 : 에어필터 126 : 정량펌프
128 : 체크밸브 130 : 교반기
132 : 체크밸브 134 : 밸브
200 : 미세기포 발생장치
본 발명은 초음파를 이용한 미세기포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다량의 미세한 공기방울(Micro-Bubble)을 인위적으로 발생시키고 이 공기방울을 폐수처리장치로 공급하여 폐수속의 함유된 불순물을 공기방울로 포집하여 부상시켜서 폐수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초음파를 이용하여 미세한 기포를 발생할 수 있도록 발명된 초음파를 이용한 미세기포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원리와 구조의 폐수처리장치가 처리하고자 하는 폐수의 성질에 따라 개발되어 왔고, 물리적인 방법과 화학적인 방법 또는 물리 화학적인 방법을 병용한 폐수처리방법과 장치가 제공되어 왔으며, 그 처리방법 중의 한 방법으로 불순물을 폐수 아래에 침전시켜 수거하는 침전법과 폐수 위로 부상시켜서 수거하는 부상법(Flotation)이 있다.
침전법은 폐수에 섞여져 있는 각종 불순물을 약품 또는 물리적 방법으로 침전시켜서 이 침전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여 왔으나 폐수처리에 사용되는 화학약품등으로 인하여 고가의 비용이 소모되고, 폐수가 완전하게 처리되지 않는 단점이 있으며 인체에 무해하도록 처리하기까지 긴 공정과 많은 공정이 소모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부상법에 의한 폐수처리장치는 폐수에 약품을 첨가하는 혼합조를 거치고 공기와 폐수를 가압펌프로 약 5-7kg/cm2의 압력으로 가압탱크에 저장하고 이 가압된 폐수를 대기압 상태에 있는 폐수처리조인 부상조로 공급하면 가압된 폐수가 대기압 상태의 폐수처리조의 폐수에서 기포를 발생시키게 되고 이 기포가 폐수 속의 불순물을 포집하고 기포의 부력에 의하여 불순물을 부상시켜서 폐수 수면에 부상된 불순물을 제거장치인 스키머로 제거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부상법에 사용되는 페수처리장치는 용존공기부상에 의한 방법으로서 기포를 발생시키기 위한 공기를 얻기 위해서는 높은 압력이 필요하였고 또한 기포 부상에 의한 필요한 공기가 용해도의 제한 때문에 부상조에는 많은 양의 폐수가 필요하였으므로 부상조의 용량이 커지고 많은 설치면적이 필요하고 가동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실질적으로 기포가 발생하여도 기포의 크기가 초기에는 미세하여도 폐수 내를 통과하면서 기포간에 서로 뭉쳐서 커지면서 미세한 불순물을 포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여 폐수 내의 기포를 미세하게 발생시킬 수 있고, 이 비세한 기포를 이용하여 폐수내의 미세 불순물을 포집 처리할 수 있는 초음파를 이용한 미세기포발생장치를 발명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미세한 기포를 발생시켜서 폐수의 효율적으로 포집하여 처리하기 위한 초음파를 이용한 미세기포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미세기포를 발생시키기 위한 1차 발생장치 및 초미세 기포를 발생시키기 위한 2차 발생장치를 구비시켜서 미세한 기포를 이중으로 발생할 수 있도록 발명된 초음파를 이용한 미세기포발생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적은 동력으로도 미세한 기포를 발생시켜서 폐수처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초음파를 이용한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약품과 물을 일정 비율로 투입하여 골고루 섞어주는 교반기와, 상기 교반기에 의해 섞어진 혼합물을 공급하는 정량펌프와, 상기 정량펌프에 연결설치되어 혼합물과 공급수를 혼합하여 공급하는 스태틱 믹서와, 상기 스태틱 믹서의 일측에 설치되어 공기를 여과 공급하는 에어 공급기와, 상기 혼합물과 공기를 공급하여 미세한 기포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 1 및 제 2미세기포 발생장치로 이루어져서 미세하게 발생시킨 기포를 이용하여 폐수내의 불순물을 포집하여 폐수를 처리하는 폐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미세기포 발생장치는 일측에 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통로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공급수 및 순환수가 공급되는 벤튜리를 구비한 제 1미세기포 발생장치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측부는 노즐들이 구비된 제 1격벽에 의해 상하로 구분되어 제 1 및 제 2챔버로 구획되고 상기 제 1격벽의 하부에 하우징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부는 제 2격벽에 의해 상하로 구분되어 제3 및 제 4챔버로 구획되고 상기 제 2격벽에는 라인믹서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노즐들과 대응하는 디퓨저들이 상기 라인믹서의 내측 상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노즐들에 의해 공급수를 분사시켜서 상기 라인믹서 및 디퓨저를 통해 미세하게 분쇄하여 미세기포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미세기포발생장치의 일측부에 형성된 통로와 연결 설치되는 제 2미세기포 발생장치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측부에 초음파 발생기가 설치되며 상기 제 1미세기포발생장치에서 발생 공급되는 미세기포를 상기 초음파 발생기에 의해 2차로 분쇄시켜서 초미세기포를 발생시키는 제 2미세기포발생장치를 구 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미세기포발생장치의 상단부에 형성된 제 1챔버를 통과하고 제 2챔버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 1미세기포발생장치로부터 배출되는 기포를 벤튜리로 재순환시켜서 몸체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에어벤트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초음파를 이용한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초음파를 이용한 미세기포 발생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2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초음파를 이용한 미세기포발생장치(200)를 설명하여 보면, 폐수에 있는 각종 불순물을 포집하여 제거하기 위해 미세한 기포를 발생시키고 혼합수가 담겨지는 제 1 미세기포발생장치(100)와, 상기 제 1 미세기포발생장치(100)에 의해 발생된 미세한 기포를 더욱 미세하게 2차적으로 분리하여서 발생시키도록 일측부에 설치되는 제 2 미세기포발생장치(1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 1미세기포발생장치(100)의 상부에는 상기 제 1미세기포발생장치에서 발생한 기포 중 일부를 회수하여 재 공급하기 위한 벤튜리(10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미세기포발생장치(100)의 일측 상단부에는 입구(12)가 형성되어 있고, 그 하단부에는 출구(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미세기포발생장치(100)의 입구(12)에는 에어 공급기(112)가 연결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에어 공급기(112)에는 엘라멘트(116)를 구비한 스태틱 믹서(114)가 연결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1 미세기포발생장치(100)는 폐수에 담겨있는 각종 불순물을 처리하기 위하여 각각의 순환라인(106)과, 상기 순환라인(106)에 각각 설치되어 유량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118,134) 및 체크밸브(120,128,13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순환라인(106)은 각종 설비와 제 1미세기포발생장치(100)와 서로 연결되어 있고, 약품과 혼합수를 공급하거나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밸브(118,134) 및 체크밸브(120,128,132)는 순환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약품, 혼합수, 공기 등의 흐름과 양을 조절한다.
그리고, 공급펌프(108)가 상기 순환라인(106)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있다.상기 공급펌프(108)는 공급수를 상기 제 1미세기포발생장치(100)로 공급한다.
또한, 상기 공급펌프(108)에는 순환라인(106)의 일측단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순환라인(106)에는 티(T)자형상의 분기관(110)이 연결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분기관(110)의 상측에는 순환라인(106)이 연결되어져서 상기 제 1미세기포발생장치(100)의 벤튜리(104)와 연결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분기관(110)의 우측에 연결되는 순환라인(106)에는 밸브(118)가 설치되어 상기 공급펌프(108)에서 순환되는 공급수가 상기 제 1미세기포발생장치(100) 방향으로 원할하게 흐르도록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밸브(118)에서 연결되는 순환라인(106)은 상기 스태틱 믹서(114)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스태틱 믹서(114)의 상방향으로는 순환라인(106)이 연결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순환라인(106)에는 밸브(13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132)에는 다시 순환라인(106)이 연결되어져서 정량펌프(126)로 연결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정량펌프(126)는 약품과 물이 골고루 교반되어 섞인 혼합수를 일정한 양으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정량펌프(126)의 일측부에는 순환라인(106)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순환라인(106)에는 체크밸브(128)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체크밸브(128)에는 순환라인(106)이 교반기(130)와 연결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교반기(130)에는 약품과 물을 일정 비율로 넣고 상기 교반기(130)를 동작시켜서 약품과 물을 균일하게 섞어서 혼합수를 만든다.
상기 교반기(130)에서 혼합된 혼합수는 상기 순환라인(106)을 따라 공급되고 상기 정량펌프(126)에 의해 일정한 양으로 계속적으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체크밸브(128)는 상기 교반기(130)에서 공급되는 혼합수가 정량펌프(126)로 공급될 때 역류하지 않도록 조절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에어 공급기(112)의 상부에는 순환라인(106)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순환라인(106)에는 체크밸브(12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체크밸브(120)에 연결 되어 설치된 순환라인(106)에는 유량 조절기(122)와 에어필터(12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유량 조절기(122)와 에어필터(124)는 외부의 공기를 상기 제 1차 미세 기포발생장치(100)에 공급하게 된다.
외부 공기는 상기 에어필터(124)로 에어필터(124)에서 여과되고 유량 조절기(122)에 의해 알맞은 양으로 에어 공급기(112)로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공급된 공기는 상기 에어 공급기(112)에서 상기 스태틱 믹서(114)를 통과한 혼합수와 섞여서 상기 제 1차 미세기포발생장치(100)로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공급된 혼합수와 공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미세기포발생장치(100)에 공급되어 미세한 기포로 형성되고, 상기 제 1미세기포발생장치(100)에서 발생된 기포는 통로(16)를 통하여 제 2미세기포발생장치(102)로 공급되어 다시 한번 더욱 미세한 기포로 형성된다.
상기 제 1미세기포발생장치(100)는 제 1미세기포발생장치의 일측부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입구(12), 그리고 그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출구(14) 및 그 타측부 중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통로(16)를 구비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내부 상단을 횡방향으로 가로 질러서 고정되어 있는 격벽(18)과, 상기 격벽(18)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2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격벽(18)에 의해 몸체(10)의 내부가 제 1챔버(22) 및 제 2챔버(24)로 구획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20)은 그 내측 상단부에 횡방향으로 가로 질러서 제 2격벽(26)이 고정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격벽(26)의 하부에는 라인믹서(34)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격벽(26)에 의해서 하우징(20)의 내부가 제 3챔버(28) 및 제 4챔버(30)로 구획되어 있다.
상기 제 1격벽(18)에는 다수의 노즐(32)이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2격벽(26)에는 다수의 디퓨저(36)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노즐(32) 및 디퓨저(36)는 각각 일대일 대응하고 중심이 일치하도록 일정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설치되어 진다. 왜냐하면, 상기와 같이 설치된 다수의 노즐(32)에서 분사되는 기포를 각각에 대응하도록 설치된 다수의 디퓨저(36)에 정확하고 정밀하게 분사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제 1격벽(18)에 의해 분리 구획된 제 1챔버(22)에는 상기 벤튜리(104)를 통해서 순환 공급되는 미세 기포가 다수의 노즐(32)로 공급되고, 상기 제 2챔버(24)에는 상기 교반기(130)와 에어필터(124) 및 유량 조절기(122)를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와 혼합수가 채워지며, 제 3챔버(28)에는 각각의 노즐(32)에 의해 빠른 속도로 분사되는 기포에 의해 진공상태가 유지된다.
계속해서, 상기 제 1격벽(18)의 우측부에는 에어벤트(37)의 하단부가 제 2챔버(24)와 연결되고 중단부가 진공상태인 제1 챔버(22)를 통과하며 상단부가 상기 몸체(1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에어벤트(37)는 상기 혼합수에서 발생되어 점점 커진 기포가 상승하면서 에어 벤트(37)를 따라서 배출되고 벤튜리(104)로 순환되고 상기 벤튜리(104)를 통하여 다시 제 1챔버(22)로 공급됨과 동시에 상기 다수의 노즐(32)에 의하여 다시 빠르게 디퓨저(36)로 뿜어지게 된다.
상기 제 2챔버(24)에는 상기 입구(12)를 통해 공급수, 혼합수, 공기가 섞여 서 유입된다.
상기 에어 벤트(37)와 벤튜리(104) 사이에는 순환라인(106)이 연결 설치되어 있고, 그 순환라인(106)의 중간부에는 체크밸브(130)가 설치되어 기포의 역류를 방지하고 조절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 1미세기포발생장치(100)의 측면부에는 제 2미세기포발생장치(102)가 설치되어 있는 바, 상기 제 2미세기포발생장치(102)는 상기 제 1미세기포발생장치(100)의 일측에 형성된 통로(16)와 연결 고정되어 있고, 일측부에 출구(44)를 구비한 몸체(38)와, 상기 몸체(38)의 내측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40)과, 상기 하우징(40)의 중단부를 횡방향으로 가로 질러서 고정하고 있는 제 3격벽(42)과, 상기 하우징(40)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몸체(38)의 내측 상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초음파 발생기(41)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 3격벽(42)에 의해 구획되는 몸체(38)의 내부는 제 5챔버(46)와 제 6챔버(48)로 구획되어 진다.
상기 제 5챔버(46)에는 상기 제 1미세기포발생장치(100)에서 발생된 미세기포가 공급되어지고, 상기 제 6챔버(48)에는 상기 초음파 발생기(41)에 의해 더욱 미세하게 분리된 초미세기포가 발생하면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 2미세기포발생장치(102)는 상기 제 1미세기포발생장치(100)에서 미세하게 공급되는 기포가 상기 하우징(40)의 내부로 공급되고 상기 초음파 발생기(41)에 의하여 2차적으로 더욱 미세하게 분쇄되어짐과 동시에 출구(44)를 통해 배출된다.
이하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초음파를 이용한 미세기포발생장치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상기 교반기(130)에서 교반 혼화된 약품이 정량펌프(126)를 통하여 정량으로 상기 스태틱 믹서(114)로 공급되고, 이때 상기 분기관(110)을 통해서 공급되는 공급수가 상기 스태틱 믹서(114)의 엘라멘트(116)에 의해 혼화되어 에어 공급기(112)를 거쳐서 진공을 이루고 있는 제 3챔버(28)로 유입된다.
한편, 상기 에어필터(124)에서 오염물질을 여과하여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유량 조절기(122)를 거치고 상기 체크밸브(120)를 통과하여 상기 에어 공급기(112)를 통해 진공으로 이루어진 제 3챔버(28)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교반기(130)와 상기 에어필터(124) 및 유량 조절기(122)를 통해서 공급된 유체는 상기 공급펌프(108)에 의해 공급되어 상기 다수의 다중 노즐(32)로 분사되는 순환수 3-10Kg/m3와 혼합되어 상기 디퓨저(36)에 압착 분사되어 1차 미세기포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1차 미세기포는 라인믹서(34)에 공급되고, 상기 라인믹서(34)에서 와류에 의해 혼합되어 2차적으로 더욱 잘게 부숴지면서 2차 미세기포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발생된 2차 미세기포는 상기 제 1 미세기포발생장치(100)의 통로(16)를 통해서 제 2 미세기포발생장치(102)로 공급된다.
상기 제 2미세기포발생장치(102)로 공급된 미세기포는 상기 초음파 발생기(41)에 의해 더욱 더 잘게 분쇄되어져서 3차 미세기포가 발생한다.
한편, 상기 2차 미세기포는 상기 하우징(20)의 제 4챔버(30)를 벗어나면서 제 2챔버(24)로 유입되고 부력에 의해 스스로 부상하면서 상기 에어벤트(37)를 통해 배출되어 진다.
상기 에어벤트(37)를 통해 배출된 기포는 상기 순환라인(106)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벤튜리(104)로 공급되었다가 상기 벤튜리(104)를 통해서 상기 몸체(10)의 제 1챔버(22)로 공급된다.
이때, 공급된 미세기포는 상기 몸체(10) 내부에 설치된 다수의 노즐(32)에 의해 분사되어 상기 디퓨저(36)를 통해서 상기 라인믹서(34)로 유입되어 재차 미세기포로 분리된다.
한편, 상기 공급펌프(108)에 의해 공급된 공급수는 상기 분기관(110)을 거쳐서 흐른다.
상기 분기관(110)을 통과한 공급수는 상기 스태틱 믹서(114)와 벤튜리(104)로 각각 유입되고 상기 스태틱 믹서(114)로 공급된 공급수는 상기 엘라멘트(116)와 에어 공급기(112)를 통해서 진공압이 형성된 상기 제 3챔버(28)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분기관(110)을 통과하여 흐르는 공급수는 상방향의 순환라인(106)을 따라서 이동하여 다시 상기 벤튜리(104)로 들어가고 상기 벤튜리(104)를 통과하여 제 1챔버(22)로 들어간 후, 상기 다수의 노즐(32)에 의해 뿜어져서 다수의 디퓨저(36)로 공급됨과 동시에 상기 라인믹서(34)로 유입되어 미세한 기포로 분쇄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은 바람직한 일실 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실시는 본 발명의 핵심요소로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고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초음파를 이용한 미세기포발생장치는 동력의 소모가 적어서 운영, 관리 및 보수비가 적은 효과가 있고, 미세기포를 더욱 잘게 분쇄시키게 됨으로서 폐수의 이물질 및 불순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비용이 저렴하면서도 페수처리양은 최대로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생산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약품과 물을 일정 비율로 투입하여 골고루 섞어주는 교반기와, 상기 교반기에 의해 섞어진 혼합물을 공급하는 정량펌프와, 상기 정량펌프에 연결설치되어 혼합물과 공급수를 혼합하여 공급하는 스태틱 믹서와, 상기 스태틱 믹서의 후부에 설치되어 공기를 여과 공급하는 에어 공급기와, 상기 혼합물과 공기를 공급하여 미세한 기포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 1 및 제 2미세기포 발생장치로 이루어져서 미세하게 발생시킨 기포를 이용하여 폐수내의 불순물을 포집하여 폐수를 처리하는 폐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미세기포 발생장치는 일측에 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통로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공급수 및 순환수가 공급되는 벤튜리를 구비한 제 1미세기포 발생장치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측부는 노즐들이 구비된 제 1격벽에 의해 상하로 구분되어 제 1 및 제 2챔버로 구획되고 상기 제 1격벽의 하부에 하우징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부는 제 2격벽에 의해 상하로 구분되어 제3 및 제 4챔버로 구획되고 상기 제 2격벽의 하부에는 라인믹서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노즐들과 대응하는 디퓨저들이 상기 라인믹서의 내측 상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노즐들에 의해 공급수를 분사시켜서 상기 라인믹서 및 디퓨저를 통해 미세하게 분쇄하여 미세기포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미세기포발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미세기포발생장치의 일측부에 형성된 통로와 연결 설치되는 제 2미세기포 발생장치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측부에 초음파 발생기가 설치되며 상기 제 1미세기포발생장치에서 발생 공급되는 미세기포를 상기 초음파 발생기에 의해 2차로 분쇄시켜서 초미세기포를 발생시키는 제 2미세기포발생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미세기포발생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미세기포발생장치의 상단부에 형성된 제 1챔버를 통과하고 제 2챔버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 1미세기포발생장치로부터 배출되는 기포를 벤튜리로 재순환시켜서 몸체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에어벤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미세기포발생장치.
KR1020040078508A 2004-10-02 2004-10-02 초음파를 이용한 미세기포 발생장치 KR100627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8508A KR100627022B1 (ko) 2004-10-02 2004-10-02 초음파를 이용한 미세기포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8508A KR100627022B1 (ko) 2004-10-02 2004-10-02 초음파를 이용한 미세기포 발생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7970U Division KR200370993Y1 (ko) 2004-10-02 2004-10-02 초음파를 이용한 미세기포 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9523A KR20060029523A (ko) 2006-04-06
KR100627022B1 true KR100627022B1 (ko) 2006-09-25

Family

ID=37139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8508A KR100627022B1 (ko) 2004-10-02 2004-10-02 초음파를 이용한 미세기포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70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923B1 (ko) 2010-03-26 2010-11-30 조유훈 마이크로 버블이 포함된 기능성 세정수의 다목적 생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923B1 (ko) 2010-03-26 2010-11-30 조유훈 마이크로 버블이 포함된 기능성 세정수의 다목적 생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9523A (ko) 2006-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35750A (en) Process and device for the dissolution of gas in liquid
KR101594086B1 (ko) 나노버블 및 수산화 라디칼 발생장치와 이를 이용한 오염수 무약품 처리시스템
KR100843970B1 (ko)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
KR101491001B1 (ko) 다단 부상분리장치
KR100989779B1 (ko) 고농도 포화수 제조기를 구비한 마이크로버블 부상장치
KR100902189B1 (ko) 초미세기포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전장치
KR101128679B1 (ko) 초미세기포 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도수처리방법
PL181379B1 (pl) Urzadzenie do dyspersji gazu w plynie, zwlaszcza do dyspersji powietrza w wodzie PL
JP2001314888A (ja) 排水処理システム
KR100975366B1 (ko) 마이크로 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폐수전처리장치
KR101166457B1 (ko) 와류 발생부 및 와류 제거부의 2단 복합 구조를 갖는 미세기포 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세기포를 발생시키는 방법
KR102216334B1 (ko) 폴링층을 이용한 초미세기포 발생장치
KR100530772B1 (ko) 2차 하수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KR101723161B1 (ko) 처리수의 자체순환구조를 갖는 고액분리 부상장치
KR100967831B1 (ko) 마이크로 기포 발생장치
KR100627022B1 (ko) 초음파를 이용한 미세기포 발생장치
KR200370993Y1 (ko) 초음파를 이용한 미세기포 발생장치
KR101371367B1 (ko) 초미세기포 발생장치 및 이를 갖는 수처리설비
KR200396223Y1 (ko) 가압부상조
KR101620261B1 (ko) 미세기포를 이용한 담수조류 제거시스템
JP3582036B2 (ja) 気液接触装置
JP2002066539A (ja) 加圧浮上装置
KR100427594B1 (ko) 미세기포를 이용하여 하폐수에서 용존성 고형물과 부유성고형물을 동시에 제거하는 폐수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90104791A (ko) 수중 칼슘·염소이온 제거장치 및 방법
KR102665849B1 (ko) 고농도의 고형물이 포함된 오염수를 처리하기 위한 응집형 부상분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