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6680B1 - Input apparatus of english - Google Patents

Input apparatus of englis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6680B1
KR100626680B1 KR1020050097462A KR20050097462A KR100626680B1 KR 100626680 B1 KR100626680 B1 KR 100626680B1 KR 1020050097462 A KR1020050097462 A KR 1020050097462A KR 20050097462 A KR20050097462 A KR 20050097462A KR 100626680 B1 KR100626680 B1 KR 100626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consonant
keys
displaying
selection op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74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나현욱
Original Assignee
(주) 호미인터랙티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호미인터랙티브 filed Critical (주) 호미인터랙티브
Priority to KR1020050097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668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6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66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열로 배치된 복수개의 키(100)에 의해 구성되고, 키의 선택동작에 의해 알파벳이 입력되며, 각 키는 복수의 알파벳을 입력할 수 있고, 복수의 알파벳은 상기 각 키의 연속적인 선택동작의 횟수에 의해 선택되어 표시되는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3열 중 좌측열(110)에는 A,E,I,O,U를 표시하는 모음키가 배치되고, 중앙열(120)과 우측열(130)에는 A,E,I,O,U 이외의 알파벳을 표시하는 자음키가 배치된 구조를 제시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단말용 영문 입력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keys 100 arranged in three columns, alphabets are input by a key selection operation, each key can input a plurality of alphabets, and the plurality of alphabets are a sequence of the respective key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put device that is select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selective selection operations. A vowel key for displaying A, E, I, O, and U is disposed in the left column 110 of the three columns, and the center column 120. By providing a structure in which the consonant keys for displaying alphabets other than A, E, I, O, and U are arranged in the and right columns 130, the terminal provides an English input device that can be used more conveniently and efficiently.

단말, 영문, 입력, 키 Terminal, English, input, key

Description

단말용 영문 입력장치{INPUT APPARATUS OF ENGLISH}English input device for terminal {INPUT APPARATUS OF ENGLISH}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단말을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도 2는 종래의 단말용 입력장치를 도시한 평면도.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a conventional input device for a terminal.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단말용 영문 입력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3 to 7 illustrate an English input device for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제1실시예의 평면도.3 is a plan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도 4는 제2실시예의 평면도.4 is a plan view of a second embodiment;

도 5는 제3실시예의 평면도.5 is a plan view of a third embodiment;

도 6은 제4실시예의 평면도.6 is a plan view of a fourth embodiment;

도 7은 제5실시예의 평면도.7 is a plan view of a fifth embodiment.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 복수개의 키 110 : 좌측열100: multiple keys 110: left column

120 : 중앙열 130 : 우측열120: center column 130: right column

본 발명은 단말용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휴대폰 등의 단말기에 영문을 보다 편의롭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put device for a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more conveniently inputting English characters to a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최근 휴대폰, PDA 등의 개인용 단말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입력장치를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열로 배치된 복수개의 키(100)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키의 선택동작에 의해 문자가 입력되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Referring to the input device generally used in personal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PDAs, etc., as shown in FIG. 1, a plurality of keys 100 are arranged in three columns, and characters are input by the key selection operation. It takes the structure to become.

또한, 각 키는 복수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그 복수의 문자는 각 키의 연속적인 선택동작의 횟수에 의해 선택되어 표시되는 구성을 취한다.In addition, each key is capable of inputting a plurality of characters, and the plurality of characters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characters are selected and displayed by the number of consecutive selection operations of each key.

예컨대 하나의 키가 'ㄱㅂㅇ'의 3가지 문자를 표시하는 구조인 경우, 1회 선택동작(누름)시 'ㄱ'이 표시되고, 연속적인 2회의 선택동작시 'ㅂ'이 표시되며, 연속적인 3회의 선택동작시 'ㅇ'이 표시되는 구조인 것이다.For example, if one key has a structure displaying three characters of 'ㄱㅂㅇ', 'ㄱ' is displayed for one selection operation (press), and 'ㅂ' is displayed for two consecutive selection operations. It is a structure in which 'ㅇ' is displayed during three selection operations.

우리나라의 경우, 휴대폰의 사용이 일반화되어 있고, 문자메시지 서비스의 사용도 상용화되어 있으므로, 단말용 한글 입력장치에 관한 고안은 상당히 진보되어 있는 상태이지만, 영어권 국가의 경우 아직까지 문자메시지 서비스의 사용이 그다지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므로, 단말용 영문 입력장치에 대한 고안은 상대적으로 진보되어 있지 않은 상태라 할 수 있다.In Korea, since the use of mobile phones is common and the use of text message services is also commercialized, the design of Korean input devices for terminals has been advanced. However, in the case of English-speaking countries, the use of text message services has not been achieved yet. Since it is not so active, the design of the English input device for the terminal can be said to be relatively less advanced.

그러나, 장차 영어권 국가의 경우에도 문자메시지와 같이 문자의 입력과 관련된 서비스의 사용이 상용화될 것으로 예측되므로, 이를 대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단말용 영문 입력장치에 관한 고안이 절실히 필요한 현실이라 할 것이다.However, even in the case of English-speaking countries, it is expected that the use of services related to the input of characters, such as text messages, will be commercialized in the future. Therefore, a device for an English input device for a terminal that can be used generally will be desperately needed.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단말용 영문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 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n English input device for a terminal that can be used more conveniently and efficiently.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3열로 배치된 복수개의 키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키의 선택동작에 의해 알파벳이 입력되며, 상기 각 키는 복수의 알파벳을 입력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알파벳은 상기 각 키의 연속적인 선택동작의 횟수에 의해 선택되어 표시되는 단말용 영문 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3열 중 좌측열에는 A,E,I,O,U를 표시하는 모음키가 배치되고, 상기 3열 중 중앙열과 우측열에는 상기 A,E,I,O,U 이외의 알파벳을 표시하는 자음키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용 영문 입력장치를 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keys arranged in three columns,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alphabet is input by the key selection operation, each key can input a plurality of alphabets, In the English input device for a terminal in which the plurality of alphabets are selected and displayed by the number of consecutive selection operations of the respective keys, a vowel key displaying A, E, I, O, and U in the left column of the three columns. And a consonant key for displaying alphabets other than A, E, I, O, and U in the center and right columns of the three columns.

상기 좌측열에는 E,A를 표시하는 모음키가 각각 구분되어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모음키의 연속적인 선택동작 중 첫번째 선택동작에 의해 상기 E,A 문자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left column, vowel keys indicating E and A are separately arranged, and the letters E and A are displayed by the first selection operation among successive selection operations of the vowel keys.

상기 좌측열에는 상기 E를 표시하는 모음키가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A를 표시하는 모음키가 하측에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left column, it is preferable that a vowel key for indicating E is disposed above and a vowel key for indicating A is disposed below.

상기 좌측열에는 I,O를 표시하는 모음키가 각각 구분되어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모음키의 연속적인 선택동작 중 두번째 선택동작에 의해 상기 I,O 문자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left column, vowel keys indicating I and O are separately arranged, and the I and O characters are displayed by the second selection operation among successive selection operations of the vowel keys.

상기 좌측열에는 E,I를 표시하는 모음키, A,O,U를 표시하는 모음키가 각각 구분되어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left column, a vowel key for displaying E and I and a vowel key for displaying A, O and U are preferably arranged separately.

상기 좌측열에는 shift 키가 배치되고, 상기 shift 키의 선택동작 후, 상기 자음키 또는 모음키의 선택동작시 알파벳 대문자 또는 소문자로의 변경된 표시가 입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hift key is arranged in the left column, and after the shift key selection operation, a changed display of uppercase or lowercase alphabetical letters is input during the selection operation of the consonant key or the vowel key.

상기 shift 키의 선택동작 후, 상기 자음키 또는 모음키의 1회의 선택동작 이후에는, 상기 자음키 또는 모음키의 선택동작시 상기 shift 키의 선택동작 전의 알파벳 대문자 또는 소문자의 표시가 입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fter the selection operation of the shift key, after one selection operation of the consonant key or the vowel key, the display of alphabetic upper or lower case letters before the selection operation of the shift key is input during the selection operation of the consonant key or the vowel key. desirable.

상기 shift 키는 상기 모음키의 하측에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shift key is preferably disposed below the vowel key.

상기 중앙열과 우측열에는 S,T,R,C,P,D,N을 표시하는 자음키가 각각 구분되어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자음키의 연속적인 선택동작 중 첫번째 선택동작에 의해 상기 S,T,R,C,P,D,N 문자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entral column and the right column, consonant keys indicating S, T, R, C, P, D, and N are separately arranged, and the S, T is selected by the first selection operation among consecutive selection operations of the consonant keys. It is preferable that the letters R, C, P, D, and N be displayed.

상기 중앙열과 우측열에는 L,M,B,H,G,F,W를 표시하는 자음키가 각각 구분되어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자음키의 연속적인 선택동작 중 두번째 선택동작에 의해 상기 L,M,B,H,G,F,W 문자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sonant keys for displaying L, M, B, H, G, F, and W are separately arranged in the center column and the right column, and the L, M is selected by the second selection operation of the continuous selection operation of the consonant keys. It is desirable to have the characters B, H, G, F, and W appear.

상기 중앙열과 우측열에는 Y,K,V,J,X,Z,Q를 표시하는 자음키가 각각 구분되어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자음키의 연속적인 선택동작 중 세번째 선택동작에 의해 상기 Y,K,V,J,X,Z,Q 문자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entral column and the right column, consonant keys indicating Y, K, V, J, X, Z, and Q are separately arranged, and the Y, K is selected by a third selection operation among consecutive selection operations of the consonant keys. It is desirable to display the characters V, J, X, Z, and Q.

상기 중앙열과 우측열에는 S,G,V를 표시하는 자음키, R,W,Q를 표시하는 자음키, N,B,Z를 표시하는 자음키, T,F,J를 표시하는 자음키, P,L,X를 표시하는 자음키, C,H,K를 표시하는 자음키, D,M,Y를 표시하는 자음키가 구분되어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enter column and the right column, a consonant key for displaying S, G, and V, a consonant key for displaying R, W, and Q, a consonant key for displaying N, B, and Z, a consonant key for displaying T, F, and J, The consonant keys for displaying P, L, and X, the consonants for displaying C, H, and K, and the consonants for displaying D, M, and Y are preferably arranged separately.

상기 중앙열에는 S,G,V를 표시하는 자음키, R,W,Q를 표시하는 자음키, N,B,Z 를 표시하는 자음키, T,F,J를 표시하는 자음키가 구분되어 배치되고, 상기 우측열에는 P,L,X를 표시하는 자음키, C,H,K를 표시하는 자음키, D,M,Y를 표시하는 자음키가 구분되어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central column is divided into a consonant key for displaying S, G, and V, a consonant key for displaying R, W, and Q, a consonant key for displaying N, B, and Z, and a consonant key for displaying T, F, and J. The consonant keys for displaying P, L, and X, the consonants for displaying C, H, and K, and the consonants for displaying D, M, and Y are preferably arranged in the right column.

상기 중앙열에는 상기 자음키가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상기 S,G,V를 표시하는 자음키, 상기 R,W,Q를 표시하는 자음키, 상기 N,B,Z를 표시하는 자음키, 상기 T,F,J를 표시하는 자음키의 순서로 배열된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entral column, the consonant key is the consonant key for displaying the S, G, V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the consonant key for displaying the R, W, Q, the consonant key for displaying the N, B, Z, the It is preferably arranged in the order of the consonant keys indicating T, F, J.

상기 우측열에는 상기 자음키가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상기 P,L,X를 표시하는 자음키, 상기 C,H,K를 표시하는 자음키, 상기 D,M,Y를 표시하는 자음키의 순서로 배열된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right column, the consonant keys display the P, L, and X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the consonant keys for displaying the C, H, and K, and the consonant keys for displaying the D, M, and Y. It is preferred to be arranged as.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단말용 영문 입력장치는 기본적으로, 3열로 배치된 복수개의 키(100)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키의 선택동작에 의해 알파벳이 입력되며, 상기 각 키는 복수의 알파벳을 입력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알파벳은 상기 각 키의 연속적인 선택동작의 횟수에 의해 선택되어 표시되는 구성을 취한다는 점에서 종래의 구조와 동일하다.As shown in Figures 3 to 7, the English input device for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composed of a plurality of keys 100 arranged in three columns, the alphabet is input by the key selection operation Each key can input a plurality of alphabets, and the plurality of alphabets are identical to the conventional structure in that the plurality of alphabets are selected and displayed by the number of consecutive selection operations of the respective keys.

그러나, 상기 3열 중 좌측열(110)에는 A,E,I,O,U를 표시하는 모음키가 배치되고, 상기 3열 중 중앙열(120)과 우측열(130)에는 상기 A,E,I,O,U 이외의 알파벳을 표시하는 자음키가 배치된다는 점에서 특징을 갖는다.However, a vowel key indicating A, E, I, O, or U is arranged in the left column 110 of the three columns, and the A, E in the central column 120 and the right column 130 of the three column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consonant key for displaying alphabets other than I, O, and U is arranged.

즉, 영어 단어의 일반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모음키에 해당하는 알파벳과 상기 자음키에 해당하는 알파벳이 반복적으로 배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좌측열(110)에는 모음키를 배치하고, 중앙열(120) 및 우측열(130)에는 자음키를 배치함으로써, 왼손과 오른손이 번갈아가면서 입력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여, 동작의 효율성을 도모한 것이다.That is, referring to the general structure of the English word, since the alphabet corresponding to the vowel key and the alphabet corresponding to the consonant key are often arranged repeatedly, the vowel key is arranged in the left column 110 and the center column ( 120) and the right column 130 by arranging consonant keys, the left hand and the right hand can be alternately input work,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operation.

여기서, '단말'이란, 휴대폰, PDA, 컴퓨터 등의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이고, '선택동작'이란 키를 누르는 동작, 터치 패드에 터치하는 동작, 스타일러스펜에 의한 선택동작 등과 같이 키를 선택하는 모든 동작을 포함하는 개념이다.Here, the term 'terminal' refers to a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a PDA, a computer, etc., and the term 'selection' means a key selection such as pressing a key, touching a touch pad, or selecting by a stylus pen. The concept includes all actions.

이하, 모음키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embodiment regarding the specific structure of a vowel key is explained in full detail.

영문 모음 English Vowels 출현 빈도(%)Frequency of appearance (%) E E 11.160711.1607 A A 8.49668.4966 I I 7.54887.5488 O O 7.16357.1635 U U 3.63083.6308

상기 표 1은 영어 단어에 모음이 출현하는 빈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영어사전을 출간하는 옥스포드(oxpord)사의 보고서에 근거한 것이다.Table 1 shows the frequency of the appearance of vowels in English words, based on the report of Oxford (oxpord) company publishing an English dictionary.

(http://askoxford.com/asktheexperts/faq/aboutwords/frequency?)(http://askoxford.com/asktheexperts/faq/aboutwords/frequency?)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키가 복수의 알파벳을 입력할 수 있고, 그 복수의 알파벳은 각 키의 연속적인 선택동작의 횟수에 의해 선택되어 표시되는 구성을 취하는 경우, 상기 모음키의 연속적인 선택동작 중 첫번째 선택동작에 의해 자주 사용되는 문자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효율적이다.As described above, when each key is capable of inputting a plurality of alphabets, and the plurality of alphabets are selected and displayed by the number of consecutive selection operations of each key, continuous selection of the vowel keys is performed. It is efficient to display the characters frequently used by the first selection operation.

따라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현 빈도가 가장 높은 문자인 E,A를 표시하는 모음키를 각각 구분하여 배치하고, 모음키의 연속적인 선택동작 중 첫번째 선택동작에 의해 E,A 문자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Thus,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vowel keys indicating E and A, which are the letters with the highest frequency of appearance, are separately arranged, and E, It is desirable to have the letter A displayed.

또한, 자주 사용되는 문자가 열 중에서 상측에 배치되는 것이 효율적이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열(110)에는 E를 표시하는 모음키가 상측에 배치되고, A를 표시하는 모음키가 하측에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since it is efficient to arrange frequently used letters on the upper side of the column, as shown in FIG. 3, a vowel key indicating E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in the left column 110 and a vowel key indicating A is shown. It is preferable to arrange | position below.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E,A 다음으로 출현 빈도가 많은 문자인 I,O의 경우, 모음키의 연속적인 선택동작 중 두번째 선택동작에 의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효율적이다.As shown in Table 1, in the case of I, O, which is the next most frequent letter after E and A, it is efficient to be displayed by the second selection operation among successive selection operations of the vowel keys.

즉, 상기 좌측열(110)에는 I,O를 표시하는 모음키가 각각 구분되어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모음키의 연속적인 선택동작 중 두번째 선택동작에 의해 상기 I,O 문자가 표시되는 구성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in the left column 110, vowel keys indicating I and O are separately arranged, and the I, O characters are displayed by the second selection operation among successive selection operations of the vowel key. It is preferable.

한편, 입력키의 선택동작이 일부 키에 집중되는 경우, 그 해당되는 키의 파손 가능성이 다른 키에 비해 높게 되므로, 효율적인 구조라 할 수 없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lection operation of the input key is concentrated on some of the keys, the possibility of breakage of the corresponding key is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keys, which is not an efficient structure.

따라서, 모음키의 연속적인 선택동작 중 첫번째 선택동작에 의해 표시되는 E,A 문자와, 두번째 선택동작에 표시되는 I,O 문자와, 세번째 선택동작에 의해 표시되는 U 문자는 그 출현 빈도를 감안하여, 2개의 입력키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letters E and A displayed by the first selection operation, the letters I and O displayed by the second selection operation, and the U characters displayed by the third selection operation among the consecutive selection operations of the vowel keys take into account their frequency of appearance. It is preferable to arrange the two input keys.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E,I를 표시하는 모음키, A,O,U를 표시하는 모음키로 각각 구분하여 배치하는 것이 효율적인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 3, it is efficient to separately arrange the vowel keys for E and I and the vowel keys for A, O and U.

이와 같은 구성을 취하는 경우, 표 1에 나타난 출현 빈도에 근거하여 각 모음키의 빈도를 각각 계산하면, E,I를 표시하는 모음키가 18.70%, A,O,U를 표시하는 모음키가 19.29%이므로, 2개의 입력키에 대한 선택동작이 고르게 분포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In this configuration, if the frequency of each vowel key is calculated based on the frequency of appearance shown in Table 1, the vowel key indicating E, I is 18.70%, and the vowel key indicating A, O, U is 19.29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obtain a result in which the selection operations for the two input keys are evenly distributed.

이하, 자음키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consonant key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자음키는 중앙열(120) 및 우측열(130)에 배치되는데, 자음키의 경우도 상기 모음키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알파벳의 출현 빈도를 감안하여 입력키를 효율적으로 배열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그 출현 빈도를 조사하였다.The consonant keys are arranged in the center column 120 and the right column 130. In the case of the consonant keys, as in the case of the vowel key, in order to efficiently arrange the input keys in consideration of the occurrence frequency of the alphabet, The frequency of appearance was investigated.

또한, 자음의 경우 특히 단어의 최초문자로서 출현하는 빈도를 고려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인 구조를 이루는데 도움이 될 것이므로, 이에 관한 조사도 별도로 실시하였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consonants,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frequency of appearance as the first letter of the word will help to achieve a more efficient structure, a separate investigation on this.

영문 자음English consonants 출현 빈도(%)Frequency of appearance (%) GG 2.4705 2.4705 RR 7.5809 7.5809 BB 2.072 2.072 TT 6.9509 6.9509 FF 1.8121 1.8121 NN 6.6544 6.6544 YY 1.7779 1.7779 SS 5.7351 5.7351 WW 1.2899 1.2899 LL 5.4893 5.4893 KK 1.1016 1.1016 CC 4.5388 4.5388 VV 1.0074 1.0074 DD 3.38443.3844 XX 0.2902 0.2902 PP 3.1671 3.1671 ZZ 0.2722 0.2722 MM 3.0129 3.0129 JJ 0.1965 0.1965 HH 3.0034 3.0034 QQ 0.19620.1962

상기 표 2는 영어 단어에 자음이 출현하는 빈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모음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영어사전을 출간하는 옥스포드(oxpord)사의 보고서에 근거한 것이다.Table 2 shows the frequency of the occurrence of consonants in English words, as in the case of the vowel, based on the report of Oxford (oxpord) company publishes an English dictionary.

영문English 최초 출현 빈도 (page수)First appearance frequency (pages) A A 6969 NN 3535 B B 9393 OO 3131 C C 152152 PP 126126 D D 8181 QQ 55 E E 5353 RR 7979 F F 7676 SS 185185 G G 5757 TT 8484 H H 6363 UU 1919 I I 4646 VV 1919 J J 1414 WW 4848 K K 1515 XX 00 L L 6262 YY 44 M M 8484 ZZ 22

상기 표 3은 영어 단어의 최초문자로서 알파벳이 출현하는 빈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영어사전(longman 출판사의 Dictionary of English Language and Culture)의 해당 페이지수를 조사한 것이다.Table 3 shows the frequency of the alphabet appearing as the first letter of the English word, and examined the number of pages of the Dictionary of English Language and Culture of the Longman Press.

최초 출현 빈도 순위 First appearance frequency rank 영문English 1 One SS 1414 EE 2 2 CC 1515 WW 3 3 PP 1616 II 4 4 BB 1717 NN 5 5 M,TM, T 1818 OO 6 6 1919 U,VU, V 7 7 DD 2020 8 8 RR 2121 KK 9 9 FF 2222 JJ 10 10 AA 2323 QQ 11 11 HH 2424 YY 12 12 LL 2525 ZZ 13 13 GG 2626 XX

상기 표 4는 표 3에 근거하여, 영어 단어의 최초문자로서 출현하는 빈도가 높은 순서에 따라, 알파벳을 배열한 것이다.In Table 4, alphabets are arranged in order of increasing frequency of appearing as the first letter of an English word, based on Table 3.

종합 순위 Overall ranking 영문 자음English consonants 1111 HH 1 One SS 1212 GG 2 2 TT 1313 FF 3 3 RR 1414 WW 4 4 CC 1515 YY 5 5 PP 1616 KK 6 6 DD 1717 VV 7 7 NN 1818 JJ 8 8 LL 1919 XX 9 9 MM 2020 ZZ 10 10 BB 2121 QQ

상기 표 5는 표 2(단어에 영문 자음이 출현하는 총 빈도의 순위)와 표 5(단에 최초문자로서 영문 자음이 출현하는 빈도의 순위)를 종합하여 새로이 순위를 부여한 것이다.Table 5 shows a new ranking by combining Table 2 (ranking frequency of total English consonants in words) and Table 5 (ranking frequency of English consonants as first characters).

자음의 경우 단어에 출현하는 총 빈도 뿐만아니라, 단어의 최초문자로서 출현하는 빈도가 높은 경우를 고려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인 구조를 이루기 위하여 바람직하기 때문이다.In the case of consonants, not only the total frequency appearing in the word, but also the case in which the frequency of appearance as the first letter of the word is considered to be more preferable in order to achieve a more efficient structure.

상기 표 5의 종합순위를 부여하는 기준은 영문 자음의 총 출현 빈도와 최초 출현 빈도를 1 : 0.61308의 비율로 고려한 것이다.The criterion for assigning the overall ranking in Table 5 is to consider the total frequency of appearance and initial frequency of English consonants in a ratio of 1: 0.61308.

상기 비율은 인간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이상적인 비율이라 할 수 있는 이른바 황금비율에 근거한 것이다.The ratio is based on the so-called golden ratio, which can be said to be the ideal ratio for giving psychological stability to humans.

따라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열(120)과 우측열(130)에는 상기 21개의 자음 중 1위 내지 7위의 순위가 부여된 S,T,R,C,P,D,N을 표시하는 자음키가 각각 구분되어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자음키의 연속적인 선택동작 중 첫번째 선택동작에 의해 상기 S,T,R,C,P,D,N 문자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as shown in FIGS. 5 to 7, the central column 120 and the right column 130 are assigned S, T, R, C, P, which are ranked first to seventh among the 21 consonants. The consonant keys indicating D and N are separately arranged, and the S, T, R, C, P, D, and N characters are displayed by the first selection operation among the consecutive selection operations of the consonant keys. desirable.

이와 같은 이유에 근거하여, 상기 8위 내지 14위의 순위가 부여된 L,M,B,H,G,F,W를 표시하는 자음키가 각각 구분되어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자음키의 연속적인 선택동작 중 두번째 선택동작에 의해 상기 L,M,B,H,G,F,W 문자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basis of the above reasons, consonant keys indicating L, M, B, H, G, F, and W, which are ranked in the 8th to 14th positions, are respectively arranged separately, and the consonant keys are consecutively arranged. Preferably, the L, M, B, H, G, F, and W characters are displayed by the second selection operation.

또한, 상기 15위 내지 21위의 순위가 부여된 Y,K,V,J,X,Z,Q를 표시하는 자음키가 각각 구분되어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자음키의 연속적인 선택동작 중 세번째 선택동작에 의해 상기 Y,K,V,J,X,Z,Q 문자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효율적이다.In addition, consonant keys indicating Y, K, V, J, X, Z, and Q, which are ranked in the 15th to 21st positions, are separately arranged, and a third selection of the continuous selection operation of the consonant keys is performed. It is efficient to display the Y, K, V, J, X, Z, and Q characters by the operation.

즉, 자음키로서 7개의 입력키를 배정함에 있어서, 그 자음키의 연속적인 선택동작 중 첫번째 선택동작에 의해서는 S,T,R,C,P,D,N 문자(가군)가 표시되도록 하고, 두번째 선택동작에 의해서는 L,M,B,H,G,F,W 문자(나군)가 표시되도록 하며, 세번째 선택동작에 의해서는 Y,K,V,J,X,Z,Q 문자(다군)가 표시되도록 조합하여 상기 7개의 입력키를 구성하는 경우, 영문 단어 중 자음의 총 출현 빈도와 최초 출현 빈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이상적인 구조를 얻게 되는 것이다.That is, in assigning seven input keys as consonant keys, S, T, R, C, P, D, and N characters (family) are displayed by the first selection operation among consecutive selection operations of the consonant keys. In the second selection operation, L, M, B, H, G, F, and W characters (groups) are displayed, and in the third selection operation, Y, K, V, J, X, Z, and Q characters ( In the case of configuring the seven input keys by combining so as to be displayed, it is possible to obtain an ideal structure in which the total appearance frequency and initial appearance frequency of consonants among English words are comprehensively considered.

한편, 입력키의 선택동작이 일부 키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키의 파손 가능성이 골고루 분포된 효율적인 구조를 얻기 위해서는, 상기 3그룹의 문자의 총 출현 빈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On the other hand, by preventing the selection operation of the input key from being concentrated on some keys, it is necessary to comprehensively consider the total appearance frequencies of the three groups of characters in order to obtain an efficient structure in which the possibility of breaking of the keys is evenly distributed.

그룹순위 Group ranking 가군Gagun 출현빈도 (%)Frequency of occurrence (%) 나군Me 출현빈도 (%)Frequency of occurrence (%) 다군Group 출현빈도 (%)Frequency of occurrence (%) 출현 빈도의 합(%)Sum of frequency of appearance (%) 1 One SS 5.73515.7351 GG 2.47052.4705 VV 1.00741.0074 9.219.21 2 2 RR 7.58097.5809 WW 1.28991.2899 QQ 0.19620.1962 9.069.06 3 3 NN 6.65446.6544 BB 2.0722.072 ZZ 0.27220.2722 8.998.99 4 4 TT 6.95096.9509 FF 1.81211.8121 JJ 0.19650.1965 8.958.95 5 5 PP 3.16713.1671 LL 5.48935.4893 XX 0.29020.2902 8.948.94 6 6 CC 4.53884.5388 HH 3.00343.0034 KK 1.10161.1016 8.648.64 7 7 DD 3.38443.3844 MM 3.01293.0129 YY 1.77791.7779 8.178.17

상기 표 6은 표 5에 나타난 종합순위에 근거하여 영문 자음을 가, 나, 다의 3개 군으로 구분하고, 표 3에 나타난 출현 빈도를 근거로 하여 각 군에서 선택된 3개의 자음의 출현 빈도의 합이 비교적 고르게 나타나도록 7개의 그룹으로 조합한 후, 그 출현 빈도의 합의 순위에 따라 다시 각 그룹의 순위를 배정한 것이다.Table 6 is divided into three groups of English consonants A, B, and C based on the overall ranking shown in Table 5, and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three consonants selected from each group based on the frequency of occurrence shown in Table 3 above. The groups were combined into seven groups so that the sums appeared relatively evenly, and then each group was ranked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sum of the frequency of appearance.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열(120)과 우측열(130)에 S,G,V를 표시하는 자음키(1그룹), R,W,Q를 표시하는 자음키(2그룹), N,B,Z를 표시하는 자음키(3그룹), T,F,J를 표시하는 자음키(4그룹), P,L,X를 표시하는 자음키(5그룹), C,H,K를 표시하는 자음키(6그룹), D,M,Y를 표시하는 자음키(7그룹)가 구분되어 배치되도록, 상기 7개의 그룹에 의해 7개의 자음 입력키를 구성하는 경우, 각 입력키의 사용 빈도가 고르게 분포되므로, 파손 가능성 또한 골고루 분포된 효율적인 구조를 얻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as shown in FIG. 7, the consonant keys (1 group) for displaying S, G, and V, and the consonant keys (2 groups for displaying R, W, and Q in the center column 120 and the right column 130). ), N, B, Z consonant keys (3 groups), T, F, J, consonant keys (4 groups), P, L, X, consonant keys (5 groups), C, H When the seven consonant input keys are configured by the seven groups so that the consonant keys (6 groups) indicating K and the consonant keys (7 groups) indicating D, M, and Y are arranged separately, Since the frequency of use of the keys is evenly distributed, an efficient structure is obtained which evenly distributes the possibility of breakage.

또한, 자주 사용되는 문자가 중앙열(120)에 배치되는 것이 우측열(130)에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be said that it is preferable to arrange the frequently used letters in the center row 120 as compared to the case in which the letters are arranged in the right row 130.

따라서, 중앙열(120)에는 상위 4그룹인 S,G,V를 표시하는 자음키, R,W,Q를 표시하는 자음키, N,B,Z를 표시하는 자음키, T,F,J를 표시하는 자음키를 구분하여 배치하고, 우측열(130)에는 하위 3그룹인 P,L,X를 표시하는 자음키, C,H,K를 표시하는 자음키, D,M,Y를 표시하는 자음키를 구분하여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the central column 120 includes a consonant key for displaying the top 4 groups S, G, and V, a consonant key for displaying R, W, and Q, a consonant key for displaying N, B, and Z, T, F, and J. The consonant keys to display the consonant keys are arranged separately, and in the right column 130, the consonant keys to display the lower three groups P, L, and X, and the consonant keys to display C, H, and K, D, M, and Y are displayed. It is preferable to arrange consonant keys to be distinguished.

또한, 자주 사용되는 문자가 상측에 배치되는 것이 효율적이므로, 중앙열(120)에는 상기 그룹순위에 따라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S,G,V를 표시하는 자음키, R,W,Q를 표시하는 자음키, N,B,Z를 표시하는 자음키, T,F,J를 표시하는 자음키의 순서로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since it is efficient to arrange frequently used letters on the upper side, the central column 120 displays the consonant keys, R, W, and Q that display S, G, V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ccording to the group rank. It is preferable to arrange the consonant keys, the consonant keys indicating N, B, and Z, and the consonant keys indicating T, F, and J in order.

우측열(130)의 경우에도 상기 그룹순위에 따라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P,L,X를 표시하는 자음키, C,H,K를 표시하는 자음키, D,M,Y를 표시하는 자음키의 순서로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of the right column 130, a consonant key for displaying P, L, and X, a consonant key for displaying C, H, and K, and a consonant key for displaying D, M, and Y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ccording to the group rank. It is preferable to arrange in order.

이하, shift 키에 관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embodiment regarding a shift key is described.

휴대용 단말의 경우, shift 키와 다른 입력키를 동시에 선택하는 동작이 곤란하므로, 일단 shift 키를 선택한 상태에서 다음 동작에 의해 다른 입력키를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of a portable terminal, it is difficult to simultaneously select a shift key and another input key.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select another input key by the next operation once the shift key is selected.

이러한 shift 키의 선택동작 후, 자음키 또는 모음키의 선택동작시 알파벳 대문자는 소문자로, 소문자는 대문자로의 변경된 표시가 입력되도록 함으로써, 대문자, 소문자의 선택적 입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After the shift key selection operation, when the consonant key or the vowel key selection operation is performed, the alphabetic uppercase letter is lowercase and the lowercase letter is changed to uppercase, thereby allowing selective input of uppercase and lowercase letters.

나아가, 영문의 경우에는 대문자가 최초에 위치하고, 그 이후에는 다수의 소문자가 배치되므로, shift 키의 선택동작 후, 자음키 또는 모음키의 1회의 선택동작 이후에는, 자음키 또는 모음키의 선택동작시 shift 키의 선택동작 전의 알파벳 대문자 또는 소문자의 표시가 입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in the case of English, the uppercase letter is placed first, and a large number of lowercase letters are placed thereafter. After the shift key selection operation, the consonant key or vowel key selection operation is made after the consonant key or vowel key is selected. It is preferable to input an uppercase or lowercase letter of the alphabet before the shift key selection operation.

즉, 소문자의 입력 중, shift 키를 1회 선택하고 문자키를 1회 선택하면 대문자가 입력되고, 다시 shift 키를 선택할 필요없이 곧바로 문자키를 선택하면 소문자가 입력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inputting a lowercase letter, the shift key is selected once and the character key is selected once, and the uppercase letter is input. If the character key is immediately selected without selecting the shift key, the lowercase letter is input.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열(120) 및 우측열(130)에 배치된 7그룹의 자음키와의 균형을 감안할 때, shift 키는 2그룹의 모음키가 배치된 좌측열(110)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반 유저에게 익숙한 일반적인 컴퓨터의 자판배열과 유사한 구성을 취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점과 그 사용 빈도를 고려할 때, 모음키의 하측에 배치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in consideration of the balance between the seven groups of consonant keys arranged in the central column 120 and the right column 130, the shift key is formed by the left column ( It is preferable to be arranged at 110), and it is more preferable to be arranged under the vowel key in consideration of the advantage of taking a configuration similar to the keyboard layout of a general computer familiar to the general user and the frequency of its use.

본 발명은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단말용 영문 입력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nglish input device for a terminal that can be used more conveniently and efficiently.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Since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only with respect to some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at can be implement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s well know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echnical idea and the technical idea together with the basic will all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6)

3열로 배치된 복수개의 키(100)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키의 선택동작에 의해 알파벳이 입력되며, 상기 각 키는 복수의 알파벳을 입력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알파벳은 상기 각 키의 연속적인 선택동작의 횟수에 의해 선택되어 표시되는 단말용 영문 입력장치에 있어서,Comprised of a plurality of keys (100) arranged in three columns, the alphabet is input by the key selection operation, each key can input a plurality of alphabets, the plurality of alphabets are consecutive of each key In the English input device for a terminal that is selected and displayed by the number of times of selective selection, 상기 3열 중 좌측열(110)에는 A,E,I,O,U를 표시하는 모음키 및 shift 키가 배치되고, 상기 3열 중 중앙열(120)과 우측열(130)에는 상기 A,E,I,O,U 이외의 알파벳을 표시하는 자음키가 배치되며,A vowel key and a shift key indicating A, E, I, O, and U are arranged in the left column 110 of the three columns, and the A, E, I, O, and U keys are arranged in the center column 120 and the right column 130 of the three columns. Consonant keys that display alphabets other than E, I, O, U are placed, 상기 shift 키의 선택동작 후, 상기 자음키 또는 모음키의 선택동작시 알파벳 대문자 또는 소문자로의 변경된 표시가 입력되고,After the shifting operation of the shift key, a changed display of uppercase or lowercase alphabetical letters is inputted when the consonant key or the vowel key is selected. 상기 shift 키의 선택동작 후, 상기 자음키 또는 모음키의 1회의 선택동작 이후에는, 상기 자음키 또는 모음키의 선택동작시 상기 shift 키의 선택동작 전의 알파벳 대문자 또는 소문자의 표시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용 영문 입력장치.After the selection operation of the shift key, after one selection operation of the consonant key or the vowel key, the display of alphabetic upper or lower case letters before the selection operation of the shift key is input during the selection operation of the consonant key or the vowel key. English input device for th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shift 키는 상기 모음키의 하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용 영문 입력장치.The shift key is an English input device for a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below the vowel ke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3열 중 좌측열(110)에는 A,E,I,O,U를 표시하는 모음키가 배치되고, A vowel key for displaying A, E, I, O, and U is arranged in the left column 110 of the three columns. 상기 3열 중 중앙열(120)과 우측열(130)에는 S,G,V를 표시하는 자음키, R,W,Q를 표시하는 자음키, N,B,Z를 표시하는 자음키, T,F,J를 표시하는 자음키, P,L,X를 표시하는 자음키, C,H,K를 표시하는 자음키, D,M,Y를 표시하는 자음키가 구분되어 배치됨과 아울러,In the center column 120 and the right column 130 of the three columns, a consonant key for displaying S, G, and V, a consonant key for displaying R, W, and Q, a consonant key for displaying N, B, and Z, and , Consonant keys indicating F, J, consonant keys showing P, L, and X, consonant keys showing C, H, and K, consonant keys showing D, M, and Y, and 상기 자음키의 연속적인 선택동작 중 첫번째 선택동작에 의해 상기 S,T,R,C,P,D,N 문자가 표시되고, The letters S, T, R, C, P, D, and N are displayed by the first selection operation among the consecutive selection operations of the consonant keys. 상기 자음키의 연속적인 선택동작 중 두번째 선택동작에 의해 상기 L,M,B,H,G,F,W 문자가 표시되며, The L, M, B, H, G, F, and W characters are displayed by the second selection operation among the consecutive selection operations of the consonant keys. 상기 자음키의 연속적인 선택동작 중 세번째 선택동작에 의해 상기 Y,K,V,J,X,Z,Q 문자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용 영문 입력장치.And the Y, K, V, J, X, Z, and Q characters are displayed by a third selection operation among consecutive selection operations of the consonant keys.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중앙열(120)에는 S,G,V를 표시하는 자음키, R,W,Q를 표시하는 자음키, N,B,Z를 표시하는 자음키, T,F,J를 표시하는 자음키가 구분되어 배치되고, 상기 우측열(130)에는 P,L,X를 표시하는 자음키, C,H,K를 표시하는 자음키, D,M,Y를 표시하는 자음키가 구분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용 영문 입력장치.The central column 120 includes a consonant key for S, G, and V, a consonant key for R, W, and Q, a consonant key for N, B, and Z, and a consonant key for T, F, and J Are arranged separately, and the consonant keys for displaying P, L, and X, consonant keys for displaying C, H, and K, and consonant keys for displaying D, M, and Y are separately arranged in the right column 130. English input device for a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중앙열(120)에는 상기 자음키가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상기 S,G,V를 표시하는 자음키, 상기 R,W,Q를 표시하는 자음키, 상기 N,B,Z를 표시하는 자음키, 상기 T,F,J를 표시하는 자음키의 순서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용 영문 입력장치.In the central column 120, the consonant key displaying the S, G, and V from the upper side toward the lower side, the consonant key displaying the R, W, and Q, the consonant displaying the N, B, and Z English input device for a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in the order of the key, the consonant keys for displaying the T, F, J.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우측열(130)에는 상기 자음키가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상기 P,L,X를 표시하는 자음키, 상기 C,H,K를 표시하는 자음키, 상기 D,M,Y를 표시하는 자음키의 순서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용 영문 입력장치.In the right column 130, the consonant key displaying the P, L, and X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the consonant key displaying the C, H, and K, the consonant displaying the D, M, and Y English input device for a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in the order of the key.
KR1020050097462A 2005-10-17 2005-10-17 Input apparatus of english KR1006266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7462A KR100626680B1 (en) 2005-10-17 2005-10-17 Input apparatus of englis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7462A KR100626680B1 (en) 2005-10-17 2005-10-17 Input apparatus of english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3980A Division KR100562332B1 (en) 2005-05-25 2005-05-25 Input apparatus of englis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6680B1 true KR100626680B1 (en) 2006-09-22

Family

ID=37628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7462A KR100626680B1 (en) 2005-10-17 2005-10-17 Input apparatus of englis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668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7581B1 (en) 2014-05-07 2015-10-12 김진태 The conversion of upper and lower case characters input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7581B1 (en) 2014-05-07 2015-10-12 김진태 The conversion of upper and lower case characters input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39346A1 (en) Modified-QWERTY Letter Layout for Rapid Data Entry
KR100626680B1 (en) Input apparatus of english
JP2009522625A (en) Computer and mobile phone input method
KR100580146B1 (en) Method for inputting words in an electronic appliance with buttons of inputting words
KR100562332B1 (en) Input apparatus of english
KR100340789B1 (en) keypad arrangement structure for a letter input
KR101921586B1 (en) Character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of Hangul
KR100637745B1 (en) Korean literature key pad
JP3110695B2 (en) Key input device
KR20030053971A (en)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the korean alphabet using keypad of terminal
KR100875334B1 (en) Keypad for English Input
KR101001085B1 (en) Mobile phone keyboard english alphabet alphabet
KR101850674B1 (en) Keypad and Method for Inputting English Using Touch-screen on Terminal
KR100851471B1 (en) Key pad for text input
KR20020035698A (en) Key pad for inputting character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input method using the same
KR20010091356A (en) Efficient Hangul Input Device and Method of Mobile Phone
KR20080023068A (en) Character input device for inputting of alphabet character
KR20020070658A (en) Keypa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 in a communicating apparatus
KR20020012823A (en)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character conversion button
JP2001075708A (en) Key input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japanese
KR20030004230A (en)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s wherein Consonant and Vowel Keys are separately Assigned
KR101141774B1 (en) Mobile apparatus having a character input device
KR20030061772A (en)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combination buttons
KR980013177A (en) METHOD FOR INPUTTING ENGLISH CHARACTER USING ELECTRIC TELEPHONE KEYPAD
KR20030054449A (en) Korean Letter Input System and Array Method Using 3 Contact Point Keybutt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