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0146B1 - Method for inputting words in an electronic appliance with buttons of inputting words - Google Patents

Method for inputting words in an electronic appliance with buttons of inputting word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0146B1
KR100580146B1 KR1020050105547A KR20050105547A KR100580146B1 KR 100580146 B1 KR100580146 B1 KR 100580146B1 KR 1020050105547 A KR1020050105547 A KR 1020050105547A KR 20050105547 A KR20050105547 A KR 20050105547A KR 100580146 B1 KR100580146 B1 KR 100580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buttons
input
assigned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55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은익수
Original Assignee
은익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PCT/KR2005/003525 external-priority patent/WO2007046567A1/en
Application filed by 은익수 filed Critical 은익수
Priority to KR1020050105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014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0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01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버튼입력에 있어 2개 버튼의 동시누름, 오버랩(overlap), 장단의 연속누름 기능 및 하나의 버튼의 더블 클릭(double click) 기능을 제공함에 의하여 한정된 개수의 버튼에 되도록 많은 문자의 입력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버튼의 활용도를 높인 전자기기의 문자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문자입력방법은 전자기기의 자판에서, 각 버튼에 하나씩의 문자를 배정하고, 이웃한 2개의 버튼들 사이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문자를 배정하여 상기 이웃한 2개의 버튼들을 동시에 누르거나, 오버랩하여 누르거나, 장단의 연속누름에 의해 2개의 버튼 사이에 배정된 상기 문자가 입력됨으로써 구현된다. Disclosed contents are to input as many characters as possible to a limited number of buttons by providing simultaneous pressing of two buttons, overlapping, short and long continuous pressing and double clicking of a single button. It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button so as to quickly and easily. In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keyboard of the electronic device, one letter is assigned to each button, and at least one letter is assigned between two adjacent buttons to assign the two adjacent buttons. It is realized by inputting the above characters assigned between two buttons by pressing at the same time, overlapping pressing or continuous pressing of long and short periods.

모바일 기기, 휴대폰, 문자입력, 영어입력 Mobile device, mobile phone, text input, English input

Description

문자입력버튼을 갖는 전자기기의 문자입력방법 {METHOD FOR INPUTTING WORDS IN AN ELECTRONIC APPLIANCE WITH BUTTONS OF INPUTTING WORDS}Character input method of electronic device having character input button {METHOD FOR INPUTTING WORDS IN AN ELECTRONIC APPLIANCE WITH BUTTONS OF INPUTTING WORDS}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첨부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루어질 것이며, 도면에서 대응되는 부분을 지정하는 번호는 같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numerals designate corresponding parts in the drawings.

도 1은 일반적인 휴대폰의 영어문자 입력자판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1 is a view showing an English character input keyboard of a typical mobile phon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문자입력방법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character input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문자입력원리가 적용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영어입력방법이 구현되는 휴대폰 자판배열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3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keyboard layout of a mobile phone implemented with the English input method of the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which the character input principle of FIG.

도 4는 도 3과 동일한 자판배열로서 자판 버튼들의 위치 변형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sitional variation of keyboard buttons as the same keyboard layout as FIG. 3;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문자입력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5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character input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전자기기의 문자입력방법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6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character input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및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변형례들을 나타낸 것들이다. 7 and 8 show modifications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6.

본 발명은 전자식 전화기와 휴대용 전화기, 피디에이(PDA) 등의 전자기기에서 버튼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 빈도수가 높은 문자들을 한번에 하나의 버튼 클릭으로 입력되게 각 버튼에 배정하고 그 외의 문자는 이웃한 두개의 버튼을 동시에 누르거나 오버랩하여 누르거나 장단의 누름조합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입력시간을 단축하고 사용자가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문자입력버튼을 갖는 전자기기의 문자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inputting a character using a button in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n electronic telephone, a portable telephone, a PDA, and more specifically, to input characters having a high frequency of input at a time by clicking a button. Allocate a button and press other two buttons simultaneously or overlap them, or press a combination of short and long presses to shorten the input time and have a character input button that allows users to use it easily and conveniently. It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최근들어 전자 및 통신기술이 진보하면서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해 문자입력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으며, 특히 모바일 기기, 예컨대 피디에이(PDA), 휴대폰 등이 급속히 보급되면서 문자메시지의 이용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폰에서 문자입력을 통해 원격으로 외부 기기의 제어, 예컨대 홈케어서비스 등이 진행되고 있다. Recently, as electronic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e advanced, the necessity of text input to control electronic devices has increased. In particular, the use of text messages has exploded with the rapid spread of mobile devices such as PDAs and mobile phones. In addition, the control of external devices, such as home care services, is being performed remotely through text input in a mobile phone.

이러한 문자입력기반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삼성전자, LG정보통신, 노키아, 모토로라 등 단말기 생산업체들은 독자적으로 문자입력방식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있다. 현재 휴대폰에 적용하고 있는 한글자판은 크게 자음의 기본자가 ㄱ,ㄴ,ㄷ,ㅂ,ㅅ,ㅈ,ㅇ와 모음의 기본자가 ㅣ, ·, ㅡ 인 천지인 방식, 그리고 자음의 기본자가 ㅇ,ㅁ,ㄱ,ㄴ,ㅅ,ㄹ과 모음의 기본자가 ㅏ, ㅗ, ㅡ인 나랏글 방식 등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한글문자의 입력의 경우도 하나의 버튼에 여러개의 문자가 배정되어 2번째 또는 3번째 자리에 있는 문자를 입력하거나 모음의 경우 기본자를 여러개 조합하여 이루어지므로 복모음, 이중모음을 입력하려면, 버튼을 2번 또는 3번이상 눌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In order to activate this character input base, handset manufacturers such as Samsung Electronics, LG Telecom, Nokia, and Motorola have developed and applied their own character input methods. The Korean keyboard that is currently applied to mobile phones has the basic consonants a, b, c, ㅂ, ㅅ, ㅈ, ㅇ and the vowels ㅣ, ·, ㅡ cheonji, and the consonants ㅇ, ㅁ, A, b, ㅅ, ㄹ and the narrative method such as 기본, ㅗ, ㅡ as the basic vowels are representative. In case of inputting such Hangul characters, a number of characters are assigned to one button, and the characters in the 2nd or 3rd digit are inputted or in the case of vowels, it is made by combining several basic characters. There was a hassle to press two or three times.

마찬가지로, 영어문자입력의 경우에도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위에 예시한 모든 휴대폰 제조사들의 자판이 각 버튼에 알파벳이 차례로 3개씩, 심지어 몇몇은 4개씩 배당되어 하나의 알파벳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각 버튼을 1타부터 4타까지 눌러 입력해야 하므로 입력타수가 상당히 증가하여 입력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한 버튼에 적어도 3개이상의 알파벳을 배정하여 순환되며 입력되는 방식에서는 동일한 버튼에 배정된 알파벳을 연결하여 입력하려면 선택된 알파벳이 고정될 때까지 약간의 시간을 두거나 고정버튼을 눌러야 하므로 입력시간에 불필요한 시간이 추가적으로 소요되거나 추가 누름이 필요한 단점이 있었다. 나아가, 기존 시스템에서는 버튼에 기호까지 배정할 경우 기호입력은 항시 누름회수가 3회이상이 되므로 기호입력은 물론이고 알파벳입력에까지 효율성을 떨어뜨려 버튼에 기호 배정이 곤란한 관계로, 통상 기호입력은 메뉴방식에 의해 구현되어 기호를 일일이 찾아 선택하는 작업을 거쳐야 하므로 기호입력이 매우 더디고 불편하였다. Similarly, in the case of English character input, as shown in FIG. 1, the keyboards of all the mobile phone manufacturers illustrated above are assigned three alphabets to each button in turn, and even some four to be assigned to each button. Since you have to press from four strokes to input, the input strokes increase considerably, resulting in a drop in input efficiency. At least three alphabets are assigned to one of these buttons, and the input method connects the alphabet assigned to the same button and inputs a little time until the selected alphabet is fixed. There was a disadvantage that additional time was required or additional presses were required. Furthermore, in the existing system, when the symbol is assigned to the button, the symbol input is always three or more times. Therefore, the symbol input is difficult to assign to the button as well as the symbol input. The symbol input was very slow and inconvenient because it had to go through the task of finding and selecting symbol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제결점들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1개 버튼의 더블 클릭과 2개 버튼의 동시누름, 오버랩(overlap), 또는 장단(長短)의 누름조합 등의 입력방식을 도입함에 의하여 입력타수 및 입력시간을 단축 하고 운지성 및 가시성을 향상할 수 있는 문자입력버튼을 갖는 전자기기의 문자입력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drawbacks, input method such as double-click of one button and simultaneous pressing of two buttons, overlap, or pressing combination of long and shor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aracter input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haracter input button capable of shortening an input stroke and an input time and improving fingering and visibilit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12개의 버튼 중 적어도 9개의 버튼에 알파벳을 각각 1개씩 배열하고 나머지 알파벳은 이웃한 2개의 버튼들을 동시에 누르거나 오버랩하여 누르거나 장단조합을 연속하여 누르면 입력되게 함으로써 대부분의 영문자를 간편 신속하게 입력할 수 있게 하는 문자입력버튼을 갖는 전자기기의 영어입력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rrange the alphabet by at least nine buttons of each of the 12 buttons by one each and the remaining alphabet is to be pressed by pressing or overlapping the two adjacent buttons at the same time or by pressing a combination of short and long-term combinations most of the It is to provide an English input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haracter input button that allows the user to easily and quickly enter an English letter.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알파벳을 기본자로 분해하여 버튼에 배정하고, 이 기본자의 버튼을 더블 클릭하고 기본자들 2개를 조합하여 나머지 문자들을 형성하는 방식을 취하되, 2개의 버튼입력은 동시에 또는 오버랩하여 누르거나 장단조합을 연속하여 누름에 의해 영문자를 쉽게 학습하여 빠르게 입력할 수 있는 문자입력버튼을 갖는 전자기기의 영어입력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compose the alphabet into basics and assign them to buttons, and double-click the buttons of the basics and combine the two basics to form the remaining characters, but two button inpu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nglish input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haracter input button that can be easily and quickly inputted by quickly pressing an overlapping or pressing a combination of short and long combination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면에 따른 문자입력버튼을 갖는 전자기기의 문자입력방법은 전자기기의 자판에서, 각 버튼에 하나씩의 문자를 배정하고, 이웃한 2개의 버튼들 사이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문자를 배정하여 상기 이웃한 2개의 버튼들을 동시에 누르거나, 오버랩하여 누르거나, 장단의 연속누름에 의해 2개의 버튼 사이에 배정된 상기 문자가 입력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haracter input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haracter input button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o assign a letter to each button, in the keyboard of the electronic device, between two adjacent buttons By assigning at least one character or more, the adjacent two buttons may be simultaneously pressed, overlapped, or continuously press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면에 따른 문자입력버튼을 갖는 전자기기의 영어입력방법은 행과 열로 버튼들이 배열된 전자기기의 자판에서, 9개의 버튼에 알파벳 'T','I','N','A','E','R','S','O','L'을 배정하고, 이웃한 버튼들 사이에 수평방향, 수직방향 및 대각선방향으로 나머지 알파벳들을 각각 배정하여, 수평방향, 수직방향 및 대각선방향으로 이웃한 2개의 버튼들이 동시에 눌려지거나 오버랩하여 눌려지거나 장단의 연속으로 눌려지는 경우 해당 방향으로 상기 2개의 버튼들 사이에 배정된 문자가 입력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English input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having a character input button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keyboard of the electronic device arranged in a row and column, the letter 'T', 'I on nine buttons Assign ',' N ',' A ',' E ',' R ',' S ',' O ',' L 'and the rest of the alphabet horizontally, vertically and diagonally between adjacent buttons Each of the two adjacent buttons in the horizontal, vertical, and diagonal directions is simultaneously pressed, overlapped, or pressed in succession, so that the characters assigned between the two buttons are input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면에 따른 문자입력버튼을 갖는 전자기기의 영어입력방법은 행과 열로 버튼들이 배열된 전자기기의 자판에서, 0,-,

Figure 112005063692768-pat00001
,I,
Figure 112005063692768-pat00002
,J,M,∧,E의 9개의 기본자를 각 버튼에 하나씩 배정하고, O,X,I,C,J,M,A,E는 각 버튼의 한번 누름으로써 입력되고, 나머지 알파벳들은 상기 기본자가 배정된 2개의 버튼을 오버랩누름이나 장단의 연속조합누름에 의해 및/또는 하나의 버튼을 더블 클릭함에 의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English input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having a character input button 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keyboard of the electronic device arranged in a row and column, 0,-,
Figure 112005063692768-pat00001
, I,
Figure 112005063692768-pat00002
N, J, M, ∧, E are assigned to each button one by one, O, X, I, C, J, M, A, E is entered by pressing each button once, the rest of the alphabet is the basic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wo self-assigned buttons are inputted by pressing an overlap or a long and short continuous combination and / or by double-clicking one butt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4면에 따른 문자입력버튼을 갖는 전자기기의 영어입력방법은 0,-,

Figure 112005063692768-pat00003
,I,
Figure 112005063692768-pat00004
,J,M,∧,F의 9개의 기본자를 각 버튼에 하나씩 배정하고, O,X,I,C,J,M,A,F는 각 버튼의 한번 누름으로써 입력되고, 나머지 알파벳들은 상기 기본자가 배정된 2개의 버튼을 오버랩누름이나 장단의 연속조합누름에 의해 및/또는 하나의 버튼을 더블 클릭함에 의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English input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having a character input button according to the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0,-,
Figure 112005063692768-pat00003
, I,
Figure 112005063692768-pat00004
Assigns nine basic characters, J, M, ∧, and F to each button, and O, X, I, C, J, M, A, and F are input by pressing each button once, and the remaining alphabet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wo self-assigned buttons are inputted by pressing an overlap or a long and short continuous combination and / or by double-clicking one button.

본 발명에서는 문자입력에 2개 버튼의 동시누름, 오버랩(overlap)누름, 장단의 연속누름 기능과 1개 버튼의 더블 클릭(double click) 기능을 도입함에 의하여 한정된 개수의 버튼에 되도록 많은 문자의 입력을 적은 타수로 보다 수월하게 할 수 있도록 버튼의 활용도를 높이고 있다. 특히, 이러한 2개 버튼의 조합식 누름방 식을 수평방향, 수직방향, 및 대각선방향으로 배열된 2개의 버튼들에 적용함으로써 보다 많은 문자입력이 한번의 누름으로 가능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by inputting as many characters as possible to a limited number of buttons by introducing the simultaneous pressing of two buttons, overlap pressing, long and short continuous pressing function and double button function of one button in the character input It is increasing the utilization of the button to make it easier to hit with fewer strokes. In particular, by applying the combination push method of these two buttons to two buttons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and diagonal direction, more character input is possible with one push.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문자입력방법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여기서 전자기기란 문자입력버튼들을 구비하고 문자입력이 가능한 모든 전자기기를 의미하며, 특히 통신기술이 적용되고 있는 휴대폰, 피디에이(PDA) 등의 전자통신기기나 차후에 무선통신기술이 적용될 수도 있는 디지털 카메라 등의 휴대용 전자제품을 포괄한다. 본 발명의 문자입력방법은 전자기기에서 문자입력을 통한 전자기기의 기능제어나 통신기기에서 문자메시지의 전송 등에 활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문자입력버튼을 갖는 전자기기로 휴대폰을 대표적으로 예로 들어 설명하며, 이하 설명될 본 발명의 원리는 문자의 입력이 가능한 모든 전자제품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면에는 수평방향, 수직방향, 대각선방향으로 이웃한 2개의 버튼은 점선으로 연결되어 표시되어 있다. 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character input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 the electronic device means all electronic devices having character input buttons and capable of text input, and in particular, communication technology is applied. Mobile phones,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PDAs,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digital cameras to which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may be applied in the future. The text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for controlling the func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text input in the electronic device or transmitting the text message in the communication device. Hereinafter, a mobile phone as an example of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text input butto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below can be applied to all electronic products capable of inputting text. In the drawing, two button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vertical, and diagonal directions are connected by dotted lines.

도면에는 휴대폰의 12개의 버튼의 배열이 도시되어 있으며, 1~10번까지의 10개의 버튼에 각각 문자를 배정하고, 이웃하는 2개의 버튼들 사이에 문자를 배정하여 이웃한 2개의 버튼이 조합하여 눌렸을 경우에 입력되게 한다. 이때, 2개의 버튼의 조합입력의 개념은 이웃한 2개의 버튼들을 동시에 누르거나 오버랩하여 누르거나, 아니면 순차적으로 연속하여 누르되 하나는 길게 그리고 하나는 짧게 누르면 버튼입력의 조합으로 인식하게 된다. 여기서, 이웃한 2개의 버튼들은 수평방향으로 이웃한 2개의 버튼, 예컨대 1번과 2번의 버튼일 수 있다. 또한, 수직방향으로 이웃한 2개의 버튼, 예컨대 1번과 4번의 버튼일 수 있다. 더 나아가, 대각선방향으로 이웃한 2개의 버튼, 예컨대 1번과 5번의 버튼일 수 있다. In the drawing, an arrangement of 12 buttons of a mobile phone is shown. The letters are assigned to each of the 10 buttons from 1 to 10, and the letters are allocated between two neighboring buttons to combine the two adjacent buttons. Allows input when pressed. In this case, the concept of a combination input of two buttons is recognized as a combination of button inputs when two adjacent buttons are simultaneously pressed or overlapped, or sequentially pressed, one long and one short. Here, the two adjacent buttons may be two adjacent button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buttons. It may also be two buttons adjac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for example, buttons 1 and 4. Furthermore, it may be two buttons diagonally adjacent to each other, for example, buttons 1 and 5.

동시누름의 경우 2개의 버튼을 시간적으로 정확히 동시에 누르는 것은 불가능한 경우가 많으므로, 동시라고 판단될 수 있는 시간간격을 설정하고 2개 버튼입력이 그 범위내에 존재할 경우 동시누름으로 기기의 제어부가 판단하게 한다. 예컨대, 첫번째 버튼입력 후 두번째 버튼입력이 0.15~0.2초 이내에 있으면, 동시누름으로 판단한다. 나아가, 문자입력방식이 동시누름방식을 채용한 경우 첫번째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두번째 버튼입력이 있으면, 첫번째 버튼입력에 해당하는 문자가 표시되는 동시에 첫번째와 두번째의 조합문자가 표시되게 하여, 즉 2개의 문자가 함께 표시되게 하여, 문자입력의 속도나 효율성을 배가할 수도 있다. In the case of simultaneous pressing, it is often impossible to press two buttons simultaneously at the same time in time, so set a time interval that can be judged as simultaneous and let the controller of the device judge the simultaneous pressing when two button inputs are within the range. do. For example, if the second button input is within 0.15 to 0.2 seconds after the first button input, it is determined as simultaneous pressing. Furthermore, when the character input method adopts the simultaneous pressing method, if there is a second button input while pressing the first button, the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button input is displayed and the first and second combination characters are displayed, that is, two By displaying characters together, you can double the speed or efficiency of character input.

도 2를 참조하여 2개 버튼의 동시누름 방식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수평방향으로 이웃한 1번과 2번의 버튼을 두 손으로 동시에 누르면(아니면, 오버랩하여 누르거나, 하나의 버튼은 길게 그리고 다른 하나의 버튼은 짧게 누르면) 11번에 해당하는 문자가 입력되고, 8번과 9번의 버튼을 누르면 16번에 해당하는 문자가 입력된다. 또한, 수직방향으로 이웃한 4번과 7번의 버튼을 동시에 누르면 22번에 해당하는 문자가 입력된다. 또한, 대각선방향으로 이웃한 2번과 4번의 버튼을 동시에 누르면 18번에 해당하는 문자가 입력된다. 나머지 이웃한 2개의 버튼들의 조합입력도 동일한 원리가 적용되어, 수평방향, 수직방향, 대각선방향으로 이웃한 버튼들을 누르면 그들 사이에 배정된 문자가 입력된다. Referring to the simultaneous pressing method of the two buttons with reference to Figure 2 as an example, pressing the first and second button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imultaneously with two hands (or overlapping, or one button long and another If you press one button shortly), the character corresponding to 11 is inputted, and if you press the button 8 and 9, the character corresponding to 16 is inputted. In addition, when the buttons 4 and 7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pressed at the same time, the corresponding character 22 is input. In addition, when the buttons 2 and 4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diagonal direction are pressed at the same time, the letter corresponding to number 18 is inputted. The same principle applies to the combination input of the remaining two adjacent buttons, so that when the button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diagonal direction are pressed, a character assigned between them is input.

도 2에서는 이웃한 2개의 버튼들의 조합입력에 따라 입력되는 해당 문자는 점선의 수평선, 수직선, 대각선의 중앙에 알기 쉽게 표시되어 있으며, 보는 바와 같이 이러한 이웃한 2개의 버튼들의 조합입력의 결과는 11번에서부터 27번까지의 번호로 표시되어 있다. In FIG. 2, the corresponding characters input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input of two adjacent buttons are clearly displayed at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line, the vertical line, and the diagonal line of the dotted line. As shown, the result of the combination input of the two adjacent buttons is 11. It is numbered 27 through 27.

더욱이, 본 발명은 하나의 버튼에 하나의 문자만이 배정되어 있으므로, 각 버튼의 두번째 이상의 자리에는 기호들(예를 들면, .,-+^~ 등)을 배정하고, 더블 클릭(double click)에 의해 기호들이 순환하면서 입력되게 할 수 있다. 더블 클릭은 컴퓨터의 마우스(mouse)에서의 더블 클릭의 개념을 도입한 것으로, 하나의 버튼을 빠른 속도로 두 번을 연속하여 누르는 동작으로 정의된다. Further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only one character is assigned to one button, symbols (for example,.,-+ ^, Etc.) are assigned to the second or more positions of each button, and double click Can be used to cycle through symbols. Double-click is an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double-clicking on a mouse of a computer, and is defined as an operation of pressing a button twice in quick succession.

도 3은 도 2의 문자입력원리가 적용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영어입력방법이 구현되는 휴대폰 자판배열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도 3과 동일한 자판배열로서 자판 버튼들의 위치 변형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keyboard layout of a mobile phone implemented with the English input method of the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which the character input principle of FIG. 2 is applied. In addition,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sitional modification of the keyboard buttons as the keyboard layout of FIG. 3.

영어 알파벳의 입력은 도 2에서 기설명한 문자입력방법을 이용하여 쉽게 모든 문자의 입력이 가능하다. 그 예를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input of the English alphabet can be easily input all the characters using the character input method described previously in FIG. An example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알파벳에서 9개 이상의 기본자를 선정하고, 이 기본자를 휴대폰의 12개 버튼중 9개의 버튼에 각각 하나씩 배정한다. 기본자의 선정은 사용빈도수를 고려하여 빈도수가 높은 것의 9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콘사이즈 옥스포드 사전(Concise Oxford Dictionary; 제9판, 1995)에 등재된 단어에서의 각 알파벳 문자의 사용 빈도수를 아래 표 1과 같이 조사하여, 이를 토대로 하여 기본자를 선정하였다. 즉, 빈도수 1위부터 9위까지를 9개의 기본자로 선정하되, 빈도수가 높은 것은 중앙에 배정하고 낮아질수록 외곽쪽으로 배정하였다. Select at least nine basic characters from the alphabet and assign them to nine of the twelve buttons on your phon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lection of the basic person is made into nine of high frequency in consideration of the frequency of use. 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nt investigated the frequency of use of each alphabet letter in a word listed in the Concise Oxford Dictionary (9th edition, 1995) as shown in Table 1 below, and selected a basic person based on this. In other words, the frequency 1st to 9th place was selected as the 9 basic elements, the higher frequency was assigned to the center and the lower the frequency was assigned to the outer side.

옥스포드 사전에서 각 알파벳 문자의 사용 빈도수Frequency of use of each alphabetic character in the Oxford Dictionary 알파벳alphabet 빈도수Frequency 알파벳alphabet 빈도수Frequency EE 11.1607%11.1607% MM 3.0129%3.0129% AA 8.4966%8.4966% HH 3.0034%3.0034% RR 7.5809%7.5809% GG 2.4705%2.4705% II 7.5448%7.5448% BB 2.0720%2.0720% OO 7.1635%7.1635% FF 1.8121%1.8121% TT 6.9509%6.9509% YY 1.7779%1.7779% NN 6.6544%6.6544% WW 1.2899%1.2899% SS 5.7351%5.7351% KK 1.1016%1.1016% LL 5.4893%5.4893% VV 1.0074%1.0074% CC 4.5388%4.5388% XX 0.2902%0.2902% UU 3.6308%3.6308% ZZ 0.2722%0.2722% DD 3.3844%3.3844% JJ 0.1965%0.1965% PP 3.1671%3.1671% QQ 0.1962%0.1962%

위의 표 1의 빈도수에 따라 빈도수가 높은 9개의 'E,A,R,I,O,T,N,S,L'을 기본자로 선정한다. 기본자의 입력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첫번째줄(1행)의 1,2,3번 버튼에 각각 T,I,N을 배정하고, 두번째줄(2행)의 4,5,6번 버튼에 각각 A,E,R를 배정하고, 세번째줄(3행)의 7,8,9번 버튼에 각각 S,O,L를 배정한다. 이렇게 1번에서부터 9번까지의 버튼에 각각 배정된 9개의 알파벳 문자들은 해당 버튼을 한번씩 누름에 따라 입력된다. According to the frequency in Table 1 above, 9 high frequency 'E, A, R, I, O, T, N, S, L' are selected as the basics. To explain the input of the basic user in detail, assign T, I, and N to buttons 1, 2 and 3 of the first line (line 1), and to buttons 4, 5 and 6 of the second line (line 2). Assign A, E, and R, respectively, and assign S, O, and L to buttons 7, 8, and 9, respectively, in the third row (line 3). The nine alphanumeric characters assigned to the buttons 1 to 9 are inputted by pressing the button once.

수평방향으로의 조합입력에 대해 설명하면, 첫번째줄의 1,2,3번 버튼 사이사이의 11번과 12번 위치에 G,D를 각각 배정하여 수평방향으로 이웃한 1번과 2번을 조합하여 누르면 그 사이에 배정된 G가 입력되고, 2번과 3번을 조합하여 누르면 D가 입력되게 한다. 또한, 두번째줄의 3,4,5번 버튼 사이사이에 C,U를 각각 배정하여 3번과 4번을 조합하여 누르면 그 사이에 배정된 C가 입력되고, 4번과 5번을 조합하여 누르면 U가 입력되게 한다. 세번째줄의 6,7,8번 버튼 사이에 배정된 W,Y도 위와 마찬가지의 원리로 입력된다. In the case of the combination inpu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G and D are assigned to the 11th and 12th positions between the 1st, 2nd, 3rd buttons of the first row, and the 1st and 2nd neighbor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re combined. Press to enter G assigned between them, and press 2 and 3 to enter D. In addition, assign C and U between 3, 4, and 5 buttons in the second row, and press 3 and 4 in combination to input C, and then press 4 and 5 in combination. Causes U to be entered. W, Y assigned between the 6th, 7th, and 8th buttons of the 3rd line is input in the same principle as above.

수직방향으로의 조합입력에 대해 설명하면, 1렬의 1,4,7 버튼 사이사이에 V,X를 각각 배정하여 수직방향으로 이웃한 1번과 4번을 조합하여 누르면 그 사이에 배정된 V가 입력되고, 4번과 7번을 조합하여 누르면 X가 입력되게 한다. 마찬가지로, 2렬의 F,K,Q와 3렬의 J,Z도 각 문자의 상하에 위치한 수직방향으로 이웃한 버튼들을 조합하여 누르면 해당 문자가 입력된다. If the combination input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described, V, X are allocated between 1, 4, and 7 buttons in a row, and the combination of 1 and 4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pressed. Is entered, and press 4 and 7 in combination to make X be input. Similarly, two rows of F, K, and Q, and three columns of J, Z also input the corresponding characters by combining buttons adjacent to each other vertically located above and below each character.

대각선방향으로의 조합입력에 대해 설명하면, 이웃한 2개의 버튼들의 대각선 중앙에 배정된 B의 경우, 1번 버튼과 5번 버튼을 조합하여 누르거나, 아니면 2번 버튼과 4번 버튼을 조합하여 누르면 입력된다. 마찬가지로, 이웃한 버튼들의 대각선 중앙에 위치한 나머지 3개, 즉 P,M,H도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입력이 가능하다. When the combination input in the diagonal direction is explained, in the case of B assigned to the diagonal center of two adjacent buttons, the first and fifth buttons are pressed in combination, or the second and fourth buttons are combined. Press to enter. Similarly, the remaining three, which are located in the diagonal center of the adjacent buttons, that is, P, M, and H can be input in the same manner as above.

도 3에서 버튼들의 배열은 열방향으로 볼 때 이웃한 열이 서로 약간 엇갈리게 배치함에 의해 2개의 버튼을 동시에 누르거나 오버랩하여 누를 때 2개의 손가락들이 충돌하지 않고 좀더 편리하게 누를 수 있도록 공간을 확보한다. 도 4에서는 도 3과 마찬가지로 손가락들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도 3과 반대방향으로 이웃한 열이 엇갈리게 배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3과 도 4는 버튼들에 약간의 위치이동이 있을 뿐 동일한 원리에 의해 구현된다. The arrangement of buttons in FIG. 3 provides space for two fingers to be pressed more conveniently without colliding when two buttons are pressed simultaneously or overlapped by arranging adjacent rows slightly adjacent to each other when viewed in the column direction. . In FIG. 4, similarly to FIG. 3, neighboring rows are alternately arrang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at of FIG. 3 to secure a space of fingers. 3 and 4 are implemented by the same principle with only a slight shift in the buttons.

이제, 이상 설명한 본 실시예의 영어입력방법을 실제 문자입력예들을 들어서 기존의 영어입력방법과 대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Now, the English input method of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contrast with the conventional English input method by taking actual character input examples.

[문자 [text 입력예Input example 1] One]

본 발명의 영어입력방법을 적용하여 휴대폰 자판에서 아래 문장을 입력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By applying the English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 method of inputting the following sentence in the mobile phone keyboard.

"CELLULAR PHONE IS A BLACK HOLE OF ALL THE FUNCTIONS OF MOBILE UTILITIES."란 문장을 도 1에서 설명한 일반적인 입력방법과 본 발명의 입력방법을 사용하여 입력하여 입력타수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스페이스(SPACE)는 산정하지 아니한다. 이하, 입력타수의 산정에서 영문자의 괄호안의 숫자는 입력타수를 나타낸다. When the sentence "CELLULAR PHONE IS A BLACK HOLE OF ALL THE FUNCTIONS OF MOBILE UTILITIES." Is input using the general input method described in FIG. 1 and the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strokes are compared. Here, the space SPACE is not calculated. Hereinafter, in the calculation of the input stroke, the numerals in parentheses of the alphabet letters indicate the input stroke.

1. 기존 입력방식의 경우1. In case of existing input method

'C(3)+E(2)+L(3)+L(3)+U(2)+L(3)+A(1)+R(2)'+'P(1)+H(2)+O(3)+N(2)+E(2)'+'I(3)+S(3)'+'A(1)'+'B(2)+L(3)+A(1)+C(3)+K(2)'+'H(2)+O(3)+L(3)+E(2)'+'O(3)+F(3)'+'A(1)+L(3)+L(3)'+'T(1)+H(2)+E(2)'+'F(3)+U(2)+N(2)+C(3)+T(1)+I(3)+O(3)+N(2)+S(3)'+'O(3)+F(3)'+'M(1)+O(3)+B(2)+I(3)+L(3)+E(2)'+'U(2)+T(1)+I(3)+L(3)+I(3)+T(1)+I(3)+E(2)+S(3)' 'C (3) + E (2) + L (3) + L (3) + U (2) + L (3) + A (1) + R (2)' + 'P (1) + H ( 2) + O (3) + N (2) + E (2) '+' I (3) + S (3) '+' A (1) '+' B (2) + L (3) + A (1) + C (3) + K (2) '+' H (2) + O (3) + L (3) + E (2) '+' O (3) + F (3) '+' A (1) + L (3) + L (3) '+' T (1) + H (2) + E (2) '+' F (3) + U (2) + N (2) + C (3) + T (1) + I (3) + O (3) + N (2) + S (3) '+' O (3) + F (3) '+' M (1) + O ( 3) + B (2) + I (3) + L (3) + E (2) '+' U (2) + T (1) + I (3) + L (3) + I (3) + T (1) + I (3) + E (2) + S (3) '

=> 138(문자입력)+7(고정버튼)= 총 145타 => 138 (Character Input) +7 (Fixed Button) = 145 total

위의 입력에서 밑줄친 문자사이에는 고정버튼을 눌러 앞의 문자를 확정한 후 뒤에 문자를 입력해야 하므로, 고정버튼의 입력이 추가된다. In the above input, the fixed button is pressed between the underlined letters so that the previous letter must be entered after the previous letter is confirmed.

2. 본 발명의 입력방식의 경우2. In case of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 장단의 연속누름 조합의 경우(장단의 연속누름 2타로 계산)-In case of continuous press combination of short and long term

'C(2)+E(1)+L(1)+L(1)+U(2)+L(1)+A(1)+R(1)'+'P(2)+H(2)+O(1)+N(1)+E(1)'+'I(1)+S(1)'+'A(1)'+'B(2)+L(1)+A(1)+C(2)+K(2)'+'H(2)+O(1)+L(1)+E(1)'+'O(1)+F(2)'+'A(1)+L(1)+L(1)'+'T(2)+H(2)+E(1)'+'F(2)+U(2)+N(1)+C(2)+T(1)+I(1)+O(1)+N(1)+S(1)'+'O(2)+F(2)'+'M(2)+O(1)+B(2)+I(1)+L(1)+E(1)'+'U(2)+T(1)+I(1)+L(1)+I(1)+T(1)+I(1)+E(1)+S(1)' 'C (2) + E (1) + L (1) + L (1) + U (2) + L (1) + A (1) + R (1)' + 'P (2) + H ( 2) + O (1) + N (1) + E (1) '+' I (1) + S (1) '+' A (1) '+' B (2) + L (1) + A (1) + C (2) + K (2) '+' H (2) + O (1) + L (1) + E (1) '+' O (1) + F (2) '+' A (1) + L (1) + L (1) '+' T (2) + H (2) + E (1) '+' F (2) + U (2) + N (1) + C (2) + T (1) + I (1) + O (1) + N (1) + S (1) '+' O (2) + F (2) '+' M (2) + O ( 1) + B (2) + I (1) + L (1) + E (1) '+' U (2) + T (1) + I (1) + L (1) + I (1) + T (1) + I (1) + E (1) + S (1) '

=> 총 78타. => 78 shots in total.

- 동시누름 조합의 경우(동시누름 1타로 계산)-Simultaneous press combination (calculated as 1 simultaneous press)

'C(1)+E(1)+L(1)+L(1)+U(1)+L(1)+A(1)+R(1)'+'P(1)+H(1)+O(1)+N(1)+E(1)'+'I(1)+S(1)'+'A(1)'+'B(1)+L(1)+A(1)+C(1)+K(1)'+'H(1)+O(1)+L(1)+E(1)'+'O(1)+F(1)'+'A(1)+L(1)+L(1)'+'T(1)+H(1)+E(1)'+'F(1)+U(1)+N(1)+C(1)+T(1)+I(1)+O(1)+N(1)+S(1)'+'O(1)+F(1)'+'M(1)+O(1)+B(1)+I(1)+L(1)+E(1)'+'U(1)+T(1)+I(1)+L(1)+I(1)+T(1)+I(1)+E(1)+S(1)' 'C (1) + E (1) + L (1) + L (1) + U (1) + L (1) + A (1) + R (1)' + 'P (1) + H ( 1) + O (1) + N (1) + E (1) '+' I (1) + S (1) '+' A (1) '+' B (1) + L (1) + A (1) + C (1) + K (1) '+' H (1) + O (1) + L (1) + E (1) '+' O (1) + F (1) '+' A (1) + L (1) + L (1) '+' T (1) + H (1) + E (1) '+' F (1) + U (1) + N (1) + C (1) + T (1) + I (1) + O (1) + N (1) + S (1) '+' O (1) + F (1) '+' M (1) + O ( 1) + B (1) + I (1) + L (1) + E (1) '+' U (1) + T (1) + I (1) + L (1) + I (1) + T (1) + I (1) + E (1) + S (1) '

=> 총 59타. => 59 shots in total.

위의 문자입력예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존의 입력방식의 경우 무려 145번의 버튼을 눌러야만 위의 문장을 입력할 수 있는데 비해, 본 발명의 경우 장단의 연속누름 방식의 경우 78타로 입력이 가능하며, 동시누름 방식의 경우 겨우 59타의 적은 누름으로 입력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오버랩누름 방식의 경우는 2개의 버튼의 오버랩 누름을 2타로 계산할 때 위의 장단의 연속누름 방식과 같은 타수로 입력된다. 나아가, 기존 입력방법에서는 동일한 버튼에 배정되는 문자들을 연결하여 입력할 경우 고정버튼을 눌러 앞의 문자를 확정시킨 후 다음 문자를 입력해야 하므로 불필요한 고정버튼의 입력이 필요한 데 반해, 본 입력방법에서는 하나의 버튼에 하나의 문자가 배정되어 있으므로 고정버튼을 누를 필요가 없어 불필요한 추가입력을 제거할 수 있어 입력이 효율적이다. As shown in the character input example 1 above, in the conventional input method, the above sentence can be input only by pressing 145 times. 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tinuous press method of the short and long term, 78 strokes can be input. In the case of simultaneous push method, only 59 strokes can be inputt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the overlap pressing method, when the overlap pressing of the two buttons is calculated with two strokes, the same stroke is input as the above-mentioned continuous pressing method. In addition, in the existing input method, when inputting the characters assigned to the same button by pressing the fixed button to enter the next character after pressing the fixed button, the input of the unnecessary fixed button is required, whereas in this input method Since one letter is assigned to the button, it is not necessary to press the fixed button, so unnecessary extra input can be removed and the input is efficient.

위의 문자입력예를 통해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영어입력방법은 동시누름, 오버랩누름 및 장단의 연속누름 방식 모두 기존 입력방식에 비해 상당히 빠른 입력이 가능하다. As can be seen through the above example of the character input, the English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ntered significantly faster than the conventional input method, both simultaneous pressing, overlap pressing and short-term continuous pressing method.

[문자 [text 입력예Input example 2] 2]

"INTERNATIONAL"이란 단어를 본 실시예의 영어입력방법과 기존 방법에 의해 입력하여 비교하여 보면, When the word "INTERNATIONAL" is inputted according to the English input method and the existing method of the present embodiment,

1. 기존 입력방식의 경우1. In case of existing input method

I(3)+N(2)+T(1)+E(2)+R(3)+N(2)+A(1)+T(1)+I(3)+O(3)+N(2)+A(1)+L(3)I (3) + N (2) + T (1) + E (2) + R (3) + N (2) + A (1) + T (1) + I (3) + O (3) + N (2) + A (1) + L (3)

=> 27(문자입력)+1(고정버튼)= 총 28타 => 27 (Character Input) +1 (Fixed Button) = Total 28 strokes

2. 본 발명의 입력방식의 경우2. In case of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1)+N(1)+T(1)+E(1)+R(1)+N(1)+A(1)+T(1)+I(1)+O(1)+N(1)+A(1)+L(1)I (1) + N (1) + T (1) + E (1) + R (1) + N (1) + A (1) + T (1) + I (1) + O (1) + N (1) + A (1) + L (1)

=> 총 13타=> 13 shots in total

위의 문자 입력예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INTERNATIONAL"이란 단어를 입력할 경우, 기존 방식의 경우 총 28타의 버튼누름이 필요하지만, 본 방식의 경우 각 문자가 모두 각 버튼에 배정되어 각 1타로 입력되므로 기존 방식의 절반 이하의 총 13타로 입력이 가능하여, 신속하고 편리한 문자입력이 가능하게 된다. As can be seen from the character input example 2 above, when the word "INTERNATIONAL" is input, a total of 28 button presses are required in the conventional method, but in this method, each character is assigned to each button. Since it is input by one stroke, it is possible to input with 13 strokes of less than half of the existing method, so that quick and convenient character input is possibl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문자입력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앞의 실시예의 개념을 확장하여 많은 문자를 보다 적은 숫자의 버튼으로 그리고 좀더 작은 타수로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을 보여준다. 5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character input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expands the concept of the previous embodiment and is a method of easily entering a large number of characters with a smaller number of buttons and a smaller stroke. Shows.

본 실시예에서는 많은 버튼들 중 4개의 버튼만을 참조하여 문자입력방법의 원리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나머지 버튼들을 여기서 설명하는 방법과 동일한 원리가 적용된다. 문자는 영어 뿐만 아니라 일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등 각종 언어의 문자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각 버튼에 배정되는 문자는 숫자로 대치하여 도시하고 설명한다. 또한, 각 버튼의 첫째자리에 배정된 1,3,5,7을 버튼 번호로 표시하고 설명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inciple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only four buttons among many buttons, and the same principle as the method described here for the remaining buttons is applied. Characters can be applied not only English but also characters of various languages such as Japanese, French, Russian, and so on, the characters assigned to each button are shown and explained by replacing them with numbers. In addition, 1, 3, 5, and 7 assigned to the first digit of each button are indicated by the button number and explained.

각 버튼의 첫째자리에 배정된 1,3,5,7은 각 버튼을 한번 클릭(click)하면 입력되고, 둘째자리에 배정된 2,4,6,8은 각 버튼을 더블 클릭(double click)하면 입력된다. 버튼들 사이에 수평으로 배정된 9,10,11,12는 두개의 버튼을 오버랩하여 누르거나 장단의 연속누름에 의해 입력되게 된다. 이러한 조합누름은 앞에 자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으며,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이에 더 나아가 두 버튼 사이에 2개의 문자를 배정하고, 두 버튼의 누르는 순서에 따라 2 버튼 사이에 배정된 2개의 문자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입력되게 한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의 방법은 동시누름의 적용은 배제되고, 조합순서가 있는 오버랩 누름이나 장단의 연속누름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1행의 9,10은 각각 1번 버튼과 3번 버튼 사이에 배정되는데, 이때 9는 1번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3번 버튼을 눌러 오버랩시키면 입력되게 하거나 한편으로 1번 버튼과 3번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르되 어느 하나의 버튼은 길게 누르고 다른 하나의 버튼은 짧게 누르는 장단연속누름에 의해 입력되게 할 수 있다. 10의 입력은 9의 입력과 순서가 반대로, 3번 버튼을 먼저 누르고 나중에 1번 버튼을 누르면 조합되어 입력된다. 물론, 3번 버튼을 누르면 3에 해당하는 문자가 그리고 1번 버튼을 누르면 1에 해당하는 문자가 입력되므로, 본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순서적인 누름은 오버랩 누름이나 장단의 연속누름을 의미한다. 1,3,5,7 assigned to the first digit of each button is entered when each button is clicked once, and 2,4,6,8 assigned to the second digit are double clicked. Is entered. 9, 10, 11, and 12 horizontally allocated between the buttons are inputted by overlapping the two buttons or by continuously pressing the buttons. This combination pressing is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except that in this embodiment, two characters are allocated between the two buttons, and any one of the two characters allocated between the two buttons is assigned according to the pressing order of the two buttons. Allow optional input. For this reason, in the method of this embodiment, application of simultaneous pressing is excluded, and overlap pressing or combination short press with a combination order is used. For example, line 9 and 10 are assigned between button 1 and button 3, respectively, where 9 is pressed if button 3 is pressed while button 1 is pressed, or button 1 and Button 3 can be pressed in sequence, but one button is pressed long and the other button is pressed short and continuous. The inputs of 10 are entered in reverse order from the input of 9, by pressing button 3 first and then pressing button 1 later. Of course, when the button 3 is pressed, the letter corresponding to 3 is pressed, and when the button 1 is pressed, the letter corresponding to 1 is input. Therefore, the ordered pressing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means overlap pressing or continuous pressing.

버튼들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배정되는 13,14,15,16의 입력원리도 위에 설명한 수평방향으로 배정된 문자들의 입력원리와 동일하다. 예를 들어, 1렬의 수직방향의 두개의 1번 버튼과 5번 버튼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배정된 13,14는 1번 버튼을 먼저 누르고 5번 버튼을 나중에 누르면 13이 입력되고, 반대로 5번 버튼을 먼저 누르고 1번 버튼을 후에 누르면 14가 입력된다. 물론, 이때 순서적인 버튼의 누름은 오버랩 누름이나 장단의 연속누름이 적용된다. The input principles of 13, 14, 15, and 16 assig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buttons are also the same as the input principles of the horizontally assigned character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13,14 assigned vertically between two buttons 1 and 5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row 1, the first button is pressed first, then the fifth button is pressed to enter 13, and conversely 5 If you press button 1 first and then button 1, 14 is entered. Of course, the sequential pressing of the buttons is applied to the overlap pressing or the continuous pressing of the short and long periods.

대각선방향의 버튼들 사이에 대각선방향으로 배정되는 문자들, 도면에서 17,18,19,20도 2개의 버튼들의 순서적인 누름에 의해 입력되며, 앞에 자세하게 설명한 2개의 버튼들 사이의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배정된 문자들의 입력원리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Characters assigned diagonally between the buttons in the diagonal direction, 17, 18, 19, and 20 in the figure are also input by the sequential pressing of the two buttons, horizontal or vertical between the two buttons described in detail above. Since the input principle is the same as the characters assigned to the direc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문자입력방법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영어를 입력하기 위한 휴대폰 자판배열을 보여준다. 6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character input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cell phone keyboard arrangement for inputting English.

본 실시예의 영어입력방법은 모든 알파벳들의 형태를 분석하여 기본자들을 생성하고, 이 기본자들을 조합시켜 모든 알파벳들을 구성하는 방식이다. 기본자로는 문자생성 원리 및 입력빈도수를 고려하여 0,-,

Figure 112005063692768-pat00005
,I,
Figure 112005063692768-pat00006
,J,M,∧,F의 9개로 구성하고, 각 버튼에 9개의 기본자들을 하나씩 배정한다. 특히, 문자조합시 시각적 연상이 용이하도록 관련문자를 인접배치한다. 예를 들어, 알파벳 'P'는 'O'+'I'가 되므로 'O'+'I'를 1번 버튼과 4번 버튼에 위아래로 배정하여 조합생성되는 'P'가 쉽게 연상되도록 한다. 알파벳 'Q'는 'O'+'-'가 되므로 '-'버튼을 'O'버튼의 우측 옆에 배정하여 쉽게 연상되게 한다. 알파벳 'D'의 경우 'I'의 우측 옆에 '
Figure 112005063692768-pat00007
'을 배정하여 '
Figure 112005063692768-pat00008
'는 좌측 반쪽의 형상이 조합되는 것으로 연상하게 하고, 알파벳 'G'의 경우 '
Figure 112005063692768-pat00009
'의 우측 반쪽의 형상과 '
Figure 112005063692768-pat00010
'의 우측 옆에 배정된 'J'가 조합되는 것으로 연상되게 배치한다. 이를 종합해 보면,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1번 버튼에서부터 9번 버튼까지 위의 기본자들을 하나씩 배열하되, 위에 설명한 조합원리(시각적 연상)에 따라 1번 버튼에 'O', 2번 버튼에 '-', 3번 버튼에 '
Figure 112005063692768-pat00011
', 4번 버튼에 'I', 5번 버튼에 '
Figure 112005063692768-pat00012
', 6번 버튼에 'J', 7번 버튼에 'M', 8번 버튼에 '∧', 9번 버튼에 'F'를 배정하는 것이 좋다. The English input method of the present embodiment analyzes the shapes of all the alphabets to generate the basic characters, and combines the basic characters to form all the alphabets. As basics, 0,-,
Figure 112005063692768-pat00005
, I,
Figure 112005063692768-pat00006
It consists of nine elements, J, M, ∧, and F, and assigns nine basic characters to each button. In particular, related characters are placed adjacent to each other to facilitate visual association in the character combination. For example, the letter 'P' becomes 'O' + 'I' so that 'O' + 'I' is assigned to buttons 1 and 4 up and down so that the 'P' generated by combination is easily recalled. The letter 'Q' becomes 'O' + '-', so assign the '-' button to the right side of the 'O' button to make it easier to associate. In the case of the letter 'D',
Figure 112005063692768-pat00007
By assigning '
Figure 112005063692768-pat00008
'Is reminiscent of the combination of the shapes on the left half, and in the case of the letter' G '
Figure 112005063692768-pat00009
The shape of the right half of 'and'
Figure 112005063692768-pat00010
'J' assigned to the right side of the 'is arranged as a combination. In summary, as shown in FIG. 6, the above basic elements are arranged one by one from the first to the nineth buttons, but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principle (visual association) described above, the first and second buttons are 'O' and second button. On '-', button 3 on '
Figure 112005063692768-pat00011
',' 4 'for button 4,''for button 5
Figure 112005063692768-pat00012
',' J 'for button 6,' M 'for button 7,' ∧ 'for button 8,' F 'for button 9 is good.

위와 같이 각 버튼에 배정된 기본자들을 원상태 그대로 또는 90도 회전시키거나 상하 또는 좌우 대칭시킨 상태로 조합하여 모든 알파벳을 형성하며, 이 조합원리에 근거하여 해당 2개의 버튼을 조합하여 누르면 조합된 알파벳이 입력되게 한다. 이상 설명한 각 알파벳의 조합원리를 정리하면 아래 표 2와 같다. As above, the basic characters assigned to each button are rotated as they are, or rotated 90 degrees, or rotated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to form all the alphabets. To be entered. The combination principle of each alphabet described above is summarized in Table 2 below.

알파벳 조합원리Alphabet Combination Principle 알파벳alphabet 조합방법Combination method 해당 버튼Corresponding button 알파벳alphabet 조합방법Combination method 해당 버튼Corresponding button AA ΛΛ 88 NN Λ+IΛ + I 8+48 + 4 BB I+M(90도회전)⇒

Figure 112005063692768-pat00013
I + M (90 degree rotation) ⇒
Figure 112005063692768-pat00013
4+74 + 7 OO OO 1One CC
Figure 112005063692768-pat00014
(우측선택)
Figure 112005063692768-pat00014
(Right)
55 PP O+I⇒
Figure 112005063692768-pat00015
O + I⇒
Figure 112005063692768-pat00015
1+41 + 4
DD I+
Figure 112005063692768-pat00016
(좌측선택)⇒
Figure 112005063692768-pat00017
I +
Figure 112005063692768-pat00016
(Left choice) ⇒
Figure 112005063692768-pat00017
4+54 + 5 QQ O+_O + _ 1+21 + 2
EE F+_F + _ 9+29 + 2 RR O+Λ⇒
Figure 112005063692768-pat00018
O + Λ⇒
Figure 112005063692768-pat00018
1+81 + 8
FF FF 99 SS
Figure 112005063692768-pat00019
더블 클릭
Figure 112005063692768-pat00019
Double click
55
GG
Figure 112005063692768-pat00020
(우측선택)+J⇒
Figure 112005063692768-pat00021
Figure 112005063692768-pat00020
(The right choice) + J⇒
Figure 112005063692768-pat00021
5+65 + 6 TT -+I-+ I 2+42 + 4
HH I 더블 클릭I double click 4+44 + 4 UU I+JI + J 4+64 + 6 II II 44 VV Λ 더블 클릭Λ Double click 88 JJ JJ 66 WW M 더블 클릭M double click 77 KK I+Λ(90도회전)⇒
Figure 112005063692768-pat00022
I + Λ (90 degree rotation) ⇒
Figure 112005063692768-pat00022
4+84 + 8 XX
Figure 112005063692768-pat00023
Figure 112005063692768-pat00023
33
LL I+_I + _ 4+24 + 2 YY Λ(상하대칭)+_(90도회전)⇒
Figure 112005063692768-pat00024
Λ (Up-down symmetry) + _ (90 degree rotation) ⇒
Figure 112005063692768-pat00024
8+28 + 2
MM MM 77 ZZ
Figure 112005063692768-pat00025
Figure 112005063692768-pat00025
더블클릭
Figure 112005063692768-pat00025
Double click
33

본 방법에서는 순서를 갖는 누름조합원리가 적용되어, 즉 오버랩하여 누르거나 아니면 장단의 연속누름에 의해 조합되며, 나아가 본 방법에는 더블클릭(double click)의 개념이 도입되어 적용된다. In this method, the ordered combination of push combinations is applied, that is, they are pressed by overlapping or are combined by continuous presses of short and long periods. Furthermore, the concept of double click is introduced and applied to the present method.

위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영어입력방법은 A,C,F,I,J,M,O,X는 해당 버튼을 한번 클릭하면 입력되고, H,S,V,W,Z은 해당 버튼을 더블클릭하면 입력되며, 나머지 문자들, B,D,E,G,K,L,N,P,Q,R,T,U,Y는 2개의 버튼을 위의 표 2에 설명한 순서에 입각하여 오버랩하거나 아니면 장단의 연속 누름에 의해 입력된다. 이제, 아래 문자 입력예 3을 통해 기존 입력방법과의 차이에 대해 비교하여 설명한다. As can be seen in Table 2 above, this English input method is A, C, F, I, J, M, O, X is input by clicking the corresponding button once, H, S, V, W, Z is It is entered when you double-click the button. The remaining characters, B, D, E, G, K, L, N, P, Q, R, T, U, and Y, are shown in the order described in Table 2 above. It is inputted by overlapping or based on continuous press. Now, by comparing the difference with the existing input method through the character input example 3 will be described.

[문자 [text 입력예Input example 3] 3]

본 실시예의 영어입력방법과 도 1에서 전술한 기존 방법을 휴대폰 자판에서 아래 문장을 입력하는 방법에 통해 비교하여 보기로 한다. The English input method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existing method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will be compared through the method of inputting the following sentence in the mobile phone keyboard.

"CELLULAR PHONE IS A BLACK HOLE OF ALL THE FUNCTIONS OF MOBILE UTILITIES."란 문장을 기존의 일반적인 입력방법과 본 발명의 입력방법을 사용하여 입력하여 입력타수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When the sentence "CELLULAR PHONE IS A BLACK HOLE OF ALL THE FUNCTIONS OF MOBILE UTILITIES." Is entered using a conventional input method and the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strokes are compared as follows.

1. 기존 입력방식의 경우1. In case of existing input method

'C(3)+E(2)+L(3)+L(3)+U(2)+L(3)+A(1)+R(2)'+'P(1)+H(2)+O(3)+N(2)+E(2)'+'I(3)+S(3)'+'A(1)'+'B(2)+L(3)+A(1)+C(3)+K(2)'+'H(2)+O(3)+L(3)+E(2)'+'O(3)+F(3)'+'A(1)+L(3)+L(3)'+'T(1)+H(2)+E(2)'+'F(3)+U(2)+N(2)+C(3)+T(1)+I(3)+O(3)+N(2)+S(3)'+'O(3)+F(3)'+'M(1)+O(3)+B(2)+I(3)+L(3)+E(2)'+'U(2)+T(1)+I(3)+L(3)+I(3)+T(1)+I(3)+E(2)+S(3)' 'C (3) + E (2) + L (3) + L (3) + U (2) + L (3) + A (1) + R (2)' + 'P (1) + H ( 2) + O (3) + N (2) + E (2) '+' I (3) + S (3) '+' A (1) '+' B (2) + L (3) + A (1) + C (3) + K (2) '+' H (2) + O (3) + L (3) + E (2) '+' O (3) + F (3) '+' A (1) + L (3) + L (3) '+' T (1) + H (2) + E (2) '+' F (3) + U (2) + N (2) + C (3) + T (1) + I (3) + O (3) + N (2) + S (3) '+' O (3) + F (3) '+' M (1) + O ( 3) + B (2) + I (3) + L (3) + E (2) '+' U (2) + T (1) + I (3) + L (3) + I (3) + T (1) + I (3) + E (2) + S (3) '

=> 138(문자입력)+7(고정버튼)= 총 145타 => 138 (Character Input) +7 (Fixed Button) = 145 total

2. 본 발명의 입력방식의 경우2. In case of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 장단의 연속누름 조합의 경우(장단의 연속누름 2타로 계산)-In case of continuous press combination of short and long term

'C(2)+E(2)+L(2)+L(2)+U(2)+L(2)+A(1)+R(2)'+'P(2)+H(2)+O(1)+N(2)+E(2)'+'I(1)+S(1)'+'A(1)'+'B(2)+L(2)+A(1)+C(2)+K(2)'+'H(2)+O(1)+L(2)+E(2)'+'O(1)+F(1)'+'A(1)+L(2)+L(2)'+'T(2)+H(2)+E(2)'+'F(1)+U(2)+N(2)+C(1)+T(2)+I(1)+O(1)+N(2)+S(1)'+'O(1)+F(1)'+'M(1)+O(1)+B(2)+I(1)+L(2)+E(2)'+'U(2)+T(2)+I(1)+L(2)+I(1)+T(2)+I(1)+E(2)+S(1)' 'C (2) + E (2) + L (2) + L (2) + U (2) + L (2) + A (1) + R (2)' + 'P (2) + H ( 2) + O (1) + N (2) + E (2) '+' I (1) + S (1) '+' A (1) '+' B (2) + L (2) + A (1) + C (2) + K (2) '+' H (2) + O (1) + L (2) + E (2) '+' O (1) + F (1) '+' A (1) + L (2) + L (2) '+' T (2) + H (2) + E (2) '+' F (1) + U (2) + N (2) + C (1) + T (2) + I (1) + O (1) + N (2) + S (1) '+' O (1) + F (1) '+' M (1) + O ( 1) + B (2) + I (1) + L (2) + E (2) '+' U (2) + T (2) + I (1) + L (2) + I (1) + T (2) + I (1) + E (2) + S (1) '

=> 총 92타. => 92 shots in total.

- 오버랩누름 조합의 경우(오버랩누름 1타로 계산)-In case of overlap press combination (counted as overlap press 1 stroke)

'C(1)+E(1)+L(1)+L(1)+U(1)+L(1)+A(1)+R(1)'+'P(1)+H(1)+O(1)+N(1)+E(1)'+'I(1)+S(1)'+'A(1)'+'B(1)+L(1)+A(1)+C(1)+K(1)'+'H(1)+O(1)+L(1)+E(1)'+'O(1)+F(1)'+'A(1)+L(1)+L(1)'+'T(1)+H(1)+E(1)'+'F(1)+U(1)+N(1)+C(1)+T(1)+I(1)+O(1)+N(1)+S(1)'+'O(1)+F(1)'+'M(1)+O(1)+B(1)+I(1)+L(1)+E(1)'+'U(1)+T(1)+I(1)+L(1)+I(1)+T(1)+I(1)+E(1)+S(1)' 'C (1) + E (1) + L (1) + L (1) + U (1) + L (1) + A (1) + R (1)' + 'P (1) + H ( 1) + O (1) + N (1) + E (1) '+' I (1) + S (1) '+' A (1) '+' B (1) + L (1) + A (1) + C (1) + K (1) '+' H (1) + O (1) + L (1) + E (1) '+' O (1) + F (1) '+' A (1) + L (1) + L (1) '+' T (1) + H (1) + E (1) '+' F (1) + U (1) + N (1) + C (1) + T (1) + I (1) + O (1) + N (1) + S (1) '+' O (1) + F (1) '+' M (1) + O ( 1) + B (1) + I (1) + L (1) + E (1) '+' U (1) + T (1) + I (1) + L (1) + I (1) + T (1) + I (1) + E (1) + S (1) '

=> 총 59타. => 59 shots in total.

위의 문자입력예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존의 입력방식의 경우 무려 145번의 버튼을 눌러야만 위의 문장을 입력할 수 있는데 비해, 본 발명의 경우 장단의 연속누름 방식의 경우 92타로 입력이 가능하며, 동시누름 방식의 경우 겨우 59타의 적은 누름으로 입력이 가능하다. As shown in the character input example 3 above,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input method, the above sentence can be input only by pressing the button 145, whereas in the case of the continuous press method of the short and long term, the 92 input is possible. In the case of simultaneous push method, only 59 strokes can be inputted.

도 7 및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변형례들을 나타낸 것들로서, 도 7에서는 도 6의 9번 버튼에 'F' 대신에 사용빈도수가 좀더 높은 'E'를 배정하여 'E'의 입력을 손쉽게 하고, 대신 'F'는 오버랩모드가 적용된 경우 4번 버튼(I)을 누른 상태에서 2번 버튼(-)을 2번 연속으로 눌러서 입력하며, 나머지 알파벳들은 도 6에서와 같다. 한편, 동시모드가 적용된 경우는 'T'('-'+'I') 및 'L'('I'+'-')은 순서를 갖는 장단의 연속누름 방식을 채용하고, 'F'는 'I'와 '-'를 동시에 누르면 입력되게 하여 위의 오버랩모드에서 '-'를 두번 누르는 번거로움을 극복할 수 있다. 7 and 8 illustrate modified examples of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6. In FIG. 7, a higher frequency of use of “E” is assigned to button 9 of FIG. 6 instead of “F”. For easy input, 'F' is input by pressing button 2 (-) two times in succession while pressing button 4 when overlap mode is applied, and the rest of the alphabet is as shown in FIG. 6. On the other hand, when the simultaneous mode is applied, 'T' ('-' + 'I') and 'L' ('I' + '-') adopt a long and short continuous press method, and 'F' Press 'I' and '-' at the same time to input so that you can overcome the trouble of pressing '-' twice in overlap mode.

한편, 도 8은 도 7에서 기본자 '-'이 배정된 2번 버튼에 'TL'이 함께 배정되도록 하여 버튼에는 '

Figure 112005063692768-pat00026
'로 표시하고, 2번 버튼을 한번 누르면 'T'가 입력되고, 더블 클릭하면 'L'이 입력되게 한다. 이때, 기본자 '-'은 단독 입력이 불가능하고, 2개의 버튼의 조합입력시에만 기능하게 하여, '-'버튼이 다른 기본자가 배정된 버튼과 조합되어 입력될 경우에만 '-'의 기능을 하도록 한다. 부연설명하면, 'L'이 더블클릭에 의해 입력되므로 'F'는 한번의 4번 버튼(I)과 한번의 2번 버튼(-)을 동시누름이나 순서적으로 오버랩하거나 장단 연속누름으로 입력된다. 물론, 도 8의 입력방법에서도 나머지 알파벳들은 도 7에서의 조합원리와 동일하다. Meanwhile, in FIG. 8, 'TL' is assigned to the second button assigned to the basic character '-' in FIG.
Figure 112005063692768-pat00026
'2' button once to input 'T' and double click to input 'L'. At this time, the basic character '-' cannot be inputted alone, and functions only when a combination of two buttons is input, so that the '-' button functions only when the '-' button is input in combination with a button assigned to another basic character. Do it. In detail, 'L' is inputted by double-clicking, so 'F' is inputted by simultaneously pressing or sequentially overlapping one button (I) and one button (-) at the same time, or by pressing the short and long presses continuously. . Of course, the remaining alphabets in the input method of FIG. 8 are the same as the combination principle of FIG. 7.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버튼입력에 2개 버튼의 동시누름, 오버랩(overlap), 장단(長短)의 연속누름 개념과 더블 클릭(double click)을 도입함에 의하여 버튼의 활용도를 높여 한정된 개수의 버튼에 되도록 많은 문자의 입력을 한번에 수행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영문자 입력의 경우 위와 같은 더블 클릭, 동시누름, 오버랩, 장단 연속누름 모드의 개념도입으로 수평방향, 수직방향 또는 대각선방향으로 2개의 버튼을 위의 방식으로 조합하여 누름으로써 하나의 알파벳을 2번 이하의 누름으로 모두 가능하며 빈도수가 높은 알파벳은 한번의 누름으로 입력되므로, 기존의 하나의 버튼에 적어도 3개의 알파벳을 배정하고 순환입력되는 방식에 비해 문자의 입력타수를 획기적으로 줄임으로써 빠른 영문자의 입력이 가능하고 입력이 간소화되어 사용이 편리하다. 더욱이, 상기 오버랩 누름과 장단의 연속누름에서 순서개념을 도입함으로써 무수히 많은 문자를 적은 수의 버튼과 적은 타수로 입력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mited number of buttons by increasing the utilization of the buttons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simultaneous pressing of two buttons, overlapping, long and short presses, and double click. Allows you to enter as many characters as possible at the button of.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English character input, the concept of double click, simultaneous press, overlap, and short and long press modes is introduced, and one alphabet is pressed by pressing two buttons in the above direction in the horizontal, vertical or diagon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press all the number of times or less, and the high frequency alphabet is input by one push, so assign at least three alphabets to one button and reduce the number of letters input dramatically compared to the method of circular input. Input is possible and input is simplified and it is easy to use. Moreover,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 number of characters can be input with a small number of buttons and a small number of strokes by introducing an order concept in the overlap pressing and the long pressing.

한편으로, 영문자에 있어 알파벳에서 10개 이하의 기본자들을 추출하여 각 버튼에 배정하고 이 기본자들 중에서 2개를 오버랩누름이나 장단연속누름으로 조합하여 모든 알파벳이 생성되도록 함으로써 휴대폰 영어자판의 학습이 용이하여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나아가, 입력빈도수가 높은 문자를 각 버튼에 배정하여 1타로 입력되게 하는 한편 빈도수에 따라 손가락이 접근하기 용이한 위치의 버튼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외곽의 버튼으로 배열함으로써 영어입력의 신속화와 간편화를 도모한다. 이에 따라, 외국인과의 교류가 빈번하여 영어의 사용이 많 은 요즈음 영어입력타수를 줄여 교류의 효율화를 기할 수 있다. 나아가, 각 버튼의 비어 있는 두번째 자리 이상에는 기호들을 배정하여 더블 클릭을 계속하면 순환입력되게 함으로써 기호입력의 용이성을 배가한 효과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English alphabet, 10 or less basic characters are extracted from the alphabet and assigned to each button, and two of these basic characters are combined with overlap or short and long presses so that all alphabets are generated. There is a feature that can be used easily by anyone. Further, by assigning a character with a high input frequency to each button so that it can be inputted as one stroke, it is possible to speed up and simplify English input by sequentially arranging the buttons from the position of the finger accessible position according to the frequency. As a result, the number of exchanges with foreigners and frequent use of English reduces the number of English input strokes these days,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exchange. Furthermore, there is an effect that doubles the ease of symbol input by assigning symbols to the second or more empty positions of each button so that a double click is continued.

더욱이, 본 발명의 문자입력 메카니즘은 전자기기에 장착되는 프로그램으로써 구현되며, 따라서 기존의 문자입력버튼이 구비된 전자기기에서 프로그램만 변경하면 쉽게 적용될 수 있어 기존 제품에 적용이 간편하고 용이하다. In addition, the character input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as a program mounted on an electronic device, and thus can be easily applied only by changing a program in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n existing character input button, which is simple and easy to apply to an existing product.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 의해서만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only presented by selecting the most preferred examples to help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various possible examples,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or limited only by this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s well as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Claims (17)

전자기기의 자판에서, 각 버튼에 하나씩의 문자를 배정하고, 이웃한 2개의 버튼들 사이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문자를 배정하여 상기 이웃한 2개의 버튼들을 동시에 누르거나, 오버랩하여 누르거나, 장단의 연속누름에 의해 2개의 버튼 사이에 배정된 상기 문자가 입력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버튼을 갖는 전자기기의 문자입력방법. In the keyboard of the electronic device, one letter is assigned to each button, and at least one letter is assigned between two adjacent buttons to simultaneously press, overlap, or press the adjacent two buttons. Character input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haracter input button, characterized in that by pressing the letter assigned between the two buttons is inpu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웃한 2개의 버튼들은 수평방향, 수직방향 및 대각선방향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이상으로 이웃한 버튼들이고, 상기 이웃한 2개의 버튼들 사이에 각각 하나씩의 문자를 배정하여 상기 동시누름, 오버랩누름, 장단연속누름 중에서 어느 하나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2개의 버튼들을 누름에 의해 그 사이에 배정된 문자가 입력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버튼을 갖는 전자기기의 문자입력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wo neighboring buttons are buttons adjacent to each other in at least one direction among a horizontal direction, a vertical direction, and a diagonal direction, and one letter is allocated between the two adjacent buttons.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having a character input button, characterized in that by pressing the two buttons by using any one or more of the simultaneous pressing, overlap pressing, short and continuous press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웃한 2개의 버튼들은 수평방향, 수직방향 및 대각선방향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이상으로 이웃한 버튼들이고, 상기 이웃한 2개의 버튼들 사이에 2개씩의 문자를 배정하고 상기 오버랩누름 또는 장단연속누름을 이용하여 상기 2개의 버튼들을 누르는 순서에 입각하여 그 사이에 배정된 2개의 문자들 중에서 해당 문자가 선택적으로 입력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버튼을 갖는 전자기기의 문자입력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wo neighboring buttons are buttons adjacent to each other in at least one direction among a horizontal direction, a vertical direction, and a diagonal direction, and two characters are allocated between the two adjacent buttons. Character of the electronic device having a character input butt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rresponding character is selectively input among the two characters assigned between the two buttons assigned by pressing the overlap or short and long continuous press Input method.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각 버튼에는 2개의 문자가 첫번째 자리와 두번째 자리에 배정되며, 첫번째 자리에 배정된 문자는 한번의 누름에 의해 입력되고, 두번째 자리에 배정된 문자는 더블 클릭에 의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버튼을 갖는 전자기기의 문자입력방법. 4.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wo letters are assigned to the first and second digits of each button, the characters assigned to the first digit are input by one press, and the characters assigned to the second digit are input by double-clicking. Character input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haracter input button, characterized in that the. 행과 열로 버튼들이 배열된 전자기기의 자판에서, 9개의 버튼에 알파벳 'T','I','N','A','E','R','S','O','L'을 배정하고, 이웃한 버튼들 사이에 수평방향, 수직방향 및 대각선방향으로 나머지 알파벳들을 각각 배정하여, 수평방향, 수직방향 및 대각선방향으로 이웃한 2개의 버튼들이 동시에 눌려지거나 오버랩하여 눌려지거나 장단의 연속으로 눌려지는 경우 해당 방향으로 상기 2개의 버튼들 사이에 배정된 문자가 입력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버튼을 갖는 전자기기의 영어입력방법. In an electronic keyboard with buttons arranged in rows and columns, the nine buttons have the letters 'T', 'I', 'N', 'A', 'E', 'R', 'S', 'O', By assigning 'L' and assigning the remaining alphabets in the horizontal, vertical and diagonal directions to each other between the adjacent buttons, the two adjacent buttons in the horizontal, vertical and diagonal directions are simultaneously pressed or overlapped. English input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haracter input butt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racter assigned to the input between the two buttons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when pressed in a continuous or short.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자판은 4행 3열로 버튼들이 배열되고, 1행 내지 3행의 각 행의 3개씩의 버튼들 사이에 각각 문자들이 배정되어 총 6개의 알파벳이 수평방향으로 배정되고, 각 열의 4개씩의 버튼들 사이에 각각 문자들이 배정되고 두 버튼의 대각선 방향으로 각각 문자들이 배정되어 나머지 알파벳들이 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문자입력버튼을 갖는 전자기기의 영어입력방법. The keyboard of claim 5, wherein the buttons are arranged in four rows and three columns, and letters are allocated between three buttons of each row of one row to three rows, so that a total of six alphabets are alloc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haracters are assigned between each of the four buttons of each row, and the letters are assigned in the diagonal direction of the two buttons, the remaining alphabets are assigned English input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having a character input button.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휴대폰이고, 상기 알파벳 'T','I','N','A','E','R','S','O','L'은 휴대폰의 1번 버튼에서부터 9번 버튼까지 차례로 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버튼을 갖는 전자기기의 영어입력방법.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electronic device is a mobile phone, the alphabet 'T', 'I', 'N', 'A', 'E', 'R', 'S', 'O', 'L' The English input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having a character input button, characterized in that assigned in turn from the first button to the 9 button of the mobile phone.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각 버튼들은 동시누름이나 오버랩누름시 두 손가락의 충돌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열방향에서 볼 때 지그재그(zigzag)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버튼을 갖는 전자기기의 영어입력방법. 8. The electronic device of claim 6 or 7, wherein each button is arranged in a zigzag when viewed in the column direction to minimize the collision of two fingers when simultaneously pressing or overlapping. English input method.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각 버튼의 두번째 자리이상에 기호들을 배정하여, 더블 클릭에 의해 순환되면서 기호들이 입력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 버튼을 갖는 전자기기의 영어입력방법.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symbols are assigned to the second digit or more of the buttons so that the symbols are input while being cycled by double-clicking. 행과 열로 버튼들이 배열된 전자기기의 자판에서, 0,-,
Figure 112005063692768-pat00027
,I,,J,M,∧,E의 9개의 기본자를 각 버튼에 하나씩 배정하고, O,X,I,C,J,M,A,E는 각 버튼의 한번 누름으로써 입력되고, 나머지 알파벳들은 상기 기본자가 배정된 2개의 버튼을 오버랩누름이나 장단의 연속조합누름에 의해 또는 하나의 버튼을 더블 클릭함에 의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버튼을 갖는 전자기기의 영어입력방법.
In the keyboard of the electronic device with buttons arranged in rows and columns, 0,-,
Figure 112005063692768-pat00027
, I, N, J, M, ∧, E are assigned to each button one by one, O, X, I, C, J, M, A, E is entered by pressing each button once, the rest of the alphabet is the basic English input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haracter input button, characterized in that the input of two buttons assigned by the self-overlapping by pressing the overlap or short and continuous combination or by double-clicking one button.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나머지 알파벳들은 상기 2개의 버튼의 오버랩누름이나 장단의 연속조합누름 및 상기 더블 클릭에 의해 아래표와 같은 조합으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버튼을 갖는 전자기기의 영어입력방법. The English of th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letter input button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remaining alphabets are input in the combination a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by the overlap pressing of the two buttons or the continuous combination pressing of the short and long clicks and the double click. Input method. 알파벳alphabet 조합방법Combination method 알파벳alphabet 조합방법Combination method BB I+MI + M QQ O+_O + _ DD I+
Figure 112005063692768-pat00029
I +
Figure 112005063692768-pat00029
RR O+ΛO + Λ
FF I+-+-(오버랩)I +-+-(overlap) SS
Figure 112005063692768-pat00030
더블클릭
Figure 112005063692768-pat00030
Double click
GG
Figure 112005063692768-pat00031
+J
Figure 112005063692768-pat00031
+ J
TT -+I-+ I
HH I 더블클릭I double click UU I+JI + J KK I+Λ(90도 회전)I + Λ (rotate 90 degrees) VV Λ 더블클릭Λ Double click LL I+_I + _ WW M 더블클릭M double click NN Λ+IΛ + I YY Λ(상하대칭)+_(90도회전)Λ (up-down symmetry) + _ (90 degree rotation) PP O+IO + I ZZ
Figure 112005063692768-pat00032
더블클릭
Figure 112005063692768-pat00032
Double click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자 '-'은 단독 입력이 불가능하고, 2개의 버튼 의 조합입력시에만 기능하는 것으로, 상기 기본자 '-'이 배정된 버튼에는 'TL'이 함께 배정되어 버튼에는 '
Figure 112005063692768-pat00033
'로 표시하고 한번 누름에 의해 알파벳 'T'가 입력되고 더블 클릭에 의해 알파벳 'L'이 입력되며, '-'버튼이 다른 기본자가 배정된 버튼과 조합되어 입력될 경우에만 '-'의 기능을 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버튼을 갖는 전자기기의 영어입력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basic character '-' cannot be input alone, and functions only when a combination of two buttons is input. The button to which the basic character '-' is assigned is assigned with 'TL' and thus buttons. In the '
Figure 112005063692768-pat00033
'T' is displayed by pressing '1' and 'L' is input by double clicking, and 'L' is input by double clicking, and '-' function is entered only when the '-' button is entered in combination with a button assigned to another basic user. English input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haracter input button, characterized in that the.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휴대폰이며, 상기 9개의 기본자 0,-,
Figure 112005063692768-pat00034
,I,
Figure 112005063692768-pat00035
,J,M,∧,E는 휴대폰의 1번 버튼에서부터 9번 버튼까지 차례로 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버튼을 갖는 전자기기의 영어입력방법.
The electronic device of claim 11, wherein the electronic device is a mobile phone.
Figure 112005063692768-pat00034
, I,
Figure 112005063692768-pat00035
, J, M, ∧, E are English input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having a character input button, characterized in that assigned to the button from the first button to the ninth button of the mobile phone.
행과 열로 버튼들이 배열된 전자기기의 자판에서, 0,-,
Figure 112005063692768-pat00036
,I,
Figure 112005063692768-pat00037
,J,M,∧,F의 9개의 기본자를 각 버튼에 하나씩 배정하고, O,X,I,C,J,M,A,F는 각 버튼의 한번 누름으로써 입력되고, 나머지 알파벳들은 상기 기본자가 배정된 2개의 버튼을 오버랩누름이나 장단의 연속조합누름에 의해 또는 하나의 버튼을 더블 클릭함에 의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버튼을 갖는 전자기기의 영어입력방법.
In the keyboard of the electronic device with buttons arranged in rows and columns, 0,-,
Figure 112005063692768-pat00036
, I,
Figure 112005063692768-pat00037
Assigns nine basic characters, J, M, ∧, and F to each button, and O, X, I, C, J, M, A, and F are input by pressing each button once, and the remaining alphabets English input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haracter input button, characterized in that the input of two buttons assigned by the self-overlapping by pressing the overlap or short and continuous combination or by double-clicking one button.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나머지 알파벳들은 상기 2개의 버튼의 오버랩누름이 나 장단의 연속조합누름 및 상기 더블 클릭에 의해 아래표와 같은 조합으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버튼을 갖는 전자기기의 영어입력방법. 15. The electronic device of claim 14, wherein the remaining alphabets are input in a combination a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by the overlap pressing of the two buttons or the continuous combination pressing of the short and long clicks and the double click. English input method. 알파벳alphabet 조합방법Combination method 알파벳alphabet 조합방법Combination method BB I+MI + M QQ O+_O + _ DD I+
Figure 112005063692768-pat00038
I +
Figure 112005063692768-pat00038
RR O+ΛO + Λ
EE F+-(오버랩)F +-(overlap) SS
Figure 112005063692768-pat00039
더블클릭
Figure 112005063692768-pat00039
Double click
GG
Figure 112005063692768-pat00040
+J
Figure 112005063692768-pat00040
+ J
TT -+I-+ I
HH I 더블클릭I double click UU I+JI + J KK I+Λ(90도 회전)I + Λ (rotate 90 degrees) VV Λ 더블클릭Λ Double click LL I+_I + _ WW M 더블클릭M double click NN Λ+IΛ + I YY Λ(상하대칭)+_(90도회전)Λ (Up-down symmetry) + _ (90 degree rotation) PP O+IO + I ZZ
Figure 112005063692768-pat00041
더블클릭
Figure 112005063692768-pat00041
Double click
제 10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각 버튼의 두번째 또는 세번째 자리 이상에는 기호들이 배정되어, 더블 클릭에 의해 순환하면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버튼을 갖는 전자기기의 영어입력방법. 15. The English input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with a character input button according to claim 10 or 14, wherein symbols are assigned to the second or third digits or more of each button and circulated by double clicking.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휴대폰이며, 상기 9개의 기본자 0,-,
Figure 112005063692768-pat00042
,I,
Figure 112005063692768-pat00043
,J,M,∧,F는 휴대폰의 1번 버튼에서부터 9번 버튼까지 차례로 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버튼을 갖는 전자기기의 영어입력방법.
The electronic device of claim 15, wherein the electronic device is a mobile phone.
Figure 112005063692768-pat00042
, I,
Figure 112005063692768-pat00043
, J, M, ∧, F is English input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having a character input button, characterized in that assigned to the button from the first button to the ninth button.
KR1020050105547A 2005-10-21 2005-11-04 Method for inputting words in an electronic appliance with buttons of inputting words KR1005801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5547A KR100580146B1 (en) 2005-10-21 2005-11-04 Method for inputting words in an electronic appliance with buttons of inputting word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WOPCT/KR2005/003525 2005-10-21
PCT/KR2005/003525 WO2007046567A1 (en) 2005-10-21 2005-10-21 Method for inputting words in an electronic appliance with buttons of inputting words
KR1020050105547A KR100580146B1 (en) 2005-10-21 2005-11-04 Method for inputting words in an electronic appliance with buttons of inputting word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0146B1 true KR100580146B1 (en) 2006-05-16

Family

ID=37181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5547A KR100580146B1 (en) 2005-10-21 2005-11-04 Method for inputting words in an electronic appliance with buttons of inputting word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0146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770B1 (en) 2006-08-16 2008-02-21 에이디반도체(주) Character input apparatus
KR100837292B1 (en) 2006-08-07 2008-06-12 이재관 Hangul input method of telephone
KR100846042B1 (en) 2007-01-22 2008-07-11 김기주 The method of providing more bigger effect of button
KR100942825B1 (en) 2008-02-19 2010-02-18 주식회사 케이투이엔지 System and method for inputting phrase to device applying virtual keyboar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00922A1 (en) 2000-03-23 2002-01-03 Hajime Hosak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llowing inputting operation with one han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00922A1 (en) 2000-03-23 2002-01-03 Hajime Hosak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llowing inputting operation with one hand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292B1 (en) 2006-08-07 2008-06-12 이재관 Hangul input method of telephone
KR100805770B1 (en) 2006-08-16 2008-02-21 에이디반도체(주) Character input apparatus
KR100846042B1 (en) 2007-01-22 2008-07-11 김기주 The method of providing more bigger effect of button
KR100942825B1 (en) 2008-02-19 2010-02-18 주식회사 케이투이엔지 System and method for inputting phrase to device applying virtual keyboar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WO2008029492A1 (en) Input device
KR10034997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the English Alphabet Using the Shorten Keypad
KR100580146B1 (en) Method for inputting words in an electronic appliance with buttons of inputting words
RU2334366C2 (en) Method of words input in electronic device using keys for words input
KR100749137B1 (en)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using directional key
KR100933833B1 (en) Keypad equipped with a shortcut key and English letter input method using the same
KR20110098477A (en) Method for inputting word using circle character board and user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KR20020021589A (en) Apparatus for inputting key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by direction key
KR100271375B1 (en)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s with restricted keys, method and telephone terminal using same
KR100370427B1 (en) Hangul input method in a mobile station
KR100652744B1 (en) Keypad structure and character input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557139B1 (en) Key array of keyboard
KR100586319B1 (en) keypad and charactor input device
KR100714066B1 (en) Metho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in a mobile device and keypad therefor
KR20060033275A (en) Method for inputting korean words and english words in a mobile phone
KR100377416B1 (en) Telephone and Hangul inputting method using it
KR20050110329A (en) Input device of character for mobilephone and the method thereof
KR20010091356A (en) Efficient Hangul Input Device and Method of Mobile Phone
KR100626680B1 (en) Input apparatus of english
KR100714067B1 (en) Method for inputting korean letters in a mobile device
KR20080023068A (en) Character input device for inputting of alphabet character
KR20030004230A (en)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s wherein Consonant and Vowel Keys are separately Assigned
KR100412571B1 (en)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 to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KR200254882Y1 (en) Universal Simplified Key Boards
KR200290468Y1 (en) Tele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