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5927B1 - Wcdma망에서의 데이터 로밍 서비스 개선을 위한 장치및 그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Wcdma망에서의 데이터 로밍 서비스 개선을 위한 장치및 그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5927B1
KR100625927B1 KR1020050099135A KR20050099135A KR100625927B1 KR 100625927 B1 KR100625927 B1 KR 100625927B1 KR 1020050099135 A KR1020050099135 A KR 1020050099135A KR 20050099135 A KR20050099135 A KR 20050099135A KR 100625927 B1 KR100625927 B1 KR 100625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criber station
call
network
subscriber
roa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9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우형
박상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50099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59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5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5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73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adapting protocols for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to wireless environment, e.g. adapting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WCDMA망에서 구현되는 데이터 로밍 서비스를 개선하여 호 유형에 걸맞는 로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호처리 요구 가입자 단말의 식별정보와 상기 가입자 단말이 현재 속해 있는 망에 대한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가입자 단말이 홈망에 위치하는지 방문망에 위치하는지 여부와, 자국 가입자인지 타국 가입자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로밍 호 여부를 파악하는 호 유형 판별수단; 및 상기 가입자 단말의 호 유형에 상응하는 호처리가 수행되도록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의 할당을 제어하는 호 유형별 처리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로밍 서비스 관리장치가 개시된다.
WCDMA, 로밍, GPRS, GGSN, SGSN, PDP, CG

Description

WCDMA망에서의 데이터 로밍 서비스 개선을 위한 장치 및 그 처리방법{APPARATUS FOR IMPROVING DATA ROAMING SERVICE IN WCDMA NETWORK AND MANAGING METHOD THEREOF}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로밍 서비스 관리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망의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로밍 서비스 관리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도 2의 호 유형 판별수단이 참조하는 SGSN 리스트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테이블.
도 4는 도 2의 호 유형 판별수단에 의해 구분되는 호 유형을 나타내는 테이블.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로밍 처리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절차도.
도 6은 도 5에서 호 유형별로 과금 시스템 연동처리가 수행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00...데이터 로밍 서비스 관리장치 101...리스트 관리수단
102...가입자 정보 DB 103...SGSN 리스트 DB
104...호 유형 판별수단 105...호 유형별 처리수단
106...과금 처리수단 107...과금 게이트웨이
108...차등 과금서버
본 발명은 WCDMA망의 데이터 로밍(Roaming) 서비스 관리장치 및 그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입자 단말의 로밍 상태에 상응하는 호처리와 과금처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WCDMA망의 데이터 로밍 서비스 관리장치 및 그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 로밍 서비스는 가입자 단말이 다른 서비스 지역이나 다른 국가로 이동하더라도 동일한 번호를 유지한 채로 패킷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서비스로서, 특히 국제 로밍에 적합한 WCDMA망에 기반하여 향후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로밍 서비스는 서로 다른 사업자 간의 협정을 통해 로밍 연동이나 요금 체계 등이 결정되므로 자국망에서의 서비스와 로밍시의 서비스를 구분하여 차별화된 과금 처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재 WCDMA의 데이터 로밍 표준 규격에는 홈망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과 홈망 SGSN(Serving GPRS Supporting Node) 간의 연동 인터페이스인 Gn과, 홈망 GGSN과 방문망 SGSN 간의 연동 인터페이스인 Gp를 홈망 GGSN에서 구분하여 로밍호임을 확정하는 기준이 정의되어 있지 않아 로밍 여부와 관련된 호 유형에 걸맞는 적절한 호처리 기능이 제공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501161호(착신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착신 데이터 로밍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는 홈망의 HLR(Home Location Register)로부터 모바일 단말기가 소속된 SGSN의 위치와 해외 로밍 정보를 제공받아 로밍 여부를 확인한 후 해당 절차를 수행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특허의 경우 착신제어시스템이 HLR로 가입자 정보를 조회해야 하는 등 처리절차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여전히 로밍 여부와 관련된 여러 호 유형을 구분할 수 있는 기준은 제시되어 있지 않다.
한편, 과금 처리를 위해 종래에는 가입자 단말에 대하여 일반 호처리가 수행되는 경우와 로밍 호처리가 수행되는 경우를 별도로 구분하지 않고 일괄적으로 과금 게이트웨이(Charging Gateway; CG) 혹은 차등 과금서버를 연동시키는 방식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여기서, 로밍 서비스를 위해 과금 게이트웨이를 연동시키는 기술 자체는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418479호(동기와 비동기 이동 통신망 간의 데이터 서비스 로밍을 위한 차세대 비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일반 호처리와 로밍 호처리에 대하여 일괄적으로 과금 게이트웨이만을 연동시키는 경우에는 데이터 서비스별로 차등 과금을 적용할 수 없으며, 반대로 일반 호처리와 로밍 호처리 모두에 대하여 차등 과금서버를 연동시키게 되면 로밍 호처리시 로밍 협정에 의해 정해진 요율과 차등 과금율간의 상호 맵핑(Mapping)이 곤란하여 과금 처리를 원활히 수행할 수 없는 취약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로밍 여부를 감안하여 가입자 단말의 호를 유형별로 구분, 인식하고, 그에 따라 패킷 데이터의 전송 세션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WCDMA망의 데이터 로밍 서비스 관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반 호의 경우에는 데이터 서비스별로 차등 과금을 적용할 수 있으며, 로밍 호의 경우에는 규격화된 과금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WCDMA망의 데이터 로밍 서비스 관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로밍 서비스 관리장치는, 호처리 요구 가입자 단말의 식별정보와 상기 가입자 단말이 현재 속해 있는 망에 대한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가입자 단말이 홈망에 위치하는지 방문망에 위치하는지 여부와, 자국 가입자인지 타국 가입자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로밍 호 여부를 파악하는 호 유형 판별수단; 및 상기 가입자 단말의 호 유형에 상응하는 호 처리가 수행되도록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의 할당을 제어하는 호 유형별 처리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호 유형별 처리수단은, 홈망에 위치한 자국 가입자 단말에 대해서는 일반 호처리가, 홈망에 위치한 타국 가입자 단말에 대해서는 인바운드 로밍 호처리가, 방문망에 위치한 자국 가입자 단말에 대해서는 아웃바운드 로밍 호처리가 수행되도록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의 할당을 제어하고, 방문망에 위치한 타국 가입자 단말에 대해서는 에러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는 로밍 호처리의 경우 차등 과금서버와의 연동을 배제하는 한편, 과금 게이트웨이(CG)를 연동시켜 패킷 데이터의 사용량 및 사용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근거하여 과금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과금 처리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WCDMA망에 구비되는 GPRS 시스템의 GGSN 장치에 있어서, 호처리 요구 가입자 단말의 식별정보와 상기 가입자 단말을 관리하는 SGSN의 어드레스를 획득하고, 상기 가입자 단말이 홈망에 위치하는지 방문망에 위치하는지 여부와, 자국 가입자인지 타국 가입자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로밍 호 여부를 파악하는 호 유형 판별수단; 및 상기 가입자 단말의 호 유형에 상응하는 호처리가 수행되도록 상기 가입자 단말에 대한 IP 주소의 할당을 제어하는 호 유형별 처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GSN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GGSN 장치에는 SGSN 리스트와 자국 가입자 단말의 식별정보 리스트를 관리하는 리스트 관리수단;이 더 포함되고, 상기 호 유형 판별수단은, 상기 가입자 단말을 관리하는 SGSN으로부터 상기 IP 주소의 할당을 위한 PDP 컨텍스트 생성 요구 메시지가 수신되었을 때 상기 PDP 컨텍스트 생성 요구 메시지에 포함된 가입자 단말 식별정보와 SGSN 어드레스를 상기 리스트와 비교하여 로밍 호 여부를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 유형별 처리수단은, 홈망에 위치한 자국 가입자 단말에 대해서는 일반 호처리가, 홈망에 위치한 타국 가입자 단말에 대해서는 인바운드 로밍 호처리가, 방문망에 위치한 자국 가입자 단말에 대해서는 아웃바운드 로밍 호처리가, 방문망에 위치한 타국 가입자 단말에 대해서는 에러 처리가 수행되도록 상기 SGSN으로 PDP 컨텍스트 응답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GGSN 장치에는 로밍 호처리의 경우 차등 과금서버와의 연동을 배제하는 한편, 과금 게이트웨이(CG)를 연동시켜 패킷 데이터의 사용량 및 사용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근거하여 과금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과금 처리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WCDMA망에서의 데이터 로밍 서비스 처리방법에 있어서, (a) 호처리 요구 가입자 단말의 식별정보와 상기 가입자 단말이 속한 망의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식별정보를 이용해 상기 가입자 단말이 홈망에 위치하는지 방문망에 위치하는지 여부와, 자국 가입자인지 타국 가입자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로밍 호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 및 (c) 상기 가입자 단말의 호 유형에 상응하는 호처리가 수행되도록 상기 가입자 단말에 대한 프로토콜의 할당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밍 처리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가입자 단말이 속한 망의 식별정보로는 해당 망을 관리하는 SGSN 어드레스가 사용되고, 상기 단계 (c)는 가입자 단말에 대한 IP 주소의 할당을 제어하도록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a)는, 상기 SGSN이 전송한 PDP 컨텍스트 생성 요구 메시지를 분석함으로써 수행되고, 상기 단계 (b)에서는, 상기 PDP 컨텍스트 생성 요구 메시지에 포함된 가입자 단말 식별정보와 SGSN 어드레스를 해당 리스트와 비교하여 로밍 호 여부를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c)에서는, 홈망에 위치한 자국 가입자 단말에 대해서는 일반 호처리가, 홈망에 위치한 타국 가입자 단말에 대해서는 인바운드 로밍 호처리가, 방문망에 위치한 자국 가입자 단말에 대해서는 아웃바운드 로밍 호처리가, 방문망에 위치한 타국 가입자 단말에 대해서는 에러 처리가 수행되도록 상기 SGSN으로 PDP 컨텍스트 응답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WCDMA망에 구비되는 GPRS 시스템의 GGSN 장치에 탑재되어 판독되는 기록매체로서, 호처리 요구 가입자 단말을 관리하는 SGSN으로부터 PDP 컨텍스트 생성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의 식별정보와 SGSN 어드레스 정보를 획득하는 절차와, 상기 PDP 컨텍스트 생성 요구 메시지에 포함된 가입자 단말 식별정보와 SGSN 어드레스를 데이터베이스의 해당 리스트와 비교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이 홈망에 위치하는지 방문망에 위치하는지 여부와, 자국 가입자인지 타국 가입자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로밍 호 여부를 파악하는 절차와, 상기 가입자 단말의 호 유형에 상응하는 호처리가 수행되도록 상기 가입자 단 말에 대한 IP 주소의 할당을 제어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로밍 서비스 관리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망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로밍 서비스 관리장치(100)는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시스템의 GGSN(Gateway GPRS Supporting Node) 형태로 제공되어 호 유형별 세션(Session) 관리 및 로밍 과금 처리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데이터 로밍 서비스 관리장치(100)가 GGSN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 데이터 로밍 서비스 관리장치(100)는 PDN(Packet Data Network)(180)으로부터 패킷 데이터가 도착했을 때 어떤 SGSN(Serving GPRS Supporting Node)으로 보낼 것인지를 결정하고, GPRS 백본망(110,240)을 통해 연결 된 해당 SGSN으로 패킷 데이터를 라우팅하는 기능을 기본적으로 수행한다.
데이터 로밍 서비스 관리장치(100)는 가입자 단말(MS)(200)이 홈망(PLMN 1)에 위치하는지 방문망(PLMN 2)에 위치하는지 여부와, 자국 가입자인지 타국 가입자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로밍 여부를 파악한다.
GPRS 시스템에 있어서, 홈망(PLMN 1)과 방문망(PLMN 2)은 망간 연동, 보호 및 보안 기능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인 BG(Border Gateway)(160,250)에 의해 연결된다.
기지국 및 기지국 제어기를 포함하는 무선접속망(210)을 통해 접속을 시도하는 가입자 단말(100)에 대해 등록, 인증, 위치갱신 등의 처리를 수행하도록 홈망(PLMN 1)과 방문망(PLMN 2)에는 각각 MSC1/VLR 1(130) 및 HLR(140)과 MSC 2/VLR 2(230)가 구비된다. 여기서, MSC1/VLR 1(130)과 HLR(140)은 신뢰성 있고 빠른 정보의 교환을 위해 NO.7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신호망인 SS7(Signaling System 7)(150)을 통해 연결된다.
또한, 홈망(PLMN 1)과 방문망(PLMN 2)의 GPRS 백본망(100,24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SGSN(예컨대, SGSN 1(120)과 SGSN 2(220))이 연결되어 무선접속망(210)과 데이터 로밍 서비스 관리장치(100) 간의 라우팅 기능을 수행하고, 가입자 단말(200)의 위치 추적과, 인증, 액세스 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GGSN과 SGSN(120,220)은 연동 DNS(Domain Name System)(170,260)로부터 IP 어드레스(Address)를 제공받게 되며, 이렇게 부여된 IP 어드레스는 가입자 단말에 대하여 IP를 할당하기 위한 PDP(Packet Data Protocol) 컨텍스트(Context)에 포함 된다. 여기서, 사용가능한 PDP 타입으로는 예컨대, IPv4, IPv6, PPP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로밍 서비스 관리장치(100)의 구성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데이터 로밍 서비스 관리장치(100)에는 가입자 정보와 SGSN 리스트를 관리하는 리스트 관리수단(101)과, 호처리 요구 가입자 단말의 호 유형을 파악하는 호 유형 판별수단(104)과, 호 유형에 상응하는 세션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프로토콜의 할당을 제어하는 호 유형별 처리수단(105)과, 호 유형에 상응하는 과금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과금 게이트웨이(107) 및/또는 차등 과금서버(108)와의 연동을 제어하는 과금 처리수단(106)이 구비된다.
리스트 관리수단(101)은 자국 가입자 단말의 MCC(Mobile Country Code), MNC(Mobile Network Code),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등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가입자 정보 DB(102)와, GPRS 시스템을 이루는 SGSN들에 대한 IP 어드레스를 저장하는 SGSN 리스트 DB(103)에 대한 데이터 추가, 변경 및 삭제 등의 관리기능을 수행한다. 도 3에는 리스트 관리수단(101)에 의해 관리되는 SGSN 리스트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SGSN 리스트에는 자국망 및 타국망의 SGSN에 대한 어드레스 정보가 포함된다.
호 유형 판별수단(104)은 호처리 요구 가입자 단말(200)의 식별정보와 상기 가입자 단말(200)이 속해 있는 SGSN의 어드레스를 획득하고, 가입자 정보 DB(102) 및 SGSN 리스트 DB(103)를 활용하여 로밍 호 여부를 파악한다. 즉, 호 유형 판별수 단(104)은 획득된 SGSN 어드레스를 SGSN 리스트와 비교하여 가입자 단말(200)이 홈망에 위치하는지 방문망에 위치하는지 여부와, 자국 가입자인지 타국 가입자인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로밍 호 여부를 판별한다.
호 유형 판별수단(104)은 호처리 요구 가입자 단말(200)이 속한 SGSN으로부터 PDP 컨텍스트 생성 요청(Create PDP Context Request) 메시지가 수신되었을 때 PDP 컨텍스트에 포함된 가입자 단말 식별정보와 SGSN 어드레스를 획득한다.
바람직하게, 호 유형 판별수단(104)은 호 유형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자국 가입자 단말이 홈망에 위치한 경우는 일반 호(자국 호), 타국 가입자 단말이 홈망에 위치한 경우는 인바운드 로밍(Inbound Roaming) 호, 자국 가입자 단말이 방문망에 위치한 경우는 아웃바운드 로밍(Outbound Roaming) 호, 타국 가입자 단말이 방문망에 위치한 경우는 로밍 에러(Error) 상태로 판단한다.
호 유형별 처리수단(105)은 가입자 단말(200)의 호 유형에 상응하는 호처리가 수행되도록 상기 가입자 단말(200)에 대한 IP 주소의 할당을 제어한다. 즉, 호 유형별 처리수단(105)은 가입자 단말(200)에 대한 호 유형이 정상적인 일반 호나 로밍 호인 경우에는 PDP 컨텍스트 생성 요청을 수락하는 내용을 담은 PDP 컨텍스트 생성 응답(Create PDP Context Response) 메시지를 SGSN으로 전송하고, 호 유형이 에러 상태인 경우에는 로밍 불가나 인증실패 등의 내용을 담은 PDP 컨텍스트 생성 응답을 전송하여 로밍 서비스가 불가한 상태임을 통지한다.
과금 처리수단(106)은 호 유형에 상응하는 과금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과금 게이트웨이(107) 및/또는 차등 과금서버(108)와의 연동을 제어한다. 여기서, 과금 게이트웨이(107)는 패킷 데이터의 사용량이나 사용시간에 근거하여 과금처리를 수행하는 과금 시스템이며, 차등 과금서버(108)는 예컨대, 통상의 RADIUS(Remote Authentication Dial In User Service)나 DIAMETER 프로토콜 등에 기반하여 구축되어 패킷 데이터의 종류별로 차등과금을 수행하는 과금 시스템이다. 이러한 과금 게이트웨이(107)와 차등 과금서버(108)는 별도의 외부 시스템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대안으로 본 발명의 데이터 로밍 서비스 관리장치(100)에 내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과금 처리수단(106)은 가입자 단말의 호 유형이 일반 호인 경우에는 과금 게이트웨이(107) 및/또는 차등 과금서버(108)를 연동시키는 한편, 호 유형이 로밍 호인 경우에는 차등 과금서버(108)와의 연동없이 과금 게이트웨이(107)와의 연동기능만 수행한다.
부가적으로, 데이터 로밍 서비스 관리장치에는 소정의 통계 처리수단(미도시)이 더 구비되어 각 호 유형에 대한 접속시도/완료수 통계, 호처리 통계, 트래픽(Traffic) 통계, 과금 통계 등을 생성 및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로밍 서비스 관리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로밍 처리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가입자 단말(200)이 GPRS 시스템의 홈망(PLMN 1)으로부터 방문망(PLMN 2)으로 로밍하게 되면 가입자 단말(200)과 SGSN 2(220) 간에 로직컬 링크(Logical Link)를 형성하는 GPRS 어태치(Attach) 과정과, 가입자 단말(200)에 대하여 IP 주소를 할당하는 PDP 컨텍스트 활성화 과정을 순차적으로 거치게 된다. 여기서, GPRS 어태치 과정은 통상의 GPRS 시스템에서의 처리절차가 동일하게 수행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PDP 컨텍스트 활성화 절차에 따라 가입자 단말(200)이 SGSN 2(220)으로 PDP 컨텍스트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면(단계 S100), SGSN 2(200)는 GGSN 형태로 제공되는 데이터 로밍 서비스 관리장치(100)로 PDP 컨텍스트 생성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S110).
데이터 로밍 서비스 관리장치(100)의 호 유형 판별수단(104)에서는 상기 PDP 컨텍스트 생성 요청 메시지로부터 가입자 단말(200) 정보 및 SGSN 식별정보를 획득한 후 리스트 DB(103)와 비교하여 로밍 호를 판별하고, 과금 처리수단(106)에서는 해당 과금 시스템을 연동시킨다(단계 S120).
도 6에는 상기 로밍 호 판별 및 과금시스템 연동처리 절차가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호 유형 판별수단(104)은 상기 PDP 컨텍스트 생성 요청 메시지에 담겨 있는 IMSI 등의 가입자 단말 식별정보와 SGSN 어드레스 정보를 획득하고(단계 S200), 이어서 그 획득 정보를 가입자 정보 DB(102) 및 SGSN 리스트 DB(103)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호 유형을 판별한다(단계 S210).
호 유형 판별결과 가입자 단말(200)의 호 유형이 인바운드 로밍 호 혹은 아웃바운드 로밍 호에 해당하는 로밍 호 유형인 경우, 과금 처리수단(106)은 차등 과금서버(108)에 대한 연동없이 과금 게이트웨이(107)만을 연동시켜 과금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220 및 단계 S230).
호 유형 판별결과 가입자 단말(200)의 호 유형이 일반 호 유형인 것으로 판 별된 경우, 과금 처리수단(106)은 설정된 과금 게이트웨이(107)나 차등 과금서버(108)를 연동시켜 과금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240 및 단계 S250).
또한, 단계 S240에서 일반 호 유형이 아닌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는 로밍 서비스 불가를 나타내는 에러처리가 수행되어 과금 시스템과의 연동 처리가 수행되지 않는다(단계 S260).
한편, 데이터 로밍 서비스 관리장치(100)의 호 유형별 처리수단(105)에서는 가입자 단말(200)의 호 유형에 상응하는 호처리가 수행되도록 상기 가입자 단말(200)에 대한 IP 주소의 할당과 관련된 응답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호 유형이 로밍 호인 경우 호 유형별 처리수단(105)은 상기 단계 S110의 요청을 수락하는 내용을 담은 PDP 컨텍스트 생성 응답(Create PDP Context Response) 메시지를 SGSN 2(220)로 전송한다(단계 S130).
이어서, SGSN 2(220)에서 PDP 컨텍스트 활성화 수락 메시지를 가입자 단말(200)로 전송하게 되면(단계 S140), 가입자 단말(200)에 대한 IP 주소 할당이 완료되어 패킷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소정의 AS(Application Server)(190)와 가입자 단말(200) 간에 전송 세션이 제공된다.
이후, 세션 사용이 완료되어 가입자 단말(200)이 SGSN 2(220)로 PDP 컨텍스트 비활성화 요청(Deactivate PDP Context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면(단계 S150), SGSN 2(200)는 데이터 로밍 서비스 관리장치(100)로 PDP 컨텍스트 삭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S160). 이에 따라, 데이터 로밍 서비스 관리장치(100)는 해당 과금 시스템의 과금 처리를 중단시킨다(단계 S170). 아울러, 데이터 로밍 서비스 관리장치(100)에서 PDP 컨텍스트 삭제 응답 메시지를 SGSN 2(220)로 전송하고(단계 S180), SGSN 2(220)에서 PDP 컨텍스트 비활성화 수락 메시지를 가입자 단말(200)로 전달하게 되면 세션 해제처리가 이루어진다(단계 S190).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은 처리 절차를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예컨대, 자기기록매체, CD롬, 플래쉬 메모리 등)가 제공되어 GPRS 시스템의 GGSN 장치에 탑재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 호, 로밍 호 및 에러 상태 등 호 유형을 체계적으로 판별하여 그에 걸맞는 다양한 호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 로밍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호 유형 판별결과 로밍 호인 경우 차등 과금서버와 연동시키지 않는 방식을 사용하게 되므로 호처리 절차를 단순화 시킬 수 있으며, 패킷의 사용량이나 사용시간에 근거한 규격화된 과금을 수행하게 되므로 로밍 협정에 따른 요율과의 맵핑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3)

  1. WCDMA망에 구비되는 데이터 로밍 서비스 관리장치로서,
    호처리 요구 가입자 단말의 식별정보와 상기 가입자 단말이 현재 속해 있는 망에 대한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가입자 단말이 홈망에 위치하는지 방문망에 위치하는지 여부와, 자국 가입자인지 타국 가입자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로밍 호 여부를 파악하는 호 유형 판별수단; 및
    상기 가입자 단말의 호 유형에 상응하는 호처리가 수행되도록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의 할당을 제어하는 호 유형별 처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CDMA망의 데이터 로밍 서비스 관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 유형별 처리수단은,
    홈망에 위치한 자국 가입자 단말에 대해서는 일반 호처리가, 홈망에 위치한 타국 가입자 단말에 대해서는 인바운드 로밍 호처리가, 방문망에 위치한 자국 가입자 단말에 대해서는 아웃바운드 로밍 호처리가 수행되도록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의 할당을 제어하고, 방문망에 위치한 타국 가입자 단말에 대해서는 에러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CDMA망의 데이터 로밍 서비스 관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로밍 호처리의 경우 차등 과금서버와의 연동을 배제하는 한편, 과금 게이트 웨이(CG)를 연동시켜 패킷 데이터의 사용량 및 사용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근거하여 과금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과금 처리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CDMA망의 데이터 로밍 서비스 관리장치.
  4. WCDMA망에 구비되는 GPRS 시스템의 GGSN 장치에 있어서,
    호처리 요구 가입자 단말의 식별정보와 상기 가입자 단말을 관리하는 SGSN의 어드레스를 획득하고, 상기 가입자 단말이 홈망에 위치하는지 방문망에 위치하는지 여부와, 자국 가입자인지 타국 가입자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로밍 호 여부를 파악하는 호 유형 판별수단; 및
    상기 가입자 단말의 호 유형에 상응하는 호처리가 수행되도록 상기 가입자 단말에 대한 IP 주소의 할당을 제어하는 호 유형별 처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GSN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SGSN 리스트와 자국 가입자 정보 리스트를 관리하는 리스트 관리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호 유형 판별수단은, 상기 가입자 단말을 관리하는 SGSN으로부터 상기 IP 주소의 할당을 위한 PDP 컨텍스트 생성 요구 메시지가 수신되었을 때 상기 PDP 컨텍스트 생성 요구 메시지에 포함된 가입자 단말 식별정보와 SGSN 어드레스를 상기 리스트와 비교하여 로밍 호 여부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GSN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호 유형별 처리수단은,
    홈망에 위치한 자국 가입자 단말에 대해서는 일반 호처리가, 홈망에 위치한 타국 가입자 단말에 대해서는 인바운드 로밍 호처리가, 방문망에 위치한 자국 가입자 단말에 대해서는 아웃바운드 로밍 호처리가, 방문망에 위치한 타국 가입자 단말에 대해서는 에러 처리가 수행되도록 상기 SGSN으로 PDP 컨텍스트 응답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GSN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로밍 호처리의 경우 차등 과금서버와의 연동을 배제하는 한편, 과금 게이트웨이(CG)를 연동시켜 패킷 데이터의 사용량 및 사용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근거하여 과금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과금 처리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GSN 장치.
  8. WCDMA망에서의 데이터 로밍 서비스 처리방법에 있어서,
    (a) 호처리 요구 가입자 단말의 식별정보와 상기 가입자 단말이 속한 망의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식별정보를 이용해 상기 가입자 단말이 홈망에 위치하는지 방문망에 위치하는지 여부와, 자국 가입자인지 타국 가입자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로밍 호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 및
    (c) 상기 가입자 단말의 호 유형에 상응하는 호처리가 수행되도록 상기 가입자 단말에 대한 프로토콜의 할당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밍 처리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단말이 속한 망의 식별정보는 해당 망을 관리하는 SGSN 어드레스이고,
    상기 단계 (c)에서는 가입자 단말에 대한 IP 주소의 할당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밍 처리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상기 SGSN이 전송한 PDP 컨텍스트 생성 요구 메시지를 분석함으로써 수행되고,
    상기 단계 (b)에서는, 상기 PDP 컨텍스트 생성 요구 메시지에 포함된 가입자 단말 식별정보와 SGSN 어드레스를 해당 리스트와 비교하여 로밍 호 여부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밍 처리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홈망에 위치한 자국 가입자 단말에 대해서는 일반 호처리가, 홈망에 위치한 타국 가입자 단말에 대해서는 인바운드 로밍 호처리가, 방문망에 위치한 자국 가입 자 단말에 대해서는 아웃바운드 로밍 호처리가, 방문망에 위치한 타국 가입자 단말에 대해서는 에러 처리가 수행되도록 상기 SGSN으로 PDP 컨텍스트 응답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밍 처리방법.
  12. WCDMA망에 구비되는 GPRS 시스템의 GGSN 장치에 탑재되어 판독되는 기록매체로서,
    호처리 요구 가입자 단말을 관리하는 SGSN으로부터 PDP 컨텍스트 생성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의 식별정보와 SGSN 어드레스 정보를 획득하는 절차와,
    상기 PDP 컨텍스트 생성 요구 메시지에 포함된 SGSN 어드레스를 데이터베이스의 SGSN 리스트와 비교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이 홈망에 위치하는지 방문망에 위치하는지 여부와, 자국 가입자인지 타국 가입자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로밍 호 여부를 파악하는 절차와,
    상기 가입자 단말의 호 유형에 상응하는 호처리가 수행되도록 상기 가입자 단말에 대한 IP 주소의 할당을 제어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3. 제12항에 있어서,
    홈망에 위치한 자국 가입자 단말에 대해서는 일반 호처리가, 홈망에 위치한 타국 가입자 단말에 대해서는 인바운드 로밍 호처리가, 방문망에 위치한 자국 가입 자 단말에 대해서는 아웃바운드 로밍 호처리가, 방문망에 위치한 타국 가입자 단말에 대해서는 에러 처리가 수행되도록 상기 SGSN으로 IP 주소의 할당 제어를 위한 PDP 컨텍스트 응답 메시지를 전달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50099135A 2005-10-20 2005-10-20 Wcdma망에서의 데이터 로밍 서비스 개선을 위한 장치및 그 처리방법 KR100625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9135A KR100625927B1 (ko) 2005-10-20 2005-10-20 Wcdma망에서의 데이터 로밍 서비스 개선을 위한 장치및 그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9135A KR100625927B1 (ko) 2005-10-20 2005-10-20 Wcdma망에서의 데이터 로밍 서비스 개선을 위한 장치및 그 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5927B1 true KR100625927B1 (ko) 2006-09-18

Family

ID=37631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9135A KR100625927B1 (ko) 2005-10-20 2005-10-20 Wcdma망에서의 데이터 로밍 서비스 개선을 위한 장치및 그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592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280B1 (ko) * 2008-12-01 2011-03-29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지역별 패킷 서비스 제한 방법
KR20130049963A (ko) * 2011-11-07 2013-05-1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과금 오류 방지를 위한 로밍 데이터의 과금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91962B1 (ko) 2007-04-09 2013-08-09 차이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정보 추적 제어 방법 및 코어망 망 요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0974A (en) 1994-04-05 1997-03-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ethod and arrangement for handling a mobile telephone subscriber administered in different mobile telephone networks with a common call number
KR20050008001A (ko) * 2003-07-14 2005-01-2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Gps를 이용한 w-cdma망 경계지역에서의 로밍 방법
KR20050034440A (ko) * 2003-10-09 2005-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비디엠 휴대단말기의 로밍 신호구성 및 시스템의 로밍처리방법
KR20060065340A (ko) * 2004-12-10 2006-06-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비동기식 이동통신망과 동기식 이동통신망이 중첩되어있는 환경에서의 로밍 방법 그리고, 그 로밍 방법을이용한 다중모드 단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0974A (en) 1994-04-05 1997-03-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ethod and arrangement for handling a mobile telephone subscriber administered in different mobile telephone networks with a common call number
KR20050008001A (ko) * 2003-07-14 2005-01-2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Gps를 이용한 w-cdma망 경계지역에서의 로밍 방법
KR20050034440A (ko) * 2003-10-09 2005-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비디엠 휴대단말기의 로밍 신호구성 및 시스템의 로밍처리방법
KR20060065340A (ko) * 2004-12-10 2006-06-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비동기식 이동통신망과 동기식 이동통신망이 중첩되어있는 환경에서의 로밍 방법 그리고, 그 로밍 방법을이용한 다중모드 단말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962B1 (ko) 2007-04-09 2013-08-09 차이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정보 추적 제어 방법 및 코어망 망 요소
KR101024280B1 (ko) * 2008-12-01 2011-03-29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지역별 패킷 서비스 제한 방법
KR20130049963A (ko) * 2011-11-07 2013-05-1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과금 오류 방지를 위한 로밍 데이터의 과금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64431B1 (ko) 2011-11-07 2019-04-0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과금 오류 방지를 위한 로밍 데이터의 과금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41568B2 (ja) モバイル・インターネット・アクセス
CA2402335C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mpatibility between telecommunication networks using different transmission signaling systems
US7305229B2 (en) Providing services in communications networks
US7486957B2 (en) Method of performing an area update for a terminal equipment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20040192252A1 (en) Emergency packet data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and call features
KR100842580B1 (ko)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의정보 관리 방법
US20050059398A1 (en) Tele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JP4080471B2 (ja) ヘテロジーニアスネットワークを通じたデータプッシュ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方法
US8995994B2 (en) Routing communications between telecommunications networks
WO2007045881A1 (en) Identifying communications between telecommunications networks
JP4377328B2 (ja) ホーム・ロケーション・レジスタの改良による移動端末の個人情報保護
US809867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device configuration
US7877094B2 (en) Location updating in communications networks
JP4647935B2 (ja)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を使用して移動局にサービスを提供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0625927B1 (ko) Wcdma망에서의 데이터 로밍 서비스 개선을 위한 장치및 그 처리방법
EP3820177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necting a user device with a network via a telecommunication hub
EP3820178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necting a user device with a network via a telecommunication hub
EP3820179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necting a user device with a network via a telecommunication hub
KR101539023B1 (ko) 국제로밍에 따른 서비스 호 제어장치 및 방법
CN115278747A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0459168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국 신호점 코드 자동 할당 방법
KR20100038752A (ko) 로밍시 특정 호를 차단하는 방법 및 시스템
GB2495700A (en) Management of an access control list of a Home NodeB (HN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