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5879B1 - 동력 발생장치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동력 발생장치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5879B1
KR100625879B1 KR1020040049142A KR20040049142A KR100625879B1 KR 100625879 B1 KR100625879 B1 KR 100625879B1 KR 1020040049142 A KR1020040049142 A KR 1020040049142A KR 20040049142 A KR20040049142 A KR 20040049142A KR 100625879 B1 KR100625879 B1 KR 100625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entral axis
coil
power
electro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9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0336A (ko
Inventor
이춘수
이건영
Original Assignee
이춘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춘수 filed Critical 이춘수
Priority to KR1020040049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5879B1/ko
Publication of KR20060000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0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5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58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ing in alternate directions by alternate energisation of two coil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H02K15/03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having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5/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AC motor or by structural details
    • H02P25/02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AC motor or by structural detail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motor
    • H02P25/032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력 발생장치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왕복운동 또는 요동운동이 필요한 장치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동력 발생장치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동력 발생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형성된 한쌍의 영구자석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과 결합되고 제1코일 및 제2코일이 권선되어 전원의 인가에 따라 설정된 각도 범위내에서 시계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왕복하여 회전하는 전자석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동력 발생, 회전

Description

동력 발생장치 및 그 구동방법{APPARATUS FIR POWER GENERA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
도 1 내지 도 3은 특허출원 10-2003-019178호에 기재된 자동침대의 구동장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 발생장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 발생장치에서 전자석이 제1방향(정방향)으로 90도 회전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 발생장치에서 전자석이 제2방향(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 발생장치에서 전자석이 제1방향(정방향)으로 180도 회전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 발생장치에서 전자석이 제2방향(역방향)으로 180도 회전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 발생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
도 10과 도 11는 제1코일과 제2코일에 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 발생장치의 사시도를 설명하는 도면.
도 13과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 발생장치에서 발생된 동력이 사용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
본 발명은 동력 발생장치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왕복운동 또는 요동운동이 필요한 장치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동력 발생장치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동력 발생장치는 자동침대 또는 자동그네와 같이 왕복운동 또는 요동운동이 요구되는 장치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구동력이 우수하고 소음의 발생이 없는 동력 발생장치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한다.
본 출원인은 수년간 자동침대를 연구한 결과물로서, 자동침대의 구동장치에 관한 특허출원(10-2003-19178)을 하였으며, 우선심사를 청구하여 2003년 11월 10일 특허결정된 바 있다.
본 출원인이 등록받은 특허출원에 대한 내용을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는 특허출원 10-2003-019178호에 기재된 자동침대의 구동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를 참조하면, 자동침대의 구동장치는 동력이 발생되는 모터(30)와, 상기 모터(30)와 연결되는 복수의 감속기어(31)와, 상기 감속기어(31)와 연결되는 회전 기어(32)와, 상기 회전기어(32)의 회전축(33)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일측에 가동축(35)이 형성된 크랭크부재(34)와, 상기 크랭크부재(34)의 가동축(35)이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크랭크부재(34)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가동축(35)이 소정의 범위에서 왕복되도록 가이드홈(36)이 형성된 가동바(37)와, 상기 가동바(37)의 끝단에 결합된 탄성부재(38)가 포함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모터(30)는 동력발생수단으로서 다수의 감속기어(31)를 통해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감속기어(31)는 풀리 또는 벨트 등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기어와 기어가 맞물려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회전기어(32)는 상기 감속기어(31)와 연결되어 회전축(33)을 통해 상기 크랭크부재(34)와 결합되는데, 상기 크랭크부재(34)는 일측에 가동축(35)이 형성된다.
상기 크랭크부재(34)의 가동축(35)은 상기 가동바(37)의 가이드홈(36)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크랭크부재(34)가 이동됨에 따라 가이드홈(36)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크랭크부재(34)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가동축(35)은 상기 가이드홈(36)을 따라 이동하면서 가동바(37)를 반복적으로 당기게 된다.
상기 가동바(37)의 일측은 상기 가동축(35)과 결합되고 다른 일측은 탄성부재(38)와 결합된다.
상기 탄성부재(38)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동침대의 구동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상기 모터(30)에서 발생된 회전력 은 복수의 감속기어(31)를 통해 감속되어 회전기어(32)로 전달된다.
상기 회전기어(32)의 회전축(33)이 회전함에 따라 이와 결합된 크랭크부재(34)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크랭크부재(34)의 끝단부에 형성된 가동축(35)은 큰 원을 그리면서 회전하게 된다.
상기 가동축(35)이 회전함에 따라 가동바(37)도 함께 작동된다.
상기 가동바(37)의 작동은 상기 가동바(37)에 형성된 가이드홈(36)을 따라 움직이는 가동축(35)의 회전에 좌우되는데, 상기 가동축(35)이 탄성부재(38)에서 먼 위치를 향하여 회전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가동축(35)이 상기 탄성부재(38)와 결합된 가동바(37)를 당기게 되고 상기 탄성부재(38)는 회전축(33) 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가동축(35)이 상기 탄성부재(38)에서 가장 먼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탄성부재(38)와 가동바(37)는 수직으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 크랭크부재(34)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가동축(35)도 회전하고, 상기 가동축(35)이 상기 탄성부재(38)에 가까워지면서 상기 가동축(35)은 상기 가이드홈(36)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즉, 가동축(35)이 탄성부재(38)에서 원지점에 위치하는 경우에 가이드홈(36)의 끝단에서 크랭크부재(34)를 당기는 반면에 가동축(35)이 탄성부재(38)의 근지점에 위치하는 경우에 가이드홈(36)을 따라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크랭크부재(34)를 밀거나 당기지 않고 회전된다.
가동축(35)이 탄성부재(34)에 가까운 지점을 통과하는 작동을 도 3에 도시하였다.
도 2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동축(35)에 두개의 가동바(37)가 형성되는데, 가동축(35)의 위치가 크랭크부재(34)의 회전에 따라 변화되면서 하나의 가동바(37)는 당기고 다른 가동바(37)에는 힘을 가하지 않는 작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38)에 연결된 침대는 효과적으로 요동운동을 하게 된다.
한편, 자동침대 또는 자동그네는 일반적으로 유아용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유아가 자동침대 위에서 편안하게 잠을 잘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구동장치의 소음이 적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침대 또는 자동그네에 적용된 구동장치는 모터의 회전과 다수의 감속기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소음이 매우 큰 문제가 있으며, 소음이 작은 구동장치는 큰 힘을 발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소음이 적고 큰 힘을 발휘할 수 있는 동력 발생장치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력 발생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형성된 한쌍의 영구자석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과 결 합되고 제1코일 및 제2코일이 권선되어 전원의 인가에 따라 설정된 각도 범위내에서 시계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왕복하여 회전하는 전자석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력 발생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형성된 한 쌍의 영구자석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과 결합되고 전원을 인가함에 따라 두 쌍의 자극이 발생되면서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왕복하여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력 발생장치는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과 결합되고 전원을 인가함에 따라 두 쌍의 자극이 교대로 발생되는 전자석과, 상기 중심축이 삽입되고 내부에 한 쌍의 영구자석이 구비되어 상기 전자석에 발생되는 자극에 따라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왕복하여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력 발생장치의 구동방법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형성된 한쌍의 영구자석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과 결합되고 제1코일 및 제2코일이 권선된 전자석이 포함되는 동력 발생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코일에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하우징 또는 중심축이 제1방향으로 90도 회전하는 단계와, 상기 제2코일에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하우징 또는 중심축이 제2방향으로 90도 회전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력 발생장치 및 그 구동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 발생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 내면에 형성된 영구자석(11,12)과, 상기 하우징(10)의 중심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 중심축(13)과, 상기 중심축(13)에 결합된 전자석(14)이 포함된다.
상기 하우징(10)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자로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상기 영구자석(11,12)이 고정된다.
상기 영구자석(11,12)의 어느 하나는 N극으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S극으로 형성된다.
상기 중심축(13)은 상기 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상기 하우징(10)과의 관계에서 상대적으로 회전운동을 한다. 즉, 상기 하우징(10)이 고정된 경우 상기 중심축(13)이 회전하고, 상기 중심축(13)이 고정된 경우 상기 하우징(10)이 회전한다.
상기 중심축(13)에는 전자석(14)이 구비되는데, 상기 전자석(14)은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N극 또는 S극의 자성을 갖게 된다.
즉, 전자석(14)은 회전자에 코일이 감겨있어, 코일에 전원이 인가되면 자극을 발생하게 되는데, 중심축(13)에 고정된 회전자의 극수가 4개, 8개, 12개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코일은 분권에 의해 직렬 또는 병렬로 접속되어 전원의 인가에 따라 2쌍의 극을 형성한다. 다시말해서, 제어신호의 인가에 따라 상기 영구자석(11,12)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제한된 각도 범위내에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왕복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다만, 하우징(10) 또는 중심축(13) 중 어느 것이 고정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동력을 전달하는 매체가 하우징(10) 또는 중심축(13)이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동력 발생장치에서 상기 전자석(14)은 4극(2쌍의 극)을 갖게 된다. 상기 전자석(14)은 제1코일(15)과 제2코일(16)이 감겨진다.
상기 제1코일(15)에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전자석(14)의 제1부분과 제2부분이 N극과 S극의 극성을 가지며, 상기 전자석(14)은 영구자석(11,12)의 극성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코일(16)에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전자석(14)의 제3부분과 제4부분이 N극과 S극의 극성을 가지며, 상기 전자석(14)은 영구자석(11,12)의 극성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의 동력 발생장치는 중심축(13)이 하우징(10)에 대하여 90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거나 180도 범위 내에서 회전한다.
중심축(13)이 고정된 경우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중심축(13)에 대하여 90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거나 180도 범위 내에서 회전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동력 발생장치는 중심축(13) 또는 하우징(10)이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면서 구동력을 생성된다. 특히, 본 발명은 360도 회전하는 모터와는 차이가 있으며, 360도 회전을 하지 않기 때문에 전원의 공급을 위한 브러쉬가 필요없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동력 발생장치는 직류전류가 인가되는데, 도선에 의 해 중심축(13)에 결합된 전자석(14)에 직접 전류가 인가된다. 일반적인 모터의 경우에 중심축(13)에 결합된 전자석(14)에 도선을 통해 전류가 인가되면 모터의 360도 회전에 의해 도선이 꼬이게 되어 작동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중심축(13)에 결합된 전자석(14)이 360도 회전을 하지 않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이러한 구성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전자석(14)에 작용하는 회전력(F)은 다음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4028310721-pat00001
여기서, H는 영구자석의 자속, K는 비례상수, N은 권선수, I는 전류를 의미하고 D는 자극 간의 거리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동력 발생장치에는 4극을 가진 전자석(14)이 사용되므로 2극을 가진 전자석에 비하여 자극 간의 거리가 절반으로 줄어든다.
따라서, 전자석(14)에 작용하는 회전력F는 2극을 가진 전자석(14)에 비하여 4배나 큰 구동력을 가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 발생장치에서 전자석이 제1방향(정방향)으로 90도 회전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 발생장치에서 전자석이 제2방향(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석(14)의 제2코일(16)에 전압이 인가되면, 전자석(14)의 대칭되는 부분은 각각 S극과 N극을 띠게 되고, 고정자석(11,12)과의 인력 및 척력에 의해 N극을 띤 고정자석(11)에 전자석(14)의 S극이 대응되고 S극을 띤 고정자석(12)에 전자석(14)의 N극이 대응된다.
그리고,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석(14)의 제1코일(15)에 전압이 인가되면, 전자석(14)의 대칭되는 부분은 각각 S극과 N극을 띠게 되고, 고정자석(11,12)과의 인력 및 척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이 작용되고,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석(14)은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게 된다.
한편, 전자석이 제2방향(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설명하면, 도 6의 (a) 상태에서 제2코일(16)에 전압이 인가되면 전자석(14)의 대칭되는 부분은 각각 S극과 N극을 띠게 되고, 고정자석(11,12)과의 인력 및 척력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이 작용하여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석(14)은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게 된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 발생장치에서 전자석이 제1방향(정방향)으로 180도 회전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 발생장치에서 전자석이 제2방향(역방향)으로 180도 회전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의 (a)상태에서 도 7의 (b)와 같이 제1코일(15)에 전압이 인가되면 전자석(14)의 대칭되는 부분은 각각 N극과 S극을 띠게 되고, 고정자석(11,12)과의 인력 및 척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코일(16)에 전압이 인가되면 전자석(14)의 대칭되는 부분은 각각 N극과 S극을 띠게 되고, 고정자석(11,12)과의 인 력 및 척력에 의해 다시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게 된다.
반대로, 도 8의 (a)상태에서 도 8의 (b)와 같이 제1코일(15)에 전압이 인가되면 전자석(14)의 대칭되는 부분은 각각 N극과 S극을 띠게 되고, 고정자석(11,12)과의 인력 및 척력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코일(16)에 전압이 인가되면 전자석(14)의 대칭되는 부분은 각각 N극과 S극을 띠게 되고, 고정자석(11,12)과의 인력 및 척력에 의해 다시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180도 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 발생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교류전원(20)이 입력되는 경우 이를 직류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 아답터(21)가 구비되고, 상기 변환 아답터(21)에서 나온 직류 전원은 제1코일(15)과 제2코일(16)을 통해 전자석(14)에 인가된다.
예를들어, 제1코일(15)은 전자석(14)의 상하방향으로 N극과 S극이 발생되도록 하고, 제2코일(16)은 전자석(14)의 좌우방향으로 N극과 S극이 발생되도록 한다.
전원은 스위치에 의해 제1코일(15)과 제2코일(16)에 선택적으로 인가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동력 발생장치가 작동하는 동안에는 제1코일(15)에 전원이 인가되거나 제2코일(16)에 전원이 인가된다.
도 10과 도 11는 제1코일(15)과 제2코일(16)에 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 발생장치가 저속으로 구동되는 경우의 전원인가 파형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 발생장치가 고속으로 구동되는 경우의 전원인가 파형이다.
도 10과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코일(15)에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제2코일(16)에는 전원이 인가되지 않고, 제2코일(16)에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제1코일(15)에는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동력 발생장치는 전자석(15) 또는 하우징(10)이 90도의 제한된 각도 범위내에서 왕복하여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90도의 제한된 각도 범위내에서 2회 회전함으로써 180도로 회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 발생장치의 사시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에서는 하우징(10)의 일부가 절단되어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영구자석(11,12)이 구비된다.
전자석(14)은 중심축(13)과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영구자석(11,12)과 인력 및 척력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력 발생장치는 360도 회전을 하지 않으며, 설정된 각도 범위내에서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왕복하여 회전하게 된다.
도 13과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 발생장치의 실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의 경우에는 중심축(13)이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의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4에는 하우징(10)이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 전되는 경우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의 예를 설명하면, 중심축(13)에 가동바(19)가 결합되어, 중심축(13)이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 범위내에서 회전됨에 따라 가동바(19)도 함께 회전되고, 가동바(19)에 결합된 탄성부재(20)가 왕복 또는 요동운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동바(19) 대신에 원형의 판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도 14의 예를 설명하면, 하우징(10)에 돌출부(21)가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10)이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 범위내에서 회전됨에 따라 하우징(10)에 결합된 돌출부(21)도 함게 회전되고, 상기 돌출부(21)와 결합된 탄성부재(20)가 왕복 또는 요동운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도 13과 도 14에서 설명한 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력 발생장치는 제어신호의 인가에 따라 중심축(13) 또는 하우징(10)이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90도 또는 180도와 같이 소정 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중심축(13) 또는 하우징(10)과 결합된 돌출부(21)나 가동바(19), 원형의 판 등의 동력 전달 수단을 통해 외부로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예는 바람직한 실시예 일 뿐이고, 중심축(13) 또는 하우징(10)과 결합된 수단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소음이 적고 큰 힘을 발휘할 수 있는 동력 발생장치 및 그 구동방 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적어도 일부가 금속재질로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형성된 한 쌍의 영구자석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과 결합되고 전원을 인가함에 따라 두 쌍의 자극이 발생되면서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왕복적으로 회전하는 전자석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발생장치.
  6.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과 결합되고 전원을 인가함에 따라 두 쌍의 자극이 교대로 발생되는 전자석과,
    상기 중심축이 삽입되고 내부에 한 쌍의 영구자석이 구비되어 상기 전자석에 발생되는 자극에 따라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왕복하여 회전하는 하우징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발생장치.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도선에 의해 직접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발생장치.
  8.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형성된 한쌍의 영구자석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과 결합되고 제1코일 및 제2코일이 권 선된 전자석이 포함되는 동력 발생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코일에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하우징 또는 중심축이 제1방향으로 90도 회전하는 단계와,
    상기 제2코일에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하우징 또는 중심축이 제2방향으로 90도 회전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발생장치의 구동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은 제1코일과 제2코일에 선택적으로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발생장치의 구동방법.
  10. 금속재질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한쌍의 영구자석과,
    상기 하우징의 중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에 고정된 회전자의 극수가 4개, 8개, 12개 중 어느 하나인 경우 분권에 의하여 직렬 또는 병렬로 접속되어 2쌍의 극을 형성하고, 제어신호의 인가에 따라 상기 영구자석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제한된 각도 범위내에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왕복하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발생장치.
KR1020040049142A 2004-06-28 2004-06-28 동력 발생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625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9142A KR100625879B1 (ko) 2004-06-28 2004-06-28 동력 발생장치 및 그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9142A KR100625879B1 (ko) 2004-06-28 2004-06-28 동력 발생장치 및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0336A KR20060000336A (ko) 2006-01-06
KR100625879B1 true KR100625879B1 (ko) 2006-09-20

Family

ID=37103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9142A KR100625879B1 (ko) 2004-06-28 2004-06-28 동력 발생장치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587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2517A (ko) * 2001-01-22 2002-07-26 엘지전자주식회사 회전 왕복동식 영구자석형 모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2517A (ko) * 2001-01-22 2002-07-26 엘지전자주식회사 회전 왕복동식 영구자석형 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0336A (ko) 2006-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24209B2 (ja) 二次元共鳴振動モーター
KR100661868B1 (ko) 전동 칫솔
JP5675790B2 (ja) 小型電気器具及び小型電気器具用の電動モータ駆動ユニット
US8264105B2 (en) Resonant actuator for a personal care appliance having a programmable actuation capability
KR100816421B1 (ko) 자력회전장치
JP4539716B2 (ja) アクチュエータ及びこれを用いた電動電子歯ブラシ
JPH10118200A (ja) 生体用磁気刺激装置
JP2010125263A (ja) 電動歯ブラシ
RU2101840C1 (ru) Шаговый двигатель
ZA200104617B (en) A system for controlling a rotary device.
WO2017140179A1 (zh) 用于生物体体表清洁的电动清洁毛刷
JP2624574B2 (ja) 動力発生および電力発生回転機械の磁気回路
CN212969400U (zh) 一种结构改进型声波马达
KR100625879B1 (ko) 동력 발생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2631363B2 (ja) 電動体
JP2012200293A (ja) 電動カーテン
US575699A (en) Electromechanical movement
JP2004254411A (ja) アクチュエータ及びこれを用いた電動歯ブラシ
EP0429602B1 (en) Compact bi-directional torque motor
KR100194323B1 (ko) 왕복 이동 장치
KR20080105429A (ko) 영구자석을 이용한 엔진
CN213279455U (zh) 一种振动电机及电动牙刷
KR101632937B1 (ko) 진동발생장치
US344679A (en) eecordon
GB2054977A (en) Reciprocating electric mach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