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3456B1 - Doll - Google Patents
Dol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23456B1 KR100623456B1 KR1020020085619A KR20020085619A KR100623456B1 KR 100623456 B1 KR100623456 B1 KR 100623456B1 KR 1020020085619 A KR1020020085619 A KR 1020020085619A KR 20020085619 A KR20020085619 A KR 20020085619A KR 100623456 B1 KR100623456 B1 KR 1006234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rotch
- fitting
- screw
- connection
- connecting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46—Connections for limb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16—Dolls made of parts that can be put together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52—Dolls' houses, furniture or other equipment; Dolls' clothing or footwear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전용스탠드를 사용하지 않고도 흔들거림이 없이 인형 자체가 선 자세를 취할 수 있는 인형을 제공한다.The doll provides a doll that can stand by itself without shaking without using a dedicated stand.
인형의 발바닥면(31a)에 원통 모양의 오목구멍(31c)을 형성하고, 그 오목구멍(31c)에 원통 모양의 자석(41)을 매설하며, 피고착부재인 철판(43) 등의 위에 그 자석(41)을 통하여 발바닥면(31a) 등에 고착시킨다.A cylindrical concave hole 31c is formed in the sole surface 31a of the doll, a cylindrical magnet 41 is embedded in the concave hole 31c, and the iron plate 43, which is a fastened member, is placed thereon. It is fixed to the sole surface 31a or the like through the magnet 41.
이 경우에 있어서, 족부(31)에는 하이힐(42)을 신겨 두고 있으며, 자석(41)은 접지면적이 넓은 발가락(31b) 근처의 발바닥면(31a)에 구비되어 있다. In this case, the high heel 42 is worn on the foot 31, and the magnet 41 is provided on the sole surface 31a near the toe 31b having a large ground area.
Description
도1은, 본 발명인형(두부는 생략)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전체정면도이다. Fig. 1 is an overall front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ll (head is omitted).
도2는, (a)는 족부의 종단측면도, (b)는 족부의 종단정면도이다. Fig.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foot and (b)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foot.
도3은, 족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the foot.
도4는, 상각과 하각의 연결부위의 단면도이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angles.
도5는, 한쪽의 상각본체를 떼어냄과 아울러, 다른 쪽의 상각본체의 일부를 잘라낸 상각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the depreciation in which a part of the depreciation main body is cut out while removing one depreciation main body.
도6은, 한쪽의 상각본체를 떼어낸 상태의 평면도이다.Fig. 6 is a plan view of a state in which one of the defaced bodies is removed.
도7은, (a)는 도4의 A-A 선단면도, (b)는 도4의 B-B 선단면도이다.Fig. 7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4, and (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4;
도8은, 끼워맞춤연결부재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a fitting connecting member.
도9는, 본 발명인형의 주허리부구조를 채용한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분해사시도이다.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employing the main waist structure of the present doll.
도10은, 허리부의 정면도이다.10 is a front view of the waist portion.
도11은, 허리부의 배면도이다.11 is a rear view of the waist portion.
도12는, 허리부의 평면도이다.12 is a plan view of the waist.
도13은, 허리부의 저면도이다.Fig. 13 is a bottom view of the waist portion.
도14는, 허리부의 좌측면도이다.14 is a left side view of the waist.
도15는, 도8의 C-C 선단면도이다.1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in FIG.
도16은, 도10의 D-D 선단면도이다. FIG. 1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in FIG.
도17은, 사용상태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Fig. 17 is a diagram showing one embodiment of a use state.
도18은, 종래 기술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전용스탠드를 이용하여 세운 상태의 정면도이다.Fig. 18 shows an embodiment of the prior art, and is a front view in a state of standing using a dedicated stand.
<도면의 적용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code for application part of drawing>
<발명의 설명><Explanation of invention>
24 : 각부 24: parts
25 : 상각25: Amortization
25a, 25b : 상각본체 25a, 25b: Amortization body
26 : 제1 판형상부 고정용 나사고정부 26: screw fixing part for fixing the first plate shape
27 : 제2 판형상부 고정용 나사고정부 27: screw fixing part for fixing the second plate shape
28 : 가랑이사이연결부재용 나사고정부 28: screw fixing part for the connection member between the crotch
29 : 끼워맞춤오목부 29: fitting recess
30 : 족부 30: foot
31a : 발바닥면 31a: sole surface
31c : 오목 구멍 31c: concave hole
32 : 가랑이사이연결부재 32: connection member between the crotch
32a : 걸림편 32a: hanging piece
32c : 상각측연결편 32c: Amortization side connection piece
32d : 삽입통과구멍 32d: insertion hole
33 : 끼워맞춤연결부재 33: fitting connection member
33a : 판형상부 33a: plate shape
33b : 나사구멍 33b: screw hole
33c : 끼워맞춤돌기 33c: fitting protrusion
33d : 제1연결부 33d: first connection part
33e : 제2연결부 33e: second connection portion
39 : 유동조정부 39: flow adjustment unit
41 : 고착부재 41: fixing member
42 : 신발 42: shoes
42a : 신발바닥 42a: Shoe sole
본 발명은 인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ll.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인형이란, 동체와 각부와 흉부와 두부를 갖춘 인형전반에 한정하지 않고, 두부를 갖추고 있지 않은, 소위 인형용 소체(素體)라고 불리는 것도 포함하는 개념으로 한다. 또한, 손발, 허리 등의 필요 부분이 가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소위 가동인형의 모두가 대상이 된다. 또한, 가동인형에는 소정 가동부분에 별도 간접부를 갖추고 있는 것이나, 간접부를 갖추고 있지 않고 일체로 형성되어 있지만 무릎·팔꿈치 등의 소정 부분에서 굴곡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 등, 공지된 것 모두가 대상이 된다.
또한, 「상각(上脚)」은, 다리의 접합부분(허리부 넓적다리 사이 위치와의 연결부)부터 무릎까지를 말하고, 「하각(下脚)」은, 무릎부터 발목까지를 말하며, 「족부」는 발목부터 앞끝(발가락 끝)까지를 말하는 것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a doll shall not be limited to the whole doll which has a fuselage | body, a leg, a chest, and a head, and also includes what is called a doll body which does not have a head. Moreover, all the so-called movable dolls which are comprised so that a necessary part, such as a limb and a waist, are movable are made into object. In addition, all known things include a movable doll having an indirect portion separately in a predetermined movable portion, or being integrally formed without having an indirect portion, but configured to bend at a predetermined portion such as a knee or an elbow. Becomes
In addition, "upper" refers to the joint of the leg (connection to the position between the thigh of the thigh) to the knee, and "lower" refers to the knee to the ankle, and "foot" Refers to the ankle to the anterior (tip toe).
삭제delete
요즘의 인형업계에서, 특별히 피겨(FIGURE)라고 불리는 인간의 신체(나체)형태를 사실적으로 묘사한 구성을 가진 인형이 수요자에게 인기를 얻고 있다.
이 피겨라는 인형은, 일반적으로 여아 등이 손에 들고 놀거나, 단지 옷 갈아 입히기를 하면서 놀거나 하는 것도 있지만, 요즘 피겨의 수요자 층도 변화되어, 특별히 성인 남성 등의 수요자도 많아지고 있다는 점에서도, 그 놀이 방법이 바뀌어 가고 있다.
즉, 손발이나 허리 등이 가동하는 피겨에서는, 예를 들어 알몸인 상태로, 혹은 다양한 의상을 입힌 상태로, 제각각의 자세를 취하게 하여, 그 자세를 유지시킨 채로 선반이나 케이스 속 등에 장식하거나, 또는 사진촬영을 하기도 하면서 즐기는 취향이 있다. 또한, 손발이나 허리 등이 움직이지 않는 인형이더라도, 수요자의 기호에 맞는 의상 등을 입혀서 장식하거나, 사진을 찍거나 한다.
또한, 예를 들어 미술용 데생 등으로 사용되는 가동인형에 있어서는, 손발이나 허리 등을 임의로 구부려서 데생하고 싶은 자세를 취하게 하여, 그것을 데생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경우, 사람이 손으로 부축하는 일없이, 피겨에 임의의 자세를 유지시킨 상태로 서있게 할 필요가 있었다.In today's doll industry, dolls with a composition that realistically depicts the human form (figure), especially called figures, are gaining popularity.
In general, this figure doll is played by girls, etc., or just by changing clothes. , The way of play is changing.
That is, in a figure where the limbs and the waist are movable, for example, in a naked state or in various clothes, each person has a different posture and decorates a shelf or a case while maintaining the posture, Or take a picture while enjoying the taste. In addition, even if the doll does not move, such as hands and feet, waist or the like to decorate, or take a picture to suit the taste of the consumer.
In addition, for example, in a movable doll used for art drawing, etc., the hands and feet, the waist, and the like are arbitrarily bent to take a posture, which is produced.
In the case as described above, it was necessary for the figure to stand in a state in which an arbitrary posture was maintained without supporting the han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피겨를 어떤 지탱도 없이 자립시키는 것은, 특별히 여성을 모사한 피겨에서는 그 족부가 작게 형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그 형성면적이 적고, 밸런스를 취하는 것이 대단히 곤란했다. It was very difficult for the figure to stand on its own without any support because of its small footprint, especially in the figure imitating a woman, its formation area was small.
종래, 피겨를 서게 해 두는 경우, 전용의 스탠드(200)가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도 18에 나타내는 것처럼, 피겨(100)의 각부(101,101)를 넣어 유지하는 다리유지부(201)를 갖춘 전용스탠드(200)가 알려져 있다. 이 도시 예에 의하면, 수요자는 전용스탠드(200)의 다리유지부(201)에 피겨(100)의 각부(101)를 삽입하여, 그대로 피겨(100)에 원하는 자세를 취하게 해서 세웠다. 즉, 선 자세로 장식하거나, 사진촬영되있던 피겨(100)에는 항상 전용스탠드(200)가 붙어 있는 상태였다.Conventionally, when the figure is standing up, a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8, the
삭제delete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로써는 상술한 바와같이 피겨(100)를 장식할 때, 사진촬영을 할 때 등, 피겨(100)를 세우고 있을 때의 모든 때에 있어서, 전용스탠드(200)가 직시되기 때문에 피겨(100)의 외관을 손상하는 경우가 있다.
특별히, 사진촬영을 하는 경우에는, 전용스탠드(200)가 피겨(100)와 함께 사진에 들어가는 것이 되기 때문에 사진촬영을 하는 수요자에 있어서는 어떻게 해서든지 이 전용스탠드(200)의 다리유지부(201) 등이 찍히지 않도록, 어떻게든 가려야하는 노력이 필요했다. 이것은 데생 등을 할 때에 사용되는 가동인형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여서, 이 전용스탠드(200)의 다리유지부(201) 등이 눈에 들어옴으로써 데생 대상전체의 이미지가 변하여 버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according to this prior art, th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aking a picture, the
삭제delete
또한, 종래의 피겨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도 가지고 있었다.
예를 들어, 손발이나 허리 등의 가동부분에 별도로 간접부를 구비하고 있는 종래의 가동인형 등의 피겨(100)에서 각부(101)가 허리부분(102)에 착탈가능하고, 동시에 자유롭게 유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에 있어서는, 그 연결부에 볼조인트 등을 이용하여 그 유동조정은 조금도 얻을 수 없는 것이었기 때문에, 피겨(100)를 자립시키려고 해도 휘청거리는 경향이 있었다. 이런 피겨(100)로서는, 도시한 전용스탠드(200)라고 하더라도 자립시키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그래서, 이러한 피겨(100)를 자립시키기 위해서, 예를 들면, 소정의 폭을 가진 플레이트 위에 지주를 세움과 아울러, 상기 지주로부터 뻗은 지지 레버로 피겨의 신체의 일부를 지지하는 전용 스탠드 등도 있다(도시 생략).
그러나 이러한 스탠드가 있더라도 도면에 나타낸 스탠드와 마찬가지로 피겨(100)를 자립시키고 있는 동안에는 항상 전용스탠드가 구비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도시한 전용스탠드(200)의 경우와 같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 종류의 전용스탠드의 경우, 지지 레버로 피겨(100)의 허리나 목 부분을 지탱하거나, 팔 등을 거는 것으로 피겨(100)전체를 지탱하고 있기도 하기 때문에, 도시 예의 전용스탠드로 발밑을 지탱하는 경우보다도, 더욱 피겨(100)의 외관을 손상시켰다. 또한, 그 지지 난간에 의상이나 악세사리 등이 걸려 미관을 손상시킬 뿐만 아니라, 그것들의 파손을 초래하기도 하였다. Moreover, the conventional figure also had the following problems.
For example, in the figure 100, such as a movable doll such as a conventional movable doll having an indirect part separately on the movable part such as the hands and feet or the waist, the
Therefore, in order to make such a figure 100 stand on its own, for example, there is also a stand for supporting a part of the figure's body with a support lever extending from the support, while holding a support on a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skip).
However, even with such a stand, there is a problem as in the case of the
In the case of the dedicated stand of this kind, the support lever may support the waist or neck of the figure 100, or the entire figure 100 may be supported by hanging the arm, so that the feet of the exclusive stand of the example are shown. The appearance of the figure 100 was further impaired than in the case of support. In addition, clothing and accessories were caught on the support railings, which not only damaged the aesthetic appearance but also caused them to be damag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이 가지고 있는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전용스탠드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흔들림이 없이 인형자체로 서있는 자세, 특별히 약동감 있는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인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s object is to provide a doll which can maintain a standing posture, especially a moving posture, without shaking, even without using a dedicated stan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사용한 기술적 수단은, 착탈 가능한 신발를 갖추고, 발바닥면과 신발 바닥중 어느 한쪽에 한 개 내지 복수 개의 고착부재를 갖춘 인형으로 한 것이다. 상기 고착부재는 예를 들어, 자석, 벨크로퍼스너(양면테이프) 등을 그 대표 예로 들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피고착부재가 철판이나 벨크로퍼스너(양면테이프) 등이면 양자가 고착됨으로써 전용스탠드를 갖추지 않더라도 인형을 자립시킬 수 있다.
상기 신발로서는, 예를 들어, 하이힐이나 로퍼 등의 신발을 대표 예로 들 수 있다.
발바닥면에 구비된 자석은, 예를 들어, 표면을 드러내어 발가락이면, 구체적으로는 발가락 부근의 발바닥면의 임의의 몇 곳에 매설되어 있다. 또한, 신발 바닥에 구비된 자석은 예를 들어, 얇게 신발 바닥에 일체적으로 매설되어 있다.
발바닥면 혹은 신발 바닥에 구비된 고착부재가 고착되어, 인형을 기립유지 가능하게 하는 피고착부재를 구비한다. 피고착부재는 소정 형상의 철판이나 벨크로퍼스너(양면테이프)를 구비한 소정 형상의 받침대 등을 대표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술적 수단은 다음 특유의 각부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손발이나 허리의 가동 부분에 별도 간접부를 갖추고 있는 가동인형 등의 피겨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 본 발명의 효과가 향상된다.
가랑이사이부위에서 임의방향으로 다리벌림작동이 가능하고, 또한 착탈가능한 좌우의 각부를 갖추며, 상기 좌우의 각부는 각각 상각, 하각, 족부로 이루어져서 상각은 다리 길이 방향으로 전후로 이분할된 상각본체와 상기 한쪽의 상각본체 내에 착탈가능도록 내장되는 동시에, 다른 쪽의 상각본체를 끼워맞춰서 연결하는 끼워맞춤연결부재와, 상각본체상단에서 회전가능하게 갖추어진 가랑이사이연결부재로 이루어져, 한쪽의 상각본체는 외면에 비관통상으로 구비된 통상의 가랑이사이연결부재용 나사고정부와 판형상부 고정용 나사고정부를 각각 상각본체내의 상단측과 그 밖의 내면소정 부분에 형성하고, 다른 쪽의 상각본체는 끼워맞춤연결부재과 끼워맞춰서 연결하는 끼워맞춤부를 그 내면에 구비하여, 가랑이사이연결부재는 상기 가랑이사이연결부재용 나사고정부에 삽입통과구멍을 통하여 상각본체에 회전가능하고 또한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각측 연결편과, 상기 연결편으로부터 일체적으로 연장형성되어 가랑이사이부위에 회전가능하고 또한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걸림편을 구비하고, 끼워맞춤연결부재는 한쪽의 상각본체내면 소망개소에 돌출한 판형상부 고정용 나사고정부의 나사구멍에 연통하는 나사구멍을 가지며, 그 나사구멍 위쪽에서 나사를 고정시켜 상각본체내에 일체적으로 내장되는 동시에 다른 쪽의 상각본체내면의 끼워맞춤부와 끼워맞춤하는 끼워맞춤부를 상기 다른 쪽의 상각본체와 대향하는 면쪽에 형성되어진 판형상부와, 상기 판형상부의 한쪽에 구비되고, 하각을 회전가능하고 또한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연결부와 상기 판형상부의 다른 쪽에 플랜지 모양으로 구비되며, 상기 상각본체 상단측의 가랑이사이연결부용 나사고정부에 삽입통과구멍을 통하여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가랑이사이연결부재의 상각측 연결편과 미끄럼접촉하면서 형성되는 제2연결부를 갖추고, 상기 제2연결부는 가랑이사이연결부용 나사고정부 외경에 가랑이사이연결부재의 상각측 연결편의 삽입통과구멍을 끼운 후에, 자기의 삽입통과구멍을 상기 나사고정부 외경에 끼워서, 상기 상각측 연결편의 상하면을 한쪽의 상각본체 둘레가장자리면과 제2연결부의 미끄럼접촉면으로 끼우도록 밀착시키는 동시에 나사고정연결됨으로써 피부표면에 노출하지 않는 유동조정부를 구성하고 있다. Technical means used by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to be a doll having a detachable shoe, one to a plurality of fixing members on either of the sole surface and the shoe bottom. The fixing member may be, for example, a magnet, a velcro fastener (double sided tape), or the like. As a result, when the member to be fixed is an iron plate, a velcro fastener (both sides tape) or the like, both of them are fixed so that the doll can stand on its own even without a dedicated stand.
As said shoes, shoes, such as high heels and loafers, are mentioned as a typical example.
The magnet provided on the sole surface is, for example, if the toe is exposed to the toe, and is specifically buried in any of the sole surfaces near the toes. In addition, the magnet provided in the shoe sole is embedded in the shoe sole thinly, for example.
The fixing member provided on the sole surface or the sole of the shoe is fixed, and the fixing member is provided to enable the doll to stand. Examples of the fixed member include a steel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nd a pedestal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having a velcro fastener (double-sided tape).
In addition, the above technical means employs the following peculiar to each structure,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roved when a figure such as a movable doll having a separate indirect portion in the movable part of the limbs and waist.
It is possible to open the legs in any direction between the crotch, and also has a detachable left and right corners, the left and right corners each consists of an upper, lower, and foot, so th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upper and lower body wit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It consists of a fitting connection member which is built in a demountable body of one demountable body and at the same time fits and connects the depreciating body of the other, and a connection member between the crotch which is rotatably provided at the upper part of the upper body. A screw fixing portion for connecting members and a plate fixing screw fixing portion, which are provided through a non-penetrating shape, are respectively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other inner predetermined portions of the upper body, and the other upper body is fitted with the fitting connecting member. The fitting portion for fitting and connecting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and the connection member between the crotch is between the crotch. A declining side connecting piece which is rotatably and detachably connected to the upper body through an insertion hole in the screw fixing portion for the connecting member, and which is integrally formed from the connecting piece and rotatably and detachably connected between the crotch. The fitting connecting member has a screw hole communicating with the screw hole of the plate-shaped fixing screw fixing part which protrudes into the desired position on one inner surface of the upper body, and the upper side of the fitting body is fixed by fixing the screw above the screw hole. A plate-shaped portion formed on the side of the plate-shaped portion, which is integrally embedded in the fitting portion and fitted with the fitting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other depreciation body, and is opposite to the other depreciation body; A flange connection to the other side of the plate-shaped portion and a first connection portion for rotatably and detachably connecting the lower angle It is provided with,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formed in the sliding contact with the upper connection side of the crotch connection member of the crotch connecting member through the insertion hole to the screw fixing portion for the crotch connection portion of the upper side of the upper body, the second The connecting portion inserts the insertion through hole of the connecting piece of the upper leg of the crotch connecting member into the outer diameter of the screw fixing part for the crotch connecting part, and then inserts the insertion hole of its insertion into the outer diameter of the screw fixing part,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upper connecting piece of one side It is configur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ircumferential edge of the declining body and the sliding contact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and to be screw-connected to form a flow adjusting portion that is not exposed to the skin surfa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지나지 않고, 어떤 것이든지 이것에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based on drawing.
In addition, embodiment described below is only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and nothing is interpreted limited to this.
삭제delete
도면은, 본 발명 인형의 일실시형태로, 도면 중, 1은 허리부, 22는 상체부, 24는 상각(25)과 하각(30)과 족부(31)로 구성되어 있는 좌우의 각부, 36은 좌우의 팔 부분, 37은 좌우의 손 부분, 38은 목 부분을 나타내고, 상기 각 부분은 각각 분해·조립 가능하여 그 접합부위에서 임의로 회전동작과 굽힘동작의 어느 것이든지, 아니면 쌍방이 가능하다. The figure shows one embodiment of the do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gure, 1 is a waist, 22 is an upper body, 24 is a left and right corner part composed of an
도시하는 본 실시형태로서는, 피겨로 지칭되는 인형으로 특별히, 머리(얼굴부)를 가지지 않은, 소위 가동인형용 소체를 일실시형태로서 들지만, 어떤 것이라도 이것에 한정해서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으로 인형으로 지칭되는 범주의 모두를 대상으로 한다. 또한, 그 크기, 외관 등도 한정되지 않는다.
각 부분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임의로 선택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예를 들어 상체부(22), 좌우의 팔 부분(손 부분(37)을 포함)(36), 목 부분(38) 등의 구조는 특별히 도시형태에 한정 해석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적당히 필요하게 대응하여, 다른 형태·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우의 족부(31), 좌우의 팔 부분(36), 좌우의 손 부분(37), 목 부분(38) 등이 전부 분해·조립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것에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변경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체부(22)를 복부와 흉부가 일체인 형태로 하지만, 상체부(22)를 복부와 흉부의 2부 구성으로 하고, 이 복부와 흉부의 연결부분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형태이더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체부(22)나 좌우의 팔 부분(36), 좌우의 각부(24), 목 부분(38), 혹은 머리 부분 등이 일체의 형태가 되는 인형도 대상으로 한다. As this embodiment shown in figure, the doll called a figure is called the movable doll body which does not have a head (face part) especially as an embodiment, However, anything is not limited to this and is generally interpreted. All of the categories referred to as puppets are covered. In addition, the size, appearance and the like are also not limited.
The material of each part is not specifically limited, It can select arbitrarily.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structures of th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oreover, in this invention, the doll which th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말할 필요도 없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간의 여성나체를 사실적으로 묘사한 것이지만, 인간의 남성나체를 사실적으로 묘사한 구성이더라도 물론 좋다. Needless to say, in the present embodiment, although the female naked body is realistically depicted, the configuration may realistically depict the male naked body of the human.
본 발명의 인형은, 도2에 나타내는 것처럼, 족부(31)에 착탈가능한 신발(42)을 갖추고, 발바닥면(31a)과 신발바닥(42a)중 어느 한쪽에 하나내지 여러 개의 고착부재(41)를 갖추어 구성되어 있는 점을 제1 특징적인 구성으로 한다. 이하, 이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그 밖의 구성에 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고착부재(41)는, 예컨대 자석, 벨크로퍼스너 등을 그 대표 예로 들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고착부재(41)가 자석인 경우에는 피고착부재가 철 등의 강자성체로 이루어지는 부재, 또한 고착부재(41)가 벨크로퍼스너인 경우에는 피고착부재가 벨크로퍼스너이면, 양자가 고착되는 것으로 전용스탠드를 갖추지 않더라도 인형을 자립시킬 수 있다 (도15 참조).
고착부재(41)가 자석인 경우, 피고착부재에 자석을 이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장식선반 등에 인형을 장식하는 경우에는, 장식선반에 철판이나 벨크로퍼스너 등을 미리 부설해 두면, 별도로 철판 등으로 이루어지는 받침대를 갖추지 않더라도 인형을 자립시킬 수 있다.
자석이나 벨크로퍼스너 등의 고착부재(41)를 갖추는 경우, 발바닥면(31a), 신발바닥(42a)에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접착 고정한다. 예를 들어, 도2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처럼 발바닥면(31a)에 자석(41)을 갖추는 경우에는, 발바닥면(31a)에 원통 모양의 오목구멍(31c)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오목구멍(31c)에 접착제 등을 통하여 원통 모양의 자석(41)을 접착고정한다. 또한, 고착부재(41)가 발바닥면(31a) 등에 결합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이라도 좋고, 예를 들어, 고착부재외주를 오목구멍내주에 나사결합하도록 나사고정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고착부재(41)를 발바닥면(31a) 등에 끼워맞추는 구조라도 좋다. As shown in Fig. 2, the dol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As the fixing
When the fixing
When the fix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발바닥면(31a)에 고착부재(41)를 갖추는 경우는, 예를 들어, 고착부재(41)의 표면(41a)을 드러내어 발가락(31b)의 바닥 또는 발가락(31b) 근처의 발바닥면 임의부분에 매설한다. 바람직하게는, 도2와 같이, 발바닥면(31a)의 발가락이 붙어있는 부분에 가까이 형성한 오목구멍(31c)에, 고착부재(41)의 표면(41a)이 발바닥면(31a)과 대략 동일면으로 드러나도록 일체적으로 매설된다. 고착부재표면(41a)의 드러남의 정도는, 발바닥면(31a)과 대략 동일한 면으로 하고 있지만, 약간 돌출모양 혹은 함몰모양으로 매설하는 것이더라도 좋고, 고착부재(41)가 그 고착작용을 발휘할 수 있는 정도이면 좋다. 또한, 고착부재(41)의 매설 부분은, 상술한 부분에 한하지 않고 발바닥면(31a)의 발뒤꿈치 위치 등 임의 부분에 임의형상을 가지고 임의수를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발가락(31b)의 바닥 혹은 발가락(31b) 근처 발바닥면 임의 부분에 고착부재(41)를 매설하는 형태는, 특별히 여성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피겨에 이용되는 형태이다. 즉, 여성용 피겨에는 발뒤꿈치가 높은, 소위 하이힐이라는 신발(42)을 신게 하는 것이 많다 (도2). 이 경우, 발바닥의 장심 위치로부터 발뒤꿈치 위치까지의 사이는 거의 형성하지 않는 것이 된다. 따라서, 접지면적이 넓은 발가락(31b)의 바닥 혹은 발가락(31b) 근처의 발바닥면(31a)에 고착부재(41)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fixing
발바닥면(31a)에 고착부재(41)를 갖추는 경우, 고착부재(41)로서는 자석을 채용한다. 즉, 발바닥면(31a)에 자석(41)을 갖춘 경우, 신발(42)을 신은 상태라도, 자기가 강한 자석을 이용하면 피고착부재로서 철 등의 강자성체로 되어 있는 부재상에 자립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시예로서는, 원통모양의 자석(41)과 오목구멍(31c)의 조합으로 하고 있지만, 자석(41)·오목구멍(31c)의 형상·크기 등도 임의로 설계변경 가능하다. 또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자석(41)의 효과를 발휘시키기 위해서도 가능한한 신발바닥(42a)은 얇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수요자가 인형을 실내 등에 장식하거나, 사진촬영을 하는 경우, 알몸의 인형에 의상을 입히기 때문에, 이처럼 발바닥면(31a)에 자석(41)을 갖추는 것으로 한다면 자석(41)은 신발(42)에 의해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장식한 경우에 있어서의 미관을 해치는 것도 없다. When the fixing
Usually, when a consumer decorates a doll indoors or takes a picture, the naked doll is dressed. Therefore, if the sole 41 has a
삭제delete
신발바닥(42a)에 고착부재(41)를 갖추는 경우에는, 고착부재(41)로서 자석 또는 벨크로퍼스너의 어느 쪽이든지 채용가능하다. 이 경우, 자석이나 벨크로퍼스너 등의 고착부재(41)는, 예를 들어, 얇게 신발바닥(42a)에 일체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것이 좋다.
이 때, 고착부재(41)는, 신발바닥(42a) 전역에 걸쳐 형성하든지, 또는 신발바닥(42a)의 임의 부분에 균형 좋게 배치하여, 피고착부재가 없더라도 균형 좋게 신발바닥(42a)이 접지가능하게 하는 것이 좋다.
즉, 발바닥면(31a)의 경우와 같이 신발바닥(42a)에 오목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구멍에 고착부재(41)를 매설하는 구성으로 하면, 신발내면에, 상기 오목구멍에 대응하는 볼록부분이 형성되어, 인형의 발에 신게 할 때에 이 볼록부분이 방해가 된다. 이 불편을 해결하려면, 신발바닥을 두껍게 하여 신발내부에 볼록부분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든지 혹은 볼록부분에 합치하는 오목부분을 인형의 발바닥면에 형성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한, 신발바닥을 두껍게 하는 것은, 인형과 신발의 디자인적인 균형이 나빠질 뿐만 아니라, 여성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피겨 등의 인형에서는 신발(42)로서 하이힐을 신게 하는 것이 많고, 하이힐의 신발바닥이 두꺼워진다는 것은 신발 전체의 디자인이 나빠진다. 또한, 발바닥면에 오목구멍을 구비하는 것으로는, 신발을 벗겼을 때에, 발바닥면 오목구멍이 직시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신발바닥에 자석이나 벨크로퍼스너를 심하게 돌출시키는 것은, 외관상도 바람직하지 않고, 동시에 이것으로는 피고착부재가 있는 장소 이외에서는 그 고착부재가 방해가 되어 인형을 세우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신발바닥(42a)에 얇게 일체적으로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발(42)로서, 예를 들어 도2에 나타낸 하이힐 등의 신발이 대표 예로 들 수 있지만, 무엇이든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뒤꿈치가 낮은 로힐 종류의 신발, 예를 들어 로퍼 등이라도 좋다.
또한, 로퍼를 신게 한 실시의 형태를 도3(a), (b)에 나타낸다. 이 경우, 발바닥면에 구비된 고착부재인 자석(41)은 도2의 형태와 같은 모양으로 발가락(31b)의 바닥 혹은 발가락(31b) 근처의 발바닥면(31a)에 구비된 것(도3 형태)이여도 좋으나, 로퍼 등의 힐이 낮은 신발의 경우 피고착부재와 접지하는 신발바닥면이 넓고 또한, 신발바닥(42a)의 비접지면(예를 들어 발바닥 오목부 위치)와 피고착부재의 간극도 좁기 때문에 발바닥면(31a)의 중앙 근처나 발뒤꿈치 근처 등 임의부분에 자석(41)을 구비한 것으로도 자석의 작용에 의해 고착시킬 수 있다. When the fixing
At this time, the fixing
That is, when the concave hole is formed in the sole 42a as in the case of the
As the
In addition, the embodiment which wore the loafers is shown to FIG. 3 (a), (b). In this case, th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도17의 사용상태에 있는 것처럼, 피고착부재로서 소정 형상의 철판(43)을 하나내지 여러 개를 구비한 경우, 소정 지름의 원반모양 철판(43)을 각각의 족부(31)에 대하여 각각 한 장씩 구비하는 것도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면, 인형을 장식하는 장소가 고착부재, 예를 들어 자석(41) 등의 자기가 작용하지 않는 재질이어도 인형을 자립시켜 장식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각 다리마다 철판(43)을 구비하면 약동적인 자세도 용이하게 취할 수 있고, 또한 장시간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단순히 철판이어도 된다라는 점에서 비용을 낮출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the use state of FIG. 17, when one or
본 실시형태에서는, 피고착부재로서 원반모양 철판(43)을 일례로 들고 있지만, 형상·크기 등 한정해서 해석할 것은 아니며, 이 이외의 임의형상으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설계변경 가능하다. 또한, 신발바닥(42a)에 고착부재(41)로서 벨크로퍼스너를 구비하는 경우, 피고착부재(43)로서는, 소정형상·크기·재질의 받침대 위에 벨크로퍼스너를 구비한 것이 제공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k-shap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족부(31)의 구조와 함께 이하에 자세하게 설명되는 각부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손발이나 허리 등의 가동부분에 별도 간접부를 갖추고 있는 가동인형 등의 피겨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 각 관절부위에 있어서의 흔들거림을 줄여 인형의 자립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 특징적인 구성은, 다음에 나타내는 각부구조를 가지게 한 점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mploys the structure of the
삭제delete
본 실시형태의 좌우의 각부(24, 24)의 구조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족부(31)의 본 발명 고착구조에 관해서는 상술했기 때문에 여기서는 그 설명은 생략하고 각부(24)의 본 발명구조에 관한 설명을 중심으로 기술한다. The structures of the left and
각부(24)는, 상각(25)과 하각(30)과 족부(31)로 구성되어, 상각(25)의 접합 부분이 허리부(1)의 가랑이사이위치에서 임의방향으로 다리벌림작동가능하고, 또한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각부(24)를 구성하는 상각(25), 하각(30), 족부(31)의 외관형상, 즉 피부느낌 등(예를 들어, 근육의 볼록함, 여성적인 라인, 피부면의 색조 등)은 특별히, 한정해서 해석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적당히 설계변경가능하다. The
상각(25)은, 다리 길이 방향에서 전후로 2분할한 2개의 상각본체(25a, 25b)를 조합해서 사용하고, 상각(25) 내에는 끼워맞춤연결부재(33)를 내장하는 동시에, 가랑이사이연결부재(32)를 상단측에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그 상각 구조에 의하면, 각부의 가랑이사이부 부분에 있어서 흔들거림을 없게 하고 인형의 자립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인형의 상각 외표면 즉, 피부표면에 나사 및 나사구멍을 노출함이 없이 전후의 상각 본체(25a, 25b)끼리를 분해·조립하여 자유롭게 연결하고, 피부면의 실제감을 가능한 한 인간에 가깝게 할 수 있다. 구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The
한쪽의 상각본체(25a)는, 그 내면길이 방향으로 병설시켜 제1 판형상부 고정용 나사고정부(26), 제2 판형상부 고정용나사고정부(27)를 형성하고, 그리고 상단측(연결 위치쪽) 내면에도 같은 구성의 가랑이사이연결부재용 나사고정부(28)를 형성하고 있다. One of the
제1 판형상부 고정용 나사고정부(26), 제2 판형상부 고정용 나사고정부(27) 및 가랑이사이연결부재용 나사고정부(28)는 상단에 나사삽입구(26a, 27a, 28a)를 가지는 동시에, 외면에 비관통 모양인 나사구멍(26b, 27b, 28b)을 형성한 소정 높이·소정 지름의 짧은 통 모양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이 가랑이사이연결부재용 나사고정부(28)는, 제1·제2 판형상부 고정용 나사고정부(26, 27)보다도 그 상단을 높은 위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가랑이사이연결부재(32)의 상각측 연결편(32c)과, 끼워맞춤연결부재(33)의 제2연결부(33e)를 끼웠을 때, 상기 나사고정부(28)의 상단(28c)이 상기 제2연결부(33e)의 상면(33e')과 동일한 면 혹은 제2연결부(33e)의 상면(33e')보다도 낮게 위치하는 정도의 높이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도7(a) 참조). 또한, 제1·제2 판형상부 고정용 나사고정부(26, 27)는, 끼워맞춤연결부재(33)의 판형상부(33a)가 가능한 한 상각의 폭방향 중심에 배치되도록 제2연결편(33e)의 기단(33g)으로부터 단차를 가지고 형성되기 때문에 그 상단(26c, 27c)이 판형상부(33a)의 바닥면(33a")을 접촉지지하는 높이를 가지고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제2 판형상부 고정용 나사고정부(26, 27)의 위치 결정용의 노치(33h)을 바닥면(33a")에 형성하고 있다. The first plate-shaped fix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다른 쪽의 상각본체(25b)는 한 쪽의 상각본체(25a)와 맞추었을 때, 상기 제1 판형상부 고정용 나사고정부(26), 제2 판형상부 고정용 나사고정부(27)와 동축상에 위치하는 끼워맞춤오목부(29, 29)를 그 내면에 돌출하여 이루어진다. 이 끼워맞춤오목부(29)는, 끼워맞춤연결부재(33)의 판형상부(33a)의 일면(상각본체(25b) 대향면)(33a')에 돌출되는 끼워맞춤돌기(33c)를 통부 내경(29a)에 끼워맞춤으로써, 전후의 상각본체(25a, 25b)끼리를 착탈가능하게 연결 고정하는 역할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판형상부(33a)의 끼워맞춤돌기(33c)를, 끼워맞춤오목부(29)의 통부 내경(29a)에 끼워 넣은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판형상부(33a)의 끼워맞춤돌기(33c)의 관통구멍(33c')에 끼워 넣는 돌기를 다른 쪽의 상각본체(25b) 내면에 돌출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The other
삭제delete
삭제delete
가랑이사이연결부재(32)는, 허리부(1)의 가랑이사이부위에 회동가능하게 또한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걸림편(32a)과 상각본체(25a)의 상단측에 연결되는 상각측 연결편(32c)으로 이루어져, 상각측 연결편(32c)은, 삽입통과구멍(32d)을 형성한 플랜지판 모양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걸림편(32a)과 일체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얇은 원판 모양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그 원판중심위치에 삽입통과구멍(32d)을 형성한 상각측 연결편(32c)과, 상기 상각측 연결편(32c)의 외주로부터, 상기 연결편(32c)의 둘레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레버(32b)와, 상기 레버(32b) 앞끝을 축 중심에 연결해서 일체 성형되어 있는 작은 동그란 원판 모양의 걸림편(32a)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가랑이사이연결부재(32)에 있어서의 상각측 연결편(32c)의 삽입 통과 구멍(32d)은, 상각본체(25a)의 가랑이사이연결부재용 나사고정부(28)의 외경을 미끄럼접촉으로 끼워 넣을 수 있는 구멍지름으로 한다. The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상각본체(25a, 25b)의 상단측은, 상기 상각측 연결편(32c)의 원판형상과 동일 원호상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상각본체(25a, 25b)를 일체적으로 조합시켰을 때에, 상기 상각측 연결편(32c)의 원판형상에 합치하는 노치(25c, 25c)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상각측 연결편(32c)은, 상각본체(25a, 25b)의 노치(25c, 25c) 사이에 끼웠을 때에, 상기 노치(25c, 25c) 사이에서 상각의 상단 중심에 위치한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upper end side of each
끼워맞춤연결부재(33)는, 한쪽의 상각본체(25a) 내에 일체적으로 부착되어 내장되는 동시에, 다른 쪽의 상각본체(25b)를 착탈가능하게 끼워맞춤연결한다. The fitting connecting
끼워맞춤연결부재(33)는, 상각본체(25a) 내에 내장 고정되는 판형상부(33a)의 한쪽 끝에 하각(30)과 연결되는 제1 연결부(33d)를 갖추는 동시에, 다른 끝에는 상기 가랑이사이연결부재(32)의 상각측 연결편(32c)과 나사고정 연결되는 제2연결부(33e)를 갖추어 이루어진다. The fitting connecting
상기 판형상부(33a)는, 상각본체(25a) 내에 내장 가능한 폭·길이의 소정 판형상으로 형성하고, 판길이 방향으로 여러 개의 나사구멍(33b, 33b)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각각의 나사구멍(33b) 상단에는, 상기 나사구멍(33b)과 구멍 중심축 방향으로 연통하는 관통구멍(33c')을 가진 끼워맞춤돌기(33c)를 형성하고 있다. The
제1연결부(33d)는, 상각과 하각(30) 사이에 구비되는 무릎부(45)의 한쪽 끝의 끼워맞춤연결레버(46a)를 임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또한 착탈가능하게 끼워맞춤하는 끼워맞춤부(33d')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끼워맞춤부(33d')는, 끼워맞춤연결레버(46a)를 단단하게 끼워맞춤 가능한 내경으로 한 끼워맞춤구멍으로 한다. The first connecting
또한, 하각(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연결부(33d)에 끼워맞춤 가능한 연결부를 가지고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그 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임의형상을 선택 가능하다. In addition, as long as the
제2연결부(33e)는, 상기 판형상부(33a)의 상단에서 플랜지판 모양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그 선단측에 삽입통과구멍(33f)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플랜지판 모양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임의적이며, 삽입통과구멍(33f)은 상각본체(25a)의 가랑이사이연결부재용 나사고정부(28)의 외경을 미끄럼접촉으로 끼워 넣을 수 있는 구멍지름으로 한다. 즉, 제2연결부(33e)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랑이사이연결부재(32)의 상각측 연결편(32c)의 미끄럼접촉면(상면)(32c')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지만, 상기 미끄럼접촉면(상면)(32c)과 동일한 크기로 해도 좋다. The second connecting
그리고, 이 제2연결부(33e)는, 상기 가랑이사이연결부재(32)의 상각측 연결편(32c)과 아울러 한쪽의 상각본체(25a) 내면에 구비된 가랑이사이연결부재용 나사고정부(28)를 통하여 나사고정 연결됨으로써 피부표면에 노출되지 않는 유동조정부(39)를 구성하고 있다. The second connecting
또한, 본 실시형태로서는, 끼워맞춤연결부재(33)에 다음과 같은 특유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In addition, as this embodiment, the following peculiar structure is employ | adopted for the
즉, 이 끼워맞춤연결부재(33)는 판형상부(33a)와 제1연결부(33d) 그리고 제2연결부(33e)를 일체 성형하여 이루어진다. That is, the
그리고, 제2연결부(33e)의 기단(33g)에서, 단차를 형성하여 한층 내려간 위치에 판형상부(33a)를 일체적으로 연장하는 동시에, 상기 판형상부(33a)의 다른 끝이 제1연결부(33d)의 통원중심(33d") 혹은 그 근방에 연결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자세하게는 가랑이사이연결부재(32)의 상각측 연결편(32c) 위에 제2연결부(33e)를 겹치게 배치했을 때에, 판형상부(33a)가 상각측 연결편(32c)과 동일한 레벨의 위치에 오도록 설정된다.At the
이 기술적 구성을 채용하는 배경을 설명한다. The background which adopts this technical structure is demonstrated.
제2연결부(33e)는 가랑이사이연결부재(32)에 있어서의 상각측 연결편(32c)의 상면(32c') 위에 미끄럼접촉상태로 놓여진다. The second connecting
이 때, 상술한 것처럼 상각측 연결편(32c)은, 그 조립시에는 상각본체(25a, 25b) 사이의 중심에 배치되기 때문에, 제2연결부(33e)는 필연적으로 상각본체(25a, 25b) 사이 중심보다도 상각본체(25b) 근처에 위치한다.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connecting
여기에서, 제2연결부(33e)의 기단(33g)에서 동일 연장선상에 판형상부(33a)를 일체적으로 연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Here, it is also possible to integrally extend the plate-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하면, 판형상부(33a)가 상각본체(25b) 근처에 위치하는 것이 된다. However, if comprised in this way, the plate-shaped
이러한 구성이 되면, 판형상부(33a)와 상각본체(25b) 사이의 틈이 좁게 되고, 끼워맞춤오목부(29)와 끼워맞춤돌기(33c)의 끼워맞춤 깊이가 불충분해 진다. In this configuration, the gap between the plate-shaped
이것으로는 끼워맞춤이 약해질 우려가 있고, 이 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상기 틈을 넓혀 끼워맞춤돌기 높이와 끼워맞춤오목부 깊이를 충분하게 할 필요가 있지만, 이와 같이 틈을 넓게 한다는 것은 상각 그 자체를 굵게 하지 않으면 안 된다. This may weaken the fitting, an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widen the gap to increase the height of the fitting protrusion and the depth of the fitting recess, but to widen the gap in this manner is the depreciation itself. Must be bold.
상각을 굵게 한다는 것은, 여성의 아름다운 각선미를 찾는 수요자에게 있어서는 큰 문제로, 상품가치가 저하된다. Making the depreciation thick is a big problem for consumers looking for beautiful legs of women, and the commodity value is lowered.
또한, 제2연결부(33e)와 판형상부(33a)를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면으로 하여 연장했다고 한다면, 상기 판형상부(33a)의 다른 끝쪽과 제1연결부(33d)의 연결부위가, 통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연결부(33d)의 통원중심(33d")보다 윗쪽이 된다. If the second connecting
제1연결부(33d)는, 상각의 하단 개구부(25d)와 동심원 모양으로 끼워맞춤부(33d')가 위치(도6에 있어서 중심축을 부호 L로 나타냄)하고 있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그 설치하는 위치는 항상 일정하다. The first connecting
그렇기 때문에, 판형상부(33a)가 상각본체(25b) 근처에 배치되면, 필연적으로 제1연결부(33d)와 판형상부(33a)의 연결부위는 통원중심(33d")보다 윗쪽이 된다. 이 제1연결부(33d)는, 하각굽힘·회전작동 시에 상당한 힘이 든다. Therefore, when the plate-shaped
따라서, 판형상부(33a)와의 연결부위가 통원중심(33d")보다 윗쪽에서는 이와 같은 힘을 견디는 것이 어렵다.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withstand such a force when the connection part with the plate-shaped
그런데, 상술한 것처럼, 제2연결부(33e)의 기단(33g)에서 단차를 형성하여 1단을 낮춘 위치에 판형상부(33a)를 일체적으로 연장형성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판형상부(33a)를 상각폭방향 중심에 위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각 그 자체를 굵게 하지 않고 끼워맞춤돌기 높이·끼워맞춤오목부 깊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가 있다.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plate-shaped
또한 판형상부(33a)를 상각폭방향 중심에 위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1연결부(33d)의 통원중심(33d") 또는 그 근방에 판형상부(33a)를 연결할 수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plate-shaped
유동조정부(39)는, 이와 같이 상각본체(25a) 내면의 가랑이사이연결부재용 나사고정부(28)와 가랑이사이연결부재(32)의 상각측 연결편(32c)과, 끼워맞춤연결부재(33)의 제2연결부(33e)와, 나사(35)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The
즉, 가랑이사이연결부재용 나사고정부(28)의 외경에, 각각의 삽입통과구멍(32d, 33f)을 통하여 상각측 연결편(32c), 계속해서 제2연결부(33e)를 순차로 끼워 넣어 연결하는 동시에, 그 위쪽으로부터 고착부재, 본 실시형태에서는 나사(35)를 단단히 조여 간다. That is, the upper connecting
이 나사(35)의 조임 상태에 의해서, 상각측 연결편(32c)의 양쪽 미끄럼접촉면((상면(32c'), 하면(32c"))이, 하위의 상각본체(25a)의 노치(25c)의 둘레가장자리면(25c')과 상위의 제2연결부(33e)의 미끄럼접촉면(하면),(33e")에 의해 밀착정도가 조정된다. By the fastening state of this
이것에 의해서, 상각측 연결편(32c)이 회동하는 경우, 그 각 미끄럼접촉부분에 마찰이 생기고, 그 마찰을 조정함으로써 유동조정이 가능해지며, 인형이 흔들거림이 없이 자립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유동조정부(39)는, 상술의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각부(24)의 외부표면(피부표면)(24a)에 노출하지 않고,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피부표면의 사실감을 추구할 수 있다. As a result, when the upper-
종래의 가동인형에서는 가랑이사이연결부의 움직임을 얻기 위해서, 볼트 조인트 등으로 유동가능하게 연결시켰을 뿐이였으며 조금도 유동조정이 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 연결부위가 흔들거림으로써 장시간 동일한 자세로 세워 놓기 위해서는 각부를 삽입하여 유지하는 형태의 전용스탠드가 아니라 몸 전체를 지탱하는 전용스탠드가 필수적이였다. 이에 대하여, 이 가랑이사이연결부재의 연결부위에 유동조정부(39)를 형성한 본 발명과, 발바닥면(31a) 또는 신발바닥(42a)중 어느 쪽에 자석 등의 고착부재(41)를 갖춘 본 발명의 조합에 의해, 가랑이사이부위에 있어서의 각부(24)의 휘청거림을 억제하면서 발바닥면(31a) 등의 자석에 의해, 발바닥면 등을 피고착부재에 고착시켜 세우기 때문에, 가동인형을 포함한 모든 인형의 자립이 달성될 수 있고, 또한 일보 진전된 인형의 제공이 이루어진다. In the conventional movable doll, in order to obtain the movement of the connection part between the crotch, only the fluid connection was made possible through the bolt joint or the like, and since the flow was not adjusted at all, the connection part was shaken to insert each part to stand in the same posture for a long time It was essential to support the whole body, not the dedicated stand of the form.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각(25)과 하각(30)의 연결 부분(무릎 부분)의 가동 및 하각(30)과 족부(31)의 연결 부분(발목 부분)의 가동에 각각 유동성을 주고, 본 발명의 구성과 동시에 인형의 자립을 더욱 확실한 것으로 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채용했다. 이것에 의해서, 본 실시형태의 인형은 상술한 상각(25)과 가랑이사이부위의 연결 부분의 가동에 유동성을 준것 이외에, 상각(25)과 하각(30)의 연결 부분 및 하각(30)과 족부(31)의 연결 부분의 모두에 있어서 각각의 가동에 유동성을 주었기 때문에, 각각의 연결 부분에서 흔들거림이 없고, 발바닥면(31a)이나 신발바닥(42a)에 구비된 고착부재(41)와 더불어, 인형은 전용스탠드 등의 별도의 부재를 개재함이 없이 자립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자유롭게 약동감이 있는 자세를 취하게 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fluidity is given to the movement of the connection part (knee part) of the
우선, 족부(31)의 가동부인 발목부분은, 도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성하였다. 즉, 족부(31)와 하각(30)의 연결에 연결부재(44)를 이용하고, 상기 연결부재(44)는 수지재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한쪽 끝에, 하각(30)의 하단에 형성된 삽입구멍(30c)에 좌우방향으로 회전동작 가능하고 또한 착탈가능하게 끼워맞춤되는 원기둥 모양의 끼워맞춤연결레버(44a)를 가지고, 다른 끝에 족부(31)의 발목부분에 회전동작 가능하게 연결되는, 측면에서 볼 때 원반모양의 수지재연결편(44b)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편(44b)의 끼워맞춤구멍(44c)과 족부(31)측에 형성된 끼워맞춤구멍(도시 생략)을 연통시키는 동시에, 상기 양쪽 구멍에 긴밀하게 끼워맞춤하고, 또한 족부(31)가 연결편(44b)에서 전후로 회전동작 가능하도록 수지제의 삽입고정부재(44d)를 갖춘다. 이것에 의하여, 긴밀하게 끼워진 수지제의 삽입고정재(44b)와 수지재 연결편(44b)의 사이에서 생기는 마찰에 의해 유동성을 생기게 하는 구조로 하였다. First, the ankle part which is the movable part of the
또한, 상각(25)과 하각(30)의 연결 부분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하였다. 즉, 상각(25)과 하각(30)의 사이는, 무릎부(45)에 의해서 가동 가능하게 하고, 그 가동부위에 유동성을 생기게 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무릎부(45)는, 상각(25)과의 연결부(46)와 무릎본체(47)로 이루어지며, 연결부(46)는 한쪽 끝에 형성된 상각의 끼워맞춤부(끼워맞춤구멍),(33d')에 끼워맞춤가능한 외경을 가지는 끼워맞춤연결레버(46a)와, 다른 쪽 끝에 형성된 두갈래로 나누어진 모양의 끼움부(46b)로 구성되어 있다. 무릎본체(47)는, 무릎(47a)과 상기 무릎머리(47a)의 바닥면에 형성되고, 연결부(46)의 끼움부(46b)와 연결되는 원반모양의 연결편(47b)과 하각(30)의 두 넓적다리 모양의 끼움부(30a)와 연결되는 원반모양의 연결편(47c)으로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part of the
그리고, 연결부(46)의 끼움부(46b)와 무릎본체(47)의 연결편(47b)의 각각의 끼워맞춤구멍(46c, 47c)을 연통시키는 동시에, 상기 양쪽 구멍에 긴밀하게 끼워맞춤하고, 또한 연결편(47b)이 끼움부(46b) 사이에서 전후로 회전동작 가능하도록, 단면 C자 모양의 금속제 스프링핀(48)을 갖춘다. 스프링핀(48)은, 끼워맞춤구멍(46c, 47c)의 내경보다도 조금 큰지름 혹은 같은 지름의 외경으로 한다. 이것에 의하여, 긴밀하게 삽입한 스프링핀(48)에 의해 생기는 마찰에 의해서, 무릎부(45)와 상각(25)의 가동에 유동성을 가지게 하는 구조로 했다. 또한 무릎본체(47)의 연결편(47d)과 하각(30)의 끼움부(30a)의 각각의 끼워맞춤구멍(47e, 30b)을 연통시키는 동시에, 상기 양쪽 구멍에 긴밀하게 끼워맞춤하고, 혹은 연결편(47d)이 끼움부(30a) 사이에서 전후로 회동 가능하도록, 수지제의 삽입고정부재(49)를 갖춘다. 이것에 의해서, 긴밀하게 삽입된 수지제의 삽입고정부재(49)와 수지제의 연결편(47d)의 사이에서 생기는 마찰에 의하여 무릎부와 하각의 가동에 유동성을 가지게 하는 구조로 했다. The
본 발명의 상각구조의 조립 공정의 일례를 설명한다. An example of the assembly process of the depreciation structure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우선, 가랑이사이연결부재(32)의 상각측 연결편(32c)의 삽입통과구멍(32d)에, 한쪽의 상각본체(25a)의 위쪽 끝에 돌출되어 있는 가랑이사이연결부재용 나사고정부(28)의 외경을 끼우고, 걸림편(32a)이 상각본체(25a)의 위쪽 끝에 돌출 모양으로 위치하도록 가랑이사이연결부재(32)를 회동 가능하게 구비한다. First, the outer diameter of the
이 때, 가랑이사이연결부재(32)의 상각측 연결편(32c)의 미끄럼접촉면(하면)(32c")은, 상각본체(25a)의 노치 주위의 가장자리면(25c')에 접하고 있다. At this time, the sliding contact surface (lower surface) 32c "of the upper-
그리고, 다음으로, 제1 판형상부 고정용 나사고정부(26)와 제2 판형상부 고정용 나사고정부(27)에 끼워맞춤연결부재(33)의 각 나사구멍(33b, 33b)을 맞추는 동시에, 나사 구멍 위쪽의 끼워맞춤돌기(33c, 33c)의 관통구멍(33c', 33c')을 통하여 나사(34, 34)를 체결한다. Then, each
이 때, 끼워맞춤연결부재(33)의 제2연결부(33e)는, 그 삽입통과구멍(33f)에 상기 상각측 연결편(32c) 위에 돌출되어 있는 가랑이사이연결부재용 나사고정부(28)의 외경을 끼우는 동시에, 미끄럼접촉면(하면)(33e")이 상각측 연결편(32c)의 미끄럼접촉면(상면)(32c')에 접하고 있다. At this time, the second connecting
그리고, 가랑이사이연결부재용 나사고정부(28)에 나사(35)를 조어 붙여 가랑이사이연결부재(32)를 상각본체(25a)의 노치 둘레 가장자리면(25c')과 제2연결부(33e)의 미끄럼접촉면(33e')에 의하여 끼우듯이 밀착시켜 연결한다. Then, the
이 나사(35)의 체결 정도에 의해서, 가랑이사이연결부재(32)의 유동성을 강약조정한다. By the fastening degree of this
그리고, 다음으로 다른 쪽의 상각본체(25b)의 끼워맞춤오목부(29)와 끼워맞춤연결부재(33)의 끼워맞춤돌기(33c)를 끼워맞춤으로써, 한쪽의 상각본체(25a)와 다른 쪽의 상각본체(25b)가 일체화되어 상각(25)이 형성된다. Then, by fitting the
그리고, 그 후에 상각(25)의 하단측에 위치하는 제1연결부(33d)에 하각(30)을 연결한다. Then, the
이처럼 상각(25)이 형성됨으로써, 각부(24)의 외표면(피부표면)(24a)에는, 종래와 같은 나사나 나사구멍이 없고, 인간과 같은 피부감의 실제감이 얻어진다. 또한, 상각본체(25a, 25b)끼리도 자유롭게 분리가능하고, 종래와 같이 접착이나 용착에 의해 분리불능한 것으로 되어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 분해할 수 있다. Thus, the
다음으로, 상기 각부(24)를 연결하는 본 실시형태의 허리부(1)의 구조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Next, the structure of the
허리부(1)는, 상체부연결공간(3)과 좌우의 각부연결공간(4, 4)을 구비하여 인간의 허리부 외표면을 충실하게 표현하도록 종래와 같은 두 개로 나누어진 구성이 아니라 일체성형되어, 좌우의 각부(24, 24)에 연결부분에 있어서의 가랑이사이연결부재(32)의 걸림편(32a, 32a)을 착탈·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각부연결구조(5)와, 상체부(22)를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는 상몸통부연결구조(19)를 가지고 있다. The
이와 같이, 일체성형되기 때문에, 허리부(1)에는 종래와 같이 합치는 면에 생겼던 선이 없고, 또한 엉덩이부(1a)에는 나사구멍 등도 없고, 보다 인간의 허리부 외표면(피부면)을 충실하게 표현할 수 있다. In this way, since it is integrally molded, there is no line formed on the surface to be joined to the
상기 상체부연결공간(3)과 좌우의 각부연결공간(4, 4)은 각각 연통해서 형성되어 있다. The upper
허리부(1) 전체의 크기, 형상 등은 임의적이고, 또한 외표면의 형상, 예를 들어 엉덩이부(1a)·하복부(1b)의 볼록함 등, 넓적다리(1c)의 들어가는 정도 등도 임의적이며, 특별히 도시된 형상에 한정해석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설계변경 가능하다. The size and shape of the
각부연결구조(5)는, 일체성형된 허리부본체(1)의 가랑이사이부(6)내면에 형성된 하측걸림부(7), 상기 하측걸림부(7)와 합치하여 좌우의 각부(24, 24)의 각 걸림편(32a, 32a)을 회동 가능하게 결합유지하는 상측걸림부(12)를 가지는 착탈가능한 누름부재(10)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측걸림부(7)와 상측걸림부(12)에 의하여, 좌우의 각부(24, 24)의 연결부분 위치를 착탈가능, 혹은 회동 가능하게 연결유지하는 구조이다. The
허리부본체(2)에 형성되는 하측걸림부(7)는, 좌우의 각부연결공간(4, 4)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가랑이사이부(6)의 내면에, 좌우각부(24, 24)의 양쪽 걸림편(32a, 32a)을 서로 대향해서 내장가능한 단일의 오목부(8)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오목부(8)와 연통되게 가랑이사이부(6)의 내면 양쪽 끝 가장자리에 형성된 반원모양의 좌우 걸림홈(9, 9)으로 구성되어 있다. The
누름부재(10)는, 누름부재본체(11)의 하면에 상측걸림부(12)를 갖추는 동시에, 상기 본체(11)의 위쪽 면에 상체부연결구조(19)를 갖추고 있다. The pressing
누름부재본체(11)는, 예를 들어 허리부본체(2)의 가랑이사이부(6) 내면폭과 같은 폭의 대략 직방체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하면의 대략 중앙에 상측걸림부(12)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상측걸림부(12)의 동일 축상의 상면 대략 중앙에 상체부연결구조(19)를 입설한다. The pressing member
누름부재(10)에 형성되는 상측걸림부(12)는, 허리부본체(2)에 형성된 하측걸림부(7)의 오목부(8)와 동일한 형상의 오목부(13)를 가지고, 상기 오목부(13)는 하측걸림부(7) 위에 맞추어졌을 때, 하측걸림부(7)의 오목부(8)와 같이 단척 통모양의 걸림편내장공간(15)을 형성한다. The
그리고, 상측걸림부(12)는, 하측걸림부(7)의 좌우걸림홈(9, 9)과 동일한 형상의 반원모양의 좌우걸림홈(14, 14)를 상기 오목부(13)와 연통되게 본체(11)의 아래면 양쪽 끝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그리고, 상술 한 바와 같이 구성된 누름부재(10)는, 허리부본체(2)의 가랑이사이부(6) 내면상에 위쪽으로부터 씌워, 상기 가랑이사이부(6) 내면상에 나사고정한다. 도면중 16은 나사, 17은 누름부재본체(2)측의 나사구멍, 18은 가랑이사이부(6) 내면측의 나사구멍을 각각 나타낸다. Then, the pressing
또한, 고착구성은 일례로서 상술한 나사고정 구성에 한하지 않고, 착탈가능한 주지고착구성이 적당히 채용가능하다. In addition, the fixing structure is not limited to the screw fixing structure mentioned above as an example, and the detachable main fixing structure can be employ | adopted suitably.
상기 하측걸림부(7)와 상측걸림부(12)는, 본 실시형태에 한정 해석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적당히 설계변경 가능하다. 즉, 걸림편 내장공간(15)· 걸림홈(9, 14) 등의 구성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으로 변경가능하다. The
또한, 하측걸림부(7)의 오목부(8)와 상측걸림부(12)의 오목부(13)는, 각각 좌각부걸림편용 오목부와 우각부걸림편용 오목부를 별개로 독립하여 오목하게 형성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In addition, the recessed
또한, 누름부재(10)의 전체형상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설계변경 가능하다. The overall shape of the pressing
상체부연결구조(19)는, 상술한 누름부재(10)의 표면이 겸하고 있다. 즉, 누름부재본체(11)의 위면 대략 중심으로 입설한 연결부(20)를 통하여 상체부(22)를 연결하고 있다. The upper
연결부(20)는,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와 같이, 상면을 개방하고, 삽입구멍(21)을 갖춘 원통모양으로 구성되며, 예를 들어 상체부(22)의 하부 내면에 미끄럼 작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볼조인트(23)의 원기둥모양 막대(23a)를 상기 삽입구멍(21)에 착탈이 자유롭게 삽입연결한다. The connecting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체부(22)와 허리부(1)의 이음새부분에 볼조인트(23)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연결부(20)의 삽입구멍(21)을 단면 각구멍모양으로 한 경우에는, 이 막대(23a) 외형도 각기둥 모양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체부(22)와 허리부분(1)이 착탈이 자유로운 이음새구조를 가지고 있으면, 막대(23a)와 삽입구멍(21)의 관계는 임의로 설계변경 가능하다. 단, 용이하게 빠지지 않도록 끼워맞춤되어 있는 것으로한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ball joint 23 is used for the joint part of the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허리부(1)에 좌우의 각부(24, 24)와 상체부(22)를 조립하여 일체화하는 경우, 우선 좌우의 각부(24, 24)는, 각 연결부분의 가랑이사이연결부재(32, 32)에 구비되어 있는 각 걸림편(32a, 32a)을 각각 허리부본체(2)의 가랑이사이부(6) 내면에 형성된 걸림홈(9, 9)를 통하여 아래쪽 오목부(8) 내에 아래쪽 반을 걸어유지하게 한다. Therefore, when assembling and integrating the left and
그리고 다음으로, 누름부재(10)를 상체부연결공간(19)의 방향(위방향)으로부터 가랑이사이부(6) 내면 위에 씌워서 위쪽 오목부(13) 내에 상기 걸림편(32a, 32a)의 위쪽 반을 내장하는 동시에, 걸림홈(14, 14)를 상기 걸림홈(9, 9)와 합치시킨다. Then, the pressing
다음으로, 나사(16)를 누름부재(10)의 윗쪽으로부터 조어 붙이고, 상기 누름부재(10)를 가랑이사이부(6) 내면 위에 고착시킨다. 이것에 의해서, 좌우의 각부(24, 24)는 걸림편(32a, 32a)이 걸림편내장공간(15)에서 회전가능하게 연결유지된다. Next, the
그리고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고착된 누름부재(10)의 연결부(20)의 삽입구멍(21)에 상체부(22)의 하부 내면에 배치되어 있는 볼조인트(23)의 막대(23a)를 삽입연결한다. 이것에 의하여, 상체부(22)의 아래 부분은, 허리부(1)의 안쪽에 삽입된 상태로 허리부(1)에 연결되기 때문에, 외관상 상체부(22)와 허리부(1)가 분리하지 않고 일체감을 나타낸다. Next, the
또한, 분해하는 경우에는, 우선, 허리부(1)의 연결부(20)의 삽입구멍(21)으로부터, 상체부(22)의 막대(23a)를 간단히 뽑을 뿐이어서 좋다. 이것에 의해서, 상체부(22)가 허리부(1)로부터 간단히 분해된다. In the case of disassembling, first, the
다음으로, 상체부(22)를 분해한 허리부(1)의 상체부연결공간(3)에는, 누름부재(10)가 나타나고, 그 나사(16)가 바로 보이기 때문에, 상기 누름부재(10)를 허리부(1)의 가랑이사이부(6) 내면에 고착되어 있는 상기 나사(16)를 뺄 수 있다. 이 나사(16)를 빼는 것에 의해서, 누름부재(10)는 위쪽으로 뺄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가랑이사이부(6)의 내면에 있는 하측걸림부(7)에 내장되어 걸려 있던 좌우 각부(24, 24)의 걸림편(32a, 32a)을 분리할 수 있다. Next, the pressing
따라서, 이와 같이 간단히 분해조립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른 부품(다른 상체부나 다른 각부)으로의 조립변경, 또는 옷 등의 갈아입기·장비등의 부착 등도 가능하다. Therefore, since disassembly and assembly are possible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assembly to other parts (different upper body parts or other parts), or to attach clothes, change equipment, or the like.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허리부본체(2)를 일체성형하여, 종래와 같은 상체부연결공간내에 위치하고 있었던 나사고정 구성부분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그리고 누름부재(10)의 상면에 설치한 연결부(20)를 통하여 상체부(22) 하부의 볼조인트(23)의 막대(23a)를 착탈이 자유롭게 삽입연결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상체부연결공간(3)이 넓게 확보될 수 있다. Thu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the
즉, 상체부연결공간(3)이 넓게 확보될 수 있다는 것은, 허리부(1)의 상체부연결공간(3) 내에 상체부(22) 아래쪽이 삽입된 상태로 연결되는 인형에 있어서, 상기 상체부(22)가 그 공간(3) 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이 넓게 확보되어, 상체부(22)와 허리부(1)의 경계선의 굽힘·회전동작이 부드럽고 또한 자유도가 넓어진다.That is, the upper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되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전용스탠드를 이용하지 않아도 인형자체로 자립시킬 수 있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doll itself can be self-supporting without using a dedicated stand as in the prior art.
따라서, 수요자는 희망하는 자세를 인형에 취하여, 그 자세를 어떤 전용스탠드 등을 붙이지 않고 유지시키면서 실내 등에 장식하거나, 사진촬영을 하거나, 또는 데생을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지금까지 매우 보기에 거추장스러웠던 전용스탠드를 배제할 수 있고, 수요자의 요구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다. Therefore, the consumer can take a desired posture on the doll and decorate it in a room, take a picture, or make a drawing while maintaining the posture without attaching any dedicated stand or the like.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xclude the exclusive stand which has been very difficult to see so far, and can sufficiently meet the demand of the consumer.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가랑이사이연결부재의 유동조정부를, 상각 상단의 가랑이사이연결부재 연결부위에 형성했기 때문에, 유동조정이 자유롭게 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low adjusting portion of the crotch connecting member is formed on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crotch connecting member at the upper left, the flow adjusting can be free.
종래의 가동인형으로서는, 가랑이사이연결부의 움직임을 얻기 위해서, 볼조인트 등으로 유동이 자유롭게 연결시키고 있을 뿐이었으므로 어떠한 유동 조정은 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 연결부위가 흔들거렸다. 따라서, 장시간 동일한 자세로 세워 두기 위해서는 각부를 삽입해서 유지하는 상태의 전용스탠드가 아니라 몸전체를 지탱하는 전용스탠드가 필요했지만, 이 가랑이사이연결부재연결부위에 유동조정부를 형성한 본 발명과 발바닥면 또는 신발바닥의 어느 곳인가에 고착부재를 갖춘 본 발명의 조합에 의해서, 가동인형을 포함해서 모든 인형의 자립이 달성될 수 있고, 또한 한 걸음 더욱 진보한 인형의 제공이 이루어졌다.In the conventional movable doll, in order to obtain the movement of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crotch, since the flow was only connected freely by a ball joint or the like, since no flow adjustment was made, this connection portion was shaken. Therefore, in order to stand in the same position for a long time, the dedicated stand supporting the entire body was required, not the dedicated stand in which the respective parts were inserted and held, bu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ole surface having the flow adjusting part formed on the connection member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crotch. Alternatively, by the combi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fixing member anywhere on the sole of the shoe, the self-reliance of all the dolls can be achieved, including a movable doll, and a further advanced doll has been provided.
따라서, 피겨를 기립시키는 것이 순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특별히 엉거주춤한 상태를 피겨에 바라는 것도, 이 유동조정을 하는 것으로 가능해지기 때문에 재미가 배가하고, 상품가치의 향상도 된다. 또한, 이 유동조정부는, 상각본체내에 구비하여, 피부면에는 전혀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피부감의 실제감을 추구할 수 있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ke the figure stand up instantaneously, and to wish the figure to be in a particularly stuttered state can be made by adjusting the flow, thereby increasing the fun and improving the merchandise value. In addition, since this flow adjustment part is provided in the deterioration main body and is not exposed to the skin surface at all, it can seek the real feeling of a skin feeling.
Claims (14)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2-00289091 | 2002-10-01 | ||
JP2002289091A JP3638579B2 (en) | 2002-10-01 | 2002-10-01 | dol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29935A KR20040029935A (en) | 2004-04-08 |
KR100623456B1 true KR100623456B1 (en) | 2006-09-18 |
Family
ID=32281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85619A KR100623456B1 (en) | 2002-10-01 | 2002-12-27 | Doll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3638579B2 (en) |
KR (1) | KR10062345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500220B2 (en) * | 2005-06-17 | 2010-07-14 | 株式会社オビツ製作所 | Doll spherical joint |
US8888553B2 (en) | 2012-04-28 | 2014-11-18 | Matthew McMullen | Doll head having a magnetically adjustable facial contour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
KR200470227Y1 (en) * | 2012-05-02 | 2013-12-04 | 김단 | Arms part of jointed doll |
GB2589520B (en) * | 2015-08-14 | 2022-01-05 | StickyBones LLC | Animation puppet |
JP7174874B1 (en) * | 2022-03-11 | 2022-11-17 | 株式会社バンダイ | Toy parts and doll toys |
-
2002
- 2002-10-01 JP JP2002289091A patent/JP3638579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2-12-27 KR KR1020020085619A patent/KR100623456B1/en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04121498A (en) | 2004-04-22 |
KR20040029935A (en) | 2004-04-08 |
JP3638579B2 (en) | 2005-04-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357043B2 (en) | extension rig for animation dolls | |
US6848967B2 (en) | Transformable toy | |
US20050112993A1 (en) | Doll with angled and jointed torso | |
CN102123624A (en) | Footwear, clothing and other apparel with interchangeable toe and heel members or other ornaments and related methods and systems | |
JP4116538B2 (en) | Flexible figure | |
KR100623456B1 (en) | Doll | |
JPS5813161B2 (en) | ski shoes | |
JP3761523B2 (en) | Skeleton structure of soft vinyl large movable doll and soft vinyl large movable doll having the skeleton structure | |
JP3609797B2 (en) | doll | |
US4127251A (en) | Doll stand | |
JP3553026B2 (en) | Doll waist structure | |
JP3079299U (en) | Doll leg structure | |
KR100526971B1 (en) | A joint constitution of ruggedness-shape | |
CA115649S (en) | Detachable sole for an ankle and foot covering | |
JP2003311025A (en) | Body for movable doll | |
KR200333709Y1 (en) | Ball-Jointed Doll | |
JP3926821B2 (en) | Movable doll torso | |
KR200341093Y1 (en) | A decoration for footwear | |
KR200346167Y1 (en) | movement board and jump the sky | |
JP2003265287A (en) | Leg structure of mannequin | |
TH53967EX (en) | Shoe sol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708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