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3093B1 -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3093B1
KR100623093B1 KR1020050000527A KR20050000527A KR100623093B1 KR 100623093 B1 KR100623093 B1 KR 100623093B1 KR 1020050000527 A KR1020050000527 A KR 1020050000527A KR 20050000527 A KR20050000527 A KR 20050000527A KR 100623093 B1 KR100623093 B1 KR 100623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mboo
fixing part
plate
functional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0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0261A (ko
Inventor
박충년
Original Assignee
담양군
박충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담양군, 박충년 filed Critical 담양군
Priority to KR1020050000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3093B1/ko
Publication of KR20060080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0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3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3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JMECHANICAL WORKING OF CANE, CORK, OR SIMILAR MATERIALS
    • B27J1/00Mechanical working of cane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3/00Veneer presses; Press plates; Plywood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5/00Treat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7K1/00, B27K3/00
    • B27K5/001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5/00Treat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7K1/00, B27K3/00
    • B27K5/0085Thermal treatments, i.e. involving chemical modification of wood at temperatures well over 100°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1/00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 B27M1/02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by com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27M3/04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flooring elements, e.g. parqueting bl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02Solid fuels such as briquettes consisting mainly of carbonaceous materials of mineral or non-mineral orig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And Physical Treatments For Wood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대나무 평판을 그 내피부는 탄화되어 숯이 형성되도록 가열시키고 그 외피부는 탄화되지 않도록 냉각시킴으로서 내피부는 탄화에 의해 숯이 형성되어 대나무 숯의 특성을 지니고 외피부는 탄화되지 않음으로써 대나무 자체의 특성을 지니는 기능성 대나무 평판을 제조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숯, 평판, 장치, 방법

Description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a Bamboo Flat Board Having Functionality}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전체적인 제조 공정을 간략히 보여주기 위한 개략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바람직한 양태의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를 전체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에 대나무 평판이 위치하여 기능성 대나무 평판으로 제조되어지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상부 고정부 20: 하부 고정부
30: 가압부 40: 프레임부
50: 가열부 60: 온도 제어 장치
70: 냉각부
본 발명은 기능성 대나무 평판, 즉 내피부는 탄화에 의해 숯이 형성되어 대나무 숯의 특성을 지니면서도 외피부는 탄화되지 않음으로써 대나무 자체의 특성을 지니는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나무는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우아한 색상을 지니고 있으며, 우수한 열전도도, 음 이온 방사성 등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대나무 숯은 탈취성, 습도 조절 기능, 항균성, 원적외선 방사성, 음이온 방사성, 전자파 차단성 등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처럼 대나무나 대나무 숯이 지니고 있는 생체 친화적이고 환경 친화적인 특성 때문에 그 이용의 확대를 꾀하기 위하여 대나무 자체를 가공하기 위한 기술이나 대나무 숯을 보다 효과적으로 얻기 위한 기술 등은 꾸준히 개발되어 왔다.
대나무 자체를 가공하기 위한 기술로서 대표적인 것으로는 대한민국 공고특허 제1993-0002501호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14278호를 들 수 있다.
상기 기술들은 대나무를 건축물의 바닥재나 가구의 판재 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원통형 대나무를 호형의 대나무로 절단하고 그 호형의 대나무를 평판의 대나무로 전개시키기 위한 기술들이다.
한편, 대표적인 대나무 숯에 대한 기술로서는 대한민국 실용실안등록공고 제20-0200232호나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9-0080444 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기술들은 판재 형상의 대나무 숯을 제조하거나 입자상의 대나무 숯을 제조하기 위한 기술들이다.
전술한 바의 기술들은 대나무와 대나무 숯을 각각 별개로 가공·제작하거나 사용할 수 있을 뿐이다.
현재까지 대나무 자체의 특성와 숯의 특성을 동시에 지니는 대나무를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이 제안된 적은 없었다.
본 발명은 대나무 자체의 특성과 대나무 숯의 특성을 동시에 지니는 대나무를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피부는 탄화에 의해 숯이 형성되어 대나무 숯의 특성을 지니면서도 외피부는 탄화되지 않음으로써 대나무 자체의 특성을 지니는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내피부는 탄화에 의해 숯이 형성되어 대나무 숯의 특성을 지니면서도 외피부는 탄화되지 않음으로써 대나무 자체의 특성을 지니는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는 (a) 대나무 평판의 외피부와 접촉하여 대나무 평판을 고정시키기 위한 평활면을 갖는 상부 고정부, (b) 대나무 평판의 내피부와 접촉하여 대나무 평판을 고정시키기 위한 평활면을 갖는 하부 고정부, (c) 상기 상부 고정부를 냉각시킴으로써 상기 상부 고정부 및 하부 고정부 사이에 고정되는 대나무 평판의 외피부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부 및 (d) 상기 하부 고정부를 가열시킴으로써 상기 상부 고정부 및 하부 고정부 사이에 고정되는 대나무 평판의 내피부를 가열시켜 탄화시키기 위한 가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는, 사용자가 상부 고정부와 하부 고정부 사이에 대나무 평판을 그 내피부는 하부 고정부와 접촉되도록 하고 그 외피부는 상부 고정부와 접촉되도록 하여 위치시키고, 가열부와 냉각부를 작동시키면, 대나무 평판의 외피부와 접촉하고 있는 상부 고정부는 냉각시키고 그 내피부와 접촉하고 있는 하부 고정부는 가열시킴으로써, 내피부는 탄화에 의해 숯이 형성되어 대나무 숯의 특성을 지니면서도 외피부는 탄화되지 않음으로써 대나무 자체의 특성을 지니는 기능성 대나무 평판을 제조하게 된다.
여기서 대나무 평판의 외피부와 접촉하고 있는 상부 고정부의 냉각은 대나무 평판의 외피부가 탄화되지 않을 정도의 온도에서 이루어지는 한 어떠한 온도로 냉각되더라도 무방하며, 대나무 평판의 내피부와 접촉하고 있는 하부 고정부의 가열은 대나무 평판의 내피부가 탄화될 수 있는 온도에서 이루어지는 한 어떠한 온도로 가열되더라도 무방하다.
상기 대나무 평판의 외피부가 탄화되지 않을 정도의 온도나 대나무 평판의 내피부가 탄화될 수 있는 온도는 당업자가 그의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서 선택가능한 것인데, 일반적으로 대나무 평판의 외피부가 탄화되지 않을 정도의 온도는 약 200℃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18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약 150℃ 이하일 것이며, 대나무 평판의 내피부가 탄화될 수 있는 온도는 약 300℃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40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약 500℃ 내지 약 1100℃의 범위일 것이다. 다만, 탄화 온도에 있어서, 가열 시간을 고려할 필요가 있는데, 가열 온도가 낮을 때는 가열 시간을 길게 하여야 할 것이고, 가열 온도가 높을 때는 가열 시간을 짧게 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여기서, 가열 온도에 대응한 구체적인 가열 시간의 선택은 당업자의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 속할 것이다.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서, "기능성 대나무 평판"은 내피부는 탄화에 의해 숯이 형성되어 대나무 숯의 특성을 지니면서도 외피부는 탄화되지 않음으로써 대나무 자체의 특성을 지니는 대나무 평판으로서 정의되며, 나아가 후술하는 바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의해 외피부가 착색된 경우를 포함하는 의미로서 정의된다.
여기서 내피부는 탄화에 의해 숯이 형성되어 대나무 숯의 특성을 지닌다고 할 때, 숯이 형성된 정도를 불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 하지만, 그럼에도 바람직하게는 내피부가 균일하게 탄화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숯이 형성된 경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서, 상기 상부 고정부와 하부 고정부 의 평활면은 상기 본 발명의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에 사용될 대나무 평판의 넓이 보다는 큰 넓이를 갖는 것으로 간주되어 진다.
또한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서, 상기 "평활면을 가진 상부 고정부 및 하부 고정부"의 의미는 대나무 평판과 접촉하는 부위만이 평활면으로 형성된 상부 고정부 및 하부 고정부의 의미이며, 나머지 부위까지 모두 평활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부 고정부 및 하부 고정부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본 발명에서 상기 나머지 부위는 여타의 형상으로 형성되더라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부 및 하부 고정부 사이에 고정되는 대나무 평판을 가압·고정시키기 위한 가압·고정부가 추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럼으로써 상기 상·하부 고정부 사이에 대나무 평판이 단단하게 고정됨으로써 상기 냉각부와 가열부에 의한 냉각·가열이 용이해질 수 있다.
만일 본 발명의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압·고정부가 추가로 포함될 때, 그 가압·고정부는 하기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i) 상기 상부 고정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부재, 및 (ii) 상기 하부 고정부에 연결되어 하부 고정부를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상부 고정부 및 하부 고정부 사이에 고정되는 대나무 평판을 가압시키기 위한 가압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가열부에서 발생시키기를 원하는 온도를 설정·입력할 수 있는 온도 입력부를 구비함과 함께 상기 가열부가 발생시키는 열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가열부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가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사용자가 설정·입력한 온도로 발생시키기 위한 온도 제어 장치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온도 제어 장치가 추가로 포함될 경우에 가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에 해당하는 만큼 발생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온도 제어 장치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경우에, 하부 고정부를 가열시키는 가열부가 하부 고정부에 발생시키는 열을 감지할 수 있는 온도 센서가 추가적으로 구비되어, 상기 온도 제어 장치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도 센서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경우, 온도 제어 장치는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에 해당하는 열을 가열부가 하부 고정부에 정확히 발생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하부 고정부를 폐쇄시켜 질소 가스나 수증기 분위기를 유지하기 위한 챔버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챔버가 구비되게 되면, 대나무 평판의 내피부가 가열에 의해 탄화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연소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제조 방법은 (a) 평활면을 가진 제1의 고정 부와 평활면을 가진 제2의 고정부 사이에 대나무 평판을 그 외피부는 제1의 고정부와 접촉하도록 하고 그 내피부는 제2의 고정부와 접촉하도록 하여 위치시키는 단계, (b) 상기 제1의 고정부를 대나무의 외피부가 탄화되지 않도록 냉각시키는 단계, 및 (c) 이러한 냉각 단계와 함께 상기 제2의 고정부를 대나무의 내피부가 탄화되록 가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서, 상기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의미, 평활면의 넓이나 평활면을 가진 제1의 고정부나 제2의 고정부의 의미는 상기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에서 전술한 바가 그대로 유효하다.
본 발명의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본 발명의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a) 단계 후에 제1의 고정부와 제2의 고정부 사이에 위치한 대나무 평판을 가압·고정하는 단계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에서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제조 방법에 상기 가압·고정 단계가 추가로 포함될 경우에, 그 가압·고정 단계는 제1의 고정부를 고정시키고 제2의 고정부를 이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계 (b)의 냉각 단계는 대나무 평판의 외피부가 탄화되지 않을 온도에서 이루어지는 한 어떠한 온도에서 이루어지든지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약 20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약 180℃ 이하,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50℃ 이하에서 이루어 질 때이다.
또한 상기 단계 (c)의 가열 단계는 대나무 평판의 내피부가 탄화될 수 있는 온도 이상에서 이루어지는 한 어떠한 온도로 이루어지더라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약 30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약 400℃ 이상,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1100℃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질 때이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제조 방법에서 사용되어 지는 대나무 평판은 그 제조 방법을 불문하고 어떠한 대나무 평판이라도 사용될 수 있지만, 원통형 대나무 또는 호형의 대나무가 그 내피부의 절삭 가공없이 그대로 평판으로 전개되어 얻어진 대나무 평판인 경우가 바람직하고, 원통형 대나무가 그 내피부가 절삭 가공없이 그대로 평판으로 전개되어 얻어진 대나무 평판인 경우가 더 바람직하다. 그러한 대나무 평판은 하기 실시예에 개시된 제조 방법 및 장치를 사용하여 얻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능성 평판의 제조 방법은 상기 단계 (b) 및 (c) 이후에, 상기 단계 (b) 및 (c)를 거쳐 얻어지는 기능성 대나무 평판이 가지는 내부 잔류 응력에 의한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형 방지 단계는 제1의 고정부와 제2의 고정부 사이에 기능성 대나무 평판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그 제1의 고정부의 강제 냉각은 계속 유지하고 제2의 고정부의 가열은 중지시켜 제2의 고정부의 온도가 제1의 고정부의 온도와 비슷해지도록 제2의 고정부를 자연 냉각시킨 다음에, 제1의 고정부의 강제 냉각을 중지하고 제1의 고정부와 제2의 고정부 전체를 함께 냉각시킴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제조 방법은 상기 단계 (a) 이전에, 단계 (b) 및 (c) 이후에, 또는 상기 변형 방지 단계가 포함될 경우에는 그 변형 방지 단계 이후에 대나무 외피부의 착색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대나무 외피부의 착색 단계는 본 출원시를 기준으로 당업계에 공지된 모든 착색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지만, 하기 실시예에서 개시된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의 가열 단계는 질소 가스 분위기 또는 수증기 분위기 하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질소 가스 분위기 또는 수증기 분위기 하에서 수행될 경우에 제2의 고정부와 접촉하고 있는 대나무 평판의 내피부가 가열에 의해 탄화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연소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가능한 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먼저, 도 1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전체적인 제조 공정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제조 공정은, 원통형 또는 호형의 대나무를 전개시켜 대나무 평판을 준비하는 단계(S1), 대나무 평판을 그 내피부는 가열시켜 탄화에 의해 숯이 형성되도록 하고 그 외피부는 냉각시켜 탄화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기능성 대나무 평판을 형성시키는 단계(S2), 이렇게 얻어진 기능성 대나무 평판이 가지는 내부 잔류 응력에 의한 기능성 평판의 변형을 방지하는 단계(S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제조 공정에서, 상기 원통형 또는 호형의 대나무를 전개시켜 평판의 대나무를 준비하는 단계(S1) 전·후에, 기능성 대나무 평판을 형성시키는 단계(S2) 후에, 또는 변형 방지 단계(S3) 후에 대나무의 외피부를 착색시키는 착색 단계(SO, S1', S2', S3'))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착색 단계(S0, S1', S2')는 열처리 용매로서 식용유, 질산염, 수증기, 질소가스, 수증기와 질소가스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원통형 또는 호형의 대나무또는 대나무 평판을 균일하게 약 200 내지 250℃로 가열함으로써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기능성 대나무의 평판의 제조 공정에서, 상기 변형 방지 단계(S3)는 내피부와 외피부의 온도 차이에 의한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내부 잔류 응력을 제거하기 위한 단계인데, 이러한 변형 방지 단계는 기능성 대나무 평판이 평판의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단계이다.
이러한 변형 방지 단계(S3)는 두개의 압축판 사이에 기능성 대나무 평판을 가압·고정시킨 상태에서 그 외피부의 강제 냉각은 계속 유지하고 그 내피부의 가열은 중지시켜 내피부의 온도가 외피부의 온도와 비슷해지도록 서서히 자연 냉각시킨 다음에, 외피부의 강제 냉각을 중지하고 외피부와 내피부 전체를 함께 자연 냉 각시킴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외피부의 강제 냉각을 계속 유지하는 이유는 내피부의 높은 온도에 의하여 외피부가 탄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외피부가 탄화되지 않을 온도까지 내피부의 온도가 떨어져 외피부의 온도와 내피부의 온도가 비슷해지면 외피부의 강제 냉각은 중지시켜도 된다. 외피부의 온도가 탄화되지 않을 온도는 약 200℃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18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50℃ 이하이다.
한편, 본 발명의 평판의 대나무를 준비하는 단계(S1)는 상기 종래 기술로서 언급된 바의 기술을 사용하여 이루지더라도 무방하지만, 본 발명자가 개발한 후술하는 바의 방법(본 발명의 특허출원 시에 이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4-0115392호로 출원되었으나 현재 공개되지 않은 기술임)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은 원통형 또는 호형의 대나무를 평활면을 가진 상부 고정부와 평활면을 가진 하부 고정부 사이에 그 대나무의 내피부는 상부 고정부에 접촉하도록 하고 그 외피부는 하부 고정부에 접촉하도록 하여 위치시키는 단계, 원통형 또는 호형의 대나무의 외피부와 접촉하고 있는 하부 고정부를 가열시키는 단계, 및 이러한 가열 단계와 함께 상기 상부 고정부는 고정시키고 하부 고정부는 이동시켜 원통형 또는 호형의 대나무를 가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방법이다.
상기 방법에서 상부 고정부는 그 원통형 또는 호형의 대나무의 직경 보다 작은 크기의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럴 경우 원통형 대나무를 평판으로 전개시키기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 방법에서 상기 가열 단계는 150℃ 내지 250℃의 범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가압 단계는 가열 단계가 진행되어 원통형 또는 호형의 대나무에서 진액이 빠지기 시작할 때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가압 정도는 하부 고정부의 이동 속도가 분당 1mm 내지 5mm의 범위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은 균열없이 원통형 또는 호형의 대나무를 평판으로 전개시키는데 유리하기 때문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을 도 2에 개시된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상기 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의 사시도인데, 이 장치는 축상의 블럭 형상을 하고 있는 상부 고정부(10), 마찬가지로 축상의 블럭 형상을 하고 있는 하부 고정부(20), 하부 고정부(20)를 상승시키기 위한 가압부(30), 바닥판(42)과 한 쌍의 가이드 축으로 구성된 프레임부(40), 히터(51)들로 구성된 가열부(50) 및 온도 제어 장치(6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상부 고정부(10)는 하부 고정부(20)와 함께 원통형 또는 호형의 대나무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상부 고정부(10)는 원통형 또는 호형의 대나무의 내피부를 고정시키며 하부 고정부(20)는 그 외피부를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부 고정부(10)는 그 원통형 또는 호형의 대나무의 직경 보다 작은 크기의 폭을 갖는다.
한편, 가압부(30), 프레임부(40), 가열부(50) 및 온도 제어 장치(60)가 상기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에서 수행하는 기능이나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바의 본 발명의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에서의 대응 구성 요소의 기능이나 작용 에 대한 설명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의 가압부(30)의 경우는 후술하는 바의 본 발명이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와는 다르게 작동축(31)이 원통형 또는 호형의 대나무가 평판으로 완전히 전개될 때까지 계속하여 하부 고정부(20)를 상승시킨다.
전술한 바의 방법 및 장치를 사용하면 호형의 대나무 뿐만 아니라 원통형 대나무를 그 내피부를 절삭 가공함이 없이 평판으로 전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제조 공정에서 소재로서 사용되는 대나무 평판 즉 상기 대나무 평판을 준비하는 단계(S1)를 통하여 얻어진 대나무 평판은 호형의 대나무 뿐만 아니라 원통형 대나무로부터 그 내피부의 절삭 가공 없이 얻어진 대나무 평판을 포함한다.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는 상부 고정부(10), 하부 고정부(20), 가압부(30), 프레임부(40), 가열부(50), 온도 제어 장치(60), 및 냉각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 고정부(10)는 대나무 평판의 외피부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면서, 냉각부(70)와 결합함으로써 대나무 평판의 외피부를 냉각시키는 냉각판 역할도 하는데, 대나무 평판의 외피부와 접촉하는 부위에는 평활면이 형성되어 있는 직사각형 형상 의 판상 형태를 취하고 있다.
상부 고정부(10)는 그 좌측부에는 개방홈(11)이 형성되어 있고 그 우측부에는 두께 방향의 통공(12)이 형성되어 있어, 프레임부(40)의 한 쌍의 가이드 축(41)이 각각 상기 개방홈(11)과 통공(12)을 통하여 상부 고정부(10)에 관통 결합하게 된다.
상부 고정부(10)의 좌·우측부(11,12)가 한 쌍의 가이드 축(41)과 결합하면, 한 쌍의 회전형 조임쇠(13)가 와셔(Washer)(14)를 매개로 하여 가이드 축(41)의 상단부(411, 412)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상부 고정부(10)가 위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부 고정부(1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압부(30)의 작동축(31)에 의해서 하부 고정부(20)가 위쪽으로 상승할 때 하부 고정부(20)와 함께 원통형 대나무가 가압·고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상부 고정부(10)는 그것이 하부 고정부(20)와 함께 대나무 평판을 가압·고정시킬 수 있는 한, 한 쌍의 가이드 축(41)을 따라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하여도 무방하며, 가이드 축(41)의 상단부(411, 412)에 고정 결합하여도 무방하다.
상부 고정부(10)의 일단부가 개방홈(11)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은, 도 4에서 보여지듯이, 상부 고정부(10)의 개방홈(11)을 통하여 관통 결합하는 가이드 축(41)의 상단부가 90도 각도로 꺽일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대나무 평판을 상부 고정부(10)와 하부 고정부(20) 사이에 위치시킬 때, 상기 개방홈(11)을 통하여 가이드 축(41)의 상단부(411)와 나사 결합하는 회전형 조임쇠(13)만을 풀고 상부 고 정부(10)를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부 고정부(10)에 대나무 평판을 용이하게 위치시키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그러므로 상기 상부 고정부(10)의 일 단부의 개방홈(11)을 타 단부와 동일하게 두께 방향의 통공(12)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도시되어 있지 않음). 그럴 경우에는 한 쌍의 회전형 조임쇠(13)를 모두 풀고 상부 고정부(10) 전체를 들어 내어 대나무 평판을 끼워 넣게 될 것이다.
한편, 하부 고정부(20)는 상부 고정부(10)와 함께 대나무 평판을 고정시키면서 대나무 평판의 내피부와 접촉하여 그 내피부를 가열하는 가열판 역할을 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가압부(30)와 연결됨으로써 상부 고정부(10)와 함께 상기 대나무 평판을 가압·고정시키는 가압판 역할도 동시에 하게 되는데, 상부 고정부(10)와 마찬가지로 대나무 평판의 내피부와 접촉하는 부위는 평활면이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의 판상 형태를 취하고 있다. 하부 고정부(20)는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그 좌·우측부가 프레임부(40)의 한 쌍의 가이드 축(41)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 결합하고 있고 그 중앙부는 후술하는 가압부(30)와 결합하고 있다.
위 하부 고정부(20)의 양 단부에는 한 쌍의 가이드 축(41)과 관통 결합되는 부위에 한 쌍의 가이드 블럭(21)이 위치하여 상기 하부 고정부(20)와 마찬가지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축(41)과 관통 결합하는데, 이 가이드 블럭(21)은 하부 고정부(20)의 상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하부 고정부(20)와 가이드 블럭(11)이 한 쌍의 가이드 축(41)과 관통 결합할 때,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그 가이드 축(41)과 결합하는 부분에는 그 가이드 축 (41)과의 사이에 가이드 베어링들이 내재될 수 있다. 가이드 베어링들이 내재될 경우에 하부 고정부(20)와 가이드 블럭(21)의 상하 이동이 한 쌍의 가이드 축(41)을 중심으로 더 원활해지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하부 고정부(20)는 그 중앙부가 가압부(30)와 결합하는데, 가압부(30)는 유압의 작용에 의하여 작동축(31)이 피스톤 운동을 하면서 하부 고정부(20)를 상·하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가압부(30)는 전체적으로 작동축(31), 실린더(32), 피스톤(도시되어 있지 않음), 상부 주입구(33)로 연결된 상부 주입 튜브(34), 하부 주입구(35)로 연결된 하부 주입 튜브(36), 유로 선택 밸브(37), 유압장치(3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유압 장치(38)는 온/오프 스위치와 유입·유출 작동스위치 및 작동축 승강 속도 조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온/오프 스위치를 통하여 유압 장치의 전원을 켜고, 유입 작동스위치를 작동시키면 유압원(도시되어 있지 않음)으로부터 유압 펌프(도시 되어 있지 않음)에 의하여 유압류가 유로 선택 밸브(37)와 상부 주입 튜브(34)/하부 주입 튜브(36)를 거쳐 실린더(32)로 유입되게 되며, 유출 작동스위치를 작동시키면 상기와 반대로 유압류가 실린더(32)로부터 유압원으로 흐르게 한다.
여기서 작동축 승강 속도 조절장치는 유압류의 공급 압력량을 정량적으로 제어함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속도로 작동축의 승강 속도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유압 장치(38)의 유입 작동스위치를 작동시킨 상태에서 유로 선택 밸브(37) 를 이용하여 유압류가 상부 주입 튜브(34)로 흐르도록 하면 유압류는 실린더(32)의 상부 주입구(33)로 유입되게 되어 작동축(31)이 하강하게 되며, 유로 선택 밸브(37)를 이용하여 유압류가 하부 주입 튜브(36)로 흐르도록 하면 유압류는 실린더(32)의 하부 주입구(35)로 유입되게 되어 작동축(31)이 상승하게 된다.
작동축(31)이 상승하여 대나무 평판을 상·하부 고정부(10, 20)가 가압·고정시키게 되면 유입 작동스위치를 오프(off) 시킨다. 유입 작동스위치가 오프되면 대나무 평판은 상·하부 고정부(10, 20)사이에서 가압·고정된 상태에서 유지되는데, 이러한 가압·고정된 상태는 대나무 평판이 기능성 대나무 평판으로 제조하는 과정 동안 지속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30)로서, 유압을 통한 피스톤의 상·하 이동에 의한 전술한 바의 가압 장치는 예시로서 설명된 것이며, 하부 고정부(2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장치라면 여타의 장치라도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압부(30)의 실린더(32)는 바닥판(42)에 고정되게 되는데, 바닥판(42)에는 한 쌍의 가이드 축(41)이 또한 고정되어 있다.
상기 바닥판(42)과 한 쌍의 가이드 축(41)이 프레임부(40)를 구성한다.
바닥판(42)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축(41)과 가압부(30)의 실린더(32)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하부 고정부(20)에는 폭 방향으로 배치된 6개의 히터(51)가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데, 이러한 히터(51)가 가열부(50)를 구성한다. 가열부(50)의 6개의 히터(51)는 각각 전류 저항에 의하여 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소재로 되어 있 으면서, 3열로된 2개조의 전선(52)을 통하여 연결 콘센트(53)에 연결되어 있고, 그러한 연결 콘센트(53)는 온도 제어 장치(60)로부터 히터 작동 전원(가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가열부(50)는 온도 제어 장치(60)의 제어 하에 하부 고정부(20)를 가열시키게 되는데, 결국 그 하부 고정부(20)와 접촉하는 대나무 평판의 내피부를 가열시키는 역할을 한다.
온도 제어 장치(60)는 하부 고정부(20)의 중앙부에 구비된 온도 센서(61)에 연결되는 한편, 히터(51)의 연결 콘센트(53)에도 결합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에 해당하는 열이 히터(51)에서 발생하도록 한다.
이것은 온도 센서(61)를 통하여 감지된 온도가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에 미치지 못할 경우에는 온도 제어 장치(60)가 연결 콘센트(53)를 통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에 해당하는 열이 발생할 때까지 히터(51)로 전류가 흐르도록 하고, 온도 센서(61)를 통하여 감시된 온도가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를 넘어설 경우에는 온도 제어 장치(60)가 연결 콘센트(53)로부터 히터(51)들로 전류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가능하여 진다.
온도 제어 장치(60)는 온도 설정/표시부(62), 작동 스위치(63), 전원스위치(64), 작동 상태 미터(전압 및 전류)(65), 플러그(66), 가열 전원(도시되어 있지 않음), 회로 작동 전원(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가 전원 스위치(64)를 키고 온도 설정부/표시부(62)에서 특정 온도를 설정한 다음에 작동 스위치(63)를 작동시키면 가열 전원의 작동으로 연결 콘센트 (53)에서 히터(51)들로 전류가 흘러 히터(51)에서 열이 발생하고, 히터(51)에서 발생한 열은 온도 센서(61)에서 감지되어 온도설정/표시부(62)에 표시되게 된다. 온도 센서(61)가 감지한 온도가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를 넘어서거나 또는 온도 센서(61)가 감지한 온도가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에 미치지 못할 때 회로 작동 전원은 가열 전원을 작동시키거나 차단시킴으로써 연결 콘센트(53)로부터 히터(51)로의 전류의 흐름을 차단시키거나 전류의 흐름을 계속하여 유지시키게 한다.
한편, 상부 고정부(10)에는 냉각부(70)가 결합하는데, 이러한 냉각부(70)는 대나무 평판이 기능성 대나무 평판으로 제조되는 동안에 대나무 평판의 외피부와 접촉하고 있는 상부 고정부(10)를 냉각시켜 하부 고정부(20)에서 발생한 열에 의해서 대나무 평편의 외피부가 탄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냉각부(70)는 냉매 순환 튜브(71), 냉각 순환 장치(72) 및 열 교환 장치(7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냉매 순환 튜브(71)는 상부 고정부(10)에 내설되어 냉매 순환 장치(72)와 연결되며, 냉매 순환 장치(72)는 열 교환 장치(73)와 연결된다.
냉각 순환 장치(72)는 냉매를 화살표 방향으로 유입·유출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냉매가 상부 고정부(10)에 내설되어 있는 냉각 순환 튜브(71)와 열 교환 장치(73)를 순환하게 하며, 열 교환 장치(73)는 냉각 순환 장치(72)를 통하여 흘러 들어온 냉매를 냉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냉매는 냉매 순환 튜브(71), 냉각 순환 장치(72) 및 열 교환 장치(73)를 순환하면서 상부 고정부(10)에 내설되어 있는 냉각 순환 튜브(71)를 통과할 때 흡수한 열을 열 교환 장치(73)를 통과하면서 방출시켜 다시 냉각되게 되는 과정 을 반복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대나무 평판이 본 발명의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부 고정부(10)가 어떻게 하부 고정부(20)로부터 분해되는지를 볼 수 있다.
먼저 대나무 평판을 준비한 다음에, 상부 고정부(10)의 개방홈(11)을 통하여 가이드 축(41)의 상단부(411)와 나사결합하는 회전형 조임쇠(13)를 풀고, 가이드 축(41)의 상단부(411)를 접은 다음에 상부 고정부(10)를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시켜 대나무 평판을 하부 고정부(20)에 위치시키고 상부 고정부(10)를 원 위치시킨 다음에, 가이드 축(41)의 상단부(411)를 펴서 와셔(14)를 끼우고 회전형 조임쇠(13)를 나사 결합시키면 된다.
여기서, 상부 고정부(10)의 두께 방향 통공(12)을 통하여 결합된 회전형 조임쇠(13)를 살짝 풀어주는 것이 상부 고정부(10)의 오른족 방향으로의 회전을 용이하게 할 것이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대나무 평판(A)이 상·하 고정부(10, 20) 사이에 가압·고정되는 과정과 상·하부 고정부(10, 20) 사이에 가압·고정된 대나무 평판이 가열과 냉각에 의해서 기능성 대나무 평판(A')으로 제조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먼저 대나무 평판(A)을 상부 고정부(10)와 하부 고정부(20) 사이에 위치시키고 가압부(30)의 작동축(31)이 상승하도록 유압 장치(38)를 작동시킨다(도 5a 참조) 그러면 대나무 평판(A)은 상·하부 고정부(10, 20)사이에 단단하게 가압·고정 되게 된다(도 5b).
그런 다음에, 온도 제어 장치(60)의 전원 스위치(64)를 켜고 온도 설정/표시부(62)를 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를 설정한 다음에 작동 스위치(63)를 켜면 연결 콘센트(53)를 통하여 전류가 히터(51)들로 흐르게 되어 가열부(50)에서 열이 발생하면서 대나무 평판(A)의 내피부와 접촉하고 있는 하부 고정부(20)를 계속하여 일정 온도로 가열시키게 될 것이다.
이와 동시에 냉각부(73)를 작동시키면 대나무 평판(A)의 외피부와 접촉하고 있는 상부 고정부(10)는 계속하여 냉각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면 대나무 평판(A)은 그 외피부는 탄화됨이 없이 그 내피부만이 탄화되면서 기능성 대나무 평판(A')으로 변하게 된다(도 5b 참조).
한편,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대나무 평판을 기능성 대나무 평판으로 변화시키는 상·하부 고정부(10, 20)는 챔버로 폐쇄되고, 그 챔버에는 질소 가스 또는 수증기의 주입구가 구비되고 그 주입구에는 질소 가스 또는 수증기 공급원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고정부(20)를 가열시켜 대나무 평판의 내피부를 탄화시킬 때, 경우에 따라서는 내피부의 연소가 발생할 수 있다. 질소 가스나 수증기를 대기압 이상으로 공급하여 주면 상기의 연소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대나무 평판(A)의 내피부가 탄화되기 위해서는 일정한 고온으로 일정 시간 가열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기서 가열 온도가 낮으면 가열 시간이 길어야 되며, 가열 온도가 높으면 가열 시간은 짧아도 된다.
당업자라면 그의 통상의 능력을 활용하는 한 가열 온도에 적합한 가열 시간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을 것인데, 예컨대 가열 온도(하부 고정부가 가열되는 온도)가 약 600℃라면 가열 시간은 약 10분 내지 15분 정도가 바람직하며, 또 가열 온도가 약 750℃라면 가열 시간은 5분 내지 10분 정도가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대나무가 탄화되기 위해서는 약 300℃ 이상의 고온이 되어야 하므로, 가열부(50)는 적어도 하부 고정부(20)를 상기한 온도 이상으로 가열 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대나무 평판의 외피부의 냉각은 그 외피부가 탄화되지 않을 온도에서라면 어떠한 온도로 냉각되든지 상관없다. 당업자라면 그의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서 적절한 냉각 온도를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5a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나무 평판(A)으로부터 기능성 대나무 평판(A')이 얻어지게 되면, 그 외피부와 내피부의 온도 차이에 의한 기능성 대나무 평판이 가지는 내부 잔류 응력에 의한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작동이 필요하다.
이러한 변형 방지 작동은 기능성 대나무 평판이 상·하부 고정부(10, 20)사이에 가압·고정된 상태에서 상부 고정부(10)에 연결된 냉각부의 작동은 유지하고 하부 고정부(20)의 가열은 중지시켜(이는 온도 제어 장치(60)의 작동 스위치(63)를 오프시킴으로써 가능하다) 하부 고정부(20)의 온도가 상부 고정부(10)의 온도와 비슷하여지도록 하부 고정부(20)를 자연 냉각시킨 다음에, 냉각부의 작동을 중지시킴으로써 가능하다.
그러면 상·하부 고정부(10, 20)는 그 전체가 같은 온도로 함께 자연 냉각됨으로써 그 사이에 위치한 기능성 대나무 평판이 가지는 내부 잔류 응력에 의한 그 기능성 평판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내피부는 탄화에 의해 숯이 형성되어 대나무 숯의 특성을 지니면서도 외피부는 탄화되지 않음으로써 대나무 자체의 특성을 지니는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얻어진 기능성 평판은 대나무 숯의 특성과 대나무 자체의 특성을 지니면서 건축물의 바닥재나 벽재, 가구의 판재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8)

  1. (a) 대나무 평판의 외피부와 접촉하여 대나무 평판을 고정시키기 위한 평활면을 갖는 상부 고정부;
    (b) 대나무 평판의 내피부와 접촉하여 대나무 평판을 고정시키기 위한 평활면을 갖는 하부 고정부;
    (c) 상기 상부 고정부를 냉각시킴으로써 상기 상부 고정부 및 하부 고정부 사이에 고정되는 대나무 평판의 외피부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부; 및
    (d) 상기 하부 고정부를 가열시킴으로써 상기 상부 고정부 및 하부 고정부 사이에 고정되는 대나무 평판의 내피부를 가열시켜 탄화시키기 위한 가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는 상기 상부 고정부 및 하부 고정부 사이에 고정되는 대나무 평판을 가압·고정시키기 위한 가압·고정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고정부는 (i) 상기 상부 고정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부재, 및 (ii) 상기 하부 고정부에 연결되어 하부 고정부를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상부 고정부 및 하부 고정부 사이에 고정되는 대나무 평판을 가압시키기 위한 가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가열부에서 발생시키기를 원하는 온도를 설정·입력할 수 있는 온도 입력부를 구비함과 함께 상기 가열부가 발생시키는 열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가열부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가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사용자가 설정·입력한 온도로 발생시키기 위한 온도 제어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는 상기 온도 제어 장치에 연결되는 한편 상기 가열부가 하부 고정부에 발생시키는 열을 감지할 수 있는 온도 센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는 상기 상·하부 고정부를 폐쇄시켜 질소 가스나 수증기 분위기를 유지하기 위한 챔버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
  7. (a) 평활면을 가진 제1의 고정부와 평활면을 가진 제2의 고정부 사이에 대나무 평판을 그 외피부는 제1의 고정부와 접촉하도록 하고 그 내피부는 제2의 고정부와 접촉하도록 하여 위치시키는 단계;
    (b) 상기 제1의 고정부를 대나무의 외피부가 탄화되지 않도록 냉각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냉각 단계와 함께 상기 제2의 고정부를 대나무의 내피부가 탄화되록 가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후에 제1의 고정부와 제2의 고정부 사이에 위치한 대나무 평판을 가압·고정하는 단계가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고정 단계는 제1의 고정부를 고정시키고 제2의 고정부를 이동시킴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제조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의 냉각 단계는 대나무 평판의 외피부가 탄화되지 않을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제조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의 냉각 단계는 약 200℃ 이하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제조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의 가열 단계는 대나무 평판의 내피부가 탄화될 수 있는 온도 이상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제조 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의 가열 단계는 500℃ 내지 1100℃의 범위 내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제조 방법.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사용되는 대나무 평판은 원통형 대나무 또는 호형의 대나무가 그 내피부의 절삭 가공 없이 그대로 평판으로 전개되어 얻어진 대나무 평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제조 방법.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 및 (c) 이후에 기능성 대나무 평판이 가지는 내부 잔류 응력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단계가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제조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방지 단계는 제1의 고정부와 제2의 고정부 사이에 기능성 대나무 평판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그 제1의 고정부의 강제 냉각은 계속 유지하고 제2의 고정부의 가열은 중지시켜 제2의 고정부의 온도가 제1의 고정부의 온도와 비슷해지도록 제2의 고정부를 자연 냉각시킨 다음에, 제1의 고정부의 강제 냉각을 중지하고 제1의 고정부와 제2의 고정부 전체를 함께 냉각시킴에 의해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제조 방법.
  17. 제7항, 제15항 및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 이전에, 단계 (b) 및 (c) 이후에, 또는 상기 변형 방지 단계 이후에 대나무 외피부의 착색 단계가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제조 방법.
  1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의 가열 단계는 질소 가스 분위기 또는 수증기 분위기 하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제조 방법.
KR1020050000527A 2005-01-04 2005-01-04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0623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0527A KR100623093B1 (ko) 2005-01-04 2005-01-04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0527A KR100623093B1 (ko) 2005-01-04 2005-01-04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0261A KR20060080261A (ko) 2006-07-10
KR100623093B1 true KR100623093B1 (ko) 2006-09-13

Family

ID=37171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0527A KR100623093B1 (ko) 2005-01-04 2005-01-04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309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7095A (ko) * 2000-05-25 2001-12-07 이희선 대나무 숯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자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7095A (ko) * 2000-05-25 2001-12-07 이희선 대나무 숯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자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0261A (ko) 2006-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290352B2 (en) A pressure cooking device
KR20210155818A (ko) 전자 디바이스 건조 방법 및 장치
JPS62164500A (ja) スチ−ムアイロン
KR100786056B1 (ko) 온수를 이용한 난방기기
KR100623093B1 (ko) 기능성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 및 방법
CN105529215B (zh) 一种应用于电热水壶上可调温和保温的温控器结构
JP2008185293A (ja) 加熱調理器
CN205542587U (zh) 一种应用于电热水壶上可调温和保温的温控器结构
US6449876B1 (en) Clothes dryer
KR100560043B1 (ko)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1222433B1 (ko) 복사열에 의해 퍼머되게 하는 퍼머집게 및 퍼머롯드
KR100707245B1 (ko) 대나무 평판 숯의 제조 장치 및 방법
KR20090073591A (ko) 고추 건조방법과 그 장치
KR100622028B1 (ko) 대나무 착색장치 및 방법
CN105639854B (zh) 一种旋转式制鞋加热箱
CN221148435U (zh) 一种织物透湿性测试用试样夹具
CN107631619A (zh) 一种竹子烘干装置
CN208059569U (zh) 一种加热长度可变的钼板加热炉
CN211290845U (zh) 一种干燥机
KR100334007B1 (ko) 광열 스포츠마사지기
CN116458740A (zh) 一种智能加热取暖多功能床
KR200315115Y1 (ko) 목침
CN203846324U (zh) 一种具有低温止漏结构的蒸汽电熨斗
KR200185517Y1 (ko) 육류 구이기용 냉각수 제어장치
CN207094744U (zh) 供脚底取暖的电暖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