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6056B1 - 온수를 이용한 난방기기 - Google Patents

온수를 이용한 난방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6056B1
KR100786056B1 KR1020070087353A KR20070087353A KR100786056B1 KR 100786056 B1 KR100786056 B1 KR 100786056B1 KR 1020070087353 A KR1020070087353 A KR 1020070087353A KR 20070087353 A KR20070087353 A KR 20070087353A KR 100786056 B1 KR100786056 B1 KR 100786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eating
tank
hot water
check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7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천식
Original Assignee
신천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천식 filed Critical 신천식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6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6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4Electric heating systems using electric heating of heat-transfer fluid in separate units of the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5Check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2Temperatur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담요, 장판, 침대커버, 카펫트, 이불, 카싯트 등의 난방장치, 또는 물리 치료기로 사용되는 핫패드 등에 온수를 공급할 수 있는 난방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물주입구(12)에 설치되어 공기압의 발생을 해소시킴과 동시에 물의 누수를 차단할 수 있도록 된 마개밸브(18)가 설치되어 있고, 저장된 물의 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된 투명창(11)을 포함하는 물탱크(10)와; 상기 물탱크(10)로부터 물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물공급용 체크밸브를 매개로 직결됨과 동시에 예열히터(22)가 잠입설치된 예열탱크(21) 내부에 가열히터(24)가 잠입설치되어 있는 작은 부피의 가열탱크(2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열탱크(23)에는 물이 끓어 내부의 증기압력이 증가하면 차단되어서 난방수를 난방수의 역류를 차단하는 난방수 배출용 체크밸브(70)를 포함하는 배출관(60)으로 배출시켜서 난방패드(30)로 순환되도록 함과 더불어 증기압력이 해소되어지면 개방되어 예열탱크(21) 내의 온수가 가열탱크(23)로 유입되도록 하는 온수 공급용 체크밸브(40)가 설치되어 있는 온수통(20)과; 상기 온수통((20)의 가열탱크(23)에서 생산된 난방수가 난방수의 역류를 차단할 수 있도록 설치된 난방수 배출용 체크밸브(70)를 구비한 배출관(60)을 통해 난방호스(31)로 순환 공급되어지고, 난방호스(31)를 거친 난방수가 물탱크(10)에 연결된 순환관(80)을 거쳐 순환되어지는 난방패드(30)와; 순환관(80)에 설치되어 온도조절기(90)를 조절하여 조정된 시그널에 따라 그에 해당하는 온도의 온수가 가 열 유지되도록 감지하는 바이메탈식 온도감지기(100)로 구성된 온수를 이용한 난방기기에 의해 달성된다.
물탱크, 마개밸브, 온수공급용체크밸브, 물공급용 체크밸브, 난방수 배출용 체크밸브, 온수통, 예열탱크, 가열탱크, 가열히터, 난방패드

Description

온수를 이용한 난방기기{Heater make use of hot-water}
본 발명은 담요, 장판, 침대커버, 카펫트, 이불, 카시트 등의 난방장치, 또는 물리 치료기로 사용되는 핫패드 등에 온수를 공급할 수 있는 난방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방기기로 사용되어지는 제품은 그 종류가 수없이 다양하다.
상기의 난방기기 중 패드형 난방기기(담요, 장판, 침대커버, 카펫트, 이불, 카시트)는 취급이 용이하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어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상기 패드형 난방기기의 가열방법은 전기가열식과 온수가열식으로 나누어진다.
상기의 가열방법 중 대중화되어진 난방기기는 전기가열식으로써, 취급 사용이 용이한 반면, 사용 중에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가 발생하여 전자파에 의한 건강을 해치게 되는 좋지 않은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단점을 가지고있고, 상기 전기직접가열식이나 연료를 사용하는 보일러식 난방기기는 열에너지의 소모가 높고, 설치비가 많이 들어서 사용자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주게 된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난방기기가 특허 제10-0348457호로 개발된바 있다.
선등록발명은 전열기 대신 더운 물을 열의 근원으로 한 것으로, 밀폐된 공간 즉 온수통에 잠입식 히터를 설치하여 전기로 물을 끓이며 물을 끓이는 중에 생성되는 증기압과 온수통 안의 기압 변화에 따라 열리고 닫히도록 발명된 공급밸브와 배출밸브에 의해 온수통 안에서 생산된 75-80℃의 일상생활에 쓰여지기에 알맞은 온도의 온수를 물펌프나 다른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높고 먼곳까지 계속적으로 공급순환시키는 장치임을 알 수 있다.
상기의 선등록발명은 온수를 이용하여 가열하는 난방기기의 결점인 펌핑수단(모터 펌프 등)의 작동소음을 해소하여 소비자의 불만 요소를 해소한 이점을 가지고 있으나, 공급밸브와 배출밸브의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생산에 따른 밸브의 생산원가가 상승되어 난방기기의 판매원가가 상승되어지는 문제점을 야기하게 됨은 물론, 온수를 생산하는 온수통이 단일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온수를 한번 순환시킨 후, 재차 순환시키기 까지의 순환주기가 길어, 사용자가 요구하는 균일온도의 균일난방을 추구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온수의 온도차가 커 재가열 순환시키는데 따른 전기에너지의 손실이 큰 단점을 가지고있다.
또한 선등록발명은 난방수의 가열과 난방수의 비가열로 냉각될 때 온도 차에 의해 물탱크내에 공기압이 발생하게 되는데, 공기를 제거하기 위한 수단이 결여되어 있어 공기압 발생시 물의 원활한 순환을 기대할 수 없는 구조적 결함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압이 과도하게 발생되어지면, 물탱크의 파손까지도 유발되는 크나큰 단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선등록 발명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난방수의 신속한 생산이 가능하도록 작은 크기의 가열탱크가 내측에 설치되 있고, 난방수의 재가열 시간을 단축시 킬 수 있도록 예열 된 온수를 가열탱크로 공급하는 예열탱크로된 이중의 온수통에 의해 가열 순환되는 난방수의 가열시간과 그 순환주기를 단축시킴으로써, 소비자가 요구하는 균일온도에 의한 균일난방이 가능한 고품질의 난방기기를 소비자에게 제공함은 물론, 난방수공급부쪽과 난방수배출부쪽의 체크밸브의 구조 단순화로 난방기기의 생산원가를 현저하게 줄였을 뿐만 아니라, 물탱크의 물 주입구에 마개밸브를 장착하여 물탱크 내의 공기압 발생을 해소함과 동시에 물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온수를 이용한 난방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물주입구(12)에 설치되어 공기압의 발생을 해소시킴과 동시에 물의 누수를 차단할 수 있도록 된 마개밸브(18)가 설치되어 있고, 저장된 물의 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된 투명창(11)을 포함하는 물탱크(10)와;
상기 물탱크(10)로부터 물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물공급용 체크밸브를 매개로 직결됨과 동시에 예열히터(22)가 잠입설치된 예열탱크(21) 내부에 가열히터(24)가 잠입설치되어 있는 작은 부피의 가열탱크(2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열탱크(23)에는 물이 끓어 내부의 증기압력이 증가하면 차단되어서 난방수의 역류를 차단하는 난방수 배출용 체크밸브(70)를 포함하는 배출관(60)으로 배출시켜서 난방패드(30) 로 순환되도록 함과 더불어 증기압력이 해소되어지면 개방되어 예열탱크(21) 내의 온수가 가열탱크(23)로 유입되도록 하는 온수 공급용 체크밸브(40)가 설치되어 있는 온수통(20)과;
상기 온수통((20)의 가열탱크(23)에서 생산된 난방수가 난방수의 역류를 차단할 수 있도록 설치된 난방수 배출용 체크밸브(70)를 구비한 배출관(60)을 통해 난방호스(31)로 순환 공급되어지고, 난방호스(31)를 거친 난방수가 물탱크(10)에 연결된 순환관(80)을 거쳐 순환되어지는 난방패드(30)와;
순환관(80)에 설치되어 온도조절기(90)를 조절하여 조정된 시그널에 따라 그에 해당하는 온도의 온수가 가열 유지되도록 감지하는 바이메탈식 온도감지기(1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를 이용한 난방기기에 의해 달성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첫째, 신속하게 온수를 생산할 수 있도록 부피가 작은 가열탱크(23)에 예열탱크(21)에서 예열 된 온수를 공급함에 따라 가열탱크(23)에서 난방수 가열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열 순환되는 온수의 순환주기를 단축시 킬 수 있게 함에 따라 소비자가 요구하는 균일온도에 의한 균일난방이 가능한 고품질의 난방기기를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둘째, 체크밸브를 물공급쪽과 배출구쪽의 구분 없이 혼완성 있게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고가의 밸브를 공급부쪽 밸브와 배출구쪽 밸브를 각각 제작해야 하는 번거러움을 해소함과 더불어 밸브 사용으로 제품의 생산원가가 상승되는 요인을 해소하여 난방기기의 생산원가를 현저하게 줄였으며;
셋째, 물탱크(10)의 물주입구(12)에 마개밸브(18)를 장착하여 물탱크(10)내에 공기압 발생을 해소함과 동시에 물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난방기기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있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1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온수를 이용한 난방기기는, 물탱크(10), 온수통(20) 및 난방패드(30)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물탱크(10)와 온수통(20)을 직결시키는 매개 역할을 함과 동시에 물탱크(10)의 물이 온수통(20)의 예열통(21)으로 유입되어 지게 하는 물공급용 체크밸브(50)에 의해 연결되고, 난방패드(30)는 난방수 배출용 체크밸브(70)를 포함하는 배출관(60)과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난방패드(30)로 순환된 난방수가 물탱크(10)로 순환되어질 수 있도록 순환관(80)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물공급용 체크밸브(50)에 직결되는 물탱크(10)는 기밀 유지를 위해 상기 물공급용 체크밸브(50)의 상부에 구멍을 가지는 관형패킹(110)이 씌워진다.
상기 물탱크(10)는 충전된 물(난방수)의 확인 보충이 가능하도록 투시창(11)이 상면으로 설치되어 있고, 물주입구(12)에는 마개밸브(1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마개밸브(18)는 물주입구(12)에 체결되는 몸체(13)와, 상기 몸체(13)의 하부로 설치되는 공기통로부재(14) 및 개폐볼(17)를 작동시키는 체크밸브변(16)으 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몸체(13)는 물주입구(12)에 나사 체결이 가능하도록 단턱진 외주면에 체결나사산(13b)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 중앙에는 개폐볼(17)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어지는 개폐공(13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13)의 하부로 체결되는 공기통로부재(14)는 공기유통공(14a)을 가장자리로 형성하고, 중앙에 개폐볼(17)을 작동시키는 체크밸브변(16)을 작동시키는 작동봉(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폐볼(17)을 이동시키는 체크밸브변(16)은 공기통로부재(14)의 작동봉(15)과 개폐볼(17)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하면에 중앙으로 오목한 면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으며, 물탱크(10)가 넘어져 옆으로 위치하였을 때 일방향(아랫방향)으로 이동되어져 개폐볼(17)을 개폐공(13a)으로 이동시켜 차단시키게 된다.
상기 물탱크(10)와 연결되는 온수통(20)은, 공급용 체크밸브(50)에 의해 물탱크(10)와 직결되는 예열탱크(21)와, 예열탱크(21)의 내부로 설치되는 가열탱크(23)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예열탱크(21)는 단열재(25)에 의해 감싸여 있다.
상기 예열탱크(21)는 물탱크(10)로부터 공급된 물을 일정온도(50℃∼60℃)로 예열시키는 예열히터(22)가 잠입설치되어 있고, 상부에는 물탱크(10)의 배출구(19)에 직결되는 물공급용 체크밸브(5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물공급용 체크밸브(50)는 예열 된 물이 가열탱크(23)로 보충되어져 상기 예열탱크 (21)내의 기압변화가 발생하면 개방되어서 물탱크(10) 내의 물이 예열 탱크(21)내부로 공급되어지도록 하고, 공급된 물에 의해 예열탱크(21)내의 부피가 팽창하면 차단되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예열탱크(21)의 내부로 설치되는 가열탱크(23)는 난방수를 신속하게 생산할 수 있도록 작은 부피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고, 잠입설치되어 있는 가열히터(24)에 의해 난방수가 생산되어 진다.
상기 가열탱크(24)에는 물이 끓어 내부의 증기압력이 증가하면 차단되어서 난방수를 배출관(60)으로 밀어내어 난방패드(30)로 순환되도록 함과 더불어 증기압력이 소멸되어지면 개방되어 예열탱크(21) 내의 온수가 가열탱크(23)로 유입되도록 하는 온수공급용 체크밸브(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난방수가 배출되어지는 배출관(60)에는 난방수의 역류를 차단하는 난방수 배출용 체크밸브(7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의 온수공급용 체크밸브(40)와, 물공급용 체크밸브(50) 및 난방수 배출용 체크밸브(70)는 몸체(41)(51(71))와 상기 몸체(41)(51)(71)로 장착되는 커버체(42)(52)(72) 및 개폐부재(43)(53)(73)로 이루어져 있다.
실시예1)
상기 온수공급용 체크밸브(40)와, 물공급용 체크밸브(50) 및 난방수 배출용 체크밸브(70)는, 관통된 관형으로 외주면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41)(51)(71)에 물유입공(42a)(52a)(72a)이 형성되어 있는 커버체(42)(52)(72)가 결합되어지되, 상기 몸체(41)(51)(71)와 커버체(42)(52)(71)의 사이에 개재되어 커버체(42)(52)(72)의 물유입공(42a)(52a)(72a)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개폐부 재(42)(53)(73)가 설치되어 진다.
상기 개폐부재(43)(53)(73)는 탄성 반발력이 우수한 고무재질로서 가장자리에 기밀유지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밀폐링(43a)(53a)(73a)이 형성되어 있고, 두께가 얇은 판(43b)(53b)(73b) 중앙에 커버체(42)(52)(72)의 물유입공공(42a)(52a)(72a)보다 큰 지름의 차단돌기(43c)(53c)(73c)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차단돌기(43c)(53c)(73c)의 주변으로 물이송로(43d)(53d)(73d)가 다수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실시예2)
상기 온수공급용 체크밸브(40)와, 물공급용 체크밸브(50) 및 난방수 배출용 체크밸브(70)는, 관통된 관형으로 외주면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41)(51)(71)에 물유입공(42a)(52a)(72a)이 형성되어 있는 커버체(42)(52)(72)가 기밀유지용 패킹(44)을 매개로 결합되어지되, 상기 몸체(41)(51)(71)와 커버체(42)(52)(71)의 사이에 개재되어 커버체(42)(52)(72)의 물유입공(42a)(52a)(72a)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개폐부재(42)(53)(73)가 설치되어 진다.
상기 개폐부재(43)(53)(73)는 속이 비워 그 내부에 공기가 채워져 있고, 몸체(41)(51)(71)에 장착하였을 때 물 이송로가 확보되어질 수 있도록 정사각 기둥형태를 이루는 것으로 예열 된 온수가 가열탱크(23)로 공급되어져 상기 예열탱크(21) 내의 기압변화가 발생하면 아래로 이동하여 물탱크(10) 내의 물이 예열탱크(21)내부로 공급되어지도록 하고, 공급된 물에 의해 예열탱크(21)내의 부피가 팽창하면 부력에 의해 상승하여 커버체(42)(52)(72)의 물유입공(42a)(52a)(72a)을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실시예3)
상기 온수공급용 체크밸브(40)와, 물공급용 체크밸브(50) 및 난방수 배출용 체크밸브(70)는, 관통된 관형으로 외주면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41)(51)(71)에 물유입공(42a)(52a)(72a)이 형성되어 있는 커버체(42)(52)(72)가 기밀유지용 패킹(44)을 매개로 결합되어지되, 상기 몸체(41)(51)(71)와 커버체(42)(52)(71)의 사이에 개재되어 커버체(42)(52)(72)의 물유입공(42a)(52a)(72a)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개폐부재(42)(53)(73)가 설치되어 진다.
상기 개폐부재(43)(53)(73)는 몸체(41)(51)(71)에 장착하였을 때 물이송로가 확보되어질 수 있도록 정사각 기둥형태를 이루는 것으로,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구멍(45a)(55a)(75a)에 자석(46)(56)(76)이 장착된 중량체(45)(55)(75)와 상기 중량체(45)(55)(75)의 자석(46)(56)(76)에 대하여 동일극성의 자력이 발생하도록 자석(47a)(57a)(77a)이 매입 설치되어 있고, 상부에는 안정된 기밀 유지를 위해 패킹판(47b)(57b)(77b)이 설치되어 있는 부력개폐부재(47)(57)(77)가 예열 생산된 온수가 가열탱크(23)로 보충되어져 상기 예열탱크(21) 내의 기압변화가 발생하면 아래로 이동하여 물탱크(10) 내의 물이 예열탱크(21) 내부로 공급되어 지도록 하고, 공급된 물에 의해 예열탱크(21)내의 부피가 팽창하면 부력과 함께 동일 극을 이루며 설치되어 진 자석(47a)(57a)(77a)이 중량체(45)(55)(75)의 자석(46)(56)(76)의 자력에 의해 상승하여 커버체(42)(52)(72)의 물유입공(42a)(52a)(72a)을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 온수공급용 체크밸브(40)와, 물공급용 체크밸브(50) 및 난방수 배출용 체크밸브(70)의 몸체(41)(51)(71)에는 호스 연결 사용이 가능하도록 상,하에 연결커플링(48)을 연결할 때 견고한 조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플랜지(41a)(51a)(71a)가 중간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온수통(20)의 가열탱크(23)로부터 배출되는 난방수가 순환되어지는 난방패드와 물탱크(10)에 연결되는 순환관(80)상에는 전기코드를 통해 공급되는 전기량이 온도조절기(90)로 조절되고, 순환관(80)에 설치되어진 바이메탈식 온도감지기(100)의 시그널에 의해 가열히터(24)와 예열히터(22)의 발열이 제어되어 진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온수를 이용한 난방기기를 사용하고자할 때에는 물탱크(10)의 물주입구(12)에 장착된 마개밸브(18)를 분리해 낸다.
마개밸브(18)를 물탱크(10)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물탱크(10)에 물을 채워 넣는다.
상기와 같이 물탱크에(10) 채워지는 물은 물공급용 체크밸브(40)을 통해 온수통(20)을 구성하는 예열탱크(21)와 가열탱크(23) 내부로 유입되어지게 된다.
상기 온수통(20)으로 공급되는 물은 먼저 예열탱크(21)에 가득 채워진 후, 가열탱크(23)의 온수유입구멍에 설치된 온수 공급용 체크밸브(40)의 개방으로 가열탱크(23) 내부로도 물이 가득 채워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물탱크(10)로 물을 주입하여 예열탱크(21) 및 가열탱크(23)에 물을 채운 상태에서 물탱크(10)의 물유입구멍(12)에 마개밸브(18)를 장착하게 된다.
이후, 온도조절기(90)로 전기량을 조절하고,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전기에너지가 공급될 때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전기제품에서 필수적으로 가지고 있어야 하는 안전장치인 안전스위치와 전원차단기 및 누전차단기가 부설되어 있는 것이어서 전기에너지가 안정되게 공급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전기에너지가 공급되어 온수통(20)을 이루는 가열탱크(23)와 예열탱크(21)의 물이 각각의 가열히터(24)와 예열히터(22)에 의해 가열되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열히터(24)와 예열히터(22)에 의해 물이 가열되어지면, 온수통(20)을 이루는 가열탱크(23)와 예열탱크(21) 안에 점차 높은 압력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가열히터(24)와 예열히터(22)에 의해 가열되는 물은 부피가 작은 가열탱크(23)내의 물이 먼저 가열되어 지게 된다.
상기 가열탱크(23)의 가열히터(24)에 의해 난방수가 생산되어지면, 가열탱크(23)의 내부에 팽창 압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때 가열탱크(23)의 온수유입구멍에 설치된 온수공급용 체크밸브(40)가 차단위치에 위치하게 됨과 동시에 팽창압력이 배출관(60)에 설치된 난방수배출용 체크밸브(70)의 개폐부재(72)를 밀어 하향 이동시킴에 따라 가열탱크(23)에서 생산된 난방수가 난방패드(30)로 배출 순환되어지게 된다.
도 14는 가열탱크로부터 난방수가 배출되어질 때 온수공급용 체크밸브와 난방수 배출용 체크밸브 및 물공급용 체크밸브의 작동 관계를 나타낸 예시도로써,
가열히터(24)에 의해 가열되어서 난방수가 생산되어지게 되고, 상기 난방수 가 생산되어지는 과정에서 발생한 수증기에 의해 가열탱크(23)내에 증기압이 발생하여 상기 가열탱크(23)내의 부피가 커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열탱크(23) 내부의 부피가 커지게 되면, 수증기로 변하지 못한 난방수가 증기압에 의해 배출관(60)을 거쳐 난방패드(30)의 호스(31)로 배출 순환되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열탱크(23)의 난방수가 배출 순환되어질 때 가열탱크(23)에 설치된 온수공급용 체크밸브(40)는 차단되어 지고, 배출관(60)에 설치된 난방수 배출용 체크밸브(70)는 개방되어지게 된다.
상기 가열탱크(23)의 난방수가 배출 순환되어질때 물공급용 체크밸브(50)는 차단된 상태를 이루게 되고, 배출관(60)에 설치된 난방수 배출용 체크밸브(70)는 개방되어짐에 따라 난방수의 배출 순환이 이루어 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출 순환되는 난방수가 가열탱크(23)로부터 완전하게 배출되어지고 난 후, 가열탱크(23) 내부에는 수증기만 존재하게 되는데, 상기 수증기가 가열히터(24)에 의해 지속적으로 가열되어져 상기 가열탱크(23) 내부에 진공압력이 발생하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난방기기의 가열탱크로부터 난방수가 배출완료된 후 온수공급용 체크밸브(40)와 난방수 배출용 체크밸브(70) 및 물공급용 체크밸브(50)의 작동 관계를 나타낸 예시도로써,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열탱크(23)에 진공압력이 발생하면 온수공급용 체크밸브(40)가 개방되어져서 예열히터(22)에 의해 예열된 예열탱크(21)의 온수가 공급되어지게 된다.
상기 예열탱크(21)의 온수가 가열탱크(23)로 공급될 때 예열탱크(21)와 물탱크(10)를 직결하고 있는 물공급용 체크밸브(50)의 개폐부재(53)가 중력에 의해 아래로 이동하여 커버체(52)의 물유입공(52a)이 개방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가열탱크(23)로 온수가 공급될 때 난방수 배출용 체크밸브(70)는 차단되어 있게 된다.
이상에서 기술한 바에 의해 물공급용 체크밸브(50)와 온수공급용 체크밸브(40) 및 난방수 배출용 체크밸브(70)가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이루며 작동함과 동시에 부피가 작은 가열탱크(23)에서 난방수를 신속하게 생산하여 난방패드(30)로 배출 순환된 상태에서 상기 가열탱크(21)내에 예열탱크(21)로부터 예열된 온수가 공급(보충)되어 짐에 따라 예열에 필요한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 난방수 생산주기를 현저하게 줄여 균일한 온도의 난방이 가능하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난방기기는 물탱크(10)의 물주입구(12)로 장착된 마개밸브(18)를 통해 공기가 선택적으로 공급되어 짐에 따라 진공압력에 의한 온수(난방수) 순환 장애가 유발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난방기기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난방기기의 요부를 발췌한 사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난방기기의 요부를 발췌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난방기기에 사용되어 지는 체크밸브를 발췌한 일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단면도로써, 차단된 상태의 예시도.
도 6은 도 4의 단면도로써, 개방된 상태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난방기기에 사용되어 지는 체크밸브의 다른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단면도로써, 차단된 상태의 예시도.
도 9는 도 7의 단면도로써, 개방된 상태의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난방기기에 사용되어 지는 체크밸브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단면도로써, 차단된 상태의 예시도.
도 12는 도 10의 단면도로써, 개방된 상태의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난방기기에 사용되어 지는 체크밸브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난방기기의 가열탱크로부터 난방수가 배출되어질 때 온수공급용 체크밸브와 난방수 배출용 체크밸브 및 물공급용 체크밸브의 작동 관계 를 나타낸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난방기기의 가열탱크로부터 난방수가 배출완료된 후 온수공급용 체크밸브와 난방수 배출용 체크밸브 및 물공급용 체크밸브의 작동 관계를 나타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물탱크 11 : 투시창
13 : 몸체 14 : 공기통로부재
14a : 공기유통공 15 : 작동봉
16 : 체크밸브변 17 : 개폐볼
18 : 마개밸브 20 : 온수통
21 : 예열탱크 22 : 예열히터
23 : 가열탱크 24 : 가열히터
30 : 난방패드 31 : 호스
40 : 온수공급용 체크밸브 50 : 물공급용 체크밸브
60 : 배출관 70 : 난방수 배출용 체크밸브
80 : 순환관

Claims (5)

  1. 물주입구(12)에 설치되어 공기압의 발생을 해소시킴과 동시에 물의 누수를 차단할 수 있도록 된 마개밸브(18)가 설치되어 있고, 저장된 물의 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된 투명창(11)을 포함하는 물탱크(10)와;
    상기 물탱크(10)로부터 물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물공급용 체크밸브를 매개로 직결됨과 동시에 예열히터(22)가 잠입설치된 예열탱크(21) 내부에 가열히터(24)가 잠입설치되어 있는 작은 부피의 가열탱크(2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열탱크(23)에는 물이 끓어 내부의 증기압력이 증가하면 차단되어서 난방수를 난방수의 역류를 차단하는 난방수 배출용 체크밸브(70)를 포함하는 배출관(60)으로 배출시켜서 난방패드(30)로 순환되도록 함과 더불어 증기압력이 해소되어지면 개방되어 예열탱크(21) 내의 온수가 가열탱크(23)로 유입되도록 하는 온수 공급용 체크밸브(40)가 설치되어 있는 온수통(20)과;
    상기 온수통((20)의 가열탱크(23)에서 생산된 난방수가 난방수의 역류를 차단할 수 있도록 설치된 난방수 배출용 체크밸브(70)를 구비한 배출관(60)을 통해 난방호스(31)로 순환 공급되어지고, 난방호스(31)를 거친 난방수가 물탱크(10)에 연결된 순환관(80)을 거쳐 순환되어지는 난방패드(30)와;
    순환관(80)에 설치되어 온도조절기(90)를 조절하여 조정된 시그널에 따라 그에 해당하는 온도의 온수가 가열 유지되도록 감지하는 바이메탈식 온도감지기(1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를 이용한 난방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공급용 체크밸브(40)와, 물공급용 체크밸브(50) 및 난방수 배출용 체크밸브(70)는, 관통된 관형으로 외주면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41)(51)(71)에 물유입공(42a)(52a)(72a)이 형성되어 있는 커버체(42)(52)(72)가 결합되어지되, 상기 몸체(41)(51)(71)와 커버체(42)(52)(71)의 사이에 개재되어 커버체(42)(52)(72)의 물유입공(42a)(52a)(72a)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개폐부재(42)(53)(7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개폐부재는 개폐부재(43)(53)(73)는 탄성 반발력이 우수한 고무재질로서 가장자리에 기밀유지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밀폐링(43a)(53a)(73a)이 형성되어 있으며, 두께가 얇은 판(43b)(53b)(73b) 중앙에 커버체(42)(52)(72)의 물유입공공(42a)(52a)(72a)보다 큰 지름의 차단돌기(43c)(53c)(73c)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차단돌기(43c)(53c)(73c)의 주변으로 물이송로(43d)(53d)(73d)가 다수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를 이용한 난방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공급용 체크밸브(40)와, 물공급용 체크밸브(50) 및 난방수 배출용 체크밸브(70)는, 관통된 관형으로 외주면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41)(51)(71)에 물유입공(42a)(52a)(72a)이 형성되어 있는 커버체(42)(52)(72)가 기밀유지용 패킹(44)을 매개로 결합되어지되, 상기 몸체(41)(51)(71)와 커버체(42)(52)(71)의 사이에 개재되어 커버체(42)(52)(72)의 물유입공(42a)(52a)(72a)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개폐부재(42)(53)(7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개폐부재(43)(53)(73)는 속이 비워 그 내부에 공기가 채워져 있으며, 몸체(41)(51)(71)에 장착하였을 때 물 이송로가 확보되어질 수 있도록 정사각 기둥형태를 이루는 것으로 예열 된 온수가 가열탱크(23)로 공급되어져 상기 예열탱크(21) 내의 기압변화가 발생하면 아래로 이동하여 물탱크(10) 내의 물이 예열탱크(21)내부로 공급되어지도록 하고, 공급된 물에 의해 예열탱크(21)내의 부피가 팽창하면 부력에 의해 상승하여 커버체(42)(52)(72)의 물유입공(42a)(52a)(72a)을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를 이용한 난방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공급용 체크밸브(40)와, 물공급용 체크밸브(50) 및 난방수 배출용 체크밸브(70)는, 관통된 관형으로 외주면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41)(51)(71)에 물유입공(42a)(52a)(72a)이 형성되어 있는 커버체(42)(52)(72)가 기밀유지용 패킹(44)을 매개로 결합되어지되, 상기 몸체(41)(51)(71)와 커버체(42)(52)(71)의 사이에 개재되어 커버체(42)(52)(72)의 물유입공(42a)(52a)(72a)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개폐부재(42)(53)(7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개폐부재(43)(53)(73)는 몸체(41)(51)(71)에 장착하였을 때 물이송로가 확보되어질 수 있도록 정사각 기둥형태를 이루는 것으로,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구멍(45a)(55a)(75a)에 자석(46)(56)(76)이 장착된 중량체(45)(55)(75)와 상기 중량체(45)(55)(75)의 자석(46)(56)(76)에 대하여 동일극성의 자력이 발생하도록 자석(47a)(57a)(77a)이 매입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안정된 기밀 유지를 위해 패킹판(47b)(57b)(77b)이 설치되어 있는 부력개폐부재(47)(57)(77)가 예열 생산된 온수가 가열탱크(23)로 보충되어져 상기 예열탱크(21) 내의 기압변화가 발생하면 아래로 이동하여 물탱크(10) 내의 물이 예열탱크(21) 내부로 공급되어 지도록 하고, 공급된 물에 의해 예열탱크(21)내의 부피가 팽창하면 부력과 함께 동일 극을 이루며 설치되어 진 자석(4a)(57a)(77a)이 중량체(45)(55)(75)의 자석(46)(56)(76)의 자력에 의해 상승하여 커버체(42)(52)(72)의 물유입공(42a)(52a)(72a)을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를 이용한 난방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공급용 체크밸브(40)와, 물공급용 체크밸브(50) 및 난방수 배출용 체크밸브(70)의 몸체(41)(51)(71)에는 호스 연결 사용이 가능하도록 상,하에 연결커플링(48)을 연결할 때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플랜지(41a)(51a)(71a)가 중간으로 형성됨을 특징을 하는 온수를 이용한 난방기기.
KR1020070087353A 2007-07-09 2007-08-30 온수를 이용한 난방기기 KR1007860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897 2007-07-09
KR1020070068897A KR20070077806A (ko) 2007-07-09 2007-07-09 온수를 이용한 난방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6056B1 true KR100786056B1 (ko) 2007-12-17

Family

ID=3850227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8897A KR20070077806A (ko) 2007-07-09 2007-07-09 온수를 이용한 난방기기
KR1020070087353A KR100786056B1 (ko) 2007-07-09 2007-08-30 온수를 이용한 난방기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8897A KR20070077806A (ko) 2007-07-09 2007-07-09 온수를 이용한 난방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7007780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336B1 (ko) * 2010-06-16 2010-12-14 이상운 전기식 난방 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7806A (ko) * 2007-07-09 2007-07-27 신천식 온수를 이용한 난방기기
KR100930532B1 (ko) * 2007-11-13 2009-12-09 신천식 온수를 이용한 난방기기
KR100863272B1 (ko) * 2008-02-01 2008-10-15 송시예 매트용 보일러
KR100861776B1 (ko) * 2008-04-11 2008-10-06 박연홍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
KR101017949B1 (ko) * 2008-07-22 2011-03-02 (주)우민테크놀러지 전기 보일러
KR101053027B1 (ko) * 2009-07-08 2011-08-01 최영주 자동 개폐부재를 구비한 온수공급장치
KR101900685B1 (ko) * 2016-08-01 2018-09-20 이스타 주식회사 대용량 전기온수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4523U (ko) * 1998-01-21 1999-08-25 정무선 농업용 온수보일러
KR100348457B1 (ko) * 1999-09-14 2002-08-13 노영복 난방장치나 물리치료기등에 사용되는 온수생산, 공급,
KR20020079246A (ko) * 2001-04-14 2002-10-19 워터로테크(주) 다용도 온수 순환 펌핑장치
JP2002364924A (ja) * 2001-06-12 2002-12-18 Upac Corp 節電型即熱式電気温水器
KR20030029072A (ko) * 2003-02-20 2003-04-11 이갑순 무동력 보일러
KR20070077806A (ko) * 2007-07-09 2007-07-27 신천식 온수를 이용한 난방기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4523U (ko) * 1998-01-21 1999-08-25 정무선 농업용 온수보일러
KR100348457B1 (ko) * 1999-09-14 2002-08-13 노영복 난방장치나 물리치료기등에 사용되는 온수생산, 공급,
KR20020079246A (ko) * 2001-04-14 2002-10-19 워터로테크(주) 다용도 온수 순환 펌핑장치
JP2002364924A (ja) * 2001-06-12 2002-12-18 Upac Corp 節電型即熱式電気温水器
KR20030029072A (ko) * 2003-02-20 2003-04-11 이갑순 무동력 보일러
KR20070077806A (ko) * 2007-07-09 2007-07-27 신천식 온수를 이용한 난방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336B1 (ko) * 2010-06-16 2010-12-14 이상운 전기식 난방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7806A (ko) 2007-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6056B1 (ko) 온수를 이용한 난방기기
KR100874993B1 (ko) 온수를 이용한 난방기기
KR100526791B1 (ko) 온수 자동순환장치
JP2007315620A (ja) 給湯装置
EP3254034B1 (en) Capillary proximity heater with high energy saving equipped upstream of a microfiltration apparatus for the elimination of calcareuos particles present in fluids and downstream of a nozzle or closed circuit
KR100930532B1 (ko) 온수를 이용한 난방기기
KR100348457B1 (ko) 난방장치나 물리치료기등에 사용되는 온수생산, 공급,
KR100486559B1 (ko) 스팀 청소기의 유도 가열 장치
ATE301414T1 (de)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heissgetränken
KR101197371B1 (ko) 휴대용 온수생성공급장치
CN108968499A (zh) 一种太阳能水暖床垫
KR101640938B1 (ko) 열매체유를 이용한 보일러
KR101861440B1 (ko) 온열매트
KR101726645B1 (ko) 스팀 보일러 시스템
JP6391255B2 (ja) 蒸気式茹で麺器
KR100992701B1 (ko) 가스레인지의 폐열을 이용한 온수 보일러
KR102187919B1 (ko) 복합 냉온수 매트
KR20120113044A (ko) 보일러용 체크 밸브 및 이를 포함한 보일러
KR101836002B1 (ko) 전기 스팀기
KR20140101575A (ko) 순간 온수 생성장치
KR101214379B1 (ko) 식기세척기용 온수공급장치
US20210393076A1 (en) A two-stage water boiler for a hot beverage vending machine
KR20170068930A (ko) 온수유로를 포함하는 비데
JP3140872U (ja) 湯沸かし器
KR20140140232A (ko) 온수 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