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2552B1 - 모형 파랑의 처오름 높이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모형 파랑의 처오름 높이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2552B1
KR100622552B1 KR1020040103161A KR20040103161A KR100622552B1 KR 100622552 B1 KR100622552 B1 KR 100622552B1 KR 1020040103161 A KR1020040103161 A KR 1020040103161A KR 20040103161 A KR20040103161 A KR 20040103161A KR 100622552 B1 KR100622552 B1 KR 100622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
tank
height
water level
inclin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3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4345A (ko
Inventor
조용식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40103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2552B1/ko
Publication of KR20060064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4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2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2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0/00Hydrodynamic testing; Arrangements in or on ship-testing tanks or water tunne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12Arrangements in swimming pools for teaching swimming or for trai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3/00Surveying specially adapted to open water, e.g. sea, lake, river or can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Abstract

본 발명은 모형 파랑의 처오름 높이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형 파랑의 처오름 높이 측정장치는, 물이 수용되며, 수로형태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조파수조;와, 상기 조파수조에 수용된 물에 파도를 일으키도록 상기 조파수조의 일측에 배치되는 조파장치;와, 상기 조파수조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을 구비하며, 상기 조파장치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이 조파수조에 설치되는 경사 구조물;과, 상기 경사면상의 물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경사면의 상방에 배치되어 상기 조파수조에 고정되는 수위감지센서; 및 상기 수위감지센서를 상기 조파수조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파랑, 처오름 높이, 조파장치

Description

모형 파랑의 처오름 높이 측정장치{Model apparatus for measuring run-up heights of water waves}
도 1은 종래의 모형 파랑의 처오름 높이 측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형 파랑의 처오름 높이 측정장치의 개략적 구조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모형 파랑의 처오름 높이 측정장치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모형 파랑의 처오름 높이 측정장치의 주요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Ⅴ-Ⅴ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Ⅵ-Ⅵ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모형 파랑의 처오름 높이 측정장치 10 ... 조파수조
20 ... 조파장치 30 ... 경사 구조물
31 ... 경사면 40 ... 수위감지센서
50 ... 수평 지지부재 51 ... 본체부
52 ... 흡착판 60 ... 수직 지지부재
61 ... 몸체부 62 ... 지지부
63 ... 볼트 69 ... 거치대
본 발명은 모형 파랑의 처오름 높이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석방파제 등의 해안 구조물을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설계할 수 있도록 해안구조물을 따라 파랑이 최대로 올라가는 최대 처오름 높이 및 해안 구조물을 따라 파랑이 최저로 내려가는 최저 처내림 높이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모형 파랑의 처오름 높이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파랑의 처오름이란 외해에서 전파해온 파랑이 해안 또는 해안 구조물을 따라 올라오는 현상을 말하며, 파랑의 처내림이란 상기 파랑이 이 해안 구조물을 따라 밑으로 내려가는 현상을 말한다. 또한, 파랑이 해안을 따라 처오를 때 기존의 해수면으로부터 최대로 올라가는 연직 높이를 최대 처오름 높이로 정의하며, 파랑이 해안을 따라 내려갈 때 기존의 해수면으로부터 최저로 내려가는 연직 높이를 최저 처내림 높이로 정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항만시설, 연안에 건설되는 화력발전소, 원자력 발전소 또는 사석방파제 등의 해안 구조물을 설계할 때 최대 처오름 높이와 최저 처내림 높이를 측정하는 것은 안전의 측면에서나 경제적인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즉, 파랑이 월파하지 않 도록 하기 위한 해안 구조물의 높이의 설정, 해안선의 범람구역의 설정, 취수구의 높이 설정 및 해안구조물에 작용하는 파력의 계산 등에서 최대 처오름 높이와 최저 처내림 높이를 측정하는 것은 매우 핵심적인 문제이다. 이렇게 최대 처오름 높이와 최저 처내림 높이를 산정하기 위해서, 해안구조물이 축조될 해안지역의 특성과 축조되는 해안 구조물의 특성에 따라 해안구조모형을 제작하고, 이 해안구조모형을 통해 최대 처오름 높이와 최저 처내림 높이를 측정하게 된다. 이렇게 제작된 해안구조모형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해안구조모형은, 그 내부에 물(w)이 수용되어 있으며 길게 수로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조파수조(2)와, 이 조파수조(2)의 일측에 설치되어 조파수조(2)에 수용되어 있는 물에 파도를 일으키게 하는 조파장치(3)와, 상기 조파장치(3)의 반대측에 위치하며 방파제 등의 해안구조물을 모형화한 해안 구조물(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조파장치(3)에서 진동을 발생시켜 상기 조파수조(1)내에 수용된 물에 파도를 일으키게 되면 이 파도는 조파수조(2)를 따라 해안 구조물(4)쪽으로 진행되게 된다. 이렇게 조파수조(2)를 따라 진행하던 파도는 상기 해안 구조물(4)에 이르러 이 해안 구조물(4)을 따라 처오르게 된다. 이렇게 처오른 파도는 다시 해안 구조물(4)을 따라 밑으로 내려가게 된다. 조파수조(2)의 크기, 조파 조건, 해안 구조물(4)의 성격이나 크기 등 실제 해안과 축조될 해안 구조물과 유사한 조건으로 이 모형을 설치하여 위와 같은 실험을 반복하여 데이타를 얻음으로써, 실제 해안구조물을 설계시에 이 데이타를 고려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최대 처오름 높이와 최대 처내림 측정은 사람의 시각에 의하여 측정하는 것으로서 매우 부정확하였으므로, 이로부터 얻어진 데이타를 신뢰하기 어려운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즉, 종래에는 상기 해안구조모형을 설치하고 수차례 실험을 반복하였으며 실험의 전과정을 비디오 등의 기록수단으로 기록하였다. 실험이 끝난 후, 측정자는 이 비디오를 통해 파랑의 처오름 높이와 처내림 높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였다. 이러한 방식으로 측정을 하게 되면 실험에 걸리는 시간과 그 이후에 기록수단을 재생시켜 측정하는 시간까지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소요되었으며, 더욱 큰 문제점은 이렇게 측정된 결과를 신뢰할 수 없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석방파제 등의 해안 구조물을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설계할 수 있도록 파랑의 최대 처오름 높이 및 최저 처내림 높이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측정과정이 매우 용이한 모형 파랑의 처오름 높이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형 파랑의 처오름 높이 측정장치는, 물이 수용되며, 수로형태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조파수조;와, 상기 조파수조에 수용된 물에 파도를 일으키도록 상기 조파수조의 일측에 배치되는 조파장치;와, 상기 조파수조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을 구비하며, 상기 조파장치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이 조파수조에 설치되는 경사 구조물;과, 상기 경사면상의 물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경사면의 상방에 배치되어 상기 조파수조에 고정되는 수위감지센서; 및 상기 수위감지센서를 상기 조파수조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 단;을 구비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위감지센서는 상기 경사면의 경사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며 상기 경사면과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정수단은, 그 각각은 상기 조파수조의 폭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상기 경사면 위에 배치되며, 상기 경사면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상기 조파수조에 결합되는 한 쌍의 수평 지지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상기 수위감지센서의 양단은 각각 상기 한 쌍의 수평 지지부재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파수조의 높이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어 일단은 상기 조파수조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수위감지센서에 결합되는 수직 지지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직 지지부재는 상기 수위감지센서가 설치되는 높이에 따라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상기 조파수조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형 파랑의 처오름 높이 측정장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형 파랑의 처오름 높이 측정장치의 개략적 구조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모형 파랑의 처오름 높이 측정장치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모형 파랑의 처오름 높이 측정장치의 주요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형 파랑의 처오름 높이 측정장치(100)는 조파수조(10), 조파장치(20), 경사 구조물(30), 수위감지센서(40) 및 고정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조파수조(10)에는 물(w)이 수용되며 일방향을 따라 수로형태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조파수조(10)는 대략 35m정도의 길이를 가지며 아크릴소재로 투명하게 형성되어 있어, 후술하는 조파장치(20)에 의해 파도가 발생될 때 그 파도가 진행되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조파장치(20)는 상기 조파수조(10)의 일측에 설치되게 되며, 상기 조파수조(10) 내부에 물(w)에 파동을 주어 파도를 일으키게 한다. 상기 조파장치(20)는 공지의 장치로서 예컨대, 특허 공개번호 제1988-0014211호에 기재된 조파장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파장치(20)는 다양한 파고의 파도를 형성시킬 수 있도록 조절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 구조물(30)은 방파제, 방파호안 등과 같은 해안구조물을 모형화한 것이다. 상기 경사 구조물(30)은 상기 조파수조(10)에 설치되게 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조파장치(20)가 위치한 단부의 반대측 단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 경사 구조물(30)은, 실제 해안에 설치되게 될 해안구조물의 높이와 형상에 따라, 그 높이와 형상 등을 자유롭게 변형시켜 상기 조파수조(10)에 설치되게 된다. 또한, 상기 경사 구조물(30)은 상기 조파수조(1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31)을 구비하고 있다. 이 경사면(31)의 일부는 상기 조파수조(10)에 수용된 물에 잠겨 있으며, 나머지 일부는 수면위로 올라와 있다.
상기 수위감지센서(40)는 상기 조파수조(10)에 수용되어 있는 물(w)이 상기 경사면(31)을 따라 처오를때 최대로 처오른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경사면(31)의 상방에 배치된다. 이 수위감지센서(40)는 지지체(41)와 자성체(4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지지체(41)는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 양단부가 일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다. 이 절곡된 양단부 사이에, 가느다란 봉형상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상기 자성체(42)가 결합된다. 상기 자성체(42)는 상기 경사면(31)의 경사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어 이 경사면(31)과 나란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자성체(42)와 상기 경사면(31)의 사이는 약간 이격되어 있다. 상기 경사면(31)을 따라 배치된 이 수위감지센서(40)는 도선(43)과 연결되서 통전되어 있다. 상기 수위감지센서(40)의 자성체(42)에 물(w)이 처오르거나 처내려감으로써 수위가 변화하면, 상기 통전된 상태에서 저항값이 변하게 되므로 이를 통해 수위를 측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 수위감지센서(40)는 공지의 부재로서 일반적으로 용량식 파고계가 사용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KENEK사의 CHT-100 용량식 파고계가 사용된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수위감지센서(40)를 상기 조파수조(10)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한 쌍의 수평 지지부재(50)와, 수직 지지부재(60)를 구비한다.
상기 한 쌍의 수평 지지부재(50)는 상기 경사면(31)의 경사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상기 경사면(31)상에 배치되며, 상기 조파수조(10)의 내측벽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5는 도 3의 Ⅴ-Ⅴ선 개략적 단면도로서 도 5를 참조하면, 이 한 쌍의 수평 지지부재(50) 각각은 상기 조파수조(10)의 폭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 수평 지지부재(50)는 상기 조파수조(10)의 폭방향을 따라 길게 봉형상으로 이루어진 본체부(51)를 구비하며, 이 본체부(51)의 양단에는 나사공(511) 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51)의 양단의 나사공(511) 각각에는 한 쌍의 흡착판(52)이 각각 나사결합된다. 이 한 쌍의 흡착판은 각각 결합부(521)와 부착부(522)를 구비한다. 상기 부착부(522)는 상기 조파수조(10)에 결합되는 부분이며, 상기 결합부(521)는 상기 본체부(51)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결합부(521)에는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본체부(51)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공(511)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흡착판(52)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 결합부(521)는 상기 나사공(511)에 깊이 체결되면서 상기 본체부(51)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역으로 이 흡착판(52)을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 결합부(521)는 상기 나사공(511)으로부터 점차 빠져나오면서 상기 본체부(1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조파수조(10)의 내측벽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결합부(521)의 상기 나사공(511)에 대한 체결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수평 지지부재(50)의 길이를 상기 조파수조(10)의 내측벽 사이의 거리와 일치시킬 수 있다. 상기 상기 흡착판(52)의 부착부(522)는, 본 실시예에서, 탄성을 가지는 고무로 되어 있다. 이 부착부(522)는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어, 이 부착부(522)가 상기 조파수조(10)의 내측면에 접하게 되면, 부착부(522)와 조파수조(10)의 내측면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부착부(522)가 조파수조(10) 방향으로 눌리면, 탄성체인 이 부착부(522)는 상기 조파수조(10)의 내측벽에 밀착되면서, 상기 조파수조(10)의 내측벽과 부착부(522) 사이의 공간은 매우 작게 되고, 이 공간에 있던 공기들의 대부분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공간내의 대기압 이하의 압력과 상기 부착부(522) 외부의 대기압과의 압력차이로 인하여 상기 부착부(522)는 이 조파수조(10)의 내측벽에 부착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부착부(522)와 상기 조파수조(10)의 사이에 약간의 틈만 형성시켜 주면, 상기 부착부(522)와 조파수조(10)의 내측벽 사이의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면서 부착부(522)의 외부의 대기압과 부착부(522)와 조파수조(10)사이 공간의 압력이 상호 평형을 이룸으로써, 이 부착부(522)는 조파수조(10)의 내측벽으로부터 부착이 해제되게 된다. 한편, 상기 수위감지센서(40)의 지지체(41)의 양단은 각각 상기 한 쌍의 수평 지지부재(50)에 결합용 끈(미도시)이나 용접 등에 의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수평 지지부재(50)에 고정되게 된다.
상기 수직 지지부재(60)는 상기 수위감지센서(40)가 상기 조파수조(10)의 폭방향을 따라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일단은 상기 조파수조(10)의 상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수위감지센서(40)의 지지체(41)에 결합된다. 이 수직 지지부재(60)는, 상기 조파수조(10)의 높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는 봉 형상의 몸체부(61)를 구비한다. 이 봉 형상의 몸체부(61)는 상기 조파수조(10)의 상단에 거치되는 지지부(62)에 끼워지게 된다. 상기 지지부(62)는 거치대(68)상에 놓여지게 된다. 이 거치대(68)는 상기 조파수조(10)의 폭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는 대략 판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조파수조(10)의 상부에 놓여져서 이 조파수조(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이 조파수조(10)에 결합된다. 도 6은 도 3의 Ⅵ-Ⅵ선 개략적 단면도로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부(62)에는 상기 조파수조(10)의 높이방향을 따라 이 지지부(62)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공(64)이 구비되어 있고, 이 관통공(64)에 상기 몸체부(61)가 끼워져 삽입된다. 상기 몸체부(61)는 상기 수위감지센서(40)가 상기 조파수조(10)에 설치되는 높이에 따라 그 설치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관통공(64)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조파수조(10)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62)에는 이 지지부(62)의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관통공(64)까지 관통되어 있는 나사공(6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나사공(65)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부(61)가 상기 관통공(64)에 끼워져서 위치가 조절된 후, 상기 나사공(65)에 볼트(63)가 체결되면 이 볼트(63)의 선단부가 상기 관통공(64)내에 끼워져 있는 몸체부(61)를 가압하여 눌러줌으로써, 상기 몸체부(61)는 상기 지지부(61)에 결합되어 위치고정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형 파랑의 처오름 높이 측정장치(100)의 사용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해안의 조건과 축조될 해안 구조물의 조건, 예컨대 파고의 높이나 해안구조물의 경사도 등을 고려하여, 상기 조파장치(20)의 조파조건을 설정하고 상기 경사 구조물(30)을 설치한다. 상기 경사 구조물(30)의 경사면(31) 상에 상기 한 쌍의 수평 지지부재(50)를 상호 이격시켜 나란하게 설치한다. 이 한 쌍의 수평 지지부재(50)를 설치할 때, 우선 조파수조(10)의 내측벽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수평 지지부재(5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두 개의 흡착판(52)을 각각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흡착판(52)을 본체부(51)에 접근되는 방향 또는 본체부(5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렇게 해서 상기 수평 지지부재(50)의 길이와 상기 조파수조(10)의 내측벽 사이의 거리를 대응되게한 후 본체부 (51) 양단의 흡착판(52)들을 상기 조파수조(10)의 내측벽에 가압한다. 이렇게 상기 흡착판(52)을 가압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흡착판(52)의 부착부(522)와 조파수조(10)의 내측벽 사이의 공간이 줄어들면서 이 공간 내부의 압력과 부착부(522)외부의 압력차이로 인하여 상기 부착부(522)가 조파수조(10)의 내측벽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수평 지지부재(50)의 설치가 간단하게 완료된다.
이후 이 한 쌍의 수평 지지부재(50)에 상기 수위감지센서(40)의 지지체(41)를 결합용 끈(미도시) 등으로 결합시킨다. 이렇게 상기 지지체(41)를 상기 수평 지지부재(50)에 결합시키면, 상기 수위감지센서(40)의 자성체(42)는 상기 경사 구조물(30)의 경사면(31)과 약간 이격되어 평행하게 설치되게 된다. 수위감지센서(40)의 도선(43)은 미도시된 컴퓨터에 연결시켜 작동시에 데이타를 송신할 수 있게 한다.
이렇게 한 쌍의 수평 지지부재(50)의 설치가 완료된 후, 상기 수직 지지부재(60)를 상기 수위감지센서(40)에 결합시킨다. 상기 수직 지지부재(60)가 상기 조파수조(10)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거치대(68)를 조파수조(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이 거치대(68)의 위치를 조절한다. 이후, 상기 지지부(62)에 체결되어 있는 볼트(30)를 풀어 상기 몸체부(61)의 상하위치를 조절한다. 상기 몸체부(61)의 상하위치 조절이 끝나면 상기 볼트(30)를 상기 나사공(65)에 체결하여 이 볼트(30)의 선단이 상기 몸체부(61)를 가압하게 함으로써, 상기 몸체부(61)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이후 상기 몸체부(61)의 일단을 상기 수위감지센서(40)의 지지체(41)에 공지의 결합용 끈(미도시) 등으로 결합시킨다. 이렇게 결합 시키면, 상기 수위감지센서(40)가 상기 조파수조(10)의 폭방향을 따라 좌우로 흔들리거나 이동되지 않게 된다.
이후, 상기 조파수조(10)에 물(w)을 채워넣으면 본 발명에 따른 모형 파랑의 처오름 높이 측정장치(100)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렇게 설치가 완료되면, 조파장치(20)를 작동시켜 상기 물(w)에 파도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일으킨다. 파도는 조파수조(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진행하여 상기 경사 구조물(30)의 경사면(31)을 따라 처오르게 되고 최대 높이로 처오른 후 다시 경사면(31)을 따라 내려가며, 최저로 내려간 후에는 다시 처오르는 것을 반복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수위감지센서(40)는 0.05초 간격으로 상기 파랑의 수위를 저항의 변화를 통하여 계속적으로 감지하게 되며, 이 감지된 신호는 도선(43)을 통해 컴퓨터(미도시)에 입력되며, 수위 중 최대 수위와 최저 수위를 찾아 최대 처오름 높이와 최저 처내림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종래에는 이 모든 과정을 비디오로 기록하여 관측자의 육안에 근거하여 최대 처오름 높이와 최저 처내림 높이를 측정하였으나 이러한 방식으로는 정확한 측정이 불가능하였고 노력도 많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모형 파랑의 처오름 높이 측정장치(100)에 의하면, 수위감지센서(40)에 의하여 수위가 정확하게 측정되며, 비디오 녹화를 해야되거나 녹화된 비디오를 다시 분석해야되는 문제가 해결됨으로써 매우 용이한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다른 실험을 위하여 해안과 해안구조물의 조건이 변화하는 경우에는, 경사 구조물(30)의 형태나 조파수조(10)의 크기가 변화되어야 되지만, 별도의 장치 를 다시 만들 필요가 없이, 상기 한 쌍의 수평 지지부재(50)의 길이와 수직 지지부재(60)의 높이를 조절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형 파랑의 처오름 높이 측정장치를 계속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형 파랑의 처오름 높이 측정장치는 사석방파제 등의 해안 구조물을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설계할 수 있도록 파랑의 최대 처오름 높이 및 최저 처내림 높이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측정과정이 매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1. 물이 수용되며, 수로형태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조파수조;
    상기 조파수조에 수용된 물에 파도를 일으키도록 상기 조파수조의 일측에 배치되는 조파장치;
    상기 조파수조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을 구비하며, 상기 조파장치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이 조파수조에 설치되는 경사 구조물;
    상기 경사면상의 물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경사면의 상방에 배치되어 상기 조파수조에 고정되는 수위감지센서; 및
    상기 수위감지센서를 상기 조파수조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수위감지센서는 상기 경사면의 경사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며 상기 경사면과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경사면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상기 조파수조에 결합되며, 그 각각은 상기 조파수조의 폭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상기 경사면 위에 배치되며는 한 쌍의 수평 지지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수위감지센서의 양단은 각각 상기 한 쌍의 수평 지지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한 쌍의 수평 지지부재 각각은,
    상기 조파수조의 폭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흡착판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흡착판은 각각 상기 조파수조의 양쪽 내측벽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 파랑의 처오름 높이 측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판은 상기 본체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 및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 파랑의 처오름 높이 측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파수조의 높이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어 일단은 상기 조파수조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수위감지센서에 결합되는 수직 지지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 파랑의 처오름 높이 측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지지부재는,
    상기 수위감지센서가 설치되는 높이에 따라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상기 조파수조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 파랑의 처오름 높이 측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지지부재는,
    상기 조파수조의 높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그 상면과 하면 사이를 관통하는 관통공과 그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관통공까지 관통된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파 수조의 상단에 거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관통공에 끼워지는 몸체부가 위치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나사공에 체결되는 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 파랑의 처오름 높이 측정장치.
KR1020040103161A 2004-12-08 2004-12-08 모형 파랑의 처오름 높이 측정장치 KR100622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161A KR100622552B1 (ko) 2004-12-08 2004-12-08 모형 파랑의 처오름 높이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161A KR100622552B1 (ko) 2004-12-08 2004-12-08 모형 파랑의 처오름 높이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4345A KR20060064345A (ko) 2006-06-13
KR100622552B1 true KR100622552B1 (ko) 2006-09-19

Family

ID=37159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3161A KR100622552B1 (ko) 2004-12-08 2004-12-08 모형 파랑의 처오름 높이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255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231B1 (ko) 2009-12-24 2010-08-26 해양환경관리공단 인공해안이 설치된 조파수조
CN104977151A (zh) * 2015-07-13 2015-10-14 昆明理工大学 基于振动台上的坝体-库水耦合动力模型试验的设计方法
CN109357838A (zh) * 2018-08-22 2019-02-19 宁波指南针软件有限公司 一种多点造波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551B1 (ko) * 2013-02-13 2014-04-29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가스 하이드레이트 및 지진 유발 해저산사태 재현형 토조 모형시험장치 및 방법
CN111442904A (zh) * 2020-04-01 2020-07-24 天津大学 一种模拟岛礁坪台波浪消能水动力实验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67834A (ja) * 1985-01-18 1986-07-29 Mitsubishi Heavy Ind Ltd 実験水槽用波高測定装置
JP2003207334A (ja) * 2002-01-16 2003-07-25 Port & Airport Research Institute 越波測定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67834A (ja) * 1985-01-18 1986-07-29 Mitsubishi Heavy Ind Ltd 実験水槽用波高測定装置
JP2003207334A (ja) * 2002-01-16 2003-07-25 Port & Airport Research Institute 越波測定装置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0103161 - 625627
15207334
61167834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231B1 (ko) 2009-12-24 2010-08-26 해양환경관리공단 인공해안이 설치된 조파수조
CN104977151A (zh) * 2015-07-13 2015-10-14 昆明理工大学 基于振动台上的坝体-库水耦合动力模型试验的设计方法
CN109357838A (zh) * 2018-08-22 2019-02-19 宁波指南针软件有限公司 一种多点造波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4345A (ko) 2006-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net et al. Laboratory experiments for tsunamis generated by underwater landslides: comparison with numerical modeling
KR101258482B1 (ko) 액체 수위 및 밀도 측정 장치
KR100622552B1 (ko) 모형 파랑의 처오름 높이 측정장치
US485596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bridge structures for scouring
FR2719113B1 (fr) Capteur de niveau de liquide à noyau plongeur.
US3933042A (en) Water level gauge
KR100919767B1 (ko) 초음파 다회선 유량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부단수 시공방법
RU150171U1 (ru) Электронно-акус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измерения уровня и плотности нефтепродуктов
Schiller Wave forces on a submerged horizontal cylinder.
CN111442904A (zh) 一种模拟岛礁坪台波浪消能水动力实验装置
CN211262658U (zh) 一种窄缝共振式波浪周期测量装置
JP2611508B2 (ja) 水中コンクリートのレベル測定方法
CN111141488A (zh) 一种窄缝共振式波浪周期测量装置
KR102351365B1 (ko) 음향도플러유속계 고정장치
KR102199032B1 (ko) 표척관측용 설치 프레임 조립체
CN214149508U (zh) 一种水利工程用水位监测设备
CN212645851U (zh) 一种利用声波法测量地下水位变化的装置
CN116989983B (zh) 一种用于海洋系泊平台与立管的水槽试验方法及装置
KR102237445B1 (ko) 탱크차압측정 시스템
CN209656022U (zh) 一种河道横截面积专用测量装置
FR2425631A1 (fr) Appareil de mesure du niveau d&#39;un liquide
SU167568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измерени уровней жидкости
KR101978764B1 (ko) 하상지형의 단면형상 측정장치
CN213065223U (zh) 一种声学多普勒流速剖面仪的固定支架
CN205280071U (zh) 一种水深校验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