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2233B1 - 앵커플레이트 없이 드레인재를 지중에 매설하는 드레인재타설장치 - Google Patents

앵커플레이트 없이 드레인재를 지중에 매설하는 드레인재타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2233B1
KR100622233B1 KR1020060037290A KR20060037290A KR100622233B1 KR 100622233 B1 KR100622233 B1 KR 100622233B1 KR 1020060037290 A KR1020060037290 A KR 1020060037290A KR 20060037290 A KR20060037290 A KR 20060037290A KR 100622233 B1 KR100622233 B1 KR 100622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casing
drain material
ground
drain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7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준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준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준건설
Priority to KR1020060037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22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2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2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02D3/103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by installing wick drains or sand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0Rope, cable, or chain 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시공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앵커플레이트 없이 드레인재를 지중에 매설할 수 있도록 하는 드레인재 타설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리더(102)를 따라 승강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드레인 케이싱 고정홀더(103)와, 상기 드레인 케이싱 고정홀더에 장착되고 내부에 통공부(108)를 갖는 드레인 케이싱(104)과, 상기 드레인 케이싱의 통공부를 통하여 드레인재(105)를 공급하는 릴 장치(106)와, 상기 드레인 케이싱의 하부 몸체부에 구성되는 드레인재 임시고정장치(46)를 구비한다.
특히, 상기 드레인재 임시고정장치(46)는 그 드레인 케이싱의 통공부를 통하여 하단부로 내려온 드레인재를 지지하는 지지체(47)와, 상기 지지체를 상기 드레인 케이싱의 하단 개구부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일정 거리만큼 이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아암(48:arm)과, 상기 아암을 진퇴시키는 스프링장치(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앵커플레이트 없이 드레인재를 지중에 매설하는 드레인재 타설장치 {Drain board installing device without anchor plate}
도 1은 드레인재를 매설하는 드레인재 타설장치의 일반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드레인재 타설장치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드레인재 타설장치를 이용하여 드레인재를 지중에 매설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드레인재 타설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드레인 케이싱에 설치되는 드레인재 임시고정장치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드레인 케이싱에 설치되는 드레인재 임시고정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드레인 케이싱에 설치되는 드레인재 임시고정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a ~ 도 8e는 본 발명의 드레인 케이싱에 설치되는 드레인재 임시고정장치의 구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1 - 드레인재 타설장치 2, 102 - 리더
3, 103 - 드레인 케이싱 고정홀더 4, 104 - 드레인 케이싱
5, 105 - 드레인재 6, 106 - 릴 장치
7 - 앵커플레이트 8, 108 - 드레인 케이싱의 통공부
9 - 연약지반 10 - 복토층
11 - 배수층 33, 133 - 와이어
44,144 - 활차 45,145 - 유압실린더
46 - 드레인재 임시고정장치 47 - 지지체
48 - 아암 50 - 스프링장치
51 - 스프링 52 - 이동로
53 - 호스 54 - 홈
60 -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장치
70 - 스크류장치 71 - 스크류 봉
본 발명은 연약지반이나 습지 등을 개량하는데 이용되는 드레인재를 지중에 매설하는 드레인재 타설장치에 관련된 것이고, 더 상세히는 앵커플레이트 없이 드 레인재를 지중에 매설할 수 있는 드레인재 타설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약지반이나 습지를 강화하기 위한 공법으로는 드레인 공법이 알려져 있다.
상기 드레인 공법은 연약지반 내에 함유된 과잉 공극수를 배출하여 지반을 강화하는 공지된 기술로써, 도 1 및 도 3을 참고하여 그 기술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드레인재를 매설하는 드레인재 타설장치의 일반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드레인재 타설장치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고,도 3은 도 1의 드레인재 타설장치를 이용하여 드레인재를 지중에 매설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드레인재 타설장치(1)는 그 드레인재 타설장치의 본체에 지지되어 입설되는 리더(2)와, 상기 리더를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드레인 케이싱 고정홀더(3)와, 상기 드레인 케이싱 고정홀더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드레인 케이싱 고정홀더의 이동에 따라 지중으로 인발 인입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드레인 케이싱(4)을 구비한다.
상기 드레인 케이싱 고정홀더(3)는 활차(44)에 권선되는 와이어(33)를 이용하여 유압실린더(45)로 간접 구동하거나 유압실린더로 직접 구동하는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릴 장치(6)는 그 릴의 회전 방향, 속도 등을 컨트롤할 수 있도록 제어장치(미도시)에 연결되고, 작업자가 상기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드레인재(5)를 드레인 케이싱(4) 내의 통공부(8)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드레인 케이싱의 통공부(8) 내로 공급된 드레인재(5)는 드레인 케이싱의 하단부에 끼워지는 앵커플레이트(7)에 결합된다.
상기 앵커플레이트가 끼워진 드레인 케이싱(4)은 드레인 케이싱 고정홀더(3)의 구동에 의하여 드레인재 타설장치의 안전 및 배수를 위해 포설되는 배수층(11)및 복토층(10)과, 연약지반(9)을 관통하여 지중으로 인입된다.
상기 드레인 케이싱(4)이 지중으로 인입되는 과정에서 앵커플레이트(7)와 드레인재(5)가 함께 지중으로 인입되고, 소정의 깊이만큼 드레인 케이싱(4)이 인입된 후, 드레인 케이싱 고정홀더(3)의 역 구동에 의하여 드레인 케이싱(4)이 원위치로 인발된다. 상기 드레인 케이싱이 인발된 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상에 노출된 드레인재의 C 부분을 절단하면 지중에 앵커플레이트(7)와 드레인재(5)만 남게 된다.
상기 지중에 남아있는 다수의 드레인재(5)는 상재 하중압력과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연약 지반층의 물을 배수층(11)을 통하여 배출하게 되므로 결국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연약지반의 지지력이 증강된다.
일반적으로 지중에 매설되는 드레인재(5)는 드레인 케이싱(4)의 인발 과정에서 그 드레인재가 함께 딸려 올라오는 현상, 이른바 공상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앵커플레이트(7)가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앵커플레이트(7)는 드레인 케이싱(4)의 인입에 의하여 형성된 지중의 홀 벽에 박히거나 마찰이 일어나 드레인 케이싱이 인발될 때 지중의 드레인재가 위로 따라 올라기지 못하도록 지지하는 작용 을 한다.
그러나, 상기 앵커플레이트는 지중에 영구적으로 매립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환경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각 시공 홀마다 사용되기 때문에 시공에 따른 재료비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시공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드레인재 타설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드레인재를 간단히 결합하여 지중에 인입시킬 수 있도록 드레인 케이싱의 구조를 개량함으로서,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드레인재 타설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드레인 케이싱의 통공부를 통하여 하단부로 내려온 드레인재를 지지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를 상기 드레인 케이싱의 하단 개구부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일정 거리만큼 이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아암(arm)과, 상기 아암을 진퇴시키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 드레인재 임시고정장치를 상기 드레인 케이싱의 하단 몸체부에 결합하여 구성한다.
또, 상기 지지체를 상기 드레인 케이싱의 하단 개구부를 가로지르는 봉 구조로 형성하고, 그 봉 부분에 의하여 상기 드레인 케이싱의 하단 개구부가 차폐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 상기 아암을 진퇴시키는 구동수단을 스프링장치,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 장치, 스크류장치 등으로 구성한다.
본 발명의 앵커플레이트 없이 드레인재를 지중에 매설하는 드레인재 타설장치는 리더를 따라 승강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드레인 케이싱 고정홀더와, 상기 드레인 케이싱 고정홀더에 장착되고 내부에 통공부를 갖는 드레인 케이싱과, 상기 드레인 케이싱의 통공부를 통하여 드레인재를 공급하는 릴 장치와, 상기 드레인케이싱의 하부 몸체부에 구성되는 드레인재 임시고정장치를 구비하되,
상기 드레인재 임시고정장치는 그 드레인 케이싱의 통공부를 통하여 하단부로 내려온 드레인재를 지지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를 상기 드레인 케이싱의 하단 개구부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일정 거리만큼 이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아암(arm)과, 상기 아암을 진퇴시키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주된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4 내지 도 8을 주로 하여 본 발명의 앵커플레이트 없이 드레인재를 지중에 매설할 수 있는 드레인재 타설장치의 기술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드레인재 타설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드레인 케이싱에 설치되는 드레인재 임시고정장치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드레인 케이싱에 설치되는 드레인재 임시고정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드레인 케이싱에 설치되는 드레인재 임시고정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a ~ 도 8e는 본 발명 의 드레인 케이싱에 설치되는 드레인재 임시고정장치의 구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드레인재 타설장치(101)는 리더(102)와 드레인 케이싱 고정홀더(103), 단부에 드레인재 임시고정정치(46)가 설치된 드레인 케이싱(104), 릴 장치(106)로 구성된다.
상기 릴 장치(106)는 설정된 장력(한 예로 9~10kg) 이상의 힘으로 당길 경우 릴 장치의 릴이 역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리더(102)는 드레인재 타설장치의 본체에 각도 조정이 가능한 상대로 입설되고, 그 리더의 상하 방향을 따라 상기 드레인 케이싱 고정홀더(103)가 승강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드레인 케이싱 고정홀더는 와이어(133)가 권선된 활차(144)에 고정되어 유압실린더(145)로 간접 구동하거나, 와이어 없이 드레인 케이싱 고정홀더에 유압실린더를 직접 고정하여 구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상기 드레인 케이싱 고정홀더(103)에는 드레인 케이싱(104)이 착탈 가능한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드레인 케이싱은 내부에 통공부(108)가 형성되고, 하단부 몸체부에는 드레인재 임시고정장치(46)가 설치된다. 또, 상기 드레인 케이싱의 하단부에는 드레인재 임시고정장치의 지지체(47)의 보호를 위하여 홈(54)이 구성된다.
상기 드레인재 임시고정장치(46)는 드레인 케이싱의 통공부(108)를 통하여 하단부로 내려온 드레인재(105)를 지지하는 봉 형상의 지지체(47)와, 상기 지지체 를 상기 드레인 케이싱의 하단 개구부로부터 수직 하방을 향하여 일정 거리만큼(2m 이내: 바람직하게는 0.5m~1m) 이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아암(48:arm)과, 상기 아암을 진퇴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구동수단은 도 5와 같이 드레인 케인싱의 하단 양 측부에 스프링장치(50)를 설치하여 이용하거나, 도 6과 같이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장치(60)를 설치하여 이용하거나, 도 7과 같이 스크류장치(70)를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스프링장치의 탄성력은 릴 장치(106)의 장력보다 약간 작은 약 7-8kg을 갖도록 설정하여 릴 장치의 장력이 작용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스프링장치의 탄성력에 의하여 드레인재(105)가 지반 쪽으로 딸려 내려가지 않도록 구성한다.
상기 지지체(47)는 드레인 케이싱(104)의 하단 개구부를 가로지르는 봉 형상의 구조로 이루어지고, 그 지지체의 양쪽에 아암(48)의 일단부가 각각 연결 고정된다. 상기 아암은 드레인 케이싱의 중심축 방향과 평행하게 드레인 케이싱의 몸체에 밀착되는 형태로 설치되고, 아암의 타단부는 드레인 케이싱의 몸체부에 고정된 구동수단에 연결 고정된다.
상기 아암은 구동수단의 구동에 따라 드레인 케이싱의 중심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아암이 후퇴하여 지지체(47)가 드레인 케이싱의 하단부에 접촉되었을 때 그 지지체가 드레인 케이싱의 하단 개구부를 차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아암이 전진하여 드레인 케이싱의 하단 개구부로 부터 지지체(47)을 최대한 이격시킬 수 있는 거리는 구동수단과 연결된 아암의 길이에 의하여 결정된다. 상기 아암의 길이는 드레인 케이싱의 하단 개구부로 부터 지지체(47)을 약 2m정도까지 이격시킬 수 있도록 설정하여, 연약 지반의 상태에 따라 작업자가 임의로 이격 거리를 조정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아암의 구동수단의 한 예로 도 5의 스프링장치(50)를 이용하는 경우 스프링장치의 내부에 형성되는 아암의 이동로(52)의 내측에 스프링(51)을 끼우고, 그 스프링에 의하여 탄지될 수 있도록 아암(48)을 고정하고, 그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아암과 연결된 지지체(47)가 드레인 케이싱의 단부로 부터 이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아암의 구동수단은 외부로부터 동력 전달에 의하여 구동되지 않고, 항상 드레인 케이싱의 단부 쪽으로 탄발력이 작용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아암의 구동수단의 다른 예로 도 6의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장치(60)를 이용하는 경우 실린더장치의 내부에 형성되는 밀폐된 아암의 이동로(52)에 유압 또는 공압 호스(53)을 설치하여 아암의 이동 방향을 작업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장치(60)는 공지의 실린더장치에 아암을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 도 7과 같이 스크류장치(70)를 인용하는 경우 모터(미도시)에 의하여 스크류봉(71)를 정역회전 구동하고, 그 스크류봉 하단부에 연결되어 연동할 수 있도록 아암(48)을 설치하고, 아암의 이동 방향을 작업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구동수단을 구성하는 각각의 스프링장치(50),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장치(60), 스크류장치(70) 및 아암(48) 등을 보호하기 위하여 드레인 케이싱(104)의 양 측부에 별도의 보호케이스(미도시)를 추가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드레인재 타설장치를 이용하여 앵커플레이트 없이 드레인재를 지중에 매설하는 과정을 도 8a내지도 8e를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본 실시예는 아암(48) 및 지지체(47)의 구동수단이 스프링장치(50)로 이루어진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도 8a와 같이 드레인 케이싱(104)의 하단부에 고정된 드레인재 임시고정장치(46)의 아암(48) 및 지지체(47)를 드레인 케이싱의 하단 개부부 쪽으로 강제로 밀어붙인 후, 봉 형의 지지체(47)에 드레인 케이싱의 통공부(108)를 통하여 빠져나온 뻣뻣한 띠 상의 드레인재(105)를 U자형으로 강제 절곡하여 그 끝 단부를 약 3cm~5cm정도 겹쳐지는 상태로 드레인 케이싱의 하단 개부부에 끼우고 릴 장치(106)를 역 구동시켜 드레인재의 장력(10kg 이하)이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드레인재의 장력이 유지되는 상태에서는 스프링장치(50)의 탄성력이 드레인재의 장력보다 약간 작은 7-8kg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드레인 케이싱의 단부에 지지체(47)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드레인재의 단부를 약 3-5cm정도 겹쳐지는 상태로 U자형으로 지지체(47)를 감싸 드레인 케이싱의 하단 개구부(통공부)에 끼우는 경우, 드레인재의 릴 장치의 장력(9~10kg)을 충분히 극복하여 드레인재가 지지체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원활하게 풀려 내려가지만, 릴 장치의 장력이 해제되었을 때는 U자로 감긴 드레인재 부분이 스프링장치(50)의 탄성력에 의하여 드레인 케이싱의 하단 개구부(통공부)로부터 쉽게 빠져 지지체(47)에서 이탈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릴 장치(106)의 장력을 해제하지 않는 한 U자형으로 감겨 통공부에 끼워진 드레인재 부분이 지지체(47)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작용함과 동시에 드레이재에 의하여 감싸진 지지체(47)가 드레인 케이싱의 하단 개구부를 차폐하여 드레인 케이싱의 통공부 내로 토사가 유입되지 않도록 작용한다.
한편, 구동수단이 도 6 및 도 7과 같이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장치(60),(70)인 경우에는 도시되지 않은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장치를 구동함으로서 아암(48) 및 지지체(47)를 드레인 케이싱(104)의 하단 개부부 쪽으로 이동시키면 되고, 지지체(47)에 드레인재의 단부를 U자형으로 감아 드레인 케이싱의 통공부에 끼워 넣는 구조는 도 8a와 동일하다.
이어서, 도 8b와 같이 지중의 소정의 깊이까지 드레인 케이싱(104)을 삽입한다.
이어서, 릴 장치(106)의 장력을 해제하고, 도 8c와 같이 드레인 케이싱(104)을 인발하면 드레인재 임시고정장치(46)의 지지체(47)에 의하여 드레인재(105)가 지중의 바닥에 눌려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지지체(47)에 의하여 드레인재(105)가 지중의 바닥에 고정된 상태에서 드레인 케이싱(104)이 인발되는 높이는 아암(48)의 길이에 의하여 결정된다.
상기 아암의 길이는 연약지반의 조건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나 2m 이내로 설정하는 것이 좋고, 바람직하게는 0.5m~1m이다.
도 8c와 같이 지지체(47)가 드레인재(105)의 단부를 누르고 있는 동안에 드레인 케이싱(104)이 지중으로 부터 0.5m~1m 정도 인발되면 지중의 동공부는 압력에 의하여 토사가 순식간에 밀려 채워지고, 이 채워지는 토사에 의하여 지중의 드레인재 단부가 매립되어 고정되게 된다. 구동수단으로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장치(60),(70)가 이용되는 경우에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장치를 구동하여 드레인 케이싱이 소정의 높이 만큼 인발되는 동안에 지지체(47)에 의하여 드레인재(105)가 지중의 바닥에 눌려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면 된다.
도 8c의 상태에서 드레인 케이싱(104)을 더 인발하면 도 8d와 같이 드레인재(105)의 단부를 탄지하여 누르고 있던 지지체(47)가 드레인재의 단부로 부터 이탈되어 드레인 케이싱과 함께 인발되기 시작한다.
이어서, 8e와 같이 상기 드레인 케이싱(104) 및 드레인재 임시고정장치(46)가 지중으로부터 지상으로 인발된 후에는 드레인재(105)의 적당한 위치를 절단한 후 드레인 케이싱을 이동시키고, 도 8a~도 8e의 과정을 반복한다.
본 발명의 앵커플레이트 없이 드레인재를 매설할 수 있는 드레인재 타설장치는 상기 예시된 도면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청구범위 및 목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드레인 케이싱의 통공부를 통하여 하단부로 내려온 드레인재를 지지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를 상기 드레인 케이싱의 하단 개구부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일정 거리만큼 이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아암(arm)과, 상기 아암을 진퇴시키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 드레인재 임시고정장치를 상기 드레인 케이싱의 몸체부에 결합하여 구성함으로써, 앵커플레이트 없이 드레인재 만을 지중에 매설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드레인재를 매립할 때 앵커플레이트를 배제함으로써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시공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드레인재를 간단히 결합하여 지중에 인입함으로써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7)

  1. 리더를 따라 승강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드레인 케이싱 고정홀더와, 상기 드레인 케이싱 고정홀더에 장착되고 내부에 통공부를 갖는 드레인 케이싱과, 상기 드레인 케이싱의 통공부를 통하여 드레인재를 공급하는 릴 장치와, 상기 드레인 케이싱의 하부 몸체부에 구성되는 드레인재 임시고정장치를 구비하되,
    상기 드레인재 임시고정장치는 그 드레인 케이싱의 통공부를 통하여 하단부로 내려온 드레인재를 지지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를 상기 드레인 케이싱의 하단 개구부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일정 거리만큼 이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아암(arm)과, 상기 아암을 진퇴시키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플레이트 없이 드레인재를 지중에 매설하는 드레인재 타설장치 .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드레인 케이싱의 하단 개구부를 가로지르는 봉으로 형성되고 그 봉에 의하여 상기 드레인 케이싱의 하단 개구부가 차폐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플레이트 없이 드레인재를 지중에 매설하는 드레인재 타설장치 .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봉에 드레인재의 끝 단부를 U자형으로 감고 그 U자형으로 감긴 드레인 재 부분을 상기 드레인 케이싱의 하단 개구부에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플레이트 없이 드레인재를 지중에 매설하는 드레인재 타설장치 .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을 진퇴시키는 구동수단은 스프링장치,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장치, 스크류장치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플레이트 없이 드레인재를 지중에 매설하는 드레인재 타설장치 .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케이싱의 하단 개구부로 부터 지지체(47)을 이격시키는 아암의 길이는 0.5m~2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플레이트 없이 드레인재를 지중에 매설하는 드레인재 타설장치 .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장치의 탄성력은 상기 릴 장치의 장력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플레이트 없이 드레인재를 지중에 매설하는 드레인재 타설장치 .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릴 장치의 장력은 9~10kg이고, 상기 스프링장치의 탄성력은 7~8k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플레이트 없이 드레인재를 지중에 매설하는 드레인재 타설장치 .
KR1020060037290A 2006-04-25 2006-04-25 앵커플레이트 없이 드레인재를 지중에 매설하는 드레인재타설장치 KR100622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7290A KR100622233B1 (ko) 2006-04-25 2006-04-25 앵커플레이트 없이 드레인재를 지중에 매설하는 드레인재타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7290A KR100622233B1 (ko) 2006-04-25 2006-04-25 앵커플레이트 없이 드레인재를 지중에 매설하는 드레인재타설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2233B1 true KR100622233B1 (ko) 2006-09-11

Family

ID=37624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7290A KR100622233B1 (ko) 2006-04-25 2006-04-25 앵커플레이트 없이 드레인재를 지중에 매설하는 드레인재타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22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729B1 (ko) * 2007-01-22 2008-06-19 주식회사 준건설 앵커플레이트 없이 드레인재를 지중에 매설하는 드레인재타설장치
CN110172962A (zh) * 2019-06-24 2019-08-27 中交上海航道局有限公司 一种插板机的插管插头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729B1 (ko) * 2007-01-22 2008-06-19 주식회사 준건설 앵커플레이트 없이 드레인재를 지중에 매설하는 드레인재타설장치
CN110172962A (zh) * 2019-06-24 2019-08-27 中交上海航道局有限公司 一种插板机的插管插头装置
CN110172962B (zh) * 2019-06-24 2021-04-23 中交上海航道局有限公司 一种插板机的插管插头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4823B2 (en) Drain board installing device without anchor plate
EP0226251A1 (en) A device for inserting a drainage wick into the ground
KR100622233B1 (ko) 앵커플레이트 없이 드레인재를 지중에 매설하는 드레인재타설장치
JP2008125340A (ja) ケーブル撤去装置
BRPI0518729B1 (pt) Máquina para múltiplas lapidações por fio de materiais de pedra
CN112945640A (zh) 一种海洋水质监测取样装置及其取样方法
US5573347A (en) Drain prepar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0720079B1 (ko) 앵커플레이트 없이 드레인재를 지중에 매설하는 드레인재타설장치
KR101302203B1 (ko) 하천의 수위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가동식 수문장치
EP2066844B1 (en) Method and device for inserting a drainage wick
CN111424510A (zh) 一种雨中沥青路面施工装置及其施工方法
CN108657478B (zh) 一种木材加工用木屑装袋设备
CN209769193U (zh) 一种鞋子打孔生产用装置
CN104488668A (zh) 浮力开关及包括该浮力开关的水田自动灌溉机构
CN220831260U (zh) 一种便于定位的河道治理用植物浮台
CN208843495U (zh) 一种止水带收放装置
CN110329936B (zh) 张紧结构、静压插板机钢丝绳卷扬结构及静压插板机
CN212668874U (zh) 一种高压管道清洗车
CN219546353U (zh) 一种电缆卷盘驱动装置
EP1323868B1 (en) A method for inserting a drainage wick
KR100769345B1 (ko) 전도수문용 전도장치
JP2000356098A (ja) コンクリート締固め方法及び締固め用バイブレータ装置
RU2001103489A (ru) Способ и машина для монтажа контактной сети
CN111300661A (zh) 一种便于切割大型水泥管的金刚石绳锯
KR101773841B1 (ko) 앵커플레이트 없이 드레인재를 지중에 매설하는 드레인재 타설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