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1733B1 - 비동기식 전송모드 초고속 통신망에서 병렬처리 연결방법 - Google Patents

비동기식 전송모드 초고속 통신망에서 병렬처리 연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1733B1
KR100621733B1 KR1019990054905A KR19990054905A KR100621733B1 KR 100621733 B1 KR100621733 B1 KR 100621733B1 KR 1019990054905 A KR1019990054905 A KR 1019990054905A KR 19990054905 A KR19990054905 A KR 19990054905A KR 100621733 B1 KR100621733 B1 KR 100621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l
connection
path
subnetwork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4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4219A (ko
Inventor
윤성숙
황우선
윤동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19990054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1733B1/ko
Publication of KR20010054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4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1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1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19Network Node Interface, e.g. tandem connections, transit switching
    • H04L2012/562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19Network Node Interface, e.g. tandem connections, transit switching
    • H04L2012/5624Path aspects, e.g. path bundling

Abstract

본 발명은 비동기식 전송모드 초고속 통신망에서 병렬처리 연결방법에 관한것으로, 부분망 관리시스템이 관리하는 해당 트레일과 관련된 하위 부분망 연결동작을 호출하고 상기 연결관리 장치에서는 이러한 부분 망 연결 동작을 호출하기 전에 해당 트레일이 지나는 경로를 파악하여 호출할 부분 망 관리시스템들을 미리 결정하고, 다수의 부분망 관리시스템의 부분망 연결동작 함수를 호출하여 트레일을 생성, 삭제, 변경 및 경로 재 설정을 수행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트레일 연결 서비스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비동기식 전송모드 초고속 통신망에서 병렬처리 연결방법{Connection Method for parallel processing in a ATM network }
도 1은 일반적인 트레일과 부분망 연결간의 관계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병렬연결 관리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일 생성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일 삭제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일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일 경로 재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망연결 관리장치 201 : 트레일모듈
202 : 연결경로 모듈 203 : 부분망연결 병렬처리모듈
204 : 트레일수신 종단점모듈 210 : 망서비스시스템
220 : 부분망 관리시스템 230 : 이벤트처리장치
240 : 라우팅장치
본 발명은 대규모 통신망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계층적 구조로 구축된 비동기식 전송모드(ATM : Asynchronous Transfer Mode)초고속 통신망에서 계층망(layer)의 두지점간의 고정 접속회선(PVC : Permanent Virtual Circuit)연결의 설정, 삭제, 변경 및 경로 재설정을 수행함으로서 망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한 비동기식 전송모드 초고속 통신망에서 병렬처리 연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동기식 전송모드 초고속 통신망의 구성은 크게 가상경로(VP: Virtual Path)계층망과 가상경로 계층망의 클라이언트가 되는 가상채널(VC : Virtual Channel)계층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상경로 계층망과 가상채널 계층망은 클라이언트/서버관계를 가진다.
또한, 상기의 가상경로계층망과 가상채널계층망은 여러개의 부분망(subnetwork)으로 이루어져 있고, 각 부분망간은 링크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각 계층 망단위 하나의 단대단 연결은 부분망 단위의 여러개의 연결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계층망 단위의 연결을 트레일(trail)이라 하고, 부분망 단위의 연결을 부분망 연결(SNC : SubNetwork Connection)이라 한다.
상기 트레일은 계층망 별로는 가상경로 계층망에서 생성되는 가상경로 트레일(VP Trail)과 가상채널 계층망에서 생성되는 가상채널 트레일(VC trail)로 나눌 수 있다. 상기 가상경로 트레일은 다시 망의 단대단에서 종단되는 단대단 트래일(End-to-end Trail)과 망 내부에서 종단되어 가상채널 계층망의 링크로 사용되는 내부 트레일(Internal Trail)로 구분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초고속 통신망의 계층망에서 트레일을 생성, 삭제, 변경 및 경로 재설정등의 동작을 하는 경우, 연결관리 장치(미도시)에서는 해당 트레일의 정보를 변경할 뿐만 아니라 트레일과 관련된 하위 부분망 연결까지 변화를 줄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부분망 연결을 관리하는 부분망 관리시스템에게 부분 망 연결 동작에 관한 요청을 해야 하는데 이 경우 관계된 부분망 관리 시스템에게 순차적으로 요청을 내리면, 트레일에 관한 동작의 속도가 많이 느려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한 바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기 트레일에 관한 동작은 부분망 관리시스템이 관리하는 해당 트레일과 관련된 하위 부분망 연결동작을 호출하고, 상기 연결관리 장치에서는 이러한 부분 망 연결 동작을 호출하기 전에 해당 트레일이 지나는 경로를 파악하여 호출할 부분 망 관리시스템들을 미리 결정하고, 다수의 부분망 관리시스템의 부분망 연결동작 함수를 호출하여 트레일을 생성, 삭제, 변경 및 경로 재 설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비동기식 전송모드 초고속 통신망에서 병렬처리 연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라우팅 장치를 통하여 해당 트레일이 지나는 경로를 찾은 후 해당 트레일이 지날 부분망을 파악하여 해당 부분망 관리 시스템들에게 부분망 연결 설정을 동시에 요청하고 그 결과를 받아 트레일을 생성하거나, 해당 트레일의 경로정보와 관련된 부분망 연결을 찾은 후 해당 부분망 연결들에 대한 삭제 요청을 부분망 관리 시스템에게 동시에 보내고 그 결과를 받아 트레일을 삭제하거나, 해당 트레일의 경로정보와 관련된 부분망 연결을 찾은 후 해당 부분망 연결들에 대한 변경요청을 관련된 부분망 관리시스템에게 동시에 보내고 그 결과를 받아 트레일을 변경 및 라우팅 장치를 통하여 기 설정된 트레일 경로와 이를 대체할 새로운 경로 및 부분망 연결 재설정을 해당 부분망 관리 시스템에게 동시에 요청 후 그 결과를 받아 트레일을 새로운 경로로 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트레일의 생성은 a) 설정하고자는 두 지점을 받아 가상경로 계층망에서의 트레일이 종단 될 링크 종단점을 찾는 단계; b)상기 (a)단계에서 종단점을 찾은 후 트레일이 설정된 점의 관리상태를 파악하여 트레일이 설정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에서 트레일이 설정될 수 없는 상태로 판단될 경우 상위로 연결 설정불가를 통보하는 단계; d) 상기 (b)단계에서 트레일이 설정될 수 있는 상태로 판단될 경우 트레일 식별자를 생성하고 라우팅 장치를 통해 트레일 경로를 선정하는 단계; e) 상기 (d)단게에서 선정된 경로상에 있는 부분망 연결 및 내부 트레일을 위한 트레일 종단점을 생성하고 그 부분망 연결에 따른 정보를 부분망 관리시스템에 요청하는 단계; 및 f) 상기 부분망 경로 정보를 받은 후 부분망 연결이 지나는 링크와 링크 종단점의 대역폭을 할당하고 트레일 연결 설정을 통보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상경로 및 가상채널망에서 연결, 즉 트레일의 설정방법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망연결 관리장치(200)는 망서비스 시스템(210)으로부터 트레일이 설정된 두 지점을 받는다(S301). 이때 생성될 트레일이 가상경로 계층망에서의 내부 트레일 경우 연결이 설정되는 점을 링크 종단점(LTP : Link Termination Point)으로, 망의 종단점간의 연결인 경우 트레일이 설정되는 점을 서비스 사용자가 인식하는 주소로 받고, 이 주소로 트레일이 종단될 링크 종단점을 찾는다(S302,S303).
이때, 망연결관리장치(200)에서는 트레일이 설정될 점의 관리상태(administrayion state)를 파악하고 트레일이 설정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304,S305). 그러므로 상기 S305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트레일이 설정될 수 없는 상태이면 망서비스 시스템(210)으로 트레일 연결이 불가함을 통보한다(S313).
그리고 상기 S305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트레일이 설정될 수 있는 상태인 경우에는 망연결 관리장치(200)에서는 트레일모듈(201)을 생성하여 해당 트레일을 위한 식별자(Trail Id)를 생성하고(S306), 망서비스 시스템(210)에서 요구한 연결속성을 만족시키는 경로를 선정 및 해당경로가 지나가는 위상링크에 대하여 요구한 대역폭과 가상경로 계층망의 트레일 경우에는 가상경로식별자, 가상채널망의 트레일인 경우에는 가상채널식별자를 할당하는 연결수락제어(CAC : Connection Admintion Control)를 라우팅 장치(240)에 요청한다(S307). 그러면 상기 망연결 관리장치(200)에서는 선정된 경로, 즉 연결경로 모듈(202)상에 있는 부분망을 알아내어 부분망연결 병렬처리모듈(203)을 통하여 각각의 해당 부분망 관리시스템(220)에 게 부분망 연결 및 내부 트레일을 위한 트레일 종단점 생성을 요청한다(S308). 그리고 상기의 결과를 받은 후 트레일수신 종단점모듈(204)에서 트레일의 송/수신 종단점(Network Trail Termination Point)을 생성하고(S309), 부분망 연결의 경로정보를 부분망관리시스템(220)에 요청한다(S310). 그러면 상기 부분망관리스템(220)으로부터 부분망 경로정보를 받고 부분망 경로상에 있느 링크와 트레일의 종단점이 위치한 링크 종단점에 대한 대역폭과 가상경로 식별자 또는 가상채널 식별자를 할당하고(S311), 상위, 즉 망서비스 시스템(210)으로 트레일 생성 및 생성된 트레일 식별자를 통보함으로서 트레일 생성에 따른 루프는 종료한다(S312).
한편, 트레일 삭제시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망연결 관리장치(200)에서는 망서비스 시스템(210)으로부터 삭제요청을 받은 트레일의 삭제가 가능한 상태인지를 파악한다. 이때 내부 트레일인 경우에는 해당 트레일과 관련된 가상채널 계층망의 링크가 존재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S401,S402). 이때 상기 S402에서 판단한 결과 가상 채널망의 링크가 존재하면 망서비스 시스템(210)으로 해당 트레일 삭제 불가를 통보한다(S410).
그리고 트레일 종단점이 있는 링크와 트레일이 지나는 경로상에 있는 링크의 관리상태를 점검하고 그 트레일의 삭제 가능여부를 판단한다(S403,S404). 이때 상기 S404에서 판단한 결과 트레일의 삭제가 가능한 상태인 경우에는 해당 트레일의 하위부분망 연결 및 트레일 종단점 삭제 요청을 부분망연결 병렬처리모듈(203)을 통하여 부분망 관리시스템(220)에게 요청한다(S405). 그리고 상기 S405에서의 요청에 따른 결과를 받은 후 연결경로모듈(202)에서 해당 트레일의 경로를 삭제 및 연 결 설정시 링크에 대해서 라우팅장치에서 할당했던 해당 트레일에 대한 대역폭과 가상경로 식별자(VPI :VP Identifier)를 반환한다(S406).
그리고 트레일송신종단점 모듈(204)을 통해 해당하는 트레일의 트레일 종단점을 삭제하고(S407), 트레일 모듈(201)에서 트레일 객체 정보를 삭제한 후 최종적으로 망서비스 시스템(210)으로 트레일 삭제 통보를 하고 본 루프를 종료한다(S408,409).
한편, 상기 트레일 변경시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망연결광리장치(200)는 망서비스 시스템(210)으로부터 변경요청을 받은 트레일의 변경이 가능한 상태인지를 파악한다. 즉, 트레일의 종단점과 트레일이 지나는 경로상에 있는 링크 및 위상 링크의 관리상태를 확인하여 트레일의 변경이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S501,S502). 이때 상기 S502에서 판단한 결과 트레일의 변경이 가능한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망서비스 시스템(210)으로 트레일 변경불가를 통보한다(S507). 그리고 상기 S502에서 판단한 결과 트레일의 변경이 가능한 상태인 경우에는 연결경로모듈(202)상에 있는 위상 링크의 대역폭, 즉 해당 트레일이 지나는 부분망간 링크의 대역폭을 변경한다(S503). 그리고 하위 부분망 연결 및 트레일 종단 점 변경요청을 부분망 연결 병렬처리모듈(203)을 통하여 부분망 관리시스템에게 요청한다(S504). 따라서 상기 S504단계에서 요청 결과를 받은 후 부분망 연결이 있는 링크와 트레일 종단점이 있는 링크 종단점에 대한 대역폭을 변경한다(S505). 그리고 S505단계에서 대역폭이 변경되면 망서비스 시스템(210)으로 트레일 연결 변경을 통보한다(S506).
여기서 상기와 같은 트레일의 설정, 삭제 및 변경등은 링크와 같은 자원의 장애 발생시 해당링크를 지나는 트레일은 연결 서비스를 제대로 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경우를 위하여 트레일 경로를 제 설정을 수행해야 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은 트레일의 연결 재설정은 상기 이벤트처리장치(230)로부터 트레일경로 설정요청을 받으면, 망 연결관리장치(200)에서는 해당 트레일을 위한 새로운 경로를 라우팅장치(240)에 요청한다(S601). 그러면 이 라우팅 장치(240)에서는 새로운 경로가 선정되면 해당 경로상에 있는 부분망을 알아내어 부분망연결 설정 및 부분망 연결 재설정을 요청한다(S602).
이때 S602단계에서 요청한 모든 부분망 연결 설정 및 재설정이 성공하면 해당 트레일의 원래 경로상에 있는 부분망 연결을 삭제 요청을 부분망 관리시스템에게 보낸다(S603). 그리고 나서 새로운 설정 또는 재 설정된 부분망 연결의 경로 정보를 요청한다(S604). 이에 대한 결과를 받은 후 해당 트레일의 경로 정보(202)를 변경한다. 즉, 새로 변경된 트레일 경로상에 있는 링크에 대한 대역폭과 가상경로 식별자를 할당한 후(S605), 이전 트레일 경로에 있는 부분망 연결간의 링크 대역폭을 반환한다(S606).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식 전송모드 초고속 통신망에서의 병렬 처리연결 관리는 각각의 트레일에 관련된 부분망 연결동작을 동시에 해당 부분망 관리 시스템들로 동시에 보내어 부분망 연결 동작을 함으로서 전체적으로 트레일 연결 서비스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8)

  1. 라우팅 장치를 통하여 해당 트레일이 지나는 경로를 찾은 후 해당 트레일이 지날 부분망을 파악하여 해당 부분망 관리시스템들에게 부분망 연결 설정을 동시에 요청하고 그 결과를 받아 트레일을 생성하고;
    해당 트레일의 경로정보와 관련된 부분망 연결을 찾은 후, 해당 부분망 연결들에 대한 삭제 요청을 부분망 관리 시스템에게 동시에 보내고 그 결과를 받아 트레일을 삭제하며;
    해당 트레일의 경로정보와 관련된 부분망 연결을 찾은 후 해당 부분망 연결들에 대한 변경 요청을 관련된 부분망 관리시스템에게 동시에 보내고 그 결과를 받아 트레일의 변경 및
    라우팅 장치를 통하여 기 설정된 트레일 경로와 이를 대체할 새로운 경로 및 부분망 연결 재 설정을 해당 부분망 관리 시스템에게 동시에 요청 후 그 결과를 받아 트레일을 새로운 경로로 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전송모드 초고속 통신망에서 병렬처리 연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의 생성은
    a) 설정하고자는 두 지점을 받아 가상경로 계층망에서의 트레일이 종단 될 링크 종단점을 찾는 단계;
    b) 상기 단계에서 종단점을 찾은 후 트레일이 설정된 점의 광리상태를 파악하여 트레일이 설정될 수 있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트레일이 설정될 수 없는 상태인 경우 상위로 연결설정 불가를 통보하는 단계;
    d) 상기 (b)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트레일이 설정될 수 있는 상태인 경우 트레일 식별자를 생성하고 라우팅 장치를 통해 트레일 경로를 선정하는 단계;
    e) 상기 단계에서 선정된 트레일 경로상에 있는 부분망 연결 및 내부 트레일을 위한 트레일 종단점을 생성하고 그 부분망 연결에 따른 정보를 부분망 관리시스템에 요청하는 단계; 및
    f) 상기 부분망 경로 정보를 받은 후 부분망 연결이 지나는 링크와 링크 종단점의 대역폭을 할당하고 트레일 연결 설정을 통보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전송모드 초고속 통신망에서 병렬처리 연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종단점을 찾는 단계는 생성될 트레일이 가상 경로 계층망에서의 내부 트레일인 경우에 연결이 설정되는 점을 일크 종단점으로 하고, 망의 종단점간의 연결일 경우 트레일이 설정되는 점을 망 서비스 사용자가 인식하는 주소로 받고 이 주소로 트레일이 종단 될 링크 종단점을 찾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전송모드 초고속 통신망에서 병렬처리 연결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 경로를 선정하는 단계는 해당경로가 지나가는 위상링크에 대하여 요구한 대역폭과 가상경로 계층망의 트레일 경우에는 가상경로 식별자로 할당하여 연결수락 제어를 라우팅 장치에 요청하고, 가상채널 계층망의 트레일 경우에는 가상채널 식별자로 할당하여 연결수락 제어를 라우팅 장치에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전송모드 초고속 통신망에서 병렬처리 연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트레일의 삭제는
    a) 상위로부터 트레일 삭제요청를 받고 해당 트레일의 내부 트레일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내부 트레일로 판단될 경우 해당 트레일과 관련된 가상 채널 계층망의 링크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가상 채널 계층망의 링크가 존재할 경우 해당 트레일의 삭제불가를 통보하는 단계;
    d) 상기 (a)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내부 트레일이 아닐 경우 트레일의 종단점과 트레일이 지나는 경로상에 있는 링크의 관리상태를 확인하여 트레일 삭제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트레일 삭제가 가능할 경우 해당 트레일이 지나는 링크의 대역폭 및 트레일 종단점이 존재하는 링크 종단점의 대역폭을 반환 하는 단계;
    f) 상기 (e)단계 후 트레일 종단점 및 해당 트레일 정보를 각각 삭제하고, 상위로 트레일 삭제를 통보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전송모드 초고속 통신망에서 병렬처리 연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d)에서 판단한 결과 트레일 삭제가 가능하지 않을 경우에도 상위로 트레일 삭제 불가를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전송모드 초고속 통신망에서 병렬처리 연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의 변경은
    a) 트레일 종단점이 있는 링크와 트레일이 지나는 링크의 관리 상태를 점검하여 트레일 변경이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트레일 변경이 가능하지 않을 경우 상위로 트레일 변경불가를 통보하는 단계;
    c) 상기 (a)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트레일 변경이 가능할 경우 해당 트레일이 지나는 부분 망간 링크의 대역폭을 변경하고, 부분망 관리시스템에게 부분망 연결 변경을 요청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 후 부분망 연결이 지나는 링크와 트레일의 종단점이 있는 링크 종단점의 대역폭을 변경하고 상위로 트레일 연결 설정을 통보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전송모드 초고속 통신망에서 병렬처리 연결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의 경로 재 설정은
    a) 상기 트레일 경로 재 설정을 요구람에 따라 해당 트레일을 위한 새로운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 의한 새로운 경로가 재 설정되고, 그 재 설정된 경로에 따라 부분 망 연결 및 경로 재설정을 요청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에서 요청된 부분망 연결 및 재설정이 완료되면 이전 트레에 경로에 있는 부문망 연결을 삭제하는 단계;
    d) 재 설정된 부분망 연결의 경로 정보를 요청하고, 부분망 연결이 지나는 링크와 링크종단점의 대역폭을 할당하는 단계; 및
    e) 상기(d)단계에서 대역폭을 요청 후에 이전 트레일 경로에 있는 부분망 연결간의 링크 대역폭을 반환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전송모드 초고속 통신망에서 병렬처리 연결방법.
KR1019990054905A 1999-12-03 1999-12-03 비동기식 전송모드 초고속 통신망에서 병렬처리 연결방법 KR100621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4905A KR100621733B1 (ko) 1999-12-03 1999-12-03 비동기식 전송모드 초고속 통신망에서 병렬처리 연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4905A KR100621733B1 (ko) 1999-12-03 1999-12-03 비동기식 전송모드 초고속 통신망에서 병렬처리 연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4219A KR20010054219A (ko) 2001-07-02
KR100621733B1 true KR100621733B1 (ko) 2006-09-06

Family

ID=19623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4905A KR100621733B1 (ko) 1999-12-03 1999-12-03 비동기식 전송모드 초고속 통신망에서 병렬처리 연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17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6908B1 (ko) * 2000-08-23 2006-11-17 주식회사 인프라밸리 이동통신 지능망 시스템내 ip 시스템에서의 링크관리장치 및 그 방법
KR100968030B1 (ko) * 2003-06-23 2010-07-07 주식회사 케이티 통신 단절시간 최소화를 위한 광 사용자 네트워크인터페이스 연결 재설정 방법 및 재설정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7201A (ja) * 1996-03-06 1997-09-1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連携型ネットワーク管理方法
US5805072A (en) * 1994-12-12 1998-09-08 Ultra-High Speed Network VC connection method
US5854899A (en) * 1996-05-09 1998-12-29 Bay Network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virtual circuits and routing packets in a network/subnetwork environment
JPH11252109A (ja) * 1998-03-05 1999-09-1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網管理情報の交換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5072A (en) * 1994-12-12 1998-09-08 Ultra-High Speed Network VC connection method
JPH09247201A (ja) * 1996-03-06 1997-09-1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連携型ネットワーク管理方法
US5854899A (en) * 1996-05-09 1998-12-29 Bay Network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virtual circuits and routing packets in a network/subnetwork environment
JPH11252109A (ja) * 1998-03-05 1999-09-1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網管理情報の交換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4219A (ko) 2001-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87242C (en) A method of admission control and routing of virtual circuits
US7180866B1 (en) Rerouting in connection-oriented communication networks and communication systems
JPH07170271A (ja) 統合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マルチメディア・ストリームの柔軟な参入許可制御方法
US20010012271A1 (en) Improved acknowledgement of bandwidth requests for the block transfer of data
US6504821B2 (en) Flexible bandwidth negotiation for the block transfer of data
KR100621733B1 (ko) 비동기식 전송모드 초고속 통신망에서 병렬처리 연결방법
US5936951A (en) Dynamic infrastructure
US6067573A (en) Technique for reducing the flow of topology information in a computer network to only nodes that require the information
Gerstel et al. Dynamic maintenance of the virtual path layout
US7002906B1 (en) Method for extending the crankback procedure to any Asynchronous Transfer Mode system
CN1316852C (zh) 在交换机之间动态分配atm连接的装置和方法
KR100270664B1 (ko) 사설망 노드 인터페이스 라우팅 기능을 분산시키는 방버버
KR100281683B1 (ko) 비동기전송모드 교환시스템의 동적 라우팅 기반 호 경로 설정방법 및 재설정방법
KR100306777B1 (ko) 비동기식 전송 모드 초고속 통신망에서의 프레임 릴레이 연동 연결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0234131B1 (ko) 연결 경로에 대한 라우팅 패스 탐색 방법
US20020114271A1 (en) Restoring an interrupted switched connection
KR100275506B1 (ko) 비동기전달모드 교환시스템에서 레이블 스위칭경로 설정을 위한 제어 메시지 처리 방법
KR20030097255A (ko) 비동기식 전송 모드 통신망에서의 adsl 연동 연결제어 시스템 및 방법
Ramfelt Performance Analysis of Slot Management in DTM Networks
KR950001512B1 (ko) 통신처리 망관리장치 및 통신방식
EP1008274A1 (en) Method of management in a circuit-switched communication network and device which can be used as a node in a circuit-switched communication network
KR100521975B1 (ko) 비동기전송모드 초고속정보통신망에서 망 포트의이벤트발생 시 이벤트 처리방법
KR100311226B1 (ko) 광대역 종합정보통신망 교환노드에서 중계 신호 프로토콜결정 방법
KR100384840B1 (ko) 무선 억세스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비동기전달모드스위치의 동적 연결을 위한 연결 정보 관리 방법
KR100291594B1 (ko) 비동기전달모드 가상 채널 교환시스템에서 루트에 의한 점대다중점 호설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