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0901B1 - 무선망에서 vod 스트리밍 기능을 이용한 영상전화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망에서 vod 스트리밍 기능을 이용한 영상전화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0901B1
KR100620901B1 KR1020040091176A KR20040091176A KR100620901B1 KR 100620901 B1 KR100620901 B1 KR 100620901B1 KR 1020040091176 A KR1020040091176 A KR 1020040091176A KR 20040091176 A KR20040091176 A KR 20040091176A KR 100620901 B1 KR100620901 B1 KR 100620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server
streaming
servic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1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3882A (ko
Inventor
이원열
Original Assignee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40091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0901B1/ko
Publication of KR20060043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3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0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0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37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telephone network, e.g. PO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09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by transcoding between formats or standards, e.g. from MPEG-2 to MPEG-4 or from Quicktime to Real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8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 H04N21/8586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by using a UR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망에서 VOD 스트리밍 기능을 이용한 영상전화 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VOD 스트리밍 기능을 갖는 영상수신단말과 영상전송 클라이언트 단말간에 호 요청에 대응하여 영상전화 서버 및 영상서비스 서버에서 호설정 및 실시간 영상 데이터의 전달이 이루어지며, 호 요청에 대응한 영상수신단말의 접속 요청이 있을 경우에 발신자 정보 및 URL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를 통해 스트리밍 서버로의 접속이 이루어져 영상전송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달받는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을 구축함으로써, 추후 도입되는 영상전화 기능을 VOD 스트리밍 기능을 갖는 영상수신단말에서도 수행함과 동시에 PC와 웹캠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응용 서비스를 구현할 수도 있다.
VOD, 스트리밍, 영상전화

Description

무선망에서 VOD 스트리밍 기능을 이용한 영상전화 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Video phone service system using VOD streaming function at wireless network and method for employing as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선망에서 VOD 스트리밍 기능을 이용한 영상전화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선망에서 VOD 스트리밍 기능을 이용한 영상전화 서비스 시스템의 운용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무선망에서 VOD 스트리밍 기능을 이용한 영상전화 서비스 시스템의 운용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영상전송 클라이언트 11 : 영상전화단말
12 : PC 13 : 웹캠
2 : 영상전화 서비스서버 21 : 영상전화 서버
22 : 프리젠스 서버 23 : 영상서비스 서버
24 : 스트리밍 서버 3 : VOD 스트리밍 클라이언트
31 : 영상수신단말 4 : SMSC
본 발명은 무선망에서 VOD 스트리밍 기능을 이용한 영상전화 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VOD 기능이 탑재된 이동단말의 VOD 스트리밍 기능을 이용한 단방향 영상전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무선망에서 VOD 스트리밍 기능을 이용한 영상전화 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단말에 다양한 기능이 부가되거나 진보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것이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를 탑재시키거나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VOD(Vidoe On Demand) 기능이 부가된 것일 것이다.
카메라가 탑재된 이동단말을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하거나 동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제공 서비스 서버를 통해 상대방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VOD 기능이 부가된 이동단말의 경우에는 단말 사용자가 원하는 동영상을 포함한 멀티미디어 파일을 영상 제공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영상전화 기능이 탑재된 이동단말도 보급이 이루어지고는 있으나, 서비스망의 확충 및 서비스 가격과 기존 이동단말과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한 해결책이 선결과제로 남아 있어 아직은 그 보급이 미비한 상황이다. 이와 같이, 기존 방법으 로는 영상전화 기능을 갖는 이동단말과 기존 이동단말(VOD 기능 탑재)간에는 영상전화 서비스가 불가능하다.
물론, 단말 정보 조회 및 착신 통보의 기능들을 홈위치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SMS(Short Message Service) 등과 같은 기존 망 요소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는 있다. 이를 위해 서킷망의 No.7 신호망과 IP기반의 데이터망과의 연동이 가능하도록 구현하여야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서킷망과 데이터망과의 연동을 위해서는 이동통신사를 가입된 기존의 가입자 데이터들을 수정 보완해야 되는 등 망에 영향을 미치는 단점을 안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존 영상수신단말의 VOD 스트리밍 기능을 그대로 이용하여 단방향(One-Way) 영상전화를 구현하는 무선망에서 VOD 스트리밍 기능을 이용한 영상전화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 영상수신단말의 VOD 스트리밍 기능을 그대로 이용하여 단방향(One-Way) 영상전화를 구현하는 무선망에서 VOD 스트리밍 기능을 이용한 영상전화 서비스 시스템의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상은, 이동통신망과 인터넷망에서 수신되는 스트림을 수신하는 영상수신단말을 포함하는 VOD 스트리밍 클라이언트 단말과 영상전화단말, PC 및 웹캠을 포함하는 영상전송 클라이언트 단말간의 호설정과, 텍스트(TEXT) 메시지, 음성/영상 데이터를 포함하여 상기 VOD 스트리밍 클라이언트 단말과 영상전송 클라이언트 단말간 실시간 송수신을 수행하는 영상전화 서버;
호가 요구된 상기 VOD 스트리밍 클라이언트 단말의 프리젠스 정보를 상기 영상전송 클라이언트 단말로 제공하며, Buddy List 정보 관리를 수행하는 프리젠스 서버;
상기 호 요구에 대응하여 접속된 VOD 스트리밍 클라이언트 단말로 VOD 스트리밍 서비스를 수행하는 스트리밍 서버; 및
상기 영상전송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스트리밍 서버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변환하여 실시간으로 스트리밍 서버로 전달하는 영상 데이터 변환 모듈과, 상기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발신자별로 구분할 수 있도록 접속 URL을 생성하여 관리하는 스트리밍 고유 URL 관리 모듈과, 상기 호를 요청받은 상기 VOD 스트리밍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스트리밍 서버로 전달된 URL을 이용하여 상기 호를 요청받은 상기 VOD 스트리밍 클라이언트 단말로 영상 데이터를 전달하는 영상 데이터 전달 모듈과, 호 수신시 상기 VOD 스트리밍 클라이언트 단말로 SMS를 전송하여 영상 데이터 수신을 위한 스트리밍 접속 정보를 제공하는 영상 수신 정보 알림 모듈을 갖는 영상서비스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망에서 VOD 스트리밍 기능을 이용한 영상전화 서비스 시스템에 관계한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양상은, VOD 스트리밍 기능을 갖는 영상수신단말과의 영상전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무선망에서 VOD 스트리밍 기능을 이용한 영상전화 서비스 시스템의 운용 방법에 있어서, a. 프리젠스 서버로부터 제공된 Buddy List에 상기 영상수신단말이 있을 경우에, 영상전화단말, PC 및 웹캠을 포함하는 영상전송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영상전화 서버로 호출을 요청하는 단계; b. 상기 영상전화 서버에서 영상수신단말이 영상전화 기능과 인스턴트 메시징 기능 제공 여부를 인지하고, 호출 요청 정보를 영상서비스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c. 상기 영상서비스 서버에서 발신자 정보, 스트리밍 서버로 접속하기 위한 URL 정보가 포함된 단문메시지를 영상수신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영상수신단말에서 단문메시지를 확인하여 접속을 요청하면 스트리밍 서버로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단계; e. 상기 스트리밍 서버, 영상서비스 서버 및 영상전화 서버를 경유하여 영상수신단말의 접속 요청을 영상전송 클라이언트에게 알리는 단계; 및 f. 상기 영상전송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전송한 영상 데이터를 스트리밍 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영상수신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망에서 VOD 스트리밍 기능을 이용한 영상전화 서비스 시스템의 운용 방법에 관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무선망에서 VOD 스트리밍 기능을 이용한 영상전화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은, 영상 데이터의 송수신 및 처리 주체별로 구분하면, 영상전송 클라이언트(1), 영상전화 서비스서버(2) 및 VOD 스트리밍 클라이언트(3)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상기 영상전송 클라이언트(1)는 영상전화 수신 및 발신 기능과 인스턴트 메 시징 기능이 내장된 영상전화단말(11)과, 통상의 PC(Personal Computer)(12) 및 웹캠(Web-Cam)(13) 등을 포함한다.
상기 PC(12)는 유선상의 PC(12)에서 이에 카메라를 이용하여 VOD 스트리밍 클라이언트(3)로 영상 데이터를 전달하는 기능을 갖는 PC(12) 애플리케이션을 가지며, 상기 웹캠(13)은 인터넷에 연결되어 실시간 비디오 전송이 가능하고, 상기한 PC(12)에 접속된 카메라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영상전화 서비스서버(2)는 영상전화 서버(21), 프리젠스(Presence) 서버(22), 영상서비스 서버(23), 스트리밍 서버(2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영상전화 서버(21)는 유무선 상의 클라이언트간에 호설정, 실시간 텍스트 전송을 위한 인스턴트 메시지 기능이나 음성/영상 데이터 등의 실시간 송수신 같은 영상 전화 기능을 제공하며, SIP나 H.323 등의 IP Telephony 기술을 지원하는 서버를 의미한다.
상기 프리젠스 서버(22)는 단말의 프리젠스 정보를 제공하며, Buddy List 정보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영상수신단말(31)의 영상전화 기능과 인스턴트 메시징 기능 제공 여부에 관한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스트리밍 서버(24)는 VOD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무선 스트리밍 서버(24)를 이용한다.
상기 영상서비스 서버(23)는 기본적으로, 영상 데이터 변환 기능, 스트리밍 고유 URL 관리 기능, 영상 데이터 전달 기능, 및 영상 수신 정보 알림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영상 데이터 변환 기능은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스트리밍 서버(24)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변환하여 실시간으로 스트리밍 서버(24)로 전달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스트리밍 고유 URL 관리 기능은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발신자별로 구분할 수 있도록 접속 URL을 생성하여 관리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이 때, 상기 스트리밍 서버(24)는 해당 URL로 단말이 접속 신청을 하면 영성 서비스 서버/영상전화 서버(21)를 통해 발신자로부터 동영상 데이터를 요청하게 된다. 해당 영상전송 클라이언트(1) 및 VOD 스트리밍 클라이언트(3)에 관한 정보는 프리젠스 서버(22)에서 관리될 수도 있으며, 영상서비스 서버(23)에서 관리되면서 필요시 프리젠스 서버(22)나 영상전화 서버(21)로 전달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영상 데이터 전달 기능은 스트리밍 서버(24)가 URL을 VOD 스트리밍 클라이언트(3)로부터 수신하여 영상서비스 서버(23)로 전달하면 이를 인식하고 해당 발신자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VOD 스트리밍 클라이언트(3)로 전달하는 기능을 의미하며, 영상 수신 정보 알림 기능은 호 수신시 VOD 스트리밍 클라이언트(3)로 SMS를 전송하여 영상 데이터 수신을 위한 스트리밍 접속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각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은 모듈화되어 있으며, 이들은 상호 연결되어 있다.
상기 VOD 스트리밍 클라이언트는 VOD 스트리밍 기능은 지원하지만 영상전화 기능이 미지원되는 영상수신단말(31)을 의미한다.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애플리케이션 단말)(이하,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이라 함)은 영상수신단말(31)에서 Buddy List 관리, 텍스트 메시지 송수신 기능 및 패킷 호 연결 기능을 제공한다. 해당 기능이 제공되는 경우 UI(User Interface)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해당 기능을 VOD 스트리밍 클라이언트(3)와 통합 UI로 한 화면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 영상전송 클라이언트(1)와 영상수신단말(31)간의 단문메시지 서비스를 지원하며, 영상 서비스중임을 구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문메시지서비스 센터(Short Message Service Center)(4)를 더 마련하고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기지국(BTS), 기지국제어기(BSC), 교환기(MSC), 홈위치등록기(HLR), 방문자위치등록기(VLR)를 포함한 이동통신망 및 인터넷망은 이미 그 구성이 잘 알려져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무선망에서 VOD 스트리밍 기능을 이용한 영상전화 서비스 시스템의 운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무선망에서 VOD 스트리밍 기능을 이용한 영상전화 서비스 시스템의 운용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구체적으로, 영상수신단말(31)에 영상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이 별도로 구현되지 않은 경우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전화단말(11), PC(12), 웹캠(13)을 포함하는 영상전송 클라이언트(1)에서 프리젠스 서버(22)를 통해 Buddy List에 등록된 정보를 확인하고(S1∼S2), 이에 영상전송 클라이언트(1)는 영상전화 서버(21)로 영상수신단말(31)의 호출을 요청한다(S3). 웹캠(13)인 경우 특정 이벤트 발생시 지정된 영상수신단말(31)을 호출한다.
호출 요청을 수신한 영상전화 서버(21)는 영상수신단말(31)이 영상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이 없는 단말임을 인지하고 호출 요청 정보를 영상서비스 서버(23)로 전달한다(S4). 이 때, 본 도면에는 미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영상수신단말(31)이 영상전화 기능과 인스턴트 메시징 기능 제공 여부를 인지하는 것은, 통상 영상전송 클라이언트(1)에서 이루어지는 호접속 요청에 대응하여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즉, 영상을 전송하기 위한 IP 접속 및 홈위치등록기와의 접속을 위한 No.7 신호망과 접속 상태에서, 교환기에서 홈위치등록기로 영상수신단말(31)의 조회를 통해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영상수신단말(31)의 위치 및 영상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이 없는 단말임을 인지하게 되는 것이다.
영상서비스 서버(23)는 단문메시지를 통해 수신 요청이 왔음을 수신 대상인 영상수신단말(31)로 전송한다. 이 때, 전송된 단문메시지에는 발신자 정보, 스트리밍 서버(24)로 접속하기 위한 URL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S5).
영상수신단말(31)은 단문메시지를 수신하여 확인하고(S6), 이에 접속 요청을 수행하면 스트리밍 서버(24)로의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S7). 이어서 스트리밍 서버(24)는 영상서비스 서버(23)에게 사용자가 접속했음을 알리게 된다(S8). 이에 영상서비스 서버(23)는 영상전화 서버(21)를 통해 영상전송 클라이언트(1)로 영상수신단말(31)로부터 접속 요청이 있음을 알리게 된다(S9∼S10).
상기 영상수신단말(31)의 접속 요청에 대응하여 영상전송 클라이언트(1)는 전송하고자 하는 해당 영상을 영상전화 서버(21)로 전송한다(S11). 영상전화 서버 (21)는 전달된 영상을 영상서비스 서버(23)로 전송한다(S12). 이에 영상서비스 서버(23)는 스트리밍 서버(24)에 맞는 영상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한 후 스트리밍 서버(24)로 전달한다(S13∼S14).
이에 따라, 영상수신단말(31)은 영상전송 클라이언트(1)로부터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스트리밍 서버(24)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받게 된다(S15).
한편, 영상전송 클라이언트(1)와 영상수신단말(31)간에 메시지를 주고 받을 경우는, 상기한 영상전화 서버(21)와 SMSC(4)를 이용한다.
즉, 영상전송 클라이언트(1)에서 영상전화 서버(21)로 메시지를 전송하면(S16), 영상전화 서버(21)에서는 프리젠스 서버(22)를 통해 영상수신단말(31)이 영상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이 없는 단말임을 인지하게 된다. 물론, 상기한 바와 같이 교환기에서 홈위치등록기로 영상수신단말(31)의 조회를 통해 영상수신단말(31)이 영상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이 없는 단말임을 인지하게 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전화 서버(21)에서 메시지 수신시, 해당 영상수신단말(31)의 정보를 프리젠스 서버(22)에 요청하고(S17), 이에 프리젠스 서버(22)로부터 영상수신단말(31) 정보를 전달받아(S18) 상기 영상수신단말(31)이 영상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이 없는 단말임을 인지할 수도 있다.
이후, 영상전화 서버(21)는 메시지를 영상서비스 서버(23)로 전송하게 된다(S19). 이에 영상서비스 서버(23)에서는 수신된 메시지를 SMS로 변환하여 영상수신단말(31)로 보낸다. 이 때, 발신자 번호는 발신자 정보를 알릴 수 있음과 동시에 SMSC(4)가 영상 서비스중임을 구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S20).
영상수신단말(31)은 이를 수신하면 답장 기능을 이용하여 통화 메시지를 상대방에게 전송할 경우에(S21), SMSC(4)는 영상수신단말(31)의 번호를 통해 영상 서비스임을 판단하고(S23) 해당 답장 메시지를 영상서비스 서버(23)로 전달한다(S24). 이에 영상서비스 서버(23)는 영상전송 클라이언트(1)가 지원하는 프로토콜 규약에 맞게 답장 메시지를 변환하여(S25) 영상전화 서버(21)를 통해 영상전송 클라이언트(1)로 전달한다(S26∼S27).
상기 영상수신단말(31)이나 영상전송 클라이언트(1)간 단방향 영상전화 서비스중 어느 하나가 호 종료를 선택하면, 이를 스트리밍 서버(24)는 영상 데이터 전송을 종료하게 된다.
한편, 영상수신단말에 VOD 스트리밍 클라이언트와 함께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이 구현된 경우의 운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 때, 영상전송 클라이언트(1)(영상전화단말(11), PC(12), 웹캠(13))와 영상수신단말(31)간의 호 접속을 시도가 이루어지는데 있어, 접속 시도 주체에 따라 아래와 같이 2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먼저, 영상전송 클라이언트(1)에서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 영상전송 클라이언트(1)에서 Buddy List에 등록된 정보를 확인하고, 영상수신단말(31)을 호출한다. 웹캠(13)인 경우 특정 이벤트 발생시 지정된 영상수신단말(31)을 호출한다.
호출 요청을 수신한 영상전화 서버(21)는 프리젠스 서버(22)를 통해 해당 단말이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이 있는 단말임을 인지하고 인스턴트 메시징에 서 사용되는 방법으로 영상수신단말(31)로 접속을 요청한다.
여기서,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스트리밍 서버(24)로 접속할 수 있는 URL 정보는 세가지 경로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a. 영상수신단말(31) 호출시 해당 정보를 포함시켜 영상수신단말(31)로 전송하는 방법.
b. 접속완료 후 단말간 특정메시지에 접속정보를 별도로 포함하여 전송하는 방법.
c. 프리젠스 정보에 해당 정보가 포함되어 영상수신단말(31)이 이미 이를 인지하고 있는 방법.
이후, 영상수신단말(31)은 접속정보를 수신하면 영상 데이터 수신 여부를 결정한다. 영상수신단말(31)이 접속을 선택하면 스트리밍 서버(24)로 연결된다. 스트리밍 서버(24)는 영상서비스 서버(23)에게 사용자가 접속했음을 알린다. 영상서비스 서버(23)는 영상전송 클라이언트(1)로 수신자가 접속했음을 알린다. 영상전송 클라이언트(1)는 영상 데이터를 영상전화 서버(21)로 전송하고, 이에 영상전화 서버(21)는 영상 데이터를 영상서비스 서버(23)로 전달한다.
영상서비스 서버(23)는 스트리밍 서버(24)에 맞는 영상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한 후, 스트리밍 서버(24)로 전달한다. 영상수신단말(31)은 스트리밍 서버(24)로부터 영상전송 클라이언트(1)의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받는다.
영상 통화중 메시지를 주고 받을 경우,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에서 규정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영상수신단말(31)이나 영상전송 클라이언트(1) 중 하나가 호 종료를 선택하면, 이에 스트리밍 서버(24)는 영상 데이터 전송을 종료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은 도 2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에서 영상수신단말(31)에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이 구현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 거의 유사함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3은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이 구현된 영상수신단말에서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 시스템의 운용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수신단말(31)에서 프리젠스 서버(22)를 통해 Buddy List에 등록된 정보를 확인하고(S51∼S52), 이에 영상전송 클라이언트(1)는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에서 규정된 방법으로 영상전화 서버(21)로 영상전송 클라이언트(1)의 호출을 요청한다(S53).
(수정)호출 요청을 수신한 영상전화 서버(21)는 호출 단말이 영상전송 클라이언트(1)임을 인지하고 호출 요청 정보를 영상서비스 서버(23)로 전달한다(S54).
이 때, 웹캠(13)은 자동으로 접속요청을 수락해야 한다.
여기서,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스트리밍 서버(24)로 접속할 수 있는 URL 정보는 세가지 경로를 통해 영상수신단말(31)로 전달될 수 있다.
a. 접속요청 수락 메시지에 해당 정보를 포함시켜 영상수신단말(31)로 전송하는 방법.
b. 접속완료 후 단말간 특정메시지에 접속정보를 별도로 포함하여 전송하는 방법.
c. 프리젠스 정보에 해당 정보가 포함되어 영상수신단말(31)이 이미 이를 인지하고 있는 방법.
이후, 영상수신단말(31)은 접속정보를 수신하면 영상 데이터 수신 여부를 결정한다(S55∼S56). 영상수신단말(31)이 접속을 선택하면 스트리밍 서버(24)로 연결된다(S57). 스트리밍 서버(24)는 영상서비스 서버(23)에게 사용자가 접속했음을 알린다.
이어서 스트리밍 서버(24)는 영상서비스 서버(23)에게 사용자가 접속했음을 알리게 된다(S58). 이에 영상서비스 서버(23)는 영상전화 서버(21)를 통해 영상수신단말(31)로부터 영상전송 클라이언트(1)로 접속 요청이 있음을 알리게 된다(S59∼S60).
상기 영상전송 클라이언트(1)의 접속 요청에 대응하여 영상수신단말(31)은 전송하고자 하는 해당 영상을 영상전화 서버(21)로 전송한다(S61). 영상전화 서버(21)는 전달된 영상을 영상서비스 서버(23)로 전송한다(S62). 이에 영상서비스 서버(23)는 스트리밍 서버(24)에 맞는 영상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한 후 스트리밍 서버(24)로 전달한다(S63∼S64).
이에 따라, 영상전송 클라이언트(1)는 영상수신단말(31)로부터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스트리밍 서버(24)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받게 된다(S65).
한편, 영상수신단말(31)과 영상전송 클라이언트(1)간에 메시지를 주고 받을 경우는, 상기한 영상전화 서버(21)와 SMSC(4)를 이용한다.
즉, 영상수신단말(31)에서 영상전화 서버(21)로 메시지를 전송하면(S66), 영상전화 서버(21)에서는 프리젠스 서버(22)를 통해 영상전송 클라이언트(1)가 영상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이 있는 단말임을 인지하게 된다. 이후, 영상전화 서버(21)는 메시지를 영상서비스 서버(23)로 전송하게 된다(S67). 이에 영상서비스 서버(23)에서는 수신된 메시지를 SMS로 변환하여 영상전송 클라이언트(1)로 보낸다. 이 때, 발신자 번호는 발신자 정보를 알릴 수 있음과 동시에 SMSC(4)가 영상 서비스중임을 구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S69).
영상전송 클라이언트(1)가 이를 수신하면 답장 기능을 이용하여 통화 메시지를 상대방에게 전송할 경우에(S70), SMSC(4)는 영상전송 클라이언트(1)의 번호를 통해 영상 서비스임을 판단하고(S71) 해당 답장 메시지를 영상서비스 서버(23)로 전달한다(S72). 이에 영상서비스 서버(23)는 영상수신단말(31)이 지원하는 프로토콜 규약에 맞게 답장 메시지를 변환하여(S73) 영상전화 서버(21)를 통해 영상수신단말(31)로 전달한다(S74∼S75).
한편, 영상 통화중 메시지를 주고 받을 경우, 상기 단계 S66 내지 단계 S75의 과정은,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에서 규정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영상전송 클라이언트(1)와 영상수신단말(31)간 단방향 영상전화 서비스중 어느 하나가 호 종료를 선택하면, 이를 스트리밍 서버(24)는 영상 데이터 전송을 종료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망에서 VOD 스트리밍 기능을 이용한 영상전화 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은, 추후 도입되는 영상전화 기능을 VOD 스트리밍 기능을 갖는 영상수신단말에서도 수행함과 동시에 PC와 웹캠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응용 서비스를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응용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다.
1. 영상전화 지원 단말과 VOD 가용 단말간의 단방향(One-Way) 영상전화/영상 메신저 서비스.
2. 영상 전송이 가능한 PC 애플리케이션과 VOD 가능 단말간의 영상전화/영상 메신저 서비스.
3. 웹캠과 VOD 가능 단말간의 영상 서비스(감시/보안 시스템, 도어폰 등).

Claims (9)

  1. 이동통신망과 인터넷망에서 수신되는 스트림을 수신하는 영상수신단말을 포함하는 VOD 스트리밍 클라이언트 단말과 영상전화단말, PC 및 웹캠을 포함하는 영상전송 클라이언트 단말간의 호설정과, 텍스트(TEXT) 메시지, 음성/영상 데이터를 포함하여 상기 VOD 스트리밍 클라이언트 단말과 영상전송 클라이언트 단말간 실시간 송수신을 수행하는 영상전화 서버;
    호가 요구된 상기 VOD 스트리밍 클라이언트 단말의 프리젠스 정보를 상기 영상전송 클라이언트 단말로 제공하며, Buddy List 정보 관리를 수행하는 프리젠스 서버;
    상기 호 요구에 대응하여 접속된 VOD 스트리밍 클라이언트 단말로 VOD 스트리밍 서비스를 수행하는 스트리밍 서버; 및
    상기 영상전송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스트리밍 서버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변환하여 실시간으로 스트리밍 서버로 전달하는 영상 데이터 변환 모듈과, 상기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발신자별로 구분할 수 있도록 접속 URL을 생성하여 관리하는 스트리밍 고유 URL 관리 모듈과, 상기 호를 요청받은 상기 VOD 스트리밍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스트리밍 서버로 전달된 URL을 이용하여 상기 호를 요청받은 상기 VOD 스트리밍 클라이언트 단말로 영상 데이터를 전달하는 영상 데이터 전달 모듈과, 호 수신시 상기 VOD 스트리밍 클라이언트 단말로 SMS를 전송하여 영상 데이터 수신을 위한 스트리밍 접속 정보를 제공하는 영상 수신 정보 알림 모듈을 갖는 영상서비스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망에서 VOD 스트리밍 기능을 이용한 영상전화 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VOD 스트리밍 클라이언트 단말 및 영상전송 클라이언트 단말에 단문메시지 서비스를 지원하며, 상기 VOD 스트리밍 클라이언트 단말 및 영상전송 클라이언트 단말에 영상 서비스중임을 구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문메시지서비스 센터를 더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망에서 VOD 스트리밍 기능을 이용한 영상전화 서비스 시스템.
  3. VOD 스트리밍 기능을 갖는 영상수신단말과의 영상전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무선망에서 VOD 스트리밍 기능을 이용한 영상전화 서비스 시스템의 운용 방법에 있어서,
    a. 프리젠스 서버로부터 제공된 Buddy List에 상기 영상수신단말이 있을 경우에, 영상전화단말, PC 및 웹캠을 포함하는 영상전송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영상전화 서버로 호출을 요청하는 단계;
    b. 상기 영상전화 서버에서 영상수신단말이 영상전화 기능과 인스턴트 메시징 기능 제공 여부를 인지하고, 호출 요청 정보를 영상서비스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c. 상기 영상서비스 서버에서 발신자 정보, 스트리밍 서버로 접속하기 위한 URL 정보가 포함된 단문메시지를 영상수신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영상수신단말에서 단문메시지를 확인하여 접속을 요청하면 스트리밍 서버로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단계;
    e. 상기 스트리밍 서버, 영상서비스 서버 및 영상전화 서버를 경유하여 영상 수신단말의 접속 요청을 영상전송 클라이언트에게 알리는 단계; 및
    f. 상기 영상전송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전송한 영상 데이터를 스트리밍 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영상수신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망에서 VOD 스트리밍 기능을 이용한 영상전화 서비스 시스템의 운용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영상전송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영상수신단말로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하는 경우에,
    g. 상기 영상전송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전달된 메시지를 영상전화 서버를 경유하여 영상서비스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h. 상기 영상서비스 서버에서 수신된 메시지를 단문메시지로 변환하고, 단문메시지서비스 센터를 경유하여 영상수신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i. 상기 단문메시지에 대응하여 응답메시지를 단문메시지서비스 센터, 영상서비스 서버, 영상전화 서버를 경유하여 영상전송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망에서 VOD 스트리밍 기능을 이용한 영상전화 서비스 시스템의 운용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i. 단계에서 단문메시지서비스 센터에 의해 영상전 송 클라이언트와 영상수신단말간에 영상 서비스 중임을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망에서 VOD 스트리밍 기능을 이용한 영상전화 서비스 시스템의 운용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i. 단계에서 영상서비스 서버는 전송된 응답메시지를 영상전송 클라이언트가 지원하는 프로토콜 규약에 맞게 변환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망에서 VOD 스트리밍 기능을 이용한 영상전화 서비스 시스템의 운용 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호출 요청시, 영상전송 클라이언트가 웹캠인 경우 특정 이벤트 발생시 지정된 영상수신단말을 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망에서 VOD 스트리밍 기능을 이용한 영상전화 서비스 시스템의 운용 방법.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트리밍 서버로의 접속은,
    영상수신단말 호출시 해당 정보를 포함시켜 영상수신단말로 전송하거나, 접속 후 단말간 특정메시지에 접속정보를 별도로 포함하여 전송하거나, 또는 프리젠스 서버로 제공되는 정보에 포함되어 영상수신단말이 미리 인지하고 것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망에서 VOD 스트리밍 기능을 이용한 영상전화 서비스 시스템의 운용 방법.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상기 영상전송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영상 데이터를 영상전화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영상전화 서버에서 영상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영상서비스 서버에서 스트리밍 서버에 맞는 영상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영상 데이터를 스트리밍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영상수신단말로 실시간으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망에서 VOD 스트리밍 기능을 이용한 영상전화 서비스 시스템의 운용 방법.
KR1020040091176A 2004-11-10 2004-11-10 무선망에서 vod 스트리밍 기능을 이용한 영상전화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KR100620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1176A KR100620901B1 (ko) 2004-11-10 2004-11-10 무선망에서 vod 스트리밍 기능을 이용한 영상전화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1176A KR100620901B1 (ko) 2004-11-10 2004-11-10 무선망에서 vod 스트리밍 기능을 이용한 영상전화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3882A KR20060043882A (ko) 2006-05-16
KR100620901B1 true KR100620901B1 (ko) 2006-09-13

Family

ID=37148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1176A KR100620901B1 (ko) 2004-11-10 2004-11-10 무선망에서 vod 스트리밍 기능을 이용한 영상전화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09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376B1 (ko) * 2007-06-29 2015-05-2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실시간 ucc 동영상 방송 정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N104836980B (zh) * 2015-05-08 2018-02-16 烽火通信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智能终端和ip摄像头实现视频通话的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3882A (ko) 2006-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43442B2 (en) Enabling combinational services in a communications network
EP1958467B1 (en) Method of enabling a combinational service and communication network implementing the service
US8676189B2 (en) Converged mobile-web communications solution
CN101346964B (zh) 用于与通信网络的远程用户建立多媒体会话的方法
US6735288B1 (en) Voice over IP voice mail system configured for placing an outgoing call and returning subscriber to mailbox after call completion
EP2047652B1 (en) Communications method between a combinational terminal and a multimedia terminal
KR101089046B1 (ko) 멀티미디어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620901B1 (ko) 무선망에서 vod 스트리밍 기능을 이용한 영상전화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KR20010106742A (ko) 이기종 통신망에서의 음성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62064B1 (ko)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이미지 처리방법 및 그시스템
KR20070087168A (ko) 통신 시스템 내의 이동 정보 서버로의 액세스 모니터링
KR100367484B1 (ko) 이동통신망과 패킷 데이터망간의 호 설정 방법
KR100865003B1 (ko) Volp 가입자를 위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687438B1 (ko)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538552B1 (ko) 착신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착신 컨텐츠 정보 표시방법
KR100498342B1 (ko) 3세대 통신망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KR100867168B1 (ko) 통신망에서 실시간 메시지 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35994B1 (ko) 차세대 지능망에서 유선 전화를 이용하여 개인용 컴퓨터를호출하는 폰투피시 지능망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213457B1 (ko) 올-아이피 망에서의 호 형성 방법
TW582179B (en) Implementation of basic call setup transporting layer address and logical point in backward direction in cellular networks with separation of call control and bearer control
JP2000183950A (ja) ダイヤルアップ環境でのip網経由の接続方法および網アクセス機器
CN104202830A (zh) 在通信网络中实现组合服务
CN104469983A (zh) 在通信网络中实现组合服务
KR20090021893A (ko) 영상 호 제한 장치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