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0682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 재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 재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0682B1
KR100620682B1 KR1020040085786A KR20040085786A KR100620682B1 KR 100620682 B1 KR100620682 B1 KR 100620682B1 KR 1020040085786 A KR1020040085786 A KR 1020040085786A KR 20040085786 A KR20040085786 A KR 20040085786A KR 100620682 B1 KR100620682 B1 KR 100620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sound data
unit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5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6711A (ko
Inventor
이선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40085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0682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US11/236,522 priority patent/US7894854B2/en
Publication of KR20060036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6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0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0682B1/ko
Priority to US12/186,782 priority patent/US8260349B2/en
Priority to US13/015,922 priority patent/US8090405B2/en
Priority to US13/328,977 priority patent/US8271035B2/en
Priority to US13/617,803 priority patent/US8750927B2/en
Priority to US14/294,097 priority patent/US9237278B2/en
Priority to US14/993,007 priority patent/US9836267B2/en
Priority to US15/799,109 priority patent/US2018005265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 재생 기술과 관련된 것으로, 특히 하나의 음향을 구성하는 스테레오 좌측 음향 데이터와 우측 음향 데이터 중에서, 두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서 각 이동통신 단말기가 해당되는 음향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과 관련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 재생 장치에 있어서, 타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응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대적 위치를 인식하며, 위치에 해당하는 좌측 위치 정보 또는 우측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와, 음향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디코딩된 좌측 음향 데이터과 우측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는 코덱부와, 제어부로부터의 위치 정보에 따라서, 디코딩되어 출력되는 두 음향 데이터 중 어느 한 음향 데이터를 음향 출력부로 전달하며, 나머지 음향 데이터를 통신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는 경로 스위치부와, 분할된 어느 한 음향 데이터를 처리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와, 분할된 나머지 음향 데이터를 타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대응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로 송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음향 분할 재생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 재생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SOUN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 재생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의 일 예.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 재생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의 일 예.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 재생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의 다른 예.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 재생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의 다른 예.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컨넥터를 도시한 일 예.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두 이동통신 단말기의 결합 구성을 도시한 일 예.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 재생 기술과 관련된 것으로, 특히 하나의 음향을 구성하는 스테레오 좌측 음향 데이터와 우측 음향 데이터 중에서, 두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서 각 이동통신 단말기가 해당되는 음향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과 관련된 것이다.
유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 사용자들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를 재생하여 즐기고 있다. 컨텐츠의 종류로는 이동통신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컨텐츠(사진, 멀티미디어 동영상, 그림, 애니메이션, 게임, 벨소리, 음원 데이터등)가 있고, PC와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케이블 연결에 의해 제공되는 컨텐츠가 있다. 또한, 카메라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에는,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작성한 사진이나 동영상등의 컨텐츠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시켜 감상할 수가 있다.
또한, 최근의 방송 수신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다. 방송 채널의 종류로는 일반 공중파(TV, 라디오) 방송이 있고, 유료로 운영되는 디지털 방송 채널이 있다.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이러한 방송 컨텐츠들을 즐길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컨텐츠가 다양해져 가고 있으며,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한 통신(전화, 데이터) 기능으로부터 나아가 컨텐츠 재생 기능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요한 기능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다른 한편, 예컨대, 가능한 한 큰 액정표시장치(LCD)를 사용함으로써 영상 컨텐츠를 더욱 실감나게 즐길 수가 있으나,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본적으로 휴대용 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그 크기를 크게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써,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04-75433호가 공지되어 있다. 이 공보는, 두 대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두 개로 분리된 영상 파일을 각각 전달받아 각각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되어 전체로서 하나의 화면을 구성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공보의 구체적 기술을 보게 되면, 공보에 따른 두 대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두 개로 분리된 영상 파일을 각각 전달받아 이들이 각각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되어 전체로서 하나의 화면을 구성하게 하는 방법에 있어서, (a)각각이 실행된 두 개의 화면이 대응되었을 때 전체 화면이 구성되는 것으로서 각각은 공유키값을 가지는 두 개의 영상파일을 가지는 서버로부터, 두 대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영상파일 각각을 전송받는 단계와, (b)상기 영상 파일을 전송받은 이동통신 단말기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서버로 상기 공유키값을 요청하여 상기 공유키값을 전송받는 단계와, (c)상기 전송받은 공유키값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중 어느 하나에 입력되면 이를 근접한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달하는 단계와, (d)상기 공유키값을 전달받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로 동시실행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 각각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동시 실행되는 영상화면을 대응하면 전체로서 하나의 화면이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근접한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통신은 적외선 통신을 이용하고 있다. 특별히, 상기 단계 (c)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공유키값이 입력되면 그 입력된 값을 전송받 은 영상파일의 공유키값과 비교하여 이들이 일치할 경우 이를 근접한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달한다.
공보의 기술을 최상위 개념적으로 보게되면, 본 발명과 같이, 하나의 화면에서 좌우측으로 분할된 두 개의 화면에 대하여 두 개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각각 해당되는 화면를 재생하여 화면표시하도록 하는 것이다.
분할 재생 기능을 구현하는 방식, 사용가능한 컨텐츠의 범위, 편의성등을 고려하여, 이러한 공보의 기술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알아보기로 한다.
공보의 방식은, 통신 사업자 또는 컨텐츠 사업자가 하나의 영상 파일을 미리 좌화면용, 우화면용으로 나누어서 다시 인코딩을 해 놓는다. 그러면, 두 개가 된 영상 파일을 두 대의 단말기가 각각 다운 받은 후 각각의 단말기에서 동영상을 재생시키는 것이다. 즉, 두 대의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것은 단지, 해당 좌,우 컨텐츠가 동시에 진행되도록 하기 위하여 서로 동영상 파일의 재생 시작시간을 맞추는 것에 불과하다. 다시 말해, 실제 영상 데이터는 단말기 각자가 가지고 있고 각자의 영상 데이터의 재생 시작시간을 맞추기 위해 적외선 통신을 통하여 시작신호를 주고 받아 플레이를 한다는 것이다.
만약 좌, 우측으로 미리 재작업된 영상 데이터가 아니라 일반의 영상 파일에 대하여, 공보의 방식을 적용한다고 생각해 보자. 이는 똑같은 영상이 두 대의 단말기에서 각각 동시에 재생되고 있는, 즉, 마치 멀티비젼과 같은 상황이 될 뿐이다. 결과적으로, 공보에 기재된 기술은 이동통신 단말기 자체에 구현되는 기술이 라기 보다는, 이동통신 서비스 중 영상 서비스 기술에 해당된다.
또한, 공보에 따르면, 이동통신 사업자나 서비스 사업자가 별도로 좌측 영상 파일과 우측 영상 파일을 제작하여야 한다. 즉, 하나의 영상 파일에서 재생되는 영역을 미리 반으로 나누어 즉, 좌화면 재생용 영상 데이터와 우화면 재생용 영상 데이터를 나누고 각각 따로 인코딩을 해서 각 영상 데이터를 두 대의 단말기가 따로 따로 무선 수신해야 된다. 따라서, 공보의 서비스를 원하는 소수의 사용자들을 위해, 사업자는 일반 단말기 사용자들이 사용하고 있는 모든 영상 파일에 대하여 다시 재작업 해야 하고, 좌우로 분할된 영상 파일을 보유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보의 기술 방식에 따르면, 하나의 영상 파일을 나누어 재생하는데 있어서 실시간 재생이 지원되지 않는다. 즉, 두 대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각각 좌화면 파일과 우화면 파일을 따로 수신해서 두 대가 모두 다운로딩이 끝나면, 둘 중 어느 한 대가 또 다시 공유키값을 다운 받아 이 값을 이용해 서로 타이밍을 맞춰 동시에 재생한다. 따라서, 공보의 기술 방식은, 영상 파일과 공유키값의 수신이 완료된 후에야 재생이 가능하게 되므로, 예컨대 실시간 스트리밍을 지원할 수가 없다. 또한 하나의 단말기만으로는 분할 재생을 위해 수신해 둔 반쪽자리 영상을 독자적으로 재생하는 것은 의미가 없으며, 단말기 내에서 메모리만 차지하는 무용지물이 된다.
한편, 공보의 기술에 따르면,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는 하나의 화면에서 좌우측으로 분할된 두 개의 화면에 대하여 두 대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각각 해당되는 화면를 재생하여 화면표시 하도록 하도록 고려하고 있다.
그러나, 공보에서는 두 대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재생하는 데 있어서 음향 데이터에 대한 처리 방안에 대해서는 고려를 하고 있지 않다. 음향 데이터의 경우에 있어서는, MP3 파일등과 같이 음향 데이터가 단일로 존재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고, 동영상(예:MPEG4) 파일등과 같이 영상 데이터와 음향 데이터가 함께 존재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최근에 제작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스테레오 외부 출력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어잭을 통해 스테레오(STEREO)로 음향을 즐길 수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에 마련되는 스테레오 스피커를 통해서도 음향을 스테레오로 즐길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상황에서 안출된 것으로, 하나의 음향을 구성하는 스테레오 좌측 음향 데이터와 우측 음향 데이터 중에서, 두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서 각 이동통신 단말기가 해당되는 음향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 재생 장치에 있어서, 타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응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대적 위치를 인식하며, 위치에 해당하는 좌측 위치 정보 또는 우측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와, 음향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디코딩된 좌측 음향 데이터과 우측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는 코덱부와, 제어부로부터의 위치 정보에 따라서, 디코딩되어 출력되는 두 음향 데이터 중 어느 한 음향 데이터를 음향 출력부로 전달하며, 나머지 음향 데이 터를 통신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는 경로 스위치부와, 분할된 어느 한 음향 데이터를 처리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와, 분할된 나머지 음향 데이터를 타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대응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로 송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그리고 다른 본 발명의 양상들은 후술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 재생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의 일 예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 재생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의 일 예이다. 이한 전술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 재생 방법에 있어서, 타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응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대적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201)와, 음향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디코딩된 좌측 음향 데이터와 우측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207)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에 따라서, 디코딩되어 출력되는 두 음향 데이터 중 어느 한 음향 데이터를 음향 출력부(115)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고, 나머지 음향 데이터를 통신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타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대응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도 3의 313 참조)로 송신하는 단계(209, 21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통신부(103)의 기저대역 회로와, 제어부(117)의 대부분의 회로는 단일의 집적회로로 상용화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 집적회로는 내부에 통신을 처리하는 전용의 하드웨어와, 디지털 신호처리기 및 범용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논리적으로 이 집적회로는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이동통신부(103)와, 조작부(119)로부터 입력된 조작신호나 동작 상태에 따라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117)를 포함한다. 이 집적회로는 MSM칩이 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10) 또한, 전술한 집적회로에 포함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집적회로의 처리 용량을 고려하여 별도의 음향 처리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음향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하나의 음향을 구성하는 좌측 음향 데이터와 우측 음향 데이터 중에서, 어느 하나를 자신(예:주 단말기)이 음향 재생하고 나머지 하나를 타 이동통신 단말기(예:부 단말기)로 송신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징적 양상에 따르면, 제어부(117)는 타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응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대적 위치를 인식하고 인식된 위치에 해당하는 좌측 위치 정보 또는 우측 위치 정보를 경로 스위치부(111)로 제공한다.
제어부(117)가 타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응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대적 위치를 인식하는 방안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조작부(119)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를 좌측으로 설정한다면, 제어부(117)는 이를 인식한다. 그리고, 제어부(117)의 스위치 제어에 따라서, 경로 스위치부(111)는 코덱부(109)에서 출력되는 좌/우측 음향 데이터 중에서 좌측 음향 데이터를 음향 출력부(115)를 통해 외부 로 출력시키고, 우측 음향 데이터를 통신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타 이동통신 단말기(도시하지 않음)측으로 송신한다. 상대적 위치를 인식하는 다른 예는 후술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신호 처리부(110)는 코덱부(109)와 경로 스위치부(111)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코덱부(109)는 음향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것으로(207), 예컨대 통상적인 MP3 코덱이나 MPEG4 코덱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코덱부(109)에 의해 디코딩 가능한 일반적인 음향 데이터에 동작 가능하므로, 음향 데이터는 외부 서버(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다운로드 되거나 다운 스트리밍되어 이동통신부(103)로부터 전달되는 것이 될 수 있다. 음향 데이터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것은 물론이고, MPEG4 데이터등과 같이 영상과 음향이 함께 존재하는 것 또한 될 수 있다. 또한,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와 함께 녹음되는 음향 데이터로써 녹음부(105)로부터 전달될 수 있으며, 방송 수신된 영상 데이터와 함께 방송 수신되는 것으로써, 방송 수신부(101)로부터 전달되는 것이 될 수 있다. 또한, 음향 데이터는 저장부(107)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덱부(109)는 이러한 음향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디코딩된 좌측 음향 데이터와 우측 음향 데이터를 출력한다(109). 코덱부(109)는 예컨대 MPEG4 코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경로 스위치부(111)는 제어부(117)로부터 제공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에 따라서, 디코딩되어 출력되는 두 음향 데이터 중 어느 한 음향 데이터를 음향 출력부(115)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고, 나머지 음향 데이터를 통신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타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대응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도시하지 않음)로 송신한다(209, 213).
경로 스위치부(111)는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신호 처리부(110)에 구비되어 소프트웨어적으로 디지털 데이터에 대한 경로를 처리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현되어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대적인 위치가 좌측에 해당되는 경우, 좌측에 해당되는 음향 데이터가 음향 출력부(115)를 통해 외부로 출력되고 우측에 해당되는 음향 데이터가 타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대적인 위치가 우측에 해당되는 경우, 우측에 해당되는 음향 데이터가 음향 출력부(115)를 통해 외부로 출력되고 좌측에 해당되는 음향 데이터가 타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송신된 음향 데이터는 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외부 출력되게 된다.
전술한 음향 출력부(115) 그 자체는 통상적인 것으로, 예컨대 디지털 음향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해 주는 변환부와 증폭부로 이루어질 수가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음향 출력부(115)는 스테레오 출력기능을 가진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음향 출력부(115)는 좌측 출력 경로와 우측 출력 경로로 이루어질 수가 있다. 이때, 각각의 출력 경로는 전술한 변환부와 증폭부로 이루어질 수가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제조 분야에서 스테레오 사운드를 구현하는 기술 그 자체는 공지되어 있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스테레오 기능을 가지는 음향 출력부를 구현하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본 발명의 보조적인 양상에 따르면, 제어부(117)의 스위치 제어 신호에 따라서, 음향 출력부(115)는 전달되는 음향 데이터가 좌측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음향 데이터를 스테레오 출력 경로 중 좌측 출력 경로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고, 전달되는 음향 데이터가 우측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음향 데이터를 우측 스테레오 출력 경로를 통해 외부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서, 타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응하여 상대적으로 좌측에 위치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좌측 스피커를 통해 좌측 음향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할 수가 있고, 상대적으로 우측에 위치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우측 스피커를 통해 우측 음향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21)와 타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대응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도 3의 313 참조)와 통신을 수행한다. 동일한 종류의 두 이동통신 단말기 간(PHONE-TO-PHONE)에 기 약속된 유/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설정하여 사용자 데이터(영상 데이터를 포함)와 각종 제어신호를 통신하는 기술 그 자체는, 본 발명이 출원되기 이전에 당업계에서는 공지되어 있는 기술이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21)의 통신 방식으로는 예컨대, 적외선 통신이나 RS-232C등과 같은 케이블 통신이 있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생성되는 하나의 음향을 구성하는 좌측 음향 데이터와 우측 음향 데이터 중에서, 어느 하나를 자신(예:주 단말기)이 음향 재생하고 나머지 하나를 타 이동통신 단말기(예:부 단말기)로 송신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징적 양상에 따르면, 타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응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대적 위치를 인식하고 인식된 위치에 따라서 경로를 스위칭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코덱부(109)에 의해 디코딩 가능한 일반적인 음향 데이터를 대상으로 동작 가능하다. 따라서, 음향 데이터는 이동통신 처리를 통해 외부 서버(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다운로드 되거나 다운 스트리밍되는 데이터가 될 수 있다. 또한, 음향 데이터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것은 물론이고, MPEG4 데이터등과 같이 영상과 음향이 함께 존재하는 것 또한 될 수 있다. 또한,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와 함께 녹음되는 음향 데이터나, 영상 데이터와 함께 방송 수신되는 음향 데이터나, 이동통신 단말기에 기저장되어 있던 음향 데이터등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음향 데이터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대적인 위치가 좌측에 해당되는 경우, 좌측에 해당되는 음향 데이터가 음향 출력부를 통해 외부로 출력되고 우측에 해당되는 음향 데이터가 타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된다. 그러면, 우측에 위치하는 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우측에 해당되는 음향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게 된다.
반대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대적인 위치가 우측에 해당되는 경우, 우측에 해당되는 음향 데이터가 음향 출력부(115)를 통해 외부로 출력되고 좌측에 해당되는 음향 데이터가 타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된다. 그러면, 좌측에 위치하는 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좌측에 해당되는 음향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게 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특징적 양상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전달되는 음향 데이터가 좌측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음향 데이터를 스테레오 출력 경로 중 좌측 출력 경로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고, 전달되는 음향 데이터가 우측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음향 데이터를 우측 스테레오 출력 경로를 통해 외부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서, 타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응하여 상대적으로 좌측에 위치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좌측 스피커를 통해 좌측 음향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할 수가 있고, 상대적으로 우측에 위치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우측 스피커를 통해 우측 음향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그 하우징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각각, 타 이동통신 단말기에 마련되는 해당 커넥터부와 결합되는 좌측 커넥터부 및 우측 커넥터부를 가진다.
첨부되는 도 5를 보게 되면, 이동통신 단말기 하우징의 좌측면에서는 좌측 커넥터부(501)를 가진다. 예를 들어, 이 좌측 커넥터부(501)는 통상적으로 USB 단말기에 마련되어 USB 플러그가 꽂힐 수 있도록 하는 리셉터블등과 같은 해당 플러그가 꽂힐 수 있도록 하는 리셉터블로 구현될 수가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 하우징의 우측면에는 우측 커넥터부(503)를 가진다. 예를 들어, 이 우측 커넥터부(503)는 통상적으로 USB 플러그등과 같이 휴대용 단말기에서 마련되며, 리셉터블에 꽂힐 수 있는 플러그가 될 수 있다.
첨부되는 도 6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타 이동통신 단말기가 커넥터부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보여준다. 타 이동통신 단말기에도 하우징의 좌측면에서는 좌측 커 넥터부(601)를 가지며, 우측면에는 우측 커넥터부(603)를 가진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우측 커넥터부(503)와 타 이동통신 단말기의 좌측 커넥터부(601)가 결합된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좌측면과 타 이동통신 단말기의 우측면의 커넥터부(503, 601)의 직접적인 결합에 의해 두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신 연결되는 경우에는, 마치 단일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좌측 음향 데이터와 우측 음향 데이터가 분리되어 외부로 출력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통신 인터페이스부(121)는 타 이동통신 단말기의 좌측 커넥터부(예:601)와 결합되는 우측 커넥터부(503)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거나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21)는 타 이동통신 단말기의 우측 커넥터부(예:603)와 결합되는 좌측 커넥터부(501)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제어부(117)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타 이동통신 단말기와 결합된 것을 인식하면, 타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되는 커넥터부가 좌측 커넥터부인지 또는 우측 커넥터부인지에 따라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인식한다(201).
예컨대, 제어부(117)는 타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되는 커넥터부가 우측 커넥터부인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대적인 위치를 좌측으로 인식하고, 타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되는 커넥터부가 좌측 커넥터부인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대적인 위치를 우측으로 인식한다.
본 발명의 보조적인 양상에 따르면, 좌측 커넥터부가 리셉터블부이고, 우측 커넥터부가 플러그부일 수 있다. 또는 우측 커넥터부가 플러그부이고, 좌측 커넥 터부가 리셉터블부일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예컨대 USB 케이블을 이용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흔히 구현되는 리셉터블부와, USB 케이블을 이용하지 않고 호스트와 직접 연결되도록 휴대용 단말기에 흔히 구현되는 플러그부등으로, 본 발명의 컨넥터부를 구현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버퍼부(113)가 전달되는 음향 데이터를 버퍼링하며, 버퍼링되는 음향 데이터를 음향 출력부(115)로 전달하는 단계(211)와, 버퍼링 상태에 따라서, 통신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하여 동기 제어신호를 타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추가적인 양상은 두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음향의 동기를 맞추기 위한 구체적 구현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버퍼부를 두고 버퍼부의 버퍼링 상태에 따라서 상대측 단말기로 동기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양 단말기가 시간 동기를 맞춘다는 개념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므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참고적으로 도 1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에는 음향 출력부(115)를 통해 바로 출력되는 것에 비하여, 도 3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에는 두 개의 통신 인터페이스부(121,313)와, 두 개의 결합부(503, 601)를 거쳐야 하므로 그 만큼의 시간 지연이 일어날 수가 있다. 이 시간 지연이 허용될 수 있을 정도로 미세하다면, 추가적인 시간 동기 확립 방안이 필요로 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 시간 적인 지연을 극복하기 위해, 일 실시예로써 버퍼링의 수단을 사용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 재생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의 다른 예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 재생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의 다른 예이다. 이하, 전술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 있어서, 불필요하게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 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 재생 방법에 있어서, 타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응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대적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401)와, 타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음향 데이터가 디코딩되어 좌측 음향 데이터와 우측 음향 데이터로 분할되며, 통신 인터페이스부(313)를 통하여 타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대응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도 1의 121 참조)로부터 좌측 음향 데이터 및 우측 음향 데이터 중에서 어느 한 음향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405)와, 수신되는 음향 데이터를 음향 출력부(301)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는 단계(409)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통신부(309)의 기저대역 회로와, 제어부(315)의 대부분의 회로는 단일의 집적회로로 상용화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 집적회로는 내부에 통신을 처리하는 전용의 하드웨어와, 디지털 신호처리기 및 범용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논리적으로 이 집적회로는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이동통신부(309)와, 조작부(317)로부터 입력된 조작신호나 동작 상태에 따라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215)를 포함한다. 이 집적회로 는 MSM칩이 될 수 있다. 신호 처리부(310) 또한, 전술한 집적회로에 포함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집적회로의 처리 용량을 고려하여 별도의 음향 처리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생성되는 하나의 음향을 구성하는 좌측 음향 데이터와 우측 음향 데이터 중에서, 어느 하나를 타 이동통신 단말기(예:주 단말기)에서 음향 재생하고 나머지 하나를 이동통신 단말기(예:부 단말기)에서 재생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해당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라면 어떤 것이든지 주 단말기가 될 수도 있고 또한 부 단말기가 될 수도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술한 401단계는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적 양상을 나타낸다. 아직 주 단말기와 부 단말기가 결정되지 않은 상태에서라면, 두 이동통신 단말기는 동일한 환경에서 음향 분할 재생 동작을 대비해야 한다. 따라서, 도 4의 동작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우선 위치 인식 단계를 필요로 한다. 경우에 따라서, 제어부(315)는 신호 처리부(310)로 인식된 위치 정보를 미리 알려 줄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주 단말기와 부 단말기의 여부는 사용자의 재생 플레이명령 신호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도 2에서 조작부(119)를 통해 사용자의 음향 재생 명령이 입력되면(203), 제어부(117)는 자신이 주 단말기인 것으로 인식하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21, 313)를 통해 이를 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315)로 알린다(205). 그러면, 제어부(315)는 자신이 부 단말기임을 인식할 수가 있게 되며(403), 이후에 예컨대 음향 데이터의 수신을 기다린다. 이어서, 통신 인터페이스부(313)를 통해 분할된 음향 데이터가 수신되면, 이 음향 데이터는 음향 출력부(301)를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409).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처리되는 음향 데이터를 버퍼링하며, 상기 버퍼링되는 음향 데이터를 음향 출력부로 전달하는 단계(407)와, 통신 인터페이스부(313)를 통하여 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동기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전달 타이밍을 제어하는 단계(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추가적인 양상은, 두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음향의 동기를 맞추기 위한 구체적 구현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버퍼부를 두고 버퍼부의 버퍼링 상태에 따라서 상대측 단말기로 동기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양 단말기가 시간 동기를 맞춘다는 개념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므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생성되는 하나의 음향을 구성하는 좌측 음향 데이터와 우측 음향 데이터 중에서, 어느 하나를 자신(예:주 단말기)이 음향 재생하고 나머지 하나를 타 이동통신 단말기(예:부 단말기)로 송신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징적 양상에 따르면, 타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응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대적 위치를 인식하고 인식된 위치에 따라서 경로를 스위칭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코덱부(109)에 의해 디코딩 가능한 일반적인 음향 데이터를 대상으로 동작 가능하다. 따라서, 음향 데이터는 이동통신 처리를 통해 외부 서버(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다운로드 되거나 다운 스트리밍되는 데이터가 될 수 있다. 또한, 음향 데이터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것은 물론이고, MPEG4 데이터등과 같이 영상과 음향이 함께 존재하는 것 또한 될 수 있다. 또한,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와 함께 녹음되는 음향 데이터나, 영상 데이터와 함께 방송 수신되는 음향 데이터나, 이동통신 단말기에 기저장되어 있던 음향 데이터등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음향 데이터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대적인 위치가 좌측에 해당되는 경우, 좌측에 해당되는 음향 데이터가 음향 출력부를 통해 외부로 출력되고 우측에 해당되는 음향 데이터가 타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된다. 그러면, 우측에 위치하는 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우측에 해당되는 음향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게 된다.
반대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대적인 위치가 우측에 해당되는 경우, 우측에 해당되는 음향 데이터가 음향 출력부(115)를 통해 외부로 출력되고 좌측에 해당되는 음향 데이터가 타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된다. 그러면, 좌측에 위치하는 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좌측에 해당되는 음향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게 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특징적 양상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전달되는 음향 데이터가 좌측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음향 데이터를 스테레오 출력 경로 중 좌측 출력 경로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고, 전달되는 음향 데이터가 우측에 해당 하는 경우에는 음향 데이터를 우측 스테레오 출력 경로를 통해 외부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서, 타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응하여 상대적으로 좌측에 위치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좌측 스피커를 통해 좌측 음향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할 수가 있고, 상대적으로 우측에 위치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우측 스피커를 통해 우측 음향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할 수가 있게 된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우측 커넥터부(503)와 타 이동통신 단말기의 좌측 커넥터부(601)가 결합된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좌측면과 타 이동통신 단말기의 우측면의 커넥터부(503, 601)의 직접적인 결합에 의해 두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신 연결되는 경우에는, 마치 단일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좌측 음향 데이터와 우측 음향 데이터가 분리되어 외부로 출력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해당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라면 어떤 것이든지 주 단말기가 될 수도 있고 또한 부 단말기가 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아직 주 단말기와 부 단말기가 결정되지 않은 상태에서라면, 두 이동통신 단말기는 동일한 환경에서 음향 분할 재생 동작을 대비해야 한다. 따라서, 주 단말기가 되던 부 단말기가 되던지 간에, 이동통신 단말기는 우선 위치 인식 단계를 필요로 한다. 경우에 따라서, 제어부는 신호 처리부로 인식된 위치 정보를 미리 알려 줄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주 단말기와 부 단말기의 여부는 사용자의 재생 플레이명령 신호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도 2에서 조작부(119)를 통해 사용자의 음향 재생 명령이 입력되면(203), 제어부(117)는 자신이 주 단말기인 것으로 인식하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21, 313)를 통해 이를 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315)로 알리게 된다. 그러면, 제어부(315)는 자신이 부 단말기임을 인식할 수가 있게 되며(403), 이후에 예컨대 음향 데이터의 수신을 기다린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는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하여 해석되지 않으며, 이로부터 자명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괄하도록 해석되어져야 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경로 스위치부가 신호 처리부에 마련되어 소프트웨어적으로 동작되도록 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전용 하드웨어로 구현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신호 처리부로 한정하여 음향 데이터 처리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신호 처리부는 영상 데이터를 처리할 수도 있다.

Claims (28)

  1.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 재생 장치에 있어서,
    타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대적 위치를 인식하며, 상기 위치에 해당하는 좌측 위치 정보 또는 우측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
    음향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디코딩된 좌측 음향 데이터과 우측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는 코덱부;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위치 정보에 따라서, 상기 디코딩되어 출력되는 두 음향 데이터 중 어느 한 음향 데이터를 음향 출력부로 전달하며, 나머지 음향 데이터를 통신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는 경로 스위치부;
    상기 분할된 어느 한 음향 데이터를 처리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상기 음향 출력부; 및
    상기 분할된 나머지 음향 데이터를 상기 타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대응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로 송신하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 재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덱부에 의해 디코딩되는 음향 데이터는,
    이동통신부로부터 전달되거나 또는 카메라부로부터 전달되거나 또는 방송수신부로부터 전달되거나 또는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 재생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우징의 좌측면과 우측면은 각각, 타 이동통신 단말기에 마련되는 대응되는 커넥터부와 결합되는 좌측 커넥터부 및 우측 커넥터부를 가지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상기 좌측 커넥터부 또는 우측 커넥터부를 통하여, 상기 타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대응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타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되는 커넥터부가 좌측 커넥터부인지 또는 우측 커넥터부인지에 따라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대적 위치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 재생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커넥터부가 리셉터블부이고, 상기 우측 커넥터부가 플러그부이거나; 또는
    상기 우측 커넥터부가 플러그부이고, 상기 좌측 커넥터부가 리셉터블부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 재생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스위치부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데이터를 버퍼링하며, 상기 버퍼링되는 음향 데이터를 상기 음향 출력부로 전달하는 버퍼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버퍼부의 버퍼링 상태에 따라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동기 제어신호를 상기 타 이동통신 단말기로 더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 재생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출력부가,
    스테레오 출력기능을 가지고, 전달되는 음향 데이터가 좌측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기 음향 데이터를 스테레오 출력 경로 중 좌측 출력 경로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고, 전달되는 음향 데이터가 우측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기 음향 데이터를 우측 스테레오출력 경로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 재생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조작부로부터 입력되는 조작신호가, 상기 음향 데이터에 대한 분할 재생명령 에 해당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타 이동통신 단말기로 자신이 주 단말기임을 알려주는 동작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 재생 장치.
  8.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 재생 장치에 있어서,
    타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대적 위치를 인식하는 제어부;
    상기 타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음향 데이터가 디코딩되어 좌측 음향 데이터와 우측 음향 데이터로 분할되며, 상기 타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대응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상기 좌측 음향 데이터 및 우측 음향 데이터 중에서 어느 한 음향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수신되는 음향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 재생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타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디코딩되는 음향 데이터는,
    상기 타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통신부에 의해 무선으로 수신되었거나 또는 상기 타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되었거나 또는 상기 타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송수신부에 의해 무선으로 수신되었거나 또는 상기 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 재생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우징의 좌측면과 우측면은 각각, 타 이동통신 단말기에 마련되는 대응되는 커넥터부와 결합되는 좌측 커넥터부 및 우측 커넥터부를 가지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상기 좌측 커넥터부 또는 우측 커넥터부를 통하여, 상기 타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대응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타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되는 커넥터부가 좌측 커넥터부인지 또는 우측 커넥터부인지에 따라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 재생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커넥터부가 리셉터블부이고, 상기 우측 커넥터부가 플러그부이거나; 또는
    상기 우측 커넥터부가 플러그부이고, 상기 좌측 커넥터부가 리셉터블부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 재생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되는 음향 데이터를 버퍼링하며, 상기 버퍼링되는 음향 데이터를 상기 음향 출력부로 전달하는 버퍼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동기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버퍼부의 전달 타이밍을 제어하는 동작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 재생 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출력부가,
    스테레오 출력기능을 가지고, 전달되는 음향 데이터가 좌측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기 음향 데이터를 스테레오 출력 경로 중 좌측 출력 경로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고, 전달되는 음향 데이터가 우측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기 음향 데이터를 우측 스테레오출력 경로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 재생 장치.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타 이동통신 단말기가 주 단말기임을 알리는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음향 데이터 수신을 대기하는 동작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 재생 장치.
  15.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 재생 방법에 있어서,
    타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대적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
    음향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디코딩된 좌측 음향 데이터와 우측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디코딩되어 출력되는 두 음향 데이터 중 어느 한 음향 데이터를 음향 출력부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고, 나머지 음향 데이터를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타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대응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 재생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되는 음향 데이터는,
    이동통신부로부터 전달되거나 또는 카메라부로부터 전달되거나 또는 방송수신부로부터 전달되거나 또는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 재생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우징의 좌측면과 우측면은 각각, 타 이동통신 단말기에 마련되는 대응되는 커넥터부와 결합되는 좌측 커넥터부 및 우측 커넥터부를 가지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상기 좌측 커넥터부 또는 우측 커넥터부를 통하여, 상기 타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대응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타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응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대적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가,
    상기 타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되는 커넥터부가 좌측 커넥터부인지 또는 우측 커넥터부인지에 따라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 재생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커넥터부가 리셉터블부이고, 상기 우측 커넥터부가 플러그부이거나; 또는
    상기 우측 커넥터부가 플러그부이고, 상기 좌측 커넥터부가 리셉터블부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 재생 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스위치부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데이터를 버퍼링하며, 상기 버퍼링되는 음향 데이터를 상기 음향 출력부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버퍼부의 버퍼링 상태에 따라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동기 제어신호를 상기 타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 재생 방법.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출력부를 통한 출력 단계가,
    전달되는 음향 데이터가 좌측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기 음향 데이터를 스테레오 출력 경로 중 좌측 출력 경로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고, 전달되는 음향 데이터가 우측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기 음향 데이터를 우측 스테레오 출력 경로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 재생 방법.
  21. 제 15 항에 있어서,
    조작부로부터 입력되는 조작신호가 상기 음향 데이터에 대한 분할 재생명령에 해당되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타 이동통신 단말기로 자신이 주 단말기임을 알려주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 재생 방법.
  22.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 재생 방법에 있어서,
    타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대적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타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음향 데이터가 디코딩되어 좌측 음향 데이터와 우측 음향 데이터로 분할되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타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대응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상기 좌측 음향 데이터 및 우측 음향 데이터 중에서 어느 한 음향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되는 음향 데이터를 음향 출력부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 재생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음향 데이터는,
    상기 타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통신부에 의해 무선으로 수신되었거나 또는 상기 타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되었거나 또는 상기 타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송수신부에 의해 무선으로 수신되었거나 또는 상기 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 재생 방법.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우징의 좌측면과 우측면은 각각, 타 이동통신 단말기에 마련되는 대응되는 커넥터부와 결합되는 좌측 커넥터부 및 우측 커넥터부를 가지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상기 좌측 커넥터부 또는 우측 커넥터부를 통하여, 상기 타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대응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타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되는 커넥터부가 좌측 커넥터부인지 또는 우측 커넥터부인지에 따라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 재생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커넥터부가 리셉터블부이고, 상기 우측 커넥터부가 플러그부이거나; 또는
    상기 우측 커넥터부가 플러그부이고, 상기 좌측 커넥터부가 리셉터블부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 재생 방법.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되는 음향 데이터를 버퍼링하며, 상기 버퍼링되는 음향 데이터를 상기 음향 출력부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동기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전달 타이밍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 재생 방법.
  27.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출력부를 통한 외부 출력 단계가,
    전달되는 음향 데이터가 좌측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기 음향 데이터를 스테레오 출력 경로 중 좌측 출력 경로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고, 전달되는 음향 데이터가 우측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기 음향 데이터를 우측 스테레오 출력 경로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 재생 방법.
  28.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타 이동통신 단말기가 주 단말기임을 알리는 정보를 더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음향 데이터 수신을 대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 재생 방법.
KR1020040085786A 2004-10-26 2004-10-26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 재생 장치 및 방법 KR100620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5786A KR100620682B1 (ko) 2004-10-26 2004-10-26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 재생 장치 및 방법
US11/236,522 US7894854B2 (en) 2004-10-26 2005-09-28 Image/audio playback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12/186,782 US8260349B2 (en) 2004-10-26 2008-08-06 Image/audio playback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13/015,922 US8090405B2 (en) 2004-10-26 2011-01-28 Image/audio playback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13/328,977 US8271035B2 (en) 2004-10-26 2011-12-16 Image/audio playback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13/617,803 US8750927B2 (en) 2004-10-26 2012-09-14 Image/audio playback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14/294,097 US9237278B2 (en) 2004-10-26 2014-06-02 Image/audio playback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14/993,007 US9836267B2 (en) 2004-10-26 2016-01-11 Image/audio playback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15/799,109 US20180052653A1 (en) 2004-10-26 2017-10-31 Image/audio playback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5786A KR100620682B1 (ko) 2004-10-26 2004-10-26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 재생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6711A KR20060036711A (ko) 2006-05-02
KR100620682B1 true KR100620682B1 (ko) 2006-09-19

Family

ID=37144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5786A KR100620682B1 (ko) 2004-10-26 2004-10-26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 재생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068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6711A (ko) 2006-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6267B2 (en) Image/audio playback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8881207B2 (en) Device and method for outputting data of a wireless terminal to an external device
US20070087686A1 (en) Audio playback device and method of its operation
KR20130095519A (ko) 스크린 미러링 방법 및 그 장치
WO2005069618A1 (en) Portable audio/video system for mobile devices
US7158757B2 (en) Modular computer
KR20150001881A (ko) 동영상 멀티미디어 링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WO2020233263A1 (zh) 音频处理方法及电子设备
GB2460219A (en) Interaction between Audio/Visual Display Appliances and Mobile Devices
JP4706278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再生端末装置および再生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050266878A1 (en) Multi-func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evice
KR10062068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 재생 장치 및 방법
KR10062068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상 재생 장치 및 방법
JP4768554B2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7235519A (ja) 映像音声同期方法及び映像音声同期システム
WO2021049683A1 (ko) 모바일 단말에 기반한 디지털 무전 시스템
KR100687268B1 (ko) 외부 엠피쓰리데이터 재생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및 그 방법
KR20040052301A (ko) 휴대폰 단말기에서 영상데이터와 오디오데이터를혼합하도록 제어하는 방법
KR100615678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음원 재생 방법
JP2011193515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060017982A (ko) 티브이 녹화 기능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운용방법
KR20050063245A (ko) 영상 촬영시 배경 음악 삽입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JP2012009994A (ja) 携帯端末及び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
KR20040011580A (ko) 무선인터넷 이동 비디오/오디오 수신기
KR20080105534A (ko) 휴대단말기의 영상 캡쳐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