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0606B1 - 알앤디 최적화를 이용한 제이팩 영상의 양자화 테이블설계방법 - Google Patents

알앤디 최적화를 이용한 제이팩 영상의 양자화 테이블설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0606B1
KR100620606B1 KR1020050021511A KR20050021511A KR100620606B1 KR 100620606 B1 KR100620606 B1 KR 100620606B1 KR 1020050021511 A KR1020050021511 A KR 1020050021511A KR 20050021511 A KR20050021511 A KR 20050021511A KR 100620606 B1 KR100620606 B1 KR 100620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antization table
jpeg
optimization
image
quant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1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구민
김영찬
김후종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1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06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0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0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35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interpolation pro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ompression Of Band Width Or Redundancy In Fax (AREA)

Abstract

비슷한 분포를 갖는 JPEG 영상에 대하여 R-D 최적화 방법을 이용하여 하나의 양자화 테이블을 얻고 화질 제어(Quality control)가 가능하도록 한 R-D 최적화를 이용한 JPEG 영상의 양자화 테이블 설계 방법이 개시된다. 방법은, 압축률-화질열화 최적화 그래프(R-D Optimization Graph)를 이용하여 JPEG 영상의 양자화 테이블을 설계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비슷한 화질 분포를 갖는 영상군을 선택한 후, 각 영상에 대해서 JPEG 양자화 테이블(
Figure 112005013629718-pat00001
75)로 압축을 수행하는 단계; B) 상기 압축률-화질열화 최적화 그래프를 토대로, 상기 각 JPEG 양자화 테이블(
Figure 112005013629718-pat00002
75)의 압축률(Rate)에 해당하는 최소값(
Figure 112005013629718-pat00003
) 및 최대값(
Figure 112005013629718-pat00004
)을 산출하는 단계; C) 상기 각 값(
Figure 112005013629718-pat00005
,
Figure 112005013629718-pat00006
)의 평균값(
Figure 112005013629718-pat00007
)을 산출하고, 상기 압축률-화질열화 최적화 그래프를 토대로, 상기 평균값에 해당하는 양자화 테이블(Q75)을 산출하는 단계; D) 상기 각 영상에 대하여 산출된 양자화 테이블(Q75) 들을 평균하여 하나의 양자화 테이블(Q75)을 산출하는 단계; 및 E) 상기 양자화 테이블(Q75)을 이용하여 각 영상에 대한 양자화를 수행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JPEG 양자화 테이블, R-D 최적화(R-D Optimization), 화질 제어(Quality control)

Description

알앤디 최적화를 이용한 제이팩 영상의 양자화 테이블 설계방법{JPEG Quantization Table Design Method Using R-D Optimization}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 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 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JPEG 영상압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R-D 최적화를 이용한 JPEG 영상의 양자화 테이블 설계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질 제어가 가능한 최적화된 양자화 테이블을 산출하기 위하여 적용되는 화면 사이즈(Rate) 대비 화질열화(Distortion)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JPEG 영상에 대한 양자화 테이블 설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슷한 분포를 갖는 JPEG 영상에 대하여 R-D 최적화 방법을 이용하 여 산출한 양자화 테이블을 토대로 화질 제어(Quality control)가 가능하도록 한 R-D 최적화를 이용한 JPEG 영상의 양자화 테이블 설계방법에 관한 것이다.
급격한 인터넷 통신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멀티미디어에 대한 관심이 점점 고조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에 대한 관심의 증대는 낮은 전송속도에서 보다 빠르게 보다 좋은 화질을 얻을 수 있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에 대한 필요성을 점점 고조 시켰고 이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디지털 영상 분야에서 가장 문제시 되는 것은 영상을 압축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표현하고자 할 경우 방대한 저장공간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디지털 영상을 저장매체에 기록하거나 유무선 통신을 통해 원격지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영상에 포함된 정보의 손실을 최소화 하면서 영상 데이터 내의 중복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영상압축 처리가 필수 불가결하다.
상기 영상압축 방식 중 가장 대표적인 기술이 JPEG(정지화상 압축규격)이며, 상기 JPEG 방식에서는 양자화 테이블을 이용하여 양자화 및 역영자화를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JPEG에서 제안하는 양자화 테이블은 일반적인 영상을 위한 양자화 테이블로써 특정 영상에 대해서 최적의 성능을 내어주는 테이블은 아니다. 그러므로, 특정 영상에 대해서 최적의 성능을 내주는 R-D 최적화(Rate-Distortion Optimization) 방법이 현재 널리 이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JPEG 영상압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JPEG 영상 압축이 이루어진다.
상기 JPEG 영상압축 과정은 해당기술 분야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기술이므로, 각 장치 별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이산화 코사인 변환(DCT; Discrete Cosine Transform)이 수행된 8*8 블록은, 일정한 양자화 테이블로 나누어 짐으로써 고주파 성분이 제거되어 압축률을 얻게 된다.
이때, 상기 양자화 테이블은 그림 2와 같이 고주파 성분을 일정하게 크게 나누어 '0'으로 만들어 주는 방법을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양자화 테이블은 일반적인 영상에 대하여 설계된 것이기 때문에 각 영상에 대해서 최적의 성능을 주지는 않는다. 즉, 다른 양자화 테이블이 압축률과 화질에서 더 좋은 성능을 보장해 줄 수도 있다.
R-D 최적화 방법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각 영상에 최적화된 양자화 테이블을 설계해 주는 방법이며, 상기 R-D 최적화 방법에 따른 양자화 테이블 설계 과정에 대하여 좀더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R-D 최적화 방법은, 아래의 식 1 과 같이, 화질과 압축률 함수를 양자화 테이블의 식으로 나타내고, 이것을 최소화 하는 양자화 테이블 Q를 찾음으로써 구해진다.
[식 1]
Figure 112005013629718-pat00008
이때, 상기 λ는 라그랑즈 급수(Lagrange multiplier) 이고,
Figure 112005013629718-pat00009
,
Figure 112005013629718-pat00010
,
Figure 112005013629718-pat00011
는 각각 화질열화(distortion), 압축률(rate), 양자화 테이블(quantization table)이다.
상기 식 1 (목적함수)은
Figure 112005013629718-pat00012
Figure 112005013629718-pat00013
에 따라서 최소화 된다. 그러므로, 상기 R-D 최적화 방법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1. Set
Figure 112005013629718-pat00014
.
2. 양자화 테이블의 각각의 원소를 증가시키면서 상기 식 1을 최소화 시키는 최적의
Figure 112005013629718-pat00015
를 찾는다.
3.
Figure 112005013629718-pat00016
를 일정값
Figure 112005013629718-pat00017
만큼 증가 시키고, 상기 Step 2를 반복한다.
4.
Figure 112005013629718-pat00018
Figure 112005013629718-pat00019
에 이를 때까지, 상기 Step 3을 반복한다.
5.
Figure 112005013629718-pat00020
의 변화에 따라, R-D 커브를 그래프로 그린다. 그리고, 상기 커브의 법선을 찾는다. 이 때의
Figure 112005013629718-pat00021
와 Q가 최적의
Figure 112005013629718-pat00022
와 양자화 테이블이 된다.
그러나, 상기 R-D 최적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가진다.
1. 양자화 테이블을 찾는 데 시간이 너무 걸린다.
2. 디코더에 양자화 테이블이 없으므로, 양자화 테이블을 각각의 이미지 마다 재설계하여 전송해야 한다.
3. 화질 제어(Quality control)가 불가능하다.
4. 비슷한 주파수 분포를 갖는 영상에 대해서도 양자화 테이블을 재설계 해야만 한다.
5. Motion-JPEG을 구현할 경우 매 프레임 마다 양자화 테이블을 달리해야 한다.
요약 하자면, 상기 R-D 최적화 방법은 각각의 영상에 대해서 양자화 테이블 하나만 얻어짐으로써 JPEG 표준안에서 제공되는 화질 요소(Quality factor)에 따라 화질 제어(Quality control)를 따로 설계하기 때문에 실제 적용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슷한 분포를 갖는 JPEG 영상에 대하여 R-D 최적화 방법을 이용하여 산출한 양자화 테이블을 토대로 화질 제어(Quality control)가 가능하도록 한 R-D 최적화를 이용한 JPEG 영상의 양자화 테이블 설계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R-D 최적화를 이용한 JPEG 영상의 양자화 테이블 설계방법은, 압축률-화질열화 최적화 그래프(R-D Optimization Graph)를 이용하여 JPEG 영상의 양자화 테이블을 설계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비슷한 화질 분포를 갖는 영상군을 선택한 후, 각 영상에 대해서 JPEG 양자화 테이블(
Figure 112005013629718-pat00023
75)로 압축을 수행하는 단계; B) 상기 압축률-화질열화 최적화 그래프를 토대로, 상기 각 JPEG 양자화 테이블(
Figure 112005013629718-pat00024
75)의 압축률(Rate)에 해당하는 최소값(
Figure 112005013629718-pat00025
) 및 최대값(
Figure 112005013629718-pat00026
)을 산출하는 단계; C) 상기 각 값(
Figure 112005013629718-pat00027
,
Figure 112005013629718-pat00028
)의 평균값(
Figure 112005013629718-pat00029
)을 산출하고, 상기 압축률-화질열화 최적화 그래프를 토대로, 상기 평균값에 해당하는 양자화 테이블(Q75)을 산출하는 단계; D) 상기 각 영상에 대하여 산출된 양자화 테이블(Q75) 들을 평균하여 하나의 양자화 테이블(Q75)을 산출하는 단계; 및 E) 상기 양자화 테이블(Q75)을 이용하여 각 영상에 대한 양자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구체적인 처리 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 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 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시 말하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R-D 최적화를 이용한 JPEG 영상의 양자화 테이블 설계방법은, 소스 영상을 압축 및 엔코딩하여 전송한 후, 상기 압축된 영상을 복호화한 후 다시 복원하는 일련의 과정 중 비슷한 분포를 갖는 영상들에 대한 JPEG 양자화 테이블을 재설계하여 양자화 및 역양자화에 이용하고자 하는 것이 핵심기술 이므로, 그 이외의 엔코딩 및 디코딩 과정들에 대하여는 해당기술 분야의 기술자에게 충분히 이해될 수 있는 수준이며, 또한 본 발명의 본질적인 것이 아니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 및 도 3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R-D 최적화를 이용한 JPEG 영상의 양자화 테이블 설계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질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질 제어가 가능한 최적화된 양자화 테이블을 산출하기 위하여 적용되는 화면 사이즈(Rate; 압축률) 대비 화질열화(Distortion)를 나타낸 그래프(R-D Optimization Graph)이다. 이때, 상기 화면 사이즈는, 예컨대 화소당 비트율(Bit Per Pixel)을 의미한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질제어 방법은, 비슷한 화질 분포를 갖는 영상군을 선택한 후, 각 영상에 대해서 JPEG 양자화 테이블(
Figure 112005013629718-pat00030
75)로 압축을 수행하는 단계와, R(Rate)-D(Distortion) 최적화 그래프를 토대로, 상기 각 JPEG 양자화 테이블(
Figure 112005013629718-pat00031
75)의 압축률(Rate)에 해당하는 최소값(
Figure 112005013629718-pat00032
) 및 최대값(
Figure 112005013629718-pat00033
)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각 값(
Figure 112005013629718-pat00034
,
Figure 112005013629718-pat00035
)의 평균값(
Figure 112005013629718-pat00036
)을 산출하고, R(Rate)-D(Distortion) 최적화 그래프를 토대로, 상기 평균값에 해당하는 양자화 테이블(Q75)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각 단계(A~C)와 같은 방법으로, 각 영상에 대해서 양자화 테이블(Q50)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각 영상에 대하여 산출된 양자화 테이블(Q75, Q50) 들을 평균하여 하나의 양자화 테이블(Q75, Q50)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양자화 테이블(Q75, Q50)의 코드값을 IJG(Independent JPEG Group)의 인코딩 프로그램으로부터 제공되는 JPEG 오픈 소스(Open Source)에 적용하여 인코딩을 수행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양자화 테이블(Q75, Q50)의 각 코드값을 보간법에 의해서 조절함으로써 화질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R-D 최적화를 이용한 JPEG 영상의 양자 화 테이블 설계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질제어 방법에 대해, 도 2의 동작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화질의 분포가 비슷한 임의의 영상 군을 선택한다(S201).
이후, 상기 영상 군에 포함된 각각의 영상에 대해서 화질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최적의 양자화 테이블(Q75, Q50)을 산출한다(S202). 여기서, 상기 양자화 테이블(Q75, Q50)의 각 코드값은 IJG(Independent JPEG Group)에서 제안하는 표준화된 JPEG 양자화 테이블(
Figure 112005013629718-pat00037
75,
Figure 112005013629718-pat00038
50)을 토대로, R-D 최적화 방법을 응용하여 산출한 양자화 테이블의 코드값이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될 것이다.
도 3의 상기 그래프(R-D Optimization Graph)를 토대로 R-D 최적화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최적의 양자화 테이블 코드값을 산출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그래프(R-D Optimization Graph)의 산출방법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 내의 것이 아니며, 이미 해당 기술분야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것이기 때문에 생략 하기로 한다.
먼저, 양자화 테이블(
Figure 112005013629718-pat00039
75)을 이용하여 비슷한 분포의 화질을 갖는 각 영상을 압축한다(S202a). 이때, 상기 양자화 테이블(
Figure 112005013629718-pat00040
75)의 각 코드값은 상기 IJG(Independent JPEG Group)에서 제안하는 표준화된 JPEG 양자화 테이블에 따른 코드값이다. 상기 압축과정을 수행하는 이유는, 상기 각 영상을 양자화 테이블(
Figure 112005013629718-pat00041
75)로 압축함으로써 압축률(Ratio) 및 화질열화(Distortion) 값을 산출할 수 있고, 상기 압축률(Ratio)에 해당하는 최소값(
Figure 112005013629718-pat00042
) 및 최대값(
Figure 112005013629718-pat00043
)을 토대로 간단한 수식(즉, 평균값 산출)을 통해 상기 각 영상에 대한 최적화된 양자화 테이블(Q75)을 산출하기 위함이다.
종래기술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최적화된 양자화 테이블(Q75)을 산출하기 위해, 상기 [식 1]을 이용하여 복잡한 계산을 수행하여만 했으나, 단순한 평균값 산출과정을 통하여 이를 산출해낼 수 있게 된다.
이후, 상기 그래프를 토대로, 상기 양자화 테이블(
Figure 112005013629718-pat00044
75)에 대하여 압축률(Rate)에 해당하는 각 최소값(
Figure 112005013629718-pat00045
) 및 최대값(
Figure 112005013629718-pat00046
)을 구한다(S202b).
이후,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R-D 최적화 그래프로부터 구한 상기 각 값(
Figure 112005013629718-pat00047
) 및 값(
Figure 112005013629718-pat00048
)을 취하여 상기 두 값의 점을 잇는 그래프(직선)를 그린 후, 상기 그래프(직선)를 토대로 평균값(
Figure 112005013629718-pat00049
)을 구하고, 그에 해당하는 양자화 테이블(Q75)을 산출한다(S202c). 상기 양자화 테이블(Q75)은, 종래기술에서, 상기 [식 1]의 복잡한 계산과정을 통해 산출된 바 있다.
이후, 상기와 같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각 영상에 대한 양자화 테이블(Q50)을 산출한다(S202d).
이후, 상기 각 단계(S202a~S202d)를 통해, 상기 R-D 최적화 그래프를 토대로 화질 분포가 비슷한 각 영상으로부터 산출된 양자화 테이블 들을 평균내어 최종 양자화 테이블(Q75 또는 Q50)을 얻는다(S203). 이때, 상기 각 영상으로부터 산출된 양자화 테이블 들을 평균하는 방법은, 산출된 최종 양자화 테이블(Q75 또는 Q50)의 각 코드값들을 평균함으로써 이루어 진다.
각 영상에 대하여 산출된 최종 양자화 테이블(Q75)의 64 개(블록)의 코드값들 중, 하나의 값을 평균하는 경우를 예로써 부가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들어, 비슷한 분포를 갖는 영상이 모두 5개 이고, 상기 각 영상에 대하여 산출된 최종 양자화 테이블(Q75) 한 블록의 코드값이 각각 1, 2, 3, 4, 5 및 6 일 경우, 평균값은 (1 + 2 + 3 + 4 + 5 + 6)/5 = 21/5 = 4.5 가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최종 양자화 테이블(Q75) 64 개(블록)의 코드값들의 평균을 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각 영상에 대한 최종 양자화 테이블(Q50)의 각 코드값들도 구할 수 있게 된다.
이후에, 상기 산출된 하나의 최종 양자화 테이블(Q75, Q50)을 이용하여 양자화를 수행한다(S204).
이후, 상기 양자화 테이블(Q75, Q50) 코드값을 JPEG 소스에 적용하여 인코딩을 수행한다(S205). 이때, 상기 JPEG 소스(Source)는 상기 IJG(Independent JPEG Group)에서 제안하는 인코딩 프로그램으로부터 제공되는 JPEG 오픈 소스(Open Source)이다.
최종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질 제어(Quality control)는 상기 양자화 테이블(Q75, Q50)을 보간법에 의해 조절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보간법으로는, 예컨대, 직선 보간법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하여 설명한다.
화질분포가 비슷한 각 영상에 대하여 최종 양자화 테이블로 Q75, Q50 가 산 출 되었고, 화질 제어를 목적으로 새로운 양자화 테이블(Q60)을 산출할 경우에는, 직선 보간법에 의하여 다음의 [식 2]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식 2]
Q60 = Q50 * 3/5 + Q75 * 2/5
따라서, 상기 직선 보간법에 의해 다양한 양자화 테이블을 산출함으로써 화질제어가 가능해 진다.
상기 보간법에 대하여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며, 해당 기술분야의 기술자가 충분히 알 수 있는 기술적 수준이기 때문에 더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의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은, 일반적인 영상에 대해서만 양자화를 수행함으로써 특정 영상에 대한 최적의 성능을 담보할 수 있는 기존의 JPEG 양자화 테이블의 한계와, 특정 영상에 대해서 최적의 성능을 내긴 하나 각 영상에 대하여 양자화 테이블을 따로 설계하는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만 하는 R-D 최적화 방법의 문제점을 극복함으로써, 비슷한 화질 분포를 갖는 영상군에 대하여 새로운 양자화 테이블을 제시하고 화질 제어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비슷한 영상에 대해서 R-D 최적화를 응용하여 하나의 양자화 테이블을 얻고 화질 제어(Quality control)가 가능하도록 하며, 휴대폰용 128*128 크기의 얼굴 사진에 대해서 양자화 테이블을 재설계 하였다.
무선 인터넷과 이동통신 단말에서는 아직 패킷 요금이 비싸고 메모리 용량에 제약이 있기 때문에 화질을 유지하면서도 압축률을 좋게 하는 것이 중요한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줄 수 있는 양자화 테이블을 설계함으로써 서비스에 여러 가지 이점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 JPEG 영상 압축 시 압축률과 화질 면에서 우수하도록 압축함
- 영상의 크기를 작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함
- 화질을 높임으로써 서비스의 질을 증대
- 일반 영상과 다른 휴대폰 영상에 대하여 양자화 테이블 설계 방법 제시
- 비슷한 분포의 영상에 대해서, 미리 설계된 양자화 테이블을 이용으로써 기존의 R-D 최적화에 비하여 빠른 인코딩 가능

Claims (4)

  1. 압축률-화질열화 최적화 그래프(R-D Optimization Graph)를 이용하여 JPEG 영상의 양자화 테이블을 설계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비슷한 화질 분포를 갖는 영상군을 선택한 후, 각 영상에 대해서 JPEG 양자화 테이블(
    Figure 112005013629718-pat00050
    75)로 압축을 수행하는 단계;
    B) 상기 압축률-화질열화 최적화 그래프를 토대로, 상기 각 JPEG 양자화 테이블(
    Figure 112005013629718-pat00051
    75)의 압축률(Rate)에 해당하는 최소값(
    Figure 112005013629718-pat00052
    ) 및 최대값(
    Figure 112005013629718-pat00053
    )을 산출하는 단계;
    C) 상기 각 값(
    Figure 112005013629718-pat00054
    ,
    Figure 112005013629718-pat00055
    )의 평균값(
    Figure 112005013629718-pat00056
    )을 산출하고, 상기 압축률-화질열화 최적화 그래프를 토대로, 상기 평균값에 해당하는 양자화 테이블(Q75)을 산출하는 단계;
    D) 상기 각 영상에 대하여 산출된 양자화 테이블(Q75) 들을 평균하여 하나의 양자화 테이블(Q75)을 산출하는 단계; 및
    E) 상기 양자화 테이블(Q75)을 이용하여 각 영상에 대한 양자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D 최적화를 이용한 JPEG 영상의 양자화 테이블 설계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화 테이블(Q75)의 각 코드값은,
    IJG(Independent JPEG Group)의 인코딩 프로그램으로부터 제공되는 JPEG 오픈 소스(Open Source)에 적용되어 인코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D 최적화를 이용한 JPEG 영상의 양자화 테이블 설계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계(A~C)를 통해, 각 영상에 대한 양자화 테이블(Q50) 들을 산출하고, 상기 각 영상에 대하여 산출된 양자화 테이블(Q50) 들을 평균하여 하나의 양자화 테이블(Q50)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D 최적화를 이용한 JPEG 영상의 양자화 테이블 설계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화질 제어(Quality control)를 목적으로 직선 보간법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두 양자화 테이블(Q70, Q50)을 토대로 새로운 또 하나의 양자화 테이블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D 최적화를 이용한 JPEG 영상의 양자화 테이블 설계방법.
KR1020050021511A 2005-03-15 2005-03-15 알앤디 최적화를 이용한 제이팩 영상의 양자화 테이블설계방법 KR100620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1511A KR100620606B1 (ko) 2005-03-15 2005-03-15 알앤디 최적화를 이용한 제이팩 영상의 양자화 테이블설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1511A KR100620606B1 (ko) 2005-03-15 2005-03-15 알앤디 최적화를 이용한 제이팩 영상의 양자화 테이블설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0606B1 true KR100620606B1 (ko) 2006-09-06

Family

ID=37625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1511A KR100620606B1 (ko) 2005-03-15 2005-03-15 알앤디 최적화를 이용한 제이팩 영상의 양자화 테이블설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06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8875A (ko) 2020-10-13 2022-04-20 주식회사 카카오 타겟 태스크별 양자화 테이블 생성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8875A (ko) 2020-10-13 2022-04-20 주식회사 카카오 타겟 태스크별 양자화 테이블 생성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61974B2 (ja) クロマ予測方法及びデバイス
JP6046839B2 (ja) インター予測方法及びその装置、動き補償方法及びその装置
US9571843B2 (en) Video encoding method using offset adjustment according to classification of pixels by maximum encoding units and apparatus thereof, and video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JP5590133B2 (ja) 動画像符号化装置、動画像符号化方法、動画像符号化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動画像復号装置及び動画像復号方法ならびに動画像復号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0356418B2 (en) Video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and video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in which edge type offset is applied
TW201325247A (zh) 在視訊解碼的反量化及逆轉換期間實現資料修剪的逆轉換方法及設備
CN110300301B (zh) 图像编解码方法和装置
WO2023040600A1 (zh) 图像编码方法、图像解码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US20180324427A1 (en) Quantization partitioning for enhanced image compression
EP1940175A1 (en) Image encoding apparatus and memory access method
TWI703857B (zh) 視頻轉碼方法及設備、電腦儲存介質及電子設備
KR100620606B1 (ko) 알앤디 최적화를 이용한 제이팩 영상의 양자화 테이블설계방법
EP4366305A1 (en) Encoding method for video data, decoding method for video data, computing device, and medium
US20170318291A1 (en) Method for re-encoding image and apparatus therefor
CN100477791C (zh) 在移动通信终端中发送动态图像的方法
JP4105676B2 (ja) メディアストリームを非ブロック化しコード変換する方法
CN116527903B (zh) 图像浅压缩方法及解码方法
TWI829424B (zh) 解碼方法、編碼方法及裝置
WO2023185806A9 (zh) 一种图像编解码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0587170B1 (ko) 양자화 테이블 추출에 의한 모바일 이미지 서비스 방법
KR102538197B1 (ko) Hdr 코딩/디코딩을 위한 컬러 성분 샘플의 코-로케이팅된 루미넌스 샘플의 결정
FI116350B (fi) Menetelmä, laite ja tietokoneohjelma siirtovälineellä digitaalisen kuvan koodaamiseen
CN102098502B (zh) 一种编码格式转化的方法及装置
Wu et al. A New Video Coding Method Based on H. 264 Algorith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