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0429B1 - 하천의 부유물을 수거하기 위한 친환경적인 이동식제거장치 - Google Patents

하천의 부유물을 수거하기 위한 친환경적인 이동식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0429B1
KR100620429B1 KR1020060054073A KR20060054073A KR100620429B1 KR 100620429 B1 KR100620429 B1 KR 100620429B1 KR 1020060054073 A KR1020060054073 A KR 1020060054073A KR 20060054073 A KR20060054073 A KR 20060054073A KR 100620429 B1 KR100620429 B1 KR 100620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frame
rail
rive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4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의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호
Priority to KR1020060054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04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0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0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7Contaminated open waterways, rivers, lakes or p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의 흐르는 물에 뜨도록 고정하되 흘러내려가지 않도록 하천변에 와이어로 고정설치하고, 일측 하천변에 고정된 레일프레임을 따라 거름망이 벌려져 있어 부유물을 포집하며, 거름망을 레일프레임을 따라 하천변으로 이동시켜 용이하게 제거하는 하천의 부유물을 수거하기 위한 친환경적인 이동식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며, 사각의 프레임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격벽에 의해 벨트이동통로(13)와 레일통로(11)로 구분되고, 레일통로(11)의 일측면에 슬릿 형태의 개방구(12)가 형성되어 망이동체(30)가 삽입되며, 프레임의 일단은 개방되어 상하 일부에 차단편(14)이 고정되어 망이동체(30)의 이탈을 방지하고, 프레임의 타단에는 드럼고정부(17)가 형성되어 고정볼트(17-2)로 드럼(18)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드럼고정부(17)가 시작되는 곳에 걸림턱(19)이 형성되어 망이동체(30)의 이탈이 방지되고, 프레임 저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부(15)에 고정봉(16)의 일단이 고정되는 레일프레임(10); 물에 뜨는 몸체 상면에 돌기홈(21)이 형성되고, 돌기홈(21)에 고정홀(22)이 하측까지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고정홀(22)에 고정봉(16)이 삽입되어 너트(16-1)로 고정되는 부력체(20); 사각형 프레임(31)의 중앙에 수평으로 벨트이동홀(33)이 형성되고, 프레임(31)의 네 모퉁이에 각각 두개의 롤러(34)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프레임(31)의 일측면 중앙에 망고정부(32)가 두개 돌출되어 형성되고, 프레임(31)의 양측면 상하로 측면롤러(35)가 횡방향 이동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망이동체(30); 조작반(42)에 의해 컨트롤되는 모터(40)에 의해 구동되는 풀리(41) 에 일측이 감겨지고, 타측은 드럼(18)에 고정되어 모터(40)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며, 레일프레임(10)의 벨트이동통로(13)와 레일통로(11)를 통하여 회전하되, 레일통로(11)에서는 망이동체(30)의 벨트이동홀(33)을 관통하여 이동하고, 하천변에서 가장먼 망이동체(30)의 전후에 고정클립(44)이 끼워져 최외측 망이동체(30)가 고정되는 이송벨트(43); 원형의 테두리와이어(52)에 주머니 형상으로 망(51)이 고정되고, 테두리와이어(52)가 벌어지도록 망이동체(30)의 망고정부(32)에 고정되는 거름망(50); 레일프레임(10)의 상면에 다수개 형성되는 고리(61)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에 고리부(64)가 형성되어 앵커(62)의 머리부에 형성된 홈부(63)에 걸려 고정되며, 앵커(62)는 풀리(41)가 설치된 하천변의 상류쪽 지면에 박혀 고정되는 고정와이어(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천, 부력체, 부유물, 망이동체

Description

하천의 부유물을 수거하기 위한 친환경적인 이동식 제거장치{Moving exclude apparatus floating of river}
도 1은 본 발명의 하천의 부유물을 수거하기 위한 친환경적인 이동식 제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하천의 부유물을 수거하기 위한 친환경적인 이동식 제거장치에서 거름망이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하천의 부유물을 수거하기 위한 친환경적인 이동식 제거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하천의 부유물을 수거하기 위한 친환경적인 이동식 제거장치를 도시한 수직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하천의 부유물을 수거하기 위한 친환경적인 이동식 제거장치에 적용된 거름망을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하천의 부유물을 수거하기 위한 친환경적인 이동식 제거장치의 부력체와 레일프레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하천의 부유물을 수거하기 위한 친환경적인 이동식 제거장치에 적용된 망이동체를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하천의 부유물을 수거하기 위한 친환경적인 이동식 제거장 치의 레일 프레임 단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하천의 부유물을 수거하기 위한 친환경적인 이동식 제거장치에 적용된 망이동체와 이송벨트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 하천 2 : 하천변
10 : 레일프레임 11 : 레일통로
12 : 개방구 13 : 벨트이동통로
14 : 차단편 15 : 돌기부
16 : 고정봉 16-1, 17-3 :너트
17 : 드럼고정부 17-1 : 볼트홀
17-2 : 고정볼트 18 : 드럼
18-1 : 권취부 18-2 : 볼트홀
19 : 걸림턱 20 : 부력체
21 : 돌기홈 22 : 고정홀
30 : 망이동체 31 : 프레임
32 : 망고정부 32-1 : 고정홀
33 : 벨트이동홀 34 : 롤러
35 : 측면롤러 40 : 모터
41 : 풀리 42 : 조작반
43 : 이송벨트 44 : 고정클립
50 : 거름망 51 : 망
52 : 테두리와이어 60 : 고정와이어
61 : 고리 62 : 앵커
63 : 홈부 64 : 고리부
본 발명은 하천의 부유물을 수거하기 위한 친환경적인 이동식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천의 흐르는 물에 뜨도록 고정하되 흘러내려가지 않도록 하천변에 와이어로 고정설치하고, 일측 하천변에 고정된 레일프레임을 따라 거름망이 벌려져 있어 부유물을 포집하며, 거름망을 레일프레임을 따라 하천변으로 이동시켜 용이하게 제거하는 하천의 부유물을 수거하기 위한 친환경적인 이동식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 하천의 특징은 한강, 낙동강, 금강, 섬진강 및 임진강 등 몇 개의 큰강을 제외하고는 그 유역이 짧고 유량이 그렇게 많지 않다. 더욱이 몬순기후 지대에 속한 우리나라는 우기와 건기의 구별이 뚜렷하여 약 1,200㎜에 달하는 연간 강수량의 약 7-80%가 우기인 6-9월 사이에 900㎜ 이상이 집중적으로 내리고 나머지 약 300㎜ 정도가 8-9개월 동안에 내리게 되는데, 우기에는 일시적으로 폭우가 쏟아져서 거의 매년 연례 행사처럼 홍수의 피해가 속출하고 있으며, 건기인 겨울철은 거의 눈으로 약간의 강수량이 있을 뿐 다른 시기에는 거의 가뭄이 들었다고 할 정 도로 비가 많지 않은 지역임은 주지의 사실이다.
문명이 발달해 갈수록 1인당 용수량은 늘어가는 것이 선진국들의 추세인데 반해 우리나라는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연간 약 1,400㎜ 이상의 강수량이 있었으나, 최근 10년 사이에는 약 200㎜ 정도의 강수량이 줄어들었으나 그래도 강수량으로 보면 물이 적은 나라는 아니나, 계절적인 문제와 물을 너무 헤프게 써버리는 습성 때문에 UN은 2006년부터는 우리 대한민국이 물부족 국가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 물관리 문제는 수질을 보호하는 문제와 함께 수량·홍수 조절문제·계절적 및 지역적 수량관리·물의 이용문제 등 물에 관한 전반적인 관리체계를 종합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즉 우리나라의 물 문제는 하천이나 호소의 수질을 보호하는 것은 물론이고, 더욱 근본적인 문제인 적정 수량의 확보와 지역적 또는 계절적인 물의 이용문제가 더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것이다.
물관리 문제는 첫째 수질보호의 문제이며, 둘째 수량 관리의 문제라고 볼 수 있다. 이 두 가지 중 어느 것 하나도 버릴 수가 없다. 우선 수질관리를 위해서는 맑은 물이 많이 흘러서 어느 정도 오염물질이 유입된다고 하더라도 자정능력에 의해서 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일정 한도를 넘어서 자연의 힘만으로는 정화가 불가능할 정도로 오염도가 심할 때에는 인공적으로 정화하여 흘려보내야 한다.
특히 장마철에는 많은 부유물이 빗물에 씻겨 하천으로 유입되므로 하천을 청소하는데 막대한 시간과 인력을 투입해야 한다.
하천의 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하천내로 작업자가 그물을 들고 들어가 하천의 부유물을 걷어내는 방식을 사용하거나, 하천 양안에 그물을 걸어놓고 부유물이 걸리게 하는 방식을 사용하였으나, 작업을 하러 하천에 들어가기에는 작업자의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어 위험한 문제가 있다.
그리고 하천이 너무 깊어 작업자가 들어가지 못할 경우에는 하천의 양안에 그물을 걸어 떠내려오는 부유물을 더 이상 아래로 못내려가게 한 다음 제거하는 작업을 하였으나, 하천의 양쪽에서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불편하였고, 그물에 걸린 부유물을 하천변으로 끌어와서 수거하기 위한 작업이 쉽지 않아 불편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장마철에 발생하는 하천의 부유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부유물이 많이 발생한 곳을 찾아 설치하여 하천 표면을 따라 흘러 내려오는 부유물을 거름망이 포집하여 일측 하천변으로 모아 제거할 수 있게 한 하천의 부유물을 수거하기 위한 친환경적인 이동식 제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각의 프레임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격벽에 의해 벨트이동통로와 레일통로로 구분되고, 레일통로의 일측면에 슬릿 형태의 개방구가 형성되어 망이동체가 삽입되며, 프레임의 일단은 개방되어 상하 일부에 차단편이 고정되어 망이동체의 이탈을 방지하고, 프레임의 타단에는 드럼고정부가 형성되어 고정볼트로 드럼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드럼고정부가 시작되는 곳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망이동체의 이탈이 방지되고, 프레임 저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부에 고정봉의 일단이 고정되는 레일프레임; 물에 뜨는 몸체 상 면에 돌기홈이 형성되고, 돌기홈에 고정홀이 하측까지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고정홀에 고정봉이 삽입되어 너트로 고정되는 부력체; 사각형 프레임의 중앙에 수평으로 벨트이동홀이 형성되고, 프레임의 네 모퉁이에 각각 두개의 롤러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프레임의 일측면 중앙에 망고정부가 두개 돌출되어 형성되고, 프레임의 양측면 상하로 측면롤러가 횡방향 이동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망이동체; 조작반에 의해 컨트롤되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풀리에 일측이 감겨지고, 타측은 드럼에 고정되어 모터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며, 레일프레임의 벨트이동통로와 레일통로를 통하여 회전하되, 레일통로에서는 망이동체의 벨트이동홀을 관통하여 이동하고, 하천변에서 가장먼 망이동체의 전후에 고정클립이 끼워져 최외측 망이동체가 고정되는 이송벨트; 원형의 테두리와이어에 주머니 형상으로 망이 고정되고, 테두리와이어가 벌어지도록 망이동체의 망고정부에 고정되는 거름망; 레일프레임의 상면에 다수개 형성되는 고리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에 고리부가 형성되어 앵커의 머리부에 형성된 홈부에 걸려 고정되며, 앵커는 풀리가 설치된 하천변의 상류쪽 지면에 박혀 고정되는 고정와이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의 부유물을 수거하기 위한 친환경적인 이동식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되지 않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 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조작반(42)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40)를 일측 하천변에 설치하고, 모터(40)에 의해 구동되는 풀리(41)를 설치하여 이송벨트(43)의 일측을 고정하며, 이송벨트(43)는 레일프레임(10)을 따라 이동하는 망이동체(30)를 통하여 이동하되, 최외측의 망이동체(30)가 이송벨트(43)에 고정되어 이동하게 되어 망이동체(30)에 고정된 거름망(50)이 펼쳐지거나 접혀지게 되어 쉽게 부유물 수거를 할수 있게 한 것이다.
망이동체(30)는 레일프레임(10)에 형성된 레일통로(11)를 따라 이동하고, 레일프레임(10)은 사각의 프레임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격벽에 의해 벨트이동통로(13)와 레일통로(11)로 구분된다.
레일통로(11)의 일측면에 슬릿 형태의 개방구(12)가 형성되어 망이동체(30)가 삽입되고, 개방구(12)를 통하여 망이동체(30)의 망고정부(32)가 노출되어 거름망(50)이 고정된다.
레일프레임(10)의 일단은 개방되어 상하 일부에 차단편(14)이 볼트로 고정되어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망이동체(30)의 이탈을 방지하고, 두개의 차단편(14) 사이 공간으로 이송벨트(43)가 풀리(41)에 연결된다.
레일프레임(10)의 타단에는 드럼고정부(17)가 형성되어 고정볼트(17-2)로 드럼(18)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드럼고정부(17)가 시작되는 곳에 걸림턱(19)이 형성되어 망이동체(30)의 이탈이 방지된다. 드럼고정부(17)는 레일프레임(10)의 상 면과 하면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각각의 면에 볼트홀(17-1)이 형성된다. 볼트홀(17-1)을 통하여 드럼(18)이 고정볼트(17-2)와 너트(17-3)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드럼(18)은 이송벨트(43)가 잘 안착되어 회전하도록 홈이 파인 권취부(18-1)가 몸체에 형성되고, 몸체의 상하를 관통하는 볼트홀(18-2)이 형성되어 고정볼트(17-2)가 삽입된다.
레일프레임(10) 저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개의 돌기부(15)가 형성되고, 돌기부(15)의 중앙에 고정봉(16)의 일단이 고정된다. 고정봉(16)은 하단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부력체(20)를 삽입시킨 후에 너트(16-1)로 고정한다. 돌기부(15)가 형성되는 간격은 레일프레임(10)과 거름망(50)과 부유물의 무게를 물위로 띄울 수 있는 정도의 숫자로 구성되는 부력체(2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려한다.
부력체(20)는 물에 뜨는 재질로 이루어진 몸체 상면에 돌기홈(21)이 형성되고, 돌기홈(21)에 고정홀(22)이 하측까지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고정홀(22)에 고정봉(16)이 삽입되어 너트(16-1)로 고정된다.
망이동체(30)는 사각형 프레임(31)의 중앙에 수평으로 벨트이동홀(33)이 형성되고, 프레임(31)의 네 모퉁이에 각각 두개의 롤러(34)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하부와 상부에 각각 4개의 롤러(34)가 고정되어 레일프레임(10)의 레일통로(11) 내측벽면 상하를 타고 구르도록 구성한다.
프레임(31)의 일측면 중앙에 망고정부(32)가 두개 돌출되어 형성되고, 프레임(31)의 양측면 상하로 측면롤러(35)가 레일통로(11) 내측 측벽면을 타고 굴러 횡 방향 이동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송벨트(43)는 조작반(42)에 의해 컨트롤되는 모터(40)에 의해 구동되는 풀리(41)에 일측이 감겨지고, 타측은 드럼(18)에 고정되어 모터(40)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고, 레일프레임(10)의 벨트이동통로(13)와 레일통로(11)를 통하여 회전하되, 레일통로(11)에서는 망이동체(30)의 벨트이동홀(33)을 관통하여 이동한다. 이송벨트(43)는 하천변에서 가장 먼 위치에 있는 망이동체(30)의 전후에 고정클립(44)을 끼워 고정한다. 고정된 최외측 망이동체(30)에 의해 거름망(50)이 레일프레임(10)을 따라 펼쳐지거나 거두어진다.
거름망(50)은 원형으로 이루어진 테두리와이어(52)에 주머니 형상으로 망(51)이 고정되고, 테두리와이어(52)가 벌어지도록 망이동체(30)의 망고정부(32)에 고정된다.
고정와이어(60)는 레일프레임(10)의 상면에 다수개 형성되는 고리(61)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에 고리부(64)가 형성되어 앵커(62)의 머리부에 형성된 홈부(63)에 걸려 고정된다.
앵커(62)는 풀리(41)가 설치된 하천변의 상류쪽 지면에 박혀 고정되어 고정와이어(60)의 일단을 고정한다.
고정와이어(60)에 의해 레일프레임(10)은 하천 상류쪽을 향하여 약간 기울어지게 설치하여 고정된 거름망(50)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거름망(50)이 물의 흐름에 의해 펼쳐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작반(42)을 작동하여 모터(40)를 회전시키면 풀리(41)가 회전하여 이송벨 트(43)가 회전된다. 이송벨트(43)의 회전에 의해 최외측에 고정된 망이동체(30)가 이동하면서 거름망(50) 전체가 펴져 거름망(50)의 테두리와이어(52)의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부유물이 거름망(50)으로 들어온다. 부유물이 거름망(50)에 차게 되면 조작반(42)을 조작하여 모터(40)를 역회전시켜 이송벨트(43)를 반대로 회전시키면, 최외측의 망이동체(30)가 하천변으로 이동하면서 다른 망이동체(30)를 같이 밀고 들어온다. 따라서 거름망(50)이 하천변으로 모아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고정와이어(60)를 앵커(62)에서 분리시키면 부력체(20)에 의해 떠 있는 레일프레임(10)이 하천의 흐름에 따라 흐르게 되고, 풀리(41)에 의해 일측은 고정되어 있으므로 다른측 단부가 하천변에 닿아 거름망(50) 내의 부유물을 쉽게 하천변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부유물이 많이 발생한 하천의 일측 하천변에 설치하여 하천을 따라 흘러내려오는 부유물을 모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하천의 일측 하천변에만 설치하므로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거름망에 포집된 부유물은 모터를 작동시켜 거름망을 하천변으로 당긴 다음 고정와이어를 풀면 레일프레임이 하천변으로 하천수의 흐름에 따라 밀려 내려오게 되어 쉽게 부유물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일측 하천변에서만 작업이 가능하므로 하천을 가로질러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사각의 프레임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격벽에 의해 벨트이동통로(13)와 레일통로(11)로 구분되고, 레일통로(11)의 일측면에 슬릿 형태의 개방구(12)가 형성되어 망이동체(30)가 삽입되며, 프레임의 일단은 개방되어 상하 일부에 차단편(14)이 고정되어 망이동체(30)의 이탈을 방지하고, 프레임의 타단에는 드럼고정부(17)가 형성되어 고정볼트(17-2)로 드럼(18)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드럼고정부(17)가 시작되는 곳에 걸림턱(19)이 형성되어 망이동체(30)의 이탈이 방지되고, 프레임 저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부(15)에 고정봉(16)의 일단이 고정되는 레일프레임(10);
    물에 뜨는 몸체 상면에 돌기홈(21)이 형성되고, 돌기홈(21)에 고정홀(22)이 하측까지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고정홀(22)에 고정봉(16)이 삽입되어 너트(16-1)로 고정되는 부력체(20);
    사각형 프레임(31)의 중앙에 수평으로 벨트이동홀(33)이 형성되고, 프레임(31)의 네 모퉁이에 각각 두개의 롤러(34)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프레임(31)의 일측면 중앙에 망고정부(32)가 두개 돌출되어 형성되고, 프레임(31)의 양측면 상하로 측면롤러(35)가 횡방향 이동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망이동체(30);
    조작반(42)에 의해 컨트롤되는 모터(40)에 의해 구동되는 풀리(41)에 일측이 감겨지고, 타측은 드럼(18)에 고정되어 모터(40)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며, 레일프레임(10)의 벨트이동통로(13)와 레일통로(11)를 통하여 회전하되, 레일통로(11)에 서는 망이동체(30)의 벨트이동홀(33)을 관통하여 이동하고, 하천변에서 가장먼 망이동체(30)의 전후에 고정클립(44)이 끼워져 최외측 망이동체(30)가 고정되는 이송벨트(43);
    원형의 테두리와이어(52)에 주머니 형상으로 망(51)이 고정되고, 테두리와이어(52)가 벌어지도록 망이동체(30)의 망고정부(32)에 고정되는 거름망(50);
    레일프레임(10)의 상면에 다수개 형성되는 고리(61)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에 고리부(64)가 형성되어 앵커(62)의 머리부에 형성된 홈부(63)에 걸려 고정되며, 앵커(62)는 풀리(41)가 설치된 하천변의 상류쪽 지면에 박혀 고정되는 고정와이어(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의 부유물을 수거하기 위한 친환경적인 이동식 제거장치.
KR1020060054073A 2006-06-15 2006-06-15 하천의 부유물을 수거하기 위한 친환경적인 이동식제거장치 KR100620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4073A KR100620429B1 (ko) 2006-06-15 2006-06-15 하천의 부유물을 수거하기 위한 친환경적인 이동식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4073A KR100620429B1 (ko) 2006-06-15 2006-06-15 하천의 부유물을 수거하기 위한 친환경적인 이동식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0429B1 true KR100620429B1 (ko) 2006-09-06

Family

ID=37625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4073A KR100620429B1 (ko) 2006-06-15 2006-06-15 하천의 부유물을 수거하기 위한 친환경적인 이동식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042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3077A (ko) 2018-11-07 2020-05-18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하천의 부유물 수거장치
CN111986827A (zh) * 2020-08-19 2020-11-24 吉林大学 一种应用于深水的水下清洁装置
CN117947758A (zh) * 2024-03-27 2024-04-30 河南黄河水工机械有限公司 一种河道的自动清污浮排组件及其清污方法
CN117947758B (zh) * 2024-03-27 2024-06-11 河南黄河水工机械有限公司 一种河道的自动清污浮排组件及其清污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925Y1 (ko) 2001-08-18 2001-12-20 남기준 하천 부유물 수거장치
KR100565856B1 (ko) 2006-01-11 2006-03-30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하천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이동식 냄새제거장치
KR100593175B1 (ko) 2006-04-04 2006-06-28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하천의 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한 이동식 플로트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925Y1 (ko) 2001-08-18 2001-12-20 남기준 하천 부유물 수거장치
KR100565856B1 (ko) 2006-01-11 2006-03-30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하천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이동식 냄새제거장치
KR100593175B1 (ko) 2006-04-04 2006-06-28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하천의 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한 이동식 플로트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3077A (ko) 2018-11-07 2020-05-18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하천의 부유물 수거장치
CN111986827A (zh) * 2020-08-19 2020-11-24 吉林大学 一种应用于深水的水下清洁装置
CN111986827B (zh) * 2020-08-19 2024-04-12 吉林大学 一种应用于深水的水下清洁装置
CN117947758A (zh) * 2024-03-27 2024-04-30 河南黄河水工机械有限公司 一种河道的自动清污浮排组件及其清污方法
CN117947758B (zh) * 2024-03-27 2024-06-11 河南黄河水工机械有限公司 一种河道的自动清污浮排组件及其清污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3985B1 (ko) 소하천의 교량에 설치되는 하천 부유물 제거장치
US7179371B1 (en) Securable curb inlet filter
US6379541B1 (en) Stormwater sediment and litter trap
US6294095B1 (en) Silt filtration system
US20220298773A1 (en) Water inlet protection system
US5820751A (en) Water skimming apparatus for the control of sediment pollution
KR100624085B1 (ko) 교량의 교각에 설치되는 하천 부유물 수거장치
US6551505B2 (en) Environmental filter
US20040040901A1 (en) Continuous roll basin insert
KR100673986B1 (ko) 하천의 부유쓰레기 포집 기능이 있는 수중보
US20180112386A1 (en) Water inlet protection system
US9315961B2 (en) Self-anchoring turf reinforcement mat and reusable sediment filtration mat
KR101023537B1 (ko) 빗물 수질개선 처리 시스템
KR100620429B1 (ko) 하천의 부유물을 수거하기 위한 친환경적인 이동식제거장치
KR100593175B1 (ko) 하천의 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한 이동식 플로트장치
KR101111185B1 (ko) 경계겸용 초기 강우 정화 블록
CN105672456A (zh) 篦子悬挂型简易雨水过滤装置
CN212801900U (zh) 一种用于市政工程道路收水口的拦污清污装置
KR100835751B1 (ko) 하수구의 역류 방지장치
KR101291639B1 (ko) 악취가 방지되는 우수받이용 거름망
KR101126280B1 (ko) 우수받이
CN108797611A (zh) 一种用于渣土边坡的防堵塞排水管
KR100499612B1 (ko) 스크린 수로를 이용한 고형물 분리와 여과수 확보방법 및장치
KR200401146Y1 (ko) 배수용 그레이팅
JP2015081432A (ja) 泥溜部用土砂分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