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0029B1 - 환기 장치용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환기 장치용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0029B1
KR100620029B1 KR1020057008980A KR20057008980A KR100620029B1 KR 100620029 B1 KR100620029 B1 KR 100620029B1 KR 1020057008980 A KR1020057008980 A KR 1020057008980A KR 20057008980 A KR20057008980 A KR 20057008980A KR 100620029 B1 KR100620029 B1 KR 100620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indoor air
outdoor air
heat exchange
air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8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2076A (ko
Inventor
조민철
신수연
이성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7008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0029B1/ko
Publication of KR20050102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2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0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0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7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with both heat and humidity transfer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Abstract

본 발명은 실외 공기통로와 실내 공기통로에 연통되는 열교환기 하우징과, 환기 장치의 케이스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외주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상기 실외 공기통로를 통과하는 실외공기와, 상기 실내 공기통로를 통과하는 실내공기의 풍압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실외공기와 실내공기의 열교환 작용을 수행하는 열교환 소자들로 구성되어, 열교환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동기구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환기장치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소음 및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환기 장치용 열교환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환기 장치용 열교환기 {HEAT EXCHANGING SYSTEM OF VENTILATING DEVICE}
본 발명은 실내공기와 실외공기를 교환하여 실내를 환기시키는 환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환기할 때 실외로 배출되는 실내공기와 실내로 공급되는 실외공기 사이를 상호 열교환시키는 환기 장치의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기 장치는 오염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함과 아울러 실외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흡입하는 장치로서, 실외공기 중에 함유된 먼지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기 정화기와 실외로 토출되는 실내공기의 열을 실내로 흡입되는 실외 공기로 전달하는 열교환기가 구비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환기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환기 장치의 열교환기를 나타낸 도 1의 Ⅰ-Ⅰ선의 단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환기 장치는 실내와 실외를 구획하는 벽에 관통되어 장착되고, 그 일측은 실외에 위치되고 타측은 실내에 위치되는 케이스(102)과, 상기 케이스(102)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사이의 열교환 작용을 수행하는 열교환기(104)와, 상기 케이스(102)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열교환기(104)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기구(106)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02)의 내부에는 실외공기가 통과하는 실외 공기통로(108)와 실 내공기가 통과하는 실내 공기통로(110)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02)의 실외에 위치되는 일측면에는 실외공기가 흡입되는 실외 흡입구(112)와 실내 공기가 실외로 토출되는 실외 토출구(114)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02)의 실내측에 위치되는 타측면에는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실내 흡입구(116)와 실외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는 실내 토출구(118)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실외 공기통로(108)에는 상기 실외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력을 부여하는 제1송풍팬(120)이 설치되고, 상기 실내 공기통로(110)에는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력을 부여하는 제2송풍팬(124)이 설치된다.
상기 열교환기(10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2)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130)과, 상기 회전축(130)에 끼워져 고정되고 원통형태로 형성되는 허브(hub:132)와, 상기 허브(132)에 방사상으로 장착되어 실외로 토출되는 실내공기의 함유된 열을 흡수하여 실내로 흡입되는 실외공기에 전달하는 열교환 소자(13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케이스(102)의 일측에 고정되는 구동모터(140)와, 상기 구동모터(140)에 연결되는 구동풀리(142)와,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는 피동풀리(144)와, 상기 구동풀리(142)와 피동풀리(144) 사이에 감겨지는 벨트(146)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환기장치의 작용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종래의 환기 장치는 동작 스위치가 온(ON)되면 제1송풍팬(120)과 제2송풍팬 (124)이 구동되어 상기 실외 공기통로(108)를 통해 실외 공기가 실내로 공급되고, 상기 실내 공기통로(110)를 통해 실내 공기가 실외로 토출된다.
그리고, 구동모터(140)가 구동되어 구동풀리(142) 및 벨트(146) 그리고 피동풀리(146)에 의해 회전축(130)이 회전되면 허브(132)와 같이 열교환 소자(134)가 회전되면서 실외로 토출되는 실내공기에 함유된 열을 흡수하여 상기 실내로 흡입되는 실외공기에 전달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환기장치의 열교환기는 열교환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기구 및 상기 구동기구의 구동력을 상기 열교환기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기구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증대되고 설치 공간을 필요로 하여 환기 장치의 크기가 커지고, 구동 모터의 구동에 따른 소음 및 진동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가 흐르는 풍압에 의해 열교환기가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열교환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동기구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환기장치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소음 및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환기 장치용 열교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환기 장치용 열교환기는 실외 공기통로와 실내 공기통로에 연통되는 열교환기 하우징과; 환기 장치의 케이스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외주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상기 실외 공기통로를 통과하는 실외공기와, 상기 실내 공기통로를 통과하는 실내공기의 풍압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실외공기와 실내공기의 열교환 작용을 수행하는 열교환 소자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교환기의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는 상기 열교환 소자들의 내면이 장착되는 허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교환기의 상기 열교환 소자들은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곡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교환기의 상기 열교환 소자의 외면에는 상기 열교환 소자들이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리브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교환기의 상기 열교환 소자들은 곡면의 안쪽면이 상기 실외공기가 흐르는 방향과 상기 실내공기가 흐르는 방향과 각각 대향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교환기의 상기 열교환 소자는 부직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환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환기 장치의 열교환기를 나타낸 도 1의 Ⅰ-Ⅰ선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의 열교환기를 나타낸 도 4의 Ⅲ-Ⅲ 선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실외공기통로 4 : 실내공기통로
6 : 케이스 8 : 열교환기
10 : 제1송풍팬 12 : 제2송풍팬
16 : 실외흡입구 18 : 실외토출구
20 : 실내토출구 22 : 실내흡입구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환기 장치용 열교환기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환기 장치용 열교환기의 실시 예로서는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환기 장치는 실외와 실내를 구획하는 벽에 관통되게 장착되고 실외공기가 통과하는 실외 공기통로(2)와 실내공기가 통과하는 실내 공기통로(4)가 각각 형성되는 케이스(6)와, 상기 케이스(6)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사이의 열교환 작용을 수행하는 열교환기(8)와, 상기 실외 공기통로(2) 및 실내 공기통로(4)에 각각 장착되어 송풍압을 제공하는 제1 및 제2송풍팬(10,12)으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6)는 상기 실외 공기통로(2)와 실내 공기통로(4)를 구획하는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6)의 실외측에 위치되는 측면에는 상기 실외 공기통로(2)와 연결되어 실외 공기가 흡입되는 실외 흡입구(16)와 상기 실내 공기통로(4)와 연결되어 실내공기가 실외로 토출되는 실외 토출구(18)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6)의 실내측에 위치되는 측면에는 실외공기 통로(2)와 연결되어 실외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는 실내 토출구(20)와 상기 실내공기 통로(4)와 연결되어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실내 흡입구(22)가 형성된다.
상기 열교환기(8)는 상기 실외 공기통로(2)와 실내 공기통로(4) 사이에 상호 연통되게 형성되는 열교환기 하우징(30)과, 상기 케이스(6)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32)과, 상기 회전축(32)에 고정되고 열교환기 하우징(30)에 내장되어 실외 공기와 실내공기의 송풍압에 의해 회전되면서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사이의 열교환 작용을 수행하는 다수의 열교환 소자들(34)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32)은 그 양쪽이 각각 상기 케이스(6)의 일측에 베어링들(36)이 개재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회전축(32)의 외주면에는 상기 열교환 소자(34)의 내면이 장착되는 허브(38)가 고정되고, 상기 열교환 소자들(34)의 외면에는 상기 열교환 소자들(34)의 외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리브(40)가 장착된다.
상기 열교환 소자(34)는 일정 두께를 갖고 일정 곡면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허브(38)의 외주면에 등 간격을 두고 원주방향으로 장착되고, 상기 지지리브(40)에 의해 그 외면이 지지된다.
즉, 상기 열교환 소자들(34)은 곡면의 안쪽면이 상기 실내공기와 실외공기가 흐르는 방향과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실내공기 및 실외공기의 풍압에 의해 회전된다.
이와 같은 열교환 소자들(34)는 실내공기에 함유된 열을 흡수하기 용이한 재질로 형성되며, 특히 부직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 장치의 작용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사용자가 환기 장치의 작동 스위치를 온시키면 제1 및 제2송풍팬(10,12)이 구동된다. 상기 제1송풍팬(10)의 구동되면 실외공기가 실외 흡입구(16)로 흡입되어 실외 공기통로(2)를 통과하여 실내 토출구(20)를 통해 실내로 공급된다. 그리고, 제2송풍팬(12)이 구동되면 실내공기가 실내 흡입구(22)로 흡입되어 상기 실내 공기통로(4)를 통과하여 실외 토출구(18)를 통해 실외로 토출된다.
이때, 상기 실외 공기통로(2)를 통과하는 실외공기와 상기 실내 공기통로(4)를 통과하는 실내공기가 각각 상기 열교환 소자들(34)의 정면에 부딪히면 상기 열교환소자들(34)이 상기 회전축(32)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공기가 열교환 소자들(34)에 부딪히면 상기 열교환 소자들(34)은 실내공기에 함유된 열을 흡수하고, 상기 실내공기의 열을 흡수한 열교환 소자들(34)이 회전되면서 상기 실외공기가 부딪히면 상기 실외 기에 열을 전달하여 상기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사이의 열교환 작용을 수행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의한 환기 장치의 열교환기는 열교환기가 실외 공기통로와 실내 공기통로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실외 공기통로를 통과하는 실외공기의 풍압과 상기 실내 공기통로를 통과하는 실내공기의 풍압에 의해 회전되면서 열교환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열교환기를 회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동기구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고 환기 장치의 전체크기를 줄일 수 있고, 소음 및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실외 공기통로와 실내 공기통로에 연통되는 열교환기 하우징과;
    환기 장치의 케이스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외주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상기 실외 공기통로를 통과하는 실외공기와, 상기 실내 공기통로를 통과하는 실내공기의 풍압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실외공기와 실내공기의 열교환 작용을 수행하는 열교환 소자들을 포함하는 환기 장치용 열교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는 상기 열교환 소자들의 내면이 장착되는 허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용 열교환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소자들은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곡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용 열교환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소자의 외면에는 상기 열교환 소자들이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리브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용 열교환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소자들은 곡면의 안쪽면이 상기 실외공기가 흐르는 방향과 상기 실내공기가 흐르는 방향과 각각 대향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용 열교환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소자는 부직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용 열교환기.
KR1020057008980A 2005-05-18 2002-12-06 환기 장치용 열교환기 KR100620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08980A KR100620029B1 (ko) 2005-05-18 2002-12-06 환기 장치용 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08980A KR100620029B1 (ko) 2005-05-18 2002-12-06 환기 장치용 열교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2076A KR20050102076A (ko) 2005-10-25
KR100620029B1 true KR100620029B1 (ko) 2006-09-06

Family

ID=37280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8980A KR100620029B1 (ko) 2005-05-18 2002-12-06 환기 장치용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00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021B1 (ko) * 2004-08-30 2006-09-20 김봉환 가변형 열교환 환기장치
KR101144373B1 (ko) * 2005-11-01 2012-05-10 (주)귀뚜라미 폐열회수 환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2076A (ko) 2005-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6261B2 (en) Heat exchanging system of ventilating device
KR100628042B1 (ko) 환기시스템
EP1318356B1 (en) Air conditioner
KR100620029B1 (ko) 환기 장치용 열교환기
JP4599771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02089902A (ja) 空気調和機
KR100503674B1 (ko) 드럼형 열교환기
JP2004347282A (ja) 空気調和機
KR200274979Y1 (ko) 창문일체형 고정식 열교환 환기장치
JP4083496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0161074B1 (ko) 공기조화기
JP2001124373A (ja) 加湿装置
CN219674380U (zh) 一种热回收除湿设备
EP1680629B1 (en) Ventilator
KR101028950B1 (ko) 환기장치
JP2004069173A (ja) 空気調和機
JP2004353966A (ja) 空気調和機
WO2022156233A1 (zh) 空调室内机和空调
KR20030067206A (ko) 전열식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환기장치
KR200260523Y1 (ko) 환기장치
CN107345689B (zh) 空气处理装置、空调室内机和空调器
KR100535673B1 (ko) 공기조화기의 환기 유닛
JP2004053198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および空気調和機
KR200274949Y1 (ko) 전열식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환기장치
JP2004347251A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