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9939B1 - 토사 및 산업폐기물의 고화 조성물 - Google Patents

토사 및 산업폐기물의 고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9939B1
KR100619939B1 KR20050070705A KR20050070705A KR100619939B1 KR 100619939 B1 KR100619939 B1 KR 100619939B1 KR 20050070705 A KR20050070705 A KR 20050070705A KR 20050070705 A KR20050070705 A KR 20050070705A KR 100619939 B1 KR100619939 B1 KR 100619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weight
industrial waste
composition
conta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70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갑석
Original Assignee
(주)삼창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창뉴텍 filed Critical (주)삼창뉴텍
Priority to KR20050070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99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9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99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8Acids or salts thereof
    • C04B22/12Acids or salts thereof containing halogen in the anion
    • C04B22/122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8Acids or salts thereof
    • C04B22/12Acids or salts thereof containing halogen in the anion
    • C04B22/124Chlorides of ammonium or of the alkali or alkaline earth metals, e.g. calcium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26Bituminous materials, e.g. tar, pitc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40Surface-active agents, dispersants
    • C04B2103/404Surface-active agents, dispersants cation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사 및 산업폐기물의 고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소량의 시멘트 및 토사, 산업폐기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첨가되어, 형성되는 고형체의 밀도, 강도 및 탄성을 증대시키며 내구성, 차수성을 강화시키고 경화 속도를 단축시킬 수 있으며, 토사 및 산업폐기물을 석재 대용으로 재활용할 수 있게 하여, 토목 또는 건축공사 현장에서 손쉽게 재료원을 확보할 수 있어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자연환경 보전에도 기여할 수 있다.
토사, 산업폐기물, 건축공사, 토목공사, 고화, 경화

Description

토사 및 산업폐기물의 고화 조성물{Composition for solidifying soil and industrial wastes}
본 발명은 토사 및 산업폐기물의 고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강토, 이토, 강모래, 바다모래 등의 토사 및 슬래그, 분슬래그, 폐콘크리트, 슬러지 등의 산업폐기물의 단일 또는 혼합물과 소량의 시멘트에 첨가되어, 석재 대용으로 사용 가능한 물성을 갖는 토사 및 산업폐기물의 고화체를 형성할 수 있는 토사 및 산업폐기물의 고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토목공사 및 건설사업 수행시 양질의 건설재료 확보 어려움으로 인해 공사기간이 지연되어 경비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건설자재 확보를 위하여 석산개발을 하거나 하천, 해상 등에서 골재채취를 함으로써 자연환경을 훼손하고 생태계를 교란시키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존 항만매립 공법, 기존 아스팔트 및 콘크리트 포장공법 등에서는 석재 등의 입상재료를 사용하므로 채석을 위하여 산야를 훼손하고 있고, 채석, 운반, 깨기 작업이 공사비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그 외에도, 대부분의 하천제방 축조공법에서는 일반토사를 사용하므로 수류의 압력에 의한 세굴 작용으로 내구성과 안전성이 결여되어 제방의 붕괴로 인한 수 해 및 질병 확산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기존 연약지반 개량공법의 경우 공사비가 고가이며 사용재료의 손실율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전역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토사 및 산업폐기물을 각종 토목공사 및 기타 건설사업에 석재 대용으로 재활용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어 왔다.
이러한 방안으로서, 종래에 시멘트 안정처리공법(cement stabilization) 및 LAC(Lignin Rosin Asphalt Concrete)공법 등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으나, 마무리 양생시간이 길어 조기 압축강도를 얻기 힘들며, 압축강도 또한 100kgf/㎠ 이하로 낮아 사용할 수 있는 분야가 도로건설의 보조기층재 등에 국한되어 있어서 활용성이 매우 낮다.
또 다른 방법으로 한국특허공개 제1996-29280호에 경화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산업폐기물 및 토양혼합물을 경화하는 방법이 게시되어 있다. 이때 사용된 경화제 조성물은 탄산나트륨 25%, 염화가리 25%, 탄산마그네슘 15%, 염화암모늄 10%, 규산화가리 8%, 실리케이트 7%, 황산철 5% 및 산화티탄 5%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화제는 산업폐기물과 토양의 혼합물을 고화하기에 적합한 조성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탄산나트륨과 염화가리를 주성분으로 사용함으로써 제조비용이 고가이며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고화체의 강도 또한 크게 향상되지 못하여, 고화체의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고화제 개발이 요구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석재는 항만 및 해안 분야, 도로 및 공항 분야, 수자원 개발 분야, 토질 분야, 토목 분야 등 그 사용범위가 광범위하지만 자원은 한정 되어 있으므로, 대용으로서 건설 현장 발생량이 많아 쉽게 취득 가능한 산업폐기물 및 화강토 등의 토사를 재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를 거듭한 결과, 본 발명의 고화 조성물을 토사, 산업폐기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소량의 시멘트에 혼합하여 고화할 경우, 밀도, 강도 및 탄성이 증대되고, 내구성 및 차수성이 우수하며 경화속도가 단축되어 석재 대용으로 건축자재, 토목공사자재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토양 및 산업폐기물 고화체를 제공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토사, 산업폐기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및 소량의 시멘트와 함께 사용되어, 석재 대용으로 사용가능한 물성을 갖는 고화체를 제조할 수 있는 경화 또는 고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토사 및 산업폐기물의 고화 조성물은 유화아스팔트 25~35중량%, 아스팔트용 유화제 0.05~0.20중량%, 염산 0.1~0.3중량%, 염화칼슘 0.01~0.05중량%, 리그닌 0.1∼0.5중량%, 올레인산 0.01~0.05중량%, 계면활성제 0.005~0.030중량% 및 잔량으로서 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토사 및 산업폐기물의 고화 조성물은 유화아스팔트, 아스팔트용 유화제, 염산, 염화칼슘, 리그닌, 올레인산, 계면활성제 및 물을 함유하도록 구성되어, 토사 및 산업폐기물에 효과적인 강도를 부여하며 건조수축으로 인한 균열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들 성분 중 유화아스팔트는 토사 또는 산업폐기물, 시멘트 및 고화제로 이루어지는 혼합 입자의 탄력성과 안정성을 증대시키고 표면 방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비이온계 유화 아스팔트도 가능하지만, 안정성이나 접착성을 고려할 때 양이온계 유화아스팔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5중량% 미만의 양으로 함유될 경우에는 입자간의 탄력성 저하로 안정성 및 부착성이 결여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35중량% 초과의 양으로 함유될 경우에는 제품비용을 증대시키고 강도 저하 현상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므로, 고화제 총 중량에 대하여 25~35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8.0∼30.0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아스팔트용 유화제는 높은 유화성으로 인해 양호한 분해성을 가지며 혼합용 아스팔트 유제로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양이온계 또는 비이온계 유화제 중 어느 것이라도 사용 가능하다. 0.05중량% 미만의 양으로 함유될 경우 아스팔트 등을 유화시키지 못 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0.20중량% 초과의 양으로 함유될 경우 제품비용을 증대시키고 유화기능이 오히려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므로, 고화제 총 중량에 대하여 0.05~0.20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10∼0.15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염산은 아스팔트용 유화제와 혼합되어 분산 및 분해를 수행하며 혼합 정제를 위해 사용된다. 0.1중량% 미만의 양으로 함유될 경우 분산 및 분해가 원활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0.3중량% 초과의 양으로 함유될 경우 환경적인 저해 요소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므로, 고화제 총 중량에 대하여 0.1~0.3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20∼0.25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염화칼슘은 시멘트와 혼합하여 흡수성을 촉진하고 동결을 방지하는 촉매제 역할을 한다. 0.01중량% 미만의 양으로 함유될 경우 수분과의 원활한 수용이 되지 않아 동결 방지효과가 약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0.05중량% 초과의 양으로 함유될 경우 무수물이 다량 발생하여 고화제가 액상을 이루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므로, 고화제 총 중량에 대하여 0.01~0.05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0.03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리그닌은 토사, 산업폐기물, 시멘트 등 혼합물질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며 시멘트와 혼합물질을 결합하여 강도를 증대시킨다. 0.1중량% 미만의 양으로 함유될 경우 입자분산을 저해하며 재료의 완성 후 강도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0.5중량% 초과의 양으로 함유될 경우 재료의 특성상 3차원 망상구조이므로 다른 물질의 화학적 반응을 저해시키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므로, 고화제 총 중량에 대하여 0.1∼0.5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25∼0.35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올레인산은 지방산 계면활성제의 일종으로 유화제로서 사용되며, 다른 물질이 혼합입자에 흡수가 잘 되게 하며 혼합입자 내면에 침투하여 내면 방수성을 좋게 하고 결빙 기온에서의 응고 현상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0.01중량% 미만의 양 으로 함유될 경우 방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0.05중량% 초과의 양으로 함유될 경우 부유물을 형성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므로, 고화제 총 중량에 대하여 0.01~0.05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0.03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계면활성제는 기포성을 증대시키고 분산력을 활성화하며 유화제로서 시공성을 양호하게 하는 것으로, 양이온 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고화제 총 중량에 대하여 0.005중량% 미만의 양으로 함유될 경우 기포성이 저하되어 고화제에 표면장력이 발생하여 유화가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0.030중량% 초과의 양으로 함유될 경우 제품비용을 증대시키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므로, 고화제 총 중량에 대하여 0.005~0.030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0.02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물은 함수비의 적응력을 수용하여 앞서의 성분들을 제외한 잔량을 차지하도록 함유된다. 물이 지나치게 소량 함유될 경우 유화 분산이 제대로 일어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과량 함유될 경우 혼합물 입자간 접착성, 방수력 및 강도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므로, 물의 함유량 또한 적합한 범위로 조절하여야 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고화제 총 중량에 대하여 약 70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앞서의 성분을 혼합하여 제조된 본 발명의 고화 조성물은 소량의 시멘트와 함께 첨가되어 토사 및 산업폐기물을 고화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토사로는 화강 토, 이토, 강모래, 바다모래, 자연토사 등을 포함하여 통상 토사류라고 분류되는 것이라면 제한됨이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화강토 단일 또는 화강토와 그 외 토사류와의 혼합물이 가장 바람직하다. 산업폐기물은 일반적으로 산업체에 의해 점유된 건물 또는 구역 내에서 발생한 불필요한 잉여물이라는 의미로 사용되는 것이며, 폐기물로 관리되는 것은 폐유를 포함한 고체상태의 폐기물에 한정하는 것이 일반적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사업활동에 수반되어 발생하는 오니(汚泥), 잔재물(殘滓物), 화산재, 환경폐기물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광의의 폐기물로 분류되는 것이라면 한정됨이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용광로에서 발생되는 슬래그, 분슬래그, 폐콘크리트, 각종 광물의 선광 후 폐기되는 슬러지 등의 단일 또는 혼합물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토사 및 산업폐기물은 각각의 단일 또는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토사와 산업폐기물의 혼합물 또한 사용 가능하다.
토사 또는 산업폐기물의 단일 또는 혼합물과 소량의 시멘트에 본 발명의 고화 조성물을 첨가하여 제조되는 고화체는 밀도, 강도 및 탄성이 증대되고, 고온에서의 구조적인 내구성 및 차수성이 우수하며, 경화속도 또한 단축되어 석재 대용으로 토목 또는 건설공사 전반에 걸쳐 사용할 수 있다.
<시험예 1>
고화 조성물을 혼합하여 제작된 토사 또는 산업폐기물 공시체의 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이하 제조예에서 대표시료로서 사용되는 화강토, 슬래그, 분슬래그, 슬러지 및 폐콘크리트의 기본적인 물성을 하기 표 1의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하여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대표시료는 각 시험을 위하여 실험실에 반입된 각각의 재료를 4분법 하여 추출하였다.
기본 물성 시험방법
함수량 KS F 2306
비중 KS F 2308
액성한계 KS F 2303
소성한계 KS F 2304
입도 KS F 2302
체분석 KS F 2309
시료 함수량 (Wn) (단위: %) 비중 (Gs) (단위:ton/㎥) 액성한계 (LL) (단위: %) 소성한계 (PI) (단위: %) #200번 체통과량 (단위: %) 입도 (USCS)
화강토 19.6 2.65 29.1 13.6 12.9 모래질 조립토
슬래그 15.8 3.05 - - 0.60 -
분슬래그 14.3 3.05 - - 7.52 -
슬러지 16.4 3.01 - - 62.8 -
폐콘크리트 13.4 2.98 - - 2.07 -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 고화 조성물
유화아스팔트(AP-3; 한국유제 제품, 한국 소재), 아스팔트용 유화제(Farmin ST-7; Kao Corp. 제품, 일본 소재), 염산, 염화칼슘, 리그닌, 올레인산, 계면활성제(NP-8; 영창케미칼제품, 한국 소재) 및 물을 하기 표 3의 함량이 되도록 각각의 성분을 정량한 후 균질혼합기(Homogenizers) 등을 사용하여 물리적 결합을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유화아스팔트는 130℃로 가열하고 그 외의 성분은 80℃로 가열하여 물리적 결합이 되도록 유화, 분산시켜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고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중량%)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유화아스팔트 29.3821 25.000 35.000 40.000 29.3821
아스팔트용 유화제 0.1365 0.1175 0.1565 0.1365 0.1365
염산 0.226 0.1959 0.2608 0.226 0.226
염화칼슘 0.0283 0.0245 0.0326 0.0283 0.0283
리그닌 0.2938 0.2546 0.3390 0.2938 0.05
올레인산 0.0253 0.0219 0.0292 0.0253 0.0253
계면활성제 0.0141 0.0122 0.0162 0.0141 0.0141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제조예 1 내지 15 및 비교제조예 1 내지 2> 공시체 제작
하기 표 4의 조성으로 포틀랜드 시멘트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미리 준비된 고화 조성물을 혼합한 후, 양 측면 2개의 이음매를 가진 원통형의 강제몰드에 각각의 시료(토사 또는 산업폐기물)를 투입하여 3층 25씩 다져서 직경 50㎜, 높이 100㎜인 공시체를 제작하였다. 이때 이음매와 상하단부에 누수나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였으며 몰드내면에는 광물성 기름을 발라 양생 후 쉽게 몰드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후 7일간 수침을 통해 양생하였다. 7일의 양생기간이 종료된 후 공시체를 몰드로부터 분리하여 상하단부를 평면도 0.05㎜ 이내가 되도록 연마하였다. 이때 사용된 토사 및 산업폐기물은 시험예 1에서 대표시료로 사용된 것을 사용하였다.
성분 (단위: 중량%) 제조예 비교제조예
1 2 3 1 2
고화 조성물 실시예 1 10 - - - -
실시예 2 - 10 - - -
실시예 3 - - 10 - -
비교예 1 - - - 10 -
비교예 2 - - - - 10
시멘트 포틀랜드 시멘트 10 15 20 15 15
토사 또는 산업폐기물 화강토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성분 (단위: 중량%) 제조예 비교제조예
4 5 6 7 8 9 3 4
고화 조성물 실시예 1 10 - - 10 - - - -
실시예 2 - 10 - - 10 - - -
실시예 3 - - 10 - - 10 - -
비교예 1 - - - - - - 10 -
비교예 2 - - - - - - - 10
시멘트 포틀랜드 시멘트 10 15 20 10 15 20 15 15
토사 또는 산업폐기물 슬래그 잔량 잔량 잔량 - - - 잔량 잔량
분슬래그 - - - 잔량 잔량 잔량 - -
성분 (단위: 중량%) 제조예
10 11 12 13 14 15
고화 조성물 실시예 1 10 - - 10 - -
실시예 2 - 10 - - 10 -
실시예 3 - - 10 - - 10
비교예 1 - - - - - -
비교예 2 - - - - - -
시멘트 포틀랜드 시멘트 10 15 20 10 15 20
토사 또는 산업폐기물 폐콘크리트 잔량 잔량 잔량 - - -
슬러지 - - - 잔량 잔량 잔량
<시험예 2>
제조예 1 내지 15 및 비교제조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공시체 각각을 7일 및 28일 양생 후 KS F 2405에 따라 시험기의 강성가압판의 상하압축면을 청소하고 제작된 공시체의 중심축이 가압판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놓은 후 공시체에 충격을 주지 않도록 일정한 속도로 하중을 가하였다. 하중을 가하는 속도는 압축응력의 증가가 매초 2∼3kgf/㎠가 되도록 하였으며, 공시체가 급격한 변형을 시작한 후에는 하중을 가하는 속도의 조정을 중지하고 하중을 계속 가하여 일축압축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일축압축강도 (단위: kgf/㎠)
7일 양생시 28일 양생시
제조예 1 149.27 247.01
제조예 2 187.39 296.90
제조예 3 190.11 300.41
제조예 4 102.12 182.96
제조예 5 139.42 233.88
제조예 6 150.61 248.78
제조예 7 92.23 169.05
제조예 8 124.47 217.79
제조예 9 142.24 237.65
제조예 10 85.14 158.95
제조예 11 118.48 205.55
제조예 12 136.66 230.18
제조예 13 63.26 126.88
제조예 14 84.48 158.01
제조예 15 94.95 172.90
비교제조예 1 59.86 104.76
비교제조예 2 62.83 114.97
비교제조예 3 40.95 73.71
비교제조예 4 42.98 77.79
상기 표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화 조성물을 처리한 화강토(제조예 1∼3)의 압축강도가 전반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슬래그(제조예 4∼6), 분슬래그(제조예 7∼9), 폐콘크리트(제조예 10∼12), 슬러지(13∼15) 순으로 압축강도가 점차적으로 낮아졌다. 화강토를 이용한 제조예 1∼3의 경우 28일 양생시 압축강도가 250∼300kgf/㎠에 이르렀다. 또한, 슬래그, 분슬래그, 폐콘크리트 또는 슬러지를 사용하고 시멘트를 겨우 10중량% 첨가한 제조예 4, 7, 10 및 13의 경우에도 압축강도가 적어도 120kgf/㎠ 이상이며, 시멘트를 15중량% 사용한 경우에는 전반적으로 압축강도가 적어도 150kgf/㎠ 이상이었다. 반면, 유화아스팔트를 과량 함유하는 고화 조성물을 사용한 화강토 공시체인 비교제조예 1, 슬래그 공시체인 비교제조예 3 및 리그닌을 소량 함유하는 고화 조성물을 사용한 화강토 공시체인 비교제조예 2, 슬래그 공시체인 비교제조예 4의 경우 7일 양생시 압축강도가 겨우 40∼65kgf/㎠이었다.
상기 표들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양생기간, 시멘트 및 고화제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강도를 갖는 고화체를 제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고화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고화체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가능하다.
<제조예 16 및 17> 공시체 제작
하기 표 8의 조성으로 사용된다는 점만을 달리하고는 제조예 1 내지 15의 공시체 제작 방법에 따라 제조예 16 및 17의 공시체를 제작하였다.
성분 (단위: 중량%) 제조예
16 17
고화 조성물 실시예 1 8 8
시멘트 포틀랜드 시멘트 15 10
토사 또는 산업폐기물 슬래그 잔량 잔량
<시험예 3> 공시체의 품질 측정
상기 제조예 16 및 17에서 제조된 공시체의 점재하강도 등을 서울시립대학교 지반공학연구실에 의뢰하여 재령 1일 경과 후 측정하고, 그 시험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점재하강도Is(50) 약면방향강도비 Ia(50) γt 점하중 최대 점하중
수평 수직 임의 Qu Qumax
단위 kgf/㎠ kgf/㎠ kgf/㎠ g/㎤ kg/㎠ kg/㎠ kg/㎠ kg/㎠
제조예 16 5.12 15.08 2.84 2.95 2.08 112.6 331.8 62.6 331.8
제조예 17 6.60 9.03 1.73 1.37 2.29 145.2 198.6 38.0 198.6
상기 표 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시멘트 15중량%만을 사용한 제조예 16에서도 공시체의 강도가 높게는 331.8kgf/㎠를 나타내므로 내구성이 우수하며, 조기에 경화하므로 생산성 또한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의 제조예로서 토사 또는 산업폐기물 단일물만을 사용하여 공시체를 제조하였으나, 본 발명의 고화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는 고화체는 이들 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토사 혼합물, 산업폐기물 혼합물, 토사와 산업폐기물 혼합물을 사용한 것에도 적용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고화 조성물은 시멘트 및 토사, 산업폐기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소정 조성으로 혼합되어 고화된 후 양생과정을 거치면, 항만 및 해안분야의 해안매립공사, 도로 및 공항분야의 도로 기층 및 보조기층과 활주로 및 항공기 이송로의 기층 등에 적용할 수 있으며, 수자원개발 분야에서는 하천제방의 축조와 보수, 토사댐의 축조 등에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토사댐 축조시 과거 심벽을 수밀성이 있는 진흙을 쓰던 것을 대체할 수 있으므로 진흙을 구하기 위하여 환경을 저해하던 것을 예방할 수 있다. 그 외에 토질 및 기초분야에서 연약지반 치환 및 개량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화 조성물은 소량의 시멘트 및 토사, 산업폐기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첨가되어, 형성되는 고형체의 밀도, 강도 및 탄성을 증대시키며 내구성, 차수성을 강화시키고 경화 속도를 단축시킬 수 있으며, 토사 및 산업폐기물을 석재 대용으로 재활용할 수 있게 하여, 토목 또는 건축공사 현장에서 손쉽게 재료원을 확보할 수 있어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자연환경 보전에도 기여할 수 있다.

Claims (2)

  1. 유화아스팔트 25~35중량%, 아스팔트용 유화제 0.05~0.20중량%, 염산 0.1~0.3중량%, 염화칼슘 0.01~0.05중량%, 리그닌 0.1∼0.5중량%, 올레인산 0.01~0.05중량%, 계면활성제 0.005~0.030중량% 및 잔량으로서 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 및 산업폐기물의 고화 조성물.
  2. 제1항에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양이온 계면활성제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계면활성제임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 및 산업폐기물의 고화 조성물.
KR20050070705A 2005-08-02 2005-08-02 토사 및 산업폐기물의 고화 조성물 KR100619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70705A KR100619939B1 (ko) 2005-08-02 2005-08-02 토사 및 산업폐기물의 고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70705A KR100619939B1 (ko) 2005-08-02 2005-08-02 토사 및 산업폐기물의 고화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9939B1 true KR100619939B1 (ko) 2006-09-06

Family

ID=37625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70705A KR100619939B1 (ko) 2005-08-02 2005-08-02 토사 및 산업폐기물의 고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993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393B1 (ko) 2007-06-01 2008-08-14 이갑석 토사 및 산업폐기물의 고화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한 토사및 산업폐기물의 고화체
US7517405B2 (en) 2007-06-01 2009-04-14 Charista Global Corp Composition for solidifying soil and industrial waste
KR101000324B1 (ko) 2009-07-14 2010-12-13 유재택 토사와 해사를 이용한 경화체
CN106477997A (zh) * 2016-11-03 2017-03-08 天津城建大学 一种采用乳化沥青固化盐渍土的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393B1 (ko) 2007-06-01 2008-08-14 이갑석 토사 및 산업폐기물의 고화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한 토사및 산업폐기물의 고화체
US7517405B2 (en) 2007-06-01 2009-04-14 Charista Global Corp Composition for solidifying soil and industrial waste
KR101000324B1 (ko) 2009-07-14 2010-12-13 유재택 토사와 해사를 이용한 경화체
CN106477997A (zh) * 2016-11-03 2017-03-08 天津城建大学 一种采用乳化沥青固化盐渍土的方法
CN106477997B (zh) * 2016-11-03 2019-01-25 天津城建大学 一种采用乳化沥青固化盐渍土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8151B1 (ko) 토사, 산업폐기물, 해사와 사막모래의 경화체 및 그것의 제조방법
KR100852393B1 (ko) 토사 및 산업폐기물의 고화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한 토사및 산업폐기물의 고화체
Kumar et al. Long term studies on the utilisation of quartz sandstone wastes in cement concrete
KR100852391B1 (ko) 토사 및 산업폐기물의 고화 조성물
Lo et al. Comparison of work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self-compacting lightweight concrete and normal self-compacting concrete
KR100639298B1 (ko) 토사 및 산업폐기물의 고화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한 토사 및 산업폐기물의 고화체
KR100619939B1 (ko) 토사 및 산업폐기물의 고화 조성물
Palanisamy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self-compacting concrete with waste marble and granite as fine aggregate
KR100632356B1 (ko) 토사 및 폐콘크리트의 안정강화제 조성물
Tripura et al. Suitability of recycled aggregate as a replacement for natural aggregate in construction
Afolayan et al. Effects of partial replacement of normal aggregates with lateritic stone in concrete
US20220048817A1 (en) Low buoyancy cellular concrete
KR101666074B1 (ko) 고함수비의 점성준설토를 이용하여 준설과 동시에 급속부지 조성이 가능하도록 하는 급속부지 조성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급속부지 조성방법
KR100877589B1 (ko) 토사 및 산업폐기물의 고화용 조성물
KR102160579B1 (ko) 경화용 조성물
KR100632357B1 (ko) 토사 및 폐콘크리트의 안정화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안정화된 토사 또는 폐콘크리트 고화체
Wasiu et al. Influence of chemical polymer Additive on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expanded polystyrene concrete
Mishra et al. Partial Replacement of Fine Aggregate by Glass Powder in Concrete
Babu et al. Mechanical properties of high strength concrete with processed recycled aggregate—Influence of mixing techniques
KR101000324B1 (ko) 토사와 해사를 이용한 경화체
KR101766219B1 (ko) 고화용 조성물, 고화용 조성물을 이용한 고화체, 및 그 제조 방법
Bhat et al. Comparative Evaluation of Partial Substitution Mixture of Fine and Coarse Aggregates with Brick Kiln Powder and Recycled Coarse Aggregates in Rigid-pavement Based Cement-concrete Roads
Bansal et al. Review on Use of Stone Dust as a Partial Replacement of Fine Aggregates in concrete as a Rigid Pavement
KR101217744B1 (ko) 폐석고를 이용한 고강도 콘크리트 조성물
TAFESE USE OF MUNICIPAL SOLID WASTE INCINERATOR BOTTOM ASH WITH STONE DUST AS PARTIAL REPLACEMENT OF FINE AGGREGATE IN CONCRE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