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9845B1 - Clock source apparatu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ler - Google Patents

Clock source apparatu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9845B1
KR100619845B1 KR1020040022399A KR20040022399A KR100619845B1 KR 100619845 B1 KR100619845 B1 KR 100619845B1 KR 1020040022399 A KR1020040022399 A KR 1020040022399A KR 20040022399 A KR20040022399 A KR 20040022399A KR 100619845 B1 KR100619845 B1 KR 100619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p
controller
clock generator
clock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23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96733A (en
Inventor
이범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2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9845B1/en
Priority to CNA200410091505XA priority patent/CN1678103A/en
Publication of KR20050096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67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9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98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30Devices which can set up and transmit only one digit at a time
    • H04M1/31Devices which can set up and transmit only one digit at a time by interrupting current to generate trains of pulses; by periodically opening and closing contacts to generate trains of pulses
    • H04M1/40Devices which can set up and transmit only one digit at a time by interrupting current to generate trains of pulses; by periodically opening and closing contacts to generate trains of pulses wherein the setting-operation short-circuits or open-circuits the transmitting mechanism during a variable part of a cy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기의 클럭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 주 제어부의 슬립 시간 측정을 위한 클럭을 제공하는 슬립 클럭 발생부가 불필요하게 동작을 하지 않도록 하여 전원 소모를 줄이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기의 클럭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 클럭 발생부는 제어부가 슬립 모드에 진입하는 동안 동작을 멈추어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하지만, 슬립 모드를 빠져나가는 타이밍을 얻기 위한 슬립 클럭 발생부는 제어가 불가능한 소자를 이용하여 항상 동작하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슬립 클럭 발생부의 클럭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도 항상 동작하여 소정의 전력이 지속적으로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슬립 클럭 발생부의 구동을 제어부가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주 클럭이 동작하는 동안에는 동작하지 않도록 하고 주 클럭이 동작하지 않는 동안에는 동작하도록 슬립 클럭 발생부를 제어함으로써, 불필요한 슬립 클럭 발생부의 동작에 따른 전력 소모를 줄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베터리 사용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ck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ler, and more particularly, to reduce power consumption by preventing a sleep clock generator that provides a clock for measuring a sleep tim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in controller from unnecessary operation. It relates to a clock device of the controller. The main clock generator of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events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by stopping the operation while the controller enters the sleep mode, but the sleep clock generator for obtaining timing to exit the sleep mode is always operated by using an uncontrollable device. Because of this configura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predetermined power is continually consumed even when the clock of the sleep clock generator is not used.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controll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leep clock generator so that the controller does not operate while the main clock is operating and controls the sleep clock generator to operate while the main clock is not operating, thereby eliminating unnecessary sleep clock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ncrease the battery use tim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generator.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기의 클럭 장치{CLOCK SOURCE APPARATU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LER}CLOCK SOURCE APPARATU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LER}

도1은 종래의 제어부 클럭 장치 구성을 보인 블록 다이어그램.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controller clock device configuration.

도2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 클럭 장치 구성을 보인 블록 다이어그램.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ler clo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

10: 제어부 20: 주 클럭 발생부10: control unit 20: main clock generator

30: 슬립 클럭 발생부 40: 슬립 클럭 발생부30: sleep clock generator 40: sleep clock generator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기의 클럭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 주 제어부의 슬립 시간 측정을 위한 클럭을 제공하는 슬립 클럭 발생부가 불필요하게 동작을 하지 않도록 하여 전원 소모를 줄이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기의 클럭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ck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ler, and more particularly, to reduce power consumption by preventing a sleep clock generator that provides a clock for measuring a sleep tim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in controller from unnecessary operation. It relates to a clock device of the controller.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급이 빠르게 확산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응용이 광범위 해짐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는 더이상 통신을 위한 장치가 아닌 다양한 엔터테 인먼트를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복합 기기의 측면이 강해지고 있다. With the rapid sprea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the widespread applic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no longer devices for communication, but the aspect of portable composite devices capable of providing various entertainments is becoming stronger. .

단순한 통화나 데이터 통신 이외에도 멀티미디어 재생 및 녹음, 디지털 카메라, 게임등의 기능은 최근에 출시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본 기능이 되기에 이르섰다.In addition to simple calls and data communications, multimedia playback and recording functions, digital cameras, and games have become basic functions of recently releas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 전력 관리의 가장 큰 목표는 이러한 여러 기능을 무리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소모를 줄여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사용 시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이를 달성하기위한 여러가지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Therefore, the biggest goal of the mobile terminal power management is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mobile terminal in order to use these various functions without difficulty, so as to ensure the maximum use time available to the user, and to achieve this Methods have been proposed.

단순히 백라이트의 전압을 차등 제공하는 것으로 밝기를 줄이는 방법, 여러가지 동시 작업 중인 테스크들을 고려하여 구동 클럭을 줄이는 방법, 통화 대기 지역을 이탈하면 소정 시간동안 파일럿 신호 전송을 중지하는 방법, 사용자 선택에 의해 통신 기능을 제한하는 방법 등과 같은 다양한 전원 절약 방법들이 전원 자체의 개발과 병행하여 쏟아져 나오고 있다.The method of reducing brightness by simply providing a differential voltage of the backlight, reducing the driving clock in consideration of various concurrent tasks, stopping the pilot signal transmission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leaving the call waiting area, communication by user selection Various power saving methods, such as how to limit functions, are pouring in parallel with the development of the power itself.

이러한 전원 절약 방법은 현재 사용중인 기능 및 구성된 소자들의 소비 전력을 최대한 줄이면서도 사용 상 불편함을 느끼지 못하도록 해야 하므로, 불필요하게 동작하는 소자를 줄이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다. 따라서, 전력 소모가 많은 제어부의 구동은 필수적인 아닌 경우 제한되어야 한다. Since the power saving method should minimize power consumption of the currently used functions and configured devices while avoiding inconveniences, it is most efficient to reduce unnecessary devices. Therefore, the driving of the power consuming control unit should be limited if it is not essential.

현재 사용되는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는 소비 전력을 줄이기 위해 위해 슬립(Sleep)모드를 지원함으로써, 사용되지 않는 동안에는 전력 소모를 극단적으로 줄이는 슬립 모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슬립모드는 제어기 내부의 타 이머에 의해 소정 시간이 되면 깨어나(wake up) 기 설정된 동작을 주기적으로 실시하도록 하는 기능을 지원하며, 그 외에도 소정의 인터럽트 입력에 의해 슬립 상태로부터 깨어나도록 하는 기능을 지원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대부분의 제어기에 채용된 기본적인 기능으로, 타이머(watchdog timer)에 의해 주기적으로 깨어나는 기능을 특별히 워치독(watchdog) 기능이라 하기도 한다. The control unit of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urrently used supports a sleep mode to reduce power consumption, thereby maintaining a sleep mode state which dramatically reduces power consumption when not in use. The sleep mode wakes up when a predetermined time is reached by a timer inside the controller and supports a function to periodically perform a predetermined operation. In addition, the sleep mode wakes up from a sleep state by a predetermined interrupt input. It is common to support. This is a basic function employed in most controllers. The function of periodically waking by a watchdog timer is also called a watchdog function.

이러한 슬립 기능은, 전력을 소비할 수 있는 제어기의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해 주 클럭으로부터의 클럭 입력을 차단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므로, 수십~수백㎃ 정도의 전류 소비를 수십㎁~수㎃ 정도로 줄일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주변 소자들의 동작 역시 중지시킬 수 있어 제어부 및 주변 소자들의 전력 소모를 크게 억제할 수 있다. This sleep function allows the clock input from the main clock to be shut off to stop the operation of a power-consuming controller, thereby reducing the current consumption of several tens to hundreds of watts. In addition, the operation of the peripheral devices can be stopped accordingly, thereby greatly suppressing power consumption of the controller and the peripheral devices.

도 1은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 클럭 장치 구조를 보인 블록 다이어그램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0)에 연결되는 두 종류의 클럭 발생부를 도시하고 있다.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ler clock devic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llustrates two types of clock generator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0 as shown.

상기 제어부(10)에 연결되는 클럭 발생부는 제어부(10) 구동에 필요한 클럭을 제공하는 주 클럭 발생부(20)와, 상기 제어부(10)가 슬립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슬립 모드로부터 깨어나는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타이머 구동을 위해 필요한 슬립 클럭 발생부(30)로 이루어진다.The clock generator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0 may include a main clock generator 20 that provides a clock required to drive the controller 10, and a time waking from the sleep mode when the controller 10 is switched to the sleep mode. It consists of a sleep clock generator 30 necessary for driving the timer for measurement.

먼저, 주 클럭 발생부(20)는 고속의 클럭 신호를 안정적으로 제공하면서, 슬립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구동을 멈출 수 있도록, 구동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0)로부터 제공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일반적인 크리스 탈(crystal)이나 레조네이터(resonator)가 아닌 오실레이터(oscillator)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First, the main clock generator 20 is configured to receive a control signal for determining whether to drive the controller 10 so as to stop driving when entering the sleep mode while stably providing a high speed clock signal. . Therefore, in this case, it is common to use an oscillator rather than a general crystal or resonator.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10)는 항상 구동되는 것이 아니라 대기 모드 상태에서는 슬립 모드로 진입하여 전력 소비를 극단적으로 억제하며, 소정의 시간 단위로 잠깐 동안만 제어부(10)가 다시 동작하여 특별한 이벤트 실행을 점검하여 실행할 내용이 없다면 다시 슬립 모드로 전환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In general, the control unit 1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not always driven, but enters the sleep mode in the standby mode to suppress the power consumption extremely, and the control unit 10 operates again only for a predetermined time unit It checks the execution of a special event and if there is nothing to execute, it repeats the operation of going back to sleep.

이때, 상기 주 클럭 발생부(20)는 높은 주파수의 클럭을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소비되는 전력이 많으므로 상기 제어부(10)가 동작하는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구동되고, 제어부(10)가 슬립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에는 동작이 중지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0)로부터의 제어 신호(일반 포트의 출력이나 주 클럭 발생부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전용 포트의 출력)에 의해 조절되게 된다. In this case, since the main clock generator 20 needs to provide a clock of high frequency, power is consumed a lot, and thus the main clock generator 20 is selectively driven only when the controller 10 operates, and the controller 10 switches to the sleep mode. In this case, the operation is generally stopped. As described above, this is controlled by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0 (output of a general port or output of a dedicated port for generating a main clock generator control signal).

상기 슬립 클럭 발생부(30)는 부가적으로 인가되는 클럭으로서, 크리스탈 등의 발진 소자를 이용하게 되는데, 제어부(10)가 슬립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슬립 모드 상태에서도 동작하는 내부 타이머(워치독 타이머)를 구동시켜, 이를 이용하여 슬립 모드 상태로부터 깨어날 수 있는 타이머 인터럽트를 발생시킨다. 일반적으로 32.768kHz의 크리스탈을 사용하며, 1.28초 주기로 제어부가 슬립 모드에서 깨어나도록 한다.The sleep clock generator 30 additionally uses an oscillation element such as a crystal as a clock that is additionally applied. When the controller 10 is switched to the sleep mode, an internal timer (watchdog) that operates even in the sleep mode is used. Timer), which is used to generate a timer interrupt that can wake up from the sleep mode state. Typically, a 32.768kHz crystal is used and the controller wakes up from sleep mode at a 1.28 second interval.

상기 단순 크리스탈로 이루어진 슬립 클럭 발생부(30)는 제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무조건 동작하게 된다. 즉, 슬립 모드를 벗어나 주 클럭 발생부(20)가 동작하고 있는 중에도 상기 슬립 클럭 발생부(30)는 지속적으로 동작하게 되며, 그로인해 소정의 전력을 지속적으로 소비하게 된다. Since the sleep clock generator 30 made of the simple crystal cannot be controlled, the sleep clock generator 30 operates unconditionally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the sleep clock generator 30 continues to operate even when the main clock generator 20 is operated out of the sleep mode, thereby consuming a predetermined power.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 클럭 발생부는 제어부가 슬립 모드에 진입하는 동안 동작을 멈추어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하지만, 슬립 모드를 빠져나가는 타이밍을 얻기 위한 슬립 클럭 발생부는 제어가 불가능한 소자를 이용하여 항상 동작하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슬립 클럭 발생부의 클럭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도 항상 동작하여 소정의 전력이 지속적으로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the main clock generator of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events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by stopping the operation while the controller enters the sleep mode, but the sleep clock generator for obtaining timing to exit the sleep mode uses an uncontrollable element. Therefore, since it is configured to always operate, there is a problem that a predetermined power is continually consumed by always operating even when the clock of the sleep clock generator is not us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슬립 클럭 발생부의 구동을 제어부가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주 클럭이 동작하는 동안에는 슬립 클럭 발생부를 동작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슬립 클럭 발생부의 동작에 따른 전력 소모를 줄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베터리 사용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기의 클럭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controller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sleep clock generator so that the sleep clock generator is not operated while the main clock is operating,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due to unnecessary sleep clock generator opera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lock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ler that can increase the battery usage tim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발명은, 외부 클럭에 의해 깨어나는 시간이 조절되는 슬립 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기의 클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가 제공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제어부가 슬립 모드에 진입하는 경우 동작이 정지되고, 상기 제어부가 슬립 모드에서 깨어나는 경우 동작을 시작하는 주 클럭 발생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주 클럭 발생부의 동작과 상반되는 제어 신호를 제공받아 동작 여부가 제어되는 슬립 클럭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lock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ler that supports a sleep mode in which a wake-up time is controlled by an external clock, wherein the control unit sleeps by a control signal provided by the controller. A main clock generator which stops the operation when entering the mode and starts the operation when the controller wakes up from the sleep mode; And a sleep clock generator configured to receive a control signal opposite to the operation of the main clock generator from the controller and control whether the operation is performe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한 일 실시예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follows.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슬립 클럭 발생부로 오실레이터를 사용하며, 제어기로부터 제공 받는 제어 신호에 의해 동작 여부가 결정된다.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an oscillator is used as a sleep clock generator, and operation is determined by a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a controller.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주 클럭 발생부(20)와 슬립 클럭 발생부(40)가 모두 제어부(10)에 의해 제어되어 불필요한 구동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both the main clock generator 20 and the sleep clock generator 40 ar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0 to prevent unnecessary driving.

즉, 제어부(10)가 정상적으로 동작되는 경우에는 제어부(10)의 제어 신호 혹은 제어부(10)의 동작 상태에 의해 발생하는 신호에 의해 주 클럭 발생부(20)가 동작하면서 상기 제어부(10)의 동작에 필요한 시스템 클럭을 제공해 주며, 상기 주 클럭 발생부(20)로부터 제공 받은 클럭에 의해 동작하는 제어부(20)가 내부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슬립 클럭 발생부(40)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슬립 클럭 발생부(40)가 불필요하게 동작하지 않도록 한다. That is, when the control unit 10 operates normally, the main clock generation unit 20 operates by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10 or a signal generated by an operation state of the control unit 10, and thus the control unit 10 may operate. A control signal which provides a system clock necessary for operation and stops the operation of the sleep clock generator 40 by executing an internal program by a controller 20 operating by a clock provided from the main clock generator 20. Is generated so that the sleep clock generator 40 does not operate unnecessarily.

이때,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주 클럭 발생부(20)의 클럭을 통해 소정의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10 performs a predetermined task through the clock of the main clock generator 20.

그리고, 상기 제어부(10)가 모든 필요한 동작을 마치고 슬립 모드에 진입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슬립 클럭 발생부(40)의 동작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 여 상기 슬립 클럭 발생부(40)를 동작시킨 후 상기 주 클럭 발생부(20)의 동작을 정지시키면서 슬립 모드에 진입하게 된다. 혹은 제어기가 슬립 모드에 진입하면 자동적으로 주 클럭 발생부(20)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제어 신호가 소정의 출력으로 주 클럭 발생부(20)에 제공될 수도 있다.When the controller 10 is to enter the sleep mode after completing all necessary operations, the controller 10 generates a control signal instructing the operation of the sleep clock generator 40 to operate the sleep clock generator 40. Thereafter, the main clock generator 20 enters the sleep mode while stopping the operation. Alternatively, when the controller enters the sleep mode, a control signal for automatically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main clock generator 20 may be provided to the main clock generator 20 as a predetermined output.

상기 슬립 모드에 진입한 제어부(10)는 상기 슬립 클럭 발생부(40)로부터 제공되는 클럭에 의해 동작하는 내부 카운터 혹은 타이머(워치독 타이머)만 동작하고, 그 외의 기능들은 모두 정지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소비 전력이 줄어들게 되며, 상기 슬립 클럭 발생부(40)로부터 제공 받은 클럭에 의해 동작하는 카운터 혹은 타이머 값이 소정 값에 도달한 경우 인터럽트를 발생시켜 상기 제어부(10)를 슬립 상태로부터 깨어나도록 한다. 물론,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인터럽트, 통신 신호에 의한 인터럽트 등에 의해서도 제어부(10)는 슬립 상태로부터 깨어날 수 있다. The controller 10 entering the sleep mode operates only an internal counter or a timer (watchdog timer) operated by a clock provided from the sleep clock generator 40, and all other functions maintain the stopped state. Therefore, power consumption is reduced, and when the counter or timer value operated by the clock provided from the sleep clock generator 40 reaches a predetermined value, an interrupt is generated to wake the controller 10 from the sleep state. . Of course, the controller 10 may also wake up from the sleep state by an interrupt caused by a user's operation, an interrupt caused by a communication signal, or the like.

이렇게 상기 제어부(10)가 슬립 상태로부터 깨어나는 경우 상기 주 클럭 발생부(20)가 다시 동작하며, 상기 주 클럭 발생부(20)의 클럭으로 동작하는 제어부(10)에 의해 상기 슬립 클럭 발생부(40)의 동작이 정지된다.When the controller 10 wakes up from the sleep state, the main clock generator 20 operates again, and the sleep clock generator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0 operating as a clock of the main clock generator 20. The operation of 40 is stopped.

비록, 상기 실시예에서 슬립 클럭 발생부(40)로 별도의 노이즈 제거 부분이 필요 없으며 외부 제어 신호에 의한 동작 여부가 결정될 수 있는 오실레이터를 사용했지만, 크리스탈이나 레조네이터와 같은 소자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제어부(10) 내부의 클럭 연결 부분의 결선을 온 오프 하는 방식으로 소자의 구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이 반드시 외부 제어핀의 할당이나 오실레이터의 사용 등으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에 주의한다. Although, in the above embodiment, the sleep clock generator 40 does not need a separate noise removing part and uses an oscillator capable of determining whether to operate by an external control signal, even when using an element such as a crystal or a resonator. (10)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becaus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o drive the device by turning on or off the wiring of the internal clock connection part. In other word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ssignment of an external control pin, the use of an oscillator, or the like.

하지만, 제어부(10)의 일반 포트(GPIO)를 이용하여 제어가 가능한 오실레이터를 사용한다면 제어부(10)를 변경하지 않고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게 되므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를 별도로 구입하여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조사에서 본 발명을 쉽게 적용할 수 있게 된다.However, if the oscillator can be controlled using a general port (GPIO) of the control unit 10,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without changing the control unit 10, so that the control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separately purchased and used. The invention can be easily applied to the mobile terminal manufacturer.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기의 클럭 장치는 슬립 클럭 발생부의 구동을 제어부가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주 클럭이 동작하는 동안에는 동작하지 않도록 하고 주 클럭이 동작하지 않는 동안에는 동작하도록 슬립 클럭 발생부를 제어함으로써, 불필요한 슬립 클럭 발생부의 동작에 따른 전력 소모를 줄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베터리 사용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lock device of the mobile terminal con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controller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sleep clock generator so that the sleep clock generator is not operated while the main clock is operating and is operated while the main clock is not operated. By controlling the power, the battery consumption tim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increased 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due to unnecessary sleep clock generator.

Claims (3)

외부 클럭에 의해 깨어나는 시간이 조절되는 슬립 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기의 클럭 장치에 있어서, A clock device of a mobile terminal controller supporting a sleep mode in which wake-up time is controlled by an external clock, 상기 제어기가 제공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제어부가 슬립 모드에 진입하는 경우 동작이 정지되고, 상기 제어부가 슬립 모드에서 깨어나는 경우 동작을 시작하는 주 클럭 발생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주 클럭 발생부의 동작과 상반되는 제어 신호를 제공받아 동작 여부가 제어되는 슬립 클럭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기의 클럭 장치.A main clock generator for stopping the operation when the controller enters a sleep mode by a control signal provided by the controller and starting the operation when the controller wakes up from the sleep mode; And a sleep clock generator configured to receive a control signal opposite to the operation of the main clock generator from the controller and control whether the operation is perform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 클럭 발생부는 상기 제어기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제어부가 슬립 모드로 진입하기 전에 동작이 시작되며, 상기 제어기가 슬립 모드에서 깨어나는 경우 동작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기의 클럭 장치.The sleep clock generator of claim 1, wherein the sleep clock generator starts an operation before the controller enters a sleep mode by a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controller, and stops when the controller wakes up from the sleep mode. Clock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l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제어부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슬립모드로 진입하고자 할 경우 상기 슬립 클럭 발생부를 동작시키는 제어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주 클럭 발생부를 정지시키는 제어 신호를 제공하면서 슬립모드에 진입하며, In case of entering the sleep mode, a control signal for operating the sleep clock generator is provided, the sleep mode is entered while providing a control signal for stopping the main clock generator, 상기 슬립 클럭 발생부가 제공하는 클럭으로 동작하는 내부 타이머에 의한 인터럽트 혹은 외부 신호에 의한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상기 슬립모드가 해제되면서 상기 주 클럭 발생부를 동작시키는 제어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슬립 클럭 발생부를 정지시키는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기의 클럭 장치.When an interrupt by an internal timer or an external signal operating by a clock provided by the sleep clock generator is generated, the sleep mode is canceled to provide a control signal for operating the main clock generator and to stop the sleep clock generator. A clock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ler,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control signal.
KR1020040022399A 2004-03-31 2004-03-31 Clock source apparatu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ler KR1006198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2399A KR100619845B1 (en) 2004-03-31 2004-03-31 Clock source apparatu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ler
CNA200410091505XA CN1678103A (en) 2004-03-31 2004-11-18 Clock impulse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2399A KR100619845B1 (en) 2004-03-31 2004-03-31 Clock source apparatu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6733A KR20050096733A (en) 2005-10-06
KR100619845B1 true KR100619845B1 (en) 2006-09-12

Family

ID=35050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2399A KR100619845B1 (en) 2004-03-31 2004-03-31 Clock source apparatu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l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19845B1 (en)
CN (1) CN1678103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874567B (en) * 2005-12-16 2011-02-16 上海宣普实业有限公司 Method and equipment for adjusting step size of timed tracking
KR100734111B1 (en) * 2006-01-02 2007-06-29 주식회사 팬택 Mobile terminal for reducing current consumption in idle and system clock generation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CN117561487A (en) * 2022-01-26 2024-02-1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Timing startup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7644A (en) * 2000-08-31 2002-03-07 윤종용 Circuit and method for generating processor clock for low power consumption cdma modem chip desig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7644A (en) * 2000-08-31 2002-03-07 윤종용 Circuit and method for generating processor clock for low power consumption cdma modem chip desig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6733A (en) 2005-10-06
CN1678103A (en) 2005-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65763B2 (en) Event coordination in an electronic device to reduce current drain
KR100688102B1 (en) Integrated circuit device
US7971086B2 (en) Integrated waking/while-awake power management system with breaking distance timer for high wake-up latency portion of hardware
US7603575B2 (en) Frequency-dependent voltage control in digital logic
US9444456B2 (en) Circuit and method for powering an integrated circuit having first and second power regulators respectively configured and arranged to provide regulated power at main and standby power levels
CN105824393B (en) System on chip, method for managing power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US926193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ower supply control circuit
US7194644B2 (e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microprocessor in a low power mode by providing a wakeup clock to the microprocessor
US7496774B2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clocks for standby mode oper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H10341199A (en) Radio portable terminal
US9417679B2 (en) Adaptive connected standby for a computing device
KR100619845B1 (en) Clock source apparatu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ler
EP089430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management using power control
JP2000112756A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pu operation
TWI447573B (en) Electronic device and power control method
JP4659627B2 (en) Electronics
JP2759588B2 (en) Power supply control device for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JPH06149406A (en) Cpu clock switching control system
KR10112540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F system
JP2001186657A (en) Power saving circuit
JPH1097340A (en) Portable information unit
KR100300029B1 (en) Power management unit for java micro controller unit
JPH0863253A (en) Microprocessor
JPH10271690A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battery charging method for the same
CN117032431A (en) Extensible and compatible multi-core chip voltage domain manage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