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9494B1 - 삼차원 가상 스투디오를 이용한 가라오케 - Google Patents

삼차원 가상 스투디오를 이용한 가라오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9494B1
KR100619494B1 KR1020040029688A KR20040029688A KR100619494B1 KR 100619494 B1 KR100619494 B1 KR 100619494B1 KR 1020040029688 A KR1020040029688 A KR 1020040029688A KR 20040029688 A KR20040029688 A KR 20040029688A KR 100619494 B1 KR100619494 B1 KR 100619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virtual
camera
karaoke
st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9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5308A (ko
Inventor
김영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림비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림비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림비젼
Priority to KR1020040029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9494B1/ko
Publication of KR20050105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5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9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9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224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related to virtual studio appl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05Non-interactive screen display of musical or status data
    • G10H2220/011Lyrics displays, e.g. for karaoke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Circuit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발명은 삼차원 가상 스투디오를 이용한 가라오케에 관한 것으로, 영상표시장치와 스피커 및 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자막표시 기능과 비디오믹서기능을 구비한 가라오케장치,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복수개의 가상 스투디오영상을 포함한 3차원 그래픽을 발생하는 3차원 영상발생장치 및 상기 카메라의 영상과 상기 3차원 영상발생장치의 영상을 합성하여 3차원 가상 영상을 출력하는 3D 가상 스투디오;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3차원 가상 스투디오의 영상출력을 상기 가라오케장치의 배경 영상으로 입력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또, 영상표시장치와 스피커 및 마이크로 구성된 가라오케장치,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복수개의 가상 스투디오영상을 포함한 3차원 그래픽을 발생하는 3차원 영상발생장치, 노래가사를 출력하는 가사출력장치 및 상기 카메라의 영상과 상기 3차원 영상발생장치의 영상을 합성하여 3차원 가상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3차원 가상 영상과 상기 가사출력장치의 가사를 믹서하여 그 영상을 출력하는 3D 가상 스투디오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3차원 공간속에서 자유 자재로 가상 카메라의 움직임과 카메라 스위칭등을 통해 다양한 스투디오 환경을 구현할수 있으며 특수 비디오 효과등을 3차원적으로 처리할수 있게 하여 차세대 가라오케 시스템을 만들수 있어 마치 방송국에서 자신의 노래를 만들어 방송하는 것처럼 할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3D 스투디오 가라오케 시스템의 3D 비디오 기술은 기존의 가라오케의 오디오 장치와 타이틀 장치를 그대로 이용할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가라오케시 스템에도 손쉽게 적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배경화면을 일일이 설정할 필요없이 노래만 선곡하면 자동으로 배경화면이 표시되고, 저가의 장비로서 상기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3D가상스투디오, 가라오케, 그래픽카드, 가상카메라

Description

삼차원 가상 스투디오를 이용한 가라오케 {3D Virtual Studio KARAOKE}
도 1은 종래의 비디오 믹서방식 가라오케의 개략적인 다이아그램,
도 2는 본발명의 3D 가상 스튜디오를 이용한 가라오케시스템의 다이아그램,
도 3은 본발명에 의한 영상신호발생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
그리고,
도 4는 통합형 가라오케 비디오의 발생장치의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40 : 가라오케 160 : 가상 스투디오
170 : 영상녹화재생장치 180 : 스크린콘트롤
190 : 조이스틱 210 : 3차원 영상발생장치
본발명은 가라오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상스투디오 기술을 이용한 가라오케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가라오케나 노래방기기는 음악과 배경 비디오를 합성해 화면에 보여주며 노래를 하도록 되어있다. 특별히 노래방기기에 비디오 크로마키를 이용하여 합성을 하여 비디오를 넣는 방식의 가라오케 시스템도 소개되어 있다.
도 1에 상기한 종래의 가라오케기술의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비디오 믹서방식 가라오케에 대한 설명으로 위방식은 TV(11)와 스피커(SP;12)와 마이크(MIC;13) 및 가라오케 시스템(14)으로 구성된 종래의 일반적인 노래방 시스템(10)과 피사체(30)를 찰영한 신호를 출력하는 카메라(23)와 배경화면을 재생하는 영상재생장치(22) 및 카메라(23)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전자적으로 처리하여 화상의 특정한 성분들을 제거하여 공백으로 만들기 위한 크로마키(Chromakey)장치를 통과한 후 영상재생장치(22)에서 재생되는 비디오를 믹싱하는 크로마키 비디오 믹서부(21) 및 스크린(22)으로 구성된 2D신호처리부(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은 단순히 기존의 가라오케시스템에 단순 2D 비디오 믹싱을 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비디오에 알파믹싱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전면 비디오와 후면 비디오를 보여주어 노래하는 사람이 앞뒤면에 영상을 재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의 가라오케 시스템은 입력되는 영상을 단순히 크로마키 처리한 후 단순히 비디오와 믹싱하여 합성하고 있으므로 스투디오 같은 카메라 줌이나 패닝과 같은 효과를 실현할 수 없으며 특히 가라오케 안에서 카메라를 동작하는 움직임을 줄수 없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즉, 비디오나 사진을 실시간 비디오와 합성하여 영상을 발생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3차원 공간으로 표현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노래를 부를시 항시 비디오를 재생하여야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가상 스투디오 기능을 구비한 가라오케를 실현하기 위해 서는 고가의 장비를 사용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3차원 그래픽을 발생하는 영상발생 장치와 비디오를 믹싱하는 3D 가상 스투디오 기술을 가라오케 시스템에 설치하여 저가의 장비로 가라오케가 마치 스투디오에서와 같이 느끼면서 특수 비디오 효과를 첨가할 수 있고 선곡시 자동으로 영상이 재생되는 가상스투디오 기술을 이용한 가라오케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삼차원 가상 스투디오를 이용한 가라오케는 영상표시장치와 스피커 및 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자막표시 기능과 비디오믹서기능을 구비한 가라오케장치,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복수개의 가상 스투디오영상을 포함한 3차원 그래픽을 발생하는 3차원 영상발생장치 및 상기 카메라의 영상과 상기 3차원 영상발생장치의 영상을 합성하여 3차원 가상 영상을 출력하는 3D 가상 스투디오;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3차원 가상 스투디오의 영상출력을 상기 가라오케장치의 배경 영상으로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3D 가상 스투디오는 3D 가속 그래픽 카드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카메라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크로마키하여 실제 피사체만을 3D 텍스투어링하여 3D 공간처리함과 동시에 상기 3차원 영상발생장치의 영상을 3차원 랜더링하여 영상으로 출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3D 가상 스투디오는 기설정된 트랙정보에 따라 위치가 조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상카메라와 상기 가상 스투디오 및/또는 상기 가상 카메라를 선택할 수 있는 스크린 콘트롤 및 상기 카메라 및/또는 상기 가상스투디오를 조정하기 위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조이스틱 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3D 가상스투디오는 상기 스크린콘트롤에 의하여 선택된 가상 스투디오의 영상과 상기 피사체의 영상을 상기 조이스틱의 조정위치에 따라 선택된 가상카메라의 트랙정보를 사용하여 3D공간속에서 소정의 위치에서 보여지도록 영상을 3D 랜더링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라오케 시스템에 영상을 녹화재생할 수 있는 영상녹화재생장치를 더 포함하여 상기 영상표시장치에 재생되는 영상을 녹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삼차원 가상 스투디오를 이용한 가라오케는, 영상표시장치와 스피커 및 마이크로 구성된 가라오케장치,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복수개의 가상 스투디오영상을 포함한 3차원 그래픽을 발생하는 3차원 영상발생장치, 노래가사를 출력하는 가사출력장치 및 상기 카메라의 영상과 상기 3차원 영상발생장치의 영상을 합성하여 3차원 가상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3차원 가상 영상과 상기 가사출력장치의 가사를 믹서하여 그 영상을 출력하는 3D 가상 스투디오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3D 가상 스투디오는 3D 가속 그래픽 카드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카메라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크로마키하여 실제 피사체만을 3D 텍스투어링하여 3D 공간처리함과 동시에 상기 3차원 영상발생장치의 영상을 3차원 랜더링하여 영상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라오케는 기설정된 트랙정보에 따라 위치가 조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상카메라와 상기 가상 스투디오 및/또는 상기 가상 카메라를 선택할 수 있는 스크린 콘트롤 및 상기 카메라 및/또는 상기 가상스투디오를 조정하기 위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조이스틱 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3D 가상스투디오는 상기 스크린콘트롤에 의하여 선택된 가상 스투디오의 영상과 상기 피사체의 영상을 상기 조이스틱의 조정위치에 따라 선택된 가상카메라의 트랙정보를 사용하여 3D공간속에서 소정의 위치에서 보여지도록 영상을 3D 랜더링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발명의 3D 가상 스튜디오를 이용한 가라오케시스템의 다이아그램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표시장치(TV:110), 스피커(Speaker:120), 마이크(Mic:121), 가라오케시스템(Karaoke:140), 카메라(150), 3D 가상 스투디오(160), 재생 및 기록이 가능한 DVD Recorder(170; 이하, 영상녹화재생장치라 한다), 스크린 제어부(Screen Control:180) 및 조이스틱(1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성요소 중 TV(110), Speaker(120), Mic(121) 및 가라오케시스템(140)은 일반적인 가라오케 시스템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영상녹화재생장치(170)는 영상표시장치(110)에 표시되는 최종 영상을 사용자 의 선택에 의하여 녹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카메라(150)는 피사체(130)를 촬영하여 그 영상(152)을 출력한다.
스크린 제어부(180)는 복수 개의 가상 카메라(도면 미도시)와 기설정된 가상 스투디오영상(배경화면 등)에서 특정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구성한다.
조이스틱(190)은 스크린제어부(180)에서 선택된 가상 카메라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그 조정데이터를 3D 가상 스투디오(160)로 입력한다.
3D 가상 스투디오(160)는 3D 가상 스투디오시스템으로 구성한다. 통상적인 3D 가상 스투디오는 3D 영상 발생 기술과 카메라 비디오를 합성하는 기술을 이용하여 가상 스투디오가 이루어 지어 왔다. 즉 그래픽으로 만든 3차원 영상을 카메라로 부터 입력된 연기자의 비디오와 자연스럽게 합성시켜 마치 배우가 실제 스투디오에 있는 것과 같은 화면을 만들어 주고 카메라가 움직이는 것을 센서로 읽어들여 그래픽 발생장치에 카메라의 위치에 상응하는 배경 및 전경을 그려 합성하도록 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3차원 가상공간을 만들기 위해 실제 카메라의 비디오를 기준으로 액터 앞면의 그림과 뒷면의 그림의 정보를 각각 그래픽 발생기를 통해 만들어 이를 카메라의 위치에 따라 그래픽을 만들어 합성하여 주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그래픽 발생장치를 2중으로 가져가야 하는 부분과 카메라의 움직이는 위치를 정확히 알려 주는 외부 카메라 트랙킹 정보를 만들어 주는 트래킹 장비가 필요하게 되며 가격을 상승하게 하고 있다. 또한 카메라 트랙킹 센서는 사용자의 셋업(setup)과 복잡한 운영및 장비 셋업과정이 필요해 대중적인 3D Graphic 사용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일반 가상스투디오 기술을 이용하는 렌더링 장비의 수를 절약하고, 카메라 트래킹이 꼭 필요한 데서 오는 장비의 고가화와 사용자의 어려운 환경을 제거하고 단순화하여 원가 절감은 물론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수 있는 Virtual Overlay기술을 이용한 3D 가상 스투디오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다. 즉, Virtual Overlay는 기존의 Mixer에서 배경그림과 전면 그림을 카메라에 Overlay시키던 방식이 아닌 3차원 렌더링 엔진 안에 비디오를 하나의 Object로 처리하여 가상의 Overlay를 실현시킴으로서 하나의 렌더링 엔진을 사용하여 두개의 렌더링을 사용한 효과와 위부 Overlay Mix를 사용한 것과 동일한 시스템을 만들수 있어 장비비의 절감은 물론 사용환경을 매우 단순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도 3을 참고하여 가상 overlay 기술을 이용한 3D 가상 스투디오 블록도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랜더(Render:200)는 3D 가속 그래픽카드(도면 미도시)내에 실시간으로 영상을 발생하는 기능으로 3차원 영상발생장치(210)는 3차원 물체를 설계하는 3D 프로그램인 3D Studio Max 나 MAYA 등과 같은 편집 프로그램으로 생성시킨 3D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제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영상 미리 준비된 동화상(AVI,MPEG 등), Picture를 3D 물체의 표면에 비디오 택스튜어링을 실시간으로 시켜 출력하게 한다. 따라서, 통상 3D 영상을 만들기 위한 전후면 영상발생장치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한번에 랜더링을 카메라의 영상과 함께 처리하여 출력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의 가상 오버레이 기술은 카메라(220)에서 출력되는 카메라영상(221)과 3D 가속 그래픽카드(200)내에서 3차원 영상발생장치(210)의 3D 데이터를 랜더(Render;240)속으로 동시에 입력하여 3D 그래픽처리함으로써 아날로 그 영상(230)을 출력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3D 가속 그래픽 카드(200)의 3D 그래픽 기능을 활용하여 카메라 영상(221)을 3D 발생장치 즉 랜더(200)의 비디오 텍스튜어(Texture)로 입력하고 3차원 영상발생장치(210)의 3D 데이터를 동시에 3D 랜더링하여 아날로그 영상(230)으로 출력하는 것이다.
또한, 조이스틱(190)에서 입력되는 카메라 조정 신호(줌 in/ out, 각도 조절 등)에 따라 스크린제어부(180)에서 선택된 가상 카메라를 조정하고 상기 가상 카메라의 위치에 따른 영상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3D 비디오 텍스투어링(Video Texturing)기술을 이용하여 가상카메라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측자의 위치(카메라의 위치)를 3D공간속에서 임의의 위치에서 보여지는 영상을 출력시키게 되면 손쉽게 3D 그래픽장치를 이용해 가상세계 속에 배우가 위치하게 하고 또 가상카메라를 마음껏 다른 위치에서 보여줄수 있어 다양한 방향에서의 화면을 실시간으로 변화시켜가며 보여줄수 있기 때문에 값비싼 카메라 움직임장치를 쓰지 않아도 카메라의 움직이는 효과를 만들수 있으며 이러한 가상카메라를 복수개 사용할 경우에는 마치 여러대의 카메라로 표현하는 것같은 효과를 만들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 상기한 본발명의 구성에 의한 삼차원 가상 스투디오를 이용한 가라오케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가라오케(140)를 온하면 가라오케(140)는 TV(110), Speaker(120), Mic(121)를 온함과 동시에 3D 가상스투디오(160)를 동작시킨다. 3D 가상스투디오(140)는 기설정된 가상 스투디오영상(배경화면;도면미도시)과 카메라(150)에서 촬영된 피사체(사용자)의 영상을 3D 가속 그래픽카드(200)의 랜더(240)에서 3D 그래픽으로 랜더링하여 가라오케(140)로 출력하면 가라오케(140)는 입력되는 가상 스투디오영상(161)에 노래 가사를 믹서하여 TV(110)로 그 영상을 출력하면서 반주음악을 Speaker(120)를 통해 출력하면 사용자는 TV(110)화면에 출력되는 배경음악과 자신의 노래하는 모습 또한 가사를 보면서 Mic(121)를 통하여 노래를 부르면 되는 것이다. 또한, 스크린 콘트롤(180)을 조절하여 기설정된 가상 스투디오 영상을 변경하여 희망하는 배경영상을 선택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나 기타 청중들은 조이스틱(190)을 이용하여 가상 카메라의 위치를 조정하여 가상 스투디오영상이나 카메라(150)에서 촬영된 영상을 3D 입체적으로 자유자재로 변화시켜 TV(110)에 표시되는 영상을 임의대로 조절할 수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트랙킹 센서가 없어도 트래킹 효과를 낼수가 있으며 손쉽게 3D 그래픽장치를 이용해 가상영상속에 사용자를 위치하게 할 수 있으며 또 가상카메라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다양한 방향에서의 화면을 실시간으로 변화시키며 보여줄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가상카메라는 다수개 위치시킬수 있어 마치 여러대의 카메라로 표현하는 것같은 효과를 만들수 있는 것이다.
본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카메라의 영상과 배경 영상을 3D 가상 스투디오에 입력하여 그 출력되는 아날로그 영상을 가라오케시스템의 배경화면으로 입력하는 구성으로 설명하였으나 도 4에서와 같이 통합형 가라오케 비디오 발생장치를 사용하여 구성하게 할 수도 있다. 즉, 종래의 오디오 가라오케 장치에서 자막부분과 비디오 믹싱 부분을 삭제하고 모든 것을 그래픽 카드에서 처리하게 되면 종래의 가라오 케 시스템에서는 음악만을 재생하고 기타 신호는 모두 3D 가속 그래픽 카드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3D 스투디오 가라오케를 구성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때는 그래픽가속기의 CPU가 크로마키(Chroma key)기능을 내부적으로 처리하도록 하여 랜더엔진(Render engine;300)에서 입력되는 카메라 신호(330), 노래가사(340), 3D 데이터 및 배경영상(350,360)을 크로마키(320), 3D 영상 발생 및 3차원 믹싱(310) 기능을 통합적으로 처리하는 영상처리부(30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삼차원 가상 스투디오를 이용한 가라오케 시스템에 의하면, 3차원 공간속에서 자유 자재로 가상 카메라의 움직임과 카메라 스위칭등을 통해 다양한 스투디오 환경을 구현할수 있으며 특수 비디오 효과등을 3차원적으로 처리할수 있게 하여 차세대 가라오케 시스템을 만들수 있어 마치 방송국에서 자신의 노래를 만들어 방송하는 것처럼 할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3D 스투디오 가라오케 시스템의 3D 비디오 기술은 기존의 가라오케의 오디오 장치와 타이틀 장치를 그대로 이용할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가라오케시스템에도 손쉽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배경화면을 일일이 설정할 필요없이 노래만 선곡하면 자동으로 배경화면이 표시되고, 저가의 장비로서 상기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7)

  1. 영상표시장치와 스피커 및 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자막표시 기능과 비디오믹서기능을 구비한 가라오케장치;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복수개의 가상 스투디오영상을 포함한 3차원 그래픽을 발생하는 3차원 영상발생장치; 및
    3D 가속 그래픽 카드로 상기 카메라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크로마키하여 실제 피사체만을 3D 텍스투어링하여 3D 공간처리함과 동시에 상기 3차원 영상발생장치의 영상을 3차원 랜더링하여 3차원 가상 영상으로 출력하는 3D 가상 스투디오;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3차원 가상 스투디오의 영상출력을 상기 가라오케장치의 배경 영상으로 입력하여 구성되는 3차원 가상 스트디오를 이용한 가라오케.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기설정된 트랙정보에 따라 위치가 조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상카메라;
    상기 가상 스투디오 및/또는 상기 가상 카메라를 선택할 수 있는 스크린 콘트롤; 및
    상기 카메라 및/또는 상기 가상스투디오를 조정하기 위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조이스틱; 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3D 가상스투디오는 상기 스크린콘트롤에 의하여 선택된 가상 스투디오의 영상과 상기 피사체의 영상을 상기 조이스틱의 조정위치에 따라 선택된 가상카메라의 트랙정보를 사용하여 3D공간속에서 소정의 위치에서 보여지도록 영상을 3D 랜더링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가상 스트디오를 이용한 가라오케.
  4. 제 1항에 있어서,
    영상을 녹화재생할 수 있는 영상녹화재생장치;를 더 포함하여 상기 영상표시장치에 재생되는 영상을 녹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가상 스트디오를 이용한 가라오케.
  5. 영상표시장치와 스피커 및 마이크로 구성된 가라오케장치;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복수개의 가상 스투디오영상을 포함한 3차원 그래픽을 발생하는 3차원 영상발생장치;
    노래가사를 출력하는 가사출력장치; 및
    3D 가속 그래픽 카드로 상기 카메라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크로마키하여 실제 피사체만을 3D 텍스투어링하여 3D 공간처리함과 동시에 상기 3차원 영상발생장치의 영상을 3차원 랜더링하여 3차원 가상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3차원 가상 영상과 상기 가사출력장치의 가사를 믹서하여 그 영상을 출력하는 3D 가상 스투디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3차원 가상 스트디오를 이용한 가라오케.
  6. 삭제
  7. 제 5항에 있어서,
    기설정된 트랙정보에 따라 위치가 조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상카메라;
    상기 가상 스투디오 및/또는 상기 가상 카메라를 선택할 수 있는 스크린 콘트롤; 및
    상기 카메라 및/또는 상기 가상스투디오를 조정하기 위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조이스틱; 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3D 가상스투디오는 상기 스크린콘트롤에 의하여 선택된 가상 스투디오의 영상과 상기 피사체의 영상을 상기 조이스틱의 조정위치에 따라 선택된 가상카메라의 트랙정보를 사용하여 3D공간속에서 소정의 위치에서 보여지도록 영상을 3D 랜더링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가상 스트디오를 이용한 가라오케.
KR1020040029688A 2004-04-28 2004-04-28 삼차원 가상 스투디오를 이용한 가라오케 KR100619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9688A KR100619494B1 (ko) 2004-04-28 2004-04-28 삼차원 가상 스투디오를 이용한 가라오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9688A KR100619494B1 (ko) 2004-04-28 2004-04-28 삼차원 가상 스투디오를 이용한 가라오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5308A KR20050105308A (ko) 2005-11-04
KR100619494B1 true KR100619494B1 (ko) 2006-09-08

Family

ID=37282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9688A KR100619494B1 (ko) 2004-04-28 2004-04-28 삼차원 가상 스투디오를 이용한 가라오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94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454B1 (ko) * 2007-09-15 2010-05-10 김영대 가상 스튜디오 자세 교정 장치
WO2009035199A1 (en) * 2007-09-15 2009-03-19 Young-Dae Kim Virtual studio posture correction machine
WO2009035198A1 (en) * 2007-09-15 2009-03-19 Young-Dae Kim 3d virtual studio lecture and conference apparatus
KR101295862B1 (ko) * 2010-11-25 2013-08-1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증강 현실 영상을 제공하는 노래방 장치 및 그 방법
KR101304111B1 (ko) * 2012-03-20 2013-09-05 김영대 댄싱 가라오케 시스템
KR101453531B1 (ko) * 2013-12-06 2014-10-24 우덕명 3차원 리얼타임 가상 스튜디오 장치 및 3차원 리얼타임 가상 스튜디오 장치에서의 가상 스튜디오 영상 생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5308A (ko) 2005-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23680C (en) Interactive system and method for video compositing
US6335765B1 (en) Virtual presentation system and method
US20070122786A1 (en) Video karaoke system
US6570581B1 (en) On-location video assistance system with computer generated imagery overlay
US6184937B1 (en) Audio enhanced electronic insertion of indicia into video
KR101304111B1 (ko) 댄싱 가라오케 시스템
KR100795552B1 (ko) 비디오 텍스투어링을 이용한 삼차원 가상 스튜디오 장치
CN111742353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程序
US6072933A (en) System for producing personalized video recordings
JP2001202531A (ja) 動画像編集方法
JP5007681B2 (ja) 放送システム
WO2012069614A1 (en) Method and assembly for improved audio signal presentation of sounds during a video recording
KR100619494B1 (ko) 삼차원 가상 스투디오를 이용한 가라오케
US20090153550A1 (en) Virtual object rendering system and method
JP2000209500A (ja) 記録済みの背景映像に別途撮影された人物映像を合成して表示出力する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採用したカラオケ装置
KR101414217B1 (ko) 실시간 영상합성 장치 및 그 방법
KR101834925B1 (ko) 객체 위치 변화를 벡터로 변환하여 영상 및 음향 신호를 동기화한 가상스튜디오 방송 편집 및 송출 기기와 이를 이용한 방법
JP2004328788A (ja) 記録済みの背景映像に別途撮影された人物映像を合成して表示出力する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採用したカラオケ装置
JP2000270261A (ja) 撮像装置及び画像合成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2008236708A (ja) バーチャル撮影スタジオの媒体制作装置
KR20000067376A (ko) 노래 반주기 시스템을 이용한 라이브 영상제작시스템
CN218103295U (zh) 一种用于复合型剧场的表演控制系统
JPH10327350A (ja) 画像生成装置および画像生成方法
KR20240022199A (ko) 공연, 강연 및 방송촬영 등이 가능한 이동식 가변형 가상 스튜디오 시스템
KR20150085257A (ko) 라이브 뮤직비디오를 위한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