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9118B1 - 이종 기지국간의 공용 서비스 제공 장치 - Google Patents

이종 기지국간의 공용 서비스 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9118B1
KR100619118B1 KR1020050032310A KR20050032310A KR100619118B1 KR 100619118 B1 KR100619118 B1 KR 100619118B1 KR 1020050032310 A KR1020050032310 A KR 1020050032310A KR 20050032310 A KR20050032310 A KR 20050032310A KR 100619118 B1 KR100619118 B1 KR 100619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signal
lpa
common servic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2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신재
유기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50032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91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9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9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1Impression means for implants, e.g. impression co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기지국 내에 공존하는 이종 기지국간의 공용 서비스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먼저 한 기지국에 공존하는 제1 및 제2 기지국이 단말기로 무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순방향 신호를 생성한 후, 이 순방향 신호를 서비스 주파수에 맞는 RF(Radio Frequency) 신호로 각각 변환한다. 이후, 변환된 입력 신호를 소정 크기 증폭함에 있어 단일 개수의 신호 증폭기를 이용하는데, 이때 신호 증폭기는 LPA(Linear Power Amplifier)를 포함한다. 이처럼, LPA를 이용하는 이유는 LPA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주파수 신호를 동시에 증폭할 수 있기 때문인데, 참고로 LPA는 제2 기지국 내에 이미 존재하는 신호 증폭기이다. 즉, 본 발명은 제2 기지국 내에 이미 존재하는 신호 증폭기를 재활용하여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타 기지국(제1 기지국)에 입력된 신호와 제2 기지국에 입력된 외부 신호를 동시에 증폭한다. 이를 통해, 시스템 투자 비용 및 전력 운용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종 기지국, 신호 증폭기, LPA(Linear Power Amplifier), 비용 절감

Description

이종 기지국간의 공용 서비스 제공 장치 {APPARATUS FOR PROVIDING COMMON SERVICE OF HETEROGENEOUS BASE STA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종 기지국의 대략적인 구성을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기지국간의공용 서비스 제공 장치의 대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기지국간의공용 서비스 제공 장치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기지국의 신호 증폭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대 기지국의 신호 증폭기를 공용화하여 신호 증폭시 이용하는 공용 서비스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CDMA' 라 함) 이동통신 시스템은 2세대 시스템(IS-95 A/B)과 2.5세대 시스템(IS-95C나 CDMA-2000 1X)이 공존하는 구조를 이룬다.
그리고, 2세대 및 2.5세대 시스템은 무선망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신호 증폭시 각각의 신호 증폭기를 동시에 사용하는데, 2세대 시스템의 경우 HPA(High Power Amplifier)를 이용하여 신호 증폭을 수행하고, 2.5세대 시스템은 LPA(Linear Power Amplifier)를 이용하여 신호 증폭을 수행한다.
또한, 최종단의 안테나 연결단 역시 각 기지국별로 설치하거나 또는 이기종의 신호를 합칠 수 있는 결합기(Combiner Unit, 이하 'COMU' 라 함)를 설치하여 공용하는 구조를 이룬다.
그러나, 상기한 구성은 높은 투자비를 요구할 뿐만 아니라, 각각의 신호 증폭단 역시 최종단의 일정한 출력을 유지하기 위해 반드시 고 출력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설계해야만 한다.
뿐만 아니라, 주파수 자원 활용 시에도 COMU의 특성상 자유롭게 그 구조를 설계할 수 없는데, 일반적으로 COMU는 채널 필터 뱅크(Channel Filter Bank)로 구성된 소자로서 각 채널별 BPF(Band Pass Filter)를 포함한다.
따라서, COMU는 특정 FA(Frequency Assignment, 이하 'FA' 라 함)만을 고정적으로 서비스하는데, 이는 주파수 변파 또는 FA 증설시 마다 새롭게 COMU를 설계해야만 한다. 이에 대한 표시 예가 첨부된 도 1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CDMA 이동통신 시스템은 한 기지국 내에 2세대 기지국(10)과 2.5세대 기지국(20)이 공존하는 구조를 이루며, 각 기지국(10, 20)은 신호 증폭기(12, 22)를 개별적으로 포함한다. 이로 인해, 투자 비용 및 기지국 전력 운용 비용이 높아진다.
또한, 각 기지국(10, 20)이 단일의 COMU(100)를 공유하는데, 이는 공중선계를 단일 개수로 설치함으로써 그로 인한 원가 절감을 이룰 수 있다. 그러나, COMU(100)의 사용으로 인해 주파수 사용상의 제약을 받을 뿐만 아니라, 각 기지국(10, 20)의 신호 증폭단(12, 22) 역시 최종단의 일정한 출력을 유지하기 위해 반드시 고 출력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설계해야만 한다.
따라서, 2세대와 2.5세대 시스템이 공존하는 CDMA 이동통신 시스템의 경우, 저가로 자유롭게 주파수를 선택 및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LPA(Linear Power Amplifier)를 공용화하여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기지국 관련 신호를 동시에 증폭시킴으로써, 투자 비용 및 기지국 전력 운용 비용을 낮출 수 있는 이종 기지국간의 공용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채널 필터 뱅크로 구성된 결합기(Combiner Unit)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자유롭게 주파수를 선택 및 활용할 수 있는 이종 기지국간의 공용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이종 기지국간의공용 서비스 제공 장치는, 서로 다른 세대별 기지국이 한 셀 내에 적어도 둘 이상 공존하는 이동통신 망에서의 공용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제1 기지국으로 입력되 는 신호를 RF(Radio Frequency) 신호로 변환하는 제1 트랜시버(Transceiver); 상기 제1 기지국과 한 셀 내에 공존하는 제2 기지국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는 제2 트랜시버; 상기 제2 트랜시버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1 트랜시버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함께 동시에 소정 크기 증폭시켜 출력하는 신호 증폭기; 및 상기 신호 증폭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필터링하여 단말기로 송출되도록 하는 종단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신호 증폭기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주파수 신호를 동시에 증폭하는 LPA(Linear Power Amplifier)를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IS(International Standard)-95를 기반으로 하는 2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을 제1 기지국이라 명명하고,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 1X를 기반으로 하는 2.5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을 제2 기지국이라 명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기지국간의공용 서비스 제공 장치의 대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동통신 망(A)은 서로 다른 주파수 채널을 가지는 적어도 둘 이상의 셀이 서로 중첩되어 있는 구조를 이루며, 각 셀은 서로 다른 특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단말기(300, 500)로 각각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기지국간의 공용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구 기지국(200, -단말기가 현재 위치하는 단일 셀의 트래픽 처리를 담당하는 기지국-) 내에 위치하는데, 이때 구 기지국(200)은 IS-95를 기반으로 하는 2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1 기지국(미도시)과 CDMA 2000 1X를 기반으로 하는 2.5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2 기지국(미도시)이 공존하는 구조를 이룬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구 기지국(200)이 또 다른 통신 체계를 기반으로 하는 제3 및 제4 기지국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더 많은 개수의 제1 기지국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단일의 제2 기지국 및, 제2 기지국과 다른 통신 체계를 기반으로 하는 제1, 제3 내지 제n 기지국이 구 기지국(200) 내에 함께 공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 기지국(200) 내의 제1 및 제2 기지국으로 외부 신호가 각각 입력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기지국간의공용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입력된 외부 입력 신호를 RF(Radio Frequency) 신호 또는 IF(Intermediate Frequency) 신호로 각각 변환한다.
이후, 변환된 외부 입력 신호를 소정 크기 증폭함에 있어 공용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단일 개수의 신호 증폭기(미도시)를 이용하는데, 이때 신호 증폭기는LPA(Linear Power Amplifier)를 포함한다.
이처럼, LPA를 이용하는 이유는 LPA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주파수 신호를 동시에 증폭할 수 있기 때문인데, 참고로 LPA는 제2 기지국 내에 이미 존재하는 신호 증폭기이다. 즉, 본 발명은 제2 기지국 내에 이미 존재하는 신호 증폭기를 재활용하여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타 기지국(제1 기지국)에 입력된 신호와 제2 기지국에 입력된 외부 신호를 동시에 증폭하는데, 이를 통해 곧 시스템 투자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한 기지국(제2 기지국)에 이미 존재하는 단일의 신호 증폭기를 이용하여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타 기지국으로 입력된 외부 신호를 제2 기지국에 입력된 신호와 함께 동시 증폭시킨다.
이로 인해, 제2 기지국만이 존재하던 구 기지국(200)에 제1 기지국이 새로 배치될 경우, 제1 기지국의 신호 증폭을 위한 장치(신호 증폭기)를 별도로 구매를 하지 않게 됨으로써, 시스템 투자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지국별로 운용하였던 신호 증폭기 대신, 단일의 신호 증폭기 만을 운용하게 됨으로써, 전력 운용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즉, 단일의 LPA만을 운용하여 동일한 최종 출력을 낼 수 있게 됨으로써, 전력 운용 비용을 낮출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기존의 일반적인 구조와는 다르게 채널 필터 뱅크(Channel Filter Bank)로 구성된 소자인 COMU(Combiner Unit)를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주파수 변파 또는 FA(Frequency Assignment, 이하 'FA' 라 함) 증설시마다 그에 따른 COMU를 새롭게 설계하지 않아도 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사용 대역폭 내에서 자유롭게 주파수를 선택 및 활용할 수 있다. 즉, 시스템 설계가 가능하다.
참고로, COMU는 각 채널별 BPF(Band Pass Filter)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상기한 구성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통해 자세히 알아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기지국간의공용 서비스 제공 장치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단일의 기지국사에 제2 기지국(120) 및, 제2 기지국(120)과 다른 통신 체계를 기반으로 하는 제1 기지국(110)이 상호 공존하는 구조를 이루는데, 이 중 제2 기지국(120)에 이미 배치되어 있는 신호 증폭기를 포함하는 공용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1 및 제2 트랜시버(111, 121)와 신호 증폭기(122) 및 종단부(123)를 포함한다.
이때, 제1 트랜시버(111)는 제1 기지국(110)에 포함되며, 나머지 제2 트랜시버(121)와 신호 증폭기(122) 및 종단부(123)는 제2 기지국(120)에 포함된 구조를 이룬다.
구체적으로 언급하면, 먼저 제1 및 제2 트랜시버(111, 121)는 제1 및 제2 기지국(110, 120)으로 입력된 외부 또는 내부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거나, 또는 IF 신호로 변환하여 각각 출력시킨다.
그러면, 신호 증폭기(122)는 제1 및 제2 트랜시버(111, 12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소정 크기 증폭시키는데, 이때 LPA를 이용하여 입력된 신호를 동시에 증폭시킨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용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한 기지국에 이미 배치된 신호 증폭기를 활용함에 있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주파수 신호를 동시에 증폭시킬 수 있는 제2 기지국(120) 내의 LPA를 이용한다.
이로 인해, 제 2 기지국(120)과 공존하는 제1 기지국(110)의 신호 증폭을 위한 장치(신호 증폭기)를 별도로 구매를 하지 않고, 제2 기지국(120) 내에 이미 존재하는 단일의 LPA만을 계속 이용하게 됨으로써, 시스템 투자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지국별로 운용하였던 신호 증폭기 대신, 제2 기지국(120) 내 존재하는 단일의 신호 증폭기 만을 운용하게 됨으로써, 전력 운용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즉, 단일의 LPA만을 운용하여 동일한 최종 출력을 낼 수 있게 됨으로써, 전력 운용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다음으로, 종단부(123)는 신호 증폭기(12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대해 BPF(Band Pass Filter : 대역 통과 필터) 역할을 수행하는데, 필터링된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단말기(도 2의 300)로 송출되도록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기지국간의 공용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한 기지국에 이미 내장된 신호 증폭기를 이용하여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타 기지국으로 입력되는 신호 및, 신호 증폭기를 내장한 기지국에 입력되는 신호를 동시에 소정 크기 증폭시킨다. 이를 통해, 시스템 투자 비용 및 전력 운용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COMU(Combiner Unit)를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주파수 변파 또는 FA 증설 시마다 그에 따른 COMU를 새롭게 설계하지 않아도 된다. 이로 인해, 종단부(123)의 사용 대역폭 내에서 자유롭게 주파수를 선택 및 활용할 수 있다.
도면과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종 기지국간의 공용 서비스 제공 장치는 한 기지국에 이미 내장된 신호 증폭기를 이용하여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타 기지국 및, 신호 증폭기를 내장한 기지국에 입력되는 신호를 동시에 소정 크기 증폭시킴으로써, 시스템 투자 비용 및 전력 운용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파수 변파 또는 FA(Frequency Assignment) 증설 시마다 그에 따른 COMU를 새롭게 설계하지 않아도 됨과 동시에, 사용 대역폭 내에서 자유롭게 주파수를 선택 및 활용할 수 있다.

Claims (4)

  1. 서로 다른 세대별 기지국이 한 셀 내에 적어도 둘 이상 공존하는 이동통신 망에서의 공용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제1 기지국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RF(Radio Frequency) 신호로 변환하는 제1 트랜시버(Transceiver);
    상기 제1 기지국과 한 셀 내에 공존하는 제2 기지국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는 제2 트랜시버;
    상기 제2 트랜시버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1 트랜시버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함께 동시에 소정 크기 증폭시켜 출력하는 신호 증폭기; 및
    상기 신호 증폭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필터링하여 단말기로 송출되도록 하는 종단부
    를 포함하는 이종 기지국간의 공용 서비스 제공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증폭기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주파수 신호를 동시에 증폭하는 LPA(Linear Power Amplifier)를 포함하는 공용 서비스 제공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LPA는,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한 셀 내에 더 공존하는 타 기지국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함께 동시에 소정 크기 증폭시켜 출력하는 이종 기지국간의 공용 서비스 제공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은 상기 LPA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기지국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 1X를 기반으로 하는 2.5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인 이종 기지국간의 공용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0050032310A 2005-04-19 2005-04-19 이종 기지국간의 공용 서비스 제공 장치 KR100619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2310A KR100619118B1 (ko) 2005-04-19 2005-04-19 이종 기지국간의 공용 서비스 제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2310A KR100619118B1 (ko) 2005-04-19 2005-04-19 이종 기지국간의 공용 서비스 제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9118B1 true KR100619118B1 (ko) 2006-08-31

Family

ID=37625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2310A KR100619118B1 (ko) 2005-04-19 2005-04-19 이종 기지국간의 공용 서비스 제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9118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18286B2 (en) Reducing intermodulation distortion for intra-band dual connectivity
JP6625498B2 (ja) トランスミッタシステム、高周波モジュールおよび無線装置
KR20000074034A (ko) 케이블 손실 보상이 가능한 초소형 중계기
US918490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ime-division signals and frequency-division signals
CN102404882A (zh) 多模射频接收处理芯片和多模终端
WO2023050551A1 (zh) 拉远传输覆盖方法、系统以及拉远单元
US20020123306A1 (en) Channelized booster amplifier for cellular communications
CN101772896A (zh) 无线基站装置
US20060035667A1 (en) Multi band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US10135398B2 (en) Power amplification module
US2018013899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broadband passive intermodulation distortion signal
KR20010062576A (ko) 무선 시스템 결합 장치 및 그 방법
EP1325556B1 (en) High frequency amplification circuit
KR100619118B1 (ko) 이종 기지국간의 공용 서비스 제공 장치
JP2005507206A (ja) 折り返し選択帯域フィルタ処理を用いた低雑音送信機構造及びその方法
KR100612145B1 (ko) 비콘 신호 발생기를 이용한 단말기의 핸드오버 제어 장치
KR20090054803A (ko) 필터뱅크를 이용한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KR20080105803A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중계기
KR101855166B1 (ko) 단일 입력 다중 출력 구조를 갖는 증폭 장치
WO2024016125A1 (zh) 一种射频隔离模块及通信系统
CN209608647U (zh) 一种双模多频4g lte行业专网小基站板
CN201789052U (zh) 400MHz有源上行信号反向分路器
KR20060099210A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장치
KR200222047Y1 (ko) 송수신 주파수 상/하향 변환장치
CN114759946A (zh) 射频前端模块和控制射频前端模块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