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7672B1 - 이동통신 단말기와 기지국 간에 점대 점 프로토콜 연결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와 기지국 간에 점대 점 프로토콜 연결설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7672B1
KR100617672B1 KR1020030097572A KR20030097572A KR100617672B1 KR 100617672 B1 KR100617672 B1 KR 100617672B1 KR 1020030097572 A KR1020030097572 A KR 1020030097572A KR 20030097572 A KR20030097572 A KR 20030097572A KR 100617672 B1 KR100617672 B1 KR 100617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address
point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7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6307A (ko
Inventor
한승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7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7672B1/ko
Priority to US10/897,833 priority patent/US20050144260A1/en
Publication of KR20050066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6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7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7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84Providing for device mo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4Negotiation of communication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인터넷 통신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기지국 간에 점대 점 프로토콜 연결 설정 방법이 개시된다. 점대 점 프로토콜 연결 설정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기지국 간에 협상 과정을 생략하고 아이피 주소 할당을 요구할 수 있는 협상 프레임을 이용하여 기지국으로 아이피 주소 할당을 요구하는 아이피 주소 할당 요구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 아이피 주소 할당 요구 프레임에 대응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아이피 주소 할당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및 아이피 주소 할당 프레임을 통해 아이피 주소를 설정하고, 아이피 주소 할당 프레임을 기지국으로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인터넷 통신, 이동통신 단말기, 기지국, 점대 점 프로토콜(PPP), 인터넷 통신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와 기지국 간에 점대 점 프로토콜 연결 설정 방법{METHOD FOR SETTING POINT TO POINT PROTOCOL(PPP) CONNECTION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BASE STATION}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아이피 주소를 할당받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도,
도 2는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기지국(IWF) 간에 점대 점 프로토콜 협상에서 전송 및 수신되는 프레임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링크제어프로토콜(LCP) 단계에서 이용되는 도 2의 타입 필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인터넷 프로토콜 제어 프로토콜(IPCP) 단계에서 이용되는 도 2의 타입 필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새로운 점대 점 프로토콜 설정에서 이용되는 협상 프레임인 프로토콜 협상 프레임 포맷(New PPP protocol negotiation frame format: NIPCP)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의 협상 프레임의 타입 필드의 종류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타입 필드 중 어플리케이션 타입 필드의 종류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기지국(IWF) 간에 점대 점 프로토콜을 설정하는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플로우도,
도 9는 웹 브라우저(Brew Browser)가 구동된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가 기지국(IWF)으로 전송하는 아이피 주소 할당 요구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의 협상 프레임 포맷의 아이피 주소 할당 요구에 대하여 기지국(IWF)이 전송된 아이피 주소 할당 프레임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아이피 주소 할당 프레임을 기지국(IWF)으로 재전송하는 프레임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기지국(IWF) 간에 점대 점 프로토콜을 설정하는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플로우도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인터넷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초기에 수행하는 IP(Internet Protocol) 주소 할당을 통한 점대 점 프로토콜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라 함은 기지국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면서 사용자에게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휴대 장치를 칭한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남녀노소, 전세계 어디에서나 보편화되어 가고 있으며, 필수품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대방과 음성 또는 영상 데이터 신호의 송수신을 위하여 송수화부, 데이터 입출력부, 안테나 장치 등을 필수적으로 구비하게 된다.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는 송화부로 마이크로폰이 사용되고, 수화부로 스피커가 사용되며, 데이터 입력부는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키패드나 터치 스크린 또는 음성인식 장치 등이 사용되고, 데이터 출력부로는 엘씨디모듈이 사용된다.
일반적인 엘씨디모듈은 입력된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며, 디스플레이된 데이터를 사용자는 시각적으로 인식하게 된다. 이러한 엘씨디모듈은 점차적으로 고성능화되어가고 있으며, 일정 규격의 사이즈 화면에 글자, 그림, 애니메이션, 아이콘, 정지화상, 동영상 등의 여러 가지 데이터들이 엘씨디모듈을 통하여 시각적으로 표시되어서 사용자는 표시된 정보를 인식하게 된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종래에는 음성 통화 용도에 그쳤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문자 메시지를 송수신하게 되었고, 채팅이나 게임을 할 수 있게 되었으며,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뉴스를 시청하게 되었고, 엘씨디모듈도 흑백에서 컬러로 변경되어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인터넷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경우, 즉 이동통신 단말기가 웹브라우저를 통해 게임, 노래방, 정보 검색 또는 이메일(e-mail) 등을 서비스받고자 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는 점대 점 프로토콜(Point-to-Point Protocol: PPP)라는 프로토콜을 이용한다. 이러한 점대 점 프로토콜의 주요 목적 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인터넷 서비스를 하기 위해 서버{여기서는 기지국, IWF(InterWorking Function): 이하 기지국이라 함}로부터 하나의 아이피 주소(IP Address)를 할당 받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를 이용한 인터넷 통신의 경우에 아이피 주소를 입력하고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이와 마찬가지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인터넷 접속을 위한 아이피 주소를 가지고 있어야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인터넷 접속을 위해서는 먼저 점대 점 프로토콜이라는 프로토콜을 구동시켜 서버인 기지국(IWF)로부터 아이피 주소를 할당받는다.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는 할당받은 아이피 주소를 가지고 웹 프라우저를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는 일반 개인 컴퓨터에서 전화 접속을 통해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P(Internet Protocol)를 이용하여 인터넷 통신을 수행할 때 이용되는 점대 점 프로토콜을 그대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한 기술이다. 점대 점 프로토콜은 보통 3단계의 순차적 알고리즘이 적용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에 아이피 주소가 할당된다.
점대 점 프로토콜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아이피 주소 할당 과정은, 링크 제어 프로토콜(Link Control Protocol: LCP) 단계, 인증 (Authentication) 단계, 인터넷 프로토콜 제어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Control Protocol: IPCP)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과정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면, 링크 제어 프로토콜(LCP) 단계에 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기지국(IWF) 상호간에 통신이 가능한지를 확인하고 서로간의 통신 채널을 설정한다.
인증(Authentication) 단계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기지국(IWF)에 인증을 요구하고 기지국(IWF)가 이에 대하여 인증을 허락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인터넷 프로토콜 제어 프로토콜(IPCP) 단계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인터넷 통신을 위한 아이피 주소를 요구하고, 이에 대하여 기지국(IWF)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해당 아이피 주소를 할당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가 인터넷 통신을 서비스받기 위해서는 위에서 설명한 3단계 또는 인증 단계를 제외한 링크 제어 프로토콜(LCP) 단계와 인터넷 프로토콜 제어 프로토콜(IPCP) 단계를 거쳐야한다. 결과적으로 종래에 이동통신 단말기가 인터넷 통신을 서비스 받기 위해서는 인터넷 프로토콜 제어 프로토콜(IPCP) 단계가 완료되어야, 아이피 주소를 할당받고 할당받은 아이피 주소를 이용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점대 점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아이피 주소 할당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기지국(IWF)과의 3단계 과정으로 이루어진 통신은 각 단계마다 서로간에 협상을 통해 이루이진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아이피 주소를 할당받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와 기지국(IWF) 간에 통신을 통한 아이피 주소 할당 방법은 크게 링크제어프로토콜(LCP) 단계(S10), 인증단계(S20), 및 인터넷 프로토콜 제어 프로토콜(IPCP) 단계(S30)로 이루어진다.
이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이동통신 단말기(10)와 기지국(IWF)(20)은 상호간에 협상을 통해 통신을 요구한다(S12). 이때 요구된 통신 요구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0)와 기지국(IWF)(20)은 서로 통신이 가능한 통신 채널을 설정한다(S14).
이동통신 단말기(10)와 기지국(IWF)(20) 간에 통신 채널이 설정되면, 이동통신 단말기(10)는 기지국(IWF)(20)에 인증을 요구한다(S22). 이에 대하여 기지국(IWF)(20)은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인증 요구에 응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를 인증하고 이에 대한 응답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전송한다(S24).
기지국(IWF)(20)과 통신 채널이 설정되고 기지국(IWF)(20)에 인증이 완료되면, 이동통신 단말기(10)는 기지국(IWF)(20)에 인터넷 통신을 위한 아이피(IP)주소를 요구한다(S32). 이에 대하여 기지국(IWF)(20)은 이동통신 단말기(10)에 할당할 아이피 주소가 없는 경우, 아이피 주소 할당 실패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전송한다(S34).
이에 대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아이피 주소 할당 실패정보를 수신하면, 아이피 할당 요구신호를 기지국(IWF)(20)으로 재전송한다(S36). 아이피 할당 요구신호를 재수신 받은 기지국(IWF)(20)은 할당할 아이피 주소가 존재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에 아이피 주소를 할당하고 할당한 아이피주소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전송한다(S38).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는 기지국(IWF)(20)으로부터 할당된 아이피 주소를 이용하여 인터넷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S40).
이와 같이 아이피 주소 할당을 위한 3단계로 이루어진 각 단계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와 기지국(IWF)(20) 간에 점대 점 프로토콜 협상을 수행할 때, 각 단계마다 서로간의 요청과 응답을 통한 협상이 이루어지면 다음 단계가 수행된다.
도 1에서 보여주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10)와 기지국(IWF)(20) 간의 신호 흐름과정은 점대 점 프로토콜 설정을 위한 가장 최소의 협상과정을 보여 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최소 5번의 전송과 5번의 수신을 통해서 점대 점 프로토콜 설정이 이루어 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10)와 기지국(IWF)(20) 간에 통신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아이피 주소를 할당받고 점대 점 프로토콜을 설정하는 과정을 완료하기 위해 각 단계마다 상호간에 협상과정이 필요함에 따라 점대 점 프로토콜을 설정하는데 필요한 수행 절차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최소의 전송과 수신 과정을 통해 점대 점 프로토콜을 보다 빠른 시간에 설정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로토콜 연결 설정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지국(IWF)과 통신을 통해 아이피 주소를 할당받기 위한 점대 점 프로토콜 설정을 보다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로토콜 연결 설정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인터넷 통신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기지국 간에 점대 점 프로토콜 연결 설정 방법에 있어서, a) 이동통신 단말기와 기지국 간에 협상 과정을 생략하고 아이피 주소 할당을 요구할 수 있는 협상 프레임을 이용하여 기지국으로 아이피 주소 할당을 요구하는 아이피 주소 할당 요구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 b) 아이피 주소 할당 요구 프레임에 대응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아이피 주소 할당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및 c) 아이피 주소 할당 프레임을 통해 아이피 주소를 설정하고, 아이피 주소 할당 프레임을 기지국으로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대 점 프로토콜 연결 설정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협상 프레임은, 프로토콜필드, 종류(code)필드, 이동통신 단말기의 아이피주소필드, 기지국의 아이피주소필드, 제1DNS주소필드, 제2DNS주소필드, 서비스 옵션 및 어플리케이션 타입 필드, 및 에러체크필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이피 주소 할당 요구 프레임은, 프로토콜필드의 값이 "0037"; 종류(code)필드의 값이 "01";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아이피주소필드의 값, 기지국의 아이피주소필드의 값, 제1DNS주소필드의 값, 및 제2DNS주소필드의 값이 "00000000"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이피 주소 할당 프레임은, 프로토콜필드의 값은 "0037"; 종류(code)필드의 값은 "02";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아이피주소필드의 값, 기지국의 아이피주소필드의 값, 제1DNS주소필드의 값, 및 제2DNS주소필드의 값은 각각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된 해당 주소에 대응하는 값이다.
본 발명의 점대 점 프로토콜 연결 설정 방법은, 상기 b) 단계에서 아이피 주소 할당 요구 프레임에 대응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아이피 주소 할당 요구 프레임을 해독할 수 없음에 따라 거절 신호가 수신되면, e) 기지국과 협상을 통해 통신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 f) 통신 채널이 설정되면, 기지국에 인증을 요구하고 인증 요구에 대응하여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g) 인증이 완료되면, 기지국으로 아이피주소할당을 요구하는 단계; 및 h) 아이피주소할당 요구에 대응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아이피 주소를 할당받으면, 할당된 아이피 주소로 인터넷 통신을 위한 아이피 주소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점대 점 프로토콜 연결 설정 방법은, 상기 h) 단계에서 아이피주소할당 요구에 대해 기지국에서 아이피 주소가 할당되지 않아 아이피 주소 할당에 실패한 것을 알리는 아이피 할당 실패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 받으면, 아이피주소 할당을 기지국으로 재요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와 기지국(IWF) 간에 점대 점 프로토콜 설정시 불필요한 프레임의 전송을 줄이고 필요한 아이피 주소를 할당받는 동작만을 수행함으로써 즉, 이동통신 단말기와 기지국(IWF) 간에 점대 점 프로토콜 설정시 채널 설정과 인증 과정을 생략하고 아이피 주소 할당을 요구할 수 있는 점대 점 프로토콜 설정을 위한 협상 프레임을 이용하여 아이피 주소 할당을 요구하고 이에 대응하는 아이피 주소를 할당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와 기지국(IWF) 간에 점대 점 프로토콜을 설정하는 간편하게 수행하면서 설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기지국(IWF) 간에 점대 점 프로토콜 협상에서 전송 및 수신되는 프레임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프레임은 크게 프로토콜 필드(40), 제어 데이터 필드(50), 및 에러체크코드(FCS) 필드(70)로 구성된다.
프로토콜 필드값은 이동통신 단말기(10)와 기지국(IWF) 간에 수행하는 각 통신 단계에 따라 값이 바뀐다. 즉, 링크 제어 프로토콜(LCP) 단계에서 이용되는 프로토콜 필드 값은 0xC021이고, 인증 단계에서 이용되는 프로토콜 필드 값은 0xC023 또는 0xC223이며, 인터넷 프로토콜 제어 프로토콜(IPCP) 단계에서 이용되는 프로토콜 필드 값은 0x8021이다.
제어 데이터 필드(50)는 제어 데이터의 종류 필드(51), 아이디 필드(52), 길이 필드(53), 및 옵션 데이터 필드(60)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어 데이터의 종류 필드 값은 전송되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바뀐다. 즉, 해당 데이터의 요구(request)시에 이용되는 종류 필드 값은 0x01이고, 응답(Ack)시에 이용되는 종류 필드 값은 0x02이며, 실패(Nak)시에 이용되는 종류 필드 값은 0x03이다.
옵션 데이터 필드(60)는 옵션 데이터의 타입 필드(61), 길이 필드(62), 옵션 필드(63), 타입 필드(64), 및 길이 필드(65)로 구성된다.
도 3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기지국(IWF) 간에 링크제어프로토콜(LCP) 단계에서 이용되는 도 2의 타입 필드(64)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기지국(IWF) 간에 인터넷 프로토콜 제어 프로토콜(IPCP) 단계에서 이용되는 도 2의 타입 필드(64)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참고로 인증 단계에서는 옵션 데이터의 타입 필드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옵션 데이터의 타입은 한국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나라에서 이동통신 단말기과 기지국(IWF) 사이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값이다.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기지국(IWF)으로 수신받고자 하는 값은 아이피 주소(IP address), 제1 DNS주소(primary DNS Address), 제2 DNS주소(secondary DNS Address)이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밀기는 이 부분에 대해서만 기지국(IWF)과 협상을 통해 수신받는다.
추가로 기지국(IWF)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로 인증을 요구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기지국(IWF)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증을 위해서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CDMA 단말기 그 자체의 호(call)가 벌써 인증이 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지국(IWF)이 인증을 요구하는 경우는 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패킷 서비스(Packet Service)에 대한 요금을 달리 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호주 통신 사업자(Telstra)의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웹 브라우져의 디스프레이가 진행중인지 아닌지에 따라 다른 인증값 요구하고, 이동통신 단말기가 CDMA 1x에 연결되어 있는지 아니면 2G망에 연결되어 있는지에 따라 다른 인증값을 요구한다. 한국에서는, KTF는 인증 과정을 거치지 않고, SK 텔레콤의 경우 단지 CDMA 1x망에 연결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구별하기 위해 인증 과정을 수행한다.
즉, 인증 과정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어느 상태(CDMA 1x 또는 2G)인지 또는 어느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구동하려는지 기지국(IWF)이 구분하여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그리고 통신망의 연결에 따라 패킷(Packet) 요금을 달리 부과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따라서 이런 정보를 기지국(IWF)에 알려 주기 위한 추가적인 타입(type)을 정의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새로운 점대 점 프로토콜 설정에서 이용되는 협상 프레임인 프로토콜 협상 프레임 포맷(new PPP protocol negotiation frame format)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점대 점 프로토콜 설정을 위한 협상 프레임의 포맷은 기존의 점대 점 프로토콜 포맷에는 변화가 없고 단지 새로운 프로토콜과 타입이 추가된 구조를 갖는다. 프로토콜의 필드값은 현재 RFC(Request for Comments)에 정의된 사용되지 않는 0x0037값을 사용한다. 0x0037을 사용하는 프로토콜은 기본적으로 모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단계의 타입을 포함하고, 인터넷 프로토콜 제어 프로토콜(IPCP) 단계의 타입 0x02인 아이피 압축 프로토콜(IP-Compression-Protocol)을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도 6은 도 5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와 기지국(IWF) 간에 새로운 인터넷 프로토콜 제어 프로토콜(NIPCP) 단계에서 이용되는 협상 프레임의 타입 필드의 종류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타입 필드값 '01' 내지 '04'는 기존 인터넷 프로토콜 제어 프로토콜(IPCP) 단계에서 이용되는 타입 필드값과 같고, 타입 필드값 '05'는 3byte 로 구성된다. 타입 필드값 '05'는 2byte의 채널 서비스 옵션(channel service option)과 1byte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은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 및 기지국(IWF)가 현재 구동하려는 어플리케이션이다.
도 7은 도 6의 협상 프레임의 타입 필드 중 새로운 인터넷 프로토콜 제어 프로토콜(NIPCP) 단계에서 이용되는 타입 중 어플리케이션 타입의 종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타입의 필드값 별로 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정되어있다.
예를 들어 CDMA 1x망에 고속 데이터(153.6kbps) 전송인 서비스 옵션 33(0x0021)으로 어플리케이션(Brew application)을 연결하는 경우, 7의 필드값을 참조해서 어플리케이션 옵션의 필드값은 0x002101로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예로, QNC(QUICK Net Connect, 14.4kbps) 전송인 서비스 옵션 12(0x000C)로 어플리케이션을 연결하는 경우 0x000C01로 나타낼 수 있다.
만약, 새로운 인터넷 프로토콜 제어 프로토콜(NIPCP) 단계가 구현되지 않은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기지국(IWF)이 존재하는 경우,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을 수신받은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기지국(IWF)은 점대 점 프로토콜 설정을 위한 기본 동작인 프로토콜 거절신호(protocol reject)를 상대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을 수신받은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기지국(IWF)은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기존 점대 점 프로토콜 협상을 수행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기지국(IWF) 간에 점대 점 프로토 콜을 설정하는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플로우도이다.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도 5에 도시된 메시지 포맷을 이용하여 아이피(IP) 주소 할당을 요구하는 신호를 기지국(IWF)(300)으로 전송한다(S110). 기지국(IWF)(300)은 아이피 주소 할당을 요구한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대하여 아이피 주소를 할당하고, 할당한 아이피 주소 할당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130).
기지국(IWF)(300)로부터 전송된 아이피 주소 할당정보를 수신받은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수신받은 아이피 주소로 아이피 주소를 설정하고, 할당된 아이피 주소를 기지국(IWF)(300)으로 재전송한다(S150).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할당된 아이피 주소를 이용하여 인터넷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S170).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기지국(IWF)(300) 간에 점대 점 프로토콜 설정시 불필요한 프레임의 전송을 줄이고 필요한 아이피 주소를 할당받는 동작만을 수행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기지국(IWF)(300) 간에 점대 점 프로토콜을 설정하는 수행절차와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인터넷 서비스가 요구되는 프로그램인 웹 브라우저가 구동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기지국(IWF)(300) 간에 점대 점 프로토콜을 설정하는 과정에서 이용되는 데이터 프레임 포맷을 아래에서 설명한다.
도 9는 웹 브라우저(Brew Browser)가 구동된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기지국(IWF)(300)으로 전송하는 아이피 주소 할당 요구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피 주소 할당을 요구하는 프레임에서 프레임의 종류(code) 필드값은 해당 신호가 요구신호(request)이기 때문에 "01"이고, 옵션 필드에서 어플리케이션 타입 필드값은 구동 프로그램이 웹 브라우저이기 때문에 "0x002101"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필드값들은 도 5 내지 도 7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 10은 도 9의 프레임 포맷으로 아이피 주소 할당을 요구에 대하여 기지국(IWF)(300)이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아이피 주소를 할당하여 전송하는 아이피 주소 할당 프레임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때 기지국(IWF)(300)이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할당하는 아이피 주소는 "165.213.97.55", 기지국(IWF)(300)의 아이피 주소는 "165.213.97.1", 제1 DNS주소는 "165.213.110.20", 제2 DNS주소는 "165.213.110.21"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도면의 필드값을 확인하면 다음과 같다. 아이피 주소 할당 프레임에서 종류(code) 필드값은 응답(Ack) 신호이기 때문에 "02"이고, 옵션 필드에서 어플리케이션 타입 필드값은 구동 프로그램이 웹 브라우저이기 때문에 "0x002101"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할당된 아이피 주소 필드값은 기지국(IWF)(300)이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할당하는 아이피 주소가 "165.213.97.55"이기 때문에, "A5D56137"이다. 기지국(IWF)(300)의 아이피 주소 필드값은 기지국(IWF)(300)의 아이피 주소가 "165.213.97.1"이기 때문에, "A5DD6101"이다.
제1 DNS주소 필드값은 제1 DNS주소가 "165.213.110.20"이기 때문에, "A5D56E14"이다. 제2 DNS주소 필드값은 제2 DNS주소가 "165.213.110.21"이기 때문에, "A5D56E15"이다.
도 11은 도 9의 프레임 포맷으로 아이피 주소 할당을 요구에 대하여 기지국(IWF)(30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할당한 아이피 주소에 대응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기지국(IWF)(300)으로 할당된 아이피 주소 프레임을 재전송하는 프레임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프레임은 도 10에서 기지국(IWF)(300)으로부터 할당된 아이피주소 할당 프레임이 기지국(IWF)(300)으로 재전송되는 프레임이기 때문에, 도 10의 프레임과 유사하다.
아이피 주소 할당 프레임에서 종류(code) 필드값은 아이피 할당 프레임에 대한 응답(Ack) 신호이기 때문에 "02"이고, 옵션 필드에서 어플리케이션 타입 필드값은 구동 프로그램이 웹 브라우저이기 때문에 "0x002101"임을 알 수 있다. 또한 할당된 아이피 주소필드값(A5D56137), 기지국(IWF)(300)의 아이피 주소 필드값(A5DD6101), 제1 DNS주소 필드값(A5D56E14), 및 제2 DNS주소 필드값(A5D56E15)은 기지국(IWF)(300)으로부터 전송된 아이피 주소 할당 프레임의 필드값과 동일하다.
다만, 할당된 아이피 주소 프레임을 재전송하는 프레임에서 이이디 필드값은 "02"로서 기지국(IWF)(300)에서 전송한 아이피 주소 할당 프레임에서 아이디 필드값인 "01"보다 증가한 값임을 알 수 있다. 이는 재전송하는 프레임이 기지국(IWF)(300)으로부터 전송된 프레임을 재전송한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필드값이다.
도 12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프로토콜 프레임으로 점대 점 프로토콜 설정이 가능하고, 기지국(IWF)(300)에서 본 발명의 점대 점 프로토콜 설정을 위한 동작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기지국(IWF)(300) 간의 점대 점 프로토콜 설정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도이다.
도면에 따른 점대 점 프로토콜 설정 방법은 크게 새로운 인터넷 프로토콜 제어 프로토콜(NIPCP) 단계(S200), 링크 제어 프로토콜(LCP) 단계(S300), 인증 단계(S400), 및 인터넷 프로토콜 제어 프로토콜(IPCP) 단계(S500)로 구성된다.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도 9의 아이피 주소 할당 요구 프레임을 기지국(IWF)(300)으로 전송한다.(S220). 기지국(IWF)(300)은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도 9의 아이피 주소 할당 요구 프레임의 프로토콜을 인식 및 해독할 수 없는 경우, 거절(Reject)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240).
기지국(IWF)(300)으로부터 거절신호를 수신받으면,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점대 점 프로토콜 설정을 위한 기존의 동작을 수행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0) 및 기지국(IWF)(300)은 상호간에 통신 요구 신호를 교환한다(S320). 통신 요구신호를 수신받은 이동통신 단말기(100) 및 기지국(IWF)(300)은 서로 통신을 위한 통신 채널을 설정한다(S340).
통신 채널이 설정되면,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인증을 요구하는 인증요구프레임을 기지국(IWF)(300)으로 전송한다(S420). 기지국(IWF)(300)은 인증요구프레 임을 수신받으면, 이도통신 단말기(10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에 등답하는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440).
인증요구프레임에 대한 인증이 확인되면,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아이피주소할당을 요구하는 프레임을 기지국(IWF)(300)로 전송한다(S520). 기지국(IWF)(300)은 아이피할당 요구 프레임을 수신하고 아이피를 할다알 수 없는 경우, 아이피 주소 할당에 실패한 결과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전송한다(S540).
아이피 주소 할당 실패 정보를 수신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아이피 주소 할당 요구 프레임을 기지국(IWF)(300)으로 재전송한다(S560). 이에 대하여 기지국(IWF)(300)은 아이피 주소를 할당할 수 있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대하여 아이피 주소를 할당하고 아이피주소 할당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580).
기지국(IWF)(300)으로부터 아이피주소를 할당받은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수신된 아이피주소로 아이피 주소를 설정하고 설정된 아이피 주소를 이용하여 인터넷 통신을 수행한다(S600).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와 기지국(IWF) 간에 점대 점 프로토콜 설정시 채널 설정과 인증 과정을 생략하고 아이피 주소 할당을 요구할 수 있는 점대 점 프로토콜 설정을 위한 협상 프레임을 이용하여 아이피 주소 할당을 요구하고 이에 대응하는 아이피 주소를 할당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와 기지국(IWF) 간에 점대 점 프로토콜을 설정하는 간편하게 수행하면서 설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와 기지국(IWF) 간에 점대 점 프로토콜 설정시 불필요한 프레임의 전송을 줄이고 필요한 아이피 주소를 할당받는 동작만을 수행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와 기지국(IWF) 간에 점대 점 프로토콜을 설정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기지국(IWF) 간에 점대 점 프로토콜 설정시 채널 설정과 인증 과정을 생략하고 아이피 주소 할당을 요구할 수 있는 점대 점 프로토콜 설정을 위한 협상 프레임을 이용하여 아이피 주소 할당을 요구하고 이에 대응하는 아이피 주소를 할당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와 기지국(IWF) 간에 점대 점 프로토콜을 설정하는 간편하게 수행하면서 설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6)

  1. 인터넷 통신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기지국 간에 점대 점 프로토콜 연결 설정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아이피 주소 할당 요구와, 사용할 프로토콜 정보와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포함하는 협상 프레임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아이피 주소 할당을 요구하는 아이피 주소 할당 요구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아이피 주소 할당 요구 프레임에 대응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아이피 주소 할당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및
    c) 상기 아이피 주소 할당 프레임을 통해 아이피 주소를 설정하고, 상기 아이피 주소 할당 프레임을 상기 기지국으로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대 점 프로토콜 연결 설정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협상 프레임은,
    프로토콜필드, 종류(code)필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아이피주소필드, 상기 기지국의 아이피주소필드, 제1DNS주소필드, 제2DNS주소필드, 서비스 옵션 및 어플리케이션 타입 필드, 및 에러체크필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대 점 프로토콜 연결 설정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피 주소 할당 요구 프레임은,
    상기 프로토콜필드의 값이 "0037";
    상기 종류(code)필드의 값이 "01";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아이피주소필드의 값, 상기 기지국의 아이피주소필드의 값, 상기 제1DNS주소필드의 값, 및 상기 제2DNS주소필드의 값이 "000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대 점 프로토콜 연결 설정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피 주소 할당 프레임은,
    상기 프로토콜필드의 값은 "0037";
    상기 종류(code)필드의 값은 "02";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아이피주소필드의 값, 상기 기지국의 아이피주소필드의 값, 상기 제1DNS주소필드의 값, 및 상기 제2DNS주소필드의 값은 각각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된 해당 주소에 대응하는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대 점 프로토콜 연결 설정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아이피 주소 할당 요구 프레임에 대응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거절 신호가 수신되면,
    e) 상기 기지국과 통신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
    f) 상기 통신 채널이 설정되면, 상기 기지국에 인증을 요구하고 상기 인증 요구에 대응하여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g) 상기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기지국으로 아이피주소할당을 요구하는 단계; 및
    h)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아이피 주소를 할당받으면, 상기 할당된 아이피 주소로 인터넷 통신을 위한 아이피 주소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대 점 프로토콜 연결 설정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h) 단계에서 상기 아이피주소할당 요구에 대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아이피 주소 할당 실패를 알리는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기지국에 아이피주소할당을 재요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대 점 프로토콜 연결 설정 방법.
KR1020030097572A 2003-12-26 2003-12-26 이동통신 단말기와 기지국 간에 점대 점 프로토콜 연결설정 방법 KR100617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7572A KR100617672B1 (ko) 2003-12-26 2003-12-26 이동통신 단말기와 기지국 간에 점대 점 프로토콜 연결설정 방법
US10/897,833 US20050144260A1 (en) 2003-12-26 2004-07-23 Method for setting up point-to-point protocol (PPP) connection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base s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7572A KR100617672B1 (ko) 2003-12-26 2003-12-26 이동통신 단말기와 기지국 간에 점대 점 프로토콜 연결설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6307A KR20050066307A (ko) 2005-06-30
KR100617672B1 true KR100617672B1 (ko) 2006-08-28

Family

ID=34698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7572A KR100617672B1 (ko) 2003-12-26 2003-12-26 이동통신 단말기와 기지국 간에 점대 점 프로토콜 연결설정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50144260A1 (ko)
KR (1) KR1006176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67505B2 (en) * 2005-06-20 2014-10-21 Sk Telecom Co., Ltd. Fast data-link connection method for saving connection time in CDMA 2000 network
KR100744782B1 (ko) 2005-11-15 2007-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아이피 주소 획득 방법
US20070211752A1 (en) * 2006-03-13 2007-09-13 Utstarcom, Incorporated Method of establishing a PPP session over an air interface
EP2356857A2 (en) * 2008-11-10 2011-08-17 Alcatel Lucent Methods and apparatuses supporting cs domain services over a packet only mobile system comprising an interworking function iwf
KR20140036221A (ko) * 2011-06-09 2014-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웃 발견 방법 및 장치
US9413589B2 (en) * 2011-11-08 2016-08-09 Blackberry Limited Method for discovering a dynamic address of a communication device
WO2015188202A2 (en) * 2014-06-02 2015-12-10 Global Data Sciences Inc. Point-to-point secure data store an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WI551100B (zh) * 2014-06-13 2016-09-21 物聯智慧科技(深圳)有限公司 用以進行點對點連接的方法、伺服器與裝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7455A (ko) * 2001-12-10 2003-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00772C2 (de) * 1998-01-12 2000-04-06 Ericsson Telefon Ab L M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erbindung mit einem Paketaustauschnetz
US7412528B2 (en) * 2000-01-14 2008-08-12 Qualcomm, Incorporated Avoiding PPP time-outs during IPCP negotiations
US7447182B2 (en) * 2001-04-06 2008-11-04 Nortel Networks Limited Discovering an address of a name server
US6973088B2 (en) * 2002-04-03 2005-12-06 Qualcomm Incorporated PPP link negotiation in mobile IP systems
US20040148427A1 (en) * 2002-11-27 2004-07-29 Nakhjiri Madjid F. Method and apparatus for PPP link handof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7455A (ko) * 2001-12-10 2003-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6307A (ko) 2005-06-30
US20050144260A1 (en) 2005-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3172B1 (ko) 무선 데이터 전송 방법과 그 이동 단말기 및 이종신호간 연동장치
KR10052656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응용 프로그램 기동 방법 및이동통신망 서비스시스템의 서비스데이터 제공방법
MXPA02005523A (es) Metodo y aparato para autentificacion en un sistema de telecomunicaciones inalambricas.
US7856648B2 (en) Method for processing VOD data in mobile station
AU763662B2 (en) Simultaneous setup of PPP on a UM and RM interface
KR10061767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와 기지국 간에 점대 점 프로토콜 연결설정 방법
GB2363547A (en) Internet protocol (ip) based communication system in a mobile telephone network which allows ip communication even if no ip connection exists
KR2005009090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데이터 프로토콜에 따른 vpn서비스 방법 및 장치
US743369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6631278B2 (en) Method for originating packet data calls via dial-up networking applications
US2006021828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obile assisted, fixed line video calls
EP1528727A1 (en)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with a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ng with an outside device
KR100447879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패킷/음성 통신 동시 제공방법
KR10046403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프로토콜 세션 공유 방법
KR20010061323A (ko) 인터넷 폰 서비스 지원 방법 및 시스템
US20050043028A1 (en) Arrangement for supporting data exchange between terminal equipment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via a mobile terminal
KR100339338B1 (ko)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방법
US20080008145A1 (en) Mobile radio terminal apparatus and address resolution method
KR101328922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점 대 점 프로토콜 접속 성공율개선 방법
KR100593477B1 (ko) 무선환경에서의 데이터통신 연결방법
JP2004201087A (ja) 携帯電話機によるダイヤルアップ接続方法
KR100442950B1 (ko) 터치 스크린 방식의 블루투스 단말기에서 입력 펜을이용한 데이터 통신방법
KR100505896B1 (ko) 단말기간의 신뢰성있는 데이터교환 방법
KR100271310B1 (ko) 무선가입자망에서의 데이터 서비스 제공방법
KR101156198B1 (ko) 포인트 투 포인트 프로토콜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지서비스 정보 획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