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5669B1 - 영상 촬영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촬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5669B1
KR100615669B1 KR1020040042166A KR20040042166A KR100615669B1 KR 100615669 B1 KR100615669 B1 KR 100615669B1 KR 1020040042166 A KR1020040042166 A KR 1020040042166A KR 20040042166 A KR20040042166 A KR 20040042166A KR 100615669 B1 KR100615669 B1 KR 100615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oom
lens group
actuator
moving
foc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2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7010A (ko
Inventor
오형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소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소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소닉
Priority to KR1020040042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5669B1/ko
Priority to PCT/KR2004/003364 priority patent/WO2005060242A1/en
Priority to EP04808495A priority patent/EP1695544A4/en
Priority to US10/596,591 priority patent/US7702233B2/en
Publication of KR20050117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7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5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5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5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 G02B13/007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having an element with variable optic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9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having zoom fun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영상 촬영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영상 촬영 장치는, 보상렌즈군과, 보상렌즈군의 포커싱을 조절하기 위한 포커스 액츄에이터와, 포커스 액츄에이터를 지지하기 위한 제 1줌가동부와, 변위렌즈군과, 변위렌즈군을 지지하기 위한 제 2줌가동부와, 제 1줌가동부를 구동시켜 보상렌즈군을 제 1이동궤적을 따라 이동시키고 제 2줌가동부를 구동시켜 변위렌즈군을 제 2이동궤적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줌액츄에이터와, 보상렌즈군 및 변위렌즈군을 통과한 피사체의 영상을 촬상하기 위한 센서와, 포커스 액츄에이터와 줌액츄에이터 및 센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갖는다. 이러한 영상 촬영 장치는, 줌 비를 바꾸어주는 액츄에이터와 초점을 제어하는 액츄에이터를 별도로 분리하고, 초점을 제어하는 액츄에이터의 구조를 간단히 하여 영상 촬영 장치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통신기기, 영상촬영장치, 포커싱, 줌

Description

영상 촬영 장치{IMAGE PHOTOGRAPHING DEVICE}
도 1은 일반적인 영상 촬영 장치의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도 1에서 줌이 실행된 상태의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렌즈군의 이동궤적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종래 영상 촬영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소형 영상 촬영 장치의 일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줌액츄에이터와 렌즈군의 이동궤적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5에 도시한 포커스 액츄에이터의 일례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8은 도 7의 종단면도,
도 9는 도 5에 도시한 포커스 액츄에이터의 다른 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10은 도 5에 도시한 줌액츄에이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0의 구체적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0의 구체적인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5에 도시한 줌액츄에이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소형 영상 촬영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고정렌즈군 110: 고정경통
200: 보상렌즈군 202: 제 1이동궤적
210: 제 1경통 212: 제 1수나사부
214: 공구홈 220: 제 2경통
222: 제 1암나사부 250: 고정부
300: 포커스 액츄에이터 310: 코일
320: 마그네트 330: 요크
340: 압전소자 350: 복원스프링
400: 제 1줌가동부
500: 줌액츄에이터 510: 회전구동부
520: 요크 522: 코일
530: 모터 532: 회전축
534: 평기어 540: 모터
542: 회전축 544: 리드스크류
546: 스크류홀더 548: 가이드축
550: 로터 552: 기어치
570: 제 1줌가동부재 572: 제 1경사면
574: 제 3경사면
580: 제 2줌가동부재 582: 제 2경사면
584: 제 4경사면 590: 복원수단
600: 변위렌즈군 602: 제 2이동궤적
700: 제 2줌가동 710: 제 3경통
712: 제 2수나사부 720: 제 4경통
722: 제 2암나사부
800: 센서 900: 포커싱렌즈군
1000: 제 3줌가동부 1010: 제 5경통
1012: 제 3수나사부 1020: 제 6경통
1022: 제 3암나사부
본 발명은 영상 촬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줌 비를 바꾸어주는 액츄에이터와 초점을 제어하는 액츄에이터를 별도로 분리하고, 초점을 제어하는 액츄에이터의 구조를 간단히 하여 영상 촬영 장치의 크기를 소형화함으로써, 휴대폰과 같이 소형의 통신기기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영상 촬영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줌 변화가 실행된 상태의 도면이다.
이 영상 촬영 장치는 초점을 보상하기 위한 보상렌즈군(10)과, 배율을 변경하기 위한 변위렌즈군(20)과, 보상렌즈군(10)과 변위렌즈군(20)을 통과한 영상을 촬상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센서(30)로 구성된다.
줌 비를 바꾸기 위해서는 보상렌즈군(10)과 변위렌즈군(20)을 렌즈 광학계의 설계 데이터로부터 나오는 줌 궤적에 맞추어 연동시켜야 한다.
센서(30)의 위치에 대한 보상렌즈군(10)과 변위렌즈군(20)의 위치는 렌즈의 설계에 따라 다르며, 본 예시에서는 센서(30)에 가까운 측이 변위렌즈군(20)으로 설계되었다.
이러한 영상 촬영 장치에서 줌이 실행되는 렌즈군의 이동 궤적을 도 2에 도시한다.
변위렌즈군(20)의 제 2이동궤적(22)이 큰 변위를 갖는 반면, 보상렌즈군(10)의 제 1이동궤적(12)은 미세 변위 만을 갖는다.
한편, 이러한 보상렌즈군(10)과 변위렌즈군(20)의 줌 궤적 연동을 구현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캠구조를 사용한다.
도 4는 종래 영상 촬영 장치의 실시예이다.
보상렌즈군(10)은 제 1경통(40)에 탑재되고, 변위렌즈군(20)은 제 2경통(44)에 탑재된다. 제 1경통(40) 및 제 2경통(44)의 외주에 위치하는 회전경통(50)에는 제 1경통(40)에 형성된 제 1구동핀(42)이 제 1이동궤적(12)을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하기 위한 제 1캠홈(54)이 형성되고, 제 2경통(44)에 형성된 제 2구동핀(46)이 제 2이동궤적(22)을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하기 위한 제 2캠홈(56)이 형성된다. 이러한 회전경통(50)에는 구동모터(70)의 구동기어(7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기어치(52)가 형성된다.
구동모터(70)가 회전하여 구동기어(72)가 기어치(52)를 회전시켜 회전경통(50)이 회전하면,
그리고 회전경통(50)의 외주에는 고정경통(60)이 설치되는데, 고정경통(60)에는 제 1구동핀(42)과 제 2구동핀(46)이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 하기 위한 슬롯(62)이 형성된다.
구동모터(70)가 회전하여 구동기어(72)가 기어치(52)를 회전시키면, 회전경통(50)과 이에 형성된 제 1캠홈(54)과 제 2캠홈(56)이 회전하게 된다. 제 1구동핀(42)과 제 2구동핀(46)이 슬롯(62)에 의해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어 높이의 변화가 발생한다. 즉, 제 1구동핀(42)과 제 2구동핀(46)이 도 2와 같은 줌조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피사체의 거리에 따라 센서(80)에 맺히는 초점의 정도가 변화하므로 피사체의 거리에 따라 초점을 다시 맞추는 동작을 하여야 양호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보상렌즈군(10)과 변위렌즈군(20)을 통과한 피사체의 영상을 촬상하기 위한 센서(80)를 부착판(82)에 설치한다. 그리고 부착판(82)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리드스크류(92)를 회전시키는 조정모터(90)를 설치한다.
조정모터(90)가 리드스크류(92)를 회전시키면, 부착판(82) 및 센서(80)가 광축방향으로 구동하여 영상 촬영시 센서가 최적 초점 위치에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영상 촬영 장치는 부피가 큰 2개의 모터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영상 촬영 장치의 부피가 커지게 되고, 센서 면 자체를 이동하여야 하므로 포커싱 조정 기구가 매우 엄밀히 관리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줌 비를 바꾸어주는 액츄에이터와 초점을 제어하는 액츄에이터를 별도로 분리하고, 초점을 제어하는 액츄에이터의 구조를 간단히 하여 영상 촬영 장치의 크기를 소형화함으로써, 휴대폰과 같이 소형의 통신기기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보상렌즈군; 상기 보상렌즈군의 포커싱을 조절하기 위한 포커스 액츄에이터; 상기 포커스 액츄에이터를 지지하기 위한 제 1줌가동부; 변위렌즈군; 상기 변위렌즈군을 지지하기 위한 제 2줌가동부; 상기 제 1줌가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보상렌즈군을 제 1이동궤적을 따라 이동시키고, 상기 제 2줌가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변위렌즈군을 제 2이동궤적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줌액츄에이터; 상기 보상렌즈군 및 상기 변위렌즈군을 통과한 피사체의 영상을 촬상하기 위한 센서; 상기 포커스 액츄에이터와 상기 줌액츄에이터 및 상기 센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영상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영상 촬영 장치는, 상기 보상렌즈군 및 상기 변위렌즈군과 동일한 광축상에 배치되는 고정렌즈군; 및 상기 고정렌즈군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경통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영상 촬영 장치는, 상기 보상렌즈군과 상기 포커스 액츄에이터의 사이에는 포커스 가동부가 설치되고,
상기 포커스 가동부는, 상기 보상렌즈군이 내부에 결합되며 외주에 제 1수나 사부가 형성된 제 1경통; 및 상기 포커스 액츄에이터가 외부에 결합되며 내주에 상기 제 1수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제 1암나사부가 형성된 제 2경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 1경통에는 공구를 삽입시켜 회전시키기 위한 공구홈이 형성된다.
상기 포커스 액츄에이터는, 상기 보상렌즈군측 또는 상기 제 1줌가동부 중 일측에 권선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류를 인가 받는 코일; 및 상기 보상렌즈군측 또는 상기 제 1줌가동부 중 나머지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코일중 수평인 부분에 대하여 자속이 지나도록 극성이 분할된 마그네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포커스 액츄에이터는, 상기 포커스 가동부를 초기 위치로 복원시키는 제 2복원스프링을 더 포함한다.
상기 마그네트의 일면에는, 상기 마그네트의 자속을 순환시키기 위한 요크가 부착된다.
상기 포커스 액츄에이터는, 상기 보상렌즈군측과 상기 제 1줌가동부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류를 인가 받아 상기 제 1줌가동부를 광축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압전소자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2줌가동부는, 상기 변위렌즈군이 내부에 결합되며 외주에 제 2수나사부가 형성된 제 3경통; 및 상기 제 2수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제 2암나사부가 형성된 제 4경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줌액츄에이터는, 구동원;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 1줌가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보상렌즈군을 줌 변화 경로인 제 1이동궤적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제 1줌가동부재;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 2줌가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변위렌즈군을 줌 변화 경로인 제 2이동궤적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제 2줌가동부재; 및 상기 제 1줌가동부 및 상기 제 2줌가동부를 원상으로 복귀시키기 위한 제 1복원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원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회전구동부; 및 상기 회전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로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 1줌가동부재는, 상기 로터의 회전에 의해 제 1줌가동부를 승강시켜 상기 보상렌즈군을 줌 변화 경로인 제 2이동궤적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제 1경사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줌가동부재는, 상기 로터의 회전에 의해 제 2줌가동부를 승강시켜 상기 변위렌즈군을 줌 변화 경로인 제 2이동궤적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제 2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원은, 요크; 상기 요크에 권선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요크를 자화시키기 위한 코일; 및 상기 요크에 대면되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는 방향에 따라 회전되는 마그네트로 이루어진 로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원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중심축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평기어; 및 상기 평기어에 치합되 는 기어치가 형성된 로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원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리드스크류; 및 상기 리드스크류에 결합되어 상기 리드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기 광축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크류홀더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줌가동부재는, 상기 스크류홀더에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홀더가 상기 광축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 1줌가동부를 상기 광축 방향으로 승강시켜 상기 보상렌즈군을 줌 변화 경로인 제 2이동궤적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제 3경사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줌가동부재는, 상기 스크류홀더에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홀더가 상기 광축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 2줌가동부를 상기 광축 방향으로 승강시켜 상기 변위렌즈군을 줌 변화 경로인 제 2이동궤적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제 4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또 하나의 본 발명은, 포커싱렌즈군; 상기 포커싱렌즈군의 포커싱을 조절하기 위한 포커스 액츄에이터; 상기 포커스 액츄에이터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부; 보상렌즈군; 상기 보상렌즈군을 지지하기 위한 제 3줌가동부; 변위렌즈군; 상기 변위렌즈군을 지지하기 위한 제 2줌가동부; 상기 제 3줌가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보상렌즈군을 제 1이동궤적을 따라 이동시키고, 상기 제 2줌가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변위렌즈군을 제 2이동궤적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줌액츄에이터; 상기 보상렌즈군 및 상기 변위렌즈군을 통과한 피사체의 영상을 촬상하기 위한 센서; 및 상기 포커스 액츄에이터와 상기 줌액츄에이터 및 상기 센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영상 촬영 장치는, 상기 보상렌즈군 및 상기 변위렌즈군과 동일한 광축상에 배치되는 고정렌즈군; 및 상기 고정렌즈군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경통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영상 촬영 장치는, 상기 포커싱렌즈군과 상기 포커스 액츄에이터의 사이에는 포커스 가동부가 설치되고,
상기 포커스 가동부는, 상기 보상렌즈군이 내부에 결합되며 외주에 제 1수나사부가 형성된 제 1경통; 및 상기 포커스 액츄에이터가 외부에 결합되며 내주에 상기 제 1수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제 1암나사부가 형성된 제 2경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 1경통에는 공구를 삽입시켜 회전시키기 위한 공구홈이 형성된다.
상기 포커스 액츄에이터는, 상기 포커싱렌즈군측 또는 상기 고정부 중 일측에 권선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류를 인가 받는 코일; 및 상기 포커싱렌즈군측 또는 상기 고정부 중 나머지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코일중 수평인 부분에 대하여 자속이 지나도록 극성이 분할된 마그네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포커스 액츄에이터는, 상기 포커스 가동부를 초기 위치로 복원시키는 제 2복원스프링을 더 포함한다.
상기 마그네트의 일면에는, 상기 마그네트의 자속을 순환시키기 위한 요크가 부착된다.
상기 포커스 액츄에이터는, 상기 포커싱렌즈군측과 상기 고정부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류를 인가 받아 상기 고정부를 광축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압전소자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3줌가동부는, 상기 보상렌즈군이 내부에 결합되며 외주에 제 3수나사부가 형성된 제 5경통; 및 상기 제 3수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제 3암나사부가 형성된 제 6경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 2줌가동부는, 상기 변위렌즈군이 내부에 결합되며 외주에 제 2수나사부가 형성된 제 3경통; 및 상기 제 2수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제 2암나사부가 형성된 제 4경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줌액츄에이터는, 구동원;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 3줌가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보상렌즈군을 줌 변화 경로인 제 1이동궤적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제 1줌가동부재;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 2줌가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변위렌즈군을 줌 변화 경로인 제 2이동궤적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제 2줌가동부재; 및 상기 제 1줌가동부 및 상기 제 2줌가동부를 원상으로 복귀시키기 위한 제 1복원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원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회전구동부; 및 상기 회전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로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 1줌가동부재는, 상기 로터의 회전에 의해 제 1줌가동부를 승강시켜 상기 보상렌즈군을 줌 변화 경로인 제 2이동궤적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제 1경사 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줌가동부재는, 상기 로터의 회전에 의해 제 2줌가동부를 승강시켜 상기 변위렌즈군을 줌 변화 경로인 제 2이동궤적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제 2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원은, 요크; 상기 요크에 권선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요크를 자화시키기 위한 코일; 및 상기 요크에 대면되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는 방향에 따라 회전되는 마그네트로 이루어진 로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원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중심축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평기어; 및 상기 평기어에 치합되는 기어치가 형성된 로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원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리드스크류; 및 상기 리드스크류에 결합되어 상기 리드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기 광축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크류홀더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줌가동부재는, 상기 스크류홀더에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홀더가 상기 광축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 3줌가동부를 상기 광축 방향으로 승강시켜 상기 보상렌즈군을 줌 변화 경로인 제 1이동궤적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제 3경사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줌가동부재는, 상기 스크류홀더에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홀더가 상 기 광축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 2줌가동부를 상기 광축 방향으로 승강시켜 상기 변위렌즈군을 줌 변화 경로인 제 2이동궤적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제 4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 1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소형 영상 촬영 장치의 일실시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줌액츄에이터와 렌즈군의 이동궤적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5에 도시한 포커스 액츄에이터의 일례를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종단면도이고, 도 9는 도 5에 도시한 포커스 액츄에이터의 다른 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5에 도시한 줌액츄에이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구체적인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2는 도 10의 구체적인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5에 도시한 줌액츄에이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영상 촬영 장치는, 보상렌즈군(200); 보상렌즈군(200)의 포커싱을 조절하기 위한 포커스 액츄에이터(300); 포커스 액츄에이터(300)를 지지하기 위한 제 1줌가동부(400); 변위렌즈군(600); 변위렌즈군(600)을 지지하기 위한 제 2줌가동부(700); 제 1줌가동부(400)를 구동시켜 보상렌즈군(200)을 제 1이동궤적(202) 을 따라 이동시키고, 제 2줌가동부(700)를 구동시켜 변위렌즈군(600)을 제 2이동궤적(602)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줌액츄에이터(500); 보상렌즈군(200) 및 변위렌즈군(600)을 통과한 피사체의 영상을 촬상하기 위한 센서(800); 포커스 액츄에이터(300)와 줌액츄에이터(500) 및 센서(8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영상 촬영 장치는 보상렌즈군(200) 및 변위렌즈군(600)과 동일한 광축상에 고정렌즈군(100)과 고정렌즈군(10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경통(110)이 구비된다.
또한 보상렌즈군(200)과 포커스 액츄에이터(300)의 사이에는 보상렌즈군(200)의 포기 위치를 세팅하기 위한 포커스 가동부가 설치된다.
이러한 포커스 가동부는, 보상렌즈군(200)이 내부에 결합되며 외주에 제 1수나사부(212)가 형성된 제 1경통(210); 및 포커스 액츄에이터(300)가 외부에 결합되며 내주에 제 1수나사부(212)에 나사결합되는 제 1암나사부(222)가 형성된 제 2경통(220)으로 이루어진다.
제 1경통(210)에는 공구를 삽입시켜 회전시키기 위한 공구홈(214)이 형성된다. 공구홈(214)에 공구를 삽입시키고 회전시킴으로써 제 1경통(210)의 높이를 조정하여 보상렌즈군(200)의 초기 위치를 최적으로 세팅한다.
포커스 액츄에이터(300)는, 보상렌즈군(200)측 또는 제 1줌가동부(400) 중 일측에 권선되어 고정되고, 제어부로부터 전류를 인가 받는 코일(310); 및 보상렌즈군(200)측 또는 제 1줌가동부(400) 중 나머지 일측에 고정되고, 코일(310)중 수 평인 부분에 대하여 자속이 지나도록 극성이 분할된 마그네트(320)로 이루어진다.
또한 포커스 액츄에이터(300)는, 포커스 가동부를 초기 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스프링(350)을 갖는다.
마그네트(320)의 일면에는, 마그네트(320)의 자속을 순환시키기 위한 요크(330)가 부착된다.
포커스 액츄에이터(300)의 또 다른 예로서, 보상렌즈군(200)측과 제 1줌가동부(400)에 연결 설치되고, 제어부로부터 전류를 인가 받아 제 1줌가동부(400)를 광축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압전소자(340)로 구성할 수 있다.
제 2줌가동부(700)는, 변위렌즈군이 내부에 결합되며 외주에 제 2수나사부(712)가 형성된 제 3경통(710); 및 제 2수나사부(712)에 나사결합되는 제 2암나사부(722)가 형성된 제 4경통(720)으로 이루어진다.
줌액츄에이터(500)는, 구동원;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제 1줌가동부(400)를 구동시켜 보상렌즈군(200)을 줌 변화 경로인 제 1이동궤적(202)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제 1줌가동부재(570);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제 2줌가동부(700)를 구동시켜 변위렌즈군(600)을 줌 변화 경로인 제 2이동궤적(602)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제 2줌가동부재(580); 및 제 1줌가동부(400) 및 제 2줌가동부(700)를 원상으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원수단(5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동원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회전구동부(510); 및 회전구동부(51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로터(550);로 이루어진다.
제 1줌가동부재(570)는, 로터(550)의 회전에 의해 제 1줌가동부(400)를 승강시켜 보상렌즈군(200)을 줌 변화 경로인 제 1이동궤적(202)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제 1경사면(572)으로 이루어진다.
제 2줌가동부재(580)는, 로터(550)의 회전에 의해 제 2줌가동부(700)를 승강시켜 변위렌즈군(600)을 줌 변화 경로인 제 2이동궤적(602)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제 2경사면(582)으로 이루어진다.
구동원의 구체적인 예는, 요크(520); 요크(520)에 권선되고, 제어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요크(520)를 자화시키기 위한 코일(522); 및 요크(520)에 대면되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코일(522)에 전류가 인가되는 방향에 따라 회전되는 마그네트로 이루어진 로터(550)로 이루어진다.
구동원의 다른 예는, 제어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되는 모터(530); 모터(530)의 중심축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평기어(534); 및 평기어(534)에 치합되는 기어치(552)가 형성된 로터(550)로 이루어진다.
구동원의 또 다른 예는, 제어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되는 모터(540); 모터(540)의 회전축(542)에 결합된 리드스크류(544); 및 리드스크류(544)에 결합되어 리드스크류(544)의 회전에 의해 광축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크류홀더(546)로 이루어진다. 스크류홀더(546)에는 스크류홀더(546)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축(548)이 구비된다.
제 1줌가동부재(570)는, 스크류홀더(546)에 형성되어 스크류홀더(546)가 광 축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 1줌가동부(400)를 광축 방향으로 승강시켜 보상렌즈군(200)을 줌 변화 경로인 제 1이동궤적(202)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제 3경사면(574)으로 이루어진다.
제 2줌가동부(700)재는, 스크류홀더(546)에 형성되어 스크류홀더(546)가 광축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 2줌가동부(700)를 광축 방향으로 승강시켜 변위렌즈군(600)을 줌 변화 경로인 제 2이동궤적(602)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제 4경사면(584)으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 1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포커스 액츄에이터(30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 포커스 액츄에이터(300)는 복원스프링(350)에 의해 초기 위치에 고정된다.
사용자가 통신기기에 설치된 키패드를 통하여 일반 촬영 버튼을 누르면, 제어부는 센서(800)를 구동시켜 고정렌즈군(100)과 보상렌즈군(200) 및 변위렌즈군(600)을 통과하는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한다. 센서(800)는 촬상된 영상을 전기적인 시그널로 변환시켜 플렉시블 피씨비를 통하여 본체내의 제어부로 전송한다.
영상을 전송 받은 제어부는 촬영된 영상이 선명하지 않으면, 포커싱 조정을 실행하기 위한 전원을 포커스 액츄에이터(300)에 인가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포커스 액츄에이터(300)의 경우, 코일(310)에 전류가 인가되면 코일(310)에 발생하는 자기장과 마그네트(320)의 자속의 반발력에 의해 보상렌즈군(200)을 광축방향으로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구동력이 발생한다. 이 구동력으로 보상렌즈군(200)의 위치를 미세하게 변화시켜 센서(800)에 촬상되는 영상이 선명하게 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포커스 액츄에이터(300)의 경우, 압전소자(340)에 전류가 인가되면 압전소자(340)가 직접 전류방향에 따라 보상렌즈군(200)을 광축방향으로 상승시키거나 하강시켜 센서(800)에 촬상되는 영상이 선명하게 되도록 한다.
한편, 통신기기에 설치된 키패드를 통하여 줌촬영 버튼을 누르면, 제어부는 줌액츄에이터(500)를 구동시켜 보상렌즈군(200) 및 변위렌즈군(600)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줌모드를 실행한다.
도 11에 도시된 줌액츄에이터(500)의 경우, 제어부로부터 코일(522)에 전류가 인가되면 요크(520)가 자화되어 마그네트로 이루어진 로터(550)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로터(550)에 형성된 제 1경사면(572)이 제 1줌가동부(400)를 제 1이동궤적(202)을 따라 이동시키고, 제 2경사면(582)이 제 2줌가동부(700)를 제 2이동궤적(602)을 따라 이동시킨다.
도 12에 도시된 줌액츄에이터(500)의 경우, 제어부로부터 모터(530)에 전류가 공급되면 모터(530)의 회전축(532)에 결합된 평기어(534)가 회전하여 기어치(552)를 통해 로터(550)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로터(550)에 형성된 제 1경사면(572)이 제 1줌가동부(400)를 제 1이동궤적(202)을 따라 이동시키고, 제 2경사면(582)이 제 2줌가동부(700)를 제 2이동궤적(602)을 따라 이동시킨다.
도 13에 도시된 줌액츄에이터(500)의 경우, 제어부로부터 모터(540)에 전원이 공급되면 모터(540) 회전축(542)에 결합된 리드스크류(544)가 회전하여 스크류 홀더(546)를 이동시킨다. 스크류홀더(546)는 가이드축(548)을 따라 이동하여 제 3경사면(574)이 제 1줌가동부(400)를 제 1이동궤적(202)을 따라 이동시키고, 제 4경사면(584)이 제 2줌가동부(700)를 제 2이동궤적(602)을 따라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고정렌즈군(100)과 보상렌즈군(200) 및 변위렌즈군(600)을 통과하여 센서(800)에 촬상되는 피사체의 영상이 확대되는 줌모드가 실행된다.
센서(800)는 줌실행 후 촬상된 영상을 전기적인 시그널로 변환시켜 플렉시블 피씨비를 통하여 본체내의 제어부로 전송하고, 제어부는 줌실행후 다시 포커스 액츄에이터(300)를 구동시켜 화질을 선명하게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소형 영상 촬영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5에 도시한 포커스 액츄에이터의 일례를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종단면도이고, 도 9는 도 5에 도시한 포커스 액츄에이터의 다른 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5에 도시한 줌액츄에이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구체적인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2는 도 10의 구체적인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5에 도시한 줌액츄에이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영상 촬영 장치는, 포커싱렌즈군(900); 포커싱렌즈군(900)의 포커싱을 조절하기 위한 포커스 액츄에이터(300); 포커스 액츄에이터(300)를 지 지하기 위한 고정부(250); 보상렌즈군(200); 보상렌즈군(200)을 지지하기 위한 제 3줌가동부(1000); 변위렌즈군(600); 변위렌즈군(600)을 지지하기 위한 제 2줌가동부(700); 제 3줌가동부(1000)를 구동시켜 보상렌즈군(200)을 제 1이동궤적(202)을 따라 이동시키고, 제 2줌가동부(700)를 구동시켜 변위렌즈군을 제 2이동궤적(602)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줌액츄에이터(500); 보상렌즈군(200) 및 변위렌즈군(600)을 통과한 피사체의 영상을 촬상하기 위한 센서(800); 포커스 액츄에이터(300)와 줌액츄에이터(500) 및 센서(8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영상 촬영 장치는, 보상렌즈군(200) 및 변위렌즈군(600)과 동일한 광축상에 배치되는 고정렌즈군(100); 및 고정렌즈군(10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경통(110)을 갖는다.
또한 상기 영상 촬영 장치는, 포커싱렌즈군(900)과 포커스 액츄에이터(300)의 사이에는 포커싱렌즈군(900)의 초기 위치를 세팅하기 위한 포커스 가동부가 설치된다.
이러한 포커스 가동부는, 보상렌즈군(200)이 내부에 결합되며 외주에 제 1수나사부(212)가 형성된 제 1경통(210); 및 포커스 액츄에이터(300)가 외부에 결합되며 내주에 제 1수나사부(212)에 나사결합되는 제 1암나사부(222)가 형성된 제 2경통(220)으로 이루어진다.
제 1경통(210)에는 공구를 삽입시켜 회전시키기 위한 공구홈(214)이 형성된다. 공구홈(214)에 공구를 삽입시키고 회전시킴으로써 제 1경통(210)의 높이를 조정하여 포커싱렌즈군(900)의 초기 위치를 최적으로 세팅한다.
포커스 액츄에이터(300)는, 포커싱렌즈군(900)측 또는 고정부(250) 중 일측에 권선되어 고정되고, 제어부로부터 전류를 인가 받는 코일(310); 및 포커싱렌즈군(900)측 또는 고정부(250) 중 나머지 일측에 고정되고, 코일(310)중 수평인 부분에 대하여 자속이 지나도록 극성이 분할된 마그네트(320)로 이루어진다.
포커스 액츄에이터(300)는, 포커스 가동부를 초기 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스프링(350)을 갖는다.
마그네트(320)의 일면에는, 마그네트(320)의 자속을 순환시키기 위한 요크(330)가 부착된다.
포커스 액츄에이터(300)는, 포커싱렌즈군(900)측과 상기 고정부(250)에 연결 설치되고, 제어부로부터 전류를 인가 받아 고정부(250)를 광축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압전소자(340)로 이루어진다.
제 3줌가동부(1000)는, 보상렌즈군(200)이 내부에 결합되며 외주에 제 3수나사부(1012)가 형성된 제 5경통(1010); 및 제 3수나사부(1012)에 나사결합되는 제 3암나사부(1022)가 형성된 제 8경통(1020)으로 이루어진다.
제 2줌가동부(700)는, 변위렌즈군(600)이 내부에 결합되며 외주에 제 2수나사부(712)가 형성된 제 3경통(710); 및 제 2수나사부(712)에 나사결합되는 제 2암나사부(722)가 형성된 제 4경통(720)으로 이루어진다.
줌액츄에이터(500)는, 구동원;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제 3줌가동부(1000)를 구동시켜 보상렌즈군(200)을 줌 변화 경로인 제 1이동궤적(202)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제 1줌가동부(400)재;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제 2줌가 동부(700)를 구동시켜 변위렌즈군(600)을 줌 변화 경로인 제 2이동궤적(602)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제 2줌가동부(700)재; 및 제 1줌가동부(400) 및 제 2줌가동부(700)를 원상으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원수단(590)으로 이루어진다.
구동원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회전구동부(510); 및 회전구동부(51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로터(550)로 이루어진다.
제 1줌가동부재(570)는, 로터(550)의 회전에 의해 제 1줌가동부(400)를 승강시켜 보상렌즈군(200)을 줌 변화 경로인 제 1이동궤적(202)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제 1경사면(572)으로 이루어진다.
제 2줌가동부(700)재는, 로터(550)의 회전에 의해 제 2줌가동부(700)를 승강시켜 변위렌즈군(600)을 줌 변화 경로인 제 2이동궤적(602)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제 2경사면(582)으로 이루어진다.
구동원의 구체적인 예는, 요크(520); 요크(520)에 권선되고, 제어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요크(520)를 자화시키기 위한 코일(522); 및 요크(520)에 대면되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코일(522)에 전류가 인가되는 방향에 따라 회전되는 마그네트로 이루어진 로터(550)로 이루어진다.
구동원의 다른 예는, 제어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되는 모터(530); 모터(530)의 중심축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평기어(534); 및 평기어(534)에 치합되는 기어치(552)가 형성된 로터(550)로 이루어진다.
구동원의 또 다른 예는, 제어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되는 모터(540); 모터(540)의 회전축(542)에 결합된 리드스크류(544); 및 리드스크류(544)에 결합되어 리드스크류(544)의 회전에 의해 광축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크류홀더(546)로 이루어진다. 스크류홀더(546)에는 스크류홀더(546)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축(548)이 구비된다.
제 1줌가동부재(570)는, 스크류홀더(546)에 형성되어 스크류홀더(546)가 광축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 3줌가동부(1000)를 광축 방향으로 승강시켜 보상렌즈군(200)을 줌 변화 경로인 제 1이동궤적(202)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제 3경사면(574)으로 이루어진다.
제 2줌가동부재(580)는, 스크류홀더(546)에 형성되어 스크류홀더(546)가 광축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 2줌가동부(700)를 광축 방향으로 승강시켜 변위렌즈군(600)을 줌 변화 경로인 제 2이동궤적(602)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제 4경사면(584)으로 이루어진다.
통신기기의 키패드에는 이미지 촬상부를 구동시켜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 버튼과, 줌을 실행하기 위한 줌 버튼을 구비한다. 촬영 버튼이 눌러지면, 제어부는 이미지 촬상부를 구동시켜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함과 동시에 포커스 액츄에이터(300)에 전류를 인가하여 포커싱 에러를 보정하는 모드를 실행한다. 그리고 줌 버튼이 눌러지면, 제어부는 줌액츄에이터(500)에 전류를 인가하여 보상렌즈군(200) 및 변위렌즈군(600)을 이동시켜 줌을 변화시킨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 2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포커스 액츄에이터(30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 포커스 액츄에이터(300)는 복원스프링(350)에 의해 초기 위치에 고정된다.
사용자가 통신기기에 설치된 키패드를 통하여 일반 촬영 버튼을 누르면, 제어부는 센서(800)를 구동시켜 고정렌즈군(100)과 포커싱렌즈군(900)과 보상렌즈군(200) 및 변위렌즈군(600)을 통과하는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한다. 센서(800)는 촬상된 영상을 전기적인 시그널로 변환시켜 플렉시블 피씨비를 통하여 본체내의 제어부로 전송한다.
영상을 전송 받은 제어부는 촬영된 영상이 선명하지 않으면, 포커싱 조정을 실행하기 위한 전원을 포커스 액츄에이터(300)에 인가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포커스 액츄에이터(300)의 경우, 코일(310)에 전류가 인가되면 코일(310)에 발생하는 자기장과 마그네트(320)의 자속의 반발력에 의해 포커싱렌즈군(900)을 광축방향으로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구동력이 발생한다. 이 구동력으로 포커싱렌즈군(900)의 위치를 미세하게 변화시켜 센서(800)에 촬상되는 영상이 선명하게 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포커스 액츄에이터(300)의 경우, 압전소자(340)에 전류가 인가되면 압전소자(340)가 직접 전류방향에 따라 포커싱렌즈군(900)을 광축방향으로 상승시키거나 하강시켜 센서(800)에 촬상되는 영상이 선명하게 되도록 한다.
한편, 통신기기에 설치된 키패드를 통하여 줌촬영 버튼을 누르면, 제어부는 줌액츄에이터(500)를 구동시켜 보상렌즈군(200) 및 변위렌즈군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줌모드를 실행한다.
도 11에 도시된 줌액츄에이터(500)의 경우, 제어부로부터 코일(522)에 전류가 인가되면 요크(520)가 자화되어 마그네트로 이루어진 로터(550)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로터(550)에 형성된 제 1경사면(572)이 제 3줌가동부(1000)를 제 1이동궤적(202)을 따라 이동시키고, 제 2경사면(582)이 제 2줌가동부(700)를 제 2이동궤적(602)을 따라 이동시킨다.
도 12에 도시된 줌액츄에이터(500)의 경우, 제어부로부터 모터(530)에 전류가 공급되면 모터(530)의 회전축(532)에 결합된 평기어(534)가 회전하여 기어치(552)를 통해 로터(550)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로터(550)에 형성된 제 1경사면(572)이 제 3줌가동부(1000)를 제 1이동궤적(202)을 따라 이동시키고, 제 2경사면(582)이 제 2줌가동부(700)를 제 2이동궤적(602)을 따라 이동시킨다.
도 13에 도시된 줌액츄에이터(500)의 경우, 제어부로부터 모터(540)에 전원이 공급되면 모터(540) 회전축(542)에 결합된 리드스크류(544)가 회전하여 스크류홀더(546)를 이동시킨다. 스크류홀더(546)는 가이드축(548)을 따라 이동하여 제 3경사면(574)이 제 3줌가동부(1000)를 제 1이동궤적(202)을 따라 이동시키고, 제 4경사면(584)이 제 2줌가동부(700)를 제 2이동궤적(602)을 따라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고정렌즈군(100)과 포커싱렌즈군(900)과 보상렌즈군(200) 및 변위렌즈군(600)을 통과하여 센서(800)에 촬상되는 피사체의 영상이 확대되는 줌모드가 실행된다.
센서(800)는 줌실행 후 촬상된 영상을 전기적인 시그널로 변환시켜 플렉시블 피씨비를 통하여 본체내의 제어부로 전송하고, 제어부는 줌실행후 다시 포커스 액 츄에이터(300)를 구동시켜 화질을 선명하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영상 촬영 장치는, 줌 비를 바꾸어주는 액츄에이터와 초점을 제어하는 액츄에이터를 별도로 분리하고, 초점을 제어하는 액츄에이터의 구조를 간단히 하여 영상 촬영 장치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하나의 실시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0)

  1. 보상렌즈군;
    상기 보상렌즈군의 포커싱을 조절하기 위한 포커스 액츄에이터;
    상기 포커스 액츄에이터를 지지하기 위한 제 1줌가동부;
    변위렌즈군;
    상기 변위렌즈군을 지지하기 위한 제 2줌가동부;
    상기 제 1줌가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보상렌즈군을 제 1이동궤적을 따라 이동시키고, 상기 제 2줌가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변위렌즈군을 제 2이동궤적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줌액츄에이터;
    상기 보상렌즈군 및 상기 변위렌즈군을 통과한 피사체의 영상을 촬상하기 위한 센서;
    상기 포커스 액츄에이터와 상기 줌액츄에이터 및 상기 센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줌액츄에이터는,
    구동원;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 1줌가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보상렌즈군을 줌 변화 경로인 제 1이동궤적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제 1줌가동부재;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 2줌가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변위렌즈군을 줌 변화 경로인 제 2이동궤적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제 2줌가동부재; 및
    상기 제 1줌가동부 및 상기 제 2줌가동부를 원상으로 복귀시키기 위한 제 1복원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장치.
  2. 포커싱렌즈군;
    상기 포커싱렌즈군의 포커싱을 조절하기 위한 포커스 액츄에이터;
    상기 포커스 액츄에이터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부;
    보상렌즈군;
    상기 보상렌즈군을 지지하기 위한 제 3줌가동부;
    변위렌즈군;
    상기 변위렌즈군을 지지하기 위한 제 2줌가동부;
    상기 제 3줌가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보상렌즈군을 제 1이동궤적을 따라 이동시키고, 상기 제 2줌가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변위렌즈군을 제 2이동궤적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줌액츄에이터;
    상기 보상렌즈군 및 상기 변위렌즈군을 통과한 피사체의 영상을 촬상하기 위한 센서;
    상기 포커스 액츄에이터와 상기 줌액츄에이터 및 상기 센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줌액츄에이터는,
    구동원;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 3줌가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보상렌즈군을 줌 변화 경로인 제 1이동궤적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제 1줌가동부재;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 2줌가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변위렌즈군을 줌 변화 경로인 제 2이동궤적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제 2줌가동부재; 및
    상기 제 1줌가동부 및 상기 제 2줌가동부를 원상으로 복귀시키기 위한 제 1복원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장치.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영상 촬영 장치는,
    상기 보상렌즈군 및 상기 변위렌즈군과 동일한 광축상에 배치되는 고정렌즈군; 및
    상기 고정렌즈군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경통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 촬영 장치는, 상기 보상렌즈군과 상기 포커스 액츄에이터의 사이에는 포커스 가동부가 설치되고,
    상기 포커스 가동부는, 상기 보상렌즈군이 내부에 결합되며 외주에 제 1수나사부가 형성된 제 1경통; 및
    상기 포커스 액츄에이터가 외부에 결합되며 내주에 상기 제 1수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제 1암나사부가 형성된 제 2경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영상 촬영 장치는, 상기 포커싱렌즈군과 상기 포커스 액츄에이터의 사이에는 포커스 가동부가 설치되고,
    상기 포커스 가동부는, 상기 보상렌즈군이 내부에 결합되며 외주에 제 1수나사부가 형성된 제 1경통; 및
    상기 포커스 액츄에이터가 외부에 결합되며 내주에 상기 제 1수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제 1암나사부가 형성된 제 2경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장치.
  6. 청구항 1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 1경통에는 공구를 삽입시켜 회전시키기 위한 공구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액츄에이터는,
    상기 보상렌즈군측 또는 상기 제 1줌가동부 중 일측에 권선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류를 인가 받는 코일; 및
    상기 보상렌즈군측 또는 상기 제 1줌가동부 중 나머지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코일중 수평인 부분에 대하여 자속이 지나도록 극성이 분할된 마그네트를 포함 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장치.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액츄에이터는,
    상기 포커싱렌즈군측 또는 상기 고정부 중 일측에 권선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류를 인가 받는 코일; 및
    상기 포커싱렌즈군측 또는 상기 고정부 중 나머지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코일중 수평인 부분에 대하여 자속이 지나도록 극성이 분할된 마그네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장치.
  9. 청구항 7또는 8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액츄에이터는, 상기 포커스 가동부를 초기 위치로 복원시키는 제 2복원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장치.
  10. 청구항 7또는 8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의 일면에는, 상기 마그네트의 자속을 순환시키기 위한 요크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장치.
  11.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액츄에이터는,
    상기 보상렌즈군측과 상기 제 1줌가동부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류를 인가 받아 상기 제 1줌가동부를 광축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압전소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장치.
  12.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 2줌가동부는, 상기 변위렌즈군이 내부에 결합되며 외주에 제 2수나사부가 형성된 제 3경통; 및
    상기 제 2수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제 2암나사부가 형성된 제 4경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장치.
  1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3줌가동부는, 상기 보상렌즈군이 내부에 결합되며 외주에 제 3수나사부가 형성된 제 5경통; 및
    상기 제 3수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제 3암나사부가 형성된 제 6경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장치.
  1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회전구동부; 및
    상기 회전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로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 1줌가동부재는, 상기 로터의 회전에 의해 제 1줌가동부를 승강시켜 상기 보상렌즈군을 줌 변화 경로인 제 2이동궤적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제 1경사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줌가동부재는, 상기 로터의 회전에 의해 제 2줌가동부를 승강시켜 상기 변위렌즈군을 줌 변화 경로인 제 2이동궤적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제 2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장치.
  1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은,
    요크;
    상기 요크에 권선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요크를 자화시키기 위한 코일; 및
    상기 요크에 대면되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는 방향에 따라 회전되는 마그네트로 이루어진 로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장치.
  16.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중심축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평기어; 및
    상기 평기어에 치합되는 기어치가 형성된 로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장치.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리드스크류; 및
    상기 리드스크류에 결합되어 상기 리드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기 광축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크류홀더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줌가동부재는, 상기 스크류홀더에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홀더가 상기 광축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 1줌가동부를 상기 광축 방향으로 승강시켜 상기 보상렌즈군을 줌 변화 경로인 제 2이동궤적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제 3경사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줌가동부재는, 상기 스크류홀더에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홀더가 상기 광축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 2줌가동부를 상기 광축 방향으로 승강시켜 상기 변위렌즈군을 줌 변화 경로인 제 2이동궤적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제 4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장치.
  1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리드스크류; 및
    상기 리드스크류에 결합되어 상기 리드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기 광축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크류홀더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줌가동부재는, 상기 스크류홀더에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홀더가 상기 광축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 3줌가동부를 상기 광축 방향으로 승강시켜 상기 보상렌즈군을 줌 변화 경로인 제 1이동궤적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제 3경사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줌가동부재는, 상기 스크류홀더에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홀더가 상기 광축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 2줌가동부를 상기 광축 방향으로 승강시켜 상기 변위렌즈군을 줌 변화 경로인 제 2이동궤적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제 4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장치.
  19. 삭제
  20. 삭제
KR1020040042166A 2003-12-19 2004-06-09 영상 촬영 장치 KR100615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2166A KR100615669B1 (ko) 2004-06-09 2004-06-09 영상 촬영 장치
PCT/KR2004/003364 WO2005060242A1 (en) 2003-12-19 2004-12-20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EP04808495A EP1695544A4 (en) 2003-12-19 2004-12-20 IMAGE CAMERA
US10/596,591 US7702233B2 (en) 2003-12-19 2004-12-20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2166A KR100615669B1 (ko) 2004-06-09 2004-06-09 영상 촬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7010A KR20050117010A (ko) 2005-12-14
KR100615669B1 true KR100615669B1 (ko) 2006-08-25

Family

ID=37290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2166A KR100615669B1 (ko) 2003-12-19 2004-06-09 영상 촬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56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415B1 (ko) 2007-10-08 2013-11-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55688B (zh) * 2020-07-03 2024-01-26 神华铁路装备有限责任公司 故障识别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415B1 (ko) 2007-10-08 2013-11-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7010A (ko) 2005-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7412B2 (en) Lens barrel and imaging device
US8730376B2 (en) Lens barrel and imaging device
US8807847B2 (en) Lens barrel and imaging device
JP5188722B2 (ja) 像振れ補正装置およびカメラ
US20060061891A1 (en) Lens device, image pickup device and optical device
JP2006072294A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のレンズ移送装置
US20110149142A1 (en) Lens barrel and imaging device
KR100582746B1 (ko) 영상 촬영 장치
KR100746714B1 (ko) 정보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
KR100615669B1 (ko) 영상 촬영 장치
KR100640097B1 (ko) 영상 촬영 장치
KR100774560B1 (ko) 소형 줌 카메라장치
JP2012083711A (ja) レンズ鏡筒
KR100636649B1 (ko) 오토포커스 기능이 있는 소형 카메라장치
KR100466508B1 (ko) 정보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
KR100614763B1 (ko) 영상 촬영 장치
KR100514533B1 (ko) 정보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
KR100562721B1 (ko)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
KR100614690B1 (ko) 영상 촬영 장치
JP5882627B2 (ja) レンズ鏡筒
JPH11109212A (ja) リヤフォーカス式ズームレンズ装置
KR100926685B1 (ko) 카메라용 자동초점 구동장치
KR20060043619A (ko) 정보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
JP3715959B2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100499238B1 (ko) 정보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