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5631B1 - 위치 트리거 시스템 및 그 트리거링 방법 - Google Patents

위치 트리거 시스템 및 그 트리거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5631B1
KR100615631B1 KR1020040054859A KR20040054859A KR100615631B1 KR 100615631 B1 KR100615631 B1 KR 100615631B1 KR 1020040054859 A KR1020040054859 A KR 1020040054859A KR 20040054859 A KR20040054859 A KR 20040054859A KR 100615631 B1 KR100615631 B1 KR 100615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service
trigger
server
pro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4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5870A (ko
Inventor
이양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어헤드모바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어헤드모바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어헤드모바일
Priority to KR1020040054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5631B1/ko
Publication of KR20060005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5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5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5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겟 MS에 위치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MS의 위치 정보를 검색하는 위치 프로브 서버 및 위치 정보 서비스 관련 데이터가 저장되는 트리거 서비스 DB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이를 제어하는 위치 트리거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프로브 서버는 이동통신망의 사용자의 이동 및 핸드오버에 따른 주요 통신 노드 간에 장착되어 MS의 위치 정보 업데이트를 모니터링하고 업데이트된 위치 정보를 상기 위치 트리거 서버로 연동하여 올려주고, 상기 위치 트리거 서버는 상기 위치 프로브 서버에서 전송한 MS의 위치 변경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를 위치 트리거 서비스 사용자가 등록한 해당 서비스와 연동하여 실행하여, 푸시 서비스로 상기 타겟 MS에 전송하는 위치 트리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LBS, 트리거, MS

Description

위치 트리거 시스템 및 그 트리거링 방법{Location trigger system and trigger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트리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트리거 시스템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기능 블럭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트리거 시스템에서 위치 프로브 서버의 구성을, 도 3b 및 도 3c는 위치 프로브 서버와 이동통신망과의 연결 상태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기능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트리거 시스템에서의 위치 트리거 서비스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위치 트리거 시스템
110: 위치 트리거 서버
120: 위치 프로브 서버
130: 트리거 서비스 DB
140: 위치 트리거 밸런서
본 발명은 위치 기반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위치 프로브 장치를 이동통신망의 사용자의 이동 및 핸드오버에 따른 주요 통신 노드 간에 장착하여 위치 정보를 수동적인 프로빙 형태로 모니터링하므로, 기존 통신 네트워크에 통신 장애나 위치 추적에 따른 시스템의 부하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실시간 알람 서비스를 구현하는 위치 트리거 시스템 및 그 트리거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위치 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는, 언제 어디서든 사람이나 물건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기술을 활용한 '시스템' 및 '부가응용서비스'를 통칭하는 것으로, 최근 휴대폰 서비스 항목 중에서 가장 큰 관심을 끌고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지역에서 "여기서 가장 가까운 주유소가 어디지" 라고 질문하면, 위치 기반 시스템을 통해 파악된 주유소의 위치와 그곳까지 가는 방향이 휴대폰을 통해 제공되는 식의 서비스가 가능한 것이다.
3GPP 표준이나 이에 의거해 개발된 기존의 LBS 플랫폼 시스템은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개인의 위치정보를 풀(Pull) 형태로 억세스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형태의 서비스는 이동통신 단말기나 텔레메틱스 단말기를 소지한 개인이 특정 시점에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주변의 정보를 검색하거나, 위치를 통보 또는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에 적합한 시스템이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은 지정된 이용자가 특정 위치에 도달하거나 특정 위치로부터 이탈할 경우에 어떤 메시지를 보내거나 처리를 요청하고자 하는 경우에 한계를 지니게 된다. 예를 들어, 텔레메틱스를 장착한 차량이 쇼핑몰 근처로 진입하는 경우에 해당 고객이 VIP 고객이라면 바로 메시지를 보내서 주차 안내 및 VIP 라운지로의 안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에, 기존의 LBS는 해당 이용자의 위치를 계속해서 실시간으로 추적하고 이 위치가 특정지역에 진입 또는 이탈하는 경우 이를 적발하여 요구된 서비스를 작동하는 방식이므로, 지속적인 위치 추적에 따른 시스템 부하 및 이동통신망의 위치 추적 및 전송을 위한 네트워크 비용이 과다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위치 프로브 장치를 이동통신망의 사용자의 이동 및 핸드오버에 따른 주요 통신 노드 간에 장착하여 위치 정보를 수동적인 프로빙 형태로 모니터링하므로, 기존 통신 네트워크에 통신 장애나 위치 추적에 따른 시스템의 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위치 트리거 시스템 및 그 트리거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위치 정보의 추적이 풀 방식이 아니라 특정인이 특정시점에 특정 지역에 진입할 때 사용자의 명단을 파악할 수 있어 즉시적인 푸시 서비스가 가능하므로, 실시간 알람(alert) 서비스를 구현하는 위치 트리거 시스템 및 그 트리거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타겟 MS에 위치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MS의 위치 정보를 검색하는 위치 프로브 서버 및 위치 정보 서비스 관련 데이터가 저장되는 트리거 서비스 DB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이를 제어하는 위치 트리거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프로브 서버는 이동통신망의 사용자의 이동 및 핸드오버에 따른 주요 통신 노드 간에 장착되어 MS의 위치 정보 업데이트를 모니터링하고 업데이트된 위치 정보를 상기 위치 트리거 서버로 연동하여 올려주고,
상기 위치 트리거 서버는 상기 위치 프로브 서버에서 전송한 MS의 위치 변경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를 위치 트리거 서비스 사용자가 등록한 해당 서비스와 연동하여 실행하여, 푸시 서비스로 상기 타겟 MS에 전송하는 위치 트리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MS의 위치 정보를 검색하는 위치 프로브 서버 및 위치 정보 서비스 관련 데이터가 저장되는 트리거 서비스 DB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이를 제어하는 위치 트리거 서버로 이루어진 시스템에서 타겟 MS에 위치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위치 프로브 서버가 이동통신망의 사용자의 이동 및 핸드오버에 따른 주요 통신 노드 간에 장착되어, MS의 위치 정보 업데이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b) 상기 (a) 단계에서의 모니터링시 검색 MS가 해당 서비스 지역에 들어오면 이동통신망에 셀 ID 이벤트가 발생하고, 상기 위치 프로브 서버는 셀 ID에 대 해 필터링하여 해당 지역에 들어온 서비스 사용자 셀 ID 및 위치정보를 위치 트리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c) 상기 (b) 단계에서 위치정보를 수신받은 위치 트리거 서버가, 상기 트리거 서비스 DB와 연동하여, 위치 트리거 서비스별로 가입자를 관리하고 상기 가입자 개인별로 본인이 원하는 수준에 대해서만 트리거하거나 푸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트리거링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트리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치 트리거 시스템(100)은, 트리거 서비스 제공자(300)가 제공하는 위치 트리거 서비스(이하, 위치 트리거 서비스) 관련 정보가 저장되는 트리거 서비스 DB(DataBase, 130)와, 이동통신망(200)에서 사용되는 라인간 프로토콜(protocol)을 검색하여 위치 데이터를 가져오는 위치 프로브 서버(1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트리거 서비스 DB(130)와 연동하여 상기 위치 프로버 서버(120)에서 전송된 위치 데이터의 관리 및 위치 트리거 서비스를 수행하는 위치 트리거 서버(1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동 통신망(200)은 이동통신사의 CDMA망(SS7망) 또는 GSM망을 총괄한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서비스망을 지칭하며, 일반적으로 BSSMAP(Base Station System Management Application Part), TCAP(Transaction Capabilities Application Part), SCCP(Signaling Connection Control Part), MTP(Message Transfer Part) 등의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SS7 프로토콜 메시지 및 기타 customizing 프로토콜을 분석하여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시스템 네트워크를 지칭한다.
또한, 트리거 서비스 제공자(300)는 다양한 종류의 위치 트리거 관련 외부 서비스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자이며, 타겟 MS(Mobile Station, 400)는 이동국으로서, 이동전화 가입자가 위치 트리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단말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타겟 MS는 트리거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국으로서, 위치 프로브 서버(120)가 검색하는 검색 대상 MS와 위치 트리거 서비스 종류에 따라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 도 있다.
보다 상세히 위치 트리거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면, 위치 트리거 서버(location trigger server, 110)는, 위치 트리거 서비스 핵심 프로세스를 구현하는 부분으로서, 위치 트리거 서비스 등록, 사용자 허가 처리, 서비스 모니터링 등을 수행한다.
즉, 위치 트리거 서버(110)는 위치 프로브 서버(120)에서 감지하여 올려주는 각 MS의 위치변경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를 위치 트리거 서비스 사용자가 등록한 해당 서비스와 연동하여 실행하여, SMS/WAP 푸시(Push) 서비스로 타겟 MS(400)에 전송한다.
또한, 위치 프로브 서버(location probe server, 120)는, 무선 네트워크 상 에서 발생하는 사용자 위치 변경 트리거 데이터를 통합처리하는 서버로서, 이동통신망(200)의 특정 시스템에 장착되어 검색대상 MS의 위치 정보 업데이트를 서치하고 서치된 위치 데이터를 위치 트리거 서버(110)로 연동하여 올려준다.
또한, 사용자 위치 변경 트리거 데이터를 추적할 때 이동통신망 트래픽에 전혀 영향을 주지않고 해당 데이터를 서치하는 위치 트리거 밸런서(location trigger balancer, 1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위치 트리거 밸런서(140)는, 이동통신망(200)에서 발생하는 사용자 위치 변경 데이터를 실질적으로 체크하는 모듈로서, 이동통신사 시스템 각 기지국단에 하나씩 설치하여 사용하게 된다.
또한, 트리거 서비스 DB(130)는 위치 프로브 서버(120)에서 전송되는 MS의 위치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시간 위치 변경 또는 이동 경로 등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연동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 사용자 관련 정보 및 각 MS의 각 서비스 제공에 대한 허가 여부 등 위치 트리거 서비스 관련 정보를 저장한다.
이와 같이, 위치 트리거 서버(110)는 위치 프로브 서버(120), 위치 트리거 서비스 DB(130)와 연결되어 위치 트리거 시스템의 메인 서버로서 기능하며, 위치 트리거 서버(110)는 위치 프로브 서버(120)를 통해 서치된 검색 대상 MS의 위치 변경 데이터를 외부의 요청을 받지 않고도 자동적으로 타겟 MS(400)에 제공한다.
또한, 위치 트리거 서버(110)는, 검색 대상 MS의 위치 변경 데이터를 서비스 사용자가 등록한 해당 위치 트리거 서비스와 연동하여 실행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트리거 시스템에서 위치 트리거 서버 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기능 블럭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트리거 서버(110)는, 트리거 서비스 DB(130)을 제어하는 트리거 DB 관리부(111)와, 트리거 서비스 사용자의 해당 서비스에 대한 퍼미션(permission) 여부를 관리하는 퍼미션 관리부(Permission Manager, 112)와, 위치 프로브 서버(120)에서 전송된 위치 데이터 관리 및 해당 트리거 서비스와의 연동을 수행하는 푸시 트래픽 관리부(Push Traffic Manager, 113)와, 트리거 서비스 관련 등록, 해지 및 수정 등의 관리 툴(administration tool)을 제공하는 LT 서비스 관리부(114)와, 위치 트리거 서버의 각 프로세스에 대한 정상 동작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프로세스 모니터링부(115)와, 위치 프로브 서버(120)와의 통신을 위한 LP 인터페이스부(116)를 포함한다.
또한, LP 인터페이스부(116)와 위치 프로브 서버(120)와의 통신은 TCP/IP로 연결되어 처리되며, 위치 트리거 서버(110)가 위치 프로브 서버(12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받아서 처리하게 된다.
또한, 위치 트리거 서버(110)의 LT 게이트웨이(g/w, 미도시)는 외부와의 네트워크 통신 연결창으로서, LT 게이트 웨이를 통해 트리거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다양한 종류의 트리거 관련 외부 서비스 프로그램을 제공받고 타겟 MS에 등록된 위치 트리거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플러그 인(plug-in) 형태로 각 서비스를 트리거 서비스 DB(130)에 등록할 수 있으며, 이 등록된 서비스 데이터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위치 트리거 서버(110)의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트리거 DB 관 리부(111)는 위치 트리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트리거 서비스 DB(130)에 등록, 수정 및 삭제한다.
여기서, 서비스 이름, 기간, 지역 설정, 퍼미션 체크 여부, 트래픽 제어 여부, 검색대상 사용자 전화 번호 등 트리거 서비스 관련 데이터가 저장되는 트리거 서비스 DB(130)는, 위치 트리거 서버 및 위치 프로브 서버의 파일 시스템 로그(Log)를 위한 로그 테이블(Log Table, 131)과, 트리거 서비스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트리거 서비스 테이블(Trigger Service Table, 132)과, 퍼미션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퍼미션 테이블(Permission Table, 133)을 포함한다.
또한, 트리거 서비스 테이블(132)는 마스터 테이블과 서브 테이블로 분리될 수 있다.
표 1은 트리거 서비스 마스터 테이블의 정보내역을 나타낸 것이다.
필드명 내용 비고
서비스 ID 트리거 시스템을 이용하는 각 서비스 ID
서비스 이름 제공 서비스 이름
서비스 시작 날짜 제공 서비스 시작 날짜
서비스 끝 날짜 제공 서비스 끝 날짜
퍼미션 플래그 해당 서비스 퍼미션 체크 여부
트래픽 체크 해당 서비스 사용량 체크 여부
트래픽 카운트 사용량 제한 카운트
서비스 메시지 서비스 제공 메시지 별도관리 가능
표1과 같이, 필드명에는 서비스 ID, 서비스 이름, 서비스 시작 날짜 및 서비스 끝 날짜의 기간, 퍼미션 플래그(Permission Flag), 트래픽 체크(Traffic check), 트래픽 카운트(Traffic Count), 서비스 메시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한 서비스에 대해 서비스 구역이 여러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 구역은 서브 테이블로 구분하여 여러개의 구역을 지정할 수 있도록 한다.
표 2는 트리거 서비스 서브 테이블의 정보내역을 나타낸 것이다.
필드명 내용 비고
서비스 ID 트리거 시스템을 이용하는 각서비스 ID
서비스 지역 코드 해당 서비스 지역 코드
퍼미션 관리부(112)는, 광고 및 여러 이벤트 푸시 데이터(push data)에 대해 사용자가 발송 금지를 요청하였을 경우 이에 대한 플래그를 설정하고, 다음 트리거 발생시 해당 서비스에 대한 푸시 데이터를 그 사용자에 대해 보내지 않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즉, 트리거 서비스 DB(130)에 등록된 서비스 자료중 해당 서비스 퍼미션 테이블(133)에 접근하여 해당 퍼미션 sql을 이용하여 처리한다.
또한, 푸시 퍼미션(push permission)이 설정된 사용자라 하더라도 특정기간내에는 특정건수 이상 보내지 않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표 3은 트리거 서비스 퍼미션 테이블의 정보내역을 나타낸 것이다.
필드명 내용 비고
서비스 ID 트리거 시스템을 이용하는 각 서비스 ID
셀 ID 사용자 전화번호
퍼미션 플래그 사용자 해당 서비스 허가 여부
메시지 전송 건수 해당 서비스 광고 전송 건수
최종 전송일
또한, 퍼미션 관리부(112)는 퍼미션 테이블(133)에 서비스에 대한 거부 여부를 설정할 수 있으며, 만약 서비스 ID가 0이고 해당 셀 ID가 등록되어 있으면 해당 가입자는 모든 트리거 서비스에 대해 거부를 한 것으로 판단한다.
그러나, 그 이외의 경우에는 각 서비스에 대해 거부 여부를 체크하여 메시지 전송 여부를 결정한다.
푸시 트래픽 관리부(113)는 위치 프로브 서버(120)에서 전송되는 트래픽 데 이터에 대해 풀링 처리를 하여 위치 트리거 서버의 게이트웨이(LT g/w)가 안정적으로 시스템 운영을 할 수 있게 지원한다.
또한, 이동 통신망의 특성상 같은 지역내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위치가 다르게 전송되는 등의 가베지 데이터(garbage data)를 걸러내어 사용자에게 최대한의 서비스 안정성, 정확성을 제공한다.
LP 인터페이스부(116)는 위치 프로브 서버(120)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트리거 데이터를 위치 트리거 서버(110)의 게이트웨이(g/w) 메일 프로세스에 넘겨준다.
즉, 위치 프로브 서버(120)에서 넘어오는 데이터를 파싱(parsing)하고, 데이터 파싱 후 현재 프로세스 상황을 파악하여 로드 밸런싱을 처리한다.
도 2b는 LT 서비스 관리부(114)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으로서, LT 서비스 관리부(114)는 위치 트리거 서버(110)의 게이트웨이 안에서 운영되는 각 프로세스에 대한 트래픽 통계 및 트래픽 조절을 위한 기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각 프로세스를 주기적으로 감시하여 서비스 운영의 지속성을 지원한다.
또한, LT 서비스 관리부(114)는, 서비스 제어부(114a)와, 통계 처리부(114b)와, 파일 로그 분석부(114c)를 포함한다.
여기서, 서비스 제어부(114a)는 위치 트리거 서버(110) 및 위치 프로브 서버(120)의 얼라이브(alive) 체크 서비스를 지원하며, 일정 시간 동안 각 프로세스에 폴링을 하여 프로세스의 셧다운을 방지한다.
또한, 통계 처리부(114b)는 실시간 트리거 트래픽 통계를 제공하며, 각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거부 통계 및 해당 지역 고객 진입, 이탈 통계를 제공한다.
또한, 파일 로그(File Log) 분석부(114c)는 위치 트리거 서버(110) 및 위치 프로브 서버(120)에 남아있는 로그를 분석하여 서버 운영 상황 및 에러 상황을 분석한다.
이와 같이, 위치 트리거 서버(110)는, 위치 트리거 서비스별 가입자 관리(비가입자에 대한 위치 추적 및 메시지 전송 차단), 가입자별 트리거 서비스에 대한 개인 프로화일 관리(메시지 임시 차단, 메시지 수효 제한, 중복 메시지 차단 등)를 통해, 개인별로 본인이 원하는 수준에 대해서만 트리거(trigger)하거나 푸시 서비스(push service)가 작동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위치 트리거 시스템은, 개인 또는 시스템 운영자들이 다양한 형태로 푸시되는 위치 트리거 서비스를 제한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용자에 대한 스팸(spam) 메시지 전송의 우려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트리거 시스템에서 위치 프로브 서버(120)의 구성을, 도 3b 및 도 3c는 위치 프로브 서버(120)와 이동통신망(200)과의 연결 상태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기능블럭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프로브 서버(120)는 프로브 장비를 제어하는 이동통신망 프로브부(121)와, 셀 ID 필터링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셀 ID 필터링부(122)와, 메인 프로세스의 정상 동작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LP 프로세스 모니터링부(123)를 포함한다.
또한, 트리거 서비스 DB(130)에는 셀 ID(또는 MS ID)와 연동하여 셀 주소를 가져오기 위한 셀 테이블(134)이 포함된다.
여기서, 이동통신망 프로브부(121)는 프로브 장치를 통해 MS의 위치 변경 이벤트(셀 ID 이벤트)를 체크하고 이를 위치 트리거 서버(110)에 전송한다.
또한, 셀 ID 필터링부(122)는 실제적으로 위치 변경이 일어나는 MS에 대해서만 체크하여, 위치 트리거 시스템에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조절해준다.
또한, LP 프로세스 모니터링부(123)는 위치 프로브 서버(120)의 프로세스를 관리하며, 서비스 안정성, 지속성을 지원한다.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프로브 서버(120)는 이동통신망(200)을 통해 사용자 위치 변경을 추적 처리하는 시스템으로서, 이동통신망(200)과 연결되어 있는 위치 트리거 밸런서(140)를 통해 이루어진다.
위치 트리거 밸런서(140)는 사용자 위치 변경을 추적할 때 이동통신망 트래픽에 전혀 영향을 주지않고 해당 데이터를 쿼리할 수 있는게 Hi-Z 박스(Hi-Z Box)이다.
즉, 위치 트리거 밸런서(140)는 이동통신망(200)에서 사용자의 이동 및 핸드오버(Handover)에 따른 주요 통신 노드(BSC(210) 및 MSC(220))간에 장착되어 SS7 메시지를 수동적인(Passive) 프로빙(Probing) 형태로 서치하므로 기존의 통신 네트워크에 전혀 장애나 부하를 주지 않는다.
또한, MSC(Mobile Switching Center, 220)는 MS에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 교환기를 말하고, BSC(Base Station Controller, 210)는 기지국 제어 장치로 기지국(Base Station)과 MSC(220)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위치 트리거 밸런서(140)는 신호 강도를 올려주는 라인 컨디셔너의 역 할도 하게 된다.
도 3c는 MSC(220)와 BSC(210) 간의 프로브 장치 연결 구성의 예를 나타낸 것으로, 프로브 장치가 MSC(220)와 BSC(210)의 데이터 라인에 연결되는 E1 라인은 송신부(TX)/수신부(RX) 두개의 링크를 가지고 있으며, 위치 프로브 서버(120) 또는 위치 트리거 밸런서(140)의 프로브 장비는 이 두링크에 연결되어 MSC(220), BSC(210a, 210b, 210c, 210d) 간의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게 된다.
이와 같이, 위치 변경 데이터를 서치하는 프로브 장치가 BSC(210a, 210b, 210c, 210d)와 MSC(220)간의 프로토콜을 감시하거나, BTS(Base Tranceiver System)와 BSC 사이에 장착되어 IS-95 프로토콜을 감시하여 위치 정보가 등록될 때 이를 수동적으로 시스템에 부하를 전혀 주지않고 데이터를 검사 체크한 뒤 위치 트리거를 발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트리거 시스템에서의 위치 트리거 서비스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외부 서비스 제공자(external service provider, 300)가 제공하고자 하는 위치 트리거 서비스를 위치 트리거 시스템에 등록한다(S101).
이 때, 위치 트리거 시스템의 트리거 서비스 DB(130)에 서비스하고자 하는 서비스 영역이 설정되고(S102), 위치 프로브 서버(120)는 해당 서비스 지역에 대해 모니터링을 시작한다(S103).
위치 프로브 서버(120)(상세하게는 프로브 장치)는 이동통신망(CDMA/GSM)의 해당 특정지역(즉, MSC와 BSC 사이 또는 BTS와 BSC) 라인에 연결되어, SS7망 프로토콜 또는 IS-95 프로토콜을 감시하여 해당 지역에서 올라오는 위치 갱신 정보를 모니터링한다.
다음은 위치 갱신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과정을 설명한 것이다.
이 때, 위치 프로브 서버(120)의 셀 ID 필터링부는 해당 셀 ID(또는 MS ID)의 저장 데이터가 있는지 셀 테이블과 연동하여 확인하고, 만약 없으면 위치 정보의 업데이트가 없는 것으로 보아 바로 그 위치 정보를 위치 트리거 서버에 전송하고 해당 위치 정보를 셀 테이블에 저장한다.
그러나, 만약 위치 트리거 서버로 전송된 위치 정보가 있고, 이것이 특정시간내(환경설정에서 정의)에 전송된 것이면 위치 정보를 전송하지 않는다.
또한, 위치 트리거 서버로 전송된 데이터가 있고, 이것이 특정시간내에 전송된 것이 아니라면 위치 트리거 서버로 위치 정보를 전송하고 이를 셀 테이블에 저장하여 업데이트한다.
이러한 방식의 위치 정보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는데, 검색 MS가 해당 서비스 지역에 들어오면 이동통신망(SS7망, 200)에 셀 ID 이벤트(Cell ID event)가 발생하고(S104), 위치 프로브 서버(120)는 셀 ID(또는 MS ID)에 대한 필터링(짧은 시간내에 위치 이동 등을 체크)하여 해당 지역에 들어온 서비스 사용자(가입자) 셀 ID 및 위치정보를 위치 트리거 서버(110)에 전송한다(S105).
이후, 위치 트리거 서버(110)는 셀 ID 및 위치 정보를 수신 받아서 트리거 서비스 DB(130)에 등록되어 있는 해당 지역의 모든 서비스를 찾는다(S106).
또한, 위치 트리거 서버(110)는 각각의 서비스에 대해 사용자가 푸시(Push) 서비스를 거부했는지를 체크한 다음(S107), 해당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에 대한 내용을 수신하지 않았거나, 거부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서비스 룰에 따라 그 사용자에게 푸시 서비스 메시지를 전송한다(S108).
이후, 사용자는 서비스 메시지를 수신 받아서 해당 서비스 메시지에 대해 거부 여부를 위치 트리거 서버(110)에 전송할 수 있으며(S109), 위치 트리거 서버(110)는 이를 받아 트리거 서비스 DB(130)에 해당 서비스에 대한 거부 여부를저장하고, 허가된 루틴에서 푸시 서비스를 제공한다(S11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치 트리거링 방법은, 사용자가 위치를 찾고자 할 때, 퍼미션(permission) 획득 후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대신에, 위치 트리거 시스템은 사용자가 위치 트리거 서비스가 제공되는 지역에 진입 혹은 이탈하였을 때의 이벤트를 자동적으로 체크하여 그 시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지역 내의 특정 광고, 운동 경기 등 해당 서비스에 대한 실시간 알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위치 트리거 서비스별 가입자 관리(비가입자에 대한 위치 추적 및 메시지 전송 차단), 가입자별 트리거 서비스에 대한 개인 프로화일 관리(메시지 임시 차단, 메시지 수효 제한, 중복 메시지 차단 등)를 통해, 개인별로 본인이 원하는 수준에 대해서만 트리거(trigger)하거나 푸시 서비스(push service)가 작동되도록 하여, 가입자에 대한 스팸(spam) 메시지 전송의 우려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치 트리거 시스템 및 그 트리거링 방법은, 위치 프로브 장치를 이동통신망의 사용자의 이동 및 핸드오버에 따른 주요 통신 노드 간에 장착하여 위치 정보를 수동적인 프로빙 형태로 모니터링하므로, 기존 이동통신망 시스템에 부하를 주지 않을 뿐만아니라 초기 설치 비용을 투자하기만 하면 장기적으로 꾸준히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이익을 향유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정보의 추적이 풀 방식이 아니라 특정인이 특정시점에 특정 지역에 진입할 때 사용자의 명단을 파악할 수 있어 즉시적인 푸시 서비스가 가능하므로, 실시간 알람(alert)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비가입자에 대한 위치 추적 및 메시지 전송 차단, 가입자별 트리거 서비스에 대한 개인 파일 관리를 통해, 개인별로 본인이 원하는 수준에 대해서만 트리거할 수 있으므로, 스팸 메시지 전송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2)

  1. 타겟 MS에 위치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MS의 위치 정보를 검색하는 위치 프로브 서버 및 위치 정보 서비스 관련 데이터가 저장되는 트리거 서비스 DB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이를 제어하는 위치 트리거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프로브 서버는 이동통신망의 사용자의 이동 및 핸드오버에 따른 주요 통신 노드 간에 장착되어 MS의 위치 정보 업데이트를 모니터링하고 업데이트된 위치 정보를 상기 위치 트리거 서버로 연동하여 올려주고,
    상기 위치 트리거 서버는 상기 위치 프로브 서버에서 전송한 MS의 위치 변경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를 위치 트리거 서비스 사용자가 등록한 해당 서비스와 연동하여 실행하여, 푸시 서비스로 상기 타겟 MS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트리거링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위치 프로브 서버와 연결되고, 타측은 이동통신망의 이동통신망의 사용자의 이동 및 핸드오버에 따른 주요 통신 노드 간에 연결되어, 수동적인 프로빙 형태로 위치 정보를 서치하는 위치 트리거 밸런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트리거링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트리거 밸런서는 신호 강도를 올려주는 라인 컨디셔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트리거링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통신 노드 간은 이동통신망의 MSC와 BSC 사이 또는 BTS와 BSC 라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트리거링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서비스 DB는, 상기 위치 트리거 서버 및 위치 프로브 서버의 파일 시스템 로그를 위한 로그 테이블과, 위치 트리거 서비스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트리거 서비스 테이블과, 퍼미션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퍼미션 테이블과, 셀 ID와 연동하여 셀 주소를 가져오기 위한 셀 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트리거링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트리거 서버는,
    상기 트리거 서비스 DB를 제어하는 트리거 DB 관리부와,
    상기 트리거 서비스 사용자의 해당 서비스에 대한 퍼미션 여부를 관리하는 퍼미션 관리부와,
    상기 위치 프로브 서버에서 전송된 위치 데이터 관리 및 해당 트리거 서비스와의 연동을 수행하는 푸시 트래픽 관리부와,
    상기 트리거 서비스 관련 등록, 해지 및 수정 등의 관리 툴을 제공하는 LT 서비스 관리부와,
    상기 위치 트리거 서버의 각 프로세스에 대한 정상 동작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프로세스 모니터링부와,
    상기 위치 프로브 서버와의 통신을 위한 LP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트리거링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LT 서비스 관리부는,
    상기 위치 트리거 서버 및 위치 프로브 서버의 얼라이브 체크 서비스를 지원하며, 일정 시간 동안 각 프로세스에 폴링을 하여 프로세스의 셧다운을 방지하는 서비스 제어부와,
    상기 위치 트리거 서버의 실시간 트리거 트래픽 통계, 각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거부 통계 및 해당 지역 고객 진입, 이탈 통계를 제공하는 통계 처리부와,
    상기 위치 트리거 서버 및 위치 프로브 서버에 남아있는 로그를 분석하여 서버 운영 상황 및 에러 상황을 분석하는 파일 로그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트리거링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프로브 서버는,
    프로브 장치를 통해 MS의 위치 변경 이벤트를 체크하고 이를 상기 위치 트리거 서버에 전송하는 이동통신망 프로브부와,
    실제적으로 위치 변경이 일어나는 MS에 대해서만 체크하는 셀 ID 필터링부와,
    상기 위치 프로브 서버의 프로세스를 관리하는 LP 프로세스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트리거링 시스템.
  9. MS의 위치 정보를 검색하는 위치 프로브 서버 및 위치 정보 서비스 관련 데이터가 저장되는 트리거 서비스 DB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이를 제어하는 위치 트리거 서버로 이루어진 시스템에서 타겟 MS에 위치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위치 프로브 서버가 이동통신망의 사용자의 이동 및 핸드오버에 따른 주요 통신 노드 간에 장착되어, MS의 위치 정보 업데이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b) 상기 (a) 단계에서의 모니터링시 검색 MS가 해당 서비스 지역에 들어오면 이동통신망에 셀 ID 이벤트가 발생하고, 상기 위치 프로브 서버는 셀 ID에 대해 필터링하여 해당 지역에 들어온 서비스 사용자 셀 ID 및 위치정보를 위치 트리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c) 상기 (b) 단계에서 위치정보를 수신받은 위치 트리거 서버가, 상기 트리거 서비스 DB와 연동하여, 위치 트리거 서비스별로 가입자를 관리하고 상기 가입자 개인별로 본인이 원하는 수준에 대해서만 트리거하거나 푸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트리거링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c-1) 상기 위치 트리거 서버는 셀 ID 및 위치 정보를 수신 받아서 상기 트리거 서비스 DB에 등록되어 있는 해당 지역의 모든 서비스를 찾는 단계와,
    (c-2) 상기 위치 트리거 서버는 상기 (c-1) 단계에서 찾은 각각의 서비스에 대해 사용자가 푸시 서비스를 거부했는지를 체크하는 단계와,
    (c-3) 상기 (c-2) 단계에서 체크하여, 사용자가 상기 푸시 서비스에 대한 내용을 수신하지 않았거나, 거부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상기 위치 트리거 서버는 그 사용자에게 푸시 서비스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c-4) 상기 (c-2) 단계에서 체크하여, 사용자가 상기 푸시서비스 메시지에 대해 거부 여부를 상기 위치 트리거 서버에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위치 트리거 서버는 이를 받아 상기 트리거 서비스 DB에 해당 서비스에 대한 거부 여부를 저장하고, 허가된 루틴에서 푸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트리거링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 앞서,
    (d-1) 외부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고자 하는 위치 트리거 서비스를 위치 트리거 시스템에 등록하는 단계와,
    (d-2) 상기 (d-1) 단계에서의 등록후 위치 트리거 시스템의 트리거 서비스 DB에 서비스하고자 하는 서비스 영역이 설정되는 단계와,
    (d-3) 상기 위치 프로브 서버는 상기 (d-2) 단계에서 설정된 서비스 지역에 대해 모니터링을 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트리거링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와 (b)단계 사이에,
    (e-1) 상기 위치 프로브 서버가 해당 셀 ID의 저장 데이터가 있는지 상기 트리거 서비스 DB와 연동하여 확인하는 단계와,
    (e-2) 상기 (e-1) 단계에서의 확인시 상기 저장 데이터가 없으면 위치 정보의 업데이트가 없는 것으로 보아 바로 그 위치 정보를 상기 위치 트리거 서버에 전송하고 해당 위치 정보를 상기 트리거 서비스 DB에 저장하는 단계와,
    (e-3) 상기 (e-1) 단계에서의 확인시, 상기 위치 트리거 서버로 전송된 위치 정보가 있고, 이것이 소정시간내에 전송된 것이면 위치 정보를 전송하지 않는 단계와,
    (e-4) 상기 (e-3) 단계에서 상기 위치 트리거 서버로 전송된 데이터가 있고, 이것이 특정시간내에 전송된 것이 아니라면 상기 위치 트리거 서버로 위치 정보를 전송하고 이를 상기 트리거 서비스 DB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트리거링 방법.
KR1020040054859A 2004-07-14 2004-07-14 위치 트리거 시스템 및 그 트리거링 방법 KR100615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4859A KR100615631B1 (ko) 2004-07-14 2004-07-14 위치 트리거 시스템 및 그 트리거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4859A KR100615631B1 (ko) 2004-07-14 2004-07-14 위치 트리거 시스템 및 그 트리거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5870A KR20060005870A (ko) 2006-01-18
KR100615631B1 true KR100615631B1 (ko) 2006-08-25

Family

ID=37117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4859A KR100615631B1 (ko) 2004-07-14 2004-07-14 위치 트리거 시스템 및 그 트리거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563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0257A (ko) * 1999-08-31 2001-06-15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특정 지리적 영역에 대한 커버리지 판정 방법
KR20010051155A (ko) * 1999-10-20 2001-06-25 윤종용 이동전화시스템에서 커버 영역 통계 방법 및 장치
KR20040054795A (ko) * 2001-11-24 2004-06-25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 상용 서비스 데이터의위치 기반 전달
KR20040063234A (ko) * 2003-01-06 2004-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존베이스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0257A (ko) * 1999-08-31 2001-06-15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특정 지리적 영역에 대한 커버리지 판정 방법
KR20010051155A (ko) * 1999-10-20 2001-06-25 윤종용 이동전화시스템에서 커버 영역 통계 방법 및 장치
KR20040054795A (ko) * 2001-11-24 2004-06-25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 상용 서비스 데이터의위치 기반 전달
KR20040063234A (ko) * 2003-01-06 2004-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존베이스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5870A (ko) 2006-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67844B2 (en) Mobile activity status tracker
US8036643B2 (en) Method and device for handling telephone calls directed to non-reachable mobile phones
US7474894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EI detection and alerting
US6922562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to cellular roamers
US6324396B1 (en) Calling party number provisioning
CN100394728C (zh) 向合法侦听系统通知服务于侦听目标的服务系统
US7570941B2 (en) Method enabling detection of stol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and systems thereof
US9042886B2 (en) Method of and a support node for requesting registration of stationary user equipment in a cellular telecommunication system
US7383035B2 (en) Method of furnishing illegal mobile equipment user information
US8725107B2 (en) Method for sending emergency messages to mobile terminals
WO1999027716A1 (en) Regulatory database within the intelligent network
US8787885B2 (en) System for controlling access to a service, and corresponding method, control device, and computer program
EP2110983B1 (en) Providing a roaming service to a user terminal in a communications system
US8886187B2 (en) System and method for utilizing a shared network having one mobile network code
KR20060021207A (ko) 사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호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JP2001230876A (ja) 自動着信呼分配システムとの接続におけるエージェントの着信呼処理位置追跡方法及び装置
EP1578165B1 (en) Service provisioning due to change of mobile terminal
KR100615631B1 (ko) 위치 트리거 시스템 및 그 트리거링 방법
CN102474811B (zh) 用于管理移动设备漫游的方法和系统
KR20060005869A (ko) 위치 트리거 시스템 및 그 트리거링 방법
EP1469695B1 (en) System for detecting and storing mobile terminals that access a foreign telephone network
KR100686865B1 (ko) 통합 메시지 서비스를 위한 단문서비스 처리장치
KR100470689B1 (ko) 불법 단말 사용자 정보 제공 방법
CA2335981A1 (en) Method in a radio telecommunications network of providing signal strength and mobile station information to a monitoring agency
CA2358008A1 (en) Communication of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to a law enforcement agency monitoring cen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