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5403B1 - 자동으로 전환되는 현수막 거취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으로 전환되는 현수막 거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5403B1
KR100615403B1 KR1020040036700A KR20040036700A KR100615403B1 KR 100615403 B1 KR100615403 B1 KR 100615403B1 KR 1020040036700 A KR1020040036700 A KR 1020040036700A KR 20040036700 A KR20040036700 A KR 20040036700A KR 100615403 B1 KR100615403 B1 KR 100615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ner
module
power supply
right rollers
driv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6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1809A (ko
Inventor
이충영
Original Assignee
디에스아이 주식회사
이충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에스아이 주식회사, 이충영 filed Critical 디에스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6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5403B1/ko
Publication of KR20050111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1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5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5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3/00Sledges with runners
    • B62B13/16Collapsible or foldable sl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5/00Other sledges; Ice boats or sailing sledges
    • B62B15/007Towed sl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plays For Variable Information Using Movable Mean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수막을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는 현수막 거취모듈을 복수개 구비하고, 상기 현수막 거취모듈을 수직으로 이동시켜 현수막을 편리하고 안전한 방법으로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현수막의 광고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조명수단과 현수막을 자동으로 수평회전되는 자동으로 전환되는 현수막 거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면이 개구된 사각통상의 거취부 본체와; 상기 거취부 본체에 내장되며 전면이 개구된 사각통상의 거취모듈본체와, 상기 거취모듈본체의 양측단에 일정 길이로 돌출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공급수단이 부착된 거취모듈 이동축과, 상기 거취모듈본체의 내측 양측에 고정되어 회전되는 좌측롤러 및 우측롤러와, 상기 좌측롤러 또는 우측롤러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수평구동모터와, 상기 좌측롤러와 우측롤러 사이에 일정한 조도로 발광되는 발광수단과, 상기 좌측롤러 및 우측롤러에 장착되어 회전되는 상부밴드 및 하부밴드와, 상기 상부밴드 및 하부밴드에 현수막을 착탈시키기 위한 부착수단을 포함하는 현수막 거취모듈과; 상기 거취부 본체의 내측 일측에 상기 현수막 거취모듈이 복수개 적층되며 상기 거취모듈 이동축이 내측에 삽입되고 회동되는 무한궤도와, 상기 무한궤도의 최상부와 최하부에 치합되어 상기 무한궤도를 회전시키는 상부기어 및 하부기어와, 상기 상부기어 또는 하부기어를 회전시키는 수직구동모터와, 상기 수직구동모터와 수평구동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현수막, 거취장치, 도광판, 형광등, 기어, 무한궤도

Description

자동으로 전환되는 현수막 거취장치{ATTACTING AND DETACHING APPARTUS FOR PLACARD CHANGE TO AUTOMATICALLY}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으로 전환되는 현수막 거취장치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현수막 거취모듈이 사시도,
도3은 도2의 현수막 거취모듈의 분리사시도,
도4a는 도2의 B-B선의 단면도,
도4b는 도2의 C-C선의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현수막 부착수단,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현수막 거취모듈의 승하강부의 개략적인 전면 구성도,
도7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의한 도6의 좌측면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6의 좌측면의 개략적인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거취부 본체 200: 현수막 거취모듈
210: 거취모듈 커버프레임 211: 투시창
212: 힌지 213: 고정고리
220: 거취모듈본체 221: 좌측롤러
222: 도광판 223: 하부밴드
224: 상부밴드 225: 우측롤러
226: 수평구동모터 227: 롤러기어
228: 지지판 230: 거취모듈 이동축
231: 전원공급봉 240: 부착수단
250: 현수막 300: 제어부
310: 수직구동모터 320: 상부기어
330: 하부기어 340: 브러쉬
350: 와이어 351: 고정핀
400: 무한궤도 410: 브러쉬판
본 발명은 자동으로 전환되는 현수막 거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수막을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는 현수막 거취모듈을 복수개 구비하고, 상기 현수막 거취모듈을 수직으로 이동시켜 현수막을 편리하고 안전한 방법으로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현수막의 광고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조명수단과 현수막을 자동으로 수평회전되는 자동으로 전환되는 현수막 거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수막은 관공서 또는 특정집단의 단체들이 주관하는 각종 행사 나 모임을 대내외적으로 홍보하기 위한 문구를 일정 넓이의 직물에 표기한 것이다.
이러한 현수막은 보행자나 차량의 통행이 많은 곳에 설치된 거취장치에 일정기간동안 거취시켜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현수막 거취장치는 도로변이나 보행로의 일측에 2개의 기둥으로 단순하게 구성되고, 상기 2개의 기둥에 현수막의 양단부에 연결된 노끈을 이용하여 메달게 되어 있어, 현수막을 설치하거나 제거하는 경우에는 사다리와 같은 도구가 반드시 필요하여 현수막 설치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현수막의 설치 후 바람등에 의해 찧기거나 거취장치에서 이탈되어 미관을 해치고, 단순하게 표기되어 있는 현수막의 내용을 게시하는 것에 그칠 뿐 광고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정 넓이로 제작된 현수막을 설치하거나 제거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설치나 제거작업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 설치된 현수막을 자동으로 회전시키고 야간에는 원거리에서도 용이하게 관찰될 수 있도록 조명수단을 구비하여 도시미관을 향상시키고 효과적으로 광고를 할 수 있는 자동으로 전환되는 현수막 거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현수막을 착탈시킬 수 있으며, 현수막을 게시하기 위한 현수막 거 취장치로써, 전면이 개구된 사각통상의 거취부 본체와; 상기 거취부 본체에 내장되며 전면이 개구된 사각통상의 거취모듈본체와, 상기 거취모듈본체의 양측단에 일정 길이로 돌출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공급수단이 부착된 거취모듈 이동축과, 상기 거취모듈본체의 내측 양측에 고정되어 회전되는 좌측롤러 및 우측롤러와, 상기 좌측롤러 또는 우측롤러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수평구동모터와, 상기 좌측롤러와 우측롤러 사이에 일정한 조도로 발광되는 발광수단과, 상기 좌측롤러 및 우측롤러에 장착되어 회전되는 상부밴드 및 하부밴드와, 상기 상부밴드 및 하부밴드에 현수막을 착탈시키기 위한 부착수단을 포함하는 현수막 거취모듈과; 상기 거취부 본체의 내측 일측에 상기 현수막 거취모듈이 복수개 적층되며 상기 거취모듈 이동축이 내측에 삽입되고 회동되는 무한궤도와, 상기 무한궤도의 최상부와 최하부에 치합되어 상기 무한궤도를 회전시키는 상부기어 및 하부기어와, 상기 상부기어 또는 하부기어를 회전시키는 수직구동모터와, 상기 수직구동모터와 수평구동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자동으로 전환되는 현수막 거취장치는, 상기 현수막 거취모듈에 부착되는 현수막을 일정속도로 좌우 회전시키고, 상기 현수막이 부착된 복수개의 현수막 거취모듈을 무한궤도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시켜 원하는 현수막 거취모듈을 적절하게 위치시켜 상기 현수막을 용이하게 착탈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현수막 거취모듈에 상기 부착된 현수막을 보호하기 위한 전면커버가 더 부착되고, 상기 발광수단은 일측면에 장착되는 광원과, 상기 광원의 빛을 전면으로 산란시켜 조사시키는 도광판으로 구성되거나, 상기 현수막 거 취모듈의 발광수단이 복수개의 형광등 또는 엘이디로 구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부착된 현수막을 야간에도 선명하게 인식시킬 수 있게 되고, 게시의 효과를 향상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현수막 거취모듈의 전원공급수단이 상기 거취모듈 이동축에 돌출된 전원공급봉과, 상기 전원공급봉에 연결된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와 접촉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브러쉬로 구성되거나, 상기 현수막 거취모듈의 전원공급수단을 상기 거취모듈 이동축에 돌출된 전원공급봉과, 상기 전원공급봉과 접촉되면서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외부의 전원을 공급하는 브러쉬판으로 구성하여 단순하고 효과적으로 외부의 전원을 상기 현수막 거취모듈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동으로 전환되는 현수막 거취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으로 전환되는 현수막 거취장치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현수막 거취모듈이 사시도이며, 도3은 도2의 현수막 거취모듈의 분리사시도이고, 도4a는 도2의 B-B선의 단면도이고, 도4b는 도2의 C-C선의 단면도이며,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현수막 부착수단 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현수막 거취모듈의 승하강부의 개략적인 전면 구성도이며, 도7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의한 도6의 좌측면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6의 좌측면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자동으로 전환되는 현수막 거취장치는 상기 도1 내지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이 개구된 사각통상의 거취부 본체(100)와, 상기 거취부 본체(100)에 내장되며 현수막이 부착되는 복수개의 현수막 거취모듈(200)로 구성된다.
상기 현수막 거취모듈(200)은 상기 거취부 본체(100)에 내장되며 전면이 개구된 거취모듈본체(220)의 양측단에 일정 길이로 돌출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공급수단이 부착된 거취모듈 이동축(230)이 장착되어 구성된다. 상기 거취모듈본체(220)의 내측 양측단에는 상기 거취모듈본체(220)에 장착되어 회전되는 좌측롤러(221) 및 우측롤러(225)와, 상기 좌측롤러(221)를 회전시키기 위한 수평구동모터(226)가 구비된다. 이 때 상기 수평구동모터(226)에는 감속기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수평구동모터(226)의 전면에는 발광수단이 장착되며, 상기 수평구동모터(226)의 후면에는 상기 수평구동모터(226)를 장착하기 위한 지지판(228)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상기 좌측롤러(221) 및 우측롤러(225)의 상부측과 하부측에는 상부밴드(224)와 하부밴드(223)가 장착되어 회전되며, 상기 상부밴드(224)와 하부밴드(223)의 전면에는 현수막(250)을 장착시키거나 제거시킬 수 있는 부착수단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밴드(224)와 하부밴드(223)는 상기 좌측롤러(221) 및 우측롤러(226)에 의해 거취모듈본체(220)의 내부에서 회전된다.
상기 발광수단은 일측면에 일정한 조도로 발광되는 광원과, 상기 광원의 빛을 산란시켜 전면부로 조사되도록 하는 도광판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발광수단은 복수개의 형광등이나 삼파장램프등으로 구성하거나, 복수개의 엘이디(LED)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현수막(250)을 상부밴드(224)와 하부밴드(223)에 장착시키거나 제거시키기 위한 부착수단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밴드(224)와 하부밴드(223)에 부착되고 현수막(25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관통시켜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도록 한쌍의 단추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단추에 침상이 형성된 핀단추(242)와, 상기 핀단추(242)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멍단추(241)가 복수개 부착된다. 상기 부착수단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상기 단추로 구성되었지만, 이헤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부착되는 현수막의 전면이 팽팽하게 유지시키고, 착탈이 가능한 클램프와 같은 수단으로 구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수막 거취모듈(200)의 전면에는 외부의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장착된 현수막을 보호하기 위해 전면커버가 더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면커버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힌지(212)로 거취모듈본체(220)에 부착되어 회동되는 거취모듈 커버프레임(210)과, 상기 거취모듈 커버프레임(210)의 중앙부에 현수막을 보호하기 위한 투시창(211)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거취모듈 커버프레임(210)에는 상기 거취모듈본체(220)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고리(213)를 더 포함한다. 이 때 상기 투시창(211)은 반투명 또는 완 전투명의 합성수지재나 유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현수막 거취모듈(200)은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거취부 본체(100)에 적층된다. 상기 현수막 거취모듈(200)에 현수막(250)을 부착하기 위해서는 먼저 후술되는 거취부 본체(100)의 최하단부에 위치되도록 현수막 거취모듈(200)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 후 전면커버를 열고, 상부밴드(224) 및 하부밴드(223)에 장착된 부착수단에 현수막(250)을 부착시킨다. 또한 상기 상부밴드(224) 및 하부밴드(223)에 부착되는 현수막(250)은 그 길이에 따라 여러개를 동시에 부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부착된 현수막(250)은 내부의 수평구동모터(226)의 구동으로 좌측롤러(221) 및 우측롤러(225)를 축으로 회전되게 된다. 한편 상기 좌측롤러(221)와 우측롤러(225)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발광수단에 의해 야간에도 현수막(250)의 표시내용을 쉽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양한 색상의 발광물질을 상기 현수막에 도포함으로써 더욱 선명하고 화려한 현수막을 게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복수개로 적층되는 현수막 거취모듈(200)은 상기 거취부 본체(100)의 내측에 적층되고 수직방향으로 이동되게 되는데, 상기 수직방향이동장치는 도6 내지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취모듈본체(220)의 양측단에 일정 길이로 돌출된 거취모듈 이동축(230)을 내측에 삽입시켜 지지하면서 이동시키는 무한궤도(400)와, 상기 무한궤도(400)의 최상부와 최하부에 각각 고정되어 회전되는 상부기어(320)와 하부기어(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무한궤도(400)는 상기 상부기어(320)에 연결된 수직구동모터(31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된다. 또한 상기 수직구동모터(310)는 하부기어(330)에 연결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거취모듈 이동축(230)은 무한궤도(400)와 베어링으로 연결되어 원활하게 회전된다.
한편, 상기 현수막 거취모듈(200)은 전원공급수단에 의해 공급전원을 공급받아 수평구동모터(226)와 발광수단을 구동시키는데, 상기 전원공급수단은 상기 거취모듈 이동축(230)에 돌출된 한 쌍의 전원공급봉(231)과, 상기 전원공급봉(231)의 첨두에 부착되고 거취부 본체(100) 내에 적층된 모든 현수막 거취모듈(200)에 각각 연결된 와이어(350)와, 상기 와이어(350)에 접촉되면서 외부의 전원을 공급하는 브러쉬(340)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브러쉬(340)는 상기 수직구동모터(31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00)에 연결되어 외부의 전원을 공급하게 되며, 상기 와이어(350)가 회전되는 경우에도 일정한 형태를 유지되도록 무한궤도(400)에 일정 간격으로 삽입되고 상기 와이어(350)와 연결된 고정핀(351)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수단은 상기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공급봉(231)과 접촉되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브러쉬판(4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현수막 거취모듈(200)이 거취부 본체(100)의 전면부에 위치되는 경우에만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 쌍의 장방향으로 형성된 브러쉬판(410)을 상기 전원공급봉(231)이 슬라이딩 되면서 접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으로 전환되는 현수막 거취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현수막 거취모듈(200)에 현수막(250)을 장착시켜 동시에 여러장의 현수막을 게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현수막은 일정 기간동안만 게시되도록 현수막 게시자와 계약되는데, 상기 게시기간의 종료된 경우에 현수막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거취부 본체(100)의 설치된 제어함(101)을 개폐시켜 제어부(300)를 통해 교체할 현수막이 설치된 현수막 거취모듈(200)을 거취부 본체(100)의 최하단부로 이동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수직구동모터(310)를 구동시켜 무한궤도(400)를 회전시키며, 해당 현수막 거취모듈(200)이 최하단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따라서, 이동된 해당 현수막 거취모듈(200)에 부착된 현수막의 교체는 사다리나 기타의 도구 없이 매우 용이하게 교체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거취부 본체(100)의 상단부와 좌우측에는 고정된 광고물이나 다양한 표어등을 게시할 수 있어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면서 미관을 더욱 화려하게 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일정 넓이로 제작된 현수막을 설치하거나 제거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설치나 제거작업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설치된 현수막을 자동으로 회전시켜 야간에는 원거리에서도 용이하게 관찰될 수 있도록 조명수단을 구비하여 도시미관을 향상시키고 효과적으로 광고를 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현수막을 착탈시킬 수 있으며, 현수막을 게시하기 위한 현수막 거취장치로써,
    전면이 개구된 사각통상의 거취부 본체와;
    상기 거취부 본체에 내장되며 전면이 개구된 사각통상의 거취모듈본체와, 상기 거취모듈본체의 양측단에 일정 길이로 돌출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공급수단이 부착된 거취모듈 이동축과, 상기 거취모듈본체의 내측 양측에 고정되어 회전되는 좌측롤러 및 우측롤러와, 상기 좌측롤러 또는 우측롤러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수평구동모터와, 상기 좌측롤러와 우측롤러 사이에 일정한 조도로 발광되는 발광수단과, 상기 좌측롤러 및 우측롤러에 장착되어 회전되는 상부밴드 및 하부밴드와, 상기 상부밴드 및 하부밴드에 현수막을 착탈시키기 위한 부착수단을 포함하는 현수막 거취모듈과;
    상기 거취부 본체의 내측 일측에 상기 현수막 거취모듈이 복수개 적층되며 상기 거취모듈 이동축이 내측에 삽입되고 회동되는 무한궤도와, 상기 무한궤도의 최상부와 최하부에 치합되어 상기 무한궤도를 회전시키는 상부기어 및 하부기어와, 상기 상부기어 또는 하부기어를 회전시키는 수직구동모터와, 상기 수직구동모터와 수평구동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으로 전환되는 현수막 거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막 거취모듈은, 상기 부착된 현수막을 보호하기 위한 전면커버가 더 부착되고,
    상기 발광수단은, 일측면에 장착되는 광원과, 상기 광원의 빛을 전면으로 산란시켜 조사시키는 도광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으로 전환되는 현수막 거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막 거취모듈은, 상기 부착된 현수막을 보호하기 위한 전면커버가 더 부착되고,
    상기 발광수단은, 복수개의 형광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으로 전환되는 현수막 거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막 거취모듈은, 상기 부착된 현수막을 보호하기 위한 전면커버가 더 부착되고,
    상기 발광수단은, 복수개의 엘이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으로 전환되는 현수막 거취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막 거취모듈의 전원공급수단은, 상기 거취모듈 이동축에 돌출된 전원공급봉과, 상기 전원공급봉에 연결된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와 접촉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브러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으로 전환되는 현수막 거취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막 거취모듈의 전원공급수단은, 상기 거취모듈 이동축에 돌출된 전원공급봉과, 상기 전원공급봉과 접촉되면서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외부의 전원을 공급하는 브러쉬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으로 전환되는 현수막 거취장치.
KR1020040036700A 2004-05-24 2004-05-24 자동으로 전환되는 현수막 거취장치 KR100615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700A KR100615403B1 (ko) 2004-05-24 2004-05-24 자동으로 전환되는 현수막 거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700A KR100615403B1 (ko) 2004-05-24 2004-05-24 자동으로 전환되는 현수막 거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1809A KR20050111809A (ko) 2005-11-29
KR100615403B1 true KR100615403B1 (ko) 2006-08-25

Family

ID=37286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6700A KR100615403B1 (ko) 2004-05-24 2004-05-24 자동으로 전환되는 현수막 거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54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7415B1 (ko) 2010-02-19 2011-10-26 노영철 Led 전광판이 설치된 현수막 지지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1809A (ko) 2005-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2025B1 (ko) 발광용 홀더부재를 갖는 전방분리형 투명방음판
US7810262B2 (en) Solar powered led illuminated alphanumeric display
RU2001103051A (ru) Устройство освещенной панели, способное быть приложенным к столбам
US20100307041A1 (en) Light Emitting Diode LED Internally Illuminated Sign
KR101427838B1 (ko) 조명수단이 마련된 롤스크린 장치
KR101620156B1 (ko) 플래카드 설치가 가능한 옥외용 광고판
KR101283012B1 (ko) Led전광판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615403B1 (ko) 자동으로 전환되는 현수막 거취장치
KR200331891Y1 (ko) 광고게시판 설치가대
KR200470350Y1 (ko) 벽보형 선거 광고판
KR101152742B1 (ko) 조명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전등
KR101098856B1 (ko) 안내 게시장치
KR200390832Y1 (ko) 발광체를 이용한 광고 표시 장치
KR20090069061A (ko) 자동 현수막 게시장치
KR200391025Y1 (ko) 광고장치가 설치된 가로시설물 제어함
KR101676659B1 (ko) 디스플레이용 전광판을 이용한 가로등 지주용 광고장치
KR100748619B1 (ko) 회전식 구체 광고판
KR200239598Y1 (ko) 광고판넬과 조명등의 착탈이 용이한 광고장치
KR101702211B1 (ko) 움직이는 간판
KR102603223B1 (ko) 바닥표시부를 갖는 도로명 안내장치
JP2002287669A (ja) 回転式広告塔
RU142647U1 (ru) Панель шумоотражающая светопрозрачная
CN220439195U (zh) 一种具有内置照明功能的广告展示板
KR100982250B1 (ko) 분전함용 광고판
CN2555281Y (zh) 便携式交通导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