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5052B1 - 플렉서블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모듈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5052B1
KR100615052B1 KR1020050043997A KR20050043997A KR100615052B1 KR 100615052 B1 KR100615052 B1 KR 100615052B1 KR 1020050043997 A KR1020050043997 A KR 1020050043997A KR 20050043997 A KR20050043997 A KR 20050043997A KR 100615052 B1 KR100615052 B1 KR 100615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b
interface module
flexible
port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3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50043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50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5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5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2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USB 메모리의 플러그와 대응되도록 접속되는 USB 포트와, USB 규격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받는 외부 기기의 포트와 대응되도록 접속되는 USB 플러그와, 상기 USB 포트 및 상기 USB 플러그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신호 배선과, 상기 USB 포트와 상기 USB 플러그와 상기 신호 배선을 수납하며 플렉서블(flexible)하게 구성되는 본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USB 메모리의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플렉서블 형태의 인터페이스 모듈을 채택하여 종래 기술의 USB 메모리를 자동차용 카오디오에 장착하는 경우 USB 메모리의 돌출되는 부분으로 인한 차량 사고시의 부상 위험성을 해결하고 일반적인 노트북이나 PC 등에 사용하는 경우에도 공간적인 낭비를 제거할 있다.
USB, 커넥터, 인터페이스 모듈, 플렉서블, 접이식, 플러그, 포트

Description

플렉서블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모듈{FLEXIBLE USB INTERFACE MODUL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USB 인터페이스 모듈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USB 인터페이스 모듈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모듈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모듈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커넥터 120: 힌지부
130: 플레서블 와이어 210: 케이스
220: 단말기 접속 포트 230: USB 접속 포트
240: 접속 부재 310: USB 포트
320: USB 커넥터 330: 신호 배선
340: 본체 430: 외부 USB 메모리
460: 카오디오
본 발명은 플렉서블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USB 메모리의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플렉서블 형태의 인터페이스 모듈을 채택하여 종래 기술의 USB 메모리를 자동차용 카오디오에 장착하는 경우 USB 메모리의 돌출되는 부분으로 인한 차량 사고시의 부상 위험성을 해결하고 일반적인 노트북이나 PC 등에 사용하는 경우에도 공간적인 낭비를 제거하는 플렉서블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USB(Universal Serial Bus, 범용직렬버스)는 마우스, 프린터 등과 같은 컴퓨터 주변기기와 컴퓨터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규격화를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USB는 직렬포트에 비해 데이터 전송속도가 빠르고 PC를 사용하는 도중에 연결해도 인식이 가능하며, 주변 기기 등을 PC와 연결할 때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를 별도로 설정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최근 들어서는 USB 저장장치,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PDA, 휴대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멀티미디어 정보의 저장 및 재생이 가능해짐에 따라 점차로 휴대용 전자기기와 컴퓨터 또는 휴대용 전자기기 간에 멀티미디어 정보를 송수신하는데 USB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USB 케이블을 이용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와 컴퓨터 또는 휴대용 전자기기들 간을 서로 연결하는 방식은 USB 케이블을 별도로 휴대하는 데에 따른 불편함과 USB 케이블이 없을 때에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주식회사 바롬페트에 의해서 2002년 6월 21일자로 출원되고 2002년 8 월 29일자로 등록된 "유에스비 접속단자"라는 명칭의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288718호는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USB 인터페이스 모듈에 관한 종래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도 1은 상기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288718호에 따른 USB 인터페이스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의 (a)는 상기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288718호에 따른 USB 인터페이스 모듈의 커넥터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하며, 도 1의 (b)는 상기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288718호에 따른 USB 인터페이스 모듈의 커넥터가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로 하면, 종래의 USB 인터페이스 모듈은, 양쪽에 커넥터(110, 110')가 설치되고 중간 부분에는 힌지부(120)가 형성되어 커넥터(110, 110')가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되며, 각각의 커넥터는 플렉서블 와이어(130)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종래의 USB 케이블이 너무 길어서 휴대 및 보관이 불편한 점을 개선하여 부피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예컨대 이진복에 의해서 2003년 11월 17일자로 출원되고 2004년 2월 17일자로 등록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USB 메모리 장치의 연결 커넥터"라는 명칭의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343282호는 USB 인터페이스 모듈에 관한 종래 기술의 다른 예를 개시하고 있다.
도 2는 상기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343282호에 따른 USB 인터페이스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되듯이, 상기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343282호에 따른 USB 인터페이스 모듈은 이동통신 단말기 포트에 대응하는 단말기 접속 포트(220)와 USB 메모리의 접속 포트에 대응하는 USB 접속 포트(230)가 구비되며, 케이스(210) 및 접속 부재(240)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단순히 신호를 USB 규격과 이동통신 단말기 규격에 맞추어 전송하는 구성일 뿐이며, 특히 카오디오 장치용 인터페이스 모듈에서와 같이 돌출되는 부분을 제거하는 구성이나 또는 공간적인 낭비를 줄이기 위한 구성이 아니다.
또한 이러한 도 1 또는 도 2를 참조로 설명된 인터페이스 모듈은 단순히 케이블을 대체하기 위한 구성이거나 USB 포트와 USB 규격이 아닌 다른 규격과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구성일 뿐이며, 인터페이스 모듈을 장착하기 위해서도 커넥터와 힌지 사이의 공간만큼이 필수적으로 필요한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카오디오에 구현하는 경우에는 USB 메모리가 돌출되기 때문에 차량 사고시 이로 인한 위험성이 존재한다.
즉 자동차용 카오디오에 있어서 MP3 등의 디지털 코덱에 따른 음악 데이터를 재생하는 데 있어서 USB 방식을 통하여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판독하도록 구성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USB 커넥터가 내장된 제품, 예컨대 현재 대중화되어 사용되고 있는 USB 메모리와 같은 경우에는 직접 USB 포트에 연결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지만, 공간적인 문제가 있다. 즉 자동차용 카오디오에 장착하는 경우 프론트 패널(front panel)에 USB 포트를 구비하여야 하지만, 대부분의 USB 메모리가 바(bar) 형태로 구성되어 돌출되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차량 사고시 이로 인한 위험성이 있으며, 또한 노트북이나 PC등에 USB 포트가 구비되는 경우에도 USB 메모리로 인한 공간적인 여유를 반드시 구비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USB 메모리를 자동차용 카오디오에 장착하는 경우 USB 메모리의 돌출되는 부분으로 인한 차량 사고시의 부상 위험성을 해결하고 일반적인 노트북이나 PC 등에 사용하는 경우에도 공간적인 낭비를 제거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USB 메모리의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플렉서블 형태의 인터페이스 모듈을 채택하여 종래 기술의 USB 메모리를 자동차용 카오디오에 장착하는 경우 USB 메모리의 돌출되는 부분으로 인한 차량 사고시의 부상 위험성을 해결하고 일반적인 노트북이나 PC 등에 사용하는 경우에도 공간적인 낭비를 제거하는 플렉서블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 USB 메모리의 플러그와 대응되도록 접속되는 USB 포트와, USB 규격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받는 외부 기기의 포트와 대응되도록 접속되는 USB 플러그와, 상기 USB 포트 및 상기 USB 플러그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신호 배선과, 상기 USB 포트와 상기 USB 플러그와 상기 신호 배선을 수납하며 플렉서블하게 구성되는 본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모듈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접이식으로 구성되어 신축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플렉서블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모듈을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모듈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3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모듈의 구성도이며, 도 3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모듈이 외부 USB 메모리(430)와 카오디오(460) 사이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 3의 (a) 및 도 3의 (b)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모듈의 예시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시되듯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모듈은 USB 포트(310)와, USB 커넥터(320)와 신호 배선(330)과 본체(340)를 포함한다.
USB 포트(310)는 외부 USB 메모리(430)의 플러그와 대응되도록 접속된다. 외부 USB 메모리(430)는 일반적인 바 형태의 USB 메모리일 수 있지만, 다른 형태의 USB 메모리여도 상관없다.
USB 플러그(320)는 USB 규격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받는 외부 기기의 포트와 대응되도록 접속된다. 예컨대 카오디오(460)의 USB 포트에 접속하여 카오디오(460)에 외부 USB 메모리(430)에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또는 PC나 노트북의 USB 포트에 접속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신호 배선(330)은 상기 USB 포트(310)와 상기 USB 플러그(32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예컨대 구리 배선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체(340)는 상기 USB 포트(310)와 상기 USB 플러그(320)와 상기 신호 배선(330)을 내부에 수납하며 플렉서블하게 구성된다. 즉 사용자가 외부 USB 메모리(430)와 카오디오(460)를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모듈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경우, 본체(340)를 'ㄱ'자 또는 'ㄴ'자 모양으로 휘어서 USB 메모리(430)가 상부로 향하도록 유연성이 있도록 구성된다. 도 3의 (b)는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모듈을 이용하여 외부 USB 메모리(430)를 카오디오(460)에 장착한 후 본체를 구부려서 USB 메모리가 윗부분을 향하도록 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모듈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플렉서블 유에스비 인터페이스는 도 3에 도시된 플렉서블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모듈과는 본체(340')를 제외하면 구성 요소가 동일하므로 본체(340')에 대해서만 생략하고 기타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시되듯이 본체(340')는 접이식으로 구성된다. 즉 주름 빨대와 마찬가지로 구성이 되어 신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USB 인터페이스 모듈이 차지하는 공간을 더욱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신호 배선(330)은 어느 정도 신축에 대응하여 여유가 있도록 구성된다.
비록 본 발명이 구성이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지만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 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이들 예시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원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재를 통하여 정하여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USB 메모리의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플렉서블 형태의 인터페이스 모듈을 채택하여 종래 기술의 USB 메모리를 자동차용 카오디오에 장착하는 경우 USB 메모리의 돌출되는 부분으로 인한 차량 사고시의 부상 위험성을 해결하고 일반적인 노트북이나 PC 등에 사용하는 경우에도 공간적인 낭비를 제거할 있다.

Claims (2)

  1. 외부 USB 메모리의 플러그와 대응되도록 접속되는 USB 포트와,
    USB 규격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받는 외부 기기의 포트와 대응되도록 접속되는 USB 플러그와,
    상기 USB 포트 및 상기 USB 플러그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신호 배선과,
    상기 USB 포트와 상기 USB 플러그와 상기 신호 배선을 수납하며 플렉서블(flexible)하게 구성되는 본체
    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접이식으로 구성되어 신축이 가능한 것인 플렉서블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모듈.
KR1020050043997A 2005-05-25 2005-05-25 플렉서블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모듈 KR100615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997A KR100615052B1 (ko) 2005-05-25 2005-05-25 플렉서블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997A KR100615052B1 (ko) 2005-05-25 2005-05-25 플렉서블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5052B1 true KR100615052B1 (ko) 2006-08-22

Family

ID=37602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3997A KR100615052B1 (ko) 2005-05-25 2005-05-25 플렉서블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50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883B1 (ko) * 2006-10-11 2007-10-09 한국과학기술원 핀 형태의 구조를 갖는 usb 플러그 및 섬유 형태의구조를 갖는 usb 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883B1 (ko) * 2006-10-11 2007-10-09 한국과학기술원 핀 형태의 구조를 갖는 usb 플러그 및 섬유 형태의구조를 갖는 usb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76111B1 (en) High-density removable expansion module having I/O and second-level removable expansion memory
US6719591B1 (en) SATA interface relay connector and its application
US8414333B2 (en) Memory card and host device
US20070145154A1 (en) Interface for a removable electrical card
US20100217910A1 (en) Memory card and host device
KR20040022276A (ko) 카드형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컨넥터를 갖는 유에스비 시스템
US7288006B2 (en) Electrical adapter
US20080133803A1 (en) Usb keyboard with removable usb keyboard wire
US20040164911A1 (en) Portable electrical device with planar antenna
KR101394027B1 (ko) Usb 듀얼 케이블 장치
KR100615052B1 (ko) 플렉서블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모듈
TWI703771B (zh) 用於互連之裝置及方法以及電子系統
US7505277B2 (en) System comprising a slot configurable to receive a device having an interface type that differs from the interface type of the slot
US8876545B2 (en) Transmission connector module containable inside a casing of a electronic device in a detachable manner or in a rotable manner
KR100707127B1 (ko) 다목적 블루투스 동글
US7035114B2 (en) USB interface solid memory module with strengthened clamping force
KR10118010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저장장치
US20070293267A1 (en) Multi-function wireless transmission device
US20050181634A1 (en) Personal device embedded synch connector
KR20150069659A (ko) 유에스비 연결 장치
KR20080022941A (ko) 기능확장형 usb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JP3121187U (ja) マルチインタフェースコネクタポート
CN2906998Y (zh) 转换器
KR200422112Y1 (ko) Usb 커넥터
US20080034144A1 (en) Dual-interface computer interface c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