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4402B1 -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4402B1
KR100614402B1 KR1020050002112A KR20050002112A KR100614402B1 KR 100614402 B1 KR100614402 B1 KR 100614402B1 KR 1020050002112 A KR1020050002112 A KR 1020050002112A KR 20050002112 A KR20050002112 A KR 20050002112A KR 100614402 B1 KR100614402 B1 KR 100614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electrolyte
cap assembly
electrolyte injection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2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2143A (ko
Inventor
엄재철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2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4402B1/ko
Publication of KR20060082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2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4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4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08Detachable arrangements, e.g. detachable vent plugs or plug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Filling, Topping-Up Batterie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이차전지의 상부에 설치되는 캡어셈블리에 전해액 주입구를 복수개 설치하여 이차전지 제조시 전해액 주입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한쪽 전해액 주입구에서 발생하던 잉여 전해액의 누수를 막아 전지표면의 오염 불량을 배제할 수 있는,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이차전지의 상부 개구부를 밀봉하기 위한 캡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한 캡어셈블리의 일부에 전지내부에 전해액을 주입하기 위한 전해액 주입구가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차전지, 전해액, 주입구, 캡어셈블리, 오염, 생산비용

Description

이차전지{Cap assembly for sencondary cell}
도 1은 종래의 이차전지의 사시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이차전지의 캡어셈블리의 저면 구성도이다.
도 3은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사시 구성도이다.
도 4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캡어셈블리의 저면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3 : 이차전지 2, 4 : 캡어셈블리
21, 41, 42 : 전해액 주입구 22, 43 : 벤트
이 발명은 이차 전지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세부적으로 말하자면 이차전지의 상부에 설치되는 캡어셈블리에 전해액 주입구를 복수개 설치하여 이차전지 제조시 전해액 주입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한쪽 전해액 주입구에서 발생하던 잉여 전해액의 누수를 막아 전지표면의 오염 불량을 배제할 수 있는,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무선전자 제품들의 개발이 증가하고 있는 현재의 추세로 볼 때, 이들 제품들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위해서는 에너지 밀도가 높은 이차 전지의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상기한 이차 전지로서 종래에는 납축전지, 니켈카드늄(니카드) 전지, 니켈수소 전지 등이 많이 사용되어 왔으며, 근래에 들어서는 리튬이온 전지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한 이차 전지는 전기분해 반응시 이온전도의 매체가 되는 전해액을 반드시 필요로 한다.
상기한 전해액은, 리튬이온 전지의 경우를 예로 들면, 전지내에서 이온의 전도성을 좋게 할 뿐만 아니라, 양극 및 음극 표면이 활물질과 반응하여 비활성 보호피막(Passivation film, SEI film)을 형성하여 표면을 안정화시키고, 과충전 및 과방전 반응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전해액은 이차전지의 상부에 설치되는 캡어셈블리에 형성되어 있는 전해액 주입구를 통하여 전지내부로 주입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이차전지의 사시 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이차전지의 캡어셈블리의 저면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이차전지의 캡어셈블리의 구조는, 이차전지(1)의 상부 개구부를 밀봉하기 위한 캡어셈블리(2)에 있어서, 전지내부에 전해액을 주입하기 위한 전해액 주입구(21)가 상기한 캡어셈블리(2)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종래의 이차전지의 캡어셈블리 구조는, 이차전지 제조시 캡어셈블리(2)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는 전해액 주입구(21)를 통해서 전해액을 전지내부로 주입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캡어셈블리(2)에는 전해액 주입구(21)만이 아니라 벤트(22)가 형성되어 있어서, 전지의 과충전시나 열노출시, 전지 내부의 전기화학반응 및 증가된 열에 의한 화학반응에 의해서 생성된 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내압이 저하되도록 함으로써 안전성을 높여주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이차전지의 캡어셈블리의 구조는, 전해액 주입구가 단독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전해액 주입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공정의 병목부분(bottle neck)이 되어 생산비용을 높일 뿐만 아니라, 잉여 전해액의 누수로 인하여 전지표면이 오염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차전지의 상부에 설치되는 캡어셈블리에 전해액 주입구를 복수개 설치하여 이차전지 제조시 전해액 주입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쪽 전해액 주입구에서 발생하던 잉여 전해액의 누수를 막아 전지표면의 오염 불량을 배제할 수 있는,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구성은, 이차전지의 상 부 개구부를 밀봉하기 위한 캡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한 캡어셈블리의 일부에 전지내부에 전해액을 주입하기 위한 전해액 주입구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제1 전해액 주입구 및 제2 전해액 주입구의 주변에 벤트가 더 형성되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전해액 주입구는 이중으로 형성되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전해액 주입구는 원형으로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전해액 주입구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캡어셈블리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도 3은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사시 구성도이고, 도 4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캡어셈블리의 저면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캡어셈블리의 구조는, 이차전지(3)의 상부 개구부를 밀봉하기 위한 캡어셈블리(4)에 있어서, 전지내부에 전해액을 주입하기 위한 제1 전해액 주입구(41) 및 제2 전해액 주입구(42)가 상기한 캡어셈블리(4)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제1 전해액 주입구(41) 및 제2 전해액 주입구(42)의 주변에 벤트(4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제1 전해액 주입구(41) 및 제2 전해액 주입구(42)는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상기한 캡어셈블리(4)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이차전지 제조시 작업자는 캡어셈블리(4)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전해액 주입구(41) 또는 제2 전해액 주입구(42)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 전해액을 전지내부로 주입하게 된다.
이 경우에, 전해액 주입 특성상 감압주입을 하게 되면 2개의 전해액 주입구중에서 한쪽의 전해액 주입구로 내부공기가 빠지게 됨으로써 다른 쪽의 전해액 주 입구로 전해액이 신속하게 전지내부로 주입된다. 이에 따라 전해액 주입시간을 단축시켜서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가 있게 된다.
이와 함께 전해액 주입구에서 전해액 주입시 발생되던 잉여 전해액의 누수를 막을 수가 있어서 전지 표면의 오염을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한 캡어셈블리(4)에는 전해액 주입구(41, 42)만이 아니라 벤트(43)가 형성되어 있어서, 전지의 과충전시나 열노출시, 전지 내부의 전기화학반응 및 증가된 열에 의한 화학반응에 의해서 생성된 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내압이 저하되도록 함으로써 안전성을 높여주게 된다.
이상의 실시예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이 발명은, 이차전지의 상부에 설치되는 캡어셈블리에 전해액 주입구를 복수개 설치하여 이차전지 제조시 전해액 주입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한쪽 전해액 주입구에서 발생하던 잉여 전해액의 누수를 막아 전지표면의 오염 불량을 배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6)

  1. 이차전지의 상부 개구부를 밀봉하기 위한 캡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한 캡어셈블리의 일부에 전지내부에 전해액을 주입하기 위한 전해액 주입구가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 전해액 주입구 및 제2 전해액 주입구의 주변에 벤트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한 전해액 주입구는 이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한 전해액 주입구는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한 전해액 주입구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한 캡어셈블리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KR1020050002112A 2005-01-10 2005-01-10 이차전지 KR100614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112A KR100614402B1 (ko) 2005-01-10 2005-01-10 이차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112A KR100614402B1 (ko) 2005-01-10 2005-01-10 이차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2143A KR20060082143A (ko) 2006-07-18
KR100614402B1 true KR100614402B1 (ko) 2006-08-21

Family

ID=37172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2112A KR100614402B1 (ko) 2005-01-10 2005-01-10 이차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44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996B1 (ko) 2005-12-23 2007-11-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996B1 (ko) 2005-12-23 2007-11-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2143A (ko) 2006-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4765B1 (ko) 이차 전지
KR101936572B1 (ko) 밀폐형 배터리 모듈
KR101327777B1 (ko) 배터리 모듈
JP2004103579A (ja) キャップ組立体を具備した2次電池及びその密閉部材
KR20060113815A (ko) 이차 전지
KR20000051285A (ko) 리튬 이차 전지
JP4504942B2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KR20150045097A (ko)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
KR20140000770A (ko) 이차 전지용 배터리 모듈
JP2022082532A (ja) 液体冷却を有するバッテリモジュールまたはバッテリパック関連の、脱ガスダクトを備える金属イオン蓄電池
JP3584656B2 (ja) 角形非水電解液電池用封口板の製造法
US7687199B2 (en) Secondary battery
KR100614402B1 (ko) 이차전지
KR102265184B1 (ko) 납축전지용 황산 누액 방지 장치
KR20070067779A (ko) 리튬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CN217903260U (zh) 具有防爆阀防护的电池及其顶盖组件
KR20210009654A (ko) 원통형 전지 및 원통형 전지 제조 방법
KR20070101568A (ko) 리튬 이차전지
KR100658681B1 (ko) 이차 전지와 이차 전지의 단자
KR100420150B1 (ko) 각형 밀폐전지
JP2004303739A (ja) 角形非水電解液電池
KR100624968B1 (ko) 캡 조립체와 이를 구비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KR100684732B1 (ko) 이차 전지
KR100307454B1 (ko)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KR102193370B1 (ko) 축전지용 인디케이터 홀 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