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4281B1 - Capillary for bonding a wire - Google Patents
Capillary for bonding a wi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14281B1 KR100614281B1 KR1020040043233A KR20040043233A KR100614281B1 KR 100614281 B1 KR100614281 B1 KR 100614281B1 KR 1020040043233 A KR1020040043233 A KR 1020040043233A KR 20040043233 A KR20040043233 A KR 20040043233A KR 100614281 B1 KR100614281 B1 KR 1006142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ngle
- capillary
- wire
- bonding
- shor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8 compress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74—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 H01L24/78—Apparatus for connecting with wire connec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50—Assembly of semiconductor devic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the groups H01L21/18 - H01L21/326 or H10D48/04 - H10D48/07 e.g. sealing of a cap to a base of a container
- H01L21/60—Attaching or detaching leads or other conductive member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4—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for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78—Apparatus for connecting with wire connec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4—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for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78—Apparatus for connecting with wire connectors
- H01L2224/7825—Means for applying energy, e.g. heating means
- H01L2224/783—Means for applying energy, e.g. heating means by means of pressure
- H01L2224/78301—Capillar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14—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the subject-matter covered by the group, the symbol of which is combined with the symbol of this group, being disclosed without further technic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ire Bo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일정 내경과 각도를 갖는 미세홀이 형성되고, 상기 미세홀의 끝단에는 본드용 볼을 형성하기 위한 챔퍼가 형성된 캐필러리 구조에 있어서: 상기 미세홀은 적어도 3개 이상의 내각절곡점을 갖는 다단각 형상으로 제작하되, 미세홀을 3.0°내지 4.0°정도의 내각으로 몸체의 내측에 형성된 제 1 단각부; 상기 제 1 단각부의 하측에 형성되며 10.0°내지 13.0°정도의 내각으로 팁부의 내측에 형성된 제 2 단각부; 상기 제 2 단각부의 하측에 형성되며 4.0°내지 7.0°정도의 내각으로 팁부의 내측에 형성된 제 3 단각부; 및 상기 제 3 단각부의 하측에서 챔퍼의 상단까지 형성되며 대략 0°의 내각을 갖는 직선홀로 형성된 제 4 단각부;로 형성함으로써, 팁부를 보다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수명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와이어 본딩시 초음파 전달량을 높임에 따라 와이어의 용융 특성을 향상시켜 본딩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와이어 본딩용 캐필러리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icro-hole having a predetermined inner diameter and an angle formed therein so that a wire can be inserted, and in the capillary structure having a chamfer for forming a ball for bonding at the end of the micro-hole, the micro-hole is at least A first stepped portion formed in a multi-stepped shape having three or more angled bending points, the microholes being formed inside the body at an internal angle of about 3.0 ° to about 4.0 °; A second short angle portion formed below the first short angle portion and formed inside the tip portion at an inner angle of about 10.0 ° to 13.0 °; A third short angle portion formed below the second short angle portion and formed inside the tip portion at an inner angle of about 4.0 ° to about 7.0 °; And a fourth short angle portion formed from a lower side of the third short angle portion to an upper end of the chamfer and formed of a straight hole having an internal angle of approximately 0 °. By forming the tip portion thicker, the lifespan can be further improv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 bonding capillary capable of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the bonding by improving the melting characteristics of the wire by increasing the amount of ultrasonic waves during wire bonding.
Description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캐필러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apillary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도 1의 챔퍼의 구조를 도시한 확대도이며,FIG. 2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chamfer of FIG. 1;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캐필러리를 도시한 단면도 및 팁부의 확대도이고,3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showing a capilla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tip por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 3의 보틀넥과 챔퍼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bottle neck and the chamfer of Figure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및 도 5b는 와이어를 본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5A and 5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state of bonding wires.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캐필러리(Capillary) 110: 몸체100: capillary 110: body
120: 팁부(Tip Part) 130: 챔퍼(Chamfer)120: Tip Part 130: Chamfer
131: 커팅부 150: 미세홀131: cutting portion 150: fine holes
151: 제 1 단각부 152: 제 1 내각절곡점151: first short corner portion 152: first inner corner bending point
153: 제 2 단각부 154: 제 2 내각절곡점153: second short corner portion 154: second corner bending point
155: 제 3 단각부 156: 제 3 내각절곡점155: third short corner portion 156: third corner bending point
157: 제 4 단각부 158: 챔퍼절곡점157: fourth short corner portion 158: chamfer bending point
본 발명은 캐필러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캐필러리 팁부의 내/외충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내부 미세홀을 다단각의 형상으로 제조한 와이어 본딩용 캐필러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pillary,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pillary for wire bonding in which inner microholes are formed in a multi-step shape in order to improve the inner / external impact of the capillary tip.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와이어 본딩장치는 리드프레임, 세라믹회로기판, 인쇄회로기판 등과 같은 패키지의 외부 연결통로와 반도체칩의 입/출력패드 또는 다이를 알루미늄, 금, 또는 구리 등을 이용하여 연결시키는데 사용된다.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emiconductor package, the wire bonding apparatus connects an external connection path of a package such as a lead frame, a ceramic circuit board, a printed circuit board, and an input / output pad or die of a semiconductor chip with aluminum, gold, or copper. It is used to
와이어 본딩장치를 이용한 와이어 본딩공정에 있어 필수적인 캐필러리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An essential capillary for the wire bonding process using the wire bonding apparatus is shown in FIG. 1.
캐필러리(10)는 원통형 몸체(11)와 그 내부에 제공된 미세홀(17)로 구성되어 있다.The capillary 10 is composed of a
미세홀(17) 내에는 최대 1.0mm 내지 1.3mm의 두께를 갖는 본딩 와이어가 수용되어 있다. 미세홀(17)은 팁부(13)로 향할수록 홀(17)의 직진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여러 각도로 그 구경이 작아지는 원뿔형상이며, 미세홀(17)의 끝단을 챔퍼(15; Chamfer)라 한다.In the
본딩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캐필러리(10)는 고전압 방전을 통해 와이어의 단 부에 볼을 형성한다. 이 볼이 와이어 본딩장치의 제어하에 칩의 패드에 접촉/가압되며, 초음파 에너지가 캐필러리의 하단으로 전달되고 패드에 열이 가해지면 볼이 눌리면서 패드에 1차로 본딩된다.In order to perform the bonding process, the capillary 10 forms a ball at the end of the wire through a high voltage discharge. The ball is contacted / pressurized to the pad of the chip under the control of the wire bonding device, ultrasonic energy is transferred to the lower end of the capillary and when the pad is heated, the ball is pressed and bonded to the pad primarily.
1차 본딩으로부터 캐필러리(10)를 끌어내어 일정한 궤적의 와이어 루프를 형성하고, 이를 리드프레임의 리드에 2차로 스티치 본드로 연결시킨다. 이와 같은 동작을 수회 반복하여 반도체칩의 패드와 패키지의 외부 연결통로를 연결시킨다.The
그런데, 캐필러리(10)는 수십종의 디자인 모델이 형성되며, 반도체 패키지 제조공정이고 메모리의 고집적 패키지로 개발 발전되는 추세이므로 캐필러리 외부 디자인 형상도 그에 맞게 가공되어 스탠다드 타입(Standard Type)과 보틀넥 타입(Bottle-Neck Type)으로 크게 분류되고 있다.However, the capillary 10 is a semiconductor package manufacturing process and dozens of design models are formed, and since the trend is developed and developed as a highly integrated package of memory, the capillary exterior design shape is also processed according to the standard type (Standard Type) And Bottle-Neck Type.
특히 보틀넥 타입에서 팁부의 외경이 80㎛이하가 되면, 캐필러리 팁부(13)의 내벽의 두께가 얇게 되어 와이어 본딩시 잘 부러지고 파라미터 전달이 지속적으로 되지 않아 사용 수명이 떨어지게 된다.In particular, when the outer diameter of the tip portion of the bottle neck type is 80㎛ or less, the thickness of the inner wall of the
종래의 캐필러리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세홀(17)은 복수의 내각절곡점(17-2, 17-4)을 갖는 제 1 내지 제 3 단각부(17-1, 17-3, 17-5)로 이루어져 있는 데, 제 1 단각부(17-1)는 몸체(11)의 내측에 형성되며 그 내각(IA1)은 대략 3.5°로 형성되어 있고, 제 2 단각부(17-3)는 팁부(13)의 내측에 형성되며 그 내각(IA2)은 대략 8°정도로 형성되어 있고, 제 3 단각부(17-5)는 팁부(13)의 내측에 형성되며 그 내각은 대략 0°로 형성된 직선홀이다.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capillary has the first to third short angle portions 17-1 and 17-3 having the plurality of internal bending points 17-2 and 17-4. , 17-5), the first short angle portion 17-1 is formed inside the
즉,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반도체칩의 와이어 본딩용 캐 필러리(10)는, 와이어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일정한 내경을 갖는 미세홀(17)이 형성되고, 상기 미세홀(17)의 내부 끝단에는 본드용 볼을 형성하기 위한 챔퍼(15)가 도 2와 같이 상세도와 형성되어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1, the wire bonding capillary 10 of the conventional semiconductor chip, a
챔퍼(15)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한 챔퍼각(CA)과 챔퍼직경(CD)을 가지면서 형성되고, 상기한 미세홀의 외부 끝주변은 2차 본드용 스티치를 형성하기 위하여 외부 반경(OR)을 가지면서 곡면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수평면에 대하여 페이스각(FA)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미설명부호 TD는 팁 직경을 의미한다.As shown in FIG. 2, the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반도체칩의 와이어 본딩용 캐필러리(10)는, 페이스각(FA)을 형성하기 위한 부분이 하나의 곡선형태를 가지면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티치 부분이 상대적으로 두께가 매우 얇게 형성됨으로써 스티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설령 스티치가 제대로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상대적으로 기계적인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wire bonding capillary 10 of the conventional semiconductor chip is formed in one curved shape with a portion for forming the face angle FA, as shown in FIG. Likewise, since the stitch portion is formed to be relatively thin, the stitch is not properly made, or even if the stitch is properly mad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echanical strength is lowered.
최근에는 칩사이즈가 점점 더 줄어드는 추세에 있기 때문에 캐필러리의 팁 직경(TD)도 줄어들고 있으며, 이에따라 팁부(13)의 일정한 기계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캐필러리의 두께를 가능한 두껍게 형성해야 하지만, 3단각 형상으로 성형시 제 2 단각부(17-3)와 제 3 단각부(17-5)의 두께가 얇고, 그 길이가 길어져 휘거나 부러지게 된다.In recent years, as the chip size is gradually decreasing, the tip diameter (TD) of the capillary is also decreasing. Accordingly, in order to secure a constant mechanical strength of the
물론, 보틀넥 타입의 경우 팁부의 하단의 두께가 더 얇아지므로 와이어 본딩시 팁부가 더 잘 부러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Of course, in the case of the bottle neck type, the thickness of the lower end of the tip portion is thinner, so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tip portion breaks better during wire bonding.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캐필러리 팁부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내부 미세홀을 다단각의 형상으로 제조하여 팁부를 보다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와이어 본딩용 캐필러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 bonding capillary that can improve the life by making the inner portion of the micro holes in a multi-stage angle in order to improve the impact resistance of the capillary tip portion to form a thicker tip portion There i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캐필러리 팁부의 미세홀을 다단각의 형상으로 제조하여 팁부를 보다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와이어 본딩시 초음파 전달량을 높임에 따라 와이어의 용융 특성을 향상시켜 본딩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와이어 본딩용 캐필러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nufacture a fine hole of the capillary tip portion in the form of a multi-stage angle to form a thicker tip,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bonding by improving the melting characteristics of the wire by increasing the amount of ultrasonic transmission during wire bonding To provide a capillary for wire bonding.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은, 와이어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일정 내경과 각도를 갖는 미세홀(150)이 형성되고, 상기 미세홀(150)의 끝단에는 본드용 볼을 형성하기 위한 챔퍼(130)가 형성된 캐필러리 구조에 있어서: 상기 미세홀(150)은 적어도 3개 이상의 내각절곡점을 갖는 다단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echnical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세홀(150)은 3개의 내각절곡점을 갖는 4단각 형상으로서, 미세홀(150)은, 3.0°내지 4.0°정도의 내각으로 몸체(110)의 내측에 형성된 제 1 단각부(151); 상기 제 1 단각부(151)의 하측에 형성되며 10.0°내지 13.0°정도의 내각으로 팁부(120)의 내측에 형성된 제 2 단각부(153); 상기 제 2 단각부(153)의 하측에 형성되며 4.0°내지 7.0°정도의 내각으로 팁부(120)의 내측에 형성된 제 3 단각부(155); 및 상기 제 3 단각부(155)의 하측에서 챔퍼(130)의 상단까지 형성되며 대략 0°의 내각을 갖는 직선홀로 형성된 제 4 단각부(15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고자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캐필러리를 도시한 단면도 및 팁부의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 3의 보틀넥과 챔퍼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캐필러리(100)는 몸체(110), 팁부(120), 챔퍼(130; Chamfer) 및 미세홀(150)로 이루어져 있다.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and a tip portion showing a capilla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bottle neck and the chamfer of Figure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pillary 100 is composed of a
상기 몸체(110)는 미세홀(150)의 동일 내각을 갖는 부분으로 최상단부터 제 1 내각절곡점(152)까지 형성된 부분이고, 팁부(120)는 제 1 내각절곡점(152)부터 마지막 내각절곡점인 챔퍼절곡점(158)까지 형성된 부분이며, 챔퍼(130)는 팁부(120)의 끝단에 형성되어 와이어가 다른 접촉면으로 흘러나갈 때 본드용 볼을 형성하는 영역이다.The
즉, 캐필러리(100)는 와이어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일정 내경과 각도를 갖는 미세홀(150)이 형성되어 있는 데, 상기 미세홀(150)은 몸체(110)와 팁부(120) 및 챔퍼(130)에서의 홀 구경과 그 내각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다.That is, the capillary 100 has a
상기 캐필러리(100)는 전체 길이(AH)가 대략 11.1mm이고, 몸체(110)의 외경(OW1)은 대략 1.583mm이며, 팁부(120)의 길이(TH)는 대략 4.18mm 정도로서, 팁부(120)에서 챔퍼(130)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 작아지고, 팁부(120)의 외각(OA1)은 대 략 20°정도로 형성되어 있다.The
그리고, 미세홀(150)의 최대 내경(IW1)은 대략 0.80mm정도인데, 미세홀(150)의 내경도 몸체(110)의 상단에서 팁부(120)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maximum inner diameter IW1 of the
상기 캐필러리의 미세홀(150)은 적어도 3개 이상의 내각절곡점을 갖는 다단각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확대도에서와 같이 실시예에서는 3개의 내각절곡점(152, 154, 156)을 갖는 4단각 형상을 도시하였다.The
상기 미세홀(150)은, 대략 3.0°내지 4.0°의 내각(IA1)으로 몸체(110)의 내측에 형성된 제 1 단각부(151)와, 상기 제 1 단각부(151)의 하측에 형성되며 대략 10.0°내지 13.0°의 내각(IA2)으로 팁부(120)의 내측에 형성된 제 2 단각부(153)와, 상기 제 2 단각부(153)의 하측에 형성되며 대략 4.0°내지 7.0°의 내각(IA3)으로 팁부(120)의 내측에 형성된 제 3 단각부(155), 및 상기 제 3 단각부(155)의 하측에서 챔퍼(130)의 상단까지 형성되며 대략 0°의 내각을 갖는 직선홀로 팁부(120)의 내측에 형성된 제 4 단각부(157)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 1 단각부(151)는 그 내각을 3.5°로, 제 2 단각부(153)의 내각을 12°로, 제 3 단각부(155)의 내각은 6°로, 제 4 단각부(157)의 내각은 0°로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The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팁부(120) 하단의 형상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틀넥 타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보틀넥(129)부터 챔퍼(130)까지의 길이(BH)는 대략 0.2mm이고, 팁부(120)의 끝단인 챔퍼(130)의 외경(CW)은 대략 0.081mm이다.In addition, the shape of the bottom of the
그리고, 제 3 단각부(155)의 하측에 위치한 제 4 단각부(157)는 미세홀(150) 의 내각이 0°인 직선홀 부분이며, 상기 내각이 0°인 부분의 길이(PH)는 대략 0.05mm정도이다.In addition, the fourth
즉, 상기 캐필러리의 내부는 와이어의 공급경로 역할을 하는 미세홀(150)이 형성되어 있고, 이 미세홀(150)의 하단끝을 챔퍼(130)라고 하는 데, 도시한 바와 같이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넓어지는 형상을 이루고 있고, 상기 챔퍼각(CA)은 대략 30°내지 120°이고, 상기 페이스각(FA)은 대략 0°내지 15°정도이다.That is, the inside of the capillary is formed with a
이와 같은 캐필러리의 외경과 크기 및 미세홀의 내경에 대한 수치는 실시예에 불과하며, 현장에서는 제 4 단각부(157)의 직선홀의 내경에 따라 모델별로 분류되며,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The numerical values for the outer diameter and size of the capillary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micro holes are only examples, and are classified according to models accor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straight holes of the fourth short-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챔퍼(130)는 제 4 단각부(157)의 하단 부분 즉, 챔버절곡점(158)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데, 미세홀이 넓게 형성되는 동시에 그 아래끝에 다소 날카로운 커팅부(131)가 형성되어 있다. 즉,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넓어지는 내경을 이루되 중간부에서 한 번 더 각(131)을 이루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the
본 발명에서는 와이어 본딩시 초음파 전달량을 높이기 위하여 캐필러리 팁부(120)의 단면적을 크게 하는 데, 팁부(120)의 일부인 보틀넥부(129)의 제 3 단각부(155)를 4.0°내지 7.0°로 형성하므로 보틀넥부(129)를 포함한 팁부(120)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압축성형시에는 제 2 단각부(153)의 10.0°내지 13.0°가 지지대 역할을 하게 되어 부러지거나 휘는 것을 막아 준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상기와 같은 캐필러리에 의하여 와이어를 본딩하는 상태를 첨부한 도 5a 및 도 5b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s 5a and 5b attached to the state of bonding the wire by the capillary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우선, 와이어 본딩장치의 캐필러리의 미세홀(150)로 와이어(170)가 공급되는데, 항상 와이어(170)는 미세홀(150)을 관통하여 상기 챔퍼(130)로 공급되어진다.First, the
따라서, 상기 챔퍼(130)의 밑으로 공급된 와이어(170)의 끝에 순간적으로 스파크를 주어 녹이는 동시에 1차적으로 캐필러리의 챔퍼(130)가 반도체칩(210)의 본딩패드(220)로 이동하여 와이어(170)를 본딩하게 되고, 곧바로 리드프레임의 리드(250) 상으로 캐필러리(100)가 이동하여 와이어(170)를 본딩하게 된다.Therefore, at the end of the
더욱 상세하게는, 캐필러리(100)가 리드프레임의 리드(250)로 이동할 때, 와이어(170)는 캐필러리(100)의 이동과 함께 길게 끌리면서 상기 리드(250)까지 이동하여 본딩되며, 리드(250)에 대한 본딩이 끝난직 후, 캐필러리(10)의 챔퍼(130)의 끝단에 형성된 상기 커팅부(131)가 본딩된 부위를 제외한 와이어(170)를 끊어지게 하여, 반도체칩의 본딩패드(220)와 리드프레임의 리드(250)간의 와이어 본딩 공정이 완료되며, 물론 계속해서 나머지 반도체칩의 본딩패드(220)와 리드(250)간도 상기와 같은 작동이 반복되어 와이어가 본딩되어 진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capillary 100 moves to the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반도체칩의 본딩패드(220)상에 와이어(170)를 본딩하는 것을 당업계에서는 볼 본딩(Ball bonding; 1차 본딩)이라 하고, 리드프레임의 리드(250) 또는 부자재의 본딩영역에 와이어를 본딩하는 것을 스티치 본딩(Stitch bonding; 2차 본딩)이라 한다.As shown in FIGS. 5A and 5B, bonding the
이때, 첨부한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반도체 패키지는 반도체칩(210)이 히트싱크(200)에 실장되고, 히트싱크(200)의 테두리면에 리드프레임의 리 드(250)가 접착제(230)로 부착되며, 칩(210)의 본딩패드와 리드(250)간에 와이어(170)가 연결되며, 와이어(170)와 칩(210)과 리드(250) 등이 몰딩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바, 상기 스티칭 본딩을 실시할 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In this case, in the semiconductor package as shown in FIGS. 5A and 5B, the
즉, 상기 접착제(230)는 자체 반동력(Bound)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캐필러리(100)의 챔퍼(130)가 리드(250)면에 닿아 와이어(170)를 본딩하는 동시에 커팅부(131)에 의하여 본딩된 와이어(170)의 끝부위가 눌려지며 커팅될 때, 상기 접착제(230)의 반동력이 작용하게 된다.That is, since the adhesive 230 has its own reaction force (Bound), the
이에 따라, 상기 반동력을 받은 커팅부(131)의 커팅단계가 끝난 직후, 상기 캐필러리(10)가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바, 이때 상기 리드(250)상에 본딩된 와이어(170)의 일부가 상기 반동력에 의하여 완전히 커팅되지 못하고 커팅부(131)에 붙어 함께 이동하게 됨으로써, 리드(250)상의 본딩된 와이어(170)의 일부가 뜯겨지게 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캐필러리(100)를 보다 강한 힘을 가하여 와이어(170)를 끊게 된다.Accordingly, immediately after the cutting step of the
이러할 경우 캐필러리(100)의 팁부(120)에 힘이 가해지는 데, 강도가 약한 팁부(120)가 종종 부러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In this case, the force is applied to the
즉, 와이어 본딩용 캐필러리(100)는 본딩시 120㎑ 초음파가 캐필러리 샹크(Shank)를 잡고 있는 듀서에서 발진되어 캐필러리 팁부(120)까지 전달되고, 기계적인 누르는 힘과 초음파의 진동으로 용융된 와이어(170)를 융착시키는 데, 캐필러리 팁부(120)가 작게 되면 초음파가 전달되는 단면적이 작게 되어 초음파 전달 손실율이 커지고, 초음파 전달이 불규칙하게 되어 와이어(170)의 융착이 정상적으로 안되 는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That is, the
상기 팁부(120)를 5°내지 6°정도의 내각을 갖는 제 3 단각부(155)와, 11°내지 12°정도의 내각을 갖는 제 2 단각부(153)를 형성하여 4단각 형상의 보틀넥형 캐필러리를 제작함으로써, 와이어(170)를 반도체칩의 본딩패드(230)와 리드(250)에 각각 본딩할 때, 보틀넥부(129)의 단면적이 커져 강도가 좋아져 쉽게 부러지지 않으며, 또한 초음파 전달량이 많아져 와이어(170)의 융착이 잘되어 사용 수명이 2배 이상 길어지게 된다.The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Whil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above,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modification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modified embodiment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the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should fall within the claims appended to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캐필러리 팁부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내부 미세홀을 다단각의 형상으로 제조하여 팁부를 보다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내충격성이 강화되어 와이어 본딩시 잘 부러지지 않아 수명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팁부의 두께가 보다 두꺼워짐으로써, 와이어 본딩시 초음파 전달량을 높일 수 있어 와이어의 용융 특성이 개선되어 본딩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impact resistance of the capillary tip portion by making the inner micro holes in the shape of a multi-stage angle to form a thicker tip portion, the impact resistance is strengthened is not broken easily during wire bonding, greatly improving the life In addition, since the thickness of the tip portion is thicker, the amount of ultrasonic wave transmission during wire bonding can be increased, and the melting property of the wire can be improved,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bonding.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43233A KR100614281B1 (en) | 2004-06-11 | 2004-06-11 | Capillary for bonding a wi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43233A KR100614281B1 (en) | 2004-06-11 | 2004-06-11 | Capillary for bonding a wir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117951A KR20050117951A (en) | 2005-12-15 |
KR100614281B1 true KR100614281B1 (en) | 2006-08-21 |
Family
ID=37291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43233A KR100614281B1 (en) | 2004-06-11 | 2004-06-11 | Capillary for bonding a wi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1428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42071B1 (en) * | 2005-03-03 | 2006-11-10 | 이정구 | Fine-pitch-bonding capillary having improved bottle neck |
-
2004
- 2004-06-11 KR KR1020040043233A patent/KR100614281B1/en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117951A (en) | 2005-12-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871141A (en) | Fine pitch bonding tool for constrained bonding | |
US7456091B2 (en) |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US7910472B2 (en) |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 |
US7500590B2 (en) | Multi-part capillary | |
US20060216863A1 (en) |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 |
US6910612B2 (en) | Capillary with contained inner chamfer | |
KR19990013284A (en) | Capsule sealing ball bonding device and method | |
US6260753B1 (en) | Gold bumps bonding on connection pads and subsequent coining of their vertex | |
WO2006112393A1 (en) | Semiconductor device and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 |
KR100749691B1 (en) | Capillary for wire bonding | |
KR100614281B1 (en) | Capillary for bonding a wire | |
KR100718889B1 (en) | Wire bonding capillary having two-step high bottleneck | |
JP3322642B2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 |
KR200168195Y1 (en) | Capillary for bonding wire | |
JPH11186315A (en) | Wire-bonding device and manufacture of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reof | |
KR100715978B1 (en) | Wire bonding capillary with a device for producing spark | |
JP3202193B2 (en) | Wire bonding method | |
KR970003184Y1 (en) | Wire bonding capillary | |
JP2006147842A (en) | Capillary for stud bump and method of forming stud bump using same | |
JP2003158149A (en) | Wire bonding method and structure of capillary employed for wire bonding | |
JPH088308A (en) | Bonding method and semiconductor device | |
JPH09148358A (en) | Chip-protective capillary for wire bonding | |
CN118969632A (en) | Nail head metal bump secondary forming riving knife and method | |
KR20000014479U (en) | Capillary structure of wire bonder | |
JP2004311644A (en) | Wedge bonding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705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06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