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3832B1 - 정보제공시스템 - Google Patents

정보제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3832B1
KR100613832B1 KR1020007000773A KR20007000773A KR100613832B1 KR 100613832 B1 KR100613832 B1 KR 100613832B1 KR 1020007000773 A KR1020007000773 A KR 1020007000773A KR 20007000773 A KR20007000773 A KR 20007000773A KR 100613832 B1 KR100613832 B1 KR 100613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field
image
input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0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2201A (ko
Inventor
우스다히로시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22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2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3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3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1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video streams,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75Management of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17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for generating hard copies of the content, e.g. printer, electronic pap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04N7/17309Transmission or handling of upstream communications
    • H04N7/17318Direct or substantially direct transmission and handling of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9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application layer [OSI layer 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필드 플레이어(2)는, 필드 제너레이터(1)에, 소정의 데이터를 그 필드 플레이어(2), 또는 필드 디스크(4)에 소정의 정보를 송신하는 뜻의 지시를 주는 화상패턴이 인쇄되어 있는 UKK 스티커(7)의 화상을 송신한다. 필드 제너레이터(1)는, UKK 스티커(7)의 화상패턴에 따른 정보를 필드 플레이어(2)에 송신한다. 필드 플레이어(2)는 필드 제너레이터(1)에서 송신된 화상 또는 음향 등의 정보를 재생한다.

Description

정보제공시스템{Information providing system}
본 발명은 부호화된 화상패턴을 갖는 정보입력매체를 장착하면, 그 정보입력매체에 따른 정보를 사용자가 획득할 수 있도록 한 정보제공시스템, 정보제공장치, 정보제공방법,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방법 및 프로그램 제공매체에 관한 것이다.
쌍방향성을 갖는 여러 가지 정보를 요구에 따라서 제공하는 정보제공장치는, 제공을 희망하는 정보의 키워드나 검색하는 정보를 키보드, 터치패널 또는 마우스, 트랙볼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 등의 입력장치를 사용자가 조작하여, 처음으로 사용자가 희망하는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70년대의 일본의 대중음악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가 찾고 있는 경우에, 사용자는 자기가 얻고 싶은 정보의 키워드를 식별하여 선택하고 그 선택한 "음악", "70년대", "일본", 및 "대중" 등의 키워드를 키보드 등의 입력장치를 조작하여 입력할 필요가 있다.
동일하게, 사용가능한 언어 등도 사용자가 터치패널 등을 조작하여 입력함으로써, 정보제공장치는 정보의 제공형태를 변화시킨다. 또, 성별, 연령, 출신지, 개인의 기호, 소정의 계약을 행한 계약자인 등의 사용자의 속성정보는, 사용자가 이와 같은 입력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제공되는 정보에 처음 반영된다.
종래, 정보제공장치에 사용자의 속성정보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는, 그 속성 의 이용빈도 등으로 입력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다수의 사용자에 대하여 평균적으로 입력의 수고를 적게 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통상이다. 예를 들어, 성별과 일식 양식 중화식 등의 식사의 기호에서는, 특정의 경우 이외에는 성별의 속성이 이용빈도가 높기 때문에 용이하게 설정이 가능하며, 식사의 기호는 다수의 조작 후에 입력가능하게 되는 것이 통상이다. 사용자의 속성정보는, 그 때의 상황, 개인에 의해 우선순위가 다르고, 사용자의 속성정보의 입력 때마다, 입력화면을 여러 번에 걸쳐서 변경하지 않으면 소정의 설정은 할 수 없다.
음악이나 화상 등의 데이터를 입수하고 싶은 경우, 사용자가 그 음악이나 화상에 관련한 키워드를 입력할 수 없으면, 그 이상의 정보의 입수는 곤란하게 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1985년의 2륜 세계 로드레이스 500CC클래스를 주행한 NR이라는 오토바이의 화상 그 자체를 알고 있고, 그 오토바이의 화상 그 자체를 식별할 수 있어도 그것을 입수하고 싶은 경우, 사용자는 "NR" 등의 명칭을 알지 않으면 검색할 수 없다. 동일하게, 음악의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곡명, 작곡자, 연주자 등의 지식이 없으면, 소정의 음악데이터는 얻을 수 없다.
또, 예를 들면, 조작을 지시하는 최초의 화면에 일본어밖에 사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일본어를 이해하지 못하는 사용자는 그 이상의 조작은 불가능하게 된다.
또, 정보제공장치가 전파나 적외선 등을 거쳐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경우는, 사용자의 속성정보는 기억되지 않고, 이용할 때마다 속성정보를 입력할 필요가 있다. 또한, 수신장치가 휴대를 고려하여 소형인 경우는, 거치형의 장치의 키보 드, 터치패널 등을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스위치 등의 입력수단을 선택할 있는 종류가 적고, 사용자는 보다 번잡한 조작이 요구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으로 사용자가 희망하는 정보나 속성정보를 입수하여, 그 정보에 맞춘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정보제공시스템은, 소정의 정보가 부호화된 화상패턴을 인식하는 화상인식수단과, 상기 화상인식수단이 인식한 상기 화상패턴을 검출함으로써, 부호화된 상기 소정의 정보를 검출하는 정보검출수단과, 송신하는 송신정보를 기억하는 정보기억수단과, 상기 정보기억수단이 기억하고 있는 송신정보 중, 소정의 송신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정보송신수단과, 상기 정보검출수단이 검출한 상기 소정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정보송신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정보기억수단이 기억하고 있는 상기 송신정보 중, 상기 소정의 송신정보를 출력시키는 정보출력제어수단과를 구비하는 정보제공장치와, 상기 정보제공장치에 동작을 지시하는 정보를 부호화된 화상데이터의 화상패턴으로서 갖는 정보입력매체와, 상기 정보입력매체의 화면데이터를 입력하는 화상입력수단과, 상기 화상입력수단이 입력한 화상데이터를 상기 정보제공장치에 송신하는 화상데이터 송신수단과, 상기 정보제공장치가 출력한 소정의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수단과, 상기 신호수신수단으로 수신하여 얻어진 상기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소정의 정보를 재생하는 정보재생수단과를 구비하는 정보처리장치로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정보제공장치는, 소정의 정보가 부호화된 화상패턴을 인식하는 화상인식수단과, 상기 화상인식수단이 인식한 화상패턴을 검출하여 부호화된 상기 소정의 정보를 검색하는 정보검색수단과, 송신하는 송신정보를 기억하는 정보기억수단과, 상기 정보기억수단이 기억하고 있는 송신정보 중에서 소정의 송신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정보송신수단과, 상기 정보검출수단이 검출한 상기 소정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정보송신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정보기억수단이 기억하고 있는 상기 송신정보 중에서 상기 소정의 송신정보를 출력시키는 정보출력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정보제공방법은, 소정의 정보가 부호화된 화상패턴을 인식하는 화상인식스텝과, 상기 화상인식스텝에서 인식한 상기 화상패턴을 검출함으로써, 부호화된 상기 소정의 정보를 검출하는 정보검출스텝과, 상기 정보검출스텝에서 검출한 상기 소정의 정보를 기초로, 정보기억수단에서 소정의 송신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소정의 송신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정보송신스텝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프로그램 제공매체는, 소정의 정보가 부호화된 화상패턴을 인식하는 화상인식스텝과, 상기 화상인식스텝에서 인식한 상기 화상패턴을 검출함으로써, 부호화된 상기 소정의 정보를 검출하는 정보검출스텝과, 상기 정보검출스텝에서 검출한 상기 소정의 정보를 기초로, 정보기억수단에서 소정의 송신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소정의 송신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정보송신스텝과를 포함하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컴퓨터가 독출가능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정보처리장치는, 정보제공장치에 동작을 지시하는 정보를 부호화된 화상데이터의 화상패턴으로서 가지는 정보입력매체의 화상데이터를 입력하는 화상입력수단과, 상기 화상입력수단이 입력한 화상데이터를 상기 정보제공장치에 송신하는 화상데이터 송신수단과, 상기 정보제공장치가 출력한 소정의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수단과, 상기 신호수신수단으로 수신하여 얻어진 상기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소정의 정보를 재생하는 정보재생수단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정보처리방법은, 정보제공장치에 동작을 지시하는 정보를 부호화된 화상데이터의 화상패턴으로서 가지는 정보입력매체의 화상데이터를 입력하는 화상입력스텝과, 상기 화상입력스텝에서 입력한 화상데이터를 상기 정보제공장치에 송신하는 화상데이터 송신스텝과, 상기 정보제공장치가 출력한 소정의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스텝과, 상기 신호수신스텝에서 수신하여 얻어진 상기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소정의 정보를 재생하는 정보재생스텝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프로그램 제공매체는, 정보제공장치에 동작을 지시하는 정보를 부호화된 화상데이터의 화상패턴으로서 가지는 정보입력매체의 화상데이터를 입력하는 화상입력스텝과, 상기 화상입력스텝에서 입력한 화상데이터를 상기 정보제공장치에 송신하는 화상데이터 송신스텝과, 상기 정보제공장치가 출력한 소정의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스텝과, 상기 신호수신스텝에 서 수신하여 얻어진 상기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소정의 정보를 재생하는 정보재생스텝을 포함하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컴퓨터가 독해가능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정보제공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시스템구성도이다.
도 2는 상기 정보제공시스템에 있어서의 서버의 하드웨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서버의 기능블록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정보제공시스템에 있어서의 필드 플레이어의 외관사시도면이다.
도 5는 상기 필드 플레이어의 하드웨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필드 플레이어의 기능블록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상기 정보제공시스템에 있어서의 필드 레코더의 외관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필드 레코더의 하드웨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상기 필드 레코더의 기능블록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상기 정보제공시스템에 있어서의 필드 디스크의 외관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필드 디스크의 하드웨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상기 필드 디스크의 기능블록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상기 정보제공시스템에 있어서, 리필을 장착하지 않은 필드 플레이어, 필드 레코더 및 필드 제너레이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상기 정보제공시스템에 있어서, 필드 플레이어 또는 필드 레코더가 재생하는 화상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상기 정보제공시스템에 있어서, 리필을 장착하지 않은 필드 플레이어 및 필드 제너레이터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6은 상기 정보제공시스템에 있어서, UMK 스티커를 부착한 리필을 장착한 필드 플레이어 및 필드 제너레이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상기 UMK 스티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식별그림문자의 코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식별그림문자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UMK 스티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UMK 스티커의 메뉴를 손가락으로 지시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상기 정보제공시스템에 있어서, UMK 스티커를 부착한 리필을 장착한 필드 플레이어 및 필드 제너레이터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23은 상기 정보제공시스템에 있어서, 필드 레코더가 필드 제너레이터에 UMK 스티커의 작성을 지시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상기 정보제공시스템에 있어서, 필드 레코더가 필드 제너레이터에 UMK 스티커의 작성을 지시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25는 상기 정보제공시스템에 있어서, 필드 플레이어가 필드 제너레이터에 다른 필드 플레이어에 데이터의 전송을 지시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6은 상기 정보제공시스템에 있어서, 필드 플레이어가 필드 제너레이터에 다른 필드 플레이어에 데이터의 전송을 지시하는 동작의 설명을 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27은 상기 정보제공시스템을 적용한 유료정보서비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상기 정보제공시스템을 적용한 인터랙티브 필드의 레벨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상기 인터랙티브 필드에 있어서의 필드 플레이어의 조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정보제공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시스템 구성도이다.
이 정보제공시스템은, 필드 제너레이터(1-1, 1-2)(이하, 개개로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단순히 필드 제너레이터(1)라고도 칭한다), 필드 플레이어(2-1, 2-2)(이하, 개개로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단순히 필드 플레이어(2)라고도 칭한다), 필드 레코더(3-1, 3-2)(이하, 개개로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단순히 필드 레코더(3)라고도 칭한다)나 필드 디스크(4) 등을 구비한다.
필드 제너레이터(1)는, 소정의 범위에 있는 필드 플레이어(2), 필드 레코더(3) 및 필드 디스크(4)에, 전파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한다.
도 1에 표시하는 정보제공시스템에 있어서, 필드 제너레이터(1-1)는, 필드 플레이어(2-1, 2-2), 필드 레코더(3-1) 및 필드 디스크(4)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 필드 제너레이터(1-2)는, 필드 플레이어(2-2), 필드 레코더(3-2) 및 필드 디스크(4)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필드 제너레이터(1) 및 필드 디스크(4)는, 네트워크(5-1) 또는 네트워크(5-2)에 접속되고, 네트워크(5-1) 또는 네트워크(5-1, 5-2)를 거쳐서 서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필드 플레이어(2), 필드 레코더(3) 및 필드 디스크(4)는, 필드 제너레이터(1)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근원으로 정지화상, 동화상, 음성, 문자 등의 정보를 재생한다. 필드 플레이어(2) 및 필드 레코더(3)는, 사용자가 휴대가능한 소형휴대단말이다. 필드 플레이어(2-1)는, 소정의 위치에 리필(8-1)을 배치할 수 있다. 필드 플레이어(2-2)는, 그 소정의 위치에 리필(8-2)을 배치할 수 있다. 필드 디스크(4)는, 그 소정의 위치에 리필(8-3)을 배치할 수 있다. 이하, 리필(8-1) 내지 리필(8-3)은, 개개로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단순히 리필(8)이라고도 칭한다. 필드 플레이어(2) 및 필드 디스크(4)는,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1개 또는 복수 개의 리필(8)을 배치할 수 있다. 그 리필(8)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서, 책의 페이지와 동일하게 넘길 수 있다.
UMK(Ultra Magic Key) 스티커(7-1 내지 7-6)(이하, 개개로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단순히 UMK 스티커(7)라고도 칭한다)는, 사용자에 의해 리필(8)에 부착할 수 있다. UMK 스티커(7)의 표면에는, 필드 제너레이터(1)에 소정의 지시를 주는 화면패턴이 인쇄되어 있다. 필드 플레이어(2) 및 필드 디스크(4)는, UMK 스티커(7)가 부착된 리필(8)이 장착되었을 때, 그 리필(8)의 화면을 입력하고, 그 화상데이터를 필드 제너레이터(1)에 송신한다.
필드 프린터(6-1)는, 필드 제너레이터(1-1)에 접속되어 있다. 필드 프린터(6-2)는 필드 제너레이터(1-2)에 접속되어 있다. 필드 프린터(6-3)는 필드 레코더(3)에 접속되어 있다. 이하, 필드 프린터(6-1 내지 6-3)는 개개로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단순히 필드 프린터(6)라고도 칭한다. 필드 프린터(6)는 필드 디스크(4)에도 접속할 수 있다. 필드 프린터(6)는 접속된 필드 제너레이터(1), 필드 레코더(3) 또는 필드 디스크(4)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에 의거하여, UMK 스티커(7)를 인쇄한다.
필드 제너레이터(1)의 소유자는, 인쇄한 UMK 스티커(7)를 우편, 신문광고 등의 방법에 의해 필드 플레이어(2) 및 필드 디스크(4)의 소유자에게 배포할 수 있다. 또, 필드 레코더(3) 또는 필드 디스크(4)의 사용자는, 필드 레코더(3) 또는 필드 디스크(4)에 필드 프린터(6)를 접속하고, 소정의 UMK 스티커(7)를 인쇄할 수 있다.
필드 제너레이터(1-1)는, 서버(11-1), 송수신기(12-1, 12-2) 및 안테나(13-1, 13-2)로 구성되어 있다. 서버(11-1)는, 송수신기(12-1, 12-2)에 데이터를 포함한 신호를 공급하고, 또 송수신기(12-1, 12-2)로부터 데이터를 포함한 신호가 입력된다. 송수신기(12-1)는, 무선송신로를 쉐어링하여 복수의 필드 플레이어(2), 필드 레코더(3) 또는 필드 디스크(4)와 동시에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FDMA(Frequency D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CDMA(Code Dvision Multiple Access) 등의 신호전송방식으로, 안테나(13-1)를 거쳐서 신호를 송신하고, 또 필드 플레이어(2), 필드 레코더(3)나 필드 디스크(4)로부터의 신호를 안테나(13-1)를 거쳐서 수신한다. 동일하게, 송수신기(12-2)는, 안테나(13-2)를 거쳐서 신호를 송신하고, 또 안테나(13-2)를 거쳐서 수신한다.
필드 제너레이터(1-2)는 서버(11-2), 송수신기(12-3) 및 안테나(13-3)로 구성되어 있다. 서버(11-2)는 서버(11-1)와 동일하게, 송수신기(12-3)에 공급하고, 또 송수신기(12-3)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된다. 송수신기(12-3)는 송수신기(12-1)와 동일하게, 안테나(13-3)를 통하여 신호를 수신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서버(11-1, 11-2)는, 개개로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단순히 서버(11)라고도 칭한다. 또, 송수신기(12-1 내지 12-3)는, 개개로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단순히 송수신기(12)라고도 칭한다. 또한, 안테나(13-1 내지 13-3)는, 개개로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단순히 안테나(13)라고도 칭한다.
도 2는 서버(11-1)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서버(11-1)는 내부버스(20)에 접속된 CPU(Central Processing Unit)(21), RAM(Random Access Memory)(22), ROM(Read Only Memory)(2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4), 송수신장치 인터페이스(25), 입출력 인터페이스(26)를 구비하는 동시에, 이 입출력 인터페이스(26)에 접속된 CRT(Cathode-Ray Tube)(27), 키보드(28), 마우스나 트랙볼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29), HDD(Hard Disk Drive)(30) 및 MO(Magneto-Optic)디스크 드라이브나 테이프 드라이브 등의 외부 기억디바이스(31) 등을 구비하고 있 다.
CPU(21)는 각종 프로그램을 실제로 실행한다. RAM(22)은 CPU(21)의 실행에 있어서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나, 그 실행에 있어서 적절히 변화하는 파라미터를 격납한다. ROM(23)은 CPU(21)가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나 연산용 파라미터 중, 기본적으로 고정된 데이터를 격납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4)는, 데이터를 접속하는 네트워크(5)에서 필요로 하는 형식으로 정리하여 소정의 신호형식으로 출력하고, 네트워크(5)로부터의 신호를 입력하여 입력한 신호에서 서버(11)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추출한다. 송수신장치 인터페이스(25)는, 데이터를 접속하는 송수신장치(12)에서 필요로 하는 형식으로 정리하여 소정의 신호형식으로 출력하고, 송수신장치(12)로부터의 신호를 입력하고, 입력한 신호에서 서버(11)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추출한다.
CRT(27), 키보드(28), 마우스나 트랙볼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29), HDD(30) 및 외부기억 디바이스(31)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6)를 거쳐서 내부버스에 접속되어 있다. CRT(27)는 CPU(21)로부터 공급된 표시데이터를 표시한다. 키보드(28)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신호를 CPU(21)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포인팅 디바이스(29)는 사용자의 CRT(27) 상의 표시에 따른 조작에 의해, 소정의 신호를 CPU(21)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HDD(30) 및 외부기억 디바이스(31)는 CPU(21)의 실행에 있어서 RAM(22)에 격납하는 프로그램, 그 실행에 있어서 필요한 파라미터 및 데이터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4) 또는 송수신장치 인터페이스(25)를 거쳐서 출력하는 데이터 등을 격납한다. 필드 프린터(6-1)로의 데이터는, 입출 력 인터페이스(26)에서 소정의 케이블 또는 적외선 등을 거쳐서 출력된다.
CPU(21), RAM(22), ROM(2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4), 송수신장치 인터페이스(25)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26)는, 내부버스(20)를 거쳐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서브(11-2)의 하드웨어의 구성은, 서브(11-1)의 하드웨어 구성과 동일하다.
도 3은, 서브(11-1)의 CPU(21)가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되는 기능블록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관리 데이터베이스(41)는, 송수신장치 제어부(44)로부터 얻어진 정보를 근원으로, 통신하고 있는 필드 플레이어(2), 필드 레코더(3) 또는 필드 디스크(4)의 사용자가 소정의 계약을 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를 격납한다. 필드생성 제어부(42)는, UMK 처리부(46) 또는 커맨드 처리부(48)의 출력에 의거하여, 쉐어링한 무선전송로의 각 채널에 출력하는 소정의 데이터를 결정하고, AV(Audio Visual) 데이터(47)에 격납된 데이터를 송수신장치 제어부(44)에 송신하도록 지시한다.
네트워크 제어부(43)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4)를 제어하고, 서버(11)를 네트워크(5)에 접속한다. 송수신장치 제어부(44)는, AV 데이터베이스(47)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소정의 제이터 형식으로 변환하고, 송수신장치 인터페이스(25)를 제어하고 송신장치(12)에 출력한다. 송수신장치 제어부(44)는 1 또는 복수의 필드 플레이어(2), 필드 레코더(3) 또는 필드 디스크(4)로부터 송신된 화상 또는 커맨드신호를 송수신장치 인터페이스(25)를 거쳐서 입력하고, 화상인식부(45) 또는 커맨드처리부(48)에 보낸다.
화상인식부(45)는 1 또는 복수의 필드 플레이어(2) 또는 필드 디스크(4)로 부터 송신된 화상신호에서 화상정보를 인식하고, 필요한 화상정보를 추출한다. UMK 처리부(46)는, 화상인식부(45)에서 추출된 필요한 화상정보를 디지털코드로 변환하고, 필드생성 제어부(42)에 디지털코드를 보낸다. AV 데이터베이스(47)는 필드 플레이어(2), 필드 레코더(3) 또는 필드 디스크(4)에 공급하는 화상, 음성, 문자 등을 재현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격납하고, 필드생성 제어부(42)의 지시에 따라서 그 데이터를 송수신장치 제어부(44)에 보낸다. 커맨드처리부(48)는 필드 플레이어(2), 필드 레코더(3) 또는 필드 디스크(4)로부터 보내진 커맨드신호에 대응한 코드를 송수신장치 제어부(44)에서 수취하고, 그 코드에 따른 지시를 UMK스티커 인쇄처리부(49) 또는 필드생성 제어부(42)에 부여한다. UMK스티커 인쇄처리부(49)는, 커맨드처리부(48) 또는 UMK처리부(46)의 지시를 받아서, 서버(11-1)에 접속된 필드 프린터(6-1)에 소정의 UMK스티커의 인쇄를 지시한다.
서버(11-2)의 기능블록의 구성은, 서버(11-1)의 기능블록의 구성과 동일하다.
도 4는, 사용상태에 있는 필드 플레이어(2)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필드 플레이어(2)에는, UMK 스티커가 부착된 리필(8)이 소정의 위치에 장착되어 있다.
도 5는 필드 플레이어(2-1)의 하드웨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필드 플레이어(2-1)는 내부버스(50)에 접속된 CPU(Central Processing Unit)(51), RAM(Random Access Memory)(52), ROM(Read Only Memory)(53), 송수신장치 인터페이 스(54), 입출력 인터페이스(57) 및 화상처리 프로세서(62)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송수신장치 인터페이스(54)에 접속된 송수신회로(55),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57)에 접속된 LCD(Liquid Crystal Display)(58), 키보드(59), 마이크로폰(60) 및 스피커(61), 상기 화상처리 프로세서(62)에 카메라 인터페이스(63)를 거쳐서 접속된 CCD카메라(64-1, 64-2) 등을 구비한다.
CPU(51), RAM(52), ROM(53), 송수신장치 인터페이스(54), 입출력 인터페이스(57), LCD(58) 및 키보드(59)는, 각각 도 2의 CPU(21), RAM(22), ROM(23), 송수신장치 인터페이스(25), 입출력 인터페이스(26), CRT(27) 및 키보드(28)와 동일한 기능을 다하는 것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송수신회로(55)는 송수신회로 인터페이스(54)에서 입력된 신호를 소정의 형식으로 변경하고, 안테나(56)에 출력한다. 또 송수신회로(55)는, 안테나(56)에서 입력된 신호를 소정의 형식으로 변경하고, 송수신회로 인터페이스(54)에 출력한다. 안테나(56)는 송수신회로(55)로부터 입력된 소정의 형식의 전기신호를 전파호 변환하여 공간으로 방출하고, 또 필드 제너레이터(1)로부터 송신된 전파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송수신회로(55)에 출력한다.
마이크로폰(60)은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하고, 음성에 대응한 전기신호를 입출력 인터페이스(57)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스피커(61)는 입출력 인터페이스(57)에서 공급된 전기신호를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CCD카메라(64-1)는 리필(8-1)의 화상을 입력하고, 입력한 화상에 대응하는 신호를 카메라 인터페이스(63)에 공급한다. CCD카메라(64-2)는 사용자를 포함하는 화상을 입력하고, 입력한 화상에 대응하는 신호를 카메라 인터페이스(63)에 공급한다. 카메라 인터페이스(63)는 CCD카메라(64-1, 64-2)의 신호를 입력하고, 소정의 신호형식으로 변경하여 화상처리 프로세서(62)에 신호를 출력한다. 화상처리 프로세서(62)는 카메라 인터페이스(63)로부터 입력된 리필(8)의 화상신호에 대해서는 노이즈제거, 농담처리, 임계값 조정, 위치보정 등 사용자의 화상신호에 대해서는 색보정, 압축 등의 필요한 전(前)처리를 행하고, CPU(51), RAM(52) 또는 송수신회로 인터페이스(54)에 출력한다.
필드 플레이어(2-2)의 하드웨어의 구성은, 필드 플레이어(2-1)의 하드웨어 구성과 동일하다.
도 6은 필드 플레이어(2-1)의 CPU(51)가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되는 기능블록의 구성을 나타낸는 도면이다. 화상음성 재생부(71)는 송수신회로 제어부(73)를 거쳐서 필드 제너레이터(1)로부터의 데이터를 입력하고, LCD(58)에 화상을 스피커(61)에 음성을 재생시킨다. 사용자 ID(Identification Date) 설정부(72)는 사용자가 정보제공 서비스업자와 정보제공의 서비스를 계약한 경우, 정보제공 서비스업자가 계약한 사용자와 식별하기 위한 ID를 격납하고, UMK 화상입력부(74) 또는 커맨드 송신부(76)가 필드 제너레이터(1)에 송신하는 UMK 화상 또는 커맨드에 사용자ID를 부가한다. 송수신회로 제어부(73)는 UMK 화상입력부(74), 화상데이터 입력부(75) 및 커맨드 송신부(76)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소정의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고, 송수신회로 인터페이스(54)를 제어하여 송수신회로(55)에 출력하고, 안테나(56)를 거쳐서 필드 제너레이터(1)에 송신한다. 송수신장치 제 어부(44)는 1 또는 복수의 필드 제너레이터(1)로부터 송신된 화상 또는 음성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수신장치 인터페이스(25)를 거쳐서 입력하고, 화상음성 재생부(71)에 보낸다.
UMK 화상입력부(74)는 CCD카메라(64-1)로부터 입력하고, 화상처리 프로세서(62)에서 전처리된 리필(8-1)의 화상을 송수신회로 제어부(73)에 출력한다. 화상데이터 입력부(75)는, CCD카메라(64-2)로부터 입력하고, 화상처리 프로세서(62)에서 전처리된 사용자의 화상 및 마이크(60)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제이터를 송수신회로 제어부(73)에 출력한다. 커맨드 송신부(76)는, 사용자의 키보드(59)의 조작에 의해 얻어진 신호를 송수신회로 제어부(73)에 출력한다.
필드 플레이어(2-2)의 기능블록의 구성은, 필드 플레이어(2-)의 기능블록의 구성과 동일하다.
도 7은, 사용상태에 있는 필드 레코더(3)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필드 레코더(3-1)의 하드웨어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필드 레코더(3-1)는 내부버스(80)에 접속된 CPU(Central Processing Unit)(81), RAM(Random Access Memory)(82), ROM(Read Only Memory)(83), 송수신장치인터페이스(84), 입출력인터페이스(87) 및 화상처리 프로세서(93)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송수신장치 인터페이스(84)에 접속된 송수신회로(85),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87)에 접속된 LCD(Liquid Crystal Display)(88), 키보드(89), 마이크로폰(60), 스피커(91) 및 MD(Mini Disk(상표)) 드라이버(92), 상기 화상처리 프로세서(93)에 카메라 인터페이스(94)를 거쳐서 접속된 CCD카메라(95-1, 95-2) 등을 구비한다.
CPU(81), RAM(82), ROM(83), 송수신장치 인터페이스(84), 송수신회로(85), 안테나(86), LCD(88), 마이크(89), 스피커(91), CCD카메라(95-1, 95-2), 카메라 인터페이스(94) 및 화상처리 프로세서(93)는, 각각 도 5의 CPU(51), RAM(52), ROM(53), 송수신회로 인터페이스(54), 송수신회로(55), CCD카메라(64-1, 64-2), 카메라 인터페이스(63) 및 화상처리 프로세서(62)와 동일한 기능을 다하는 것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87)는 LCD(88), 스위치(89), 마이크로폰(90), 스피커(91) 및 MD 드라이버(92) 및 내부버스에 접속되고, 신호의 형식과 타이밍을 정리한다. 필드 프린터(6)로의 데이터는, 입출력 인터페이스(87)로부터 소정의 케이블 또는 적외선 등을 거쳐서 출력된다. 스위치(89)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신호를 CPU(21)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MD 드라이버(92)는, CPU(81)의 지시에 따라서 장착된 MD에 UMK 스티커를 인쇄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 화상 및 음성 데이터 등을 기록하고 재생한다.
필드 레코더(3-2)의 하드웨어의 구성은, 필드 레코더(3-1)의 하드웨어의 구성과 동일하다.
도 9는, 필드 레코더(3-1)의 CPU(81)가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되는 기능블록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화상음성 재생부(101), 사용자ID 설정부(102), 송수신회로 제어부(103), 화상데이터 입력부(105) 및 커맨드 송신부(106)는, 각각 도 6의 화상음성 재생부(71), 사용자ID 설정부(72), 송수신회로 제어부(73), 화상데이터 입력부(75) 및 커맨드 송신부(76)와 동일한 기능을 다 하는 것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UMK 화상입력부(104)는 CCD 카메라(95-1)에서 입력한 UMK스티커에 인쇄해야할 화상의 데이터를 송수신회로 제어부(103)를 거쳐서 필드 제너레이터(1)에 송신한다. UMK스티커 인쇄처리부(107)는, 스위치(89)의 조작에 따라서 필드 레코더(3)에 접속된 필드프린터(6)(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소정의 UMK 스티커의 인쇄를 지시한다.
필드 레코더(3-2)의 기능블록의 구성은, 필드 레코더(3-1)의 기능블록과 동일하다.
도 10은 사용상태에 있는 필드 디스크(4)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필드 디스크(4)에는 UMK 스티커(7)가 부착된 리필(8)이 소정의 위치에 장착되어 있다.
도 11은 필드 디스크(4)의 하드웨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필드 디스크(4)는, 내부버스(11)에 접속된 CPU(Central Processing Unit)(111), RAM(Random Access Memory)(112), ROM(Read Only Memory)(113), 송수신장치 인터페이스(114),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7), 입출력 인터페이스(118) 및 화상처리 프로세서(125)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송수신장치 인터페이스(84)에 접속된 송수신회로(115),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118)에 접속된 LCD(Liquid Crystal Display)(119), 커서키(120), 마이크로폰(121), 스피커(122) 및 HDD(Hard Disk Drive)(123) 및 외부기억 디바이스(124), 상기 화상처리 프로세서(125)에 카메라인터페이스(126)를 거쳐서 접속된 CCD카메라(127-1, 127-2) 등을 구비한다.
CPU(111), RAM(112), ROM(11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7), 입출력 인터페이 스(118), LCD(119), 커서키(120), HDD(123) 및 외부기억 디바이스(124)는, 각각 도 2의 CPU(21), RAM(22), ROM(2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4), 입출력 인터페이스(26), CRT(27), 키보드(28), HDD(30) 및 외부기억 디바이스(31)와 동일한 기능을 다하는 것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송수신회로 인터페이스(114), 송수신회로(115), 안테나(116), 마이크로폰(121), 스피커(122), CCD카메라(127-1, 127-2), 카메라 인터페이스(126) 및 화상처리 프로세서(125)는, 도 5의 송수신회로 인터페이스(54), 송수신회로(55), 안테나(56), 마이크로폰(60), 스피커(61), CCD카메라(64-1 및 64-2), 카메라 인터페이스(63) 및 화상처리 프로세서(62)와 동일한 기능을 다하는 것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는 필드 디스크(4)의 CPU(111)가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되는 기능블록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필드생성 제어부(132), AV 데이터 베이스(133), 화면인식부(134), UMK 처리부(135), 네트워크제어부(136), 커맨드 처리부(142) 및 UMK스티커 인쇄처리부(143)는, 각각 도 3의 필드생성 제어부(42), AV 데이터베이스(47), 화상인식부(45), UMK 처리부(46), 네트워크 제어부(43), 커맨드 처리부(48) 및 UMK스티커 인쇄처리부(49)와 동일한 기능을 다하는 것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송수신회로 제어부(137), UMK 화상입력부(138), 사용자ID 설정부(139) 및 화상데이터 입력부(140)는, 각각 도 6의 송수신회로 제어부(73), UMK 화상입력부(74), 사용자ID 설정부(72) 및 화상데이터 입력부(75)와 동일한 기능을 다하는 것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화상음성 재생부(131)는 도 6의 화상음성 재생부(71)의 기능에 가하여, AV 데이터베이스(133)에 격납된 데이터를 근 원으로, LCD(119)에 화상을, 스피커(122)에 음성을 재생시킨다. 커맨드송신부(141)는 사용자의 커서(120)의 조작에 의해 얻어진 신호를 화상음성 재생부(131), 필드제어부(132), 네트워크 처리부(135), 네트워크 제어부(136), UMK 인쇄처리부(143) 또는 트랜스미터 제어부(173)에 출력한다.
다음, 필드 제너레이터(1), 필드 플레이어(2) 및 필드 레코더(3)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3은, 리필(8)을 장착하고 있지 않은 필드 플레이어(2), 필드 레코더(3) 및 필드 제너레이터(1)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필드 제너레이터(1)는 항상 무선전송로를 쉐어링한 소정의 채널에서 정지화상, 동화상(이하, 이것들을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을 때는, 단순히 화상이라고 한다) 및 음성의 데이터를 포함한 신호를 송신한다. 필드 제너레이터(1)의 송신범위에 있는 리필(8)를 장착하고 있지 않은 필드 플레이어(2) 및 필드 레코더(3)는, 그 화상 및 음성데이터를 포함한 신호를 수신하고, 화상 및 음성을 재생한다. 도 14는 그 때의 필드 플레이어(2) 또는 필드 레코더(3)가 재생하는 화상(음성의 재생상태를 나타내는 화상이 동시에 표시되어 있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리필(8)을 장착하지 않은 필드 플레이어(2) 및 필드 제너레이터(1)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스텝(S11)에 있어서, 필드 제너레이터(1)를 사용하는 정보제공자의 설정에 의거하여, 서버(11)의 필드재생부(42)는 AV 데이터베이스(47)에, 소정의 화상과 음성데이터를 송수신장치 제어부(44)에 보내도록 지시한다. 서버(11)의 송수신장치 제어부(44)는, 소정의 화상과 음성데이터를 송 수신장치(12)에 출력한다. 스텝(S12)에 있어서, 송수신장치(12)는 입력된 소정의 화상과 음성데이터를 소정의 형식으로 변환하고, 소정의 채널에서 안테나(13)에 출력한다. 안테나(13)는 입력한 전기신호를 전파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스텝(S13)에 있어서, 필드 플레이어(2)는 그 전파를 안테나(56)에서 수신하고, 송수신회로 제어부(73)의 제어에 의거하여, 송수신회로(55) 및 송수신회로 인터페이스(54)를 거쳐서 소정의 형식의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그 데이터를 화상음성 재생부(71)에 보낸다. 스텝(S14)에 있어서, 필드 플레이어(2)의 화상음성 재생부(71)는 입력된 데이터에 의거하여, LCD(58)에 화상을 표시하고 스피커(61)에서 음성을 재생한다.
필드 레코더(3)도 동일한 순서로, 필드 제너레이터(1)로부터 송신된 신호에 의거하여 화상 및 음성을 재생한다. 이 때, 필드 제너레이터(1)는 복수의 채널에서 화상과 음성의 데이터를 제공하고, 필드 플레이어(2) 및 필드 레코더(3)의 사용자는 채널을 선택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16은 UMK 스티커(7)를 부착한 리필(8)을 장착한 필드 플레이어(2) 및 필드 제너레이터(1)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필드 플레이어(2)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UMK 스티커(7)는, 필드 제너레이터(1)를 사용하는 정보제공자가 공급한 것, 혹은 필드 레코더(3) 및 필드 프린터(6)를 사용하여 스스로 작성한 것이다. 필드 제너레이터(1)의 송수신범위 내에 있고, UMK 스티커(7)를 부착한 리필(8)을 장착한 필드 플레이어(2)는, 필드 제너레이터(1)에 UMK 스티커에 의거한 정보의 분배를 요구한다. 그 요구를 받은 필드 제너레이터(1)는, UMK 스티커에 의거한 데이터를 필드 플레이어(2)에 분배한다.
도 17은, UMK 스티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UMK 스티커의 상세한 것은, 본 출원인이 일본 평성9년 특허출원 제 324923호에서 정보입력매체로서, 이미 상세하게 개시하고 있다. 에어리어(152)에는 이 스티커가 UMK 스티커인 것을 서버(11)의 화상인식부(45) 또는 필드 디스크(4)의 화상인식부(134)가 인식하기 위한 소정의 문자 또는 패턴이 기재되어 있다.
에어리어(153-1 및 153-2)는, 전자적인 정보에 대응한 식별 그림문자가 기재되어 있다. 이 식별 그림문자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개의 식별 그림문자가 8방향의 회전모드를 갖고, 그 방향에 따라서 8종류의 코드가 정의된다. 예를 들면,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개의 식별 그림문자(162, 163, 164, 165)로 되는 식별 그림문자는 "2574"를 표시하고 있다. 즉, 제 1식별 그림문자(162)는 "2"를 표시하고, 제 2식별 그림문자(163)는 "5"를 표시하고, 제 3식별 그림문자(164)는 "7"를 표시하고, 제 4식별 그림문자(165)는 "4"를 표시하고 있다.
도 17에 되돌아가서, 에어리어(154-1 내지 154-4)에는, 필드 플레이어(2)의 CCD카메라(64-1)에서 촬상되는 화상의 위치보정을 행하는 데 이용되는 위치보정마크가 기재된다.
에어리어(155-1 내지 155-4)에는, 사용자가 선택지시를 행하기 위한 마크가 기재되어 있다. 사용자는 에어리어(155-1 내지 155-4)에 기재된 마크를 선택함으로써, 에어리어(156)에는 표시되어 있지 않는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에 어리어(155-1 내지 155-4)는 UMK 스티커(7)의 에어리어(156)에 기재되어 있는 선택정보와 LCD(58)에 표시되어 있는 선택정보와가 다른 경우에, 사용자가 선택지시를 행하기 위해 이용된다.
에어리어(156)는 정보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사용자는 에어리어에 기재된 정보를 봄으로써, 이 UMK 스티커를 사용하여 어떠한 정보에 액세스할 수 있는지를 알 수 있다. 또, 필드 제너레이터(1)에 의해 UMK 스티커를 인식시킨 후, 사용자는 이 에어리어(156)에 기술되어 있는 정보를 손가락 등으로 가리킴으로써, 서버(11)의 커맨드처리부(48)에 소정의 처리를 행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0에 나타낸 UMK 스티커(7)에서는, 사용자는 에어리어(156)에 배치된 제어명령기호 에어리어(170)에 기재된 제어명령기호(171, 172, 173, 174, 175, 176)를 지시함으로써, 서버(11)의 커맨드 처리부(48)에 대하여 화상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지시, 예를 들면, 다음의 화상데이터로 이동, 되감기, 재생, 빨리보내기, 일시정지, 정지 등의 지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 있어서는, 제어명령기호가 기술된 예를 이용하여 설명하였지만, 에어리어(156)에 기재되는 정보 내용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메뉴가 기재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에어리어(156)에 기술된 메뉴를 손가락(181)으로 지시함으로써, 필드 플레이어(2)의 LCD(58)에는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는 정보가 표시된다. 즉, 서버(11)의 커맨드처리부(48)가 UMK 스티커(7)에 대응하여, 그 에어리어(156)의 위치와 에어리어(156)의 각각의 위치에 할당되는 처리 내용을 격납해 놓으면, 그 격 납한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UMK 스티커(7)는 여기서 설명한 모든 에어리어에 의해 구성될 필요는 없고, 필요한 에어리어를 조합하여 예를 들면 에어리어(152) 및 에어리어(153-1)만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도 22는 필드 플레이어(2)에 UMK 스티커(7)을 부착한 리필을 장착한 경우의 필드 플레이어(2) 및 필드 제너레이터(1)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스텝(S21)에 있어서, 필드 플레이어(2)의 사용자는 입수하고자 하는 정보의 분배를 지시하는 UMK 스티커(7)를 부착한 리필(8)을 필드 플레이어(2)의 소정의 위치에 세트한다. 또는, 입수하고자 하는 정보의 분배를 지시하는 UMK 스티커(7)를 부착한 리필(8)을 포함한고 복수의 리필(8)이 필드 플레이어(2)에 세트되어 있으면, 사용자는 그 리필(8)의 표가 보이도록 리필(8)를 넘긴다. 스텝(S22)에 있어서, 필드 플레이어(2)는, CCD 카메라(64-1)에서 리필(8)의 화상을 입력하고 LCD(58)에 표시한다. 스텝(S24)에 있어서, 필드 플레이어(2)의 UMK 화상입력부(74)는, 리필(8)의 화상을 필드 제너레이터(1)에 송신하도록 송수신회로 제어부(73)에 지시한다. 그 지시를 받은 필드 플레이어(2)의 송수신회로 제어부(73)는, 송수신회로 인터페이스(54), 송수신회로(55) 및 안테나(56)를 동작시켜 리필(8)의 화상 데이터를 포함한 신호를 필드 제너레이터(1)에 송신한다.
스텝(S25)에 있어서, 서버(11)의 화상인식부(45)는 송수신장치 인터페이스(25)를 거쳐서 수신한 리필(8)의 화상데이터로부터 식별그림문자를 추출하고, UMK 처리부(46)에 출력한다. 스텝(S26)에 있어서, 식별그림문자를 입력한 UMK 처리부(46)는, 식별 그림문자로부터 디지털 코드를 생성하고 필드 생성 제어부(42)에 출력한다. 스텝(S27)에 있어서, 필드생성 제어부(42)는 AV 데이터베이스(47)에 디지털코드에 대응한 데이터를 송수신장치 제어부(44)에 출력하도록 지시한다. 스텝(S28)에 있어서, 송수신장치 제어부(44)는 필드생성제어부(42)의 지시에 의거하여, 소정의 채널에 AV 데이터베이스(47)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포함한 신호를 출력한다.
필드 플레이어(2)의 송수신회로제어부(73)는, 스텝(S29)에서 필드 제너레이터(1)로부터 송신된 소정의 채널의 신호를 수신하고, 화상음성재생부(71)는 그 수신한 신호에 포함되는 데이터로부터 LCD(58)에 화상을 표시하는 동시에, 음성을 스피커(61)에서 재생한다.
이상과 같이, 필드 플레이어(2)의 사용자는, 소망하는 화상 및 음성의 키워드를 알지 못하여도, UMK 스티커(7)를 부착한 리필(8)을 사용함으로써, 소망하는 화상 및 음성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필드 제너레이터(1)를 사용하는 정보제공자는, 계약을 한 사용자에게 소정의 UMK 스티커(7)를 배포하고, 그 UMK 스티커(7)가 사용된 경우, 소정의 채널에서 고화질의 화상과 고음질의 음성데이터를 공급하는 것으로, 계약을 한 필드 플레이어(2)의 사용자와 계약을 하지 않은 필드 플레이어(2)의 사용자가, 동시에 필드 제너레이터(1)의 송신 에어리어 내에 있다고 하더라도 서비스내용을 구별할 수 있다.
또, 필드 플레이어(2)의 사용자ID 설정부(72)에, 사용자를 식별하는 코드를 격납하고, 필드 플레이어(2)는 리필(8)의 화상데이터와 함께 그 사용자를 식별하는 코드를 필드 제너레이터(1)에 송신하고, 그것을 수신한 필드 제너레이터(1)는 사용자관리 데이터베이스에 격납된 정보와 사용자를 식별하는 코드의 비교에 의해, 사용자가 계약한 자인지를 판정하고, 제공하는 서비스를 구별하여도 좋다.
또한, 필드 플레이어(2)의 사용자는, UMK 스티커(7)를 부착한 리필(8)을 소정의 위치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희망하는 정보가 얻어진다. 예를 들어, 이탈리아어밖에 이해하지 못하는 사용자가, 통상은 일본어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필드 제너레이터(1)에서, 이탈리아어로 정보의 제공을 희망한 경우, 소정의 UMK 스티커(7)를 부착한 리필(8)을 사용하면, 곧바로 이탈리아어로 정보를 입수할 수 있다.
도 23은 필드 레코더(3)가, 필드 제너레이터(1-1)에 UMK 스티커(7)의 작성을 지시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필드 레코더(3)의 사용자는, 필드 제너레이터(1-1)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기초로, 필드 레코더(3)의 LCD(8)에 표시되는 화상 또는 스피커에서 재생되는 음성을 인식하고, 동일한 내용으로 보다 고화질의 화상 또는 음성의 제공, 혹은 재차의 화상 또는 음성의 제공을 희망하는 경우, 필드 제너레이터(1-1)에 UMK 스티커(7)의 작성을 지시한다. 이 지시를 받은 필드 제너레이터(1-1)는, 필드 프린터(6)에 필드 레코더(3)의 사용자가 희망하는 화상 또는 음성에 대응하는 UMK 스티커(7)를 인쇄를 지시한 사용자에게 건네준다. 필드 레코더(3)의 사용자가 필드 제너레이터(1-1)를 사용하는 정보제공자는 그 UMK 스티커(7)를 필드 레코더(3)에서 인쇄를 지시한 사용자에게 건내준다. 필드 레코더(3)의 사용자가 필드 플레이어(2)에서 그 UMK 스티커(7)를 사용하면, 필드 플레이어(2)는 필드 제너레이터(1-1)에 데이터 분배를 지시하고, 그 사용자는 상술한 것과 동일한 화상 또는 음성, 혹은 보다 고화질의 화상 또는 음성의 제공을 받을 수 있다.
또한, 필드 레코더(3)에 의해 필드 제너레이터(1-1)에 작성을 지시한 UMK 스티커(7)에는, 제공을 받는 화상과 음성 및 작성에 관련한 정보가 기록된다. 예를 들면, 필드 제너레이터(1-1)를 사용하는 정보제공자가 꽃점포이고, 제공을 받는 화상이 "난" 의 화상인 경우, UMK 스티커(7)에는 필드 레코더(3)에서 UMK 스티커(7)의 작성을 지시한 장소, 시각, "난" 의 화상의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꽃", "식물" "자연" 등의 정보가 기록된다. 다른 정보제공자가 사용하는 필드 제너레이터(1-2)의 송수신범위로 이동한 후, 거기서 필드 플레이어(2)의 사용자는 그 UMK 스티커(7)을 사용하면, 필드 플레이어(2)의 분배요구에 대하여 필드 제너레이터(1-2)의 UMK 처리부(46)는, UMK 스티커(7)에 기록된 상술의 정보를 기초로, 합치점 또는 공통점이 많은 정보를 AV 데이터베이스(47)에 검색시키고, 필드 플레이어(2)에 그 데이터를 분배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UMK 스티커(7)를 필드 플레이어(2)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그 UMK 스티커(7)의 작성을 지시한 필드 제너레이터(1) 이외의 필드 제너레이터(1)라도, UMK 스티커(7)의 속성에 유사한 화상 또는 음성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24는, 필드 레코더(3)에서 필드 제너레이터(1)에 UMK 스티커(7)의 인쇄를 지시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스텝(S31)에 있어서, 사용자는 재차 제공을 받고자 하는 화상 및 음성데이터가 분배되어 있을 때, 필드 레코더(3)의 스 위치(89)를 누른다. 스텝(S32)에 있어서, 필드 레코더(3)의 UMK 화상입력부(104)는 CCD 카메라(95-1)로부터 화상을 입력하고, 그 화상에 대응한 데이터를 작성한다. 스텝(S33)에 있어서, 필드 레코더(3)의 UMK 화상입력부(104)는, 스텝(S32)에 있어서 작성한 화상데이터의 필드 제너레이터(1)로의 송신을 송수신회로 제어부(103)에 지시한다. 또한, 필드 레코더(3)의 커맨드 송신부(106)는 송수신회로 제어부(103)에, UMK 스티커(7)의 작성을 지시하는 코드를 필드 제너레이터(1)에 송신하도록 지시한다. 이들의 지시를 받은 송수신회로 제어부(103)는 화상데이터와 코드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수신회로 인터페이스(84)를 제어하여 필드 제너레이터(1)에 송신한다.
스텝(S34)에 있어서, 서버(11)의 커맨드처리부(48)는 송수신장치 인터페이스(25)를 거쳐서, 필드 레코더(3)가 송신한 신호에 포함되는 코드를 입력하고, 현재 AV 데이터 베이스(47)가 출력하고 있는 파일에 대응하는 디지털 코드의 작성을 UMK 처리부(46)에 지시한다. 스텝(S35)에 있어서, 서버(11)의 UMK 처리부(46)는, 스텝(S34)에서 작성된 디지털코드를 UMK 코드로 변환하고, 그 UMK 코드를 UMK스티커 인쇄처리부(49)에 보낸다. 스텝(S36)에 있어서, UMK 처리부(46)는 AV 데이터베이스(47)에, 디지털코드에서 AV 데이터베이스(47)가 출력하고 있는 파일을 특정하기 위한 인덱스의 작성과 등록을 지시한다. 스텝(S37)에 있어서, 서버(11)의 UMK스티커 인쇄처리부(49)는, 송수신장치 인터페이스(25)를 거쳐서 필드 레코더(3)가 송신한 신호에 포함되는 화상데이터와 UMK 코드의 데이터를 기초로, UMK 스티커(7)의 인쇄의 지시를 필드 프린터(6)에 지시한다. UMK 스티커(7) 의 인쇄의 지시를 받은 필드 프린터(6)는, 그 화상데이터와 UMK 코드의 데이터를 기초로, UMK 스티커(7)를 인쇄한다.
이상과 같이, 사용자는 필드 레코더(3)의 조작에 의해 필드 제너레이터(1)에 UMK 스티커(7)를 인쇄시킬 수 있다. 여기서, 필드 레코더(3)는 UMK 스티커(7)의 인쇄에 필요한 화상데이터를 필드 제너레이터(1)로부터 수신하고, 그 필드 레코더(3)에 접속된 필드 프린터(6)에 의해 UMK 스티커(7)를 인쇄시키켜도 좋다. 또한, 사용자는 필드 레코더(3)의 조작에 의해, 네트워크(5)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서 필드 디스크(4)에 UMK 스티커(7)의 인쇄에 필요한 화상데이터, 또는 제공을 받고저 하는 화상 및 음성의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지시할 수도 있다.
도 25는, 필드 플레이어(2-1)가 필드 제너레이터(1)에, 다른 필드 플레이어(2-2)에 데이터의 전송을 지시하는 동작의 설명을 하는 도면이다. 필드 플레이어(2-1)의 사용자는, UMK 스티커(7-1)의 에어리어(155-1 내지 155-4) 또는 에어리어(156)을 손가락으로 지시함으로써, 필드 제너레이터(1)에 동일 또는 유사한 정보를 기억한 UMK 스티커(7-2)를 사용 중의 필드 플레이어(2-2)에 데이터을 전송시킬 수 있다. 이 때, UMK 스티커(7)에 기억된 유사한 정보 범위의 판정은, UMK 스티커(7-1)에 기록된 정보 또는 필드 플레이어(2-1)의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결정된다. 유사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UMK 스티커(7-3)를 사용 중의 필드 플레이어(2-3)에는, 필드 플레이어(2-1)의 지시에 의한 필드 제너레이터(1)로부터의 데이터 분배는 행해지지 않는다.
도 26은, 필드 플레이어(2)가 필드 제너레이터(1)에 다른 필드 플레이어(2)에 데이터의 전송을 지시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스텝(S41)에 있어서, 필드 플레이어(2)의 사용자는, 소정의 UMK 스티커(7)가 부착된 리필(8)을 필드 플레이어(2)에 세트한다. 스텝(S42)에 있어서, 필드 플레이어(2)의 사용자는 UMK 스티커(7)의 소정의 에어리어의 커맨드를 손가락으로 지시한다. 스텝(S43)에 있어서, 필드 플레이어(2)의 UMK 화상입력부(74)는, CCD카메라(64-1)에서 입력한 UMK 스티커(7)의 소정의 에어리어의 커맨드를 손가락으로 지시하는 화상을 필드 제너레이터(1)에 송신하도록 송수신회로 제어부(73)에 지시한다. 송수신회로 제어부(73)는 송수신회로 인터페이스(54)을 제어하고, 그 화상 데이터를 포함한 신호를 필드 제너레이터(1)에 송신한다.
스텝(S44)에 있어서, 서버(11)의 화상인식부(45)는 송수신장치 인터페이스(245)를 거쳐서, 필드 플레이어(2)가 송신한 신호에 포함되는 리필(8)의 화상데이터를 입력하고, 그 화상데이터로부터 식별그림문자를 추출하여 UMK 처리부(46)에 출력한다. 또한 화상인식부(45)는 그 화상데이터로부터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지시위치를 추출하고, 커맨드 처리부(48)에 출력한다. 식별그림문자를 입력한 UMK 처리부(46)는, 식별그림문자에서 디지털코드를 생성하고 커맨드 처리부(48)에 출력한다. 스텝(S45)에 있어서, 서버(11)의 커맨드 처리부(48)는, 디지털코드 및 지시위치를 이용하여, UMK 스티커(7)에 대응한 그 에어리어(156)의 위치와, 에어리어(156) 각각의 위치에 할당하는 처리내용을 나타내는 명령코드를 대응시킨 표를 검색하고 명령코드를 선택한다. 스텝(S46)에 있어서, 서버(11)의 커맨드처리부(48)는 선택된 명령코드에 의거하여, 필드생성 제어부(42)에 AV 데이 터 베이스(47) 또는 사용자관리 데이터베이스(41)에 격납된 데이터를 소정의 채널에서, 소정의 다른 필드 플레이어에 송신하도록 지시한다. 필드생성 제어부(42)는 AV 데이터 베이스(47) 또는 사용자관리 데이터베이스(41)에 소정의 데이터를 송수신장치 제어부(44)에 출력하도록 지시한다. 송수신장치 제어부(44)는 필드생성제어부(42)의 지시에 의거하여, 소정의 채널에 AV 데이터 베이스(47) 또는 사용자관리 데이터베이스(41)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포함한 신호를 출력한다.
스텝(S47)에 있어서, 다른 필드 플레이어(2)의 송수신회로 제어부(73)는 필드 제너레이터(1)로부터 송신된 소정채널의 신호를 수신하고, 화상음성 재생부(71)는 그 수신한 신호에 포함되는 데이터로부터, LCD(58)에 화상을 표시하는 동시에 음성을 스피커(61)에서 재생한다.
이상과 같이, 필드 플레이어(2)의 사용자는, 다른 필드 플레이어(2)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필드 플레이어(2)로의 정보의 전송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동일하게 필드 플레이어(2)의 사용자는, 소정의 UMK 스티커(7)를 사용하여 필드 플레이어(2)를 조작함으로써, 필드 플레이어(2) 또는 필드 제너레이터(1)가 가지는 정보에 수정, 교환 등의 조작을 할 수 있다.
필드 디스크(4)는 필드 제너레이터(1), 필드 플레이어(2), 필드 레코더(3)의 기능을 갖는다. 필드 디스크(4)는 네트워크(5-2)를 거쳐서 취득한 정보, UMK 스티커(7)를 사용하여 필드 제너레이터(1)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기억하고, 그 정보를 개인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며, 기본적으로는 필드 디스크(4)의 송수신범위 및 무선전송로의 용량은, 필드 제너레이터(1)에 비교하여 소규모이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정보제공장치와 정보처리장치의 통신은 다중전송로를 가지는 무선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으나, 물리층에 무선을 이용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도 상관없다. 이 때의 전송방식으로서 멀티캐스트나 트랜스포트층의 통신프로토콜로서 UDP(User Datagram Protocol)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시스템이란, 복수의 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장치전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은 처리를 행하는 컴퓨터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프로그램 제공매체로서는, 자기디스크, CD-ROM, 고체메모리 등의 기억매체 외, 네트워크, 위성 등의 통신매체를 이용할 수 있다.
이 정보제공시스템은 유료의 정보서비스를 행하는 경우, 예를 들면,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구성의 유료정보 서비스시스템에 짜 넣어진다.
이 도 27에 나타내는 유료정보 서비스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해 인증시스템을 거쳐서 액세스되는 제공자를 갖추고, 콘텐츠를 축적한 콘텐츠 서버로부터 제공자가 사용자에 의해 요구된 콘텐츠를 호출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한다.
상기 콘텐츠 서버에는, 라이센서로부터 발행된 페이퍼 코드에 관련되어서 상기 제공자에 의해 등록된 콘텐츠가 암호화 시스템에 의해 암호화된 상태로 축적되어 있다. 상기 콘텐츠 서버는 제공자가 사용자에 의해 요구된 콘텐츠를 디코드하여 위성을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한다.
이 유료정보 서비스시스템에 있어서, 제공자는 페이퍼 코드에 관련된 콘텐츠의 액세스레벨에 따른 UMK 시트를 XML/HTML 변환하여 홈페이지에 게재하거나, 혹은 통신판매/점포판매 등의 광고지로서 배포하거나, 혹은 우편에 의해 사용자에게 보낸다. 또, 사용자로부터 계약이용자로서의 등록요구가 있으면, 인증시스템을 거쳐서 부과금센터에 사용자 등록을 행한다.
이 유료정보 서비스시스템에 있어서, 홈페이지를 액세스하여 UMK 시트를 인쇄함으로써 입수하거나, 통신판매/점포판매 등의 광고지로서 배포되는 UMK 시트나 제공자로부터 우송되어 오는 UMK 시트를 입수한 사용자는, 상술의 필드 플레이어(2), 필드 레코더(3) 혹은 필드 디스크(4)를 이용하여 필드 제너레이터(1)를 액세스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유료정보 서비스시스템에서는, 다음과 같은 인터랙티브 필드를 구축하고 있다.
여기서, 인터랙티브 필드는 개인 또는 단체가 유지하고 있는 정보의 참조, 취득, 교환, 송출, 전송, 수정 등의 정보조작을 행할 수 있는 "장"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장"은 개인 혹은 단체마다 따로 따로 형성되어 있고, "장"으로의 조작은 서로의 허용레벨(정보의 개시와 요구의 레벨)의 일치와 공간적인 허용범위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이 "장"으로의 조작원리를 포함한 개념을 인터랙티브 필드라고 부른다. 다음에, 이 인터랙티브 필드 개개의 허용레벨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필드레벨, 또 그 공간적인 허용범위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필드 에어리어를 정의한다. 이들 필드 레벨, 필드 에어리어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사용자의 취향이나 이용위치에 의해, 어떻게 적절하게 제공할 것인지를 목표로 고안한 개념이고, 컴퓨터, 광역네트워크, 각종 무선전송경로 등을 이용함으로써 실현된다.
또한, 인터랙티브 필드에 대해서는, 전기통신대학에 있어서 1998년 9월 8일 ∼9월 11일에 개최된 일본 소프트웨어학회 제 15회 대회에 있어서, 그 개요를 본 발명자가 스스로 발표하였다.
필드레벨은, 예를 들면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음의 3개의 레벨(Private, Personal, Public)로 구성된다.
일반 대중을 타겟 사용자로 하는 Public 필드에서는, 저화질정지화상, 문자, 음성 등의 데이터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필드 제너레이터(1)로부터 방송형태로 정보를 필드기어(field gear)에 의해 수취한다. 사용자는 이 정보로부터 자신이 현재 속하고 있는 "장"이 제공하는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역 근처에서는 역이름이나 현재 노선의 혼잡상황 등의 방송서비스가 행해지고, 편의점이나 레스토랑 근처에서는 오늘의 추천메뉴 등이 방송된다.
전용사용자를 타겟 사용자로 하는 Personal 필드에서는, 저화질동화상, 고화질 정지화상, 문자, 음성 등의 데이터를 제공한다. 쌍방향성을 갖고, 점포의 빈 좌석 상황이나 예약 등을 가능하게 한다. 이 Personal 필드에서는, 서비스업자가 발하는 인터랙티브 필드와 사용자가 갖고 있는 인터랙티브 필드에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경우에, 그 강도와의 종별에 따라서 정보가 분배된다. 또, 그 정보에 따라서, 사용자가 액세스한 내용에 의해 인터랙티브 필드는 취향성에 관한 학습을 행하고 수시로 갱신된다. 사용자는 역앞이나 신문 또는 인터넷으로부터 입수한 UMK 코드가 부가된 광고를 이용하여, 각 필드 제너레이터에 액세스함으로써 광고의 내용에 관련하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입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장"의 근처에서, 필드 기어에 노선의 광고지를 세트하고 혼잡상황의 항목을 선택하면, 지정한 노선의 혼잡상황이 화상이나 음성, 문자정보에 의해 아나운스 된다. 또, 편의점이나 레스토랑 근처에서는, 상품안내 광고지를 필드 기어에 세트하고 추천항목을 지정하면, 오늘의 추천 상품의 화상이나 음성, 문자정보가 아나운스 된다.
계약자를 타겟 사용자로 하는 Private 필드에서는, 고화질동화상, 고화질 정지화상, 문자, 음성 등의 데이터를 제공한다. 쌍방향성을 갖고, 메뉴에 의한 주문 등을 가능하게 한다. 이 Private 필드에서는, 미리 각 "장"을 생성하는 제공자와 계약하고 있는 사용자가, 그 제공자로부터 정기적으로 우송이나 인터넷에 의해 공급되는 UMK 코드가 부가된 광고지를 이용하여, 계약이용자만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입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장"의 근처에서, 노선 제공자로부터 보내져 온 티켓예약의 광고지를 필드 기어에 세트하고, 노선이나 일시의 항목을 입력함으로써 좌석 예약을 할 수 있고, 예약한 티켓을 역의 카운터에서 수취할 수 있다. 또, 편의점이나 레스토랑 근처에서는, 제공자로부터 보내져 온 상품주문의 광고지를 필드 기어에 세트하고 주문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점포에 들어 갔을 때 바로 상품이나 좌석이 확보되어 있다.
또한, Private 필드에서는, 사용자끼리의 인터랙티브 필드에 상관성이 있는 경우에, 서로의 개인정보를 임의로 교환할 수 있고, 또 개인정보를 웹 상에서의 게재, 텔레비젼, 잡지 등의 각종 이벤트에 링크시키는 것 등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드레벨을 Private, Personal, Public 등과 같이 개인정보의 구분을 명확화함으로써, 이용자인 개인은 여러가지 상황 변화에 따라서 이 레벨을 전환함으로써, 동일한 "장"에 있어서 다른 레벨의 멀티미디어 정보에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레벨의 전환을 행하는데, "종이"에 의한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인 UMK 스티커(7)를 이용함으로써, 순간에 더구나 직감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필드 에어리어는, 개인 또는 단체의 "장"의 도달허용범위에 따라서, 임의의 형태로 설정되어 있다.
이 경우의 임의란, "장"을 생성하고자 하는 개인 혹은 단체가 그 개개에 허용되어 있는, 혹은 허용하고자 하는 범위를 특정함으로써, 그 이외의 "장"에 대하여 필요 이상의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하는 구조이다.
즉, 가정내에 있어서는 그 필드 에어리어를 집 안으로만 멈추고, 상점이나 공공단체에 있어서는, 그 필드 에어리어를 지역 내에 멈춰서, 방송기관 등에 있어서는, 전파법 등에 정해지는 범위 내에 "장"의 도달허용범위가 설정되게 된다.
다음에, 이 도달허용범위의 실현수단에 대해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매우 적은 수를 대상으로 하는 가정 내의 "장"의 생성에 있어서는, 적외선이나 미약한 전파 등의 소전력 무선통신 등이 이용된다. 이 에어리어의 것을 Home필드 에어리어(Home FA)라고 부른다. 또, 특정지역의 비교적 많은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점포나 공공기관 등의 "장"의 생성에는, 중간 규모의 전력출력을 사용한 무선통신에 의해 실현된다. 이 에어리어의 것을 Local 필드 에 어리어(Local FA)라고 부른다. 또한, 광범위한 매우 많은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방송기관 등의 "장" 의 생성에는, 위성 등의 대규모한 전력출력에 의한 무선통신을 사용한다. 이 에어리어의 것을 Wide 필드 에어리어(Wide FA)라고 부른다.
이들 각종 "장"의 생성을 담당하는 장치로서 장치의 총칭을 필드 제너레이터라고 부르고, 상술의 필드 제너레이터(1)가 이것에 해당한다. 또, 이들 "장"에 액세스하기 위한 장치를 총칭하여 필드 기어라고 부르고, 상술한 필드 플레이어(2), 필드 레코더(3), 필드 디스크(4)가 이에 해당한다.
필드 제너레이터(1)는 주로 "장"의 생성을 담당하는 것이고, 필드 기어를 유지한 이용자가 인터랙티브 필드 내에 있어서, 여러가지의 정보조작(참조, 취득, 교환, 송출, 전송, 수정 등)을 허용레벨과 허용범위에 따라서 행하는 것을 제어하고 있다. 또, 필드 제너레이터(1)는 각종의 광역네트워크와 접속되어 있고, Gateway Machine으로서 웹사이트(Web site)로의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즉, 이용자는 필드 기어를 휴대함으로써, Home FA, Local FA, Wide FA에 구축되어 있는 각종의 "장"에 대하여 수시 그 필요성에 따라서 액세스할 수 있다.
다음에, 인터랙티브 필드 내에 있어서의 UMK 시트를 사용한 필드 플레이어(2)에 의한 정보입수의 수순에 대해서, 도 2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텝(S51)에 있어서, 이용자는 개인으로 작성하거나, 점포에서 배부된 UMK 시트를 필드 플레이어(2)의 시트홀더의 임의의 위치에 철하여 둔다. 그리고 스텝(S52)에 있어서, 이용자는 필드 플레이어(2)를 휴대하여 가정내 혹은 가두를 이동한다,
그리고, 스텝(S53)에 있어서, 이용자가 예를 들면 역의 필드 제너레이터(1)가 생성하는 필드 내에 들어가면 Public Level의 멀티미디어정보가 필드 플레이어(2)에 보내져서 재생된다.
다음의 스텝(S54)에 있어서, 여기서 사용자는 이 멀티미디어정보를 수취하고, 이 필드에 흥미를 갖으면 이것에 대응하는 UMK 시트의 페이지를 연다.
스텝(S55)에 있어서, 필드 제너레이터(1)는 이 UMK 시트의 화상을 수취하고, UMK 시트의 액세스레벨이 특정이용자 액세스레벨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특정이용자 액세스레벨인 경우에는, 스텝(S56)에 있어서, 필드 제너레이터(1)는 미리 등록되어 있는 특정이용자용 디지털페이지 화상을 필드 플레이어(2)에 반송한다. 이것에 의해 필드 플레이어(2) 측에서는, 특정이용자용 디지털페이지 화상이 표시된다.
그리고, 스텝(S57)에 있어서, 이용자가 상기 특정이용자용 디지털 페이지 화상, 또는 상기 UMK 시트에 표시되어 있는 취득하고자 하는 정보의 장소를 손가락 등으로 건드림으로써, 취득하고저 하는 정보를 지시하는 화상이 필드 제너레이터(1)에 보내진다. 또, 스텝(S58)에 있어서, 필드 제너레이터(1)는 보내져 온 화상에서 취득지시된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코드에 의해, 특정이용자용 콘텐츠데이터를 재생하여 필드 플레이어(2)에 반송한다.
또, 상기 UMK 시트의 액세스레벨이 특정이용자 액세스레벨이 아닌 경우에는, 스텝(S59)에 있어서, 필드 제너레이터(1)는 상기 UMK 시트의 액세스레벨이 계약이용자 액세스레벨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계약이용자 액세스레벨인 경우에는, 스텝(S60)에 있어서, 필드 제너레이터(1)는 미리 등록되어 있는 특정이용자용 디지털페이지 화상을 필드 플레이어(2)에 반송한다. 이것에 의해 필드 플레이어(2) 측에서는, 특정이용자용 디지털페이지 화상이 표시된다.
그리고, 스텝(S61)에 있어서, 이용자가 상기 계약이용자용 디지털페이지 화상, 또는 상기 UMK 시트에 표시되어 있는 취득하고자 하는 정보의 장소를 손가락 등으로 건드림으로써, 취득하려는 정보를 지시하는 화상이 필드 제너레이터(1)에 보내진다. 또, 스텝(S62)에 있어서, 필드 제너레이터(1)는 보내져 온 화상에서 취득지시된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코드에 의해, 계약이용자용 콘텐츠데이터를 재생하여 필드 플레이어(2)에 보낸다.
따라서, 예를 들어 「레스토랑」의 안내용 UMK 시트를 필드 플레이어(2)의 시트 홀더에 철하여 두고, 길모퉁이를 걸으면서 「레스토랑」의 필드에 들어가면 「오늘의 예약상황」 등의 안내정보가 아나운스되고, 이 정보에 흥미를 갖은 경우에, 「레스토랑」의 페이지를 열고, 그 중의 「예약」의 표시부분을 손가락으로 건드리면, 예약자의 성명, 사람수, 시간 등의 등록 수순이 멀티미디어 재생되므로, 지시에 따라 예약을 행할 수 있다.

Claims (19)

  1. 정보제공시스템에 있어서,
    소정의 정보를 부호화함으로써 얻어지는 화상패턴을 인식하는 화상상인식수단과, 상기 화상인식수단에 의해 인식된 상기 화상패턴을 검출함으로써, 부호화된 상기 소정의 정보를 검출하는 정보검출수단과, 송신되어지는 송신정보를 기억하는 정보기억수단과, 소정의 송신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정보송신수단과, 상기 정보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소정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정보송신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정보기억수단 내에 기억된 상기 송신정보 중 상기 소정의 송신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정보송신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정보제공장치와,
    부호화된 화상데이터의 화상패턴으로써 상기 정보제공장치의 동작을 지시하는 소정의 정보를 가지는 정보입력매체와,
    상기 정보입력매체의 화상패턴을 입력하는 화상입력수단과, 상기 화상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화상패턴을 상기 정보제공장치에 무선으로 송신하는 화상데이터 송신수단과, 상기 정보제공장치의 상기 정보송신수단에 의해 무선으로 송신된 상기 소정의 송신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신호수신수단과, 상기 신호수신수단의 수신에 의해 얻어지는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소정의 송신정보를 재생하는 정보재생수단을 구비하는 휴대용 정보처리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송신 제어수단은, 상기 정보송신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정보제공장치의 상기 정보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정보입력매체에 의해 보존되어 있는 상기 소정의 정보와, 상기 정보제공장치의 상기 화상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되어 이용자에 의해 선택되고, 상기 정보제공장치의 상기 화상인식수단에 의해 인식된 상기 정보입력매체 상의 지정된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정보제공장치의 상기 정보기억수단 내에 기억된 상기 소정의 송신정보 중 다른 소정의 송신정보를 포함하는 제 2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휴대용 정보처리장치의 상기 신호수신수단은, 상기 정보제공장치의 상기 정보송신수단에 의해 출력된 상기 다른 소정의 송신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 2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정보처리장치의 상기 정보재생수단은, 상기 신호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 2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다른 소정의 송신정보를 추가로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입력매체는 광고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입력매체는, 상기 정보처리장치에 의한 상기 정보제공장치에 대한 복수의 액세스레벨 및 상기 정보입력매체에 의해 보존된 정보의 내용을 나타내는 인증정보를 부호화함으로써 얻어지는 화상데이터의 화상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정보제공장치는, 상기 정보처리장치에 대한 복수의 액세스레벨로부터 한 개의 액세스레벨을 설정하는 액세스레벨 설정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시스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입력매체는, 사용자등록 및 부과금처리를 제어하는 인증시스템을 거쳐서 액세스되는 프로바이더에 의해 반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시스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장치는, 상기 화상인식수단이 상기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화상패턴을 인식하고 있지 않을 때는, 상기 정보기억수단에 기억되는 소정의 송신정보를 상기 정보처리장치에 송신하고, 또 상기 화상인식수단이 상기 화상 데이터를 인식하고, 상기 정보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액세스레벨 및 상기 인증정보가 검출되었을 때는, 그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액세스레벨 및 상기 인증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
    정보제공장치에 동작을 지시하는 정보를 부호화된 화상데이터의 화상패턴으로 가지고 있는 정보입력매체의 화상데이터를 입력하는 화상입력수단과,
    상기 화상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화상데이터를 상기 정보제공장치에 무선으로 송신하는 화상데이터 송신수단과,
    상기 정보제공장치로부터 송신된 소정의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신호수신수단과,
    상기 신호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소정의 송신정보를 재생하는 정보재생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신호수신수단은, 상기 정보입력매체에 의해 보존된 정보와, 상기 화상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되고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정보입력매체상의 지정된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정보제공장치로부터 출력된 다른 소정의 송신정보를 포함하는 제 2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정보재생수단은, 상기 신호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 2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다른 소정의 송신정보를 재생하며,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휴대용장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정보입력매체의 화상데이터에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부가하는 식별정보 부가수단을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상기 정보입력매체의 상기 화상 데이터가 부가된 상기 사용자의 식별정보와 함께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장치의 동작을 지시하는 정보를 부호화된 화상데이터의 화상패턴으로서 가지는 정보입력매체의 인쇄데이터를 작성하기 위해서 상기 정보제공장치에 지시하는 인쇄데이터작성 지시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8. 휴대용 정보제공장치에 이용되는 정보처리방법에 있어서,
    정보제공장치의 동작을 지시하는 정보를 부호화된 화상데이터의 화상패턴으로서 가지는 정보입력매체의 화상데이터를 입력하는 화상입력스텝과,
    무선송신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화상입력스텝에서 입력한 화상데이터를 상기 정보제공장치에 송신하는 화상데이터 송신스텝과,
    무선송신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정보제공장치로부터 송신된 소정의 송신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스텝과,
    상기 신호수신스텝에서 수신하여 얻어진 상기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소정의 정보를 재생하는 정보재생스텝과,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정보입력매체상의 지정된 위치정보를 입력하는 위치정보 입력스텝과,
    상기 입력된 지정된 위치정보를 상기 정보제공장치에 송신하는 우치치정보 송신스텝과,
    상기 정보입력매체에 의해 보존된 정보와 송신된 상기 지정된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정보제공장치로부터 송신된 다른 소정의 송신정보를 포함하는 제 2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스텝과,
    상기 제 2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다른 소정의 송신정보를 재생하는 재생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방법.
  19. 삭제
KR1020007000773A 1998-05-29 1999-05-28 정보제공시스템 KR1006138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148560 1998-05-29
JP14856098 1998-05-29
PCT/JP1999/002863 WO1999063459A1 (en) 1998-05-29 1999-05-28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2201A KR20010022201A (ko) 2001-03-15
KR100613832B1 true KR100613832B1 (ko) 2006-08-17

Family

ID=15455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0773A KR100613832B1 (ko) 1998-05-29 1999-05-28 정보제공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748424B1 (ko)
EP (1) EP1011058B1 (ko)
JP (1) JP4396034B2 (ko)
KR (1) KR100613832B1 (ko)
CN (1) CN1114166C (ko)
WO (1) WO199906345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721B1 (ko) * 2009-12-04 2010-10-01 장진혁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8204A (ja) * 2000-05-24 2001-12-07 Canon Inc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装置、端末器、端末装置、情報提供方法、及び、記録媒体
US6993553B2 (en) * 2000-12-19 2006-01-31 Sony Corporation Data providing system, data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data acquisition system and method, and program storage medium
US7308486B2 (en) * 2001-12-06 2007-12-11 Accenture Global Services Gmbh Mobile guide communications system
JP3947978B2 (ja) * 2003-12-24 2007-07-25 ソニー株式会社 再生システム、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KR100706933B1 (ko) 2005-05-16 2007-04-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미지 패턴 인식을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이용하는 서비스 시스템
US7809156B2 (en) 2005-08-12 2010-10-05 Ricoh Company, Ltd. Techniques for generating and using a fingerprint for an article
US8689102B2 (en) * 2006-03-31 2014-04-01 Ricoh Company, Ltd. User interface for creating and using media keys
US9525547B2 (en) * 2006-03-31 2016-12-20 Ricoh Company, Ltd. Transmission of media keys
US20070229678A1 (en) * 2006-03-31 2007-10-04 Ricoh Company, Ltd. Camera for generating and sharing media keys
US20070233612A1 (en) * 2006-03-31 2007-10-04 Ricoh Company, Ltd. Techniques for generating a media key
US8554690B2 (en) * 2006-03-31 2013-10-08 Ricoh Company, Ltd. Techniques for using media keys
US8756673B2 (en) 2007-03-30 2014-06-17 Ricoh Company, Ltd. Techniques for sharing data
US20080243702A1 (en) * 2007-03-30 2008-10-02 Ricoh Company, Ltd. Tokens Usable in Value-Based Transactions
JP6476601B2 (ja) * 2014-06-10 2019-03-0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物体画像情報管理サーバ、物体関連情報管理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JP7106404B2 (ja) * 2018-09-13 2022-07-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データ再生システム、データ再生方法、データ再生端末、プリンタ及びサーバ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5474A (ja) * 1993-10-20 1995-05-02 Fujitsu Ltd マルチメディア新聞方式
US5841886A (en) * 1993-11-18 1998-11-24 Digimarc Corporation Security system for photographic identification
JPH07146875A (ja) * 1993-11-24 1995-06-06 Fuji Xerox Co Ltd 情報検索装置
CA2128973A1 (en) 1994-01-28 1995-07-29 Kenneth Ward Church Information retrieval method
US5640193A (en) * 1994-08-15 1997-06-17 Lucent Technologies Inc. Multimedia service access by reading marks on an object
US6012102A (en) * 1996-04-02 2000-01-04 Infogear Technology Corporation System using machine-readable printed symbols created from encoded data resource specifiers to establish connection to data resource on data communications network
JP3011098B2 (ja) * 1996-06-10 2000-02-21 凸版印刷株式会社 情報の提供方法
JPH1091532A (ja) * 1996-09-12 1998-04-10 Brother Ind Ltd データアクセス制御装置
JPH1093949A (ja) * 1996-09-18 1998-04-10 Canon Inc 映像配信システムおよび映像アクセス制御方法
US5995105A (en) * 1996-09-23 1999-11-30 Motorola,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a resource in an electronic network
TW430774B (en) * 1996-11-26 2001-04-21 Sony Corp Information input method and apparatus
US6518950B1 (en) * 1997-10-07 2003-02-11 Interval Research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human/computer interfa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721B1 (ko) * 2009-12-04 2010-10-01 장진혁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11058A4 (en) 2009-04-29
EP1011058B1 (en) 2016-06-08
CN1274445A (zh) 2000-11-22
KR20010022201A (ko) 2001-03-15
CN1114166C (zh) 2003-07-09
JP4396034B2 (ja) 2010-01-13
US6748424B1 (en) 2004-06-08
EP1011058A1 (en) 2000-06-21
WO1999063459A1 (en) 1999-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3832B1 (ko) 정보제공시스템
CN100440182C (zh) 具有在电器间中断内容执行的方法与系统的移动计算设备
CN1757032B (zh) 使用控制设备简化搜索媒体业务
US6516323B1 (en) Telecom karaoke system
RU2462832C2 (ru) Система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услуг мобильному устройству в персональной сети
CN100397899C (zh) 提供数据存储到点播媒体传递系统中服务器上的系统和方法
KR100703736B1 (ko)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는전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CN100409228C (zh) 用于共享多媒体处理的具有硬件/软件接口的独立打印机
US20010042107A1 (en) Networked audio player transport protocol and architecture
JP2004509384A (ja) 訪問者の経験を補充する展示施設
WO2004053651A2 (en) Content creation, distribution, interaction, and monitoring system
JPH1185785A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配信システム
US20050216512A1 (en) Method of accessing a work of art, a product, or other tangible or intangible objects without knowing the title or name thereof using fractional sampling of the work of art or object
JP2003203035A (ja) 情報配信方法および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配信プログラム、編集プログラムならびにコンピュータで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7752257B2 (e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information server apparatus
JP2006012127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配信方法、並びに端末装置
CN101246681A (zh) 网页式影音欢唱系统
WO2010140202A1 (ja) 複製支援装置、端末装置、複製支援方法、及び複製支援プログラム
JP2007057571A (ja) コンテンツリスト生成システム、コンテンツサーバ、車載装置
US20070094258A1 (en) Information transmitting apparatus,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6862597B2 (en) Printing system
KR101781516B1 (ko) 컨텐츠 배경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03244360A (ja) 音再生機能付き画像形成装置及びコンテンツ再生方法
TW200804764A (en)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 mobil guidance of show place
KR20010008385A (ko) 디지털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음성맞춤정보 제공방법,음성맞춤정보 제공시스템 및 음성맞춤정보 수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