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3466B1 - 건축물의 하수 배수전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하수 배수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3466B1
KR100613466B1 KR1020060013522A KR20060013522A KR100613466B1 KR 100613466 B1 KR100613466 B1 KR 100613466B1 KR 1020060013522 A KR1020060013522 A KR 1020060013522A KR 20060013522 A KR20060013522 A KR 20060013522A KR 100613466 B1 KR100613466 B1 KR 100613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sewage
drain
gu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3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재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남아태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남아태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남아태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60013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34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3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3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03F5/107Active flow control devices, i.e. moving during flow reg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2Arrangements of means against overflow of water, backing-up from the drai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입되는 하수의 유속이나 유입량의 차이에 따른 승하강 작용으로 배수를 위한 개방과 폐쇄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고, 하수의 역류와 하수관을 통해 유입되는 하수의 역순환 방지 및 탈취작용을 할 수 있는 건축물의 하수 배수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테두리 사이에 좌우로 교접되는 스크린에 의해 다수개의 유입구가 형성되고, 중앙 하부에는 스크린과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내주면에 다수개의 가이드돌기가 종방향으로 구비되며, 내측 천장에는 체결고리가 고정된 가이드구가 형성된 스틸그레이팅과,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중공상태이며, 상부 테두리에는 걸림단이 형성된 걸림판으로 구성되되, 걸림판의 하단에는 테두리를 따라서 내부로 끼움홈과 다수의 배수구가 형성된 배수몸체와, 상부면에는 체결고리가 고정되고,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가이드홈이 종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체와, 가이드체의 하부에 경사지게 일체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다수개의 고정홈이 형성된 경사면이 형성되며, 경사면의 끝단에는 배수격판이 다수개 돌출형성되며, 배수격판의 사이에는 배수격판보다 낮으며 보조배수구가 구비된 밀봉격판이 구비된 배수조절구와, 배수조절구에 고정되어 악취제거를 하는 탈취부재와, 스틸그레이팅의 가이드구에 고정된 체결고리에 일단이 연결되고 배수조절구의 가이드체에 고정된 체결고리에 타단이 연결되는 인장스프링과, 테두리에는 함몰된 걸림단이 형성되며, 걸림단의 하부와 일체로 연장되며 바닥이 폐쇄된 원통의 양측에는 대응되는 하수관이 형성된 집수몸체로 구성되어 하수의 유입량에 따라 배수가 조절되며 역류가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수전, 역류방지, 악취제거, 배수조절구, 탈취부재

Description

건축물의 하수 배수전{Sewage drain of construction}
도 1은 종래의 배수전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하수 배수전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하수 배수전의 구조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하수 배수전의 개방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하수 배수전의 폐쇄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배수전 11 : 스틸그레이팅
12 : 배수몸체 13 : 배수조절구
14 : 탈취부재 15 : 집수몸체
111 : 테두리 111a : 유입구
111b : 스크린 112 : 가이드구
112a : 가이드돌기 112b, 131b : 체결고리
121 : 걸림판 121a, 151 : 걸림단
122 : 끼움홈 123 : 배수구
131 : 가이드체 131a : 가이드홈
132 : 고정홈 132´: 경사면
133 : 배수격판
134 : 밀봉격판 134a : 보조배수구
152 : 하수관 S : 인장스프링
본 발명은 건축물의 하수 배수전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수의 유속이나 유입량의 차이에 따른 승하강 작용으로 배수를 위한 개방과 폐쇄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고, 하수의 역류와 하수관을 통해 유입되는 하수의 역순환 방지 및 탈취작용을 할 수 있는 건축물의 하수 배수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수전은 화장실이나 주방 또는 배란다등의 바닥에 매립설치되어지는 구조체로서, 오수가 이 배수전을 통해 하수도로 빠져나가도록 하는데 사용되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주거공간의 일부인 배수전은 쾌적한 환경을 만들기 위하여 역류하는 악취와 소음 차단기능 등을 갖는 건축 철물의 하나로서, 일반적으로 본체가 악취차단을 위한 봉수요입부가 구비된 배출구와 이 배출구 상에 덮혀지는 봉수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악취 방지용 배수전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로 된 배수전 통체(1)의 내부에는 약간 융기된 배수구(3)를 돌설하여 이 배수구(3)의 주연에 배수실(2)을 요설하고 배수실(2) 상측에는 봉수컵(4)이 하측으로 착 설된 다공상의 여과판(5)을 내삽하여서 된 배수전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배수전의 배수과정을 보면 하수가 배수전 상부에 형성된 여과판(5)과 배수실(2)을 통과한 후 봉수컵(4)의 저부 배수공을 통해 배수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배수시 하수가 배수실(2)을 통해 배수가 이루어지며, 배수전은 배수실(2)내에 배수되던 하수가 항상 잔류하고 있어서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배수전은 배수 시간이 오래 걸려 세면대나 욕조의 더러운 찌꺼기가 함께 배수가 되지 않고 바닥에 남아 다시 사용할 때는 바닥의 찌꺼기를 청소하고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배수전은 배수실내에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잔류되는 잔류하수에 의해 악취가 실내로 유입되어 위생상 상태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배수몸체의 상부에 안치되어 고정되는 스틸그레이팅과 배수몸체의 끼움홈에 끼워져 하부에 고정되는 배수조절구를 인장스프링으로 연결하여 스틸그레이팅으로 유입되는 하수의 유속 및 유입량에 따라 배수조절구가 하향 하강되며 배수몸체의 배수구를 개방시켜 하수를 방류하며, 하수의 방류가 완료되면 인장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배수구를 폐쇄시켜 하수의 역류나 하수관을 따라 스며드는 악취의 역순환을 방지하도록 개선된 건축물의 하수 배수전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수몸체의 하부 끝단면에 형성된 끼움홈에 배수조절구의 배수격판과 밀봉격판이 체결되어 역 순환되는 악취의 유입을 1차적으로 차단하며, 격판과 끼움홈의 틈새로 스며든 악취나 배수조절구에 잔류된 하수에 의한 악취를 탈취부재를 이용하여 탈취시켜 위생적으로 개선된 건축물의 하수 배수전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테두리 사이에 좌우로 교접되는 스크린에 의해 다수개의 유입구가 형성되고, 중앙 하부에는 스크린과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내주면에 다수개의 가이드돌기가 종방향으로 구비되며, 내측 천장에는 체결고리가 고정된 가이드구가 형성된 스틸그레이팅과,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중공상태이며, 상부 테두리에는 걸림단이 형성된 걸림판으로 구성되되, 걸림판의 하단에는 테두리를 따라서 내부로 끼움홈과 다수의 배수구가 형성된 배수몸체와,
상부면에는 체결고리가 고정되고,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가이드홈이 종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체와, 가이드체의 하부에 경사지게 일체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다수개의 고정홈이 형성된 경사면이 형성되며, 경사면의 끝단에는 배수격판이 다수개 돌출형성되며, 배수격판의 사이에는 배수격판보다 낮으며 보조배수구가 구비된 밀봉격판이 구비된 배수조절구와,
배수조절구에 고정되어 악취제거를 하는 탈취부재와,
스틸그레이팅의 가이드구에 고정된 체결고리에 일단이 연결되고 배수조절구의 가이드체에 고정된 체결고리에 타단이 연결되는 인장스프링과,
테두리에는 함몰된 걸림단이 형성되며, 걸림단의 하부와 일체로 연장되며 바닥이 폐쇄된 원통의 양측에는 대응되는 하수관이 형성된 집수몸체로 구성되어 하수의 유입량에 따라 배수가 조절되며 역류가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하수 배수전을 제공한다.
이에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하수 배수전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하수 배수전의 구조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하수 배수전의 개방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하수 배수전의 폐쇄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하수 배수전은 하수가 유입되는 다수개의 유입구(111a)가 형성된 스틸그레이팅(11)과, 상기 스틸그레이팅(11)이 안치되는 걸림단(121a)이 상부에 형성되며, 하부에는 배수를 위한 배수구(123)가 형성된 배수몸체(12)와, 상기 배수몸체(12)의 하부에 형성된 끼움홈(122)에 배수격판(133)과 밀봉격판(134)이 체결되어 배수구(123)를 개폐시키는 배수조절구(13)와, 상기 배수조절구(13)에 고정되어 악취를 제거하는 탈취부재(14)와, 상기 스틸그레인팅(11)과 배수조절구(13)에 고정된 체결고리(112b,131b)에 연결되는 인장스프링(S)과, 상기 배수몸체(12)가 안치되도록 상부에 걸림단(151)이 형성되며 유입된 하수를 최종적으로 배수하는 집수몸체(15)로 배수전(10)이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수에 포함된 부유물이 걸러진 하수가 유입되는 스틸그레이팅(11)은 원형의 테두리(111)의 내측 사이를 좌우로 교접되는 스크린(111b)에 의해 다수개의 유입구(111a)가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스크린(111b)은 격자형태로 교접될 수도 있으며, 또는 원형, 삼각형, 타원형상의 유입구(111a)가 형성되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스틸그레이팅(11)은 중앙 하부에 스크린(111b)과 일체로 연장되되 내주에 다수개의 가이드돌기(112a)가 종방향으로 구비되며, 내측 천장에 체결고리(112b)가 용접방식(이하; 용접이라 함)을 이용하여 고정된 가이드구(112)로 구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구(112)는 내부가 중공되어진 원통형상으로 스틸그레이팅(11)의 상부로부터 중앙에 위치되는 일부분의 스크린(111b)을 포함하여 일체화된 상태를 이루며 하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돌기(112a)는 가이드구(112)의 내주면에 일체로 중심을 향하도록 사각형상으로 돌출되어 구성된다.
상기 스틸그레이팅(11)이 상부에 안치되며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중공상태인 배수몸체(12)는 전체적인 형상이 원통형상이며 상부 테두리에는 함몰된 걸림단(121a)이 형성된 원판형상의 걸림판(1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판(121)의 하단에는 테두리를 따라서 내부로 끼움홈(122)과 다수의 배수구(123)가 형성되게 된다.
상술한 끼움홈(122)에는 후술할 배수조절구(13)의 밀봉격판(134)이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끼움되며, 특히 배수구(123)에 형성된 끼움홈(122)에는 배수조절구(13)의 배수격판(133)이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되게 된다.
상기 배수조절구(13)는 상부면에는 체결고리(131b)가 용접으로 고정되고,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가이드돌기(112a)가 끼워지는 가이드홈(131a)이 종방향으로 가이드체(131)에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체(131)는 전체적인 형상이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스틸그레이팅(11)의 가이드구(112)의 중공상태인 내주면으로 끼어지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가이드체(131)의 하부에 경사지게 일체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다수개의 고정홈(132)이 형성된 경사면(132´)이 형성되고, 경사면(132´)의 끝단에는 배수격판(133)이 다수개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배수격판(133)의 사이에는 배수격판(133)보다 낮으며 보조배수구(134a)가 구비된 밀봉격판(134)이 구비되게 된다.
또한, 상기 밀봉격판(134)을 따라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배수격판(133)은 배수몸체(12)의 배수구(123)를 폐쇄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배수구(123)의 절단면에 형성된 끼움홈(122)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보조배수구(134a)는 배수격판(133)이 일체로 형성된 밀봉격판(134)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잔류되는 하수의 배수를 위해 구성된 것이다.
상기 배수몸체(12)의 상부에 안치되어 고정되는 스틸그레이팅(11)과 배수조절구(13)의 연결은 양단에 걸릴 수 있도록 갈고리가 형성된 인장스프링(S)을 이용 하여 연결한다.
즉, 상기 스틸그레이팅(11)이 배수몸체(12)에 안치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스틸그레이팅(11)에 고정된 체결고리(112b)와 배수조절구(13)에 고정된 체결고리(131b)에 인장스프링(S)의 양단을 체결하는 것이다.
상기 탈취부재(14)는 배수조절구(13)에 형성된 고정홈(132)에 접착이나 볼트를 이용한 체결방식으로 고정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탈취부재(14)는 흡착성이 강하고, 대부분의 구성물질이 탄소질로 구성된 활성탄이 이용된다. 이러한, 활성탄은 목재 ·갈탄 ·이탄(泥炭) 등을 활성화제인 염화아연이나 인산과 같은 약품으로 처리하여, 건조시키거나 목탄을 수증기로 활성화시켜 만드는 것이다.
또한, 활성탄은 가루상태나 입자상태로 제조되는데, 가루인 것은 입자상태로 만들어 사용하기도 한다. 용도는 주로 흡착제로서 기체나 습기를 흡수시키는 데 사용되며, 그 밖에 용제(溶劑)의 회수제와 가스의 정제용 또는 탈색제로 쓰이는 등 용도가 다양한 특징을 이용하여 탈취부재(14)를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집수몸체(15)는 테두리에는 함몰된 걸림단(151)이 형성되며, 걸림단(151)의 하부와 일체로 연장되며 바닥이 폐쇄된 원통의 양측에는 대응되는 하수관(152)이 형성된 구조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수몸체(15)의 걸림단(151)에 배수몸체(12)의 걸림판(121)이 안치되어 고정되며, 상기 배수몸체(12)에 형성된 걸림단(121a)의 상부에 스틸그레이팅(11)과 배수조절구(13)가 인장스프링(S)에 연결된 상태로 설치되는 스틸그레이팅(11)의 테두리(111)가 안치되어 욕실이나 주방, 베란다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욕실이나 주방, 베란다에 설치된 배수전(10)은 스틸그레이팅(11)의 스크린(111b)에 의해 부피가 큰 찌꺼기가 걸러진 하수가 유입구(111a)를 통해 유입되어 배수몸체(11)를 지나 배수조절구(13)에 고이게 된다.
즉, 상기 배수조절구(13)의 중앙에 형성된 가이드체(131)와 밀봉격판(134)의 사이 공간에 하수가 고이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배수조절구(13)는 하수의 유입 유속이 느리거나 유입량이 극히 적을 때에는 스틸그레이팅(11)과 인장스프링(S)으로 연결되어 당김 작용력에 의해 배수몸체(12)와 긴밀하게 체결되어 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배수조절구(13)에 형성된 배수격판(133)과 밀봉격판(134)이 배수몸체(12)의 끼움홈(122)에 긴밀하게 끼워지며, 배수격판(133)에 의해 배수구(123)가 폐쇄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스틸그레이팅(11)을 통해 유입되는 하수가 빠른유속으로 유입되거나 양이 많을 경우에는 인장스프링(S)이 늘어나게된다.
즉, 상기 배수조절구(13)가 배수몸체(12)에서 하부로 슬라이드되며 끼움홈(122)에 끼워졌던 배수격판(133)이 배수구(123)를 개방하게 되어 배수구(123)를 통해 하수가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수조절구(13)의 가이드체(131)에 형성된 가이드홈(131a)에 스틸그레이팅(11)의 가이드구(112)에 형성된 가이드돌기(112a)가 끼워진 상태로 슬라이드 되어져 배수조절구(13)의 요동을 방지하며 배수격판(133)과 배수구(123)의 위치가 일치되도록 유지하는 것이다.
상기 배수구(123)를 통해 배출된 하수는 집수몸체(15)에 집수되면서 하수구(152)에 연결된 연결하수관(도면번호 미도시)을 통해 방류되는 것이다.
상기 배수조절구(13)에 고여진 하수의 배출이 완료되면, 인장스프링(S)의 당김 작용력에 의해 배수조절구(13)가 배수몸체(12)에 밀착되어지며, 이때, 밀봉격판(134)에 형성된 보조배수구(134a)를 통해 배수조절구(13)에 바닥에 잔류하던 하수가 모두 배출되면서 배수격판(133)은 배수구(123)를 폐쇄시키고, 밀봉격판(134)은 끼움홈(122)에 긴밀하게 끼워지며 하수의 역류와 하수 악취의 역순환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하수가 자체적으로 함유하고 있는 악취 및 하수와 접촉되었던 스틸그레이팅(11)과 배수몸체(12), 배수조절구(13)의 표면에 잔류되는 하수의 악취를 탈취부재(14)를 이용하여 탈취시켜 위생적인 면이 향상되며, 쾌적한 주거환경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배수몸체의 상부에 안치되어 고정되는 스틸그레이팅과 배수몸체의 끼움홈에 끼워져 하부에 고정되는 배수조절구를 인장스프링으로 연결하여 스틸그레이팅으로 유입되는 하수의 유속 및 유입량에 따라 배수조절구가 하향 하강되며 배수몸체의 배수구를 개방시켜 하수를 방류하며, 하수의 방류가 완료되면 인장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배수구를 폐쇄시켜 하수의 역류나 하수관을 따라 스며드는 악취의 역순환을 방지하도록 개선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배수몸체의 하부 끝단면에 형성된 끼움홈에 배수조절구의 배수격판과 밀봉격판이 체결되어 역 순환되는 악취의 유입을 1차적으로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테두리(111) 사이에 좌우로 교접되는 스크린(111b)에 의해 다수개의 유입구(111a)가 형성되고, 중앙 하부에는 스크린(111b)과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내주면에 다수개의 가이드돌기(112a)가 종방향으로 구비되며, 내측 천장에는 체결고리(112b)가 고정된 가이드구(112)가 형성된 스틸그레이팅(11)과,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중공상태이며, 상부 테두리에는 걸림단(121a)이 형성된 걸림판(121)으로 구성되되, 걸림판(121)의 하단에는 테두리를 따라서 내부로 끼움홈(122)과 다수의 배수구(123)가 형성된 배수몸체(12)와,
    상부면에는 체결고리(131b)가 고정되고,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가이드홈(131a)이 종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체(131)와, 가이드체(131)의 하부에 경사지게 일체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다수개의 고정홈(132)이 형성된 경사면(132´)이 형성되며, 경사면(132´)의 끝단에는 배수격판(133)이 다수개 돌출형성되며, 배수격판(133)의 사이에는 배수격판(133)보다 낮으며 보조배수구(134a)가 구비된 밀봉격판(134)이 구비된 배수조절구(13)와,
    배수조절구(13)에 고정되어 악취제거를 하는 탈취부재(14)와,
    스틸그레이팅(11)의 가이드구(112)에 고정된 체결고리(112b)에 일단이 연결되고 배수조절구(13)의 가이드체(131)에 고정된 체결고리(131b)에 타단이 연결되는 인장스프링(S)과,
    테두리에는 함몰된 걸림단(151)이 형성되며, 걸림단(151)의 하부와 일체로 연장되며 바닥이 폐쇄된 원통의 양측에는 대응되는 하수관(152)이 형성된 집수몸체(15)로 구성되어 하수의 유입량에 따라 배수가 조절되며 역류가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하수 배수전.
KR1020060013522A 2006-02-13 2006-02-13 건축물의 하수 배수전 KR100613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3522A KR100613466B1 (ko) 2006-02-13 2006-02-13 건축물의 하수 배수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3522A KR100613466B1 (ko) 2006-02-13 2006-02-13 건축물의 하수 배수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3466B1 true KR100613466B1 (ko) 2006-08-22

Family

ID=37602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3522A KR100613466B1 (ko) 2006-02-13 2006-02-13 건축물의 하수 배수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346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507B1 (ko) 2007-02-08 2009-01-13 민승기 역류방지용 배수장치
KR101162066B1 (ko) 2010-09-09 2012-07-06 김동현 부력에 의해 개폐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배수구
KR101263899B1 (ko) 2012-01-02 2013-05-13 (주)선일 엔바이로 완충 저류 설비
CN104153455A (zh) * 2014-08-06 2014-11-19 苏州市职业大学 一种耐用地漏
CN111910734A (zh) * 2020-08-28 2020-11-10 安徽绿洲危险废物综合利用有限公司 一种超强复合树脂盖板
KR20230005618A (ko) * 2021-07-01 2023-01-10 이용운 살충 효과를 가지는 맨홀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507B1 (ko) 2007-02-08 2009-01-13 민승기 역류방지용 배수장치
KR101162066B1 (ko) 2010-09-09 2012-07-06 김동현 부력에 의해 개폐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배수구
KR101263899B1 (ko) 2012-01-02 2013-05-13 (주)선일 엔바이로 완충 저류 설비
CN104153455A (zh) * 2014-08-06 2014-11-19 苏州市职业大学 一种耐用地漏
CN111910734A (zh) * 2020-08-28 2020-11-10 安徽绿洲危险废物综合利用有限公司 一种超强复合树脂盖板
CN111910734B (zh) * 2020-08-28 2021-08-06 安徽绿洲危险废物综合利用有限公司 一种超强复合树脂盖板
KR20230005618A (ko) * 2021-07-01 2023-01-10 이용운 살충 효과를 가지는 맨홀
KR102534073B1 (ko) * 2021-07-01 2023-05-17 이용운 살충 효과를 가지는 맨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3466B1 (ko) 건축물의 하수 배수전
KR100645885B1 (ko) 역류방지가 용이한 공동주택용 하수구 배수전
KR101757620B1 (ko) 악취 역류방지용 배수트랩
KR20090036931A (ko) 배수트랩
KR200482899Y1 (ko) 악취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KR20090001900U (ko) 악취 및 역류 방지장치
KR20190000590U (ko) 2중 배수구가 구비된 배수 조립체
KR200482529Y1 (ko) 악취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KR100756933B1 (ko) 배수구의 냄새 차단 장치
KR102242669B1 (ko) 층간 병원체 전파 차단 구조형 배수트랩
KR200308485Y1 (ko) 배수트랩
KR20050095067A (ko) 하수관 냄새제거 및 오물 걸림장치
KR20050080155A (ko) 악취차단과 이물질 수거가 용이한 생활하수용 배수조
KR20140002080U (ko) 세탁기 배수호스 결합소켓
KR200356294Y1 (ko) 하수관 냄새제거 및 오물 걸림장치
KR100701786B1 (ko) 개폐가 용이한 공동주택용 배수전
KR930004979Y1 (ko) 배수전
KR200352206Y1 (ko) 배수트랩
KR200415793Y1 (ko) 방취포집기
KR200429979Y1 (ko) 배수구의 냄새 차단 장치
KR200230642Y1 (ko) 하수구 덮개
KR20170003207U (ko)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KR100737270B1 (ko) 침전물의 제거가 용이한 오수받이
KR200461517Y1 (ko) 배수전 내부에 장착되는 악취차단장치
KR200282577Y1 (ko) 착탈식 걸름망 구조를 갖는 건축용 수직배수관 이음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