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2623B1 - 냉수생성장치를 갖는 히트펌프시스템 - Google Patents

냉수생성장치를 갖는 히트펌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2623B1
KR100612623B1 KR1020040061236A KR20040061236A KR100612623B1 KR 100612623 B1 KR100612623 B1 KR 100612623B1 KR 1020040061236 A KR1020040061236 A KR 1020040061236A KR 20040061236 A KR20040061236 A KR 20040061236A KR 100612623 B1 KR100612623 B1 KR 100612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cold water
evaporator
heat pump
pump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1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2522A (ko
Inventor
이용흥
최정숙
조흠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월드원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월드원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월드원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040061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2623B1/ko
Publication of KR20060012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2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2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2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0/00Heat pumps
    • F25B30/02Heat pumps of the compressi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17Speeds

Abstract

본 발명은 냉수생성장치를 갖는 히트펌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축기 --> 응축기 --> 팽창변 --> 증발기 --> 압축기로 이루어지는 히트펌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의 내부를 경유하며, 증발기내의 냉매라인과 열교환을 하는 부동액라인과, 상기 부동액라인과 열교환을 하는 냉수라인을 포함하는 냉수생성장치를 갖는 히트펌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히트펌프시스템의 증발기의 내부를 경유하여 증발기내의 냉매라인과 열교환을 하는 부동액라인과, 상기 부동액라인과 열교환을 하는 냉수라인이 추가로 구비되므로서, 히트펌프를 사용하는 곳에서 별도의 냉동시스템을 구비하지 않고도 냉수를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히트펌프, 열량흡수, 프레온, 열원, 에너지, 냉수생성, 증발기

Description

냉수생성장치를 갖는 히트펌프시스템{HEAT PUMP SYSTEM CREATING COLD-WATER}
도1은 종래기술에 있어서 히트펌프시스템 개략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냉수생성장치를 갖는 히트펌프시스템 개략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냉수생성장치를 갖는 히트펌프시스템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압축기 20. 응축기 22. 보조탱크
24. 온수탱크 30. 팽창변 40. 증발기
42. 팬 50. 제2응축기 60. 액열기
62. 센서 70. 냉수 열교환기 72. 부동액라인
74. 냉수라인 76. 냉수탱크
본 발명은 냉수생성장치를 갖는 히트펌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축기 --> 응축기 --> 팽창변 --> 증발기 --> 압축기로 이루어지는 히트펌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의 내부를 경유하며, 증발기내의 냉매라인과 열교환을 하는 부동액라인과, 상기 부동액라인과 열교환을 하는 냉수라인을 포함하는 냉수생성장치를 갖는 히트펌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히트펌프를 사용하는 곳에서 별도의 냉동시스템을 구비하지 않고도 냉수를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냉수생성장치를 갖는 히트펌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1은 통상적인 종래의 히트펌프시스템이다.
도1을 살펴보면, 히트펌프시스템에서 냉매는 압축기(10), 응축기(20), 팽창변(30), 증발기(40)를 경유하여 다시 압축기(10)로 인입되는 과정을 거친다.
압축기(10)에서는 냉매를 압축하여야 하므로 압축모타를 구동하기 위하여 전기가 소비되고, 증발기(40)에서는 외부의 열을 공급하기 위하여 팬(42)을 설치하여야 하며 외부공기를 불어넣기 위해 팬(42)을 돌릴 때 전기가 소비된다.
한편, 압축기(10)를 거친 과열증기는 열교환기인 응축기에서 액상으로 전환되어 잠열을 방출하고, 응축기(20)를 경유하는 온수라인과 열교환 되면서 열교환 된 뜨거운 물이 온수탱크에 채워지며, 보조탱크(22)는 온수라인과 연결되거나 원수인 수도관에 직접연결될 수 있다.
이같은 종래의 증발기(40)는 그 온도가 0 ~ 5℃임에도 불구하고, 외부에서 공기를 불어넣어 증발기(40)의 온도를 높이려고만 할 뿐, 증발기(40)의 낮은 온도를 이용하고자 하는 시도는 찾아보기 힘들었을 뿐 아니라 증발기(40)의 낮은 온도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냉수라인이 동결되어 시스템의 작동이 정지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삭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히트펌프시스템의 증발기의 내부를 경유하며, 증발기내의 냉매라인과 열교환을 하는 부동액라인과, 상기 부동액라인과 열교환을 하는 냉수라인을 포함하는 냉수생성장치를 갖는 히트펌프시스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냉수생성장치를 갖는 히트펌프시스템은, 증발기로부터 전달된 건조포화증기상태의 냉매를 고온의 포화증기상태로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전달된 냉매를 액상으로 상변환시켜 응축하면서 외부와 열교환을 이루도록 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를 거친 냉매를 팽창시켜 습증기로 변환시키는 팽창변과, 상기 팽창변을 경유한 냉매를 증발시켜 건조포화증기상태로 변환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 내부를 경유하면서 증발기내의 냉매라인과 열교환을 하는 부동액라인과, 상기 부동액라인과 열교환을 하는 냉수라인을 포함한다.
상기 부동액라인은 상기 냉수라인의 상태에 따라 순환속도가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동액라인은 상기 냉수라인의 냉수속도가 일정속도 이하이면 부동액의 순환이 정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냉수생성장치를 갖는 히트펌프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2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냉수생성장치를 갖는 히트펌프시스템은, 압축기(10), 응축기(20), 보조탱크(22), 온수탱크(24), 팽창변(30), 증발기(40), 냉각팬(42), 냉수 열교환기(70), 부동액라인(72), 냉수라인(74), 냉수탱크(76)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히트펌프시스템에서 냉매는 압축기(10), 응축기(20), 제2응축기(50), 팽창변(30), 증발기(40)를 경유하여 다시 압축기(10)로 인입되는 과정을 거친다.
본 발명에서 냉매는 R22프레온가스를 사용한다.
상기 압축기(10)에서는 증발기(40)로부터 전달된 건조포화상태의 냉매를 압축하여 과열증기상태로 전환 시킨다.
상기 압축기(10)를 거친 과열증기는 열교환기인 응축기(20)에서 액상으로 전환되어 잠열이 방출되면서, 응축기(20)를 경유하는 온수라인과 열교환 되어 열교환된 뜨거운 물이 온수탱크에 채워지게 되고, 보조탱크(22)는 온수라인과 연결되거나 원수인 수도관과 직접연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응축기(20)는 판형 열교환기를 사용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열교환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응축기(20)를 경유한 냉매는 팽창변(30)으로 인입되며 습증기로 변환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팽창변(30)의 전단계에 경유하는 냉매 중 액상으로 변환되지 않은 것을 액상으로 변환시키는 수액기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액기는 응축기(20)의 출구의 라인을 증발기(40)를 경유하도록 하므로써 온도를 낮추어 기체상태의 냉매를 액체상태로 바꾼다.
상기 팽창변(30)을 경유한 습증기상태의 냉매는 증발기(40)로 인입된다.
여기서 증발기(40)로 인입된 습증기는 순간적으로 -20 ~ -30℃로 온도가 급강하 하면서 외부와 열교환되어 온도가 상승한다.
순간적인 온도강하를 고려하지 않고 외적인 부분만 살펴보면, 팬(42)에 의한 바람에 의해 증발기(40)로 인입되는 대략 15℃의 저온저압습증기는 증발기(40)를 경유하여 0~5℃의 저온저압건조포화증기로 변환된다.
상기 증발기(40)를 경유한 저온저압 건조포화증기는 상기 압축기(10)로 인입되며, 새로운 사이클을 형성한다.
상기 증발기(40)에는 별도의 부동액라인(72)이 설치되어 부동액라인(40)의 내부에는 부동액으로 채워져 있다.
상기 증발기(40)내부를 경유하는 냉매라인의 외부는 0 ~ 5℃ 또는 영하로 내려가므로 증발기(40)내부에 통상의 냉수라인이 경유하는 경우 냉수라인은 동파되므로 부동액라인(40)을 경유시킨다.
상기 부동액라인(72)은 외부로 인출되어 별도의 냉수 열교환기(70)로 인입되어 폐회로를 형성한다.
상기 냉수 열교환기(70)의 다른 측면에는 냉수라인(74)이 경유되면서 냉수라인(74)은 원수로부터 물이 공급된다.
상기 냉수 열교환기(70)의 냉수라인을 경유하여 냉수가 된 물은 냉수탱크(76)로 유입되며, 이때 냉수탱크(76)의 물은 그 온도에 따라 냉수라인(74)으로 재유입되기도 한다.
상기 냉수라인(74)에 물이 흐르지 않으면 부동액라인(72)의 온도까지 떨어져 냉수라인(74)이 동파될수 있으므로, 냉수라인(74)에 물이 흐르지 않거나 일정속도 이상이 되지 않으면 부동액라인(72)은 그 흐름이 정지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냉수생성장치를 갖는 히트펌프시스템 개략도이다.
도3이 도2와 다른 점은 본 발명의 특징인 증발기(40)의 구조보다는 히트펌프시스템에서의 차이이며, 이를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응축기(20)를 거친 냉매가 제2응축기(50)를 거치게되고, 이같은 제2응축기(50)는 코일형응축기를 사용한다.
상기 제2응축기(50)는 응축기(20)을 거친 냉매로부터 추가적으로 열원을 뽑기 위한 것으로 상기 코일형응축기를 증발기(40)에 위치시켜 목적을 달성한다. 한편, 제2응축기(50)에서 생성된 열은 증발기(40)의 열원으로 사용된다.
상기 제2응축기(50)를 경유한 냉매는 팽창변(30)으로 인입된다.
이때 외기의 온도가 5℃이하 또는 영하로 떨어지는 경우에는, 증발기(42)를 경유한 저온저압 건조포화증기의 온도는 0~5℃보다 낮게 되며, 온도가 낮은 냉매가 압축기(10)로 인입되면 압축기(10)의 출구의 온도가 낮아 응축기(20)에서 온수의 온도를 제대로 높일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응축기(20) 또는 제2응축기(50)의 출구에서 냉매를 소량 인출하여 압축기(10)의 입구로 주입시키는 액열기(60)를 개재시키므로써, 압축기(10)로 인입되는 저온저압 건조포화증기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상기 액열기는 필요에 따라 응축기(20) 또는 제2응축기(50)의 출구에서 인출하는 냉매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밸브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액열기(60)의 밸브는 압축기(10)의 출구에 장착된 센서(62)에서 검출된 냉매의 온도에 따라 개폐 또는 개폐의 정도가 조절된다. 액열기(60)에 의해 압축기(10)의 출구로 나오는 냉매의 온도를 조절하여 적절한 온도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도3의 증발기(40)를 경유하는 부동액라인(72), 냉수열교환기(70), 냉수라인(74), 냉수탱크(76) 등은 도2와 동일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히트펌프시스템의 증발기의 내부를 경유하여 증발기내의 냉매라인과 열교환을 하는 부동액라인과, 상기 부동액라인과 열교환을 하는 냉수라인이 추가로 구비되므로서, 히트펌프를 사용하는 곳에서 별도의 냉동시스템을 구비하지 않고도 냉수를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냉수생성장치를 갖는 히트펌프시스템에 있어서,
    하기 증발기로부터 전달된 건조포화증기상태의 냉매를 고온의 포화증기상태로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전달된 냉매를 액상으로 상변환하여 응축시키며 외부와 열교환을 이루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를 거친 냉매를 팽창시켜 습증기로 변환시키는 팽창변과,
    상기 팽창변을 경유한 냉매를 증발시켜 건조포화증기상태로 변환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 내부를 경유하며, 증발기내의 냉매라인과 열교환을 하는 부동액라인과,
    상기 부동액라인은 상기 냉수라인의 상태에 따라 순환속도가 제어되면서, 부동액라인과 열교환을 하는 냉수라인을 포함하는 냉수생성장치를 갖는 히트펌프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040061236A 2004-08-03 2004-08-03 냉수생성장치를 갖는 히트펌프시스템 KR100612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1236A KR100612623B1 (ko) 2004-08-03 2004-08-03 냉수생성장치를 갖는 히트펌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1236A KR100612623B1 (ko) 2004-08-03 2004-08-03 냉수생성장치를 갖는 히트펌프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2522A KR20060012522A (ko) 2006-02-08
KR100612623B1 true KR100612623B1 (ko) 2006-08-14

Family

ID=37122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1236A KR100612623B1 (ko) 2004-08-03 2004-08-03 냉수생성장치를 갖는 히트펌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26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476B1 (ko) * 2007-04-24 2008-11-27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빙축열 방식 냉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2522A (ko) 2006-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62557B2 (ja) 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
CN107014015B (zh) 热回收型蒸发冷凝式冷水机组
PT1488080E (pt) Central eléctrica para a produção de frio
CN104374117B (zh) 冷水机组及控制方法
US11293666B2 (en) Superhigh temperature heat pump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preparing boiling water not lower than 100° C
CN103836847A (zh) 制冷循环装置和具备该制冷循环装置的热水生成装置
KR100914776B1 (ko) 냉난방 겸용 냉온수 생산 장치
KR100764408B1 (ko) 발전랭킨사이클을 활용한 변압기 냉각장치
KR20100027353A (ko) 냉장냉동장치
KR100991843B1 (ko) 공기압축기 폐열 회수장치
KR100661676B1 (ko) 히트펌프를 이용한 폐열회수시스템
KR100612623B1 (ko) 냉수생성장치를 갖는 히트펌프시스템
KR100389270B1 (ko) 히트 펌프식 온수 가열장치
KR100859354B1 (ko) 보텍스 튜브를 이용한 증기 압축식 냉동장치
KR101584607B1 (ko) 응축능력이 향상된 에너지 절약형 냉동·냉장 장치
JP5571978B2 (ja) 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
CN104214984B (zh) 一种自复叠式能源塔热泵系统
KR100952714B1 (ko) 자연냉매를 이용한 냉동, 냉장 및 냉방, 난방, 급탕 일체형 공기조화 시스템
CN207815502U (zh) 一种双级蒸发双级冷凝热泵除湿系统
KR20130036471A (ko) 냉동 고추 건조를 위한 냉풍 제습 건조기
CN206771609U (zh) 溴化锂吸收式风冷冷风太阳能空调机组
KR100867272B1 (ko) 볼텍스튜브 냉방시스템
KR100574418B1 (ko) 히트펌프시스템
KR100389269B1 (ko) 히트 펌프 시스템
Abd-Elhady et al. Increasing the cooling rate of the vapor compression cycle by hea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