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2603B1 - 발광소자 점멸장치 - Google Patents

발광소자 점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2603B1
KR100612603B1 KR1020040092239A KR20040092239A KR100612603B1 KR 100612603 B1 KR100612603 B1 KR 100612603B1 KR 1020040092239 A KR1020040092239 A KR 1020040092239A KR 20040092239 A KR20040092239 A KR 20040092239A KR 100612603 B1 KR100612603 B1 KR 100612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emitting
emitting device
sensor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2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5194A (ko
Inventor
김우영
Original Assignee
김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우영 filed Critical 김우영
Priority to KR1020040092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2603B1/ko
Publication of KR20060045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5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2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2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21V23/007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enclosed in a ca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otometry And Measurement Of Optical Pulse Characteri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면이 개방된 케이싱(1)과,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21)가 관통하여 밀폐고정되며 상기 케이싱(1)에 결합되는 상부캡(2)과, 상기 케이싱(1)에 삽입되며 수광창이 상기 광섬유(21)의 단부의 직하부에 형성되는 광감지 센서(31)가 상기 광섬유(21)를 투과한 빛만을 수광하여 감지하며, 상기 광감지 센서(31) 및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32)가 기판에 장착되고, 상기 상부캡(2)에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형성되어, 상기 개구를 관통하여 상기 발광소자(32)가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기판에는 상기 광감지 센서(31)의 광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발광소자의 점멸이 제어되도록 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회로가 장착되어, 상기 광감지 센서의 광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발광소자의 점멸이 제어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를 점멸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감지 센서, 광섬유, 발광소자

Description

발광소자 점멸장치{The light flicker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싱 11 : 결합턱 2 : 상부캡
21 : 광섬유 22 : 결합홈 31 : 광감지 센서
32 : LED발광소자 33 : EL발광소자 4 : 전원부
41 : 전지
본 발명은 광섬유를 이용한 광센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여러 방향에서의 빛에 보다 정확하게 반응하고 일정 강도 이상의 빛에는 발광장치가 점등하도록 하여 알람용 또는 완구용으로 사용범위를 넓히기 위하여 개발된 발광소자 점멸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TV의 전면에 광감지센서가 장착되어 노출광이 강할 경우 화면을 어둡게 또 노출광이 약할 경우 화면을 밝게 하는 광감지센서의 적용 예를 접해본 사람이 많을 것이다. 이러한 광감지센서의 활용은 일반 가전 제품에서 산업용 기계에 이르기 까지 그 적용 예는 넓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광감지센서의 측정 범위는 상기 광감지센서가 노출된 부분에만 한정되어 여러 방향에서의 빛 감지를 하기 위해서는 복수 개의 광감지센서가 장착되어야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빛의 방향성에도 불구하고 주변의 광도에 따라 정확한 감도 수치를 나타낼 수 있는 광감지센서를 이용하는 발광소자 점멸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하나의 광감지센서에서 여러 곳에서의 빛을 측정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광감지 센서가 외부에 직접 노출되지 않고 광섬유를 통해 유도되는 빛을 수광하여 일정 강도 이상 또는 이하의 빛이 감지되는 경우 발광소자가 점멸되게 함으로써 광섬유의 갯수 등에 의하여 반응 감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한편, 임계수치 이상의 빛의 노출에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확인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광센서 장치에 있어서, 상면이 개방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결합되는 상부캡과, 상기 상부캡을 관통하여 밀폐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와, 상기 케이싱에 삽입되며 수광창이 상기 광섬유의 단부의 직하부에 형성되는 광감지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광감지 센서가 상기 광섬유를 통해 상기 케이싱 내로 유입되는 빛만을 수광하여 감지하는 광센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면이 개방된 케이싱(1)과,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21)가 관통하여 밀폐고정되며 상기 케이싱(1)에 결합되는 상부캡(2)과, 상기 케이싱(1)에 삽입되며 수광창이 상기 광섬유(21)의 단부의 직하부에 형성되는 광감지 센서(31)가 상기 광섬유(21)를 투과한 빛만을 수광하여 감지하며, 상기 광감지 센서(31) 및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32)가 기판에 장착되고, 상기 상부캡(2)에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형성되어, 상기 개구를 관통하여 상기 발광소자(32)가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기판에는 상기 광감지 센서(31)의 광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발광소자의 점멸이 제어되도록 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회로가 장착되어, 상기 광감지 센서의 광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발광소자의 점멸이 제어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를 점 멸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복수의 발광소자를 포함하여 상기 광감지 센서에서 일정 강도 이상의 빛이 감지되면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가 돌아가면서 점멸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1)의 상면 개방된 모서리에는 복수의 결합턱(11)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캡(2)에는 상기 결합턱에 상응하는 부분에 내측으로 일부 절개되고 상부로 홈이 형성되는 결합홈(22)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턱과 상기 결합홈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케이싱과 상기 상부캡이 결합되며, 상기 기판에는 전지소켓부가 결합되어 상기 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지를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해결합도이다.
케이싱(1)의 상면 개방된 모서리에는 복수의 결합턱(11)이 형성되고 상부캡(2)은 개방된 상부에 상응하여 상기 결합턱(11)에 의하여 결합된다. 결합턱(11)은 원통형으로 형성된 상기 케이싱(1)의 상부 끝단에 일정 간격 절개되고 내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안정된 상부캡(2)의 고정을 위하여 세 개 이상 형성함을 일 실시예로 제시하였다.
또한 상기 상부캡(2)에는 안정된 결합을 위하여 상기 결합턱에 상응하는 부분은 내측으로 일부 절개되고 상부로 홈이 형성되는 결합홈(2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으로 조립 결합되는 상부캡 및 케이싱의 내부에는 광감지 센서가 내장된다. 광감지센서의 수광창은 상부캡을 향하며 광섬유(21)의 하부 끝단 지점에 배치된다. 상부캡은 불투명 재질로 구성되고 광섬유는 상부캡을 관통하나 밀폐 처리되어 관통된다. 따라서 수광창으로 입사하는 빛은 광섬유를 통과한 빛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광감지센서(31)는 외부에 직접 노출되지 않는다. 빛은 광섬유(21)을 통하여 상부캡 아래의 수광창까지 진입하여 상기 광감지센서(31)에서 감지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부 캡을 관통하는 광섬유의 끝단 부근에 수광창이 형성되는 광감지 센서는 기판에 장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도 기판에 장착된다. 한편, 상부캡(2)에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형성되어, 개구를 관통하여 발광소자(32)가 외부로 노출된다.
한편 기판에는 센서(31)의 광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발광소자의 점멸이 제어되도록 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회로가 장착되어, 광감지 센서의 광감지 신호에 따라 발광소자의 점멸이 제어되게 구성된다. 광감지센서는 제어부에 연결되어 광감지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하며 이를 통해 일정 강도 이상의 빛이 감지되거나 일정 강도 이하의 빛이 감지되는 경우 발광소자가 점멸하도록 기판에 장착된 마이크로 콘트롤러 회로에서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강도가 일정량 이상의 임계수치에 도달하면 발광소자가 점등하여 사용자에게 인지될 수 할 수 있으며, 이는 각종 산업용 기기 뿐만 아니라 아동용 장난감에도 그 사용예를 넓힐 수 있을 것이며, 상기 발광소자(32) 뿐만 아니라 특정 멜로디가 울리도록 하여 인지의 수단이나 또는 유희용 장난감으로서의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즉 일정량 이상의 빛이 노출되면 안되는 각종 음식물과 화합물 등의 제조 또는 보관하는 곳에서 이러한 광감지센서를 장착하여 상기 발광소자(32)의 점등으로 또는 특정 소리의 발진으로 이를 인지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본 고안에 따른 물품은 별도의 전원이 필요 없으므로 원하는 위치에 하나 이상 장착 또는 배치하는 것 만으로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발광소자, 광감지 센서 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지(41)가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에 전지소켓부(4)에 의하여 결합되어 케이싱 내부에 내장됨으로써 별도로 외부의 전원장치와의 연결 없이 본 발명의 케이싱 만으로 자체적으로 발광소자의 점멸이 이루어질 수 있어서 편리하다.
또한 상기 발광소자(32)는 전력의 소모가 적고 소형으로의 제작이 용이한 LED 발광소자(32)를 형성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제시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념도로서, 광섬유(21)를 외부로 길게 더듬이와 같은 형태로 노출시킬 경우 광섬유(21)의 끝단에서 빛이 수용되어 광감지센서(31)에 인접한 타측 끝단까지 도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광감지센서(31)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광섬유의 단면만 노출이 되어도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심플한 모던디자인의 인기가 급상승하고 있는 상황에서 전자제품에서의 다양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복수개의 광섬유를 장착할 경우 더 많은 빛을 수용할 수 있어 감지를 더욱 민감하게 하기 위해서 광섬유의 수를 조절 할 수도 있으며, 연결되는 광섬유를 각기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여 각방향으로부터의 빛을 통합하여 평균적인 수치에서 반응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로서, 상기 광감지 센서(31)의 상면에 하나 이상 장착되고 상기 상부캡(2)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EL발광소자 (33)가 형성되어 일정 이상의 빛이 감지되면 점등하도록 상기 광감지 센서(31)에서 제어하도록 하는 실시예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상기 EL발광소자(33)는 전력의 소모가 극히 적고 평면으로 이루어져 발광한다는 특징으로 가지고 있으므로 특정 문자나 기호의 형태로 제작하여 발광하도록 하는 실시예의 적용이 용이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개의 광섬유로 빛의 방향성에도 불구하고 주변의 광도에 따라 정확한 감도 수치를 나타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광감지센서로 여러 곳에서의 빛을 측정하여 평균적인 수치에서 반응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광감지 센서가 외부에 직접 노출되지 않고도 빛을 감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임계수치 이상의 빛의 노출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발광소자를 점멸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면이 개방된 케이싱(1)과,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21)가 관통하여 밀폐고정되며 상기 케이싱(1)에 결합되는 상부캡(2)과,
    상기 케이싱(1)에 삽입되며 수광창이 상기 광섬유(21)의 단부의 직하부에 형성되는 광감지 센서(31)가 상기 광섬유(21)를 투과한 빛만을 수광하여 감지하며,
    상기 광감지 센서(31) 및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32)가 기판에 장착되고,
    상기 상부캡(2)에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형성되어,
    상기 개구를 관통하여 상기 발광소자(32)가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기판에는 상기 광감지 센서(31)의 광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발광소자의 점멸이 제어되도록 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회로가 장착되어, 상기 광감지 센서의 광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발광소자의 점멸이 제어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를 점멸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회로는 상기 광감지 센서에서 일정 강도 이상의 빛이 감지되면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가 돌아가면서 점멸되게 하는 회로임을 그 특징 으로 하는 발광소자를 점멸하는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의 상면 개방된 모서리에는 복수의 결합턱(11)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캡(2)에는 상기 결합턱에 상응하는 부분에 내측으로 일부 절개되고 상부로 홈이 형성되는 결합홈(22)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턱과 상기 결합홈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케이싱과 상기 상부캡이 결합되며,
    상기 기판에는 전지소켓부가 결합되어 상기 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지를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를 점멸하는 장치.
KR1020040092239A 2004-11-12 2004-11-12 발광소자 점멸장치 KR100612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2239A KR100612603B1 (ko) 2004-11-12 2004-11-12 발광소자 점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2239A KR100612603B1 (ko) 2004-11-12 2004-11-12 발광소자 점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5194A KR20060045194A (ko) 2006-05-17
KR100612603B1 true KR100612603B1 (ko) 2006-08-14

Family

ID=37149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2239A KR100612603B1 (ko) 2004-11-12 2004-11-12 발광소자 점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260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3973A (ja) * 1992-12-28 1994-07-22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照明器具および照度低下検出装置
JPH10302967A (ja) 1997-04-22 1998-11-13 Mitsubishi Electric Corp 照明制御システム
JP2000077193A (ja) 1998-08-28 2000-03-14 Nissei Denki Kk 光源装置
JP2004213932A (ja) 2002-12-27 2004-07-29 Daiwa House Ind Co Ltd 照明の点灯消灯チェック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3973A (ja) * 1992-12-28 1994-07-22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照明器具および照度低下検出装置
JPH10302967A (ja) 1997-04-22 1998-11-13 Mitsubishi Electric Corp 照明制御システム
JP2000077193A (ja) 1998-08-28 2000-03-14 Nissei Denki Kk 光源装置
JP2004213932A (ja) 2002-12-27 2004-07-29 Daiwa House Ind Co Ltd 照明の点灯消灯チェック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5194A (ko) 200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98137B (zh) 用於攀岩的岩點以及攀岩系統
GB2453902A (en) A sensor with selectable sensing orientation used for controlling an electrical device
BR0211812A (pt) detecção e controle de pragas
JP6242499B2 (ja) 蛍光時間表示の目盛り盤を有する腕時計
CN110770802A (zh) 传感器组件和包括这种传感器组件的设备.
TW201326766A (zh) Led亮度檢測系統
CN105191891B (zh) 一种防盗竿的钓鱼报警组件
KR100612603B1 (ko) 발광소자 점멸장치
CN204994456U (zh) 防盗竿的钓鱼报警组件
JP2009027330A (ja) 光電センサ
WO2018068679A1 (zh) 一种触摸按键装置及触摸设备
EP3498093B1 (en) A fishing appliance and a fishing accessory
WO2020238117A1 (zh) 探头结构及体温计
TWI266037B (en) A non-contact type electronic level sensor
CN211697618U (zh) 一种凝露检测装置
EP3498095B1 (en) A fishing line motion sensor
KR102203723B1 (ko) 의류고정장치, 변색검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환경요인 검출장치
KR100881645B1 (ko) 레이저 포인터를 이용한 말하는 학습 장치
CN207396978U (zh) 一种曲面自发光电子钟
CN214538267U (zh) 一种带照明的枪式额温计
CN211124304U (zh) 一种光电式感烟探测器
CN211786094U (zh) 一种带多彩功能指示功能的超声波测距模块
TWI399526B (zh) Computer peripherals with distance warnings and their distance warning methods
JP3259306B2 (ja) 表示装置
JP2001101542A (ja) 光電式煙感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