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2575B1 - 광 도관용 전반사 필름 - Google Patents

광 도관용 전반사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2575B1
KR100612575B1 KR1020040064183A KR20040064183A KR100612575B1 KR 100612575 B1 KR100612575 B1 KR 100612575B1 KR 1020040064183 A KR1020040064183 A KR 1020040064183A KR 20040064183 A KR20040064183 A KR 20040064183A KR 100612575 B1 KR100612575 B1 KR 100612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sm
total reflection
light
lenticular lens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4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5817A (ko
Inventor
변석주
Original Assignee
(주)인사이드옵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사이드옵틱스 filed Critical (주)인사이드옵틱스
Priority to KR1020040064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2575B1/ko
Publication of KR20060015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5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2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2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2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prismatic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5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arranged along a single direction only, e.g. lenticula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25Diffusing sheet or layer; Prismatic sheet or layer

Abstract

본 발명은 점 광원을 선 또는 면 광원으로 바꾸어주는 조명 시스템에 사용 되어지는 전반사 필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반사 필름의 일면은 형상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형상면은 프리즘의 꼭지각 부분이 복수개의 작은 프리즘이나 복수개의 렌티큘러렌즈 형상 또는 복수개의 프리즘 형상과 복수개의 렌티큘러렌즈 형상이 함께 존재하는 단위 형상이 복수개의 선형 배열을 가지며 반대면은 컬링된 구조를 가지는 필름이며, 본 발명에 따른 전반사 필름은 광 도관 시스템의 용도에 따라 상기 단위 형상에서 프리즘이 이루는 각도와 작은 프리즘의 꼭지각 또는 렌티큘러렌즈의 곡률반경을 조절함으로써 종래의 기술로는 반드시 내부 확산판을 사용해야만 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응용 제품에 따라 내부 확산판을 사용하지 않고도 균일하고 밝은 조명의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반사 필름, 광 전송도관, 프리즘, 렌티귤러렌즈, 전반사 임계각.

Description

광 도관용 전반사 필름 {Optical Lighting Film for LightPipe System}
[도1]은 기존 기술에 의한 전반사 필름의 구조이고,
[도2]는 [도1]의 기존 기술의 전반사 필름으로 구성한 광 도관 시스템이며,
[도3]은 [도2]의 시스템에서 추출되어 나오는 빛의 세기를 광 도관의 길이 방향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전반사 필름의 응용 예이고,.
[도5]는 [도4]로 구성한 광 도관 시스템에서 추출되어 나오는 빛의 세기를 광 도관의 길이 방향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전반사 필름의 또 다른 응용 예이고,
[도7]은 [도6]으로 구성한 광 도관 시스템에서 추출되어 나오는 빛의 세기를 광 도관의 길이 방향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전반사 필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면은 형상면으 로 이루어지며, 상기 형상면은 프리즘의 꼭지각 부분이 복수개의 작은 프리즘이나 복수개의 렌티큘러렌즈 형상 또는 복수개의 프리즘 형상과 복수개의 렌티큘러렌즈 형상이 함께 존재하는 단위 형상이 복수개의 선형 배열을 가지며 반대면은 컬링된 구조를 가지는 필름이며, 이를 이용하여 광 도관을 제조하면 응용 시스템의 종류에 따라 내부 확산판을 쓰지 않고도 밝기와 균일도가 대폭적으로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내부 전반사의 원리를 이용한 광학부품 및 광학계 중에서 대표적인 것으로는 직각 프리즘, 루프 프리즘, 펜타 프리즘, 광통신용 광섬유 등이 있다. 내부 전반사란 굴절률이 큰 밀한 매질에서 굴절률이 작은 소한 매질로 빛이 진행할 때 입사각이 특정 임계각에 도달하면 굴절각이 90°가 되어 특정 임계각보다 큰 각으로 입사하는 빛은 전반사되는 원리를 말하며, 이 때 특정 임계각은 빛의 파장과 매질의 굴절률에 따라 결정된다.
즉,굴절률이 n 인 밀한 매질에서 굴절률이 n′인 소한 매질로 빛이 입사각 i로 입사하였을 때 굴절각이 90°가 된다면, 이 때의 입사각 i는 전반사 임계각이며 그 값은 다음의 수학식 1로부터 유도된 수학식 2와 같다.
n sin(i) = n′sin(90°)
i = sin(n′/n)
상기 수학식 1은 스넬의 굴절 법칙을 나타내며, 수학식 2의 전반사 임계각 i 보다 큰 각도로 입사되는 빛은 밀한 매질로 다시 반사되며, 그 반사된 빛의 반사각은 입사된 빛의 입사각과 그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이게 된다.
이 때 두 매질의 경계면인 전반사면을 제 1 전반사면이라 하고 이와 직각을 이루는 제2 전반사면이 존재한다면, 제 1 전반사면에서 전반사된 빛은 제 2 전반사면에서 한번 더 전반사되어 결과적으로 입사한 빛의 정반대 방향으로 빛이 반사된다.상기한 바와 같이, 임계각보다 큰 각으로 입사된 빛은 전반사되고 임계각보다 작은 각으로 입사된 빛은 투과되며,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집광기, 거울, 조명기구 등을 만들기도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원리를 이용한 종래기술 중에서 미국 특허 제4,906,070 호는 이등변의 직각 전반사면을 갖는 전반사 유연성 필름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의 전반사면은 이등변의 직각 프리즘이 선형 배열된 것으로, 이러한 필름을 광 전달 매체인 광 전송도관으로 구성하고 광 전송도관의 선단부에 램프를 설치한 경우, 이론적으로 관의 내부를 마치 광통신용 광 섬유 속의 빛이 전반사를 반복하며 전달 되듯이 빛이 누출 없이 관의 길이방향으로 전달되게 된다. 따라서 종래기술을 적용한 광 전송도관에서는 빛의 효율적인 추출을 위해서 반드시 광 전송도관 내부에 관의 길이방향으로 확산면적을 달리하는 확산판을 설치하여야만 한다.
그러나, 이러한 확산판을 설치한 경우에도 관의 길이방향에 대해 균일하고 밝은 광 분포를 얻기 힘들며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 관의 길이 방향으로 비대칭적인 광 분포를 얻게 된다.
또한 이러한 요구 사항은 전체 시스템을 구성함에 있어서 많은 제약을 초래하며 작업성을 떨어뜨리게 되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광 전달 및 추출 특성을 조절하여 기존의 내부 확산판을 설치하여 구성되는 광 도관 시스템에의 적용은 물론이고 내부 확산판을 사용하지 않는 광 도관 시스템의 구성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반사 필름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반사 필름은, 일면은 평평하고 다른 일면은 형상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형상면은 큰 프리즘의 꼭지각 부분이 복수개의 작은 프리즘이나 복수개의 렌티큘러렌즈 또는 복수개의 프리즘 형상과 복수개의 렌티큘러렌즈 형상이 함께 존재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단위 형상이 복수개의 선형 배열된 구성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전반사 필름을 이용하여 제조된 광 전송도관은, 전반사 필름을, 평평한 일면을 내면으로 하고 외면에는 상기 기술한 단위형상이 원통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원통 형태의 관으로 만듦으로써, 소정 각도로 관의 내부로 입사하는 광이 관을 따라 이동하면서 광의 전달과 추출이 동시에 일어나는 광도관이다.
이때, 전달과 추출의 정도는 단위 형상의 큰 프리즘의 가상의 꼭지각과 큰 프리즘의 가상의 꼭지각에 위치한 작은 프리즘들의 개수 및 작은 프리즘 꼭지각 또는 렌티큘러렌즈의 개수 및 곡률반경으로 조절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예로 [도1]은 기존의 기술과 마찬가지의 목적으로 최대의 전달 효율 만을 위한 구성으로 [도2]는 [도1]로 내부 확산판 없이 구성된 광도관 시스템으로부터 나오는 길이 방향의 빛의 세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6]의 그래프와 마찬가지로 길이 방향으로 빛이 빠져 나가지 못함을 관찰 할 수 있고, 또한 꼭지각 부분의 효율적인 전반사 효과로 광도관의 끝단의 전달된 빛의 세기는 기존 기술에 의해서 구현된 경우보다 좀더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응용 예인 [도3]은 내부 확산판이 없이 전체 길이 방향으로 빛이 균일하게 추출되게 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4]는 내부 확산판 없이 구성된 광도관 시스템으로부터 나오는 길이 방향의 빛의 세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4]의 그래프에서 알 수 있듯이 내부 확산판을 쓰지 않고도 본 발명에 의한 광도관 시스템에서는 시스템 전체 길이 방향으로 균일한 분포의 빛이 추출됨을 알수 있다.
[도5]는 기존 기술에 의한 전반사 필름이며 [도6]은 이를 이용한 내부 확산판 없이 구성된 광도관 시스템으로부터 나오는 길이 방향의 빛의 세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와 같이 광도관 시스템을 구성하여 비교 실험함에 있어서 내부 확산판을 쓰지 않은 이유는 내부 확산판은 응용시스템에 따라 그 모양과 물성을 조절해야 하기 때문에 객관적인 비교를 위한 조건으로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즉 상기 모든 비교는 동일한 구성의 광도관 시스템임을 재차 강조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리즘 꼭지각 부분이 복수개의 작은 프리즘 및 렌티큘러 렌즈의 조합으로 구성되고 이들의 반복 배열로 구성된 전반사 필름을 이용하여 제조된 광도관은 종래기술에서 반드시 요구되어지는 내부 확산판을 사용하지 않고도 균일한 밝기를 나타내는 조명을 얻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하나의 특정한 실시예를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투명한 중합체 물질로 이루어지며 일면은 형상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형상면은 프리즘의 꼭지각 부분이 복수개의 작은 프리즘이나 복수개의 렌티큘러렌즈 형상 또는 복수개의 프리즘형상과 복수개의 렌티큘러렌즈 형상이 함께 존재하는 단위 형상이 복수개의 선형 배열을 가지며 반대면은 컬링된 구조를 가지는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투명 중합체로 사용 되어지는 물질 내에 광 확산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광학적 굴절률이 상이한 입자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3. 제 1항에 있어서, 투명 중합체 물질이 폴리카보네이트(PC) 또는 아크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KR1020040064183A 2004-08-16 2004-08-16 광 도관용 전반사 필름 KR100612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4183A KR100612575B1 (ko) 2004-08-16 2004-08-16 광 도관용 전반사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4183A KR100612575B1 (ko) 2004-08-16 2004-08-16 광 도관용 전반사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5817A KR20060015817A (ko) 2006-02-21
KR100612575B1 true KR100612575B1 (ko) 2006-08-11

Family

ID=37124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4183A KR100612575B1 (ko) 2004-08-16 2004-08-16 광 도관용 전반사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25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73311A1 (en) * 2007-12-07 2009-06-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icroreplicated films having diffractive features on macro-scale featur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4933B1 (ko) * 2019-12-13 2021-07-08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다이아몬드 질소 공석 자기장 센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2635A (ja) * 1992-07-07 1994-03-25 Sekisui Chem Co Ltd 面光源装置
US5851062A (en) 1995-08-11 1998-12-22 Omron Corporation Prism sheet for surface light source
JP2001004814A (ja) 1999-06-17 2001-01-12 Dainippon Printing Co Ltd プリズムシート、その成形型及びその成形型の製造方法
KR100373208B1 (ko) 1999-10-13 2003-02-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반사 필름
KR20040062287A (ko) * 2003-01-02 2004-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리즘시트 및 이를 사용하는 액정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2635A (ja) * 1992-07-07 1994-03-25 Sekisui Chem Co Ltd 面光源装置
US5851062A (en) 1995-08-11 1998-12-22 Omron Corporation Prism sheet for surface light source
JP2001004814A (ja) 1999-06-17 2001-01-12 Dainippon Printing Co Ltd プリズムシート、その成形型及びその成形型の製造方法
KR100373208B1 (ko) 1999-10-13 2003-02-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반사 필름
KR20040062287A (ko) * 2003-01-02 2004-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리즘시트 및 이를 사용하는 액정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73311A1 (en) * 2007-12-07 2009-06-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icroreplicated films having diffractive features on macro-scale feat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5817A (ko) 2006-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6995B2 (en) Backlight assembly with thin film light pipe
KR100964780B1 (ko) 도광필름
US8162504B2 (en) Reflector and system
US9322970B2 (en) Optical system for coupling light from point light sources into a flat light guide
JP5859585B2 (ja) 発光装置のための光取り出し構造
US9097826B2 (en) Collimating illumination systems employing a waveguide
CN101655213A (zh) 发光二极管光源模组
US7581850B2 (en) Light guide plate and backlight module using the same
KR20040070843A (ko) 광유도부가 구비된 도광판
CA2345345A1 (en) Illumination system having an array of linear prisms
JP2010282962A (ja) 光をコリメートする導光体、導光体のコリメーション改善方法、バックライト、及び表示装置
US20090128740A1 (en) Diffuser plate, backlight and display having the same
KR20200138758A (ko) 쐐기형 도광체
US20130100657A1 (en) Planar illuminating device
KR100612575B1 (ko) 광 도관용 전반사 필름
TW201405059A (zh) 光源模組
KR100373208B1 (ko) 전반사 필름
KR20090119561A (ko) 광파이프 및 이를 구비한 조명 장치
CN108646337B (zh) 侧入光式导光板及背光模组
KR100735294B1 (ko) 백라이트 모듈
KR101274798B1 (ko) 광학 부재,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KR100988627B1 (ko)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한 조명 장치
TWI409411B (zh) 發光二極體光源模組
KR100958392B1 (ko) 광 파이프 및 이를 구비한 조명장치
KR20090108912A (ko) 조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