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0959B1 - System for adjusting pushing pressure of wiper blade against glass surface - Google Patents

System for adjusting pushing pressure of wiper blade against glass surfa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0959B1
KR100610959B1 KR1020040027684A KR20040027684A KR100610959B1 KR 100610959 B1 KR100610959 B1 KR 100610959B1 KR 1020040027684 A KR1020040027684 A KR 1020040027684A KR 20040027684 A KR20040027684 A KR 20040027684A KR 100610959 B1 KR100610959 B1 KR 100610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member
wiper
vehicle speed
spring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76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102359A (en
Inventor
김현섭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7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0959B1/en
Publication of KR20050102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235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0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09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06Means, or measures taken, for influencing the aerodynamic quality of the wiper blades
    • B60S1/3808Spoiler integral with the squeege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11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with means for varying wiper-blade pressure on windshield during op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18/00Electricity: motive power systems
    • Y10S318/02Windshield wiper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ntrol Of Electri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와이퍼 장치의 누름압 조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주행시 운전자가 와이퍼 스위치를 온 조작하게 되면 에탁스(ETACS)가 차속센서로부터 현재의 차속을 입력받아 장력조절부를 구동하여 와이퍼 부상방지용으로 리테이너와 아암 헤드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의 장력을 차속에 따라 자동 조절시켜줌으로써, 차속에 따른 와이퍼 누름압의 능동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차 와이퍼 장치의 누름압 조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sing pressure control system for an automobile wiper device, and when the driver turns on the wiper switch while driving the vehicle, the ETACS receives the current vehicle speed from the vehicle speed sensor and drives the tension control unit to prevent the wiper injur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surization control system for an automobile wiper device configured to perform active control of the wiper presser pressure according to the vehicle speed by automatically adjusting the tension of a spring installed between the retainer and the arm head according to the vehicle speed.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고속주행시에는 와이퍼 누름압을 증가시켜 와이퍼의 부상을 방지하고, 저속주행시에는 와이퍼 누름압을 상대적으로 줄여주어, 블레이드와 글래스간 과도한 마찰을 방지하는 바, 마찰음 발생, 블레이드의 조기 마모 및 변형, 와이퍼 모터의 소손 발생 등 종래의 여러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increase the wiper pressing pressure during high-speed driving to prevent the wiper injuries, and to reduce the wiper pressing pressure relatively during low-speed driving, to prevent excessive friction between the blade and the glass, friction noise, the blade Various problems such as premature wear and deformation and burnout of the wiper motor can be solved.

자동차, 와이퍼 장치, 누름압 조절 시스템, 스프링, 장력조절, 차속센서, 위치센서, 에탁스, 장력조절부, 가동부재Automobile, wiper device, pressure control system, spring, tension control, vehicle speed sensor, position sensor, etax, tension control part, movable member

Description

자동차 와이퍼 장치의 누름압 조절 시스템{System for adjusting pushing pressure of wiper blade against glass surface} System for adjusting pushing pressure of wiper blade against glass surface}             

도 1은 통상의 와이퍼 장치에서 와이퍼 아암 및 블레이드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측면도,1 is a side view showing the wiper arm and blade assembly in a conventional wiper device;

도 2는 통상의 와이퍼 장치에서 와이퍼 부상방지용 핀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wiper preventing pins in a conventional wiper device,

도 3은 본 발명의 누름압 조절 시스템이 적용된 와이퍼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a wiper device to which the pressure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4는 본 발명의 누름압 조절 시스템에서 가동부재 및 장력조절부를 도시한 상세도,Figure 4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movable member and the tension control in the pressing pressure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누름압 조절 시스템의 신호 흐름을 나타낸 블럭도.Figure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ignal flow of the pressur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차체 3 : 윈드쉴드 글래스1: body 3: windshield glass

11 : 와이퍼 아암 12 : 아암 헤드11: wiper arm 12: arm head

13 : 리테이너 14 : 아암 바아13: retainer 14: arm bar

15 : 블레이드 어셈블리 17 : 와이퍼 부상방지용 스프링15 blade assembly 17 wiper spring to prevent injury

110 : 와이퍼 스위치 120 : 차속센서110: wiper switch 120: vehicle speed sensor

130 : 위치센서 150 : 에탁스(ETACS)130: position sensor 150: ETACS

160 : 장력조절부 161 : 모터160: tension control unit 161: motor

163 : 장력조절용 와이퍼 165 : 가동부재163: tension control wiper 165: movable member

166 : 가이드 수단 167 : 스토퍼166: guide means 167: stopper

본 발명은 자동차 와이퍼 장치의 누름압 조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주행시 운전자가 와이퍼 스위치를 온 조작하게 되면 에탁스(ETACS)가 차속센서로부터 현재의 차속을 입력받아 장력조절부를 구동하여 와이퍼 부상방지용으로 리테이너와 아암 헤드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의 장력을 차속에 따라 자동 조절시켜줌으로써, 차속에 따른 와이퍼 누름압의 능동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차 와이퍼 장치의 누름압 조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sing pressure control system for an automobile wiper device, and when the driver turns on the wiper switch while driving the vehicle, the ETACS receives the current vehicle speed from the vehicle speed sensor and drives the tension control unit to prevent the wiper injur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surization control system for an automobile wiper device configured to perform active control of the wiper presser pressure according to the vehicle speed by automatically adjusting the tension of a spring installed between the retainer and the arm head according to the vehicle speed.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차량의 안전운행을 위하여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 바로 원활한 전방 시야의 확보이다.As is well known,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the safe operation of the vehicle is to ensure a good forward vision.

따라서, 통상의 차량에는 운전자의 원활한 전방 시야가 확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윈드실드 글래스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우중시 글래스 표면의 빗물을 닦아주는 와이퍼 장치가 갖추어져 있다.Therefore, a typical vehicle is equipped with a wiper device that removes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windshield glass and wipes the rain water on the glass surface during raining in order to ensure a smooth forward view of the driver.

이러한 와이퍼 장치는 와이퍼 모터에서 발생한 회전운동이 와이퍼 링키지 시스템(wiper linkage system)을 거쳐 피봇기구 및 와이퍼 아암으로 전달되고, 이에 와이퍼 아암이 좌우 왕복 회동을 하게 되면 블레이드 어셈블리가 소정의 와이핑 구간을 이동하여 글래스를 닦게 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In such a wiper device, the rotational motion generated by the wiper motor is transmitted to the pivot mechanism and the wiper arm through the wiper linkage system, and when the wiper arm is reciprocated left and right, the blade assembly moves a predetermined wiping section. It is structured to wipe glass.

윈드실드 글래스용 와이퍼 장치의 경우 운전석측과 조수석측으로 각각의 피봇기구와 와이퍼 아암, 블레이드 어셈블리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는 중앙에 위치된 하나의 와이퍼 모터로부터 링키지 시스템을 통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게 된다.In the case of the windshield glass wiper device, each of the pivot mechanism, the wiper arm, and the blade assembly are provided on the driver's side and the passenger's side, and the driving force is transmitted through a linkage system from one centrally located wiper motor.

이와 같이 윈드실드 글래스를 와이핑하는 와이퍼가 대부분이지만 승합차의 경우에는 테일 게이트 글래스(또는 리어 글래스)를 닦아주기 위한 리어 와이퍼 장치가 장착되기도 한다.Most wipers use this type of wiper to windshield glass. However, vans are equipped with a rear wiper device for wiping the tail gate glass (or rear glass).

첨부한 도 1은 통상의 자동차용 와이퍼 장치에서 와이퍼 아암 및 블레이드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측면도로서,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is a side view showing a wiper arm and a blade assembly in a conventional wiper device for automobiles.

도 1에서 도면부호 3은 윈드실드 글래스를 나타내고, 도면부호 10a는 모터(미도시됨)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피봇축을 나타내며, 또한 도면부호 11은 와이퍼 아암을, 도면부호 15는 블레이드 어셈블리를 각각 나타낸다.In FIG. 1, reference numeral 3 denotes a windshield glass, reference numeral 10a denotes a pivot axis which rotates under the rotational force of a motor (not shown), and reference numeral 11 denotes a wiper arm, and reference numeral 15 denotes a blade assembly. Represent each.

먼저, 와이퍼 아암(11)은 아암 헤드(12)에 연결된 리테이너(13)와, 블레이드 어셈블리(15)를 지지하는 아암 바아(14)로 구분될 수 있다. First, the wiper arm 11 may be divided into a retainer 13 connected to the arm head 12 and an arm bar 14 supporting the blade assembly 15.

또한, 아암 헤드(12)는 일단부가 차체(1)에 고정된 피봇기구(10)의 피봇축(10a)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게 연결되어 있고, 이 아암 헤드(12)의 타단부에는 리테이너(13)가 힌지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arm head 12 is coupled to the pivot shaft 10a of the pivot mechanism 10 fixed to the vehicle body 1 so as to receive a rotational force, and the other end of the arm head 12. The retainer 13 is hingedly connected.

또한, 리테이너(13)에는 아암 바아(14)가 길게 연결 설치되고, 이 아암 바아(14)의 선단에는 와이퍼 아암(11)의 좌우 왕복회동에 의해 이동하여 글래스(3)를 닦아주는 블레이드 어셈블리(15)가 설치된다. In addition, an arm bar 14 is connected to the retainer 13 for a long time, and a blade assembly for wiping the glass 3 is moved to the front end of the arm bar 14 by the left and right reciprocating rotation of the wiper arm 11 ( 15) is installed.

상기 블레이드 어셈블리(15)는 글래스(3)를 닦아주는 고무재질의 블레이드(16)를 가지며, 이는 고무재질의 블레이드(16)가 글래스(3)에 직접 접촉하여 눈, 빗물, 먼지 등을 제거하도록 한 부품으로, 일정시간 이상 사용하면 교환해야 하는 소모품이다.The blade assembly 15 has a rubber blade 16 to wipe the glass 3, so that the rubber blade 16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glass 3 to remove snow, rain, dust, etc. It is a consumable that needs to be replace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한편, 차량 주행시에는 와이퍼가 글래스 표면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의 저항에 의해 들뜨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와이퍼의 들뜸 현상, 즉 와이퍼의 부상(浮上)이 발생하게 되면 글래스 표면에 쌓인 눈, 빗물, 먼지 등이 깨끗이 제거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vehicle is driven, the wiper is lifted by the resistance of the air flowing along the glass surface. When the wiper is lifted, that is, the wiper is injured, snow, rai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ust, etc. can not be removed cleanly.

와이퍼 부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와이퍼가 글래스 표면에 접촉되어 있는 힘, 즉 누름압이 글래스 표면에 대하여 충분히 작용해야 하는 바, 이 누름압의 작용을 위해 통상의 와이퍼 장치에서는 리테이너(13)와 아암 헤드(12) 사이에 와이퍼 부상방지용 스프링(17)이 설치되고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wiper injury from occurring, the force that the wiper contacts the glass surface, that is, the pressing pressure, must be sufficient to act on the glass surface. In the conventional wiper device, the retainer 13 and the arm in order to act on the pressing pressure A wiper floating prevention spring 17 is provided between the heads 12.

이 스프링(17)은 와이퍼가 글래스(3) 방향으로 누르는 힘을 가지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와이퍼의 누름압은 상기 스프링(17)의 탄성력에 의해 정해지며, 특히 종래에는 이 스프링(17)의 탄성계수가 일정하여, 일단 스프링이 설치되면 와이퍼의 누름압은 일정한 수준으로 고정된다.The spring 17 is installed so that the wiper has a pressing force in the glass 3 direction, and the pressing pressure of the wiper is determin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17, and in particular,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17 The coefficient is constant, so once the spring is installed the pressing pressure of the wiper is fixed at a constant level.

따라서, 종래에는 누름압을 약하게 설정하였을 경우 고속주행시 와이퍼의 부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스프링(17)의 탄성계수를 높이는 방법이 있기는 하나, 이 경우 글래스(3) 표면에 대한 블레이드(16)의 밀착정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과도한 마찰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Therefore, in the related art, when the pressing pressure is weakly set, there is a problem in which the wiper is injured during high-speed driving, and there is a method of increasing the elastic modulus of the spring 17 to improve this, but in this case, the surface of the glass 3 is The degree of close contact with the blade 16 is too high, causing excessive friction.

이는 블레이드(16)와 글래스(3)간의 마찰음 발생, 블레이드의 조기 마모 및 변형을 초래하며, 더 나아가 와이퍼 모터의 소손을 초래하기도 한다.This causes friction noise between the blade 16 and the glass 3, premature wear and deformation of the blade, and even burnout of the wiper motor.

그리고, 와이퍼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또 다른 대응 방법으로서, 첨부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 어셈블리(15)의 전면에 핀(fin;18)을 고정 설치하는 방법이 있다.As another countermeasure for preventing wiper injuries, there is a method of fixing and installing a fin 18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lade assembly 15 as shown in FIG. 2.

이는 핀(18)의 전방에서 가해지는 바람이 핀을 거쳐 블레이드 어셈블리(15)의 상부로 지나가는 하나의 기류를 형성하면서 누름압이 가해지도록 하는 방법으로, 특히 고속주행을 하게 되면 누름압이 증대되어 블레이드가 글래스에 충분히 밀착될 수 있게 된다.This is a method in which the pressing pressure is applied while the wind applied from the front of the pin 18 passes through the pin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lade assembly 15, and the pressing pressure is increased, especially when driving at a high speed. The blade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glass.

그러나, 상기와 같이 핀을 채용한 와이퍼 부상 방지 구조에서도 와이퍼 블레이드가 이동함에 따라 핀이 운전자의 전방시야를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even in the wiper injury prevention structure employing the pi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in interferes the driver's front view as the wiper blade move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차량 주행시 운전자가 와이퍼 스위치를 온 조작하게 되면 에탁스(ETACS)가 차속센서로부터 현재의 차속을 입력받아 장력조절부를 구동하여 와이퍼 부상방지용으로 리테이너와 아암 헤드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의 장력을 차속에 따라 자동 조절시켜줌으로써, 차속에 따른 와이퍼 누름압의 능동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구성되고, 결국 고속주행시에는 와이퍼 누름압을 증가시켜 와이퍼의 부상을 방지하고, 저속주행시에는 와이퍼 누름압을 상대적으로 줄여주어 블레이드와 글래스간 과도한 마찰을 방지하는 바, 마찰음 발생, 블레이드의 조기 마모 및 변형, 와이퍼 모터의 소손 발생 등 여러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자동차 와이퍼 장치의 누름압 조절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when the driver turns on the wiper switch while driving the vehicle, the ETAX receives the current vehicle speed from the vehicle speed sensor and drives the tension control unit to injure the wiper. By automatically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spring installed between the retainer and the arm head according to the vehicle speed, it is possible to perform active control of the wiper pressing pressure according to the vehicle speed.In the end, the wiper pressing pressure is increased when driving at high speed. It prevents injuries and relatively reduces the wiper pressure when driving at low speeds to prevent excessive friction between the blades and glass, which can solve various problems such as friction noise, premature wear and deformation of the blades, and burnout of the wiper motor. It provides a pressure control system for automotive wiper devices. There i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와이퍼 장치의 누름압 조절 시스템은, Press pressure control system of the vehicle wip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차속을 검출하기 위한 차속센서와; 일단이 와이퍼 리테이너에 연결 고정되고, 타단이 하기 가동부재의 전단부에 연결 고정되어, 와이퍼 누름압을 제공하는 와이퍼 부상방지용 스프링과; 전단부에 상기 스프링이 연결되고, 아암 헤드 내부에 고정 설치된 가이드 수단을 따라 전후로 안내되면서 위치 조정되는 가동부재와; 상기 가동부재의 전후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센서와; 상기 가동부재의 후단부를 당겨주거나 당김을 해제하여 가동부재의 전후 위치를 조정하여 줌으로써 상기 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와; 상기 차속센서와 위치센서의 신호를 받아 차속 및 가동부재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여 현재 차속에 따라 미리 설정된 위치로 상기 가동부재의 전후 위치가 조정될 수 있도록 상기 장력조절부를 제어하기 위 한 신호를 출력하는 에탁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vehicle speed sensor for detecting a vehicle speed; A wiper injury prevention spring having one end fixed to the wiper retainer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movable member to provide a wiper pressing pressure; A movable member which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portion and is positioned while being guided back and forth along the guide means fixedly installed in the arm head; A position sensor for detecting front and rear positions of the movable member; A tension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spring by pulling back or releasing the rear end of the movable member to adjust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of the movable member; Receiving signals of the vehicle speed sensor and the position sensor to grasp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speed and the movable member and output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tension control unit so that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of the movable member can be adjusted to a preset position according to the current vehicle speed. Etax;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특히, 상기 장력조절부는, In particular, the tension control unit,

아암 헤드에 설치된 롤러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가동부재의 후단부로 연결되고, 반대쪽 일부가 하기 모터의 회전축상 권취부에 감기어 모터 구동시 가동부재를 당겨주거나 당김 해제하는 장력조절용 와이어와; 회전축상의 권취부에 상기 와이어가 감긴 상태로 아암 헤드 하측의 차체 패널에 고정 장착되고, 구동시 상기 와이어를 감아주거나 풀어줌으로써 상기 가동부재를 전후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tension adjusting wire which is guided by a roller installed in the arm head and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movable member, and a part of the opposite side is wound around the winding on the rotating shaft of the motor to pull or release the movable member when the motor is driven; And a motor fixedly mounted to the vehicle body panel under the arm head while the wire is wound on the winding part on the rotary shaft, and moving the movable member back and forth by winding or unwinding the wire during driving.

또한, 상기 위치센서는 상기 가동부재의 전후 위치를 단계별로 감지하기 위하여 가동부재의 전후 위치에 따라 가동부재 접점과 선택적으로 단속이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접점을 전후로 배치되게 구비하여서 된 접촉식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osition sensor is a contact type senso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ntacts arranged to be moved back and forth selectively with the movable member contacts according to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of the movable member in order to detect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of the movable member step by step. It is done.

또한,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가동부재의 최대 전진위치에서 가동부재의 전방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uide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topper for limiting the forward movement of the movable member at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of the movable member.

또한, 상기 에탁스는 와이퍼 스위치의 오프 조작시에 상기 가동부재를 최대 전진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한 모터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tax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output a motor control signal for positioning the movable member to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at the time of the off operation of the wiper switch.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와이퍼의 작동시에 차속에 따라 와이퍼의 누름압을 자동 조절시켜 주는 와이퍼 누름압 조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per pressing pressure control system that automatically adjusts the pressing pressure of the wiper according to the vehicle speed when the wiper is operated.

첨부한 도 3은 이러한 본 발명의 누름압 조절 시스템이 적용된 와이퍼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누름압 조절 시스템에서 가동부재 및 장력조절부를 도시한 상세도이며, 도 5는 누름압 조절 시스템의 신호 흐름을 나타낸 블럭도이다.FIG. 3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wiper device to which the pressing pressure adjus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4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movable member and the tension adjusting unit in the pressing pressure adjus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ignal flow of the pressure regulation system.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테이너(13)와 아암 헤드(12) 사이에 종래와 마찬가지로 와이퍼 부상방지용 스프링(17)이 설치되며, 이 스프링(17)은 와이퍼가 글래스(3) 방향으로 누르는 힘을 제공하게 되는 바, 적정의 누름압 제공을 통해 블레이드 어셈블리(15)가 글래스(3) 표면으로부터 부상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As shown therein, a wiper anti-spring spring 17 is provided between the retainer 13 and the arm head 12 as in the prior art, and this spring 17 provides a force for the wiper to push in the glass 3 direction. As such, the blade assembly 15 does not float from the glass 3 surface by providing a proper pressing pressure.

와이퍼의 누름압은 상기 스프링(17)의 탄성력에 의해 정해지며, 종래에는 스프링(17)의 탄성계수가 일정하여, 일단 스프링이 설치되면 와이퍼의 누름압은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었다.The pressing pressure of the wiper is determin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17, conventionally the elastic modulus of the spring 17 is constant, once the spring is installed, the pressing pressure of the wiper was to maintain a constant level.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현재의 차속에 따라 상기 스프링(17)의 장력을 미리 설정된 수준으로 적절히 자동 조절하여 줌으로써 와이퍼 누름압의 능동 제어를 수행하는 시스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configuration is performed to perform active control of the wiper pressing pressure by automatically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spring 17 to a predetermined level according to the current vehicle speed.

스프링(17)은 일단이 종래와 마찬가지로 리테이너(13) 내벽 소정 위치의 고정부위에 연결되나, 그 타단은 아암 헤드(12) 내부에서 전후로 위치 조정이 되는 가동부재(165)에 연결 고정된다.One end of the spring 17 is connected to a fixed por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inner wall of the retainer 13 as in the related art, but the oth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and fixed to the movable member 165 which is positioned back and forth within the arm head 12.

상기 가동부재(165)는 아암 헤드(12) 내벽의 가이드 수단(166)에 의해 지지되는 동시에 이 가이드 수단(166)에서 전후로 안내되어 위치 이동할 수 있게 설치 되며, 특히 그 전단부에는 상기 스프링(17)이 연결되어 있으면서 반대쪽 후단부에는 후술하는 모터(161)와의 사이에서 장력조절용 와이어(163)가 연결된다.The movable member 165 is supported by the guide means 166 on the inner wall of the arm head 12 and is installed to be moved back and forth by the guide means 166 so that the spring 17 can be moved.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portion of the tension control wire 163 between the motor 161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모터(161)는 와이어(163)와 함께 스프링(17)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절부(160)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는 에탁스(ETACS;15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이 제어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The motor 161 constitutes a tension adjusting unit 160 for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spring 17 together with the wire 163, which is driven by 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Etax 150. It is provided to be controlled.

상기 모터(161)는 아암 헤드(12) 하측의 차체 패널(1)에 고정 장착되며, 아암 헤드(12)의 회동중심이 되는 피봇축(10a)에 최대한 가까이 위치되어 설치되고, 특히 그 회전축상의 권취부(162)에는 상기 가동부재(165)와의 사이에 연결된 장력조절용 와이어(163)가 감겨진다. The motor 161 is fixedly mounted to the vehicle body panel 1 under the arm head 12, and is install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pivot shaft 10a, which is the pivot center of the arm head 12, and in particular, on the axis of rotation thereof. The winding portion 162 is wound with a tension control wire 163 connected between the movable member 165.

여기서, 장력조절용 와이어(163)는 일부가 모터(161) 회전축상의 권취부(162)에 감겨진 상태에서 아암 헤드(12) 내벽에 설치된 롤러(164)를 통해 가동부재(165) 후단부쪽으로 안내되어 연결되는 바, 모터(161)가 회전하여 와이어(163)를 감아줄 경우 가동부재(165)는 스프링력을 극복하고 후진하게 되며, 모터(161)가 반대로 회전하여 와이어(163)를 풀어줄 경우 가동부재(165)는 스프링(17)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전진하게 된다.Here, the tension adjusting wire 163 is guided toward the rear end of the movable member 165 through the roller 164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arm head 12 in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tension adjusting wire 163 is wound around the winding part 162 on the rotation shaft of the motor 161. When the motor 161 rotates to wind the wire 163, the movable member 165 overcomes the spring force and moves backward. When the motor 161 rotates in reverse, the wire 163 is released. The movable member 165 is advanced agai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17.

여기서, 와이어(163)를 가동부재(165)의 후단부쪽으로 안내하도록 설치되는 롤러(164)의 수 및 위치, 배치상태 등은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Here, the number, position, arrangement, and the like of the rollers 164 provided to guide the wire 163 toward the rear end of the movable member 165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아암 헤드(12) 내에서 상기 가동부재(165)를 전후로 안내하는 가이드 수단(166)에는 가동부재(165)의 최대 전진위치에서 가동부재의 전방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167)가 전단부 소정 위치에 구비되고, 이와 같이 가동부재(165)의 최대 전진위치에서는 스프링(17)의 장력 및 와이퍼의 누름압이 최소가 되는 바,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가동부재(165)의 최대 전진위치, 즉 스프링(17)의 장력 및 와이퍼의 누름압이 최소가 되는 가동부재(165)의 최대 전진위치를 아이들(idle) 위치라 칭하기로 한다. In the arm head 12, the guide means 166 for guiding the movable member 165 back and forth has a stopper 167 for limiting the forward movement of the movable member at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of the movable member 165. In this case, the tension of the spring 17 and the pressing pressure of the wiper are minimized at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of the movable member 165. In this specification,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of the movable member 165, that is, the spring (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of the movable member 165 at which the tension of 17) and the pressing pressure of the wiper is minimum will be referred to as an idle position.

한편, 본 발명의 시스템은 가동부재(165)의 전후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센서(130)를 포함하며, 이 위치센서(130)는 가동부재(165)의 위치에 따른 신호를 에탁스(150)로 출력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sition sensor 130 for detecting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of the movable member 165, the position sensor 130 is a signal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vable member 165 Etax 150 Will be printed.

상기 위치센서(13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부재(165)의 전후 위치를 단계별로 감지하기 위하여 가동부재(165)의 전후 위치에 따라 가동부재 접점(A)과 선택적으로 단속이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접점(I,S1,S2,S3)을 정해진 위치에 전후로 배치되게 구비하여서 된 접촉식 센서로 실시 가능하다.As shown in FIG. 4, the position sensor 130 is selectively interrupted with the movable member contact A according to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of the movable member 165 to detect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of the movable member 165 step by step. The contact sensors I, S1, S2, and S3 made of the plurality of contacts are arranged to be arranged back and forth at a predetermined position.

즉, 가동부재(165)의 접점(A)이 위치센서(130)의 각 접점(I,S1,S2,S3)에 접촉하는 경우 위치센서(130)는 가동부재(165)가 해당 접점위치에 있음을 에탁스(150)로 출력하게 되며, 이 에탁스(150)는 위치센서(130)의 신호를 입력 받아 가동부재(165)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또한 이를 통해 가동부재(165)가 적절히 위치 조정된 상태에서 모터(161)의 구동을 오프시킴으로써, 가동부재(165)의 위치를 제어하게 된다. That is, when the contact A of the movable member 165 contacts each of the contacts I, S1, S2, and S3 of the position sensor 130, the position sensor 130 may move the movable member 165 to the corresponding contact position. It is to be output to the Etax 150, the Etax 150 receives the signal of the position sensor 130 to grasp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ovable member 165, and through this the movable member 165 The position of the movable member 165 is controlled by turning off the driving of the motor 161 in a properly adjusted state.

예시한 도 2는 가동부재(165)가 에탁스(150)의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모터(161)에 의해 전후 4단계 위치에서 위치 조정이 이루어지도록 한 예를 보여주고 있으며, 가동부재(165)가 최대 전진한 아이들 접점(I) 위치에서는 스프링(17)의 장 력이 최소가 되고, 이때 와이퍼의 누름압 또한 최소가 된다.FIG. 2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movable member 165 is positioned at four positions before and after the motor 161 controlled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etax 150, and the movable member 165. The tension of the spring 17 is minimum at the idle contact (I) position where) is the most advanced, and the pressing pressure of the wiper is also minimum.

또한, 아이들 접점(I)의 위치에서 상기 가동부재(165)가 상기 모터(161) 및 와이어(163)에 의해 후진하여 각 단계별(S1,S2,S3)로 위치 조정됨에 따라 스프링(17)의 장력은 단계적으로 커지게 되고, 이와 더불어 와이퍼의 누름압 또한 단계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In addition, at the position of the idle contact (I), the movable member 165 is reversed by the motor 161 and the wire 163 to adjust the position of each step (S1, S2, S3) of the spring 17 The tension is increased step by step, along with the wiper pressing pressure step by step.

한편, 본 발명의 시스템은 에탁스(150)의 또 다른 입력부로서 차속을 검출하기 위한 차속센서(120)를 포함하며, 이는 차량에 기장착된 것으로 실시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hicle speed sensor 120 for detecting the vehicle speed as another input of the Etax 150, which can be implemented as a vehicle mounted.

이 차속센서(120)의 검출신호는 에탁스(150)로 인가되며, 에탁스(150)는 차속센서(120)에 의해 검출된 현재 차속에 따라 스프링(17)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장력조절부(160)로 출력하게 된다.The detection signal of the vehicle speed sensor 120 is applied to the etax 150, the etax 150 is a control signal for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spring 17 in accordance with the current vehicle speed detected by the vehicle speed sensor 120 The output to the tension adjusting unit 160.

아울러, 차속센서(120)의 신호 외에 에탁스(150)가 별도의 스위치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가동부재(165)의 전후진 위치를 조정하고, 그에 따라 와이퍼의 누름압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signal of the vehicle speed sensor 120, the Etax 150 receives a separate switch operation signal to adjust the forward and backward positions of the movable member 165, and accordingly configured to control the wiper pressure. Can be.

예를 들면, 누름압 수동 조절 스위치(140)를 차량에 설치하여, 운전자가 이 스위치(140)를 I, S1, S2, S3 위치 중 원하는 위치로 조작함으로써 와이퍼의 누름압이 수동으로 조절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For example, the pusher pressure manual control switch 140 may be installed in a vehicle so that the driver may manually adjust the wiper pressure by operating the switch 140 to a desired position among I, S1, S2, and S3 positions. It is to be.

이 경우, 누름압 수동 조절 스위치(140)의 조작신호를 에탁스(150)가 입력받을 수 있게 연결하여, 에탁스(150)가 스위치 조작신호를 입력받게 되면 스프링(17) 장력을 조작된 위치에 맞게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이 제어신호에 의해 장력조절부(160)의 모터(161)가 구동 제어되면서 가동부재(165)가 적절히 전후 진하여 스프링 장력을 조절하게 된다. In this case, by connecting the operation signal of the push-pressure manual control switch 140 so that the Etax 150 can be input, the position where the tension of the spring 17 is manipulated when the Etax 150 receives the switch operation signal.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adjusting according to the control, the motor 161 of the tension adjusting unit 160 is driven by the control signal, the movable member 165 is properly moved forward and backward to adjust the spring tension.

이하,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차량 주행시 와이퍼 스위치(110)가 온 조작되면 에탁스(150)는 차속센서(120)의 신호로부터 현재의 차속을 판단하여 해당 차속에 해당하는 가동부재(165)의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First, when the wiper switch 110 is operated while the vehicle is driving, the Etax 150 determines the current vehicle speed from the signal of the vehicle speed sensor 120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movable member 165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speed.

이후, 위치센서(130)에 의해 가동부재(165)의 현재 위치를 판단한 후 가동부재(165)가 해당 위치에 있지 않을 경우 장력조절부(160)의 모터(161)를 구동하여 장력조절용 와이어(163)를 감거나 풀어주게 되며, 이에 가동부재(165)는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Then, after determining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ovable member 165 by the position sensor 130, if the movable member 165 is not in the corresponding position to drive the motor 161 of the tension adjusting unit 160 to adjust the tension wire ( 163 is wound or released, the movable member 165 is moved forward or backward.

이후, 에탁스(150)가 위치센서(130)에 의해 해당 차속의 정해진 위치에 도달함을 감지한 경우 모터(161)의 구동을 오프시키게 되며, 결국 가동부재(165)의 조정된 위치에 의해 스프링(17)의 장력 및 와이퍼의 누름압이 조절되어진다.Subsequently, when the Etax 150 detects that the position sensor 130 reaches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vehicle speed, the driving of the motor 161 is turned off, and finally, by the adjusted position of the movable member 165. The tension of the spring 17 and the pressing pressure of the wiper are adjusted.

한편, 이후 에탁스(150)는 와이퍼 스위치(110)의 오프 조작시에 상기 가동부재(165)를 최대 전진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한 모터 제어신호를 출력한다.On the other hand, the Etax 150 outputs a motor control signal for positioning the movable member 165 to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when the wiper switch 110 is turned off.

즉, 와이퍼 스위치(110)가 오프 조작되면 에탁스(150)는 블레이드(16)의 영구 변형을 막기 위해 가동부재(165)를 아이들 접점(I) 위치로 전진 이동시켜 와이퍼의 누름압이 가장 낮은 상태로 있게 조정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wiper switch 110 is turned off, the etax 150 moves the movable member 165 to the idle contact I position to prevent the permanent deformation of the blade 16 so that the pressing pressure of the wiper is the lowest. It is to adjust to stay.

이러한 본 발명의 작동을 위해서는 에탁스(150)에 현재 차속에 해당하는 가동부재(165)의 위치가 미리 입력되어 있어야 하며, 특히 에탁스(150)는 현재 차속이 미리 설정된 속도구간 내에 있을 때 가동부재(165)를 해당 위치로 이동시키는 바, 높은 차속구간일수록 가동부재(165)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후방에 위치될 수 있게 설정되어야 한다.Fo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movable member 165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vehicle speed must be input in advance in the etax 150, and in particular, the etax 150 operates when the current vehicle speed is within a preset speed range. As the member 165 is moved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the position of the movable member 165 should be set to be relatively rearward at a higher vehicle speed section.

즉, 차속이 높아질수록 S1 →S2 →S3 위치로 가동부재(165)를 단계적으로 후방 이동시켜, 스프링(17) 장력 및 와이퍼 누름압이 단계적으로 증가되도록 하고, 이와 같이 고속주행시 와이퍼 누름압을 증가시킴으로써 와이퍼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as the vehicle speed increases, the movable member 165 is moved backwards stepwise to the position S1-> S2-> S3, so that the spring 17 tension and the wiper pressing pressure are increased step by step, and thus the wiper pressing pressure is increased during high-speed driving.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prevent injury of the wiper.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에 따르면, 고속주행시에는 와이퍼 누름압을 증가시켜 와이퍼의 부상을 방지하고, 저속주행시에는 와이퍼 누름압을 상대적으로 줄여주어 블레이드(16)와 글래스(3)간 과도한 마찰을 방지하는 바, 마찰음 발생, 블레이드(16)의 조기 마모 및 변형, 와이퍼 모터의 소손 발생 등이 방지될 수 있다.In this way, according to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per pressing pressure is increased at high speeds to prevent the wiper from injuring, and at low speeds, the wiper pressing pressure is relatively reduced to excessive friction between the blade 16 and the glass 3.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friction noise, early wear and deformation of the blade 16, burnout of the wiper motor, etc. can be prevent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와이퍼 장치의 누름압 조절 시스템에 의하면, 차량 주행시 운전자가 와이퍼 스위치를 온(on) 조작하게 되면 에탁스(ETACS)가 차속센서로부터 현재의 차속을 입력받아 장력조절부를 구동하여 와이퍼 부상방지용으로 리테이너와 아암 헤드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의 장력을 차속에 따라 자동 조절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차속에 따른 와이퍼 누름압의 능동 제어가 가능해지고, 이를 통해 종래의 와이퍼 누름압 고정에 따른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sing pressure control system of the vehicle wip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river turns on the wiper switch while driving the vehicle, the ETAS receives the current vehicle speed from the vehicle speed sensor. It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adjust the tension of the spring installed between the retainer and the arm head according to the vehicle speed by driving the tension control unit, thereby enabling active control of the wiper press pressure according to the vehicle speed, thereby fixing the conventional wiper press pressure. Various problems can be solved.                     

즉, 고속주행시에는 와이퍼 누름압을 증가시켜 와이퍼의 부상을 방지하고, 저속주행시에는 와이퍼 누름압을 상대적으로 줄여주어 블레이드와 글래스간 과도한 마찰을 방지하는 바, 마찰음 발생, 블레이드의 조기 마모 및 변형, 와이퍼 모터의 소손 발생 등이 방지될 수 있다.In other words, in high-speed driving, the wiper pressing pressure is increased to prevent the wiper injury, and in low-speed driving, the wiper pressing pressure is relatively reduced to prevent excessive friction between the blade and the glass, which generates friction noise, premature wear and deformation of the blade, Burnout of the wiper motor can be prevented.

Claims (5)

삭제delete 삭제delete 차속을 검출하기 위한 차속센서와, 일단이 와이퍼 리테이너에 연결 고정되고 타단이 하기 가동부재의 전단부에 연결 고정되어 와이퍼 누름압을 제공하는 와이퍼 부상방지용 스프링과, 전단부에 상기 스프링이 연결되고 아암 헤드 내부에 고정 설치된 가이드 수단을 따라 전후로 안내되면서 위치 조정되는 가동부재와, 상기 가동부재의 전후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센서와, 상기 가동부재의 후단부를 당겨주거나 당김을 해제하여 가동부재의 전후 위치를 조정하여 줌으로써 상기 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와, 상기 차속센서와 위치센서의 신호를 받아 차속 및 가동부재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여 현재 차속에 따라 미리 설정된 위치로 상기 가동부재의 전후 위치가 조정될 수 있도록 상기 장력조절부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에탁스를 포함하는 자동차 와이퍼 장치의 누름압 조절 시스템에 있어서, A vehicle speed sensor for detecting a vehicle speed, a wiper spring for preventing one from being connected to the wiper retainer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movable member to provide a wiper pressing pressure, and the spring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arm A movable member that is guided back and forth along the guide means fixedly installed inside the head, a posi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of the movable member, and a rear end portion of the movable member is pulled or released to release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of the movable member. Tension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spring by adjusting the, and grasp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speed and the movable member in response to the signals of the vehicle speed sensor and the position sensor, and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of the movable member to a preset position according to the current vehicle speed Etak outputting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tension adjusting unit so that the In the pressing pressure adjusting system of the vehicle wiper apparatus including, 상기 위치센서는 상기 가동부재의 전후 위치를 단계별로 감지하기 위하여 가동부재의 전후 위치에 따라 가동부재 접점과 선택적으로 단속이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접점을 전후로 배치되게 구비하여서 된 접촉식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와이퍼 장치의 누름압 조절 시스템.Wherein the position sensor is a contact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be arranged in front and rear a plurality of contacts which are selectively intermittent with the movable member contact in accordance with the front and rear position of the movable member in order to detect the front and rear position of the movable member step by step. Push pressure regulating system of car wiper device. 차속을 검출하기 위한 차속센서와, 일단이 와이퍼 리테이너에 연결 고정되고 타단이 하기 가동부재의 전단부에 연결 고정되어 와이퍼 누름압을 제공하는 와이퍼 부상방지용 스프링과, 전단부에 상기 스프링이 연결되고 아암 헤드 내부에 고정 설치된 가이드 수단을 따라 전후로 안내되면서 위치 조정되는 가동부재와, 상기 가동부재의 전후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센서와, 상기 가동부재의 후단부를 당겨주거나 당김을 해제하여 가동부재의 전후 위치를 조정하여 줌으로써 상기 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와, 상기 차속센서와 위치센서의 신호를 받아 차속 및 가동부재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여 현재 차속에 따라 미리 설정된 위치로 상기 가동부재의 전후 위치가 조정될 수 있도록 상기 장력조절부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에탁스를 포함하는 자동차 와이퍼 장치의 누름압 조절 시스템에 있어서, A vehicle speed sensor for detecting a vehicle speed, a wiper spring for preventing one from being connected to the wiper retainer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movable member to provide a wiper pressing pressure, and the spring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arm A movable member that is guided back and forth along the guide means fixedly installed inside the head, a posi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of the movable member, and a rear end portion of the movable member is pulled or released to release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of the movable member. Tension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spring by adjusting the, and grasp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speed and the movable member in response to the signals of the vehicle speed sensor and the position sensor, and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of the movable member to a preset position according to the current vehicle speed Etak outputting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tension adjusting unit so that the In the pressing pressure adjusting system of the vehicle wiper apparatus including,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가동부재의 최대 전진위치에서 가동부재의 전방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와이퍼 장치의 누름압 조절 시스템.And said guide means has a stopper for limiting forward movement of the movable member at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of the movable member. 차속을 검출하기 위한 차속센서와, 일단이 와이퍼 리테이너에 연결 고정되고 타단이 하기 가동부재의 전단부에 연결 고정되어 와이퍼 누름압을 제공하는 와이퍼 부상방지용 스프링과, 전단부에 상기 스프링이 연결되고 아암 헤드 내부에 고정 설치된 가이드 수단을 따라 전후로 안내되면서 위치 조정되는 가동부재와, 상기 가동부재의 전후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센서와, 상기 가동부재의 후단부를 당겨주거나 당김을 해제하여 가동부재의 전후 위치를 조정하여 줌으로써 상기 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와, 상기 차속센서와 위치센서의 신호를 받아 차속 및 가동부재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여 현재 차속에 따라 미리 설정된 위치로 상기 가동부재의 전후 위치가 조정될 수 있도록 상기 장력조절부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에탁스를 포함하는 자동차 와이퍼 장치의 누름압 조절 시스템에 있어서, A vehicle speed sensor for detecting a vehicle speed, a wiper spring for preventing one from being connected to the wiper retainer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movable member to provide a wiper pressing pressure, and the spring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arm A movable member that is guided back and forth along the guide means fixedly installed inside the head, a posi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of the movable member, and a rear end portion of the movable member is pulled or released to release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of the movable member. Tension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spring by adjusting the, and grasp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speed and the movable member in response to the signals of the vehicle speed sensor and the position sensor, and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of the movable member to a preset position according to the current vehicle speed Etak outputting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tension adjusting unit so that the In the pressing pressure adjusting system of the vehicle wiper apparatus including, 상기 에탁스는 와이퍼 스위치의 오프 조작시에 상기 가동부재를 최대 전진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한 모터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와이퍼 장치의 누름압 조절 시스템. And wherein said etax is configured to output a motor control signal for positioning said movable member at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when said wiper switch is turned off.
KR1020040027684A 2004-04-22 2004-04-22 System for adjusting pushing pressure of wiper blade against glass surface KR1006109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7684A KR100610959B1 (en) 2004-04-22 2004-04-22 System for adjusting pushing pressure of wiper blade against glass surf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7684A KR100610959B1 (en) 2004-04-22 2004-04-22 System for adjusting pushing pressure of wiper blade against glass surfa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2359A KR20050102359A (en) 2005-10-26
KR100610959B1 true KR100610959B1 (en) 2006-08-10

Family

ID=37280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7684A KR100610959B1 (en) 2004-04-22 2004-04-22 System for adjusting pushing pressure of wiper blade against glass surfa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095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52821B (en) * 2015-11-05 2018-03-06 浙江华电器材检测研究所有限公司 Carbon fiber rod automatic takeup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5245A (en) 1985-09-03 1987-03-10 Nippon Soken Inc Control method and device of wiper for vehicle
JPH04146855A (en) * 1990-10-11 1992-05-20 Ichikoh Ind Ltd Control device of pressing force variable wiper
KR20000011397U (en) * 1998-12-02 2000-07-05 홍종만 Wiper Arm Spring Tensioning Device in Vehic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5245A (en) 1985-09-03 1987-03-10 Nippon Soken Inc Control method and device of wiper for vehicle
JPH04146855A (en) * 1990-10-11 1992-05-20 Ichikoh Ind Ltd Control device of pressing force variable wiper
KR20000011397U (en) * 1998-12-02 2000-07-05 홍종만 Wiper Arm Spring Tensioning Device in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2359A (en) 2005-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47289A2 (en) Wiper control apparatus and wiper control method
JPS61166754A (en) Windshield wiper device
US5571221A (en) Automobile windshield wiper protection device
US20050046253A1 (en) Vehicle seat section adjusting device
KR100610959B1 (en) System for adjusting pushing pressure of wiper blade against glass surface
US5953025A (en) Ink jet printer having a print head with a wiper which mov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print head at a lower velocity for wiping the print head
KR20130026227A (en) A wiper device comprising function for adjusting pushing pressure
KR100774712B1 (en) A pressure adjustment system for a vehicle&#39;s wiper
JPH068944Y2 (en) Wiper arm device
KR100579055B1 (en) Anti-rising apparatus of a wiper according to the velocity of automobile
JPH0281750A (en) Wiper device for vehicle
KR100391301B1 (en) Anti-rising device of a wiper for an automobile
JP2593686B2 (en) Arm pressure control method for vehicle wiper device
KR100214718B1 (en) Wiper device for a vehicle
US11964634B2 (en) Wiper control method and wiper control apparatus
KR20040053476A (en) Rainwater excluding system of side mirror
KR0112400Y1 (en) A device of wiper for a vehicle
KR100820390B1 (en) Wiper for vehicle
KR100680542B1 (en) Apparatus to set the wipers on the vehicles
KR200160524Y1 (en) Speed control type wiper
JP2924665B2 (en) Wiper pressing force control device
JP2009154730A (en) Onboard wiper device
JPH08282447A (en) Wiper device
JPH0253655A (en) Wiper control device
KR19980028465U (en) Automotive windshield wiper pressuriz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