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9409B1 - 비강세척수 분사용기 - Google Patents

비강세척수 분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9409B1
KR100609409B1 KR1020050072016A KR20050072016A KR100609409B1 KR 100609409 B1 KR100609409 B1 KR 100609409B1 KR 1020050072016 A KR1020050072016 A KR 1020050072016A KR 20050072016 A KR20050072016 A KR 20050072016A KR 100609409 B1 KR100609409 B1 KR 100609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container
nasal
injection pipe
wash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2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3159A (ko
Inventor
서제관
Original Assignee
서제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제관 filed Critical 서제관
Priority to KR1020050072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9409B1/ko
Publication of KR20050083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3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9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9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5/00Bath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5/04Bath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for the 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2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air or other gas pressure applied to the liquid or other product to be sprayed or atomis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olaryng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강세척수 분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비강세척수 분사용기는, 비강(鼻腔)세척수를 담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측면하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는 분사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비강세척수 분사용기에 의하면, 적은 양의 세척수가 남더라도 세척수가 잘 분사된다는 장점이 있다.
용기본체, 분사관, 분사관 방향조절부

Description

비강세척수 분사용기{A nose washer}
도 1은 종래의 비강세척수 분사용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비강세척수 분사용기의 구성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비강세척수 분사용기의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비강세척수 10: 용기본체
12: 세척수투입구 14: 용기마개
16: 분사관고정부
20: 분사관 22: 분사구
30: 분사관 방향조절부 40: 분사구마개
본 발명은 비강세척수 분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적은 양의 세척수가 남더라도 세척수가 잘 분사되는 비강세척수 분사용기에 관한 것이다.
비강(鼻腔)이란 전방은 외비공에 의해 외계로 통하고 후방은 후비공에 의해 인두와 통하고 있는 곳을 말한다.
비강(鼻腔)세척수라하면, 일반적으로는 3%의 식염수를 많이 사용하는 편이나, 근래에는 죽염을 비롯한 각종의 성분을 함유하여 기능성있는 비강세척수가 개발되고 있다.
비강세척수 분사용기라 함은 비강세척수를 비강 내로 투입시켜 비강 내부의 각종질환을 치료하거나 불순물을 제거하고, 건조함을 방지하기 위한 용기라 할 수 있다.
최근들어 자동차 배기가스로 인한 대기오염, 봄철의 화분과 황사, 환절기에 유행하는 감기 바이러스 등이 입과 코를 통하여 흡입됨으로써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축적되거나, 각종 호흡기 질환과 화분증 및 감기를 유발하는 일이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코골이 증상을 보이는 사람들 또한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각종 호흡기 질환에 비강세척이 효과있음은 많은 의학보고서를 통하여 이미 밝혀진 바 있으며, 각종 호흡기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은 하루에 수 회씩 비강을 세척하고 있다.
종래의 비강세척은 간단하게 주사기를 이용하였으나 식염수를 주사기로 옮겨가야 하므로 비강세척이 2단계의 동작을 요구하게 하여 사용상 복잡한 단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비강세척수 분사용기가 등장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비강세척수 분사용기는 비닐소재의 세척액 팩(2) 내부에 세척수(1)가 저장되고 상기 세척수(1)의 입구에는 외부의 삽입구(3)와 연결되는 튜브(4)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삽입구(3)를 환자의 비강내로 주입하여 상기 세척액 팩(2)을 눌러주게 되면 상기 세척수(1)가 상기 튜브(4)를 통해 비강내로 주입된다.
그러나, 종래의 비강세척수 분사용기는 상기 세척액 팩(2)으로 끼워지는 상기 튜브(4)의 끝이 상기 세척액 팩(2) 입구 근처에 위치하게 되면서 상기 세척액 팩(2)의 저면으로 남아 있는 상기 세척수(1)는 토출시키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세척액 팩(2)을 기울이고 고개를 드는 과정에서, 뱉어내야 할 식염수를 식도로 통과하게 할 위험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은 양의 세척수가 남더라도 세척수가 잘 분사되는 비강세척수 분사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적은 양의 세척수가 남는 경우라도 용기를 뒤집을 필요가 없어 사용이 간편한 비강세척수 분사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비강세척 중에 고개를 들 필요가 없으므로 오염물을 함유한 세척수가 식도를 통하여 식도로 들어갈 위험이 적은 비강세척수 분사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강세척수 분사용기는 비강(鼻腔)세척수를 담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측면하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는 분사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사관중의 어느 한 곳에 위치하며, 분사관의 방향을 조절하는 주름관 형태의 분사관방향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강세척수가 분사되는 분사관의 분사구를 개폐하는 분사구마개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는 비강세척수가 투입되는 세척수투입구;와 이를 개폐하는 용기마개;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 및 분사관의 재질은 탄성력이 있는 수지 또는 고무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비강세척수 분사용기의 구성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강세척수 분사용기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강세척수 분사용기는 용기본체(10), 분사관(20)을 포함한다.
상기 용기본체(10)는 비강세척수(1)가 수용되는 부분으로서, 그 형상은 비강 세척수가 담길 수 있는 것이라면 원기둥, 사각기둥 기타 어떤 형상도 가능하다. 용기본체를 외부로부터 가압(사용자의 악력)함으로써 비강세척수가 외부로 방사되는 것으로서, 상기 용기본체(10)의 재질은 가압후 용기본체(10)의 원형을 다시 유지할 수 있는 재질이어야 한다. 수지 중에서 탄력성 있는 수지는 여러 종류가 이미 알려져 있다.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단에는 상기 세척수(1)의 주입이 가능하도록 세척수 투입구(12)와 상기 세척수투입구를 개폐하는 용기마개(14)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마개(14)는 상기 세척수(1)의 주입이 완료되면, 상기 세척수(1)가 외부로 유출되거나, 이물질이 상기 용기본체(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용기본체(10)의 측면부에는 분사관고정부(16)가 위치하게 되는데, 상기 분사관고정부(16)는 후술할 분사관(2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분사관(20)은 본 발명에 따른 비강세척수 분사용기에서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로서, 상기 분사관(20)이 형성된 위치와 분사관 자체의 형상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상기 분사관(20)은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부가 아닌 측면의 하단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용기본체(10) 바닥에 있는 비강세척수를 분출하는데 용이하다.
상기 분사관(20)은 상기 비강세척수(1)를 사용자의 비강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용기본체(10)의 바닥면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방향으로 형성되며, 내부 중앙은 상기 비강세척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관형태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비강세척을 하지 않을 때, 상기 분사관(20)은 상기 분사관고정부(16)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본체(10)에 고정하는 것이 좋다.
상기 분사관(20)의 끝단은 상기 세척수(1)가 사용자의 비강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분사구(22)가 형성된다. 상기 분사구의 형상은 사용자의 외비공(콧구멍)에 잘 삽입될 수 있도록 도 2와 같이 제조되는 것이 좋으며, 분사구(22)의 구경은 상기 분사관(20)의 구경보다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분사관방향조절부(30)는 상기 분사관(20)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함이다. 상기 분사관방향조절부(3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외비공으로 상기 분사구(22)를 쉽게 가져갈 수 있다. 상기 분사관방향조절부(30)는 주름관(꺽이는 빨대의 꺽인부분과 유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분사구마개(40)은 사용자가 구강세척을 하지 않을 경우에, 상기 세척수(1)가 외부로 유출되거나, 이물질이 상기 용기본체(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분사구(22)를 막을 수 있는 구성이면 족하다. 분사구마개(40)는 분실하지 않도록 용기본체의 측면에 끈 등을 사용하여 달아놓을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비강세척수 분사용기의 작용을 도 2와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먼저 적정량의 비강세척수(1)를 상기 용기본체(10)에 주입시킨다. 이후 상기 세척수(1)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용기마개(14)를 닫고, 분사관방향조절부(30)를 이용하여 상기 분사구(22)를 비강내부로 주입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단부를 내측방향(81)으로 서서히 압착하게 됨에 따라 상기 용기본체(10) 내부의 상기 세척수(1)는 상기 분사관(20)을 통하여 이동하게 되며, 상기 분사관(20)의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분사구(22)를 통하여 사용자의 비강내부로 주입된다.
비강세척을 마친 후에는, 상기 분사구마개(40)를 이용하여 분사구(22)를 막고, 상기 분사관방향조절부(30)를 이용하여 상기 분사관(20)을 용기본체(10)로 이동한 후에, 상기 용기본체(10)의 측면에 설치된 분사관고정부(16)에 분사관(20)을 고정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적은 양의 세척수가 남더라도 세척수가 잘 분사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분사구의 방향을 자유자재로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분사구마개를 이용하여 이물질 등이 용기에 인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비강세척 중에 고개를 들 필요가 없으므로 오염물을 함유한 세척수가 식도를 통하여 식도로 들어갈 위험이 적은 장점이 있다.

Claims (6)

  1. 비강(鼻腔)세척수를 담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측면하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는 분사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세척수 분사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사관중의 어느 한 곳에 위치하며, 분사관의 방향을 조절하는 주름관 형태의 분사관방향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세척수 분사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강세척수가 분사되는 분사관의 분사구를 개폐하는 분사구마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세척수 분사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는 비강세척수가 투입되는 세척수투입구;와 이를 개 폐하는 용기마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세척수 분사용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측면에는 상기 분사관(20)을 고정하는 분사관고정부(16);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세척수 분사용기.
  6. 상기 용기본체 및 분사관의 재질은 탄성력이 있는 수지 또는 고무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세척수 분사용기.
KR1020050072016A 2005-08-06 2005-08-06 비강세척수 분사용기 KR100609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016A KR100609409B1 (ko) 2005-08-06 2005-08-06 비강세척수 분사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016A KR100609409B1 (ko) 2005-08-06 2005-08-06 비강세척수 분사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3159A KR20050083159A (ko) 2005-08-25
KR100609409B1 true KR100609409B1 (ko) 2006-08-08

Family

ID=37269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2016A KR100609409B1 (ko) 2005-08-06 2005-08-06 비강세척수 분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940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3159A (ko) 2005-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98077B2 (ja) 鼻腔洗浄水の噴射容器
JP6264368B2 (ja) 鼻腔洗浄水の噴射容器
US20080029086A1 (en) Device and Method for Washing Nasal Passages
CN106726460B (zh) 喷雾喷嘴和洗眼罩
US7219668B2 (en) Manually-operable resuscitators
KR100609409B1 (ko) 비강세척수 분사용기
US20110137258A1 (en) Nasal rinse apparatus
KR20050083160A (ko) 비강세척수 분사용기
KR20110104577A (ko) 비강세척펌프
KR200445539Y1 (ko) 코 세척기
CN209332688U (zh) 一种洗鼻器
CN209645406U (zh) 一种喷雾洗眼器
KR200151755Y1 (ko) 비강 세척기
KR200421203Y1 (ko) 비염치료기
CN219681121U (zh) 一种连贯可调式鼻腔冲洗器
CN209019731U (zh) 一种耳鼻喉临床用喷药装置
JP2000233023A (ja) 鼻腔内洗浄器
CN2383512Y (zh) 一种洗鼻器
CN211188612U (zh) 一种可随新生儿体位变化使用的面罩雾化器
CN220327674U (zh) 一种新型鼻腔冲洗器
CN201182806Y (zh) 眼用喷雾瓶
KR200165667Y1 (ko) 코 세정기
CN220327672U (zh) 一种便携式鼻腔冲洗器
CN214129014U (zh) 一种医用眼部雾化器
KR200220811Y1 (ko) 비강 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