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8759B1 - 휴대단말기의 mms 메시지와 ems 메시지 호환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mms 메시지와 ems 메시지 호환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8759B1
KR100608759B1 KR1020040019030A KR20040019030A KR100608759B1 KR 100608759 B1 KR100608759 B1 KR 100608759B1 KR 1020040019030 A KR1020040019030 A KR 1020040019030A KR 20040019030 A KR20040019030 A KR 20040019030A KR 100608759 B1 KR100608759 B1 KR 100608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ems
mms
unit
hea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9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3552A (ko
Inventor
조성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9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8759B1/ko
Publication of KR20050093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3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8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8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5/04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21Vinyl resin
    • B32B2266/0228Aromatic vinyl resin,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와 EMS 메시지를 휴대단말기로 호환성 있게 전송하는 것으로, 아이콘 포함 텍스트를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암호화나 복호화하는 EMS 클라이언트부; MMS 메시지의 구성내용에 의하여 헤더에 멀티미디어와 이메일과 EMS 구성상태로 표시하는 제어부;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영상신호가 포함되는 멀티미디어 신호를 암호화나 복호화하는 MMS 클라이언트부; 상기 EMS 클라이언트부로부터 인가되는 메시지를 MMS 메시지로 인캡슐레이션하는 패킹부;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메시지를 전송할 상대방 수신처 번호를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메모리부; 제어부에 접속되고 오디오 신호와 다이얼링 신호와 메시지 신호와 제어신호를 입력하고 영상신호와 문자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입출력부;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기지국과 무선접속하고 메시지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장치구성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메시지를 작성하고 송신하는 경우에 EMS 메시지 또는 MMS 메시지 인지를 판단하는 시작과정; 상기 과정에서 EMS 메시지로 판단되면, EMS 클라이언트부에서 메시지를 작성하고 패킹부에서 패킹 처리하는 EMS 과정; 상기 과정의 메시지 헤더에 구성정보를 기록하고 수신처로 전송하는 헤더과정으로 이루어지는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MMS 메시지와 EMS 메시지 호환장치 및 방법{A METHOD AND A APPARATUS OF COMBINED USING BETWEEN MULTIMEDIA MESSAGE AND EMS MESSAGE FOR MOBILE PHONE}
도1 은 일반적인 메시지 처리 이동통신 시스템 기능 구성도,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메시지 전송방법 순서도,
도3 은 본 발명 휴대단말기의 MMS 메시지와 EMS 메시지 호환장치 기능 구성도,
도4 는 본 발명 휴대단말기의 MMS 메시지와 EMS 메시지 호환방법 순서도,
삭제
도5 는 본 발명 휴대단말기의 MMS 메시지와 EMS 메시지 호환을 위한 패킹처리 순서도,
도6 은 본 발명 휴대단말기의 MMS 메시지와 EMS 메시지 호환 시스템 방법,
도7 은 본 발명 휴대단말기의 MMS 메시지와 EMS 메시지 호환 과정 설명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무선부 110 : 제어부 120 : EMS 클라이언트부
130 : MMS 클라이언트부 140 : 메모리부
150 : 패킹부 160 : 입출력부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기능을 이용하여 EMS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으로, 특히, MMS 메시지(MULTIMEDIA MESSAGE SERVICE)와 EMS(ENHANCED MESSAGE SERVICE)메시지를 호환성 있게 처리하도록 하므로 휴대단말기가 송부하는 EMS 메시지를 인터넷의 컴퓨터에서 확인하도록 하는 휴대단말기의 MMS 메시지와 EMS 메시지 호환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단말기(MT: MOBILE TERMINAL)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가입 등록되고, 해당 기지국(BS)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SERVICE AREA)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이동교환국(MSC)의 감시와 제어와 스위칭에 의하여 설정된 통신경로를 경유하여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상대방과 즉시 무선접속하고 통신하는 것으로, 개인이 직접 휴대하고 이동하면서 통신하는 장점이 있는 첨단 무선통신장비 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통신장비는, 휴대단말기(MT)를 포함하여 실제 통신에 사용되는 시간이 작고, 통신을 위한 대기(STANDBY) 상태로 휴대하는 시간이 대부분이므로, 운용률 또는 사용률이 낮은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이 휴대단말기(MT)의 낮은 운용률 또는 사용률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가 개발하여 제공하는 부가서비스는, 일 예로, 무선인터넷(WIRELESS INTERNET) 접속, 문자메시지 전송, 무선 온라인 게임(ONLINE GAME), 영상메시지 전송 등이 있고, 휴대단말기 제조사(MAKER)에서 개발 생산하므로 제공되는 부가기능(이하 부가서비스라 함)은, 일 예로, 전화번호부(PHONE-BOOK) 관리, 메모 작성, 메시지 작성, 스케줄 관리, 게임, 카메라, 전자계산기, 알람, 착신벨 설정 등과 같이 다양하며, 계속 새로운 부가서비스가 개발된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부가서비스 중에서 선호도가 높은 것이 메시지 서비스이며, 상기 메시지 서비스에는 상대방에게 영상(IMAGE) 신호와 오디오(AUDIO) 신호와 문자(CHARACTER) 신호를 동시에 전송하는 MMS 서비스와, 160 바이트(BYTE) TPDU에 의한 단문메시지(SMS)를 다수 연속 사용하여 문자와 작은 아이콘 및 오디오 신호를 해당 규격에 맞도록 하여 I-MELODY 신호 또는 아이콘(ICON) 중에서 하나의 신호와 문자 신호를 동시에 전송하는 개선된 메시지 서비스 또는 EMS 서비스와, 기호와 숫자와 그래픽과 문자를 이용하여 일정한 데이터 크기 이내의 신호만 전송하는 SMS 서비스 (SHORT MESSAGE SERVICE)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메시지 서비스 중에서 영상신호가 포함되는 MMS 서비스는, 데이터 양이 크므로 채널 또는 대역폭을 많이 차지하고 점유 시간이 길어져 통신비용이 많이 소모되며, 아이콘 또는 I-MELODY와 문자메시지에 의한 EMS 서비스는 문자메시지만을 전송하는 SMS 서비스에 사용되는 채널 또는 대역폭을 그대로 이용하므로, 상기 MMS 서비스와 EMS 서비스는 사용하는 서버가 상이하여 호환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인터넷에서 점유하는 대역폭과 처리 용량이 큰 대용량의 MMS 서비스를 SMS 프로토콜을 응용하는 소용량 EMS 서비스로 호환하여 전송하도록 하는 것으로, MMS와 EMS의 호환 전송기술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MMS 메시지와 EMS 메시지 전송 방식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1 은 일반적인 메시지 처리 이동통신 시스템 기능 구성도 이고,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메시지 전송방법 순서도 이다.
상기 도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메시지 처리 이동통신 시스템은, 휴대단말기(MT: MOBILE TERMINAL)(10)에 의하여 이통(이동통신)시스템부(20)가 형성한 서비스 영역(SERVICE AREA)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상대방과 즉시 무선접속하여 통신한다.
상기 이통시스템부(20)는 서비스 영역 안에 위치하는 휴대단말기(10)로부터 수신되는 호(CALL) 접속 요청신호를 분석하고 스위칭 처리에 의하여 통신경로를 설정하며, 상기 설정된 통신경로는 상기 이통시스템부(20)에 가입된 상대방 휴대단말기(10) 이거나 다른 이통시스템부(20)에 가입된 휴대단말기(10) 등이 된다.
상기 휴대단말기(10)가 상대방에게 영상이 포함되는 MMS 메시지를 작성하여 송부하는 경우, 상기 MMS 메시지는, 상기 이통시스템부(20)에 접속된 MMS 서버부(40)에 의하여 처리되고, 상기 이통시스템부(20)가 설정한 통신경로로 전송된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10)가 상대방에게 이모티콘이 포함되는 EMS 메시지를 작성 송부하는 경우, 상기 이모티콘 메시지는, 상기 이통시스템부(20)에 접속된 EMS 서버부(30)에 의하여 처리된다.
상기 MMS 메시지이거나 EMS 메시지의 경우, 수신자를 지정하는 상대방 고유번호가 포함되며, 상기 이통시스템부(20)는 수신자 고유번호를 분석하고 해당 스위칭에 의하여 통신경로를 설정하여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설정된 통신경로를 다른 이통시스템부(20)이거나 다른 통신시스템인 경우, 상기 스위칭에 의하여 공중망(50)을 경유 접속한다.
이하, 상기 첨부된 도2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메시지 전송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휴대단말기(10)가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판단하는 경우(S10), 상기 휴대단말기는 EMS 메시지를 작성할 것인지 MMS 메시지를 작성할 것인지 판단하고(S20), 상기 판단(S20)에서 EMS 메시지를 작성하는 경우 EMS 형식으로 메시지를 작성하고 이통시스템부(20)로 송신한다(S30).
상기 이통시스템부(20)는 휴대단말기(MS)(10)로부터 인가되는 EMS 메시지 신호를 상기 EMS 서버부(30)에 인가하여 처리하고(S40), 상기 처리된 EMS 메시지는 상기 이통시스템부(20)가 스위칭(SWITCHING)으로 설정한 통신경로를 통하여 지정된 상대방에게 전송한다(S70).
또한, 상기 판단(S20)에서 휴대단말기(10)가 MMS 메시지를 작성하는 경우, 상대방에게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MMS 메시지 형식으로 작성하고, 이통시스템부(20)에 무선송신한다(S50).
상기 이통시스템부(20)는 휴대단말기(10)로부터 인가되는 MMS 메시지 신호를 상기 MMS 서버부(40)에 인가하여 처리하고(S60), 상기 처리된 MMS 메시지는 상기 이통시스템부(20)가 스위칭으로 설정한 통신경로를 통하여 지정된 상대방에게 전송한다(S70).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기술에서는, MMS 메시지를 MMS 서버부(40)에서 처리하고, EMS 메시지를 EMS 서버부(30)에서 처리하며, 상기 EMS 메시지를 MMS 서버부(40)에서 처리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즉, 상기 EMS 메시지는 기존의 단문메시지(SMS) 채널을 사용하여 160 바이트 TPDU(TRANSPORT PROTOCOL DATA UNIT)의 연속되는 데이터 포맷을 다수 사용하고 텍스트와 아이콘 데이터를 입력하며 해당 서버에서 처리하여 수신측에 전송하는 것으로, 기존의 인터넷(INTERNET)과는 관계없이 동작한다.
상기 MMS 메시지는 전송되는 데이터 용량이 크고, 구동 프로토콜도 APPLICATION/VND.WAP.MMS-MESSAGE 라는 콘텐츠 형식이며, IMAGE/WBMP, IMAGE/MIDI 들과 같은 콘텐츠 들이 MINE 구조를 통해 합쳐져 MMS 서버부에서 처리되고, 인터넷을 통하여 수신측 휴대단말기 또는 인터넷 컴퓨터에서 수신한다.
따라서, 텍스트(TEXT) 기반이며 데이터 크기가 작고 인터넷을 경유할 수 없는 EMS 메시지와 콘텐츠 기반이고 데이터 크기가 크며 인터넷을 경유하여 전송할 수 있는 MMS 메시지 사이에는 호환성을 가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작성된 EMS(ENHANCED MESSAGE SERVICE) 메시지를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메시지로 패킹 전송하고, 이통시스템의 MMS 서버부에서 처리하므로, 멀티미디어 휴대단말기이거나 인터넷 컴퓨터 이거나 EMS 휴대단말기에서도 EMS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하는 휴대단말기의 MMS 메시지와 EMS 메시지 호환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다양한 표현수단을 가지는 메시지를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암호화하거나 복호화하는 EMS 클라이언트부와; 상기 EMS 클라이언트부와 접속하고 MMS 메시지의 구성내용에 의하여 헤더에 멀티미디어와 이메일과 EMS 상태로 표시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영상신호가 포함되는 멀티미디어 신호를 암호화하거나 복호화하는 MMS 클라이언트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EMS 클라이언트부로부터 인가되는 메시지를 MMS 메시지로 인캡슐레이션하는 패킹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메시지를 전송할 상대방 수신처 번호를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되고 오디오 신호와 다이얼링 신호와 메시지 신호와 제어신호를 입력하고 영상신호와 문자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입출력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기지국과 무선접속하고 메시지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장치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메시지를 작성하고 송신하는 경우에 EMS 메시지 인지 또는 MMS 메시지 인지를 판단하는 시작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EMS 메시지로 판단되면, EMS 클라이언트부에서 메시지를 작성하고 패킹부에서 패킹 처리하는 EMS 과정과; 상기 과정의 메시지 헤더에 구성정보를 기록하고 수신처로 전송하는 헤더과정으로 이루어지는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이통시스템에 의하여 휴대단말기로부터 출력되는 MMS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헤더를 분석하는 수신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수신된 MMS 메시지 헤더를 분석하여 MMS 메시지로 판단되면 수신처로 지정된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단말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수신된 MMS 메시지 헤더를 분석하여 이메일로 판단되면 수신처로 지정된 인터넷 컴퓨터로 전송하는 메일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수신된 MMS 메시지 헤더를 분석하여 EMS 메시지로 판단되면 EMS 서버부로 전송하여 복호화하고 지정된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EMS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MMS 메시지와 EMS 메시지 호환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MMS 메시지와 EMS 메시지 호환장치 기능 구성도 이고, 도4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MMS 메시지와 EMS 메시지 호환방법 순서도 이며, 도5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MMS 메시지와 EMS 메시지 호환을 위한 패킹처리 순서도 이고, 도6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MMS 메시지와 EMS 메시지 호환을 위한 시스템 방법이며, 도7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MMS 메시지와 EMS 메시지 호환 과정 설명도 이다.
상기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MMS 메시지와 EMS 메시지 호환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BS)과 무선접속하고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메시지신호를 무선 송수신하는 무선부(100)와,
상기 무선부(100)와 접속하고, 인가되는 MMS 메시지의 구성내용에 의하여 헤더에 멀티미디어와 이메일과 EMS 상태로 표시하는 것으로, EMS 클라이언트부(120)로부터 인가되는 다수의 EMS 메시지를 패킹부(150)로 인가하여 MMS 메시지로 패킹(PACKING) 되도록 하고 부가되는 헤더에 EMS 메시지 임을 표시하며; 입출력부(160)로부터 인가되고 메모리부(140)에 기록저장되는 이메일을 상기 패킹부(150)에 인가하여 MMS 메시지로 패킹되도록 하고 부가되는 헤더에 메일 임을 표시하고; 상기 MMS 클라이언트부(130)로부터 출력되는 MMS 메시지에 헤더를 부가하고 MMS 메시지임을 표시하며; 상기 무선부(100)를 제어하여 상기 MMS 메시지를 송신과 수신하도록 하는 동시에 휴대단말기 전체의 운용을 감시하고 제어하는 제어부(110)와,
상기 제어부(110)에 접속하고 아이콘(ICON)을 포함하는 다양한 표현수단을 가지는 텍스트(TEXT) 메시지를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암호화하거나 복호화하는 것으로, 입출력부(16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다양한 색상(COLOR)과 폰트(FONT)와 크기(SIZE)의 글자체에 의한 문자메시지와 작은 크기의 이미지(IMAGE) 또는 아이콘(ICON)을 암호화 상태의 EMS 메시지로 상기 제어부(110)에 출력하거나 상기 무선부(100)로부터 수신되어 인가되는 암호화 상태 EMS 메시지를 복호화하여 출력하는 EMS 클라이언트(CLIENT)부(120)와,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영상신호가 포함되는 멀티미디어 신호를 암호화하거나 복호화하는 것으로, 상기 입출력부(16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영상신호와 문자신호와 오디오 신호에 의한 멀티미디어 신호를 작성하고 상기 제어부(11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암호화와 복호화하여 출력하는 MMS 클라이언트(CLIENT)부(130)와,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메시지를 전송할 상대방 수신처 번호를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입출력부(160)로부터 입력되는 다이얼링 신호와 제어명령 신호와 메시지 신호와 영상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며, 상기 무선부(10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와 문자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기록저장 출력하는 메모리부(140)와,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EMS 클라이언트부(120)로부터 인가되는 메시지를 MMS 메시지로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하는 것으로, 상기 EMS 클라이언트부(120)로부터 인가되는 다수의 EMS 메시지를 상기 MMS 클라이언트부(130)가 처리할 수 있는 크기의 체인 형상으로 묶어 출력하는 패킹(PACKING)부(150)와,
상기 제어부(110)에 접속되고 오디오(AUDIO) 신호와 다이얼링(DIALING) 신호와 메시지 신호와 제어신호를 입력하고 영상신호와 문자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입출력부(160)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MMS 메시지와 EMS 메시지 호환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휴대단말기 전체의 운용을 제어하고 감시하며, 상기 입출력부(160)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기능부에 인가하는 것으로, 일 예로, 상기 입출력부(160)로부터 EMS 메시지에 해당하는 것으로, 다양한 색상 및 폰트와 크기에 의한 글자체로 텍스트(TEXT)를 구성하고, 작은 크기의 영상 또는 아이콘 또는 간단한 오디오 신호 데이터와 같이 다양한 표현수단에 의한 메시지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되는 해당 데이터가 상기 EMS 클라이언트(CLIENT)부(120)로 인가되도록 하므로, EMS 메시지를 작성하고 암호화하여 출력하며, 상기 제어부(110)는 암호화된 EMS 메시지 데이터를 메모리부(140)에 기록저장하며, 상기 입출력부(160)를 통하여 입력되는 상대방 수신자 고유번호 정보와 발신을 제어하는 해당 명령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암호화된 EMS 메시지 데이터를 상기 무선부(100)를 통하여 무선송신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입출력부(160)를 통하여 영상신호, 오디오 신호, 문자 신호가 포함되는 멀티미디어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MMS 클라이언트부(130)에 인가하여 MMS 메시지 신호로 처리하여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입출력부(160)로부터 이메일에 해당하는 메시지가 입력되면 상기 메모리부(140)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한다.
상기 EMS 클라이언트부(120)로부터 작성되어 출력되는 EMS 메시지는, 160 바이트(BYTE) TPDU의 연속되는 데이터 포맷(FORMAT)을 다수 개 연속 사용하여 상기와 같은 텍스트, 작은 이미지 또는 아이콘 또는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여 작성하는 것으로, 데이터(DATA) 크기(SIZE)가 작고, 인터넷(INTERNET)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는 포맷이 아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에 의하여 데이터 크기가 작은 EMS 메시지를 상기 패킹부(150)에 다수 개 입력하여 패킹(PACKING) 하고, 상기와 같이 패킹된 다수개의 EMS 메시지를 상기 MMS 클라이언트부(130)에 인가하므로 MMS 메시지로 변환하며, 상기와 같이 MMS 메시지의 헤더부에 EMS 메시지로 구성되었다는 표시를 기록하고 상기 메모리부(140)의 할당된 영역에 잠시 기록저장한다.
상기 입출력부(160)로부터 인가되는 수신측 고유번호와 발신을 제어하는 명령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부(140)에 임시로 기록저장된 EMS 메시지로 이루어진 MMS 메시지 데이터를 상기 무선부(100)에 인가하므로, 수신처로 송신되도록 무선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입출력부(160)로부터 이메일의 메시지 데이터가 입력되면, MMS 메시지 형식의 헤더 부분에 이메일 표시를 기록하고, 상기 메모리부(140)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하며, 상기 입출력부(160)로부터 인가되는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수신처 이메일 주소와 함께 상기 무선부(100)에 인가하므로 무선송신되고, 이통시스템의 해당 스위칭 및 데이터 전송에 의하여 인터넷(INTERNET)에 접속된 해당 컴퓨터(PC)로 전송된다.
상기 입출력부(130)로부터 영상신호, 오디오 신호, 메시지 신호 등이 포함되는 멀티미디어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MMS 클라이언트부(130)에서 암호화하고, 상기 제어부(110)에 의하여 헤더에 MMS 메시지를 표시하며 상기 입출력부로부터 인가되는 수신처 정보화 발신정보에 의하여 상기 무선부(100)에 인가되어 무선출력된다.
즉,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MMS 메시지와 EMS 메시지 호환장치는, EMS 메시지를 MMS 메시지로 변환하는 동시에 EMS 메시지로 구성되었다는 표시를 헤더에 기록하여 전송하므로, 수신측에서 헤더의 기록정보를 분석하여 MMS 메시지로부터 EMS 메시지를 추출한다.
또한, 넓은 대역폭을 차지하고 큰 처리 용량을 필요로 하는 대용량 데이터의 MMS 메시지를 소용량 데이터 처리의 단문메시지(SMS) 프로토콜이 응용되는 EMS 메시지로 호환성 있게 전송한다.
또한, 이메일을 작성하여 구성하는 경우에도 멀티미디어 형태의 헤더에 이메일 메시지로 구성되었음을 표시하여 전송하고, 원래의 MMS 메시지로 구성되는 경우는 헤더에 MMS 메시지로 구성되었음을 표시하여 전송한다.
이하, 상기 첨부된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MMS 메시지와 EMS 메시지 호환방법을 설명한다.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MT)에 의하여 메시지를 작성하고 송신하는 경우에 EMS 메시지 인지 또는 MMS 메시지 인지를 판단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MT)의 제어부(110)에 의하여 메시지(MESSAGE)를 작성하고 지정된 상대방에게 송신할 것인지 판단하는 과정(S100); 상기 과정(S100)에서 메시지를 작성 송신하는 경우 EMS 메시지를 작성 송신하는지 또는 MMS 메시지를 작성 송신하는지 판단하는 과정(S110)으로 이루어지는 시작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EMS 메시지로 판단되면, EMS 클라이언트부(120)에서 메시지를 작성하고 패킹부(150)에서 패킹 처리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EMS 클라이언트부(120)에 의하여 색상(COLOR)과 폰트(FONT)와 크기(SIZE)가 반영되는 텍스트(TEXT)에 데이터 크기가 작은 영상(IMAGE)신호 또는 아이콘(ICON)을 포함하는 다양한 표현수단을 가지는 EMS 메시지를 작성하는 과정(S120); 상기 과정(S120)에서 작성된 다수 EMS 메시지를 패킹부(150)에 의하여 연쇄(CONCATENATED) 형태로 구성하므로 패킹(PACKING)처리하는 과정(S130)으로 이루어지는 EMS 과정과,
상기 과정의 메시지 헤더에 구성정보를 기록하고 수신처로 전송하는 것으로, 상기 MMS 클라이언트부(130)에서 작성된 MMS 메시지의 헤더(HEADER)에 수신처에서 확인할 구성정보를 기록하는 과정(S140); 상기 과정(S140)의 MMS 메시지를 지정된 상대방 수신처에 전송하는 과정(S150)으로 이루어지는 헤더과정과,
상기 시작과정(S110)에서 MMS 메시지로 판단되면, MMS 클라이언트부(130)에서 MMS 메시지를 작성하고 상기 헤더과정(S140)으로 진행하는 멀티미디어 과정(S160)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MMS 메시지와 EMS 메시지 호환방법을 상기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휴대단말기는 메시지를 작성하여 송신하고자 하는지 판단하고(S100), 상기 판단(S100)에서 메시지를 작성하여 송신 또는 송부하는 경우, 입력되는 메시지가 EMS 메시지 인지 또는 MMS 메시지 인지를 판단한다(S110).
상기 과정(S110)에서 EMS 메시지로 판단되면, EMS 클라이언트부(120)에 인가하여 EMS 메시지로 작성하고,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패킹부(150)에 인가되므로 다수의 EMS 메시지가 하나의 메시지로 패킹(PACKING) 된다(S130).
상기 첨부된 도5를 참조하면 다수의 EMS 메시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패킹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일 예로, 3개의 EMS 메시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하나의 포맷으로 패킹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과정(S130)에서 패킹된 EMS 메시지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MMS 클라이언트부(130)에 인가하므로, MMS 메시지의 포맷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에서 생성된 헤더에 구성정보를 표시 기록한다(S140).
상기 첨부된 도5를 참조하면, 패킹(PACKING)된 EMS 메시지 데이터가 MMS 메시지 데이터로 변환되어 생성된 헤더(HEADER)의 구성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와 같은 구성의 MMS 메시지 데이터를, 상기 입출력부(160)를 통하여 입력된 수신자 번호를 참조하여 무선부(100)에 출력하므로 지정된 상대편으로 전송한다(S150).
또한, 상기 시작과정(S110)에서 판단하여 MMS 메시지 작성으로 판단되면, 상기 MMS 클라이언트부(130)를 통하여 이메일이 포함되는 MMS 메시지를 작성하고(S160), 상기 헤더과정(S140)으로 진행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MT)에서 EMS 메시지를 MMS 메시지로 변환하고 헤더에 EMS 메시지로 구성되었음을 표시하여 전송하므로, EMS 메시지를 인터넷으로 전송하는 호환성이 있다.
이하, 상기 첨부된 도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MMS 메시지와 EMS 메시지 호환 시스템 방법을 설명한다.
이통시스템에 의하여 휴대단말기로부터 출력되는 MMS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헤더를 분석하는 것으로, 이통시스템에 의하여 휴대단말기로부터 무선출력되는 MMS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S200); 상기 과정(S200)에서 판단하여 MMS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이통시스템에 의하여 수신되는 MMS 메시지의 헤더(HEADER)를 분리 분석하는 과정(S210)으로 이루어지는 수신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수신된 MMS 메시지 헤더를 분석하여 MMS 메시지로 판단되면 수신처로 지정된 휴대단말기(MT)로 전송하는 것으로, 상기 수신 입력되어 분리 분석된 헤더(HEADER) 값이 휴대단말기(MT)가 수신하는 MMS 메시지인지를 판단하는 과정(S220); 상기 과정(S220)에서 분리 분석된 헤더 값이 MMS 메시지이면 수신처로 지정된 휴대단말기(MT)로 전송되도록 경로를 설정하고 전송하는 과정(S230)으로 이루어진 단말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수신된 MMS 메시지 헤더를 분석하여 이메일로 판단되면 수신처로 지정된 인터넷(INTERNET) 컴퓨터(PC)로 전송하는 것으로, 상기 수신 입력되어 분리 분석된 헤더 값이 MMS 메시지를 인터넷에 접속된 컴퓨터가 수신하는 메일(E-MAIL) 헤더(HEADER)인지 판단하는 과정(S240); 상기 과정(S240)에서 분리 분석된 헤더 값이 메일 헤더이면 수신처로 지정된 인터넷의 컴퓨터로 전송되도록 경로(PATH)를 설정하고 전송하는 과정(S250)으로 이루어진 메일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수신된 MMS 메시지 헤더를 분석하여 EMS 메시지로 판단되면 이통시스템에 접속되는 EMS 서버부(EMS SERVER)로 전송하여 복호화하고 지정된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으로, 상기 수신 입력되어 분리 분석된 헤더 값이 휴대단말기가 수신하는 EMS 메시지인지를 판단하는 과정(S260); 상기 과정(S260)에서 분리 분석된 헤더 값이 EMS 메시지로 판단되면 수신된 메시지를 이통시스템의 EMS 서버부(SERVER)부로 전송하는 과정(S270); 상기 과정(S270)에서 처리된 EMS 메시지를 수신하는 휴대단말기(MT)와의 전송경로를 설정하고 전송하는 과정(S280)으로 이루어진 EMS 과정으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MMS 메시지와 EMS 메시지 호환 시스템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통시스템은, 이동통신 시스템을 말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MT)와 무선접속하여 데이터 신호를 무선 송수신하는 기지국(BS: BASE STATION)과 상기 기지국을 제어하고 관리하며 호접속 요청신호를 분석하여 스위칭(SWITCHING) 처리하므로 통신경로를 설정하고 가입된 휴대단말기의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DATA BASE)화하여 관리하는 이동교환국(MSC: MOBILE SWITCHING CENTER)이 포함되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이통시스템은 휴대단말기(MT)로부터 메시지(MESSAGE)가 무선수신되는지를 판단하고(S200), 상기 판단(S200)에서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통시스템에 의하여 메시지의 헤더(HEADER)를 분리 분석하며(S210), 상기 과정(S210)에서 분석한 헤더(HEADER) 값이 MMS 메시지로 판단되면(S220), 상기 이통시스템의 해당 스위칭(SWITCHING)에 의하여 설정된 통신경로를 통하여 접속된 휴대단말기로, 상기 수신된 MMS 메시지를 전송한다(S230).
상기 과정(S210)에서 헤더를 분석하여, 컴퓨터로 전송되는 이메일(E-MAIL) 메시지로 구성되었으면(S240), 상기 이통시스템은 인터넷(INTERNET)을 통하여 설정된 통신경로로 상기 수신된 MMS 메시지를 전송하므로(S250), 주소(ADDRESS)가 일치하는 컴퓨터(PC)에서 수신하고 확인한다.
또한, 상기 헤더(HEADER) 값을 분석하여 EMS 메시지로 구성된 것으로 판단되면(S260), 이통시스템은 상기 수신한 MMS 메시지를 EMS 서버부로 전송하여 해당 처리하도록 하므로, 패킹되어 결합된 다수 EMS 메시지를 분리하고, 분석하여 각각의 수신자를 확인하며(S270), 상기 과정(S270)에서 확인된 수신자의 전송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전송경로를 통하여 수신측 휴대단말기에 상기 EMS 메시지를 전송한다(S280).
상기 첨부된 도7을 참조하면,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전송되는 각 메시지가 최종 목적지인 수신자에게 전송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맨 위는 휴대단말기로부터 MMS 메시지를 상대편 휴대단말기에 전송하는 경우이다.
즉, MMS 메시지를 송신하는 휴대단말기(MMS CLIENT)는 헤더(HEADER)에 멀티미디어로 구성되어 있음을 표시하고 전송하므로, 이통시스템의 스위칭에 의하여 MMS 서버부에 전송되고, 상기 MMS 서버부에 의하여 수신측 휴대단말기로 전송된다.
상기 도7의 가운데 도시된 것은, 휴대단말기에서 이메일을 작성하여 인터넷에 접속된 컴퓨터에 전송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MT)가 MMS 메시지로 패킹한 이메일이 이통시스템에 의하여 MMS 서버부로 전송되고, 인터넷 망을 통하여 지정된 상대방이 접속된 시스템의 메일 서버(MAIL SERVER)에 인가되며, 상기 메일서버에서는 입력된 MMS 메시지를 분석하여 해당 컴퓨터에 이메일을 전송하는 상태이다.
상기 도7의 아래에 도시된 것은, 휴대단말기(MT)에서 EMS 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가 MMS 메시지로 패킹한 EMS 메시지는 MMS 서버부로 인가되고, 상기 MMS 서버부에서는 EMS 메시지 인 것을 확인하여 EMS 서버부로 전송하며, 상기 EMS 서버부에서 EMS 메시지를 수신하는 상대방 수신측 휴대단말기로 메시지를 전송하고 있는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EMS 메시지를 패킹하여 MMS 메시지로 변환하고 인터넷을 통하여 전송하므로, 결국 EMS 메시지를 MMS 메시지와 같이 인터넷으로 전송하는 호환성을 제공한다.
또한, 대역폭을 많이 차지하고 처리 용량이 커야만 되는 대용량의 MMS 메시지를 단문메시지(SMS) 프로토콜이 응용 사용되는 EMS 메시지로 호환 전송하는 장점 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작성된 EMS 방식 메시지를 패킹하여 MMS 메시지로 변환하고 헤더에 메시지의 구성상태를 표시 기록 전송하므로 수신측에서 확인하여 해당 경로로 전송되도록 호환성을 제공하는 산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또한, EMS 메시지를 패킹하여 MMS 메시지로 변환하므로 인터넷을 통하여 전송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넓은 대역폭과 많은 신호의 처리 용량을 필요로 하는 대용량의 MMS 메시지를 단문메시지(SMS) 프로토콜을 응용 사용하는 EMS 메시지로 호환하여 전송하는 사용상의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다양한 표현수단을 가지는 메시지를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암호화하거나 복호화하는 EMS 클라이언트부와,
    상기 EMS 클라이언트부와 접속하고 MMS 메시지의 구성내용에 의하여 헤더에 멀티미디어와 이메일과 EMS 상태로 표시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영상신호가 포함되는 멀티미디어 신호를 암호화하거나 복호화하는 MMS 클라이언트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EMS 클라이언트부로부터 인가되는 메시지를 MMS 메시지로 인캡슐레이션하는 패킹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메시지를 전송할 상대방 수신처 번호를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되고 오디오 신호와 다이얼링 신호와 메시지 신호와 제어신호를 입력하고 영상신호와 문자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입출력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기지국과 무선접속하고 메시지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MMS 메시지와 EMS 메시지 호환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EMS 클라이언트부로부터 인가되는 다수 EMS 메시지를 패킹부로 인가하여 MMS 메시지로 패킹되도록 하고 부가되는 헤더에 EMS 메시지 임을 표시하며,
    상기 입출력부로부터 인가되고 메모리부에 기록저장되는 이메일을 상기 패킹부에 인가하여 MMS 메시지로 패킹되도록 하고 부가되는 헤더에 메일 임을 표시하고,
    상기 MMS 클라이언트부로부터 출력되는 MMS 메시지에 헤더를 부가하고 MMS 메시지임을 표시하며,
    상기 무선부를 제어하여 상기 MMS 메시지를 송신과 수신하도록 하는 동시에 휴대단말기 전체의 운용을 감시하고 제어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MMS 메시지와 EMS 메시지 호환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EMS 클라이언트부는, 상기 입출력부로부터 인가되며 색상과 폰트와 크기가 지정되는 문자메시지와 작은 크기의 이미지를 암호화 상태의 EMS 메시지로 상기 제어부에 출력하거나 상기 무선부로부터 수신되어 인가되는 암호화 상태 EMS 메시지를 복호화하여 출력하는 구성이고,
    상기 패킹부는, 상기 EMS 클라이언트부로부터 인가되는 다수의 EMS 메시지를 상기 MMS 클라이언트부가 처리할 수 있는 크기의 체인 형상으로 묶어 출력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MMS 메시지와 EMS 메시지 호환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MMS 클라이언트부는,
    상기 입출력부를 통하여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영상신호와 문자신호와 오디오 신호에 의한 멀티미디어 신호를 작성하고 상기 제어부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암호화와 복호화하여 출력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MMS 메시지와 EMS 메시지 호환장치.
  5.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메시지를 작성하고 송신하는 경우에 EMS 메시지 인지 또는 MMS 메시지 인지를 판단하는 시작과정과,
    상기 시작과정에서 EMS 메시지로 판단되면, EMS 클라이언트부에서 메시지를 작성하고 패킹부에서 패킹 처리하는 EMS 과정과,
    상기 시작과정에서 MMS 메시지로 판단되면, MMS 클라이언트부에서 MMS 메시지를 작성하는 멀티미디어 과정과,
    상기 과정의 메시지 헤더에 구성정보를 기록하고 수신처로 전송하는 헤더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MMS 메시지와 EMS 메시지 호환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과정은,
    휴대단말기의 제어부에 의하여 메시지를 작성하고 지정된 상대방에게 송신할 것인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메시지를 작성 송신하는 경우 EMS 메시지를 작성 송신하는지 MMS 메시지를 작성 송신하는지 판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MMS 메시지와 EMS 메시지 호환방법.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EMS 과정은,
    휴대단말기의 EMS 클라이언트부에 의하여 색상과 폰트와 크기가 반영되는 텍스트에 데이터 크기가 작은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EMS 메시지를 작성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작성된 다수 EMS 메시지를 패킹부에 의하여 연쇄 형태로 구성하므로 패킹 처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MMS 메시지와 EMS 메시지 호환방법.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과정은,
    상기 MMS 클라이언트부에서 작성된 MMS 메시지의 헤더에 수신처에서 확인하는 구성정보를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의 MMS 메시지를 지정된 상대방 수신처에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MMS 메시지와 EMS 메시지 호환방법.
  9. 이통시스템에 의하여 휴대단말기로부터 출력되는 MMS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헤더를 분석하는 수신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수신된 MMS 메시지 헤더를 분석하여 MMS 메시지로 판단되면 수신처로 지정된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단말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수신된 MMS 메시지 헤더를 분석하여 이메일로 판단되면 수신처로 지정된 인터넷 컴퓨터로 전송하는 메일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수신된 MMS 메시지 헤더를 분석하여 EMS 메시지로 판단되면 EMS 서버부로 전송하여 복호화하고 지정된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EMS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MMS 메시지와 EMS 메시지 호환 시스템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과정은,
    이통시스템에 의하여 휴대단말기로부터 무선출력되는 MMS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판단하여 MMS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이통시스템에 의하여 수신되는 MMS 메시지의 헤더를 분리 분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MMS 메시지와 EMS 메시지 호환 시스템 방법.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과정은,
    상기 수신 입력되어 분리 분석된 헤더 값이 휴대단말기가 수신하는 MMS 메시지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분리 분석된 헤더 값이 MMS 메시지이면 수신처로 지정된 휴대단말기로 전송되도록 경로를 설정하고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MMS 메시지와 EMS 메시지 호환 시스템 방법.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과정은,
    상기 수신 입력되어 분리 분석된 헤더 값이 MMS 메시지를 인터넷에 접속된 컴퓨터가 수신하는 메일 헤더인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분리 분석된 헤더 값이 메일 헤더이면 수신처로 지정된 인터넷의 컴퓨터로 전송되도록 경로를 설정하고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MMS 메시지와 EMS 메시지 호환 시스템 방법.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EMS과정은,
    상기 수신 입력되어 분리 분석된 헤더 값이 휴대단말기가 수신하는 EMS 메시지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분리 분석된 헤더값이 EMS 메시지로 판단되면 수신된 메시지를 EMS 서버부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처리된 EMS 메시지를 수신하는 휴대단말기와의 전송경로를 설정하고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MMS 메시지와 EMS 메시지 호환 시스템 방법.
KR1020040019030A 2004-03-19 2004-03-19 휴대단말기의 mms 메시지와 ems 메시지 호환장치 및 방법 KR100608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9030A KR100608759B1 (ko) 2004-03-19 2004-03-19 휴대단말기의 mms 메시지와 ems 메시지 호환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9030A KR100608759B1 (ko) 2004-03-19 2004-03-19 휴대단말기의 mms 메시지와 ems 메시지 호환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3552A KR20050093552A (ko) 2005-09-23
KR100608759B1 true KR100608759B1 (ko) 2006-08-08

Family

ID=37274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9030A KR100608759B1 (ko) 2004-03-19 2004-03-19 휴대단말기의 mms 메시지와 ems 메시지 호환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87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36936B (zh) * 2023-06-14 2023-08-18 之江实验室 一种数据存储系统、方法、存储介质及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3552A (ko) 2005-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61224B1 (en) System and protocol for extending the function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messaging
EP1261180A2 (en) System for personal messaging
CN1964330A (zh) 在便携终端上提供多媒体电子邮件服务的系统和方法
KR20050051665A (ko) 적어도 두 개의 단말기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메시지를 통신할 수 있는 방법
US20060128387A1 (en) Method of providing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KR100871223B1 (ko)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0608759B1 (ko) 휴대단말기의 mms 메시지와 ems 메시지 호환장치 및 방법
KR20050088706A (ko)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메시지 전송장치 및 송수신 방법
KR10073296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와 컴퓨터의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메시지 전송 방법
KR100748991B1 (ko) 메시지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05154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회신메시지 표시방법
KR100661583B1 (ko) 유니코드를 포함하는 에스엠에스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서비스 방법
KR10049697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관리방법
WO2001072001A2 (en) Method of, and means for charging of delivering mobile or wireless information services
KR101163486B1 (ko) 메시지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0444138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태그 메세지 전송 방법
KR20070005774A (ko) 발신자 식별 정보 표시 서비스가 가능한 무선통신 단말기및 그 방법
KR20070049702A (ko) 특수 효과가 적용된 문자 메시지를 출력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0675165B1 (ko) 답장요청 문자메시지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814216B1 (ko) 음성설명이 포함된 mms서비스 구현방법
KR100430388B1 (ko) Sms 메시지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0806499B1 (ko)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머리말 및 꼬리말 사용 방법
KR100664198B1 (ko) 휴대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제목 입력장치, 제목 입력방법 및 제목 표시방법
KR20020093428A (ko) 단문메시지 전송시스템
KR200420237Y1 (ko) Sms를 이용한 플래쉬 컨텐츠 전송 및 문자 합성이 가능한이동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