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8653B1 - 지그비 무선 통신을 이용한 실내 위치 인식 방법 - Google Patents

지그비 무선 통신을 이용한 실내 위치 인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8653B1
KR100608653B1 KR1020050000881A KR20050000881A KR100608653B1 KR 100608653 B1 KR100608653 B1 KR 100608653B1 KR 1020050000881 A KR1020050000881 A KR 1020050000881A KR 20050000881 A KR20050000881 A KR 20050000881A KR 100608653 B1 KR100608653 B1 KR 100608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igbee
location
mobile
detecto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0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0608A (ko
Inventor
김진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0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8653B1/ko
Publication of KR20060080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0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8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8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3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ocating network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그비 무선 통신을 이용한 실내 위치 인식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자의 위치를 획득하여 서비스 제공시 사용해야 하지만 실내에서 GPS 시스템을 위치 측정에 활용하지 못하므로 사용자의 위치 획득시 GPS 시스템을 대체할 다른 대응 방법을 요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지그비 모바일에서 소정 주기마다 자신의 존재를 알리는 아이디 신호를 무선 전송하는 단계와;하나 이상의 지그비 감지기가 상기 지그비 모바일의 아이디 신호를 수신하여 각각 지그비 모바일의 아이디 정보와 자신의 아이디 정보를 패킷에 담아 멀티 홉 라우팅을 이용하여 위치 인식 서버로 무선 전송하는 단계와;위치 인식 서버는 상기 지그비 감지기들로부터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지그비 모바일을 감지한 지그비 감지기의 위치를 참조하여 상기 지그비 모바일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GPS 시스템이 불가능한 건물 내부에서 지그비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위치를 인식하여 사용자 위치를 판단하고, 도서관, 박물관, 놀이동산의 공공장소에서 사용자 위치를 판단하여 위치에 따른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그비 무선 통신을 이용한 실내 위치 인식 방법{METHOD FOR TRACKING POSITION INDOORS USING ZIGBEE RADIO COMMUNICATION}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지그비 위치 인식이 적용된 건물 내부를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그비 무선 통신을 이용한 실내 위치 인식 방법의 동작 흐름도.
도 3은 도 2의 위치 표시 화면을 보인 예시도.
본 발명은 지그비 무선 통신을 이용한 실내 위치 인식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그비 모바일 소지한 사용자가 건물 내에서 움직일 때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게 한 지그비 무선 통신을 이용한 실내 위치 인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기술과 인터넷의 융합은 주변 환경 내의 컴퓨팅을 서로 접속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을 구축한다. 유비쿼터스 컴퓨팅은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고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GPS 시스템은 GPS 위성의 GPS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를 계산하고, 수 십 센티미터의 분해능을 갖고 위치 감지의 좋은 성능을 발휘하지만 건물 내부에서는 GPS 신호를 수신하지 못해 위치를 측정하지 못한다.
유비쿼터스 컴퓨팅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자의 위치를 획득하여 서비스 제공시 사용해야 하지만 실내에서 GPS 시스템을 위치 측정에 활용하지 못하므로 사용자의 위치 획득시 GPS 시스템을 대체할 다른 대응 방법을 요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건물 곳곳에 지그비 감지기를 설치하고 지그비 모바일을 소지한 사용자가 건물 내에서 이동할 때 지그비 감지기에서 지그비 모바일을 감지하여 감지된 지그비 감지기의 위치를 사용자의 위치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한 지그비 무선 통신을 이용한 실내 위치 인식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그비 모바일에서 소정 주기마다 자신의 존재를 알리는 아이디 신호를 무선 전송하는 단계와;하나 이상의 지그비 감지기가 상기 지그비 모바일의 아이디 신호를 수신하여 각각 지그비 모바일의 아이디 정보와 자신의 아이디 정보를 패킷에 담아 멀티 홉 라우팅을 이용하여 위치 인식 서버로 무선 전송하는 단계와;위치 인식 서버는 상기 지그비 감지기들로부터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지그비 모바일을 감지한 지그비 감지기의 위치를 참조하여 상기 지그비 모바일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건물 내부 또는 지하처럼 GPS가 적용될 수 없는 곳에서 지그비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고자 한다. 지그비 무선 통신은 최고 속도 250kbps의 저속 데이터율을 제공하고 저가, 저전력의 특징을 가지고 설치 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지그비 무선 통신은 네트워크 계층에서 멀티 홉 라우팅을 제공하므로 각 노드는 먼 거리에 걸쳐서도 정보를 릴레이하여 정보 전달한다. 즉, 한 노드는 정보를 한 번 전송했을 때에 정보는 수신이 가능한 영역보다 먼 거리에 위치한 노드에게는 미치지 않지만 전송 노드와 목적지 노드 사이에 있는 노드들이 먼 거리에 위치한 목적지 노드에게 전달하기 위해 받은 정보를 릴레이하면 정보는 목적지 노드까지 전달된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지그비 위치 인식이 적용된 건물 내부를 보인 예시도이다.
지그비 감지기(ID1~ID14)는 건물 곳곳에 위치하고, 지그비 모바일(ZM1~ZM3)을 소지한 사용자가 건물 내에서 이동하면 지그비 모바일과 근거리에 위치한 지그비 감지기는 지그비 모바일과 무선 통신하고 멀티 홉 라우팅을 이용하여 지그비 모바일의 아이디를 위치 감지 서버(10)로 전송한다. 지그비 무선 통신에서 지그비 무선 전파의 세기를 최소로 하면 대략 3~4미터 정도 이하의 거리에서 통신이 가능하므로 지그비 감지기(ID1~ID14)는 3~4미터 정도의 간격으로 건물 곳곳에 위치하고, 지그비 모바일(ZM1~ZM3)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모드로 동작한다.
지그비 모바일(ZM1~ZM3)은 사용자에 의해 소지되고 소정 주기마다 자신의 존재를 알리는 아이디 신호를 최소 전력으로 출력한다. 지그비 감지기(ID1~ID14)는 지그비 모바일의 아이디 신호를 감지하면 지그비 모바일의 아이디 정보와 지그비 감지기의 아이디 정보를 담아 멀티 홉 라우팅을 이용하여 위치 인식 서버(10)로 전송한다.
위치 인식 서버(10)는 건물 곳곳에 설치된 지그비 감지기(ID1~ID14)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지그비 감지기(ID1~ID14)로부터 지그비 모바일의 아이디 정보와 지그비 감지기의 아이디 정보를 수신하여 지그비 감지기(ID1~ID14)의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지그비 모바일(ZM1~ZM3)의 위치를 판단하고 표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그비 무선 통신을 이용한 실내 위치 인식 방법의 동작 흐름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비 모바일에서 소정 주기마다 자신의 존재를 알리는 아이디 신호를 무선 전송하는 단계와; 지그비 감지기에서 지그비 모바일의 아이디 신호를 수신하고 지그비 모바일의 아이디 정보와 지그비 감지기의 아이디 정보를 패킷에 담아 멀티 홉 라우팅을 이용하여 위치 인식 서버로 무선 전송하는 단계와; 호스트에서 지그비 감지기로부터 패킷을 다수 수신하는 단계와; 패킷에서 지그비 모바일의 아이디에 대응한 지그비 감지기의 아이디를 추출하는 단계와; 지그비 감지기의 아이디 개수를 판단하여 둘 이상이면 지그비 모바일을 감지한 지그비 감지기가 서로 공유하는 공간에 지그비 모바일이 위치함을 판단하고 거짓이면 하나이면 지그비 감지기의 위치를 지그비 모바일의 위치로 판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지그비 모바일은 소정 주기마다(예: 1초) 자신의 존재를 알리는(지그비 모바일의 아이디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한다. 사용자가 지그비 모바일을 소지하고 건물 내로 진입하면 지그비 모바일의 아이디 신호는 지그비 감지기에 수신된다. 지그비 감지기는 수신된 아이디 신호에서 지그비 모바일의 아이디를 확인하고 지그비 모바일의 아이디 정보와 지그비 감지기의 아이디 정보를 담아 멀티 홉 라우팅을 이용하여 위치 인식 서버로 전달한다.
다수의 지그비 감지기에서 지그비 모바일의 아이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데 이런 경우 위치 인식 서버는 지그비 모바일의 아이디 신호를 수신한 지그비 감지기의 정보를 다수 수신한다. 위치 인식 서버는 각 지그비 감지기의 위치를 참조하여 지그비 모바일의 아이디 신호를 수신한 지그비 감지기가 서로 공유하는 공간에 지그비 모바일이 위치한다고 판단한다.
도 3은 도 2의 위치 표시 화면을 보인 예시도로서, 위치 인식 서버에서 지그비 감지기에 의해 감지되는 지그비 모바일의 위치를 화면에 표시하는 동작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3지그비 모바일(ZM3)의 아이디 신호는 제2지그비 감지기(ID2)에만 수신되고, 제2지그비 감지기(ID2)는 제3지그비 모바일(ZM3)의 아이디 정보와 제2지그비 감지기(ID2)의 아이디 정보를 담아 패킷을 위치 인식 서버(10)로 전송한다. 패킷은 제4,5,13지그비 감지기(ID4,ID5,ID13)에 의해 멀티 홉 라우팅되어 제13지그비 감지기(ID13)로 전달되고, 제13지그비 감지기(ID13)와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로 연결된 위치 인식 서버(10)에 전달된다.
위치 인식 서버(10)는 제2지그비 감지기(ID2)로부터 수신된 패킷에서 제3지그비 모바일(ZM3)의 아이디를 확인하고 제2지그비 감지기(ID2)에서만 제3지그비 모바일(ZM3)의 아이디를 수신하므로 도 2의 위치 표시 화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지그비 모바일(ZM3)의 위치를 제2지그비 감지기(ID2)의 위치에 표시한다.
이와 다르게, 제1지그비 모바일(ZM1)의 아이디 신호는 제4,5,6지그비 감지기(ID4,ID5,ID6)에 수신되고, 위치 인식 서버(10)는 제4,5,6지그비 감지기(ID4,ID5,ID6)로부터 수신된 패킷에서 제1지그비 모바일(ZM1)의 아이디를 확인하므로 제4,5,6지그비 감지기(ID4,ID5,ID6)의 공유 영역(20)에 제1지그비 모바일(ZM1)이 위치한다고 판단하여 도 2의 위치 표시 화면과 같이 제1지그비 모바일(ZM1)의 위치를 표시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건물 곳곳에 지그비 감지기를 설치하고 지그비 모바일을 소지한 사용자가 건물 내에서 이동할 때 지그비 감지기에서 지그비 모바일을 감지하여 감지된 지그비 감지기의 위치를 사용자의 위치로 인식함으로써 GPS 시스템이 불가능한 건물 내부에서 지그비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위치를 인식하여 사용자 위치를 판단하고, 도서관, 박물관, 놀이동산의 공공장소에서 사용자 위치를 판단하여 위치에 따른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지그비 모바일에서 소정 주기마다 자신의 존재를 알리는 아이디 신호를 무선 전송하는 단계와;하나 이상의 지그비 감지기가 상기 지그비 모바일의 아이디 신호를 수신하여 각각 지그비 모바일의 아이디 정보와 자신의 아이디 정보를 패킷에 담아 멀티 홉 라우팅을 이용하여 위치 인식 서버로 무선 전송하는 단계와;위치 인식 서버는 상기 지그비 감지기들로부터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지그비 모바일을 감지한 지그비 감지기의 위치를 참조하여 상기 지그비 모바일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비 무선 통신을 이용한 실내 위치 인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비 감지기는 복수로 이격 배치되어 수신 모드로 설정되며, 상기 지그비 모바일의 무선 전송 출력은 상기 지그비 모바일의 이격 간격을 근거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비 무선 통신을 이용한 실내 위치 인식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인식 서버의 지그비 모바일 위치 판단 단계는
    지그비 감지기로부터 패킷을 다수 수신하는 단계와;
    패킷에서 지그비 모바일의 아이디에 대응한 지그비 감지기의 아이디를 추출하는 단계와;
    지그비 감지기의 아이디 개수를 판단하여 둘 이상이면 지그비 모바일을 감지한 지그비 감지기가 서로 공유하는 공간에 지그비 모바일이 위치함을 판단하고 하나이면 지그비 감지기의 위치를 지그비 모바일의 위치로 판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비 무선 통신을 이용한 실내 위치 인식 방법.
KR1020050000881A 2005-01-05 2005-01-05 지그비 무선 통신을 이용한 실내 위치 인식 방법 KR100608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0881A KR100608653B1 (ko) 2005-01-05 2005-01-05 지그비 무선 통신을 이용한 실내 위치 인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0881A KR100608653B1 (ko) 2005-01-05 2005-01-05 지그비 무선 통신을 이용한 실내 위치 인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0608A KR20060080608A (ko) 2006-07-10
KR100608653B1 true KR100608653B1 (ko) 2006-08-08

Family

ID=37171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0881A KR100608653B1 (ko) 2005-01-05 2005-01-05 지그비 무선 통신을 이용한 실내 위치 인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86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993B1 (ko) 2008-06-02 2010-03-15 전자부품연구원 안전한 커뮤니티를 위한 위치 인식 시스템 및 그 위치서비스 방법
CN102183930A (zh) * 2011-03-18 2011-09-14 杭州电子科技大学 一种化工场景下人员定位监测系统及定位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634B1 (ko) * 2007-04-13 2009-04-24 주식회사 셀리지온 무선 사설망과 연동한 이동통신 단말기 측위 시스템 및무선 사설망 연동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측위 방법
KR100926500B1 (ko) * 2007-07-31 2009-11-12 삼성네트웍스 주식회사 근거리 정밀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0919866B1 (ko) * 2007-08-08 2009-09-3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거리정보를 이용한 절전방법 및 장치
KR101026762B1 (ko) * 2009-02-20 2011-04-08 주식회사 동광금속 무인대여 자전거의 위치 표시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993B1 (ko) 2008-06-02 2010-03-15 전자부품연구원 안전한 커뮤니티를 위한 위치 인식 시스템 및 그 위치서비스 방법
CN102183930A (zh) * 2011-03-18 2011-09-14 杭州电子科技大学 一种化工场景下人员定位监测系统及定位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0608A (ko) 2006-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aoudias et al. A survey of enabling technologies for network localization, tracking, and navigation
US10192416B2 (en) Indoor positioning and tracking using a multi-band wireless networking system
US9277524B2 (en) Cooperative localization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EP2556706B1 (en) Radio model updating
US8965284B2 (en) Facilitating positioning through Bluetooth low energy wireless messaging
KR101429954B1 (ko) 인빌딩 전파 환경 맵 생성 방법과 그를 위한 장치
US8890705B2 (en) Location determination using radio wave measurements and pressure measurements
JP5710438B2 (ja) 位置検出装置、位置管理システム、位置検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40167959A1 (en) Fire detector having beacon module forindoor positioning, and indoor positioningsystem using the same
KR101652532B1 (ko) 통신 장치, 통신 방법,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정보 관리 장치 및 통신 시스템
ITTO20110160A1 (it) Procedimento e sistema di localizzazione indoor per terminali mobili in una rete di telecomunicazione mobile cellulare e relativo terminale mobile.
KR20070009214A (ko) 영역 진입/이탈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5086579A (ja) 近距離無線通信による移動体の位置検出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608653B1 (ko) 지그비 무선 통신을 이용한 실내 위치 인식 방법
US20140094189A1 (en) Methods and arrangements to communicate environmental information for localization
KR101661330B1 (ko) 비콘 디바이스 그룹 관리
KR20130068582A (ko) 소방 시설물을 이용한 위치정보 획득 장치 및 방법
EP2653881B1 (en) Cooperative localization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100776979B1 (ko) 절대 위치 인식이 가능한 실내 위치 인식 시스템 및 실내위치 인식 방법 및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188538B1 (ko) 위치 기반의 알람 시스템, 위치 기반의 알람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기기 및 위치 기반의 알람 서비스 제공 방법
WO2016085043A1 (ko)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 간의 근접도를 기초로 그룹을 형성하는 방법
JP2018004302A (ja) 位置検出装置
KR20190080333A (ko) Ble송수신기를 이용한 보호대상자 위치정보 제공시스템 및 방법
WO2017056111A2 (en) Establishing a geo-spatial grid and location triangulation of a user/mobile device within large buildings
KR20120000353A (ko) 인빌딩 전파 측정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