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7859B1 - 다용도 차양구 - Google Patents

다용도 차양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7859B1
KR100607859B1 KR1020040058299A KR20040058299A KR100607859B1 KR 100607859 B1 KR100607859 B1 KR 100607859B1 KR 1020040058299 A KR1020040058299 A KR 1020040058299A KR 20040058299 A KR20040058299 A KR 20040058299A KR 100607859 B1 KR100607859 B1 KR 100607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shade
horizontal bar
rod
roof frame
support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8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9638A (ko
Inventor
박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양
Priority to KR1020040058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7859B1/ko
Publication of KR20060009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9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7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7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햇빛이나 먼지 및 필요한 경우에는 빗물을 차단할 수 있게 구성한 다용도 차양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관이 미려하면서 공간활용성을 극대화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주봉(110) 상단 일측에 배면 수평봉(120)과 측면 수평봉(130), 전면 수평봉(140) 및 X형 받침간(150)으로 구성된 지붕골조(300)를 구성하되, 상기 지붕골조(300)상에 차양막(200)을 씌워 고정한 다음 경사지지봉(160)으로 지붕골조(300)가 지주봉(110) 일측에 지지고정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다용도 차양구{Multipurpose pent roof device}
도 1 :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 : 도 1의 상태에서 차양막을 제거한 상태도.
도 3 : 본 발명에서 지주봉상에 수평봉이 조립구성되는 상태도.
도 4 : 도 3의 분해상태도.
도 5 : 본 발명에서 중앙에 위치하는 지주봉상에 수평봉이 조립구성되는 상태도.
도 6 : 도 5의 분해상태도.
도 7 : 본 발명에서 지주봉상에 수평봉이 조립구성되는 상태도.
도 8 : 도 7의 분해상태도.
도 9 : 본 발명에서 지붕골조 전면에 위치하는 수평봉이 조립구성되는 상태도.
도 10 : 도 9의 부분절단면 구성도.
도 11 : 본 발명에서 중앙부에 수평봉이 나란이 접하는 부분의 조립구성도.
도 12 : 도 11의 평면구성도.
도 13 : 도 11의 분해상태도.
도 14 : 본 발명에서 지붕골조 전면에 위치하는 수평봉이 조립구성되는 상태 도.
도 15 : 도 14의 분해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차양구 (110)--지주봉
(112)--고정대 (120)--배면 수평봉
(130)--측면 수평봉 (140)--전면 수평봉
(150)--받침간 (151)(152)--고정편
(160)--경사지지봉 (161)(162)--고정편
(200)--차양막 (210)--삽입부
(300)--지붕골조 (310)--브라켓
(311)(311')--연결관체 (312)--고정편
(313)(314)(315)--체결볼트 (330)--브라켓
(331)(331')--연결관체 (332)--고정편
(332')--절곡단부 (333)--보조 고정편
(334)(335)(336)(337)(339)--체결볼트
본 발명은 햇빛이나 먼지, 필요한 경우 빗물등을 차단할 수 있게 한 다용도 차양구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양구를 지지하는 지주가 일측에만 형성되 게 하여 공간활용성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외관이 미려하면서 사용이 편리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외주차장이나 실외보조휴게시설, 야적장등 실외에 설치되면서 햇빛이나 먼지, 필요한 경우 빗물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차양구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으며, 이때 사용되고 있는 차양구의 구조는 대체로 아래와 같이 구성된다.
즉 차양구를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의 모서리에 네개의 지주봉을 세운다음 연결지지봉으로 이들 각 지주봉이 연결되게 하고, 상기 지지봉 윗쪽에 지봉역활을 하는 받침봉을 삼각형상으로 설치하고, 상기 받침봉상에 차양막이나 방수원단등을 씌워 필요한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
위와같이 구성되는 차양구의 경우 햇빛이나 먼지 및 빗물등을 차단하는 기능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으나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즉 차양구를 구성하는 지주봉이 최소한 전후 좌우네모서리에 설치되어 있으며, 뒷쪽 좌우지지봉은 사용에 방해가 되지 않으나 앞쪽에 위치하는 좌우지주봉의 경우에는 차양구 아랫쪽으로 차량이나 물체가 진입하는데에 방해가 된다.
특히 차양구를 실외주차장용으로 사용하고자할 경우에는 차량의 진입에 장애가 되므로 차량의 주차에 많은 어려움이 있을 뿐 아니라, 지주봉이 위치하는 부분에는 주차할 수가 없게 되므로 효율적인 공간활용이 이루어질 수 없게 되는 등의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단점을 시정하고자 다용도 차양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차양구 전면에는 지주봉이 위치되지 않게 하여 차량의 진입이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공간활용성을 높게하며, 또한 외관이 미려한 차양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에 다수개의 지주봉을 고정설치하고, 지주봉 상단에는 지주봉을 연결하는 배면 수평봉과, 전방으로 돌출된 측면 수평봉과, 상기 측면 수평봉의 선단부를 연결하는 전면 수평봉을 각각 조립하되, 각 수평봉을 연결하는 코너부에는 돔형으로 만곡구성된 받침간을 "X"형으로 설치하여 지붕골조를 구성하고, 상기 지붕골조 윗쪽에 차양막을 덮어 씌우고, 상기 지붕골조가 지주봉 최상단에 연결되는 경사지지봉으로 지주봉 일측에 지지고정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다용도 차양구(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상태에서 차양막(200)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지주봉(110) 일측 상단에 차양막 지지용 지붕골조(300)를 조립구성하고, 상기 지붕골조(300)상에 차양막(200)을 설치한 것이다.
이들 구조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고정대(112)상에 다수개의 지주봉(110)을 일체형으로 설치하되, 상기 지주봉(110)의 갯수는 설치하고자 하는 차양막(200)의 갯수에 따라 달리 설치된다.
이때 지주봉(110)은 지면에 바로 매립하여 설치할 수도 있겠으나 고정대(112)상에 용접하거나 조립고정한 다음 상기 고정대(112)를 지면에 고정되게 하는 것이 지주봉(110)의 정확한 간격유지 및 지면에 수직상태로 설치되게 하는데에 유리하다.
지주봉(110) 상단에 설치되는 차양막 지지용 지붕골조(300)의 조립은 다음과 같다.
즉 각 지주봉(110)사이에 배면 수평봉(120)을 연결하고, 지주봉(110) 전면에는 측면 수평봉(130)을 연결하고, 상기 측면 수평봉(130) 선단부에는 전면 수평봉(140)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들 각 수평봉(120)(130)(140)의 코너부는 돔형으로 절곡구성된 받침간(150)을 "X"형으로 조립구성한다.
이때 지주봉(110) 최상단부에는 경사지지봉(160)을 연결하되, 상기 경사지지봉(160) 선단부는 측면 수평봉(130)의 선단부와 조립되게 하므로서 지주봉(110) 상단 일측에 차양막 지지용 지붕골조(300)가 안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지붕골조(300) 상부에 차양막(200)이 씌워진다.
상기 각 수평봉(120)(130)(140)과 받침간(150), 경사지지봉(160) 및 차양막(200)의 조립은 다음과 같이 된다.
먼저 지주봉(110) 상단부에 조립되는 배면 수평봉(120)과 측면 수평봉(130) 및 받침간(150)의 조립은 아래와 같다.
도 3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각 지주봉(110) 상단부에 연결관체(311)(311')와 고정편(312)으로 구성된 브라켓(310)을 각각 용접설치하되, 도 5 및 도 6에서와 같 이 하나의 지주봉(110)에 두개의 측면 수평봉(130)이 조립될 경우에는 두개의 브라켓(310)을 나란히 설치한다.
상기 각 브라켓(310)에 구성된 연결관체(311') 외면에는 배면 수평봉(120)을 끼운 다음 체결볼트(313)로 배면 수평봉(120)이 체결고정되게 하고, 동시에 연결관체(311)에는 측면 수평봉(130)을 끼운 다음 체결볼트(314)로 고정한다.
또한 브라켓(310) 중앙에 형성된 고정편(312)에는 받침간(150) 선단부에 용착구성된 고정편(151)(315)이 체결볼트로 체결되게 하므로서 지주봉(110) 상단에 배면 및 측면 수평봉(120)(130)과 받침간(150)이 조립되게 한다.
측면 수평봉(130) 선단부에 조립되는 전면 수평봉(140)과 받침간(150)의 조립은 도 9 내지 도 15에서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연결관체(331)(331')와 고정편(332) 및 절곡단부(332')로 구성된 브라켓(330)을 구성하되, 상기 각 브라켓(330)의 일측 연결관체(331)가 각 측면 수평봉(130) 선단부에 끼워지게 한 다음 체결볼트(334)로 체결고정되게 한다.
상기 브라켓(330)의 타측 연결관체(331') 외면에는 전면 수평봉(140)을 끼운 다음 체결볼트(335)로 체결고정되게 하므로서, 측면 수평봉(130) 선단부에 전면 수평봉(140)이 브라켓(330)을 통하여 견고히 고정된다.
이때 지주봉(110) 최상단부와 브라켓(330)의 고정편(332) 사이에는 경사지지봉(160)이 고정설치되게 하므로서 각 수평봉(120)(130)(140) 및 받침간(150)으로 구성되는 지붕골조(300)가 지주봉(110) 일측에 견고하게 지지된다.
상기 지주봉(110)과 경사지지봉(160)의 체결수단은 지주봉(110)의 고정편 (111)에 경사지지봉(160)의 고정편(161)을 위치시킨 다음 체결볼트(112)로 고정되게 하고, 경사지지봉(160) 선단부에 구성된 고정편(162)은 브라켓(330)의 고정편(332) 상에 안치되게 한 다음 체결볼트(336)로 체결고정되게 하면 된다.
각 수평봉(120)(130)(140)을 X형으로 연결하는 받침간(150)의 선단 고정편(152)은 도 10에서와 같이 고정편(332) 단부에 구성된 절곡단부(332')에 위치시킨 다음 체결볼트(337)로 체결고정하게 하므로서 각 수평봉(120)(130)(140) 상에 돔형상으로 체결고정된다.
이때 도 11에서와 같이 두개의 측면 수평봉(130)이 나란힌 접할 경우에는 각 수평봉마다 경사지지봉(160)을 설치할 필요없이 브라켓(330)의 고정편(332)상에 보조고정편(333)을 체결고정한 다음 상기 보조고정편(333) 상에 경사지지봉(160)의 고정편(162)을 위치시키고 체결볼트(339)로 체결고정되게 하면 된다.
위와같이 하여 각 지주봉(110) 상단 일측에 돔형상의 지붕골조(300)의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지붕골조(300) 상면에 차양막(200)을 씌우는 수단으로서는 각 수평봉(120)(130)(140)을 브라켓(310)(330)의 연결관체(311)(311')(331)(331')에 체결고정할 때 각 수평봉(120)(130)(140)이 차양막(200) 테두리에 봉착구성된 삽입부(210)에 먼저 끼워지게 한 다음 이들이 조립되게 하고, 그 이후에 돔형상의 X형 받침간(150)을 조립하면 된다.
본 발명의 다용도 차양구(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차양구(100)의 갯수는 설치장소에 따라 한개 혹은 복수개 연결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지붕골조(300)에 씌워지는 차양막(200)은 망으로된 차양막이나 방수원단으로된 차양막등 필요와 용도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눈이 많이 오는 지방의 경우 별도의 보조지주봉을 준비하였다가 눈이 올 경우 측면 수평봉(130) 선단부에 구성된 브라켓(330) 하단에 지지설치하여 사용하면 견고한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양구(100)는 실외주차장의 그늘막 용도나, 야외휴게실의 그늘막 용도 등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 차양구(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지붕골조(300)에 씌워지는 차양막(200)을 망상으로 할 경우에는 먼지나 햇빛을 차단할 뿐 아니라 공기유통이 원활하여 시원한 그늘막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차양막(200)을 방수처리된 원단을 사용할 경우에는 먼지나 햇빛차단은 물론 비까지 피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용도와 목적에 따라 차양막을 선택하여 편리하게 사용하면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차양구(100)의 경우 지붕골조(300)를 지지하는 지주봉(110)이 배면에만 구성되어 있고, 전면은 지주봉없이 완전개방되어 있어 실외주차장용도로 사용할 경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공간활용을 높일 수 있게 되고, 또한 전면에 지주봉이 없어 외관이 미려하므로 휴게실의 야외그늘막 용도로 사용시 매우 효과적이다.
본 발명 차양구(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배면에 위치하는 지주봉(110)만으로도 지붕골조(300)의 지탱이 가능한 것은 지면에 일정크기 이상의 지주봉(110)이 견고히 고정설치되고, 상기 지주봉(110) 상단에 각 수평봉(120)(130)(140)을 설치하되 상기 수평봉들을 지주봉(110) 최상단에 고정설치되면서 측면 수평봉(130)의 선단부와 하향 경사지게 연결되어 있어 지붕골조(300)가 지주봉(110) 상단 전면에 견고히 지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다양도 차양구는 차양구의 지붕골조를 지지하는 지주봉이 배면에만 구성되어 있어 차양막 아랫쪽에 위치하는 공간활용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주차시 차량의 진출입이 매우 용이하고, 외관이 미려하여 다양한 용도의 차양구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햇빛이나 빗물등을 차단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차양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지주봉(110) 상단 일측에 배면 수평봉(120)과 측면 수평봉(130) 및 전면 수평봉(140)을 브라켓(310)(330)으로 조립하되, 각 수평봉(120)(130)(140)이 연결되는 모서리에 돔형상의 받침간(150)을 연결하여 지붕골조(300)를 구성하고, 상기 지붕골조(300)상에 차양막(200)을 씌워 설치하고, 상기 지붕골조(300)가 지주봉(110) 최상단과 측면 수평봉(130)의 선단부를 연결하는 경사지지봉(160)에 의해 지주봉(110) 일측에 지지고정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차양막.
  2. 제1항에 있어서, 브라켓(310)(330) 양측에 연결관체(311)(311')(331)(331')가 형성되게 하여 각 수평봉(120)(130)(140)이 끼워져 체결고정되게 하고, 상기 각 수평봉(120)(130)(140)은 차양막(200)의 테두리에 봉착구성된 삽입부(210)에 끼워져 고정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차양막.
KR1020040058299A 2004-07-26 2004-07-26 다용도 차양구 KR100607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8299A KR100607859B1 (ko) 2004-07-26 2004-07-26 다용도 차양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8299A KR100607859B1 (ko) 2004-07-26 2004-07-26 다용도 차양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1285U Division KR200364537Y1 (ko) 2004-07-26 2004-07-26 다용도 차양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9638A KR20060009638A (ko) 2006-02-01
KR100607859B1 true KR100607859B1 (ko) 2006-08-03

Family

ID=37120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8299A KR100607859B1 (ko) 2004-07-26 2004-07-26 다용도 차양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785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9638A (ko) 2006-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93927A1 (en) Shelter having an extendable roof
CA2768812A1 (en) Vent for a tent or shelter
KR101403575B1 (ko) 캠핑 텐트
CA2556539A1 (en) Gazebos with integrated additional features
JP4712141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設置構造
KR100607859B1 (ko) 다용도 차양구
KR200364537Y1 (ko) 다용도 차양구
JP3375897B2 (ja) オーニング装置
KR200415842Y1 (ko) 설치가 용이한 천막 겸용 텐트
KR102087159B1 (ko) 조립형 텐트
US20050178421A1 (en) Tent with asymmetrical pole sleeves
KR101268221B1 (ko) 텐트
KR200237803Y1 (ko) 재래시장 통로용 지붕
KR101465731B1 (ko) 카텐트 및 카텐트 설치방법
CN210429098U (zh) 一种户外标识牌的框架结构
KR101817663B1 (ko) 조립식 차양막 구조
CN113374307B (zh) 一种可调式建筑景观亭
JP3246537U (ja) 収納用ガレージ
JP2021028458A (ja) 駐輪設備の構造
JP3057257U (ja) 雨樋付き折畳みテント
KR102173162B1 (ko) 야외 테이블용 조립식 차양 프레임
CN215055740U (zh) 一种具有导向功能的景观候车亭
KR101418541B1 (ko) 카텐트
KR20080074675A (ko) 대형텐트용 천막의 고정구조
JP2719554B2 (ja) 打ち放しゴルフ練習場の、防球ネット支柱と一体となった、勾配を持つ空中フェアウェ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