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7296B1 - 칼라센서에 의한 드럼 연주장치 - Google Patents

칼라센서에 의한 드럼 연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7296B1
KR100607296B1 KR1020040039434A KR20040039434A KR100607296B1 KR 100607296 B1 KR100607296 B1 KR 100607296B1 KR 1020040039434 A KR1020040039434 A KR 1020040039434A KR 20040039434 A KR20040039434 A KR 20040039434A KR 100607296 B1 KR100607296 B1 KR 100607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drum
color
ligh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9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4301A (ko
Inventor
이문기
Original Assignee
이문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문기 filed Critical 이문기
Priority to KR1020040039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7296B1/ko
Publication of KR20050114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4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7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7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3/00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Details or accessories therefor
    • G10D13/01General design of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 G10D13/02Drums; Tambourines with drumhead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405Beam sensing or control, i.e. input interfaces involving substantially immaterial beams, radiation, or fields of any nature, used, e.g. as a switch as in a light barrier, or as a control device, e.g. using the theremin electric field sensing principle
    • G10H2220/411Light bea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461Transducers, i.e. details, positioning or use of assemblies to detect and convert mechanical vibrations or mechanical strains into an electrical signal, e.g. audio, trigger or control sign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드럼셋을 구성하는 서로 다른 색의 표면으로 이루어진 드럼패드 영역을 북채로 두드리면 북채에 부착된 타격 강도 센서가 타격 순간에 타격 강도를 감지하여 그 순간에 북채의 두드리는 부분에 부착된 광원에서 빛을 방사하여 패드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의 색을 검출하여 그 색에 할당된 드럼 소리를 타격 강도에 비례하는 소리의 음량으로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연주장치.
전자 드럼, 퍼커션, 칼라센서, 가속도센서

Description

칼라센서에 의한 드럼 연주장치{Percussion instrument using color sensor}
도1a는 본 발명의 외관 구성도.
도1b는 본 발명의 기능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구체적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체적 구성도
도4a는 실린더와 스프링으로 구성된 타격강도센서
도4b는 축과 스프링으로 구성된 타격강도센서
도5는 망치형 북채의 구조도
도6는 망치형 북채의 주름의 구조도
<도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d: 패드부 St : 북채부
Li : 광원부 Co : 칼라센서부
Lo : 외부광원 Cf : 칼라필름
Sr : 재귀반사필름 T:북채부의 손잡이
H : 북채부의 머리부분 F,S : 도전성 스프링 단자
SP1,SP2 : 도전성 스프링 CY : 도전성 실린더
FI : 스프링의 고정단 MO : 스프링의 자유단
AX : 도전성 축 Cs : 케이스
Ha : 망치형 북채 Fo : 주름
Wi : 투명창
본 발명은 칼라센서를 이용한 드럼 연주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임의의 면을 적당한 드럼 패드 영역으로 나누고 각 패드영역에 서로 다른 색을 지니게 하고 ,이 패드 영역을 북채로 두드리면 북채에 부착된 타격 강도 센서가 두드리는 순간에 두드린 세기를 감지하여 그 순간에 드럼채의 패드를 두드리는 부분에 부착된 광원에서 빛을 방사하여 두드린 패드로부터 반사된 빛의 색을 드럼 채의 두드리는 부분에 부착된 칼라 센서로 인식하여 인식된 색에 할당된 드럼 소리를 두드린 세기에 비례하는 음량으로 발생시키거나 외부 장치에 칼라센서로 검출한 칼라값과 두드린 세기 값을 전송하는 장치이다.
종래의 전자 드럼장치는 패드에 드럼채로 두드린 충격을 감지하는 센서가 부착되어있어서 두드린 패드와 세기를 감지해서 드럼 소리를 발생시키게 되어있다. 이러한 방식의 장치는 북채로 패드를 두드린 세기를 검출하는 충격 감지 센서가 패드 수만큼 필요하고 패드에 센서를 부착해야 하므로 드럼장치의 소형화에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을 사용하면 북채에 부착될 충격 감지 센서는 북채 하나에 한 개씩 이면 충분하고 색이 칠해진 임의의 평면(예를 들면 두루마리처럼 말 거나 접어서 보관이 가능한 비닐시트 형태의 패드)을 두드려서 드럼 연주를 할 수 있기 때문에 큰 부피를 차지하는 종래의 무거운 패드장치와 달리 가볍고 휴대가 간편한 드럼 연주장치를 구성하여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드럼 연주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기존의 드럼 연주장치가 갖는 한계를 극복하여, 부피를 거의 차지하지 않고 가벼운 장치를 구성하여 드럼 연주를 할 수 있어, 휴대, 설치, 보관이 편리한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1a는 두루마리처럼 말아서 보관할 수 있는 비닐 시트의 면 위에 서로 다른 색의 패드를 원형으로 2행4열 인쇄한 본 발명에 따른 드럼 연주장치의 실시예의 외관 구성도이고 도1b는 장치의 기능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임의의 평면을 드럼셋을 구성하는 다수의 드럼패드 영역으로 나누고 그 영역을 서로 다른 색을 띠게 하여 구분한 패드부(Pd)와 이 패드부를 두드려서 드럼 연주를 하는 북채부(St)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북채부(st)는 상기 패드부(Pd)를 북채가 때리는 타격강도를 감지하는 타격강도센서부와, 북채가 때린 패드에 백색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Li)와, 패드에서 반사된 광원부의 빛의 색을 검출하는 칼라 센서부(Co)와, 상기 타격 강도 센서부, 광원부, 그리고 칼라 센서부를 콘트롤하여 북채가 때린 패드의 색과 타격 강도를 알아내는 콘트롤부로 구성된다. 콘트롤부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의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작용을 한다. 압전 소자 또는 충격에 의해 휘어지는 스트레인 게이지 또는 가속도 센서 등의 기존 기술로 구성 가능한 타격 강도 센서부가 검출한 타격 강도가 마이크로 콘트롤러에 입력되면 그 순간에 광원부(Li)에서 빛을 방사하도록 한 후 칼라센서(Co)에서 감지한 칼라 값을 입력 받는다. 입력된 칼라 값을 미리 메모리에 기억된 패드의 기준 칼라 값과 비교를 해서 가장 유사한 기준 칼라값을 구한다. 이는 측정된 칼라 값과 메모리에 기록된 기준 칼라 값 사이의 거리를 구해서 그 거리가 가장 작은 경우의 기준 칼라를 구하면 된다. 여기서 사용하는 거리는 칼라의 3원색 성분(Red, Green, Blue)값을 각각 x, y, z좌표로 보고 3차원 유클리드공간에서 두 점 사이의 거리를 구하면 된다. 그러면 메모리에 기록된 기준 칼라에 할당된 음색과 타격 강도에 비례하는 음량의 소리를 발생시키도록 음 발생부에 신호를 보내서 드럼 연주를 하거나 통신부를 통해 외부 장치에 음색과 음량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장치는 PC나 스마트폰 또는 PDA일 수 있고 통신부는 USB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다음은 기준 칼라와 측정된 칼라사이의 거리를 계산해서 두드린 패드의 색을 알아내는 방법의 자세한 설명이다. 도1a와 같이 비닐, 천 또는 종이로 된 패드부 표면에 2 행 4열로 원형의 패드 8개가 서로 다른 색으로 인쇄되어있는 경우를 생각하자. 그 색은 빨강(red), 녹색(green), 파랑(blue), 청색(cyan), 노랑(yellow), 등황(magenta), 흰색(white), 검은색(black) 이라 하고 이를 빨강에서 검은색까지 차례로0번 패드색, 1번 패드색,~ 7번 패드색이라 하자. 북채로 패드를 두드리면 타격 강도 센서부가 타격 순간에 타격 세기를 감지해서 콘트롤 부에 신호를 보내면 콘트롤 부는 광원부에 신호를 보내 빛을 방사하게 한 후 칼라 센서로부터 칼라 값을 입력 받아 칼라 센서에 의해 입력된 칼라 값과 0번 패드 칼라부터 7번 패드 칼 라까지 차례로 거리를 계산 한다. 칼라 센서는 공지의 기술로써 예를 들면 RGB필터가 각각 부착된 3개의 포토 트랜지스터와 AD콘버터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입력된 칼라값을(r,g,b)라고 하고 j번째 패드의 칼라 값을 (rj,gj,bj)라 하자(j=0,1,~7) 그러면 두 칼라 사이의 유클리드 공간거리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4023527478-pat00001
여기서 dj는 입력 칼라와 j번째 패드의 색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공식으로 d0,d1,~d7을 구한 후 그중 가장 작은 값 dk를 구한다. 즉 k번째 패드의 칼라와 입력된 칼라 사이의 유클리드 거리가 최소라면 그때 두드린 패드의 색은 k번째 칼라라고 판정하고 k번째 패드에 할당된 음색의 드럼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dk 값이 미리 정해놓은 임계값보다 크면 불확실한 색이라 판정하고 더 이상 진행하지 않게 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사용자가 패드에 할당된 색 이외의 다른 색의 물체를 두드린 경우 드럼 소리가 연주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 때 두드린 세기를 알고 있으므로 소리의 크기를 두드린 세기에 비례하게 할 수 있다. 즉 두드린 패드마다 서로 다른 음색의 드럼 소리가 나게 할 수 있고, 세게 두드리면 드럼 소리가 크게 발생되고 가볍게 두드리면 드럼 소리가 작게 발생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음색 정보와 음량 정보로 북채부에 내장된 음 발생부에서 소리를 발생시킬 수도 있고, 미디 신호 포맷으로 변환되어 통신부를 통해 외부 음원에 전송되거나 usb 포맷의 신호로 변환되어 usb 인터페이스의 통신부를 통해 PC와 같은 외부 장치 에 전송될 수도 있다. 콘트롤 부에 통신부가 있는 경우에는 콘트롤 부의 음 발생부는 생략될 수도 있고, 음 발생부가 있는 경우에는 콘트롤부의 통신부가 생략될 수도 있다. 여기서 콘트롤 부는 마이컴에 한정하지 않고 마이컴에 연결될 수 있는 통신부와 음 발생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음 발생부는 북채와 분리된 별도 모듈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즉 북채에는 두드린 패드에 할당된 음색과 두드린 세기 정보를 알아내서 별도 모듈의 음 발생부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해서 소리를 발생시킬 수 도 있다. 이렇게 하면 북채에 내장하기 어려운 큰 스피커와 음원 모듈을 별도 모듈로 분리하여 큰 소리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음 발생부는 디지털 피아노와 같은 전자 악기에 사용되고 있는 공지의 기술이다. 즉 음 발생부는 PC의 사운드 카드나 미디 음원 모듈 또는 디지털 전자 악기의 음 발생부와 같은 종래의 기술을 이용해서 구성할 수 있다.
실시예1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드럼 연주 장치로 연주를 할 때 주변의 조명의 변화가 심해서 칼라 센서로 검출하는 칼라 값이 불확실한 경우 주변 조명의 영향을 제거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주변 조명이 백색광원이 아니라면 검출한 칼라 값에 그 조명의 칼라 값이 더해져서 두드린 패드의 색을 검출하기가 어려워진다. 이런 경우는 북채에 부착된 광원부에서 빛을 방사하지 않은 순간에 검출한 칼라 값과 북채에 부착된 광원부에서 빛을 방사한 순간에 검출한 칼라값의 차를 계산해서 주변 조명에의한 칼라값만큼 빼주면 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북채(H)로 패드(Pd)를 두드리면 타격 세기를 검출한 후 북채가 패드를 때리고 튀어 오르기 전 아주 짧은 순간에 두 번 칼라값을 검출한다. 이 때 그 두 번 중 한번은 북채에 부착된 광원부(Li)에서 빛을 방사하지 않은 상태에서 칼라 값(이는 주변 조명에 의한 칼라 값이다.)을 검출하고 나머지 한번은 광원부에서 빛을 방사하는 상태에서 칼라 값(이는 주변 조명과 북채의 광원부의 빛에 의한 칼라값이다.)을 검출한다. 이렇게 구한 두개의 칼라 값의 차를 계산해서 주변 조명에 의한 영향을 제거한다. 즉 광원부에서 빛을 방사하는 순간에 검출한 칼라값(r,g,b)에서 광원부에서 빛을 방사하지 않는 상태에서 검출한 칼라값(r',g',b')를 뺀 값(r-r', g-g', b-b')을 계산해서 메모리에 기록된 패드의 기준 칼라값과의 거리를 계산한다. 그 이후의 작동 순서는 앞의 설명과 동일하다.
실시예2
본 실시예 에서는 본 발명의 드럼 연주 장치로 연주를 할 때 주변의 조명의 변화가 심해서 칼라 센서로 검출하는 칼라 값이 불확실한 경우 주변 조명의 영향을 제거하기위하여 패드를 특별하게 구성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주변 조명이 백색광원이 아니라면 검출한 칼라 값에 그 조명의 칼라 값이 더해져서 두드린 패드의 색을 검출하기가 어려워진다. 이런 경우는 패드부를 도3과 같이 재귀반사면으로 구성해서 외부 광원의 영향을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재귀반사란 입사 광선을 광원 방향으로 곧바로 되돌려 반사하는 것을 말한다. 재귀반사제품은 현재 미세한 유리구슬이나 마이크로 프리즘을 필름에 도포한 것으로 야간의 도로공사 등의 작업을 할 때 착용 하는 옷이나 교통경찰의 옷에 부착하는 안전띠로 상품화가 되어있다. 이러한 재귀 반사면을 패드로 사용하면 광원부와 칼라센서부를 도 3과 같이 북채부 끝부분에 나란히 배치한 경우 칼라센서부에는 북채부의 광원부에서 방사한 빛만 입사되고 외부 광원에서 방사된 빛은 거의 입사되지 않으므로 외부 광원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게 된다. 도 3에 표시된 것과 같이 투명한 칼라필름(Cf)을 재귀반사필름(Sr) 위에 부착하면 칼라필름의 색에 해당되는 색의 빛만 재귀반사를 하게 된다. 재귀반사 필름 위에 드럼 패드마다 서로 다른 색의 칼라필름을 부착해서 드럼 패드(Pd)를 구성할 수 있다. 북채부(St)의 광원부(Li)에서 백색광을 방사하면 패드의 칼라필름에 의해 특정 칼라의 빛만 재귀반사되어 북채로 두드린 패드의 색을 칼라센서(Co)로 검출할 수 있다. 그 이후의 작동 순서는 앞의 설명과 동일하다.
실시예3
타격강도 센서부는 기존 드럼장치에 사용되는 압전 센서나 가속도 센서 또는 스트레인 게이지 등을 사용해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타격 강도에 의한 측정 전압 값을 디지털화 하려면 AD컨버터가 더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a 또는 도 4b와 같이 탄성이 다른 두개의 스프링으로 스위치를 만들어서 저렴하게 타격강도 센서부를 구성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도4a와 도4b에 나타낸 것과 같이 북채(T)에 직경이 서로 다른 도전성 스프링(SP1,SP2)으로 된 두개의 스위치를 부착하여 북채(T)로 패드를 두드리면 스프링이 휘어져 도전성 실린더(CY)나 축(AX)에 접촉함으로써 스위치가 on 상태로 되고 그 상태변화의 순간을 콘트롤부의 마이크로콘트롤러(MI)가 검출하여 북채로 패드를 두드린 세기를 계산하게 되어 있다.
도 4a의 스프링 스위치의 동작원리는 다음과 같다. 전압 Vcc에 연결된 도전성 실린더(CY) 내부에 직경이 서로 다른 두개의 스프링(SP1,SP2)이 도전성 실린더(CY) 축 위에 배치되어있다. 실린더는 북채(T)에 고정되어있다. 두개의 스프링의 실린더 밖의 부분(FI)은 북채에 고정되어있고 실린더 내부의 부분(MO)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되어있다. 두 스프링(SP1,SP2)은 풀다운 저항을 통해 접지되어있다. 이와 같은 스프링과 실린더가 부착된 북채로 패드를 두드리면 직경이 큰 스프링(SP2)이 먼저 실린더(CY)에 접촉하여 단자 F의 전압이 0볼트에서 Vcc볼트로 상승한다. 그리고 잠시 후 직경이 작은 스프링(SP1)이 실린더(CY)에 접촉하여 단자 S의 전압이 0볼트에서 Vcc로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은 단자 F 와S를 마이크로콘트롤러(MI)의 두 입력포트에 각각 연결하여 그 포트를 끊임없이 검사하면 두 스프링이 실린더에 접촉한 순간을 검출할 수 있고 그 접촉한 순간의 시간차를 측정해서 북채로 패드를 두드린 세기를 알아낼 수 있다. 즉 F에서 전압이 0볼트에서 Vcc로 상승한 후 S에서 전압이 0볼트에서 Vcc로 상승하는데 걸린 시간이 짧을수록 강하게 북채로 패드를 두드린 것이다.
실시예4
도4b에 나타낸 스프링 스위치도 도4a의 스프링 스위치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차이점은 도4a에 나타낸 도전성 실린더(CY) 대신 도전성 축(AX)을 사용했다는 점이다. 즉 서로 다른 직경의 두 스프링(SP1,SP2)이 도전성 축(AX) 위에 배치된다. 축(AX)은 북채(T)에 고정된다. 두 스프링의 일단(FI)은 각각 북채(T)에 고정되 고 나머지 일단(MO)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되어있다. 이러한 스프링과 축이 부착된 북채로 패드를 두드리면 직경이 작은 스프링(SP1)이 먼저 축(AX)에 접촉하여 도4b에 나타낸 단자 F의 전압이 0볼트에서 Vcc로 상승한다. 그리고 얼마의 시간이 지나면 직경이 큰 스프링(SP2)이 휘어져 축(AX)에 접촉하여 단자 S의 전압이 0볼트에서 Vcc로 상승한다. 이러한 F와 S단자를 마이크로콘트롤러의 입력포트에 연결하여 전압상승의 순간을 검출하면 북채로 패드를 두드린 세기를 알아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알아낸 북채의 두드린 세기는 음 발생부를 통해 발생시키는 음의 음량을 조절하는데 사용되거나 외부장치로 전송된다.
실시예5
본 실시예 에서는 본 발명의 드럼 연주 장치로 연주를 할 때 주변의 조명의 영향을 제거하기 위하여 도5에 표시된 것과 같이 북채를 망치형으로 특별하게 구성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도5에 표시된 망치형 북채는 빛을 차단하는 불투명한 재질의 망치 머리 속에 광원부와 칼라 센서부를 설치하고 망치의 머리 부분의 패드를 때리는 부분에 설치된 투명 창을 통해 광원의 빛이 패드에 반사된 후 다시 칼라 센서에 도달하게 되어있다. 망치의 머리에는 주름이 잡혀 있어서 도 6에 표시된 것과 같이 때리는 각도가 패드에 대해서 수직이 아니더라도 투명창이 패드에 밀착되게 할 수 있다. 이렇게 광원부와 칼라 센서부를 망치의 머릿속에 배치시키고 투명 창으로만 외부로부터의 빛이 들어올 수 있게 하면 망치로 패드를 때리는 순간에는 외부의 빛은 모두 차단되고 광원부의 빛만 패드에서 반사된 후 칼라 센서에 도달한다.
실시예6
도4a,도4b에서 두개의 스프링(SP1,SP2) 중 하나(SP2)를 생략할 수 있다. 이 경우 북채로 패드를 두드린 시각은 검출되지만 타격 강도는 검출되지 않는다. 유아용 드럼 연주 장치에는 스프링을 하나(SP1)만 사용해서 저렴하게 제품을 제작할 수 있다.
기타 적용례
북채부에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부를 포함하여 외부 장치나 PC와 연결하여, 검출된 북채의 타격세기와 타격된 패드영역의 정보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전송신호는 전자 악기간 신호의 표준 포맷인 MIDI 포맷일 수도 있고 본 발명의 전용 포맷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외부 장치에서는 수신된 신호로 악기 소리를 발생시키거나 게임 등의 입력 신호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C와 USB 인터페이스로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이 경우 PC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신호를 해석해서 PC의 사운드카드로 소리를 발생시키면 되므로 북채부에 별도의 음발생부를 포함시키지 않아도 된다.
또한 패드부를 드럼의 패드와 달리 실로폰 형태로 하고 각 실로폰 타격 면 위를 다른 색으로 하고 음색을 드럼 소리가 아닌 실로폰 소리로 하면 실로폰 연주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 패드부는 구별 가능한 여러 색으로 된 형태라면 어떤 형태라도 무방하다. 도1a처럼 패드부가 하나의 직사각형 필름 위에 여러 패드를 인쇄한 형태일수도 있지만 각각의 패드가 분리된 형태라도 무방하다. 즉 8개의 원형의 패드 형태의 필름에 서로 다른 색을 인쇄한 후 2행8열 형태로 사용자가 임의의 평면에 원형 패드들을 배치해 놓고 연주를 해도 무방하다. 이 경우 하나의 패 드에 꽹가리 음색을 할당하고 손에 그 패드를 꽹가리처럼 들고 북채로 두드려서 꽹가리 연주를 할 수도 있다. 또한 두개의 패드를 모형 장구에 부착한 후 장구 연주를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기술적 사상의 구체적 구현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정함에 있어서 이 실시예에 국한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효력이 미치는 기술적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해석방법에 의해 합리적으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칼라센서에 의한 드럼 연주장치에 의하면, 기존의 드럼 연주장치에 필요했던 부피를 많이 차지하고 무거운 여러 개의 연주용 드럼 패드 없이 서로 다른 색으로 구분된 임의의 평면을 북채로 두드려서 드럼 연주를 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 설치, 보관이 편리하여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손쉽게 드럼 연주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드럼 연주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는 종래의 금형에의한 패드제작과정이 불필요하므로 제조원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Claims (8)

  1. 드럼셋을 구성하는 드럼패드 영역을 서로 다른 색으로 구분한 패드부와 이 패드부를 두드려서 드럼 연주를 하는 북채부로 이루어지는 장치에서,
    상기 북채부는,
    상기 패드부를 북채가 때리는 타격강도를 감지하는 타격강도센서부와,
    북채가 때린 패드에 백색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와,
    패드에서 반사된 광원부의 빛의 색을 검출하는 칼라 센서부와,
    상기 타격 강도 센서부, 광원부, 그리고 칼라 센서부를 콘트롤하여 북채가 때린 패드의 색과 타격 강도를 알아내는 콘트롤부로 구성되는
    칼라센서에 의한 드럼 연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콘트롤부는 검출된 칼라값과 타격 강도 정보를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칼라센서에 의한 드럼 연주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콘트롤부는 칼라값에 대응하는 드럼 음색과 타격 강도에 비례하는 음량의 소리를 발생시키는 음 발생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칼라센서에 의한 드럼 연주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패드부는 패드 표면이 재귀반사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센서에 의한 드럼 연주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강도 센서부는 북채 내부에 설치된 금속실린더와, 금속실린더의 내부의 동일한 축 위에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설치되는 직경이 서로 다른 두 개의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되,
    상기 금속실린더에는 일정 전압이 인가되고, 각 스프링은 금속실린더와 반대의 전압이 연결되어 있어 각 스프링의 금속 실린더에 접촉하는 시간차를 측정하여 타격 강도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센서에 의한 드럼 연주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강도 센서부는 북채에 설치된 금속봉과, 금속봉에 삽입되되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삽입되는 직경이 서로 다른 두 개의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금속봉에는 일정 전압이 인가되고, 각 스프링은 금속봉과 반대의 전압이 연결 되어 있어 각 스프링의 금속봉에 접촉하는 시간차를 측정하여 타격 강도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센서에 의한 드럼 연주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북채부는 빛을 차단하는 불투명한 재질로 된 케이스의 내부에 광원부와 칼라센서부를 포함하고, 북채부로 패드를 두드릴 때 패드에 접촉하는 케이스의 일면에는 빛을 통과시키는 투명창이 설치되고, 투명창 주위의 케이스 면에 주름이 잡혀있어서 패드를 두드릴 때 투명창이 패드에 밀착되어 외부 빛이 차단되고 광원부의 빛만 투명창을 통해 패드에 반사된 후 칼라센서에 도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센서에의한 드럼 연주 장치
KR1020040039434A 2004-06-01 2004-06-01 칼라센서에 의한 드럼 연주장치 KR100607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9434A KR100607296B1 (ko) 2004-06-01 2004-06-01 칼라센서에 의한 드럼 연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9434A KR100607296B1 (ko) 2004-06-01 2004-06-01 칼라센서에 의한 드럼 연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4301A KR20050114301A (ko) 2005-12-06
KR100607296B1 true KR100607296B1 (ko) 2006-07-31

Family

ID=37288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9434A KR100607296B1 (ko) 2004-06-01 2004-06-01 칼라센서에 의한 드럼 연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72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697B1 (ko) * 2013-01-02 2014-05-1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키보드, 소리 재생 장치 및 소리 재생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94125A (ja) * 1986-10-08 1988-04-25 Yamatake Honeywell Co Ltd カラ−センサ
JP2000298474A (ja) * 1999-04-15 2000-10-24 Daiichikosho Co Ltd 電子打楽器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94125A (ja) * 1986-10-08 1988-04-25 Yamatake Honeywell Co Ltd カラ−センサ
JP2000298474A (ja) * 1999-04-15 2000-10-24 Daiichikosho Co Ltd 電子打楽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4301A (ko) 2005-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360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musical tone according to motion
US8723013B2 (en) Musical performance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musical performance device and program storage medium
US8198526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nput devices for instruments and/or game controllers
US8759659B2 (en) Musical performance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musical performance device and program storage medium
CN103310770A (zh) 演奏装置及演奏装置的控制方法
US7446254B2 (en) Percussion instrument using touch switch
JP2007256736A (ja) 電気楽器
CN111986639A (zh) 一种电子打击旋律乐器
CN102956226A (zh) 操作器及其操作方法
JP4240134B2 (ja) 電子打楽器
US9514729B2 (en) Musical instrumen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apable of modifying virtual instrument layout information
KR100607296B1 (ko) 칼라센서에 의한 드럼 연주장치
WO2022253218A1 (zh) 用于电子打击旋律乐器的方法、设备及电子打击旋律乐器
JP2009229680A (ja) 音発生システム
KR100644021B1 (ko) 터치 스위치에 의한 드럼 연주장치
KR101746216B1 (ko) 아두이노를 이용한 에어 드럼 연주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214752914U (zh) 一种电子乐器
KR100580820B1 (ko) 적외선 투사식 드럼 연주장치 및 그 제어방법
TW201421456A (zh) 電子感測打擊樂器
KR100490235B1 (ko) 광 스틱과 카메라를 이용한 드럼 연주장치
CN220155171U (zh) 用于电子打击乐演奏的琴键
JP3750635B2 (ja) 電子ドラム装置
KR20220094054A (ko) 터치 스위치에 의한 드럼 연주장치
CN216527988U (zh) 用于对演奏信号进行处理的电子设备以及演奏乐器
JP7353136B2 (ja) コントロー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