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6234B1 - 부품권취롤의 자동 수납 및 인출장치 - Google Patents

부품권취롤의 자동 수납 및 인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6234B1
KR100606234B1 KR1020040100184A KR20040100184A KR100606234B1 KR 100606234 B1 KR100606234 B1 KR 100606234B1 KR 1020040100184 A KR1020040100184 A KR 1020040100184A KR 20040100184 A KR20040100184 A KR 20040100184A KR 100606234 B1 KR100606234 B1 KR 100606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ke
roll
storage
tray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0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8329A (ko
Inventor
김태순
Original Assignee
김태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순 filed Critical 김태순
Priority to KR1020040100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6234B1/ko
Publication of KR20060038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8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6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6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1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magaz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0009Energy-transferring means or control lines for movable machine parts; Control panels or boxes; Control parts
    • B23Q1/0045Control panels or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22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existing or desired position of tool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2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drums or rotating tables or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4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grippers
    • B23Q7/043Construction of the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4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grippers
    • B23Q7/046Handling workpieces or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3/00Details relating to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covered by the group H01L23/00
    • H01L2223/544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 H01L2223/54413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comprising digital information, e.g. bar codes, data matri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권취롤의 자동 수납 및 인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주연에 복수개의 수납영역이 형성되고, 그 수납영역에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수납실이 구비된 카셋트를 제 1 모터에 축지하여 회동가능하게 케비넷 내부에 설치하고, 케비넷의 일측에는 수직구동부재와 수평구동부재의 작동에 따라 위치이동하여 부품권취롤을 특정위치의 수납실에 수납하거나 인출하는 트레이를 설치하므로서, 다수의 부품을 사용하는 업체에서 부품권취롤의 수납 관리가 편리함은 물론 특정위치에 수납된 부품을 검색하여 인출할 수 있으며, 네트웍으로 연결된 조립기계로부터 특정부품의 요구가 있을경우 자동으로 해당부품을 카셋트로부터 인출하여 작업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네트웍으로 연결된 관리자PC로 부품권취롤의 수납정보를 전송하여 관리자가 원거리에서 부품의 재고상태를 손쉽게 파악할수 있으며, 수납실에 수납된 부품권취롤의 수납정보를 자동보정토록 한 부품권취롤의 자동 수납 및 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부품권취롤, 케이스, 트레이, 수직구동부재, 수평구동부재, 제어수단, 공급부재

Description

부품권취롤의 자동 수납 및 인출장치{Auto collection and getting out device for parts roll}
도 1 은 본 발명의 부품권취롤 자동 수납 및 인출장치를 보인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을 보인 평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서 부품권취롤을 수납 및 인출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수납실과 트레이를 보인 도면.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공급부재를 보인 도면.
도 6 은 본 발명의 네트웍 연결상태를 보인 도면.
도 7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제어수단을 보인 블럭도.
도 8 은 부품권취롤을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부품권취롤, 2: 필름,
3: 케비넷, 4: 카셋트,
5: 수납실, 6: 받침대,
7: 제 1 모터, 8: 트레이,
9: 지지대, 10: 위치센서,
13: 바코드리더기, 14: 부품조립기계,
15: 관리자PC, 20: 수직구동부재,
30: 수평구동부재, 40: 공급부재,
51: 키이수단, 52: 메모리,
53: 제어부, 54: 모터구동부,
55: 롬, 56: 통신부,
본 발명은 부품권취롤의 자동 수납 및 인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의 부품을 사용하는 업체에서 부품권취롤의 수납 관리가 편리함은 물론 특정위치에 수납된 부품을 검색하여 인출할 수 있으며, 네트웍으로 연결된 조립기계로부터 특정부품의 요구가 있을경우 자동으로 해당부품을 카셋트로부터 인출하여 작업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네트웍으로 연결된 관리자PC로 부품권취롤의 수납정보를 전송하여 관리자가 원거리에서 부품의 재고상태를 손쉽게 파악할수 있으며, 수납실에 수납된 부품권취롤의 수납정보를 자동보정토록 한 부품권취롤의 자동 수납 및 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주 작은 크기의 소형 부품은 도 8 에 도시된 바와같이 필름(2)에 부품이 부착되고, 그 필름(2)이 권취되도록 형성된 부품권취롤(1)에 제공되고 있으며, 상기와같이 부품권취롤(1)에 제공되는 소형 부품은 부품조립기계에서 자동으로 부품을 연속적으로 공급받아 조립공정에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같은 부품권취롤(1)에는 재고관리를 위해 그 일면에 부품명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바코드가 인쇄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와같은 부품권취롤(1)을 효과적으로 수납 관리하는 장치가 제공되지 않았기 때문에 수백~수천개의 부품을 사용하는 업체에서는 그 부품권취롤(1)의 재고관리 및 수납관리가 어려워지고, 특히 특정부품이 필요할때 그 부품이 어느 위치에 수납되어있는지를 빠르게 알 수 없어서 해당 부품을 찾는데 많은 시간을 소비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주연에 복수개의 수납영역이 형성되고, 그 수납영역에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수납실이 구비된 카셋트를 제 1 모터에 축지하여 회동가능하게 케비넷 내부에 설치하고, 케비넷의 일측에는 수직구동부재와 수평구동부재의 작동에 따라 위치이동하여 부품권취롤을 특정위치의 수납실에 수납하거나 인출하는 트레이를 설치하므로서, 다수의 부품을 사용하는 업체에서 부품권취롤의 수납 관리가 편리함은 물론 특정위치에 수납된 부품을 검색하여 인출할 수 있으며, 네트웍으로 연결된 조립기계로부터 특정부품의 요구가 있을경우 자동으로 해당부품을 카셋트로부터 인출하여 작업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네트웍으로 연결된 관리자PC로 부품권취롤의 수납정보를 전송하여 관리자가 원거리에서 부품의 재고상태를 손쉽게 파악할수 있도록 한 부품권취롤의 자동 수납 및 인출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외주연에 복수개의 수납영역이 형성되고, 그 수납영역에는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수납실이 형성되어 있는 카셋트를 제 1 모터에 축지하여 회동가능하게 케비넷 내부에 설치하고, 상기 케비넷의 일측에는 부품권취롤이 얹혀진 상태로 수직구동부재와 수평구동부재의 작동에 따라 위치이동하여 부품권취롤을 수납실에 수납하거나 인출하는 트레이를 설치하고, 케비넷의 외측부에는 사용자의 키이수단 입력에 따라 부품권취롤의 수납 및 인출이 이루어지도록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8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3 은 본 발명의 외형을 이루게되는 케비넷을 나타내고, 상기 케비넷(3) 내부에는 회동가능하게 카셋트(4)가 설치된다.
상기 카셋트(4)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그 외주면에 복수개의 수납영역이 형성되고, 각각의 수납영역에는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수납실(5)이 형성된다.
상기 수납실(5)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납영역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복수개의 받침대(6)를 수평하게 돌출시켜 이룬다.
그리고, 카셋트(4)는 케비넷(3)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제 1 모터(7)에 축지되어 제 1 모터(7)의 정역회전에 따라 회동하도록 한다.
케비넷(3)의 일측부에는 수직구동부재(20)와 수평구동부재(30)에 의해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구동하는 트레이(8)를 설치하는데,
상기 수직구동부재(20)는 케비넷(3)의 바닥면 일단에 제 2 모터(22)를 수직설치하고, 상기 제 2 모터(22)에 수직방향으로 길게 수직스크류(23)를 설치하되, 상기 수직스크류(23)에 트레이(8)가 취부된 수평구동부재(30)의 일단이 끼워지도록 하여 수직스크류(23)의 회동방향에 따라 트레이(8)가 상하로 움직이도록 한다.
상기 수평구동부재(30)는 상기 수직구동부재(20)의 수직스크류(23)에 끼워지는 수평체(33)를 구비하고, 그 수평체(33)로부터 수납실(5)을 향하도록 수평스크류(31)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수평스크류(31)에 트레이(8)를 끼우되, 수평체(33)의 내부 공간에 수평스크류(31)를 정역회전시키기 위한 제 3 모터(32)를 설치하여 제 3 모터(32)의 정역회전에 의해 트레이(8)가 수평스크류(31)상에서 전후진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트레이(8)는 부품권취롤(1)을 수납 및 인출하는 수단이 되는 것으로서, 그 초기위치가 도 1 에 도시된 바와같이 케비넷(3)의 일측에 형성된 투입구에 노출되도록 상승한 위치가되며, 이위치에서 사용자 또는 후설하는 공급부재(40)로부터 부품권취롤(1)이 놓여지게되면 수직구동부재(20)와 수평구동부재(30)의 작동에 따라 부품권취롤(1)을 특정 수납실(5)에 수납하게된다.
상기 트레이(8)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같이 몸체로부터 수평하게 3개의 지지대(9)를 돌출 시켜 이루며, 상기 트레이(8)의 지지대(9)와 수납실(5)의 받침대(6)가 서로 교차할 수 있도록 하여 트레이(8)가 수납실(5)을 관통하여 상하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면부호 40 은 다수의 부품권취롤(1)을 수납한 상태에서 1개씩 트레 이(8)로 공급하는 공급부재를 나타낸다.
상기 공급부재(40)는 케비넷(3)의 일측 상단에 수납통(41)을 수직으로 설치하고, 그 수납통(41) 하부에는 수납통(41)에 저장되어 있는 부품권취롤(1)을 하나씩 인출하여 트레이(8)로 공급하기 위한 컨베이어(42)를 설치하여 구성한다.
이에따라, 사용자가 수납통(41)에 다수의 부품권취롤(1)을 수납한 상태에서 특정키이를 조작하게되면 컨베이어(42)가 구동하면서 수납통(41)에 수납된 1개의 부품권취롤(1)을 트레이(8)로 공급하게되는 것이며, 상기 트레이(8)에 부품권취롤(1)이 놓여지면 후설하는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수직 및 수평구동부재(20,30)가 작동하여 트레이(8)에 놓여진 부품권취롤(1)이 특정위치의 수납실(5)에 수납되게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케비넷(3)의 외부에는 제어수단이 설치된다.
상기 제어수단은,
부품권취롤(1)의 수납 및 인출 제어명령, 수납된 부품의 검색, 재고관리 명령등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키이수단(51)과;
상기 수평구동부재(30)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트레이(8)의 상하 이동시 수납실(5)의 위치를 감지하여 모터의 오버런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위치센서(10)와;
트레이(8)를 수평상으로 전후진시키는 수평구동부재(30)의 일단에 설치되고, 트레이(8)에 놓여진 부품권취롤(1)에 인쇄되어 있는 바코드를 리딩하여 제어수단으로 공급하는 바코드리더기(13)
각 수납실(5)에 수납된 부품명 및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52)와;
키이수단(51)을 통해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수직 및 수평구동부재(20,30)와 각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53)와;
상기 제어부(53)의 제어에 따라 제 1 내지 제 4 모터를 정밀제어하는 모터구동부(54)와;
상기 제어부(53)의 작동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55)과;
네트웍으로 연결된 타기기와 교신하는 통신부(56); 로 구성된다.
상기한 키이수단(51)은 통상적인 키이패널 또는 터치패널을 모두 포함한다.
제어수단에 통신부(56)를 구성함에 따라 제어부(53)가 네트웍으로 연결된 타기기, 예를들면 생산라인에서의 부품조립기계(14) 또는 관리자PC(15) 등과 정보를 교환할 수 있게되며, 이를통해 부품조립기계(14)로부터 특정 부품의 인출요구가 있을경우 메모리(52)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부품의 수납위치를 검색한 후 그 검색결과에 따라 카셋트(4)를 회전시키고 트레이(8)를 상하전후진시켜 해당 수납실(5)에 수납되어있는 부품권취롤(1)을 인출하게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53)는 네트웍으로 연결되어 있는 관리자PC(15)로부터 부품권취롤(1)의 수납현황(재고관리정보)을 요구받았을경우 메모리(52)에 저장되어있는 재고관리데이타를 해당 관리자PC(15)로 전송하여 관리자가 재고관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납과정을 설명하면,
트레이(8)는 도 1 과같이 케비넷(3)의 상부에 구비된 투입구에 노출되게 초 기위치에 놓여있게되고, 사용자 또는 공급부재(40)로부터 공급된 부품권취롤(1)이 트레이(8)에 올려진 후 키이수단(51)의 특정키이가 입력되면, 제어부(53)는 제 3 모터(32)를 구동시켜 트레이(8)가 수평체(33) 측으로 움직이도록 제어하고, 바코드리더기(13)는 자동으로 부품권취롤(1)에 인쇄되어있는 바코드를 리딩하여 그 리딩정보(부품명)를 메모리(52)에 저장하고, 제어부(53)는 현재 비어있는 특정위치의 수납실(5) 위치정보를 검색한다.
이후, 제어부(53)는 특정 수납실(5)이 트레이(8)와 대향되는 위치로 회동하도록 제 1 모터(7)를 구동시켜 카셋트(4)를 회전시키고, 이와동시에 수직구동부재(20)의 제 2 모터(22)를 구동시켜 수직스크류(23)를 회동시키므로서 트레이(8)가 수납실(5)의 위치에 정지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53)는 수평구동부재(30)가 하강할때 그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위치센서(10)에 의해 감지되는 수납실 위치정보로서 제 2 모터(22)를 정밀제어하여 제 2 모터(22)의 오버런을 방지한다.
상기 제어에 의해 트레이(8)가 수납실(5)과 마주하도록 위치하게되면, 제어부(53)는 제 3 모터(32)를 구동시켜 트레이(8)가 수납실(5) 내부로 전진하도록 한 후 제 2 모터(22)를 구동시켜 트레이(8)를 하강시켜 트레이(8)의 지지대(9)에 올려져있는 부품권취롤(1)이 수납실(5)의 받침대(6)에 올려지도록 하며, 트레이(8)가 아래칸의 수납실(5)로 완전히 하강한 후에는 다시 제 3 모터(32)를 역회전시켜 트레이(8)가 수납실로부터 빠져나오도록 한다.
즉, 제어부(53)는 트레이(8)가 도 3 에도시된 A의 경로로 움직이도록 하여 부품권취롤(1)이 받침대(6)에 수납되도록 하는 것이다.
특정 수납실(5)에 부품권취롤(1)이 수납되면, 제어부(53)는 해당 수납실(5) 번호와 바코드 리딩된 부품명을 서로 대응시켜 메모리(52)에 저장시킨다.
한편, 인출과정은,
사용자가 제어수단에 구비된 터치패널을 통해 원하는 부품을 검색한 후 인출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53)는 사용자가 검색한 부품의 수납위치정보를 메모리(52)로 부터 검색하고, 그 검색된 위치의 수납실(5)이 트레이(8) 측으로 회동하도록 제 1 모터(7)를 제어하고, 또한 해당 수납실(5)의 위치로 트레이(8)가 하강하도록 수직구동부재(20)의 제 2 모터(22)를 작동시킨다.
상기 수직구동부재(20)의 작동에 의해 트레이(8)가 해당 수납실(5)에 마주하게되면(이때에는 트레이(8)가 해당 수납실의 받침대 아래 공간에 대응하도록 위치제어를 실시한다.), 제어부(53)는 제 3 모터(32)를 작동시켜 트레이(8)가 전진하도록 한 후 제 2 모터(22)를 구동시켜 트레이(8)가 해당 수납실(5)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움직이면서 수납된 부품권취롤(1)을 인출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53)는 다시 제 3 모터(32)를 역회전시켜 트레이(8)가 수평체(33) 측으로 움직이도록 하여 바코드리더기(13)로 하여금 인출된 부품권취롤(1)의 바코드를 리딩하도록 하며, 제어부(53)는 바코드리더기(13)에서 읽혀진 부품명이 사용자가 찾고자하는 것과 일치하는지는 비교한다.
상기 비교결과 일치하면 제 2 모터(22)를 구동시켜 트레이(8)가 상승하여 케 비넷(3)의 투입구로 이동하도록 하므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부품권취롤(1)이 인출된다.
한편, 상기 비교결과 일치하지 않으면 제어부(53)는 에러 경보표시를 출력하고, 해당 부품을 메모리(52)로부터 다시 검색하게된다.
상기와같은 설명에 의해 본 발명의 부품 권취롤 자동 수납 및 인출장치가 동작하게되며, 일정기간 동안 부품권취롤의 수납 및 인출동작이 이루어지지 않게되면 제어부(53)는 자동 보정기능을 수행하게된다.
자동 보정기능은 각 수납실(5)에 수납된 부품권취롤(1)의 부품명과 메모리(52)에 저장되어있는 데이타가 일치하는지를 비교하는 작업으로서,
일정한 시간동안 부품권취롤의 수납 및 인출작업이 없을 경우 수납실(5)에 수납되어 있는 부품권취롤(1)을 인출하여 바코드리더기(13)로 부품권취롤(1)에 인쇄된 바코드를 확인하는 작업을 수행하여 현재 메모리(52)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타와 실제 수납실(5)에 저장되어 있는 부품권취롤(1)의 부품명이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상기 자동 보정기능에 의해 각 수납실(5)에 수납된 부품권취롤의 수납상태를 정확히 관리할 수 있고, 잘못 수납된 부품권취롤의 경우 메모리(52)의 저장정보를 수정하여 사용자들이 정확하게 부품권취롤을 검색하여 인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외주연에 복수개의 수납영역이 형성되고, 그 수납영역에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수납실이 구비된 카셋트를 제 1 모터에 축지하여 회동가능하게 케비넷 내부에 설치하고, 케비넷의 일측에는 수직구동부재와 수평구동부재의 작동에 따라 위치이동하여 부품권취롤을 특정위치의 수납실에 수납하거나 인출하는 트레이를 설치하므로서, 다수의 부품을 사용하는 업체에서 소형부품이 필름에 부착되어 권취된 부품권취롤의 수납 관리가 편리함은 물론 특정위치에 수납된 부품을 검색하여 인출할 수 있으며, 네트웍으로 연결된 조립기계로부터 특정부품의 요구가 있을경우 자동으로 해당부품을 카셋트로부터 인출하여 작업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네트웍으로 연결된 관리자PC로 부품권취롤의 수납정보를 전송하여 관리자가 원거리에서 부품의 재고상태를 손쉽게 파악할수 있도록 한 부품권취롤의 자동 수납 및 인출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0)

  1. 외주연에 복수개의 수납영역이 형성되고, 그 수납영역에는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수납실(5)이 형성되어 있는 카셋트(4)를 제 1 모터(7)에 축지하여 회동가능하게 케비넷(3) 내부에 설치하고, 상기 케비넷(3)의 일측에는 부품권취롤(1)이 얹혀진 상태로 수직구동부재(20)와 수평구동부재(30)의 작동에 따라 위치이동하여 부품권취롤(1)을 수납실(5)에 수납하거나 인출하는 트레이(8)를 설치하고, 케비넷(3)의 외측부에는 사용자의 키이수단(51) 입력에 따라 부품권취롤(1)의 수납 및 인출이 이루어지도록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권취롤의 자동 수납 및 인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트레이(8)를 수평상으로 전후진시키는 수평구동부재(30)의 일단에 트레이(8)에 놓여진 부품권취롤(1)에 인쇄되어 있는 바코드를 리딩하여 제어수단으로 공급하는 바코드리더기(13)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권취롤의 자동 수납 및 인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부품권취롤(1)의 수납 및 인출 제어명령, 수납된 부품의 검색, 재고관리 명령등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키이수단(51)과;
    상기 수평구동부재(30)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트레이(8)의 상하 이동시 수납 실(5)의 위치를 감지하여 모터의 오버런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위치센서(10)와;
    각 수납실(5)에 수납된 부품명 및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52)와;
    키이수단(51)을 통해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수직 및 수평구동부재(20,30)와 각 모터를 제어하되, 위치센서(52)의 감지정보에 따라 모터의 오버런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부(53)와;
    상기 제어부(53)의 제어에 따라 제 1 내지 제 3 모터를 정밀제어하는 모터구동부(54)와;
    상기 제어부(53)의 작동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55)과;
    네트웍으로 연결된 타기기와 교신하는 통신부(56);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권취롤의 자동 수납 및 인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8)는 몸체로부터 일정간격으로 돌출된 3개의 지지대(9)로 이루어지고, 수납실(5)에는 2개의 받침대를 수평하게 돌출시켜 부품권취롤의 수납이 가능토록 하면서 트레이(8)의 지지대(9)가 교차하면서 상하로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권취롤의 자동 수납 및 인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구동부재(20)는
    케비넷(3)의 바닥면 일단에 제 2 모터(22)를 수직설치하고, 상기 제 2 모터 (22)에 수직방향으로 길게 수직스크류(23)를 설치하되, 상기 수직스크류(23)에 트레이(8)가 취부된 수평구동부재(30)의 일단이 끼워지도록 하여 수직스크류(23)의 회동방향에 따라 트레이(8)가 상하로 움직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권취롤의 자동 수납 및 인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구동부재(30)는
    상기 수직구동부재(20)의 수직스크류(23)에 끼워지는 수평체(33)를 구비하고, 그 수평체(33)로부터 수납실(5)을 향하도록 수평스크류(31)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수평스크류(31)에 트레이(8)를 끼우되, 수평체(33)의 내부 공간에 수평스크류(31)를 정역회전시키기 위한 제 3 모터(32)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권취롤의 자동 수납 및 인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일정한 시간동안 부품권취롤의 수납 및 인출작업이 없을 경우 수납실(5)에 수납되어 있는 부품권취롤(1)을 인출하여 바코드리더기(13)로 부품권취롤(1)에 인쇄된 바코드를 확인하는 작업을 수행하여 현재 메모리(52)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타와 실제 수납실(5)에 저장되어 있는 부품권취롤(1)의 부품명이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자동보정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권취롤의 자동 수납 및 인출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네트웍으로 연결된 부품조립기계(14)로부터 특정부품의 요구가 있을 경우 해당 부품이 수납된 위치를 검색하고, 그 수납위치로부터 해당 부품을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권취롤의 자동 수납 및 인출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관리자PC(15)로부터 부품권취롤(1)의 수납상태 및 재고관리 정보 요구가 있을 경우 메모리(52)에 저장되어 있는 관리데이타를 관리자PC(15)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권취롤의 자동 수납 및 인출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비넷(3)의 일측에 수납을 위한 다수의 부품권취롤(1)을 저장하고, 그 저장된 부품권취롤을 1개씩 트레이(8)에 공급하는 공급부재(4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권취롤의 자동 수납 및 인출장치.
KR1020040100184A 2004-12-02 2004-12-02 부품권취롤의 자동 수납 및 인출장치 KR100606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0184A KR100606234B1 (ko) 2004-12-02 2004-12-02 부품권취롤의 자동 수납 및 인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0184A KR100606234B1 (ko) 2004-12-02 2004-12-02 부품권취롤의 자동 수납 및 인출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0419U Division KR200374622Y1 (ko) 2004-10-28 2004-10-28 부품권취롤의 자동 수납 및 인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8329A KR20060038329A (ko) 2006-05-03
KR100606234B1 true KR100606234B1 (ko) 2006-08-02

Family

ID=37145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0184A KR100606234B1 (ko) 2004-12-02 2004-12-02 부품권취롤의 자동 수납 및 인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62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286748A1 (en) * 2022-03-11 2023-09-14 Accu-Assembly Incorporated Vertical component storage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12028A (ja) * 1987-06-11 1988-12-20 Daikin Ind Ltd 回転式部品供給装置
JPH01271313A (ja) * 1988-04-21 1989-10-30 Toshiba Corp 物品搬送システム
JPH05185343A (ja) * 1991-06-03 1993-07-27 Erowa Ag 工具及び/または工作物マガジン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12028A (ja) * 1987-06-11 1988-12-20 Daikin Ind Ltd 回転式部品供給装置
JPH01271313A (ja) * 1988-04-21 1989-10-30 Toshiba Corp 物品搬送システム
JPH05185343A (ja) * 1991-06-03 1993-07-27 Erowa Ag 工具及び/または工作物マガジ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8329A (ko) 2006-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3182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aking out and storing articles
US8249743B2 (en) Article management system
US20010020197A1 (en) Automated library system with retrieving and repositing robot
CN101863362B (zh) 智能存取装置
US5715216A (en) Data storage method having a columnar array of storage receptacles that also are input-output and a data device at one end of the columnar array
US5084829A (en) Robot machining system having supply and discharge conveyor belts and pallets
KR19990082744A (ko) 자동화된데이터저장장치라이브러리용패스스루및로드/언로드
WO2002042752A1 (en) Monitoring electronic component holders
CN101131784A (zh) 基于数据库管理的档案、仓储物品存取方法
US20140250943A1 (en) Automated device for storing, preserving and providing bags of blood
EP3895849B1 (en) Smart cutting tool cart and cutting tool changing method thereof
US6084736A (en) Reading device for rea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cartridge storing recording medium, recording/replay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information managing apparatus
JP4191661B2 (ja) ライブラリ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606234B1 (ko) 부품권취롤의 자동 수납 및 인출장치
KR200374622Y1 (ko) 부품권취롤의 자동 수납 및 인출장치
US6917993B2 (en) Modular storage library with automatic configuration
CN114714124A (zh) 具有双智能刀架的智能换刀系统及其换刀方法
US7694884B2 (en) Removable cartridge identification system
KR100501832B1 (ko) 신발을 자동으로 수납하는 신발장 및 그 방법
JP2000004098A (ja) 電子部品実装機
JP3872183B2 (ja) カセット配設位置指定装置、方法、及び記録媒体
CN108174601A (zh) 改进的热敏打印机和组件
CN216473976U (zh) 一种开料机
TW202224838A (zh) 具有雙智慧刀架之智能換刀系統及其換刀方法
JPH0983187A (ja) 部品実装機への部品供給カセット並設段取り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