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3730B1 - 밀폐 기구용 도어 - Google Patents

밀폐 기구용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3730B1
KR100603730B1 KR1020040053699A KR20040053699A KR100603730B1 KR 100603730 B1 KR100603730 B1 KR 100603730B1 KR 1020040053699 A KR1020040053699 A KR 1020040053699A KR 20040053699 A KR20040053699 A KR 20040053699A KR 100603730 B1 KR100603730 B1 KR 100603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ing
sensor
handl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3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4551A (ko
Inventor
지준동
박용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to KR1020040053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3730B1/ko
Publication of KR20060004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4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3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3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swinging 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05F15/7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responsive to the weight or other physical contact of a person or obj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4Sensors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ers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 기구용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도어의 핸들을 파지하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도어가 개방되도록, 밀폐 기구용 도어의 상단에 장착되어 있되, 소정 위치에 상부 개구가 형성된 상부 홀더와, 밀폐 기구용 도어의 하단에 장착되어 있되, 상부 개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하부 개구가 형성된 하부 홀더와, 상부 도어의 상부 개구 및 상기 하부 도어의 하부 개구 사이에 결합된 봉 형태의 핸들과, 핸들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면 이를 감지하는 센서로 이루어진 밀폐 기구용 도어를 특징으로 한다.
밀폐기구, 도어, 홀더, 핸들, 센서, 신호 케이블

Description

밀폐 기구용 도어{Door for utensil}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냉장고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밀폐 기구용 도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의 1-1선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2-2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도어 도어 개방부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이 적용된 도어 도어 개방부에서 도어 개방부의 일례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5b는 그 작동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냉장고 110; 냉동실 도어
111; 상부 홀더 112; 하부 홀더
113; 핸들 120; 냉장실 도어
121; 상부 홀더 121a; 개구
122; 하부 홀더 123; 핸들
123a; 고정축 123b; 요홈
123c; 홀 130; 냉동실 상부 힌지
140; 냉장실 상부 힌지 150; 하부 커버
160; 몸체 170; 제1개방 부재
171; 제1모터 172; 제1캠
180; 제2개방 부재 181; 제2모터
182; 제2캠 190; 센서
191; 신호 케이블 192; 제어부
193; 도어 개방부
본 발명은 밀폐 기구용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사용자가 도어의 핸들을 파지하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도어가 개방되도록 하는 밀폐 기구용 도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장고용 도어로 적절히 활용되는 도어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매를 이용한 냉동 사이클에 의해서 각종 식품을 장기간 저장할 수 있는 장치로서, 대개의 경우는 장기간 보존이 필요한 식품을 냉동 상태로 보존하기 위한 냉동실과, 이와는 달리 식품을 얼리지 않고 단기간 저장하거나 쉽게 상하지 않으면서도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식품을 저장하기 위한 냉장실로 구분되어 있다. 고전적으로는 보통 냉장고의 상측에는 냉동실을 냉장고의 하측에는 냉장실을 구비하나, 근래에는 대형 냉장고일수록 냉장고의 좌측에는 냉동실을 우측에는 냉장실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냉장고는 좌측 끝단의 상,하단에 힌지를 개재하여 냉동실 도어를 장 착하고, 우측 끝단의 상,하단에 힌지를 개재하여 냉장실 도어를 장착한다. 더불어, 각각의 냉동실 및 냉장실 도어의 편리한 개방과 심미감을 높이기 위해 각 도어의 상단과 하부에는 홀더를 장착하고, 또한 상기 상,하단의 홀더 사이에는 대략 봉 형태의 핸들을 장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는 도어의 개방시 핸들을 사용자가 강하게 잡아 당겨야 하는 불편한 문제가 있다. 즉, 사용자가 핸들을 강하게 잡아 당겨야 비로소 타측에 형성된 힌지를 중심으로 도어가 개방되는 구조이다. 더욱이, 최근에는 냉장고가 대형화됨으로써, 도어의 크기도 커지고 이에 따라 냉장고 몸체와 접촉되는 면적도 커짐으로써, 도어의 개방시 더욱 큰 힘이 들어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도어의 핸들을 파지하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도어가 개방되도록 하는 밀폐 기구용 도어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핸들이 장착된 밀폐 기구용 도어에 있어서, 상기 핸들에는 사용자가 파지하면 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센서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밀폐 기구용 도어의 상단에 장착되어 있되, 소정 위치에 상부 개구가 형성된 상부 홀더와, 상기 밀폐 기구용 도어의 하단에 장착되어 있되, 상기 상부 개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하부 개구가 형 성된 하부 홀더와, 상기 상부 도어의 상부 개구 및 상기 하부 도어의 하부 개구 사이에 결합된 봉 형태의 핸들과, 상기 핸들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면 이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상기 핸들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을 따라서 일정 길이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요홈 및 센서는 핸들의 상단으로부터 하부를 향하여 대략 1/2 내지 2/3까지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초전 센서, 압전 센서 또는 압력 센서중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센서에는 제어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에는 도어를 자동적으로 개방시키는 도어 개방부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방부는 핸들과 인접한 냉장고 몸체에 결합되어 도어를 일정 각도 개방시키는 제1개방 부재와, 상기 제1개방 부재의 일측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방 각도를 더 크게 하는 제2개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개방 부재는 냉장고 몸체에 결합된 제1모터와, 상기 제1모터의 회전축에 편심 결합된 동시에, 도어의 표면에 슬라이딩됨으로써, 도어를 일정 각도 개방시키는 제1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개방 부재는 냉장고 몸체에 결합된 제2모터와, 상기 제2모터의 회전축에 편심 결합된 동시에, 도어의 표면에 슬라이딩됨으로써, 도어를 일정 각도 개방시키는 제2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밀폐 기구용 도어의 핸들에 센서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핸들을 파지하면 이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센서와 연동하는 냉장고 도어 개방부를 더 형성하게 되면, 상기 센서의 신호에 의해 도어를 자동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음으로써, 도어의 개방이 편리해지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상기 센서를 핸들의 상단으로부터 하부까지 대략 1/2 내지 2/3 정도까지만 형성함으로써, 어린이의 장난으로부터 냉장고 도어의 잦은 개폐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냉장고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00)는 좌측에 냉동실 도어(110)가 장착되어 있고, 우측에는 냉장실 도어(120)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냉동실 도어(110)는 일측에 상부 힌지(130)가 개재되어 냉동실 몸체(도시되지 않음)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냉장실 도어(120) 역시 일측에 상부 힌지(140)가 개재되어 냉장실 몸체(도시되지 않음)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물론, 각 도어는 하부에도 힌지가 결합되어 각 몸체에 결합되어 있으나 이것은 본 발명의 요지가 아니므로 도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냉동실 도어(110)는 상,하단에 각각 홀더(111,112)가 장착되고, 각각의 홀더(111,112) 사이에는 대략 봉 형태의 핸들(113)이 장착되어 있다. 더욱이, 냉장 실 도어(120)의 상,하단에도 각각 홀더(121,122)가 장착되고, 각각의 홀더(121,122) 사이에는 대략 봉 형태의 핸들(123)이 장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각 도어(110,120)의 하부에는 일체의 하부 커버(150)가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밀폐 기구용 도어를 냉장고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냉장실 도어(120)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냉동실 도어(110)나 어떠한 밀폐 기구의 도어에도 동일하게 적용됨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실 도어(120)의 상부에는 상부 홀더(121)가 결합되어 있고, 하부에는 하부 홀더(122)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상부 홀더(121) 및 하부 홀더(122)는 일측이 전방으로 일정 각도 절곡된 채 도어(120)의 표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절곡된 상부 홀더(121) 및 하부 홀더(122) 사이에는 대략 봉 형태인 핸들(123)이 장착되어 있다. 즉, 상기 상부 홀더(121) 및 하부 홀더(122)가 일정 각도 절곡되어 연장되고, 그 연장된 부분에 핸들(123)이 장착됨으로써, 핸들(123)과 도어(120)의 표면 사이에는 소정 공간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이 상기 핸들(123)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핸들(123)에는 상단에서부터 하부의 일정 길이까지 센서(190)가 더 설치되어 있다. 물론, 이러한 센서(190)는 사용자에 의한 핸들(123)의 파지 상태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센서(190)는 상기 핸들(123)의 상단으로부터 전체 길이의 대략 1/2 내지 2/3까지만 형성됨이 좋다. 즉, 센서(190)를 어린이의 손이 미치지 않는 위치까지 형성함으로써, 어린이의 장난에 의한 냉장고 도어 (120)의 잦은 개방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3a는 도 2의 1-1선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2-2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23)은 상단에 고정축(123a)이 형성되어 상부 홀더(121)의 개구(121a)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핸들(123)은 표면에 일정 길이의 요홈(123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홈(123b)의 내측에는 사용자의 핸들(123) 파지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190)가 설치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상부 홀더(121), 고정축(123a) 및 핸들(123)에는 연통된 홀(123c)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홀(123c) 내측에는 상기 센서(190)에 연결되는 신호 케이블(191)이 매설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190)의 신호는 상기 신호 케이블(191)을 통하여 냉장고 몸체에 형성된 전자 제어부(192)(도 4 참조)에 전달된다.
한편, 상기 센서(190)는 초전 센서, 압전 센서, 압력 센서 또는 그 등가물이 가능하며, 여기서 그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사용자가 핸들(123)을 파지했을 때 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이면 모두 괜찮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도어 개방부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 도어 개방부에 이용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190)와, 상기 센서(190)의 신호를 처리하여 소정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92)와, 상기 제어부(192)에 의해 냉장고 도어를 개방하는 도어 개방부(193)로 이루어진 자동 도어 개방부에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하는 본 발명에 의한 밀폐 기구용 도어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밀폐 기구용 도어의 핸들(123)을 파지하게 되면, 이 상태가 센서(190)에 의해 감지된다. 즉, 센서(190)가 핸들(123)의 표면에 형성된 요홈(123b)에 장착되어 있음으로써, 사용자가 손으로 상기 핸들(123)을 파지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손이 상기 센서(190)에 접촉된다.
그러면, 상기 센서(190)는 이러한 인체 감지 신호를 전자 제어부(192)에 일정한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전자 제어부(192)는 상기 센서(190)에 의한 신호가 소정 신호 레벨 보다 높다고 판단되면, 사용자가 도어의 핸들(123)을 파지한 것으로 판단하여 도어 개방부(193)에 소정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도어 개방부(193)는 사용자가 핸들(123)에 힘을 주어 도어를 개방하기 전에 상기 도어를 자동적으로 개방시킴으로써, 그 작동이 완료된다.
한편, 도 5a는 본 발명이 적용된 밀폐 기구용 도어에서 도어 개방부의 일례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5b는 그 작동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여기서, 상기 도어 개방부(193)는 냉장실 도어(120)에 장착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냉동실 도어(110)에 기타 밀폐를 필요로 하는 어떠한 형태의 기기 또는 기구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더욱이, 상기 도어 개방부(193)는 몸체(160)의 상부나 하부, 또는 상부와 하부에 모두 적용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개방부(193)는 도어(120)와, 몸체(160)에 결합된 제1개방 부재(170) 및 제2개방 부재(180)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개방 부재(170)는 도어의 핸들(123)과 대응되는 위치로서 몸체(160)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제1개방 부재(170)는 제1모터(171)와 제1캠(172)으로 이루어져 있다. 더욱이, 상기 제1캠(172)은 편심되어 상기 제1모터(171)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2개방 부재(180)는 상기 제1개방 부재(170)와 힌지축(140)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제2개방 부재(180)는 제2모터(181)와 제2캠(182)으로 이루어져 있다. 더욱이, 상기 제2캠(182)은 편심되어 상기 제2모터(181)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센서(190)가 사용자에 의한 핸들(123)의 파지 상태를 감지하게 되면, 상술한 제어부(192)는 상기 제1개방 부재(170)를 먼저 작동시킨다. 즉, 제1모터(171)가 작동하게 되고, 이어서 상기 제1캠(172)에 의해 상기 도어(120)는 바깥 방향으로 소정 각도 개방된다. 다른 말로 하면, 제1캠(172)이 도어(120)에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도어(120)가 힌지축(140)을 중심으로 초기 개방된다.
이어서, 상기 제어부(192)는 제2개방 부재(180)를 작동시킨다. 즉, 상기 제2모터(181)가 작동하게 되고, 이어서 상기 제2캠(182)이 작동되어 상기 도어(120)는 바깥 방향으로 소정 각도 더 개방된다. 다른 말로 하면, 제2캠(182)이 도어(120)에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도어(120)가 힌지축(140)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더 개방된다.
여기서, 상기 제2캠(182)은 상기 제1캠(172)보다 더 큰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캠(172)에 의한 도어(120)의 개방 각도보다 더 큰 도어(120) 의 개방 각도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밀폐 기구용 도어의 핸들에 센서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핸들을 파지하면 이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센서와 연동하는 도어 개방부를 더 형성하게 되면, 상기 센서의 신호에 의해 도어를 자동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음으로써, 도어의 개방이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상기 센서를 핸들의 상단으로부터 하부까지 전체 길이의 대략 1/2 내지 2/3 정도까지만 형성함으로써, 어린이의 장난으로부터 냉장고 도어의 잦은 개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 기구용 도어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밀폐 기구용 도어의 상단에 장착되어 있되, 소정 위치에 상부 개구가 형성된 상부 홀더;
    상기 밀폐 기구용 도어의 하단에 장착되어 있되, 상기 상부 개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하부 개구가 형성된 하부 홀더;
    상기 상부 도어의 상부 개구 및 상기 하부 도어의 하부 개구 사이에 결합된 봉 형태의 핸들; 및,
    상기 핸들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면 이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센서는 상기 핸들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을 따라서 일정 길이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기구용 도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 및 센서는 핸들의 상단으로부터 하부를 향하여 전체 길이의 대략 1/2 내지 2/3까지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기구용 도어.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초전 센서, 압전 센서 또는 압력 센서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기구용 도어.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에는 제어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에는 도어를 자동적으로 개방시키는 도어 개방부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기구용 도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방부는 핸들과 인접한 냉장고 몸체에 결합되어 도어를 일정 각도 개방시키는 제1개방 부재; 및,
    상기 제1개방 부재의 일측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방 각도를 더 크게 하는 제2개방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기구용 도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방 부재는
    냉장고 몸체에 결합된 제1모터; 및,
    상기 제1모터의 회전축에 편심 결합된 동시에, 도어의 표면에 슬라이딩됨으로써, 도어를 일정 각도 개방시키는 제1캠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기구용 도어.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개방 부재는
    냉장고 몸체에 결합된 제2모터; 및,
    상기 제2모터의 회전축에 편심 결합된 동시에, 도어의 표면에 슬라이딩됨으로써, 도어를 일정 각도 개방시키는 제2캠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기구용 도어.
KR1020040053699A 2004-07-09 2004-07-09 밀폐 기구용 도어 KR100603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3699A KR100603730B1 (ko) 2004-07-09 2004-07-09 밀폐 기구용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3699A KR100603730B1 (ko) 2004-07-09 2004-07-09 밀폐 기구용 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4551A KR20060004551A (ko) 2006-01-12
KR100603730B1 true KR100603730B1 (ko) 2006-07-25

Family

ID=37116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3699A KR100603730B1 (ko) 2004-07-09 2004-07-09 밀폐 기구용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373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2252U (ko) * 1995-03-10 1996-10-24 계창호 손잡이 센서를 이용한 냉장고문의 좌·우개폐장치
KR970047647A (ko) * 1995-12-30 1997-07-26 배순훈 냉장고도아 개폐방법 및 장치
KR19990014907U (ko) * 1997-10-10 1999-05-15 구자홍 냉장고의 도어 개폐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2252U (ko) * 1995-03-10 1996-10-24 계창호 손잡이 센서를 이용한 냉장고문의 좌·우개폐장치
KR970047647A (ko) * 1995-12-30 1997-07-26 배순훈 냉장고도아 개폐방법 및 장치
KR19990014907U (ko) * 1997-10-10 1999-05-15 구자홍 냉장고의 도어 개폐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4551A (ko) 2006-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7546B1 (ko) 냉장고
KR100597754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도어 개방방법
US20100139303A1 (en) Electrical refrigerator with vacuum preserving system and corresponding control method
KR101654383B1 (ko) 냉장고
KR100350444B1 (ko) 복합형 김치저장고
KR102490433B1 (ko) 냉장고
KR20060060896A (ko) 김치 냉장고용 김치 용기
CN114096733A (zh) 具有推开式开门器的冰箱
KR100710718B1 (ko) 밀폐 기구용 도어의 개방 장치
KR200334077Y1 (ko) 김치저장고 서랍실의 개방 장치
KR100603730B1 (ko) 밀폐 기구용 도어
KR100603731B1 (ko) 밀폐 기구용 두 도어 개방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603729B1 (ko) 밀폐 기구용 도어의 개방 장치
JP4295197B2 (ja) 冷蔵庫
KR20050056696A (ko) 냉장고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
KR100603733B1 (ko) 냉장고용 도어 개방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60086166A (ko) 냉장고
KR100632016B1 (ko) 냉장고의 음식물 장기보관장치
KR100603728B1 (ko) 밀폐 기구용 도어
KR100603732B1 (ko) 밀폐 기구용 도어의 개방 각도 정지 장치
KR20070041001A (ko) 밀폐 기구용 도어의 개방 장치
KR100783212B1 (ko) 홈바를 갖는 냉장고
KR200223874Y1 (ko) 진공 냉장 저장고용 진공용기
KR100455580B1 (ko) 김치저장고의 도어 개폐구조
KR101123817B1 (ko) 식품저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