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3439B1 - 유해 서비스 차단 방법 - Google Patents

유해 서비스 차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3439B1
KR100603439B1 KR1020040016837A KR20040016837A KR100603439B1 KR 100603439 B1 KR100603439 B1 KR 100603439B1 KR 1020040016837 A KR1020040016837 A KR 1020040016837A KR 20040016837 A KR20040016837 A KR 20040016837A KR 100603439 B1 KR100603439 B1 KR 100603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authentication
harmful
authentication information
ac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6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1395A (ko
Inventor
권민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016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3439B1/ko
Publication of KR20050091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1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3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3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08Management of client data
    • H04N21/25816Management of client data involving client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3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lawful interception, monitoring or retaining of communications or communication related information
    • H04L63/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lawful interception, monitoring or retaining of communications or communication related information intercepting circuit switched data commun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4Content or additional data filtering, e.g. blocking advertis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유해 서비스 차단 방법은, 인터넷 접속 시마다 인증정보를 부여하고, 이러한 인증 정보를 부모 단말기와 자녀 단말기 등으로 나누어서 제공함으로써, 유해 사이트 접속 시 실시간으로 부모의 인증절차를 거치도록 하여, 어린이들의 유해 사이트 접근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유해 서비스 차단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 가능한 단말기에 적용되는 유해 서비스 차단 방법에 있어서, 제1 단말기가 상기 인터넷 사이트에 대한 접속을 요청하는 접속요청단계;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접속요청단계에 대응하여 생성된 복수개의 인증정보 중 하나를 수신하는 인증정보수신단계; 및 상기 복수개의 인증정보가 전부 인증적격인 경우에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는 인증적격판단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증정보수신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가 상기 복수개의 인증정보 중 나머지의 인증정보를 각각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유해 사이트 차단, 인증 번호, SMS, 단말기

Description

유해 서비스 차단 방법{METHOD FOR CUTTING OFF INFANT FROM PREJUDICIAL SERVICE}
도 1은 종래의 인터넷의 유해 사이트 차단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해 서비스 차단 방법이 적용되는 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해 서비스 차단 방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0 : 제1 단말기 220 : 컨텐츠 제공 서버
230 : 인증 서버 240 : SMS 센터
250 : 제2 단말기
본 발명은 유해 서비스 차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해 사이트 차단 서비스 가입자가 인터넷에 접속을 하면,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차단 동작을 수행하는 유해 서비스 차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인터넷의 급속한 확장으로 인터넷 상에서 다양한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인터넷 서비스들은 대부분이 개방되어 있어서 누구든지 쉽게 접근 가능하며, 쉽게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인터넷 서비스에는 생활에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들도 존재하지만, 음란물 사이트, 자살 조장 사이트 등 자라나는 청소년들의 심리적 자극 및 가치관의 혼동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은 사이트들이 산재해 있다. 이러한 서비스들은 인터넷이 발전함에 따라 나타난 부작용 중의 하나로 청고전들의 정서에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유해 사이트를 차단하는 방법으로, 가입자 단말기 기반에서 유해 사이트에 대한 등급 표시가 된 사이트에 대하여 다운로드를 할 경우 웹 상의 기능을 설정하여 다운로드가 되더라도 웹 상에 화면 표시를 하지 않음으로써 가입자가 유해 사이트에 접근을 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현재의 인터넷 상에서의 유해 사이트에 대한 기준 및 단속이 어려워 비공식적으로 유해 사이트를 운영하는 업체들이 우후죽순으로 늘어나고 있고, 또한 IP를 달리하여 단속을 피해가는 상황에서 실제적인 유해 사이트 차단을 매우 어려워 네트워크 기반의 체계적인 유해 사이트 차단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도 1은 종래의 인터넷의 유해 사이트 차단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이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입자 단말기(110)는, 유해 사이트 차단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가입 자의 인터넷 사용자 접근에 따라 유해 사이트 차단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NAS(Network Access Server)(130)는, 가입자 단말기(110)가 인터넷에 접속을 시도하면 DSLAM(Digital Subscriber Line Access Multiplexer)(120)으로부터 접속 신호를 받아 가입자 단말기(110)로 PPP(Point-to-Point Protocol)와 IP를 할당하고 트래픽을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인증 서버(140)는, NAS(130)의 요청으로 가입자의 접속을 인증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차단 서버(150)는, 유해 사이트에 대한 목록을 보유하여 가입자 단말기(110)로 유해 사이트 목록을 제공하고 주기적으로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NAS(130)는 가입자 단말기(110)로 할당된 IP를 인증 서버에 통보하며, 인증 서버(140)는 가입자 ID(IDentification)와 IP를 차단 서버(150)에 제공하고, 차단 서버(150)는 가입자 ID를 통하여 유해 사이트 차단 서비스 가입자인지를 인증하고, IP를 이용하여 가입자 단말기(110)와 연결하여 유해 사이트 목록을 갱신하며, 갱신이 되지 않으면 서비스를 차단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단말기 별로 유해 사이트 목록을 제공하여 관리하므로, 신규의 유해 사이트에 대한 갱신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효과적으로 유해 사이트를 차단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유해 사이트 차단 프로그램을 가입한 단말기로 전체 사이트를 이용해야 되는 경우에는 차단 해제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인터넷 접속 시마다 인증 정보를 부여하고, 이러한 인증 정보를 부모 단말기와 자녀 단말기 등으로 나누어서 제공함으로써, 유해 사이트 접속 시 실시간으로 부모의 인증절차를 거치도록 하여, 어린이들의 유해 사이트 접근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유해 서비스 차단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 가능한 단말기에 적용되는 유해 서비스 차단 방법으로서, 제1 단말기가 상기 인터넷 사이트에 대한 접속을 요청하는 접속요청단계, 상기 접속 요청에 대한 인증번호를 생성하는 인증번호 생성단계, 상기 생성된 인증번호를 복수개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인증번호의 각 부분을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1 단말기의 인터넷 사이트 접속에 대한 허여 여부를 결정하는 제2 단말기에 송신하는 인증정보 송신단계, 및 상기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인증번호의 각 부분을 병합하고 상기 병합된 인증번호를 상기 생성된 인증번호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제1 단말기의 인터넷 사이트 접속을 허여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인증적격 판단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해 서비스 차단 방법이 적용되는 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이러한 시스템은, 제1 단말기(210), 컨텐츠 제공 서버(220), 인증 서버(230), SMS 센터(240) 및 제2 단말기(250)를 포함한다.
제1 단말기(210)는, 인터넷 망을 통하여 후술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220)에 접속하고, 로그인 아이디(ID)가 입력되면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도록 하며, 단문 메시지로 수신된 인증 번호를 표시하고, 그에 대응하는 인증 번호를 입력받아 후술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22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컨텐츠 제공 서버(220)는, 상기 로그인 아이디(ID)에 근거하여 후술하는 인증 서버(230)에 인증 번호를 요청하고, 상기 제1 단말기(210) 및 후술하는 제2 단말기(250)로부터 입력된 인증 번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인증번호에 대한 인증을 후술하는 인증 서버(230)로 요청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220)는, 후술하는 인증 서버(230)에서의 인증 결과 요구된 인증 번호가 기 생성된 인증 번호와 일치한다는 응답을 받으면, 선택된 컨텐츠를 인터넷 망과 이동 통신 망을 매개로 하여 상기 제1 단말기(210)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인증 서버(230)는,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220)의 요청에 따라 자신의 데이터 베이스를 확인하고, 상기 로그인 아이디(ID)에 연계되어 기 저장된 상기 제1 단말기(210) 및 후술하는 제2 단말기(250)의 전화번호를 검색하며, 동시에 인증번호를 생성하고, 상기 전화번호 및 인증번호에 근거하여 후술하는 SMS 센터(240)에 상기 인증번호를 둘로 나누어 상기 전화번호로 각각 송신할 것을 요청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인증 서버(230)는,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220)로부터 요구된 인증 번호가 기 생성된 인증 번호와 일치하는 가를 확인하고, 그 확인 결과에 따라 선택된 컨텐츠를 인터넷 망과 이동 통신 망을 매개로 하여 상기 제1 단말기(210)에 제공도록 응답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SMS 센터(240)는, 상기 전화번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210) 및 후술하는 제2 단말기(250)에게 상기 인증번호의 절반씩을 각각 단문 메시지 형태로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제2 단말기(250)는, 단문 메시지로 수신된 상기 인증 번호를 표시하고, 그에 대응하는 인증 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22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해 서비스 차단 방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로서, 이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 단말기(210)에서 상기 인터넷 사이트에 대한 접속을 요청한다(S301). 여기서, 상기 제1 단말기(210)는, 유해 서비스 차단을 위한 보호서비스에 가입한 단말기 중 하나로서, 청소년 또는 어린이가 소지하는 단말기일 수 있다.
그 후, 제1 단말기(210) 및 제2 단말기(250)에서 상기 접속요청단계(S301)에 대응하여 생성된 복수개의 인증정보를 수신한다(S302). 여기서, 상기 제2 단말기(250)는, 유해 서비스 차단을 위한 보호서비스에 가입한 단말기 중 다른 하나로서, 부모 또는 보호자가 소지하는 단말기일 수 있다.
그 후, 제1 단말기(210) 및 제2 단말기(250)에서 입력된 인증정보가 모두 일치하는 지에 따라 인증적격을 판단하고(S303), 상기 복수개의 인증정보가 전부 인 증적격인 경우에 제1 단말기(210)가 상기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되어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S304). 여기서, 인증적격을 판단하는 데에 있어서 사용되는 과정의 일례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 단말기(210) 및 제2 단말기(250)에서 상기 복수개의 인증정보(예를 들면, 1234 및 5678)를 각각 송신한다.
그 후, 상기 복수개의 인증정보(예를 들면, 1234 및 5678)가 병합되어 하나의 최종인증정보(예를 들면, 12345678)가 생성된다.
그 후, 상기 최종인증정보가 인증적격인 경우(예를 들면, 12345678)에 상기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되고, 상기 최종인증정보가 인증적격이 아닌 경우(예를 들면, 12345687 또는 미입력)에 상기 인터넷 사이트의 접속이 차단된다.
즉, 제1 단말기(210) 및 제2 단말기(250)에서 입력된 인증정보가 모두 일치하지 않거나,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5분) 내에 제1 단말기(210) 또는 제2 단말기(250)로부터 인증 정보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인터넷 사이트의 접속이 차단된다(S305).
여기서, 상기 인증 정보는, 인증번호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또한, 상기 복수개의 인증정보는 단문 메시지 형태로 수신될 수 있으나, 음성 메시지 등의 형태로 수신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인터넷 접속 시마다 인증정보를 부여하고, 이러한 인증 정보를 부모 단말기와 자녀 단말기 등으로 나누어서 제공함으로써, 유해 사이트 접속 시 실시간으로 부모의 인증절차를 거치도록 하여, 어린이들의 유해 사이트 접근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 가능한 단말기에 적용되는 유해 서비스 차단 방법으로서,
    제1 단말기가 상기 인터넷 사이트에 대한 접속을 요청하는 접속요청단계;
    상기 접속 요청에 대한 인증번호를 생성하는 인증번호 생성단계;
    상기 생성된 인증번호를 복수개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인증번호의 각 부분을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1 단말기의 인터넷 사이트 접속에 대한 허여 여부를 결정하는 제2 단말기에 송신하는 인증정보 송신단계; 및
    상기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인증번호의 각 부분을 병합하고, 상기 병합된 인증번호를 상기 생성된 인증번호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제1 단말기의 인터넷 사이트 접속을 허여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인증적격 판단단계
    를 포함하는 유해 서비스 차단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정보 송신단계는
    상기 생성된 인증번호의 절반씩을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서비스 차단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적격 판단단계는
    상기 병합된 인증번호가 상기 생성된 인증번호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단말기의 인터넷 사이트 접속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서비스 차단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된 인증번호의 각 부분은 단문 메시지 형태로 송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서비스 차단 방법.
KR1020040016837A 2004-03-12 2004-03-12 유해 서비스 차단 방법 KR100603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6837A KR100603439B1 (ko) 2004-03-12 2004-03-12 유해 서비스 차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6837A KR100603439B1 (ko) 2004-03-12 2004-03-12 유해 서비스 차단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1395A KR20050091395A (ko) 2005-09-15
KR100603439B1 true KR100603439B1 (ko) 2006-07-24

Family

ID=37273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6837A KR100603439B1 (ko) 2004-03-12 2004-03-12 유해 서비스 차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343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1395A (ko) 2005-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70080B2 (ja) 車載無線ネットワークへのアクセスを制御する方法
KR100576956B1 (ko) 통신 네트워크에서 제1 통신 가입자의 인증을 검사하는방법 및 시스템
EP1621035B1 (en) Method for secure downloading of applications
US8819800B2 (en) Protecting user information
US89433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sioning device certificates
CA2593888C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sioning device certificates
KR20000016949A (ko) 이동성장치의국소서비스에대한액세스제어를제공하기위한방법및장치
US2007004926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ocal device management
CN108990062B (zh) 智能安全Wi-Fi管理方法和系统
KR20070082179A (ko) 상호 인증 장치 및 그 방법
CN102143492B (zh) Vpn连接建立方法、移动终端、服务器
CN104093175A (zh) 用于管理潜在的或实际的切换的方法和管理综合接入设备
EP1878161A1 (en) Method and system for electronic reauthentication of a communication party
JP2002082910A (ja) ユーザ認証システム及びユーザ認証方法
CN1659558B (zh) 使用分层证书的基于中介器的交互工作
CN107087293A (zh) 一种接入方法、终端及服务器
CN108449758A (zh) 一种智能硬件的绑定方法及系统
KR100603439B1 (ko) 유해 서비스 차단 방법
CN101170733B (zh) 一种wap业务的鉴权计费控制方法、装置及系统
JP4566322B2 (ja) 利用者認証システム
KR101074068B1 (ko)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통합 인증 시스템 및 방법
CN106992997A (zh) 一种版权的管理方法和装置
RU2747368C1 (ru) Способ мониторинга и управления информационной безопасностью подвижной сети связи
US20230112126A1 (en) Core network transformation authenticator
KR101094222B1 (ko) Sms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