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1524B1 -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 Google Patents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01524B1 KR100601524B1 KR1020040060087A KR20040060087A KR100601524B1 KR 100601524 B1 KR100601524 B1 KR 100601524B1 KR 1020040060087 A KR1020040060087 A KR 1020040060087A KR 20040060087 A KR20040060087 A KR 20040060087A KR 100601524 B1 KR100601524 B1 KR 10060152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terminal
- secondary battery
- lithium ion
- ion secondar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캡조립체의 터미널플레이트에 돌기를 형성하여 음극탭과의 접촉시 접촉저항을 증가시켜 음극탭의 용접이 용이하게 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in which protrusions are formed on a terminal plate of a cap assembly to increase contact resistance upon contact with a negative electrode tab, thereby facilitating welding of the negative electrode tab.
리튬이온 이차전지, 음극탭, 터미널플레이트, 저항용접, 돌기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tab, terminal plate, resistance welding, protrusion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리튬이온 이차전지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플레이트의 밑면도.3A is a bottom view of a terminal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도 3a의 A-A 단면도.3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3A.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플레이트의 밑면도.4 is a bottom view of a terminal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플레이트의 밑면도.5A is a bottom view of a terminal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b는 도 5a의 B-B 단면도.5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5A.
도 6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플레이트의 밑면도.Figure 6a is a bottom view of the terminal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b는 도 6a의 C-C 단면도.6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in FIG. 6A.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플레이트와 음극탭의 조립정면도.7 is an assembled front view of the terminal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jor Parts of Drawings>
210 - 캔 220 - 캡조립체210-Can 220-Cap assembly
230 - 전극단자 240 - 캡플레이트230-Electrode terminal 240-Cap plate
250 - 절연플레이트 260 - 터미널플레이트250-Insulated Plate 260-Terminal Plate
265 - 돌기265-turning
본 발명은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캡조립체의 터미널플레이트에 돌기를 형성하여 음극탭과의 접촉시 접촉저항을 증가시켜 음극탭의 용접이 용이하게 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in which protrusions are formed on a terminal plate of a cap assembly to increase contact resistance upon contact with a negative electrode tab, thereby facilitating welding of the negative electrode tab.
일반적으로 비디오 카메라, 휴대형 전화, 휴대형 컴퓨터 등과 같은 휴대형 무선 기기의 경량화 및 고기능화가 진행됨에 따라, 그 구동전원으로 사용되는 이차전지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차전지는, 예를 들면,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리튬 이차전지 등이 있다. 이들 중에서 리튬 이차전지는 재충전이 가능하고 소형 및 대용량화가 가능한 것으로서, 작동 전압이 높고 단위 중량 당 에너지 밀도가 높다는 장점 때문에 첨단 전자기기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In general, as the light weight and high functionalization of portable wireless devices such as a video camera, a portable telephone, a portable computer, and the like progress,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secondary batteries used as driving power. Such secondary batteries include, for example, nickel cadmium batteries, nickel hydrogen batteries, nickel zinc batteries, and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mong them,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re rechargeable, compact, and large-capacity, and are widely used in advanced electronic devices because of their high operating voltage and high energy density per unit weight.
도 1은 종래의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대한 분리 사시도를 나타낸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상기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양극판(113), 음극판(115) 및 세퍼레이터(114)로 구성되는 전극조립체(112)를 전해액과 함께 캔(110)에 수납하고, 이 캔(110)의 상단개구부(110a)를 캡조립체(120)로 밀봉함으로써 형성된다.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ccommodates the
상기 전극조립체(112)는 양극판(113)과 음극판(115)사이에 세퍼레이터(114)가 게재되면서 권취되어 형성된다. 상기 양극판(113)에는 양극탭(116)이 결합되어 전극조립체(112)의 상단부로 돌출되며, 음극판(115)에는 음극탭(117)이 결합되어 전극조립체의 상단부로 돌출된다. 상기 전극조립체(112)에서 상기 양극탭(116)과 음극탭(117)은 소정거리 떨어져 형성되어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한다. 상기 양극탭(116)과 음극탭(117)은 일반적으로 니켈 금속으로 형성된다. The
상기 캡조립체(120)는 캡플레이트(140)와 절연플레이트(150)와 터미널플레이트(160) 및 전극단자(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캡조립체(120)는 별도의 절연케이스(170)와 결합되어 캔의 상단개구부(110a)에 결합되어 캔(110)을 밀봉하게 된다.The
상기 캡플레이트(140)는 상기 캔(110)의 상단개구부(110a)와 상응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금속판으로 형성된다. 상기 캡플레이트(140)의 중앙에는 소정 크기의 단자통공1(141)이 형성되며, 단자통공1(141)에는 전극단자(130)가 삽입된다. 상기 전극단자(130)가 단자통공1(141)에 삽입될 때는 전극단자(130)와 캡플레이트(140)의 절연을 위하여 전극단자(130)의 외면에는 튜브형의 개스킷튜브(146)가 결합되어 함께 삽입된다. 한편 상기 캡플레이트(140)의 일측에는 전해액주입공(142)은 상기 캡플레이트(140)의 타측에 소정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캡조립체(120)가 상기 캔(110)의 상단개구부(110a)에 조립된 후 전해액주입공(142)을 통하여 전해액이 주입되고 전해액주입공(142)은 별도의 밀폐수단에 의하여 밀폐된다 The
상기 전극단자(130)는 상기 음극판(115)의 음극탭(117) 또는 상기 양극판(113)의 양극탭(116)에 연결되어 음극단자 또는 양극단자로 작용하게 된다.The
상기 절연플레이트(150)는 개스킷과 같은 절연물질로 형성되며, 캡플레이트(140)의 하면에 결합된다. 절연플레이트(150)에는 상기 캡플레이트(140)의 단자통공1(141)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전극단자(130)가 삽입되는 단자통공2(15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연플레이트(150)의 하면에는 상기 터미널플레이트(160)가 안 착되도록 터미널플레이트(160)의 크기에 상응하는 안착홈(152)이 형성된다.The
상기 터미널플레이트(160)는 Ni 합금의 일종인 인바합금(Ni : 36.5%, Fe : 63.5%)으로 형성되며, 상기 절연플레이트(150)의 하면에 결합된다. 상기 터미널플레이트(160)에는 캡플레이트(140)의 단자통공1(141)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전극단자(130)가 삽입되는 단자통공3(16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극단자(130)가 상기 개스킷튜브(146)에 의하여 절연되면서 캡플레이트(140)의 단자통공1(141)을 통하여 결합되므로 상기 터미널플레이트(160)는 상기 캡플레이트(140)와 전기적으로 절연되면서 상기 전극단자(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상기 터미널플레이트(160)의 일측에는 상기 음극판(1150에 결합된 음극탭(117)이 용접되며, 캡플레이트(140)의 타측에는 상기 양극판(113)에 결합된 양극탭(116)이 용접된다. 상기 음극탭(117)과 양극탭(116)을 결합시키는 용접방법으로는 저항용접, 레이저 용접 등이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저항용접이 사용된다.The
최근에는 이차전지의 내부저항을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각 구성요소를 전기적 저항이 작은 금속을 사용하게 된다. 즉 이차전지의 내부저항을 줄여 내부에서의 전기 손실을 방지하고자 한다. 상기 터미널플레이트에는 인바합금이 사용되었으나 자체의 저항이 높아, 저항에 의한 전기 손실을 방지하고자 저항이 낮은 니켈 금속이 사용되고 있다. Recently, as a method for reducing the internal resistance of secondary batteries, metals having low electrical resistance are used for each component. In other words,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secondary battery is reduced to prevent electric loss therein. Invar alloy is used in the terminal plate, but its resistance is high, and nickel metal having low resistance is used to prevent electric loss caused by resistance.
그러나 터미널플레이트에 니켈 금속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터미널플레이트와 음극탭간의 접촉저항이 낮아져 음극탭을 용접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터미널플레이트와 음극탭의 용접성이 감소되고, 오히려 음극탭과 용접봉사이에 용접이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However, when nickel metal is used in the terminal plate, the contact resistance between the terminal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is lowered, making it difficult to weld the negative electrode tab. Therefore, the weldability of the terminal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is reduced, but rather a problem of welding between the negative electrode tab and the electrode.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캡조립체의 터미널플레이트에 돌기를 형성하여 음극탭과의 접촉시 접촉저항을 증가시켜 음극탭의 용접이 용이하게 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particular, by forming a protrusion on the terminal plate of the cap assembly to increase the contact resistance when contacting the negative electrode tab to provide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that is easy to weld the negative electrode tab. Its purpose is to.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양극판과 음극판과 세퍼레이터 및 상기 음극판과 양극판에 각각 결합되는 양극탭과 음극탭을 구비하는 전극조립체와, 캡플레이트와 절연플레이트와 전극단자 및 터미널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캡조립체를 포함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플레이트는 상기 전극단자가 결합되는 단자통공이 형성되는 일측과 타측단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음극탭이 용접되는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는 상기 터미널플레이트의 후면이 압입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3개의 엠보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엠보싱들은 거리가 적어도 1.0mm의 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electrode assembly having a positive electrode tab and a negative electrode tab coupled to a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a negative electrode plate and a separator,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and a positive electrode plate, a cap plate and an insulating plate, and In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 cap assembly having an electrode terminal and a terminal plate, the terminal plate is formed between one side and the other end of the terminal through which the electrode terminal is coupled is formed projections are welded to the negative electrode tab It includes, wherein the projection is made of at least three embossing is formed by pressing the back of the terminal plate, the embossing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tance is formed at a distance of at least 1.0mm.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엠보싱은 원형 또는 타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엠보싱은 선형 또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상기 터미널플레이트 길이의 적어도 50%의 길이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엠보싱은 지름 또는 폭이 1.0mm이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mbossing may be formed in a circular or elliptical or polygonal. In addition, the embossing may be formed arranged in a linear or matrix shape. The projections are formed in the length portion of at least 50% of the length of the terminal plate, the embossing is preferably formed within 1.0mm in diameter or width.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돌기는 상기 터미널플레이트의 전면에 도전팁이 부착되어 형성되며, 상기 도전팁은 인바합금과 같이 니켈 금속보다 전지저항이 높은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전팁은 지름이 1.0mm 이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sion is formed by attaching a conductive tip to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plate, and the conductive tip is preferably formed of a metal having a higher battery resistance than nickel metal, such as an Inba alloy. In addition, the conductive tip is preferably formed within a diameter of 1.0mm.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돌기는 상기 터미널플레이트의 전면에 도전성이 있는 엠보싱 플레이트가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엠보싱 플레이트는 인바합금과 같이 니켈금속보다 전기저항이 높은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엠보싱 플레이트의 엠보싱은 지름이 1.0mm이내이며, 각 엠보싱 사이의 거리는 적어도 1.0mm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sion may be formed by attaching a conductive embossing plat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plate, the embossing plate is preferably formed of a metal having a higher electrical resistance than nickel metal, such as inba alloy. The embossing of the embossing plate is preferably less than 1.0mm in diameter, the distance between each embossing is formed at least 1.0mm apar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플레이트의 밑면도를 나타낸다. 도 3b는 도 3a의 A-A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플레이트의 밑면도를 나타낸다.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플레이트의 밑면도를 나타낸다. 도 5b는 도 5a의 B-B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플레이트의 밑면도를 나타낸다. 도 6b는 도 6a의 C-C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플레이트와 음극탭의 조립정면도를 나타낸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shows a bottom view of a terminal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3A. 4 is a bottom view of a terminal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a shows a bottom view of a terminal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5A. Figure 6a shows a bottom view of a terminal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in FIG. 6A. 7 is an assembled front view of the terminal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도 2를 참조하면, 캔(210)과, 캔(2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전극조립체(212)와, 상기 캔(210)의 상단개구부(210a)를 밀봉하는 캡조립체(22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In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상기 캔(210)은 대략 박스 형상을 가진 금속재로 형성되며, 그 자체가 단자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캔(210)은 바람직하게는 가볍고 연성이 있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합금으로 형성되나 여기서 그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캔(210)은 그 일면이 개구된 상단개구부(210a)를 포함하며, 상단개구부(210a)를 통해 전극조립체(212)가 수용된다. The can 210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substantially box shape, and can itself serve as a terminal. The can 210 is preferably formed of light or ductile aluminum or aluminum alloy,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can 210 may include an
상기 전극조립체(212)는 양극판(213)과 음극판(215) 및 세퍼레이터(214)를 포함한다. 상기 양극판(213)과 음극판(215)은 세퍼레이터(214)를 개재하여 적층된 후 젤리-롤(jelly-roll) 형태로 권취될 수 있다. 상기 양극판(213)에는 양극탭(216)이 용접되어 있으며, 이 양극탭(216)의 단부는 상기 전극조립체(212)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음극판(215)에도 음극탭(217)이 용접되어 있으며, 이 음극탭(217)의 단부도 상기 전극조립체(212)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The
상기 캡조립체(220)는 캡플레이트(240)와 절연플레이트(250)와 터미널플레이트(260)와 전극단자(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캡조립체(220)는 별도의 절연케이스(270)에 의하여 상기 전극조립체(212)와 절연되면서 캔(210)의 상단개구부(210a)에 결합되어 캔(210)을 밀봉하게 된다. The
상기 양극탭(216)은 상기 캡플레이트(240)에 연결되며 상기 음극탭(217)은 상기 터미널플레이트(260)에 연결된다. The
한편, 상기 전극조립체(212)의 양극판(213)과 음극판(215) 및 양극탭(216)과 음극탭(217)은 기종에 따라 반대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캡플레이트(240)는 상기 캔(210)의 상단개구부(210a)에 상응하는 크기와 형상의 금속판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무게가 가벼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합금으로 형성된다. 상기 캡플레이트(240)의 중앙에는 소정 크기의 단자통공4(241)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전해액주입공(242)이 형성된다. 상기 단자통공4(241)에는 전극단자(230)가 삽입되며, 상기 단자통공4(241)의 내면에는 전극단자(230)와 캡플레이트(240)의 절연을 위하여 튜브형의 개스킷튜브(246)가 조립된다. The
상기 전해액주입공(242)은 상기 캡플레이트(240)의 일측에 소정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캡조립체(220)가 상기 캔(210)의 상단개구부(210a)에 조립된 후 전해액주입공(242)을 통하여 전해액이 주입되고 전해액주입공(242)은 별도의 밀폐수단에 의하여 밀폐된다The
상기 절연플레이트(250)는 개스킷과 같은 절연물질로 형성되며, 하면에는 상기 터미널플레이트가 안착되는 안착홈(252)이 형성된다. 상기 절연플레이트(250)의 일측에서 상기 절연플레이트(250)와 상기 캡플레이트(240)가 결합될 때 상기 캡플레이트(240)의 단자통공4(241)에 대응되는 위치에 단자통공5(251)가 형성되며, 상기 전극단자(230)가 삽입된다.The insulating
상기 터미널플레이트(260)는, 도 3a와 도 3b를 참조하면, Ni 금속으로 형성되며, 상기 절연플레이트(250)의 안착홈(252)에 결합된다. 상기 터미널플레이트(260)의 일측에는 캡플레이트(240)의 단자통공4(241)에 대응되는 위치에 일측에 단자통공6(261)이 형성되며 상기 전극단자(230)가 삽입된다.3A and 3B, the
상기 터미널플레이트(260)는 상기 단자통공6(261)과 상기 터미널플레이트(260)의 타측사이에서 적어도 3개의 엠보싱(266)이 선형으로 배열되는 돌기(265)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돌기(265)에는 상기 음극탭(217)이 용접된다. 상기 터미널플레이트(260)와 음극탭(217)은 적어도 2점에서 용접되므로 엠보싱(266)은 1점의 여유를 두고 적어도 3개로 형성하는 것이 용접공정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엠보싱(266)은 단면이 원형 또는 타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터미널플레이트(260)가 후면에서 압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돌기(265)는 바람직하게는 터미널플레이트(260) 길이의 적어도 50%의 영역 내에 형성된다. 상기 돌기(265)가 생성되는 영역이 터미널플레이트(260)의 길이의 50%보다 작게 되면 상기 음극탭(217)을 용접할 때 용접위치를 정확히 해야하는 부담이 있다.The
또한 상기 돌기(265)는 바람직하게는 엠보싱(266)의 폭 또는 지름이 1.0mm 이내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터미널플레이트(260)의 재질을 전기저항이 낮은 Ni금속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음극탭(217)을 터미널플레이트(260)에 저항용접을 할 때 전기 저항이 작아 용접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돌기(265)는 상기 터미널플레이트(260)와 음극탭(217)의 접촉면적을 줄여 접촉부위에서 전기저항을 높이고, 저항용접이 잘 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저항용접에 사용되는 용접봉 및 용접부위의 지름이 1.0mm이상 되므로, 상기 터미널플레이트(260)와 음극탭(217)의 접촉면적을 줄이기 위해서는 상기 엠보싱(266)은 폭 또는 지름이 1.0mm 이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엠보싱(266)의 거리는 적어도 1mm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극탭(217)이 상기 터미널플레이트 (260)에 용접될 때는 바람직하게는 2점에서 용접되며, 상기 용접부위의 지름이 1.0mm이상 되므로, 상기 엠보싱(266)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mm로 이격되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상기 전극단자(230)는 상기 개스킷튜브(246)에 의하여 절연되면서 단자통공4(241)와 단자통공5(251) 및 단자통공6(261)을 통하여 삽입되어 터미널플레이트(260)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캡조립체(220)에서 상기 터미널플레이트(260)는 상기 캡플레이트(240)와 전기적으로 절연되면서 상기 전극단자(2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상기 절연케이스(270)는 양극탭홀(271)과 음극탭홀(272)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캡조립체(22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캡조립체(220)와 전극조립체(212)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게 된다. 상기 양극탭(216)은 상기 양극탭홀(271)을 통과하여 상기 캡플레이트(240)에 용접된다. 또한 상기 음극탭(217)은 상기 음극탭홀(272)을 통하여 상기 터미널플레이트(260)의 돌기(265)에 용접된다.The insulating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터미널플레이트의 밑면도를 나타낸다.4 is a bottom view of a terminal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터미널플레이트(260a)는,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단자통공6(261)과 상기 터미널플레이트(260a)의 타측사이에서 다수의 엠보싱(266a)이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는 돌기(265a)를 포함하며 형성된다. 즉, 상기 돌기(265a)는 엠보싱(266a)이 적어도 3행 3열 이상으로 배열되어 형성된다. 상기 엠보싱(266a)이 매트릭스 형상으로 형성되면 상기 음극탭(217)이 용접될 수 있는 영역이 넓어지게 되므로 용접 공정이 용이하게 수행된다. 상기 엠보싱(266a)은 바람직하게는 폭 또는 지 름이 1.0mm 이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엠보싱(266a)은 각 엠보싱(266a) 사이의 거리는 적어도 1.0mm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저항용접에 의한 용접부위는 1.0mm이상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각 엠보싱(266a) 사이의 거리가 적어도 1.0mm 로 이격되어 형성되어야 상기 음극탭(217)이 돌기(265)에 용접되는 위치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4, the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터미널플레이트의 밑면도와 단면도를 나타낸다. 5A and 5B show a bottom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terminal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터미널플레이트(260b)는, 도 5a와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단자통공6(261)과 상기 터미널플레이트(260b)의 타측사이에서 적어도 3개의 도전팁(266b)이 선형으로 부착되어 형성되는 돌기(265b)가 형성되며, 상기 도전팁(266b)에 상기 음극탭(217)이 저항용접 된다. 상기 도전팁(266b)은 구형 또는 타원구형 또는 판상의 도체로 형성되며, 폭 또는 지름이 바람직하게는 1.0mm 이내로 형성된다. 상기 도전팁(266b)은 압착 또는 용착 또는 납땜 등에 의하여 상기 터미널플레이트(260b)에 부착된다. 상기 도전팁(266b)은 바람직하게는 인바합금과 같이 니켈금속보다 전기저항이 높은 금속을 사용하며, 여기서 금속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도전팁(266b)을 터미널플레이트(260b)의 재질인 니켈금속보다 전지저항이 높은 금속을 사용하여 형성하면 도전팁(266b)과 음극탭(217)의 접촉시 접촉저항을 더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저항용접성이 향상된다.5A and 5B, the
또한 상기 터미널플레이트에서 돌기는 도 4에서와 같이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는 도전팁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는 상기 도전팁 사이의 거리는 적 어도 1.0mm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rotrusion on the terminal plate may be formed by a conductive tip arranged in a matrix shape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distance between the conductive tips is preferably formed at least 1.0mm apart.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터미널플레이트의 밑면도와 단면도를 나타낸다. 6A and 6B show a bottom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terminal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터미널플레이트(260c)는, 도 6a와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단자통공6(261)과 상기 터미널플레이트(260c)의 타측사이에서 엠보싱 플레이트(266c)가 소정크기로 부착되어 형성되는 돌기(267c)를 포함하며, 엠보싱 플레이트(266c)의 상면에 상기 음극탭(217)이 저항용접 된다. 상기 엠보싱 플레이트(266c)는 박판으로 표면에 다수의 엠보싱(267c)이 선형 또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엠보싱(267c)은 폭 또는 지름이 바람직하게는 1.0mm 이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엠보싱(267c)은 각 엠보싱(267c) 사이의 거리는 적어도 1.0mm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엠보싱 플레이트(266c)는 바람직하게는 인바합금과 같이 니켈금속보다 전기저항이 높은 금속을 사용하며, 여기서 금속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엠보싱 플레이트(266c)가 터미널플레이트(260c)의 재질인 니켈금속보다 전지저항이 높은 금속으로 형성되면 엠보싱 플레이트(266c)와 음극탭(217)의 접촉시 접촉저항을 더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저항용접성이 향상된다. 상기 엠보싱 플레이트(266c)는 용접 또는 납땜 또는 접착 등에 의하여 상기 터미널플레이트(260c)의 하면에 부착된다. 6A and 6B, the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돌기가 형성된 터미널플레이트에 음극탭이 용접된 이차전지의 정면도를 나타낸다.7 is a front view of a secondary battery in which a negative electrode tab is welded to a terminal plate having protrus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터미널플레이트(260)는 캡플레이트(240)의 하면에 상기 절연플레이트(250)에 의하여 절연되면서 안착된다. 상기 터미널플레이트(260)의 일측에는 전극단자(23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터미널플레이트(260)의 하면에는 돌기(265)가 형성되어 있으며, 돌기(265)에는 전극조립체(212)의 음극탭(217)이 저항용접 된다. 이때 상기 음극탭(217)과 터미널플레이트(260)는 돌기(265)에 의하여 접촉면적이 상대적으로 감소하게 되므로 접촉부위에서는 전기저항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음극탭(217)과 터미널플레이트(260)는 저항용접이 보다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플레이트(260)와 음극탭(217)이 용접된 후 상기 양극탭(216)과 상기 캡플레이트(240)를 용접한다. 상기 캡조립체(220)는 상기 음극탭(217)과 양극탭(216)이 소정위치에서 90도로 절곡되어 상기 캔(210)의 상단개구부(210a)에 조립된다.The
한편, 상기 돌기(265)가 니켈금속보다 전기저항이 높은 금속으로 형성되는 도전팁 또는 도전성 엠보싱 플레이트로 형성되면, 상기 터미널플레이트(260)와 음극탭(217) 사이의 접촉저항이 증가되므로 용접성이 향상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특허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any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of course, and such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의하면, 터미널플레이트에 돌기를 형성 하고 돌기에 음극탭을 접촉시켜 용접을 함으로써 접촉면적 감소에 따른 전기저항이 증가하여 저항용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protrusion on the terminal plate and welding by contacting the negative electrode tab to the protrusion, the electrical resistance according to the decrease of the contact area is increased, thereby improving resistance weldability.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터미널플레이트와 음극탭 사이의 전기저항이 증가됨으로써 음극탭과 용접봉 사이에서 용접이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ical resistance between the terminal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is increased, thereby preventing the phenomenon of welding between the negative electrode tab and the electrode.
Claims (16)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60087A KR100601524B1 (en) | 2004-07-30 | 2004-07-30 |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
JP2005209269A JP4404818B2 (en) | 2004-07-30 | 2005-07-19 |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
US11/188,209 US7824798B2 (en) | 2004-07-30 | 2005-07-25 | Secondary batter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60087A KR100601524B1 (en) | 2004-07-30 | 2004-07-30 |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11314A KR20060011314A (en) | 2006-02-03 |
KR100601524B1 true KR100601524B1 (en) | 2006-07-19 |
Family
ID=37121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60087A KR100601524B1 (en) | 2004-07-30 | 2004-07-30 |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01524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09872B1 (en) * | 2005-12-29 | 2007-04-20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Secondary battery |
KR101233466B1 (en) * | 2006-05-04 | 2013-02-14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
KR101002542B1 (en) | 2008-10-08 | 2010-12-17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Secondary battery with terminal plat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82332A (en) * | 1995-09-12 | 1997-03-28 | Furukawa Battery Co Ltd:The | Electrode plate for battery and manufacture thereof |
KR970077783A (en) * | 1996-05-14 | 1997-12-12 | 손욱 | BATTERY PLATE FOR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
JP2002008623A (en) * | 2000-06-19 | 2002-01-11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Battery |
KR20030066243A (en) * | 2002-02-05 | 2003-08-09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Cap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Therewith |
-
2004
- 2004-07-30 KR KR1020040060087A patent/KR100601524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82332A (en) * | 1995-09-12 | 1997-03-28 | Furukawa Battery Co Ltd:The | Electrode plate for battery and manufacture thereof |
KR970077783A (en) * | 1996-05-14 | 1997-12-12 | 손욱 | BATTERY PLATE FOR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
JP2002008623A (en) * | 2000-06-19 | 2002-01-11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Battery |
KR20030066243A (en) * | 2002-02-05 | 2003-08-09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Cap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Therewith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11314A (en) | 2006-02-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855014B2 (en) | Secondary battery | |
US7824798B2 (en) | Secondary battery | |
CN100420085C (en) | Seconary battery | |
US7781092B2 (en) |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 |
US8852797B2 (en) |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ith anti-rotation cap assembly | |
JP4499648B2 (en) |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 |
US8313851B2 (en) |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 |
JP5374555B2 (en) | Secondary battery | |
US8551645B2 (en) | Can for cylindrical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and cylindrical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using the same | |
JP2010092871A (en) | Can type secondary battery | |
KR101233466B1 (en) |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 |
KR100788559B1 (en) | Secondary battery | |
KR100601522B1 (en) |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 |
KR100601524B1 (en) |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 |
KR100614357B1 (en) | Lithium Secondary battery | |
KR100601553B1 (en) |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 |
KR100601523B1 (en) |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 |
KR20070101566A (en) |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 |
KR101243556B1 (en) |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 |
KR20060027265A (en) | Electrode assembly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 |
KR100614355B1 (en) |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 |
KR100875108B1 (en) | Secondary battery | |
KR100670503B1 (en) |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 |
JP2004055371A (en) | Cylindrical battery and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batteries us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