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1521B1 - 리튬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리튬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1521B1
KR100601521B1 KR1020050019838A KR20050019838A KR100601521B1 KR 100601521 B1 KR100601521 B1 KR 100601521B1 KR 1020050019838 A KR1020050019838 A KR 1020050019838A KR 20050019838 A KR20050019838 A KR 20050019838A KR 100601521 B1 KR100601521 B1 KR 100601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plate
secondary battery
gasket
cap
lithium second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9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규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9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15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1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1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83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47Lids or cov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통형 리튬 이차전지에서 캡업과 가스켓 사이에 완충할 수 있는 절연판을 삽입하여 크림핑(Crimping) 함으로써, 전지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 및 전해액 누출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킨 리튬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리튬 이차전지, 캡조립체, 가스켓, 절연판

Description

리튬 이차전지{Lithium Secondary Battery}
도 1은 일반적인 원통형 리튬 이차전지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의 부분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의 부분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의 부분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의 부분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의 부분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원통형 리튬 이차전지 200 - 전극조립체
300 - 캔 305 - 가스켓
330 - 캔의 상단 개구부 400 - 캡조립체
490 - 캡업(Cap Up) 500 - 절연판
본 발명은 리튬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통형 리튬 이 차전지에서 캡업과 가스켓 사이에 완충할 수 있는 절연판을 삽입하여 크림핑 함으로써 전지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 및 전해액 누출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킨 리튬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리튬 이차전지는 외관의 형상에 따라 원통형 리튬 이차전지와 각형 리튬 이차전지로 구분된다. 원통형 리튬 이차전지는 과충전이나 이상 작동에 의해 전지의 내부 압력이 규정 이상으로 상승되고 폭발의 위험성이 있을 때 캡조립체에서 이차전지 내부의 전류를 차단하여 더 이상 반응이 일어나지 않게 함으로써 리튬 이차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원통형 리튬 이차전지(100)는, 도 1을 참조하면, 전극조립체(200)와, 상기 전극조립체(200)와 전해액을 수용하는 원통형 캔(300)과, 상기 원통형 캔(300) 상부에 조립되어 상기 원통형 캔(300)을 밀봉하며 상기 전극조립체(200)에서 발생되는 전류를 외부 장치로 흐르게 하는 캡조립체(40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전극조립체(200)는 양극집전체의 표면에 양극활물질층이 코팅된 양극판(210)과 음극집전체의 표면에 음극활물질층이 코팅된 음극판(220)과 상기 양극판(210) 및 음극판(22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양극판(210)과 음극판(220)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세퍼레이터(230)가 젤리-롤 형상으로 권취되어 형성된다. 상기 양극판(210)은, 도면에는 상세히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전성이 우수한 금속 박판, 예를 들면, 알루미늄(Al) 호일(foil)로 이루어진 양극집전체와, 그 양면에 코팅된 양극활물질층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양극판(210)의 양 말단에는 양극활물질층이 형성되지 않은 양극집전체 영역, 즉, 양극무지부가 형성된다. 상기 양극무지부의 일 단에는 일반적으로 알루미늄(Al) 재질로 형성되며, 전극조립체(200)의 상부로 일정 길이 돌출되는 양극 탭(215)이 접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음극판(220)은 전도성 금속 박판, 예를 들면, 구리(Cu) 또는 니켈(Ni) 호일로 이루어진 음극집전체와, 그 양면에 코팅된 음극활물질층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음극판(220)의 양 말단은 음극활물질층이 형성되지 않은 음극집전체 영역, 즉 음극무지부가 형성된다. 상기 음극무지부의 일단에는 일반적으로 니켈(Ni) 재질로 형성되며, 전극조립체(200)의 하부로 일정 길이 돌출된 음극 탭(225)이 접합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전극조립체(200)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캡조립체(400) 또는 원통형 캔(300)과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 플레이트(241, 245)가 더 포함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원통형 캔(300)은 상기 원통형 전극조립체(200)가 수용될 수 있는 소정 공간이 형성되도록 일정 직경을 갖는 원통형 측면판(310)과 상기 원통형 측면판(310)의 하부를 밀폐하는 하면판(320)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 측면판(310)의 상부는 상기 전극조립체(200)를 삽입하기 위하여 개구(開口)되어 있다. 상기 원통형 캔(300)의 하면판(320) 중앙에 상기 전극조립체(200)의 음극 탭(225)이 접합됨으로써, 상기 원통형 캔(300) 자체는 음극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원통형 캔(300)은 일반적으로 알루미늄(Al), 철(Fe)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원통형 캔(300)은 상부의 개구에 결합되는 상기 캡조립체(400)의 상부를 압박하도록 상단에서 내부로 휘어진 크리핑(clipping)부(33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원통형 캔(300)은 상기 크리핑부(330)로부터 하방으로 상기 캡조립체의 두께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상기 캡조립체(400)의 하부를 압박 하도록 안쪽으로 움푹 파인 비딩(beading)부(340)가 더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캡조립체(400)는 안전밴트(410)와 전류차단수단(420)과 이차보호소자 (480)및 캡업(49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안전밴트(410)는 판상으로 중앙에 하부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캡조립체(400)의 하부에 위치하며, 이차전지의 내부에서 발생한 압력에 의하여 돌출부가 상부 방향으로 변형하게 된다. 상기 안전밴트(410)의 하면 소정위치에는 전극조립체(200)의 양극판(210) 및 음극판(220) 중에서 한 전극판 예를 들어, 양극판(210)에서 인출한 양극탭(215)이 용접되어 상기 안전밴트(410)와 전극조립체(200)의 양극판(210)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양극판(210) 및 음극판(220) 중 나머지전극판 예를 들어 음극은 도시하지 않은 탭 혹은 직접 접촉 방식에 의해 캔(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종래의 캡조립체는 캔 내부에 가스켓을 삽입하고, 그 후 안전밴트, 전류차단수단, 이차보호소자 및 캡 업을 캔 내부에 삽입한 후 크림핑을 하여 전지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 및 전해액의 누출을 방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만으로는 캡업과 가스켓과의 밀착성이 떨어질 염려가 있고, 따라서 전지 내부압력이 상승했을 경우 완전한 밀폐구조가 형성되지 않아 전지내부에서 발생한 가스가 누출될 염려가 있다. 또한 외부충격 등의 원인으로 전해액이 캡조립체와 가스켓 사이의 미세한 틈으로 흘러들어갈 경우, 모세관 현상, 응집력 등의 요인으로 인해 전지외부로 전해액이 누출될 염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이차 전지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캡 업과 가스켓 사이에 완충역할을 하는 절연판을 삽입함으로써 전지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 또는 전해액의 누출을 방지하여 밀폐성을 향상시킨 이차전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캡업과 가스켓 사이에 절연성 물질을 삽입함으로써 외부 충격시 캔과 캡업의 접촉에 의한 쇼트를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킨 이차전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리튬 이차전지는, 중앙에서 하부로 돌출되며 전지의 내부 압력에 의하여 상부로 변형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안전밴트와 전류차단수단과 상기 전류차단수단의 상부에 결합되는 캡업을 구비하는 캡조립체와, 상기 캡조립체에 밀착되는 가스켓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에 있어서,상기 캡업과 가스켓 사이에 완충용 절연판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절연판과 캡업 사이에 접착성 물질이 개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절연판의 형상은 중앙에 원형의 홀을 구비하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절연판은 폴리에틸렌 또는 테프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절연판의 홀의 반경은 전극 단자의 반경을 초과하고 크림핑 후 가스켓이 캡업을 덮고 있는 부분에 미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절연판의 반경은 캡업의 반경과 같거나, 캡업의 반경을 초과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절연판에 삼각형, 사각형 또는 원형의 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절연판과 동심원을 이루고 소정의 높이와 폭을 가지는 양각 형상이 절연판 중 가스켓과 밀착되는 부분에 더 구비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가스켓 중 절연판과 밀착되는 부분에 단면의 형상이 삼각형, 사각형 또는 원형인 음각 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가스켓 중 절연판과 밀착되는 부분에 단면의 형상이 삼각형, 사각형 또는 원형인 양각 돌기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부분단면도이다.
원통형 리튬 이차전지(100)는, 도 1을 참조하면, 전극조립체(200)와, 상기 전극조립체(200)와 전해액을 수용하는 원통형 캔(300)과, 상기 원통형 캔(300) 상 부에 조립되어 상기 원통형 캔(300)을 밀봉하며 상기 전극조립체(200)에서 발생되는 전류를 외부 장치로 흐르게 하는 캡조립체(40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전극조립체(200)는 양극집전체의 표면에 양극활물질층이 코팅된 양극판(210)과 음극집전체의 표면에 음극활물질층이 코팅된 음극판(220)과 상기 양극판(210) 및 음극판(22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양극판(210)과 음극판(220)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세퍼레이터(230)가 젤리-롤 형상으로 권취되어 형성된다.
상기 원통형 캔(300)은 상기 원통형 전극조립체(200)가 수용될 수 있는 소정 공간이 형성되도록 일정 직경을 갖는 원통형 측면판(310)과 상기 원통형 측면판(310)의 하부를 밀폐하는 하면판(320)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 측면판(310)의 상부는 상기 전극조립체(200)를 삽입하기 위하여 개구(開口)되어 있다.
상기 캡조립체(400)는 안전밴트(410)와 전류차단수단(420)과 이차보호소자 (480)및 캡업(49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완충용 절연판(500, 이하 '절연판'이라 한다)은, 도 2를 참조하면, 캡업(490)과 가스켓(305) 사이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캡업(490)과 절연판(500) 사이에는 접착성 물질이 개재될 수 있다. 접착성 물질은 캡업(490)과 절연판(500)을 일체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절연판(500)은 중앙에 원형의 홀을 구비하는 환형으로 형성된다. 이는 충방전시 전류의 흐름을 위해서는 전극이 노출될 필요가 있으므로 캡업(490)의 상측 돌출부는 절연판(500)으로 덮이지 않게 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절연판(500)의 재질로는 폴리에틸렌이나 테프론(Teflon)이 적당하다.
폴리에틸렌은 밀도가 작아 가볍고, 가지가 있기 때문에 분자 배열이 충분하지 않아 결정화된 부분이 65 % 정도이기 때문에 말랑말랑해져서 잘 늘어나며, 인장강도(引張强度)는 약간 작지만 내충격성은 크다. 따라서 가공하기 쉽고 사용하기 쉽다.
또한 CH2만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전기절연성이 우수하며, 구조식에서 나타나듯이 C의 사슬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성이기 때문에 고주파 절연재료로도 가장 우수하다.
테프론은 CF2=CF2이 단량체를 라디칼 중합 것으로 -(CF2-CF2)-인 중합체를 얻는다. 고열에 아주 강한 재질이며 약 1200도에서 분해 되어 단량체로 돌아가는 성질이 있으며 전기 절연 물질로 전선 피복이나 전선 캐이블로 이용 될 수 있다. 고밀도 폴리에티렌과 비교해 볼때, 에틸렌의 지그 재그 결정 팩킹 결정을 이루고 있지만 테프론은 수소 원자보다 큰 플르오르 네개를 가지고 있어 플루오르원자가 서로 반대 편 방향으로 꺽여져 서로 껴앉는 형태로 주사슬 탄소 지그재그 결정성을 이루고 있어 결정성이 매우 높은 고분자이다.
양 물질 공히 완충성과 절연성을 가지고 있어, 절연판으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물질이다.
상기 절연판(500)의 홀의 반경은 전극 단자의 반경을 초과하고 크림핑(Crimping) 후 가스켓(305)이 캡업(490)을 덮고 있는 부분에 미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극의 노출을 위해 홀의 반경은 캡업(490)의 전극단자 반경 보다는 커야 하고, 캡업(490)과 가스켓(305) 사이에 삽입되어 완충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캔의 상단 개구부를 크림핑(Crimping)했을 때 가스켓(305)이 캡업(490)을 덮고 있는 부분에는 미치지 않아야 한다.
상기 절연판(500)의 반경은 캡업(490)의 반경과 같거나, 캡업(490)의 반경을 초과하여 형성될 수 있다. 캡업(490)과 가스켓(305) 사이에 삽입되어 완충역할에 의한 밀폐성 향상을 얻기 위해서는, 절연판(500)의 반경은 적어도 캡업(490)의 반경까지는 미쳐야 하며, 도 4를 참조하면, 또한 캡업(490)의 반경을 초과하여 캡조립체(400) 측면의 일부를 덮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절연판(500) 중 가스켓(305)과 밀착되는 부분에 삼각형, 사각형 또는 원형의 홀(510)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절연판(500) 중 가스켓(305)과 밀착되는 부분에 소정의 형상을 갖는 홀(51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홀(510)은 가스켓(305)이 밀착될 때 홀(510)의 내부로 가스켓(305)이 밀려 들어오게 되어 밀폐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홀(510)은 가스켓(305)과의 밀착성이 향상되어 일종의 보강구조 역할을 하여, 외부의 충격, 비틀림 등에 의한 변형을 방지한다. 홀(510)의 형상은 삼각형, 사각형 또는 원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홀(510)의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효과는, 상기 절연판(500)과 동심원을 이루고 소정의 높이와 폭을 가지는 양각 형상(350)이 절연판(500) 중 가스켓(305)과 밀착되는 부분에 구비됨으로써도 얻을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절연판(500)과 동심원을 이루고 소정의 높이와 폭을 가지는 양각 돌기(350)가 절연판(500)에 형성되어 있다. 캡업(490)측에서 볼 때 다수의 동심원을 이루는 양각 돌기(350)가 형성되는데, 양각 돌기(350)위에 가스켓(305)이 밀착될 경우 절연판(500) 상의 양각 돌기(350)가 가스켓(305)을 누르게 되어 밀폐성이 향상될 뿐 아니라 밀착성도 향상된다.
이러한 밀폐성 향상과 밀착성 향상을 위해서는, 절연판에 홀 또는 양각 돌기가 형성되는 대신, 상기 가스켓(305) 중 절연판(500)과 밀착되는 부분에 삼각형, 사각형 또는 원형의 음각 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6의 형상과 유사할 것이다. 역시 음각 홈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음각 홈의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가스켓(305) 중 절연판(500)과 밀착되는 부분에 삼각형, 사각형 또는 원형의 양각 돌기(360)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가스켓(305)의 표면에 양각 돌기(360)가 형성되고 절연판(500)이 밀착되게 되면, 가스켓(305)에 형성된 양각 돌기(360)가 절연판(500)을 누르게 되어 밀폐성과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연판이 삽입된 리튬 이차전지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캡업(490)과 가스켓(305) 사이에 삽입된 절연판(500)이 완충역할을 하게 되어, 캔의 상단 개구부를 크림핑(Crimping)했을 때 캡업(490)과 가스켓(305)의 밀폐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전지내부에서 발생한 가스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고 전해액의 누출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캡업(490)과 절연판(500) 사이에 접착성 물질이 개재되어 상호 접착되면 캡업(490)과 절연판(500)이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캡업(490)은 금속성 물질이므로, 캡업(490)과 가스켓(305) 간의 마찰력보다 절연판(500)과 가스켓(305) 간의 마찰력이 더 크다. 따라서 외부 충격이나 비틀림 등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절연판(500)의 반경이 캡업(490)의 반경을 초과하여 캡조립체(400)의 측면의 일부를 덮는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캡조립체(400)와 가스켓(305) 사이에는 미세한 틈이 존재하게 되는데, 전해액은 액체이므로 분자간 응집력, 모세관 현상 등에 의해 미세한 틈을 따라 조금씩 전지 외부로 유출될 염려가 있다. 도 4와 같이 절연판(500)의 반경을 연장하여 캡조립체(400)의 측면의 일부를 덮는 구조로 형성하면 이러한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절연판(500) 중 가스켓(305)과 밀착되는 부분에 삼각형, 사각형 또는 원형의 홀(510)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다. 절연판(500)과 가스켓(305)이 크림핑(Crimping)에 의해 밀착되면, 절연판(500)에 형성된 홀(510)의 내부로 가스켓(305)이 밀려 들어오게 되어 절연판(500)과 가스켓(305)이 견고하게 결합하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절연판(500)과 동심원을 이루고 소정의 높이와 폭을 가지는 양각 형상(305)이 절연판(500) 중 가스켓(305)과 밀착되는 부분에 구비된다. 절연판(500)과 가스켓(305)이 크림핑(Crimping)에 의해 밀착되면, 절연판(500)에 형성된 양각 돌기(305)가 가스켓(305)을 누르게 되어 밀폐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가스켓(305) 중 절연판(500)과 밀착되는 부분에 삼각형, 사각형 또는 원형의 음각 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작용은 절연판에 양각 형상이 구비된 경우와 유사하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가스켓(305) 중 절연판(500)과 밀착되는 부분에 삼각형, 사각형 또는 원형의 양각 돌기(360)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절연판(500)과 가스켓(305)이 크림핑(Crimping)에 의해 밀착되면, 가스켓(305)에 형성된 양각돌기(360)가 절연판(500)을 누르게 되어 밀폐성이 향상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특허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에 의하면, 캡업과 가스켓 사이에 완충역할을 하는 절연판을 삽입함으로써 전지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의 외부 누출, 전해액의 외부 누출을 방지하여 전지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캡업과 가스켓 사이에 절연판이 삽입됨으로써 상이한 극성을 갖는 캡업과 캔의 상단 개구부의 접촉에 의한 쇼트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절연판 또는 가스켓에 양각 또는 음각 형상을 형성하여, 절연판과 가스켓이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외부 충격, 비틀림 등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0)

  1. 중앙에서 하부로 돌출되며 전지의 내부 압력에 의하여 상부로 변형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안전밴트와 전류차단수단과 상기 전류차단수단의 상부에 결합되는 캡업을 구비하는 캡조립체와,
    상기 캡조립체에 밀착되는 가스켓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캡업과 가스켓 사이에 완충용 절연판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판과 캡업 사이에 접착성 물질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판의 형상은 중앙에 원형의 홀을 구비하는 환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판의 재질은 폴리에틸렌 또는 테프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판의 홀의 반경은 전극 단자의 반경을 초과하고 크림핑 후 가스켓이 캡업을 덮고 있는 부분에 미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판의 반경은 캡업의 반경과 같거나, 캡업의 반경을 초과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판 중 가스켓과 밀착되는 부분에 삼각형, 사각형 또는 원형의 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판과 동심원을 이루고 소정의 높이와 폭을 가지는 양각 형상이 절연판 중 가스켓과 밀착되는 부분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 중 절연판과 밀착되는 부분에 단면의 형상이 삼각형, 사각형 또 는 원형인 음각 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 중 절연판과 밀착되는 부분에 단면의 형상이 삼각형, 사각형 또는 원형인 양각 돌기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0050019838A 2005-03-09 2005-03-09 리튬 이차전지 KR100601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838A KR100601521B1 (ko) 2005-03-09 2005-03-09 리튬 이차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838A KR100601521B1 (ko) 2005-03-09 2005-03-09 리튬 이차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1521B1 true KR100601521B1 (ko) 2006-07-19

Family

ID=37184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9838A KR100601521B1 (ko) 2005-03-09 2005-03-09 리튬 이차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1521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854B1 (ko) 2005-12-19 2009-06-04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전지 모듈
KR100915796B1 (ko) 2008-06-04 2009-09-08 (주)에스티아이 액정표시장치의 배향막 형성장치 및 형성방법
KR100948001B1 (ko) 2006-12-11 2010-03-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강화된 클림핑 형상의 리튬이온 이차전지
KR101084209B1 (ko) * 2009-10-29 2011-11-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캡업의 구조가 개선된 원통형 이차전지
KR101403383B1 (ko) 2011-10-20 2014-06-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원통형 이차전지
US8999564B2 (en) 2010-10-13 2015-04-07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KR20170085978A (ko) * 2016-01-14 2017-07-25 신흥에스이씨주식회사 접촉저항성이 개선된 캡조립체 및 그 이차전지
US10069124B2 (en) 2014-09-22 2018-09-04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having heat-resistant insulating layer
WO2019235721A1 (ko) * 2018-06-05 2019-12-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WO2019245125A1 (ko) * 2018-06-18 2019-12-26 주식회사 엘지화학 벤팅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EP3813142A4 (en) * 2018-08-28 2021-07-21 Lg Chem, Ltd. CYLINDER SHAPED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TEM
CN113661603A (zh) * 2019-05-08 2021-11-16 株式会社Lg新能源 防止电池壳体被腐蚀的用于圆柱形电池的衬垫及包括该衬垫的圆柱形电池
US11502359B2 (en) 2017-10-11 2022-11-15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06452A (ja) * 1990-11-30 1992-07-28 Ricoh Co Ltd 非水電解液電池
JPH0869785A (ja) * 1994-06-24 1996-03-12 Fuji Elelctrochem Co Ltd 防爆安全装置を備えた電池とその製造方法
JPH10247483A (ja) 1997-03-04 1998-09-14 Mitsubishi Cable Ind Ltd 密閉型電池の安全構造
JP2001023585A (ja) 1999-07-06 2001-01-26 Toshiba Battery Co Ltd アルカリ乾電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06452A (ja) * 1990-11-30 1992-07-28 Ricoh Co Ltd 非水電解液電池
JPH0869785A (ja) * 1994-06-24 1996-03-12 Fuji Elelctrochem Co Ltd 防爆安全装置を備えた電池とその製造方法
JPH10247483A (ja) 1997-03-04 1998-09-14 Mitsubishi Cable Ind Ltd 密閉型電池の安全構造
JP2001023585A (ja) 1999-07-06 2001-01-26 Toshiba Battery Co Ltd アルカリ乾電池

Cited B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854B1 (ko) 2005-12-19 2009-06-04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전지 모듈
US8889288B2 (en) 2006-12-11 2014-11-18 Lg Chem, Ltd. Lithium ion battery of crimping shape of increased safety
KR100948001B1 (ko) 2006-12-11 2010-03-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강화된 클림핑 형상의 리튬이온 이차전지
US9130203B2 (en) 2006-12-11 2015-09-08 Lg Chem, Ltd. Lithium ion battery of crimping shape of increased safety
KR100915796B1 (ko) 2008-06-04 2009-09-08 (주)에스티아이 액정표시장치의 배향막 형성장치 및 형성방법
KR101084209B1 (ko) * 2009-10-29 2011-11-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캡업의 구조가 개선된 원통형 이차전지
US8609269B2 (en) 2009-10-29 2013-12-17 Samsung Sdi Co., Ltd.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 cap-up
US8999564B2 (en) 2010-10-13 2015-04-07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KR101403383B1 (ko) 2011-10-20 2014-06-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원통형 이차전지
US10069124B2 (en) 2014-09-22 2018-09-04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having heat-resistant insulating layer
KR20170085978A (ko) * 2016-01-14 2017-07-25 신흥에스이씨주식회사 접촉저항성이 개선된 캡조립체 및 그 이차전지
US11502359B2 (en) 2017-10-11 2022-11-15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WO2019235721A1 (ko) * 2018-06-05 2019-12-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WO2019245125A1 (ko) * 2018-06-18 2019-12-26 주식회사 엘지화학 벤팅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CN111052444A (zh) * 2018-06-18 2020-04-21 株式会社Lg化学 通气装置及其制造方法
EP3664188A4 (en) * 2018-06-18 2020-11-04 Lg Chem, Ltd. VENTILATION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T
KR102323809B1 (ko) * 2018-06-18 2021-11-0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벤팅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US11355813B2 (en) 2018-06-18 2022-06-07 Lg Energy Solution, Ltd. Ven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11052444B (zh) * 2018-06-18 2022-06-14 株式会社Lg化学 通气装置及其制造方法
KR20190142498A (ko) * 2018-06-18 2019-12-27 주식회사 엘지화학 벤팅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US11881591B2 (en) 2018-06-18 2024-01-23 Lg Energy Solution, Ltd. Ven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3813142A4 (en) * 2018-08-28 2021-07-21 Lg Chem, Ltd. CYLINDER SHAPED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TEM
CN113661603A (zh) * 2019-05-08 2021-11-16 株式会社Lg新能源 防止电池壳体被腐蚀的用于圆柱形电池的衬垫及包括该衬垫的圆柱形电池
EP3951907A4 (en) * 2019-05-08 2022-06-08 LG Energy Solution, Ltd. CYLINDRICAL BATTERY GASKET FOR PREVENTING CORROSION OF A BATTERY HOUSING, AND CYLINDRICAL BATTERY INCLUDING THE SAME
CN113661603B (zh) * 2019-05-08 2023-09-22 株式会社Lg新能源 防止电池壳体被腐蚀的用于圆柱形电池的衬垫及包括该衬垫的圆柱形电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1521B1 (ko) 리튬 이차전지
KR100686827B1 (ko) 리튬 이차전지
KR100760757B1 (ko) 리튬 이차전지
KR100978092B1 (ko)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KR101313325B1 (ko) 원통형 이차 전지
KR100928129B1 (ko) 이차 전지
CN105280874B (zh) 二次电池
KR101111073B1 (ko) 이차전지용 캡 어셈블리
KR100778980B1 (ko) 리튬 이차전지
KR101097255B1 (ko) 이차 전지
EP2104159A1 (en)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 cap assembly
US8663837B2 (en) Secondary battery
EP2453501A1 (en) Secondary battery with improved coupling between the collector and the cap plate
KR101054748B1 (ko) 전해액 밀봉성이 우수한 이차전지용 캡 어셈블리
US7964306B2 (en)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having electrode pin
KR101492354B1 (ko) 리튬 이온 배터리
KR101544703B1 (ko) 밀봉성이 향상된 캡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KR20130074236A (ko) 제조공정성이 향상된 캡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원통형 전지
KR101613566B1 (ko) 중공형 이차전지용 단자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중공형 이차전지
KR20160022137A (ko) 안정성이 향상된 원통형 리튬 이차전지
KR100865405B1 (ko) 이차전지
KR20160011983A (ko) 내식성이 향상된 원통형 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70087325A (ko) 원통형 전지캔, 이를 포함한 이차전지 및 그 제조 방법들
KR20130122051A (ko) 원통형 전지
KR101473392B1 (ko) 이차 전지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