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0854B1 - 열처리 가열로 - Google Patents

열처리 가열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0854B1
KR100600854B1 KR1020040078394A KR20040078394A KR100600854B1 KR 100600854 B1 KR100600854 B1 KR 100600854B1 KR 1020040078394 A KR1020040078394 A KR 1020040078394A KR 20040078394 A KR20040078394 A KR 20040078394A KR 100600854 B1 KR100600854 B1 KR 100600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treatment
chamber
cooling chamber
cooling
treatmen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8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9450A (ko
Inventor
박인석
Original Assignee
박인석
장인열처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석, 장인열처리(주) filed Critical 박인석
Priority to KR1020040078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0854B1/ko
Publication of KR20060029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9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0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0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02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of multiple-track type; of multiple-chamber type; Combinations of furnaces
    • F27B9/028Multi-chamber type furn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12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preheating or cooling the char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3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9/39Arrangements of devices for discharg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12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preheating or cooling the charge
    • F27B2009/124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3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9/38Arrangements of devices for charging
    • F27B2009/384Discha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unnel Furnaces (AREA)
  • Furnace Details (AREA)

Abstract

개시된 열처리 가열로는, 열처리 대상인 피열처리부재를 공급할 뿐만 아니라, 열처리된 후 반송되는 열처리부재를 다시 배출시키는 공급배출부와; 피열처리부재를 열처리하는 열처리실; 및 공급배출부와 열처리실 사이에 설치되고, 피열처리부재와 열처리부재가 공존 가능하고, 각각의 이동경로를 선택적으로 형성해주는 선택수단을 구비하여 열처리부재만을 냉각시키는 냉각실;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열처리 가열로는 피열처리부재 및 열처리부재가 냉각실의 엘리베이터 내에 공존하면서, 각각의 이동경로가 선택적으로 형성되어 일 사이클의 과정으로 피열처리부재의 열처리 및 열처리부재의 냉각을 동시에 할 수 있어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열처리, 가열로

Description

열처리 가열로{Fanace for heat treatment}
도 1은 종래의 열처리 가열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처리 가열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열처리 가열로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의 냉각실을 나타낸 절개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e는 도 2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작동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열처리 가열로 110... 공급배출부
120... 퍼지실 123... 질소 유입포트
130... 냉각실 133a... 냉각수 유입포트
133b... 냉각수 배출포트 134... 냉각수 통로
137... 선택수단 139... 냉각수 관
140... 열처리실 143... 가스 유입포트
144... 가스 배출포트 145... 빠이롯트 버너
146... 팬 147... 히터
150... 진공 펌프
본 발명은 열처리 가열로에 관한 것으로서, 피열처리부재에 대하여 켄칭이나 템퍼링 등에 의하여 기계적 성질 변화 또는 침탄처리나 질화처리 등 표면경화처리를 위한 열처리 가열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처리는 가열과 냉각을 적절히 조절하여 금속 재료의 경도, 강도, 인성 등의 기계적 성질을 변화 또는 개선시키는 기술로써, 켄칭(quenching) 또는 템퍼링(tempering) 열처리로 전체적인 기계적 성질을 개선시키는 방법과, 표면의 내마모 성질을 개선하는 침탄 열처리와, 침탄 질화 등의 방법이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제품의 적당한 표면 부분만 강하게 하여 필요한 강도를 갖도록 하고, 내부는 부드럽고 질긴 성질을 유지하여 인성 등을 갖도록 하는 열처리를 말한다.
열처리 가열로는 이러한 열처리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써,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가 일반적으로 채용되었다.
도면을 참조하면, 열처리 가열로(50)는 공급배출부(10)와, 냉각실(20) 및 열처리실(3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급배출부(10)는 열처리될 대상재(40)를 냉각실(20) 및 열처리실(30)에 공급하고, 열처리가 완료된 대상재(40)를 다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제1로울러(roller;11)를 구비한다.
상기 냉각실(20)은 일정 높이만큼 오일(oil;26)이 수용되어 있으며, 제1도어(door;24)와, 엘리베이터(elevator;22)와, 가스 배출포트(port;25) 및 버너 (burner;27)를 구비한다.
상기 제1도어(24)는 상하로 개폐되며, 대상재(40)의 공급 및 배출을 통제한다.
상기 엘리베이터(22)는 에어 실린더(air cylinder;23)에 의하여 구동하며, 냉각실(20) 내에서 상하로 움직여 오일(26)에 대상재(40)를 담궈 냉각시킨다. 그리고, 이 엘리베이터(22)의 하부에도 제2로울러(21)가 설치되어 공급배출부(10)의 제1로울러(11)로부터 보내어진 대상재(40)를 후술할 열처리실(30)로 이동시킨다.
상기 가스 배출포트(25)는 후술할 열처리실(30)로부터 유입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냉각실(20)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버너(27)는 커튼 버너(curtain burner;27a)와 빠이롯트 버너(pilot burner;27b)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커튼 버너(27a)는 제1도어(24)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제1도어(24)가 열릴 때 순간적으로 자동 점화되어 냉각실(20)에서 나오는 가스를 연소시킨다. 그리고, 빠이롯트 버너(27b)는 가스 배출포트(25)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항상 불이 켜진 상태로 있어 가스 배출포트(25)에서 나오는 가스를 연소시킨다.
따라서, 가스 배출포트(25)로 배출되는 가스는 빠이롯트 버너(27b)에 의하여, 그리고 제1도어(24)가 개방된 경우 배출되는 가스는 커튼 버너(27a)에 의하여 순간적으로 태워진다.
상기 열처리실(30)은 제2도어(34)와, 가스 유입포트(36)와, 히터(heater;32)와, 팬(pan;33) 및 제3로울러(31)를 구비한다.
상기 제2도어(34)는 냉각실(20)과 열처리실(30)의 경계에 설치되어 냉각실(20)로부터, 또는 냉각실(20)로 대상재(40)가 이송되는 것을 통제한다.
상기 가스 유입포트(36)는 열처리실(30) 내부에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열될 대상재(40)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흡열형 가스(RX 가스), 발열형 가스(DX 가스), 적주액(알콜), 암모니아 가스 등이 주입되는 통로이다. 이 가스 유입포트(36)로는 대상재(40)의 표면경화 처리를 위한 가스의 공급 통로 역할도 한다.
상기 팬(33)은 열처리실(30) 내부의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열처리실(30)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제3로울러(31)는 냉각실(20)로부터, 또는 냉각실(20)로 대상재(40)를 용이하게 이송하기 위하여 설치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열처리 가열로(50)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급배출부(10)의 제1로울러(11)에 대상재(40)를 올려 놓고 제1도어(24)를 개방한다. 그리고, 이 개방된 제1도어(24)를 통해 냉각실(20)의 제2로울러(21)에 대상재(40)를 공급하고, 이 제2로울러(21)를 작동시켜 개방된 상태의 제2도어(34)를 통해 열처리실(30)로 대상재(40)를 공급한다.
이 열처리실(30) 내부에 수용된 대상재(40)는 가스 유입포트(36)를 통하여 유입된 가스와, 열처리실(30) 내부에 설치된 히터(32)에 의하여 열처리 된다.
이렇게, 열처리된 대상재(40)는 다시 냉각실(20)로 이송되어지고, 이 냉각실(20)에서는 엘리베이터(22)의 하강에 의하여 대상재(40)가 오일(26) 속에 담가져 냉각된다. 그런데, 열처리실(30)에서 냉각실(20)로 대상재(40)가 이동하는 경우, 열처리실(30) 내의 가스도 함께 냉각실(20)로 유입되는데, 이 냉각실(20)로 유입된 가스는 가스 배출포트(25)를 통하여, 또는 제1도어(24)의 개폐시 외부로 나가게 된다.
여기서, 가스 배출포트(2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가스의 폭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스 배출포트(25)의 인접한 곳에 빠이롯트 버너(27b)가 설치되고, 제1도어(24)의 인접한 곳에 커튼 버너(27a)가 설치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가스를 연소시킨다.
냉각실(20)에서 냉각이 완료된 대상재(40)는 처음에 공급된 공급배출부(10)로 다시 배출된다.
한편, 종래에는 냉각실에서 가스의 배출 대신 진공펌프에 의하여 가스를 흡입하는 구조의 열처리 가열로도 개시된 바 있는데,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냉각실에서의 담금질이 완료된 후 진공펌프에 의하여 가스를 흡입한다. 그리고, 냉각실이 진공상태로 된 후에 비로소 담금질이 완료된 대상재를 배출하고, 새로운 대상재가 장입된다.
이와 같은 열처리 가열로에 의하면, 대상재가 산화가 됨이 없이 침탄처리나 질화처리, 템퍼링 작업 등이 가능하다.
그런데, 이와 같은 열처리 가열로는 외부로 배출되는 가스의 폭발 위험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출가스를 미리 버너에 의하여 연소시키지만, 열처리 가열로 작동 중 버너가 꺼지는 경우에는 가스가 연소되지 않은 상태로 외부에 배출되어 폭발 의 위험성을 안고 있고, 또한 역으로 공기가 흡입되어 폭발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열처리 가열로는 대상재를 열처리하는데 있어, 한 사이클당 하나의 대상재만을 열처리할 수 있으므로 그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필요성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폭발의 위험성을 차단하여 안전한 작업환경을 창출할 수 있도록 개선된 열처리 가열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열처리 가열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열처리 대상인 피열처리부재를 공급할 뿐만 아니라, 열처리된 후 반송되는 열처리부재를 다시 배출시키는 공급배출부와; 상기 피열처리부재를 열처리하는 열처리실; 및 상기 공급배출부와 열처리실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피열처리부재와 상기 열처리부재가 공존 가능하고, 각각의 이동경로를 선택적으로 형성해주는 선택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열처리부재만을 냉각시키는 냉각실;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공급배출부와 상기 냉각실 사이에는 질소가스가 충전되는 퍼지실을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냉각실 및 퍼지실의 내부를 진공으로 하기 위하여 각각 연결된 진공펌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퍼지실 외벽에는 상기 퍼지실의 진공 수축을 방지하기 위한 수축방지바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선택수단은 상기 냉각실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피열처리부재 및 열처리부재 각각의 이동경로가 상하 복층으로 형성된 엘리베이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냉각실에는, 상기 냉각실 내부의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냉각수 통로 및 상기 냉각수 통로에 연통되어 냉각수의 공급 및 배출을 위한 유입포트 및 배출포트가 복수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냉각실 내부에는 상기 냉각실 내부의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냉각수 관이 더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처리용 가열로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도 2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2의 냉각실을 나타낸 절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열처리용 가열로(100)는 공급배출부(110)와, 퍼지실(120)과, 냉각실(130)과, 열처리실(140) 및 진공 펌프(pump;150)를 포함한다.
상기 공급배출부(110)는 열처리 대상인 피열처리부재(미도시)를 공급하거나, 열처리가 완료된 열처리부재(미도시)를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frame;112)과 제1로울러(111)를 포함한다.
이 프레임(112) 상에는 피열처리부재를 후술할 퍼지실(120)로 공급하거나, 또는 열처리된 열처리부재가 퍼지실(120)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1로울러(111)가 설치된다.
상기 퍼지실(120)은 일측이 공급배출부(110)와 연결되고, 타측이 후술할 냉각실(130)과 제2도어(124)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며, 제1도어(122)와, 제1진공 포트(126)와, 제2로울러(121)와, 질소 유입포트(123) 및 수축방지바(125)를 구비한다.
상기 제1진공 포트(126)는 진공 펌프(150)와 배관(151)에 의하여 연결되어 퍼지실(120)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든다.
상기 제1질소 유입포트(123)는 진공상태의 퍼지실(120) 내부로 질소를 유입시켜 퍼지실(120)의 분위기를 산소가 아닌 질소화 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퍼지실(120)을 질소 분위기화 시키는 이유는 퍼지실(120)에 산소가 존재하는 경우, 피열처리부재가 냉각실(130)로 공급될 때 산소도 함께 냉각실(130)로 공급되어, 후술할 열처리실(140)로부터 냉각실(130)로 유입된 흡열형 가스(RX 가스)와, 발열형 가스(DX 가스)와, 적주액(알콜) 및 암모니아 가스 등과 같은 폭발성 가스와 산화반응을 일으켜 폭발의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폭발성 가스와 산화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질소 가스를 퍼지실(120)에 채워 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로울러(121)는 공급배출부(110)의 제1로울러(111)에 의하여 이동된 대상재를 후술할 냉각실(130)로 용이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수축방지바(125)는 퍼지실(120)이 진공상태로 된 후, 대기압과 동일한 압력을 만들기 위하여 질소 가스를 주입하기 전에 퍼지실(120) 외관이 수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퍼지실(120) 외벽에 복수개 설치해 놓은 것이다.
상기 냉각실(130)은 하부에 열처리부재의 냉각을 위한 오일(138)이 수용되어 있으며, 복수의 제3로울러(131)와, 선택수단(137)과, 구동수단(136)과, 복수의 냉각수 통로(134)와, 복수의 냉각수 유입포트(133a)와, 복수의 냉각수 배출포트(133b)와, 제2질소 유입포트(132) 및 제2진공 포트(135)를 구비한다.
상기 선택수단(137)은 열처리부재와 피열처리부재의 이동경로를 형성하고, 구동수단(136)에 의하여 냉각실(130) 내에서 상하로 이동하며, 중간부와 하부에 제3로울러(131)가 복층의 2단으로 설치된 엘리베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2단의 제3로울러(131)는 피열처리부재와 열처리부재가 냉각실(130) 내에 공존 가능하도록 해주며, 각각 열처리실(140)로, 또는 퍼지실(120)로의 이동경로를 형성한다. 즉, 냉각실(130) 내에서 퍼지실(120)로부터 이송된 피열처리부재를 열처리실(140)로 이송하거나, 열처리실(140)로부터 이송된 열처리부재를 냉각실(130)에 수용된 오일에 담궈 열처리부재가 담금질되도록 한 후, 퍼지실(120)을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 선택수단(137)의 구동수단은 에어 실린더나 체인래크(chain rack)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냉각수 통로(134)는 도 4와 같이 오일(138)이 수용된 부분 이외 의 냉각실(130) 벽면에 형성되며, 냉각실(130)의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냉각실(130)의 상면과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냉각수 통로(134)를 보조하는 냉각수 관(139)이 냉각실(130) 내부에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냉각수 유입포트(133a) 및 배출포트(133b)는 냉각수 통로(134)에 한 쌍으로 연통되어 냉각실(130) 외면에 설치되며, 냉각수 유입포트(133a)로 유입된 냉각수는 냉각수 통로(134)를 순환하면서 냉각실(130)의 온도를 낮추고 냉각수 배출포트(133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복수의 냉각수 유입포트(133a)와 배출포트(133b)를 마련하는 이유는 냉각실(130)의 온도에 의하여 냉각수가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짧은 거리만큼씩 순환하여 냉각실(130)을 냉각하고 배출될 수 있게 하는 구조이다..
상기 제2진공 포트(135)는 냉각실(130)의 분위기를 진공상태로 만들기 위하여 진공 펌프(150)와 배관(151)에 의하여 연결된다.
상기 열처리실(140)은 피열처리부재를 열처리하는 곳으로, 제3도어(142)를 사이에 두고 냉각실(130)과 연결되며, 단열문(148)이 더 설치된다. 이 열처리실(140)은 히터(147)와, 팬(146)과, 제4로울러(141)와, 가스 유입포트(143)와, 가스 배출포트(144) 및 빠이롯트 버너(145)를 포함한다.
상기 히터(147)는 열처리실(140) 내부에 설치되어 열처리실(140) 내로 유입된 피열처리부재를 열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팬(146)은 가열된 열처리실(140) 내부의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열처리실(140)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가스 유입포트(143)는 피열처리부재의 침탄처리 등과 같은 표면경화처리를 위하여 열처리실(140) 내부로 흡열형 가스(RX 가스)와, 발열형 가스(DX 가스)와, 적주액(알콜) 및 암모니아 가스 등을 유입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스 배출포트(144)는 피열처리부재의 표면경화처리에 이용된 가스를 배출시키는 통로로써, 이 가스 배출포트(144)에 인접하여 빠이롯트 버너(145)가 설치된다. 이 빠이롯트 버너(145)는 가스 배출포트(144)로 배출되는 가스를 연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연소되지 않고 외부로 배출되는 가스의 폭발 위험성을 미리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열처리 가열로는 도 5a 내지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한다.
먼저, 도 5a와 같이 공급배출부(110)의 제1로울러(111)에 올려진 제1피열처리부재(200)는 퍼지실(120)의 제2로울러(121)와 냉각실(130)의 제3로울러(131a) 위를 이동하여 열처리실(140)로 공급된다. 한편, 제1피열처리부재(200)가 퍼지실(120)로 이동되면 퍼지실(120)과 냉각실(130)을 진공상태로 만들고, 퍼지실(120) 및 냉각실(130)에 질소 가스를 공급하여 퍼지실(120) 및 냉각실의 압력을 대기압과 동일하게 만든다.
이 제1피열처리부재(200)가 열처리실(140)에 수용되면, 히터(147)가 작동되고, 가스 유입포트(143)를 통해 흡열형 가스(RX 가스)와, 발열형 가스(DX 가스)와, 적주액(알콜) 및 암모니아 가스 등의 가스가 공급되어 제1피열처리부재(200)에 대하여 열처리 작업이 진행된다.
제1피열처리부재(200)에 대한 침탄 등의 열처리 작업이 완료되면, 이 제1피열처리부재(200)는 제1열처리부재(200)로 되며, 이 제1열처리부재(200)는 도 5b와 같이 다시 냉각실(130)로 보내진다. 이때, 프레임(112) 상의 제1로울러(111)에는 열처리가 될 제2피열처리부재(300)가 올려지게 된다.
냉각실(130)로 이송된 제1열처리부재(200)는 엘리베이터와 같은 선택수단(137)의 하부 제3로울러(131a) 상에 놓여지게 되고, 이어서 도 5c와 같이 선택수단(137)이 하강하여 제1열처리부재(200)를 냉각실(130)에 수용된 오일(138)에 담궈 가열된 제1열처리부재(200)를 냉각시키게 된다. 이를 담금질이라고 한다.
선택수단(137)의 하강으로 제1열처리부재(200)가 오일(138) 내에 담궈진 상태에서, 도 5d와 같이 제2피열처리부재(300)는 제1열처리부재(200)의 이동과정과 동일하게 퍼지실(120)로부터 열처리실(140)로 이동된다. 이때, 제2피열처리부재(300)는 냉각실(130)에서 선택수단(137)의 중앙부 제3로울러(131b)를 통해 열처리실(140)로 보내진다.
냉각실(130)에 수용된 오일(138) 내에서 제1열처리부재(200)의 냉각이 완료되면, 도 5e와 같이 선택수단(137)은 상승하게 되고, 제1열처리부재(200)는 퍼지실(120)을 거쳐 공급배출부(110)로 배출된다.
한편, 이때에도 제1열처리부재(200)가 냉각실(130)에서 퍼지실(120)로 이동되기 전에 퍼지실(120)과 냉각실(130)을 진공상태로 만들고, 퍼지실(120) 및 냉각실(130)에 질소 가스를 공급하여 냉각실(130)과 퍼지실(120)에 산소가 존재하지 않게 한다.
상기한 과정 중 제1열처리부재(200)가 열처리실(140)로부터 냉각실(130)로 이동될 때 열처리실(140)에 있던 가스가 제1열처리부재(200)와 함께 냉각실(130)로 유입된다. 이 가스는 제2진공 포트(135)를 통해 진공펌프(150)에 흡입된다.
그리고, 제2피열처리부재(300)가 퍼지실(120)로부터 냉각실(130)로 이동되는 경우에도 퍼지실(120)에 있던 질소 가스가 냉각실(130)로 유입되는데, 이와 같이 퍼지실(120)을 질소 분위기로 만드는 이유는 산소를 제거하여 제2피열처리부재(300) 등이 퍼지실(120)로부터 냉각실(130)로 유입될 때, 열처리실(140)로부터 유입된 가스와 상호 산화반응을 일으키게 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열처리 가열로는, 퍼지실과 냉각실의 분위기를 진공상태로 만든 후 질소 가스를 주입하여 대기압과 동일한 압력을 갖도록 함으로써, 가열로에 제품을 장입, 장출시킬 때, 종래 커튼 버너에 의하여 냉각실 외부로 배출되는 가스를 연소시킬 필요가 없어져 그으름 발생을 방지하고, 폭발 방지 및 고열의 작업 환경을 개선하여 안전한 작업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연속적으로 대상재의 열처리 작업을 행할 수 있어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열처리 가열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진공 펌프에 의하여 냉각실에 유입된 가스를 흡입하므로 커튼 버너에 의하여 냉각실 외부로 배출되는 가스를 연소시킬 필요가 없어져 그으름 발생을 방지하고, 고열의 작업 환경 및 폭발의 위험성을 제거하여 안전한 작업 환경을 제공 할 수 있다.
둘째, 퍼지실을 구비하여 열처리된 열처리부재가 냉각실 내의 오일에 담궈지는 것과 동시에 퍼지실로부터 냉각실을 거쳐 열처리실로 새로운 피열처리부재가 이동될 수 있어, 피열처리부재의 한 사이클 열처리 과정에서 새로운 피열처리부재가 연속적으로 공급되므로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Claims (7)

  1. 열처리 대상인 피열처리부재를 공급할 뿐만 아니라, 열처리된 후 반송되는 열처리부재를 다시 배출시키는 공급배출부;
    상기 피열처리부재를 열처리하는 열처리실;
    상기 공급배출부와 열처리실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피열처리부재와 상기 열처리부재가 공존 가능하고, 각각의 이동경로를 선택적으로 형성해주는 선택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열처리부재만을 냉각시키는 냉각실; 및
    상기 공급배출부와 상기 냉각실 사이에는 질소가스가 충전되는 퍼지실을 구비하고,
    상기 퍼지실 외벽에는 상기 퍼지실의 진공 수축을 방지하기 위한 수축방지바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 가열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실 및 퍼지실의 내부를 진공으로 하기 위하여 각각 연결된 진공펌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 가열로.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은 상기 냉각실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피열처리부재 및 열처리부재 각각의 이동경로가 상하 복층으로 형성된 엘리베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 가열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실에는,
    상기 냉각실 내부의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냉각수 통로 및
    상기 냉각수 통로에 연통되어 냉각수의 공급 및 배출을 위한 유입포트 및 배출포트가 복수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 가열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실 내부에는 상기 냉각실 내부의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냉각수 관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 가열로.
KR1020040078394A 2004-10-01 2004-10-01 열처리 가열로 KR100600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8394A KR100600854B1 (ko) 2004-10-01 2004-10-01 열처리 가열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8394A KR100600854B1 (ko) 2004-10-01 2004-10-01 열처리 가열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7939U Division KR200371460Y1 (ko) 2004-10-01 2004-10-01 열처리 가열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9450A KR20060029450A (ko) 2006-04-06
KR100600854B1 true KR100600854B1 (ko) 2006-07-19

Family

ID=37139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8394A KR100600854B1 (ko) 2004-10-01 2004-10-01 열처리 가열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08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801U (ko) 2016-12-08 2018-06-18 박둘자 폼방석
CN108716857B (zh) * 2018-07-26 2024-04-19 青岛海源碳烯铝合金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分层炉膛可升降式多层电阻加热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9450A (ko) 2006-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7148B1 (ko) 열 처리장치
TWI424088B (zh) 連續氣體滲碳爐
KR100600854B1 (ko) 열처리 가열로
JP4956417B2 (ja) 雰囲気熱処理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JP5330651B2 (ja) 熱処理方法
KR200371460Y1 (ko) 열처리 가열로
JP2009270758A (ja) 箱型無酸化熱処理炉
EP1612291B1 (en) Multistage continuous carburizing and quenching furnace and continuous carburizing and quenching method
RU2327746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ерм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в частности, металлических изделий
KR100906191B1 (ko) 하스롤러식 연속침탄 열처리로(爐)
US4730811A (en) Heat treatment apparatus with a fluidized-bed furnace
KR950001215B1 (ko) 가스 침탄방법 및 그의 장치
JP3017303B2 (ja) 熱処理装置
KR101807501B1 (ko) 질화로
KR100432956B1 (ko) 금속침탄방법
JP5225634B2 (ja) 熱処理方法及び熱処理設備
JP2011219814A (ja) 連続熱処理装置
US2777683A (en) ferguson
KR100574802B1 (ko) 오스템퍼열처리 시스템
KR101989323B1 (ko) 순환 냉각 장치를 포함하는 로
JP2003183724A (ja) 熱処理炉
KR200242418Y1 (ko) 자동식 광휘열처리로
JP5821118B2 (ja) 熱処理方法及び熱処理装置
KR102526867B1 (ko) 디젤 엔진용 연료분사노즐의 제조 방법
JPH0463260A (ja) ガス浸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