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0849B1 - 배면발광형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배면발광형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0849B1
KR100600849B1 KR1020020010247A KR20020010247A KR100600849B1 KR 100600849 B1 KR100600849 B1 KR 100600849B1 KR 1020020010247 A KR1020020010247 A KR 1020020010247A KR 20020010247 A KR20020010247 A KR 20020010247A KR 100600849 B1 KR100600849 B1 KR 100600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ckness
insulating film
anode electrode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0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0726A (ko
Inventor
주상현
김창수
이한주
오준식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0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0849B1/ko
Publication of KR20030070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0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0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0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1An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51Thickne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EL광의 최적화된 색좌표를 얻을 수 있도록 애노드전극하부에 형성되는 절연막의 두께를 최적화시킨 배면발광형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판상에 절연막, 애노드전극, 유기 EL층 및 캐소드전극이 형성된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은 2500 내지 3500Å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애노드 전극은 1200 내지 1800Å의 두께를 갖으며, 상기 절연막은 각각 800 내지 1200Å, 1800 내지 2400Å의 두께를 갖는 질화막과 산화막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배면발광형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Backward-emitting type AMOLED}
도 1은 본 발명의 배면발광형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애노드 전극의 두께에 따른 절연막의 두께에 대한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의 청색 좌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애노드 전극의 두께에 따른 절연막의 두께에 대한 청색 투과효율을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절연기판 20 : 절연막
30 : 애노드전극 40 : 홀주입층
50 : 홀수송층 60 : 유기발광층
70 : 전자수송층 80 : 캐소드전극
본 발명은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기 EL층으로부터 발광되는 광의 최적화된 색좌표를 얻을 수 있도록, 애노드 전극하부에 형성되는 절연막의 두께를 최적화시킨 배면발광형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에 관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는 양전극, 즉 캐소드전극과 애노드전극사이에 유기 EL층이 삽입되어, 상기 양전극에 전압이 인가되면 유기 EL층에서 빛이 발광하는 자발광형 표시소자이다. 이러한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는 구동방식에 따라 패시브 매트릭스방식과 액티브 매트릭스방식이 있는데, 대화면 고정세화에 따라 현재 액티브 매트릭스형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가 차세대 제품으로 주목받고 있다.
액티브 매트릭스형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는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스위칭소자로서 박막 트랜지스터를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여러 층의 절연층을 구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발광층에서 발생된 광이 애노드 전극과 그 하부의 다층의 절연막을 통해 기판하부로 발산되기 때문에, 소정의 파장을 가지고 발광층에서 발생한 광의 색좌표를 변형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애노드 전극하부의 절연막의 두께를 최적화시켜 유기EL층으로부터 발생된 광의 색좌표를 최적화할 수 있는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판상에 형성된 절연막과, 상기 절연막상에 형성된 애노드전극과, 상기 애노드 전극상에 형성된 유기 EL층 및 상기 유기 EL층상에 형성된 캐소드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절연막은 2500 내지 3500Å의 두께를 갖는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애노드 전극은 1200 내지 1800Å의 두께를 갖으며, 상기 절연막은 질화막과 산화막으로 이루어지며, 각각 800 내지 1200Å, 1600 내지 2400Å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면발광형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TFT 기판(10)상에 절연막(20)이 형성되고, 상기 절연막(20)상에 애노드전극(30), 유기 EL층 및 캐소드전극(80)이 순차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유기 EL층은 다층막, 예를 들어 홀주입층(40), 홀수송층(50), 발광층(60) 및 전자수송층(70)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애노드전극(30)과 캐소드전극(80)사이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상기 발광층(60)에서 빛이 발광하여 기판 하부로 발산하게 된다.
액티브 매트릭스형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는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스위칭소자로서 박막 트랜지스터를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도면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여러층의 절연층을 구비하게 된다. 즉, 반도체층과 게이트전극, 게이트전극과 소오스/드레인 전극사이를 절연시켜 주기 위하여 게이트 절연막 및 층간 절연막 등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박막 트랜지스터는 절연기판(10)과 애노드전극(30)사이에 형성되는데, 상기 절연막(20)에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성하는 절연막이 포함되어진다.
따라서, 상기 발광층(60)에서 발생된 광이 애노드 전극(30)과 그 하부의 다층의 절연막(20)을 통해 기판하부로 발산될 때 애노드 전극(30)의 두께에 따른 절연막(20)의 두께에 따라 색좌표가 변경되는데,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애노드전극(30)의 두께에 따른 절연막(20)의 두께를 최적화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최적의 색좌표를 얻기 위한 상기 애노드 전극(30)은 투명도전막인 ITO로서 그의 두께가 1200 내지 1800Å이고, 애노드 전극(30) 하부의 절연막(20)은 2500 내지 3500Å의 두께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애노드 전극(30)이 1400Å일 때 절연막(20)의 두께는 3000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절연막(20)은 질화막과 산화막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질화막과 산화막의 두께는 각각 800 내지 1200Å, 1600 내지 2400Å 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애노드 전극(30)의 두께에 따른 절연막(20)의 두께에 대한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의 청색 좌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청색의 경우 절연막(20)의 두께변화에 따른 색순도변화가 애노드전극(30)인 ITO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여준다. 즉, ITO가의 두께가 변할 때, 절연막(20)인 질화막과 산화막의 두께가 변화함에 따라 색순도가 변화됨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애노드전극(30)인 ITO막의 두께가 1400Å 인 경우, 절연막이 산화막의 단층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제외하고는 양호한 색순도를 가짐을 알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ITO가 1400Å인 경우, 질화막과 산화막의 두께가 각각 1000Å, 2000Å일 때 우수한 색좌표를 갖게 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애노드 전극(30)의 두께에 따른 절연막(20)의 두께에 대한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의 청색 투과효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청색의 투과효율을 살펴보면, 애노드 전극(30)인 ITO막의 두께가 1200Å과 1400Å일 때에는 서로 비슷한 투과효율을 보여주는 반면에 두께가 1800Å인 경우, 보다 높은 투과효율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애노드 전극하부의 절연막의 두께를 최적화시켜 주면, 유기EL 층으로부터 발광되는 광의 색좌표를 최적화시킴을 알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애노드 전극 하부의 절연막의 두께를 최적화시켜 색좌표를 개선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정세화 및 대형화의 표시장치에 유리한 이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기판상에 형성된 절연막과;
    상기 절연막상에 형성된 애노드전극과;
    상기 애노드 전극상에 형성된 유기 EL층과;
    상기 유기 EL층상에 형성된 캐소드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절연막은 2500 내지 3500Å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 전극은 1200 내지 1400Å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은 질화막과 산화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질화막과 산화막은 각각 800 내지 1200Å, 1600 내지 2400Å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KR1020020010247A 2002-02-26 2002-02-26 배면발광형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KR100600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0247A KR100600849B1 (ko) 2002-02-26 2002-02-26 배면발광형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0247A KR100600849B1 (ko) 2002-02-26 2002-02-26 배면발광형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0726A KR20030070726A (ko) 2003-09-02
KR100600849B1 true KR100600849B1 (ko) 2006-07-14

Family

ID=32222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0247A KR100600849B1 (ko) 2002-02-26 2002-02-26 배면발광형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08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9175B1 (ko) * 2004-05-24 2006-05-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KR100683711B1 (ko) * 2004-11-22 2007-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5703A (ko) * 1999-04-08 2000-11-15 구본준 전기발광소자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5703A (ko) * 1999-04-08 2000-11-15 구본준 전기발광소자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0726A (ko) 2003-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26141A1 (en) Flexible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US9825106B2 (en) OLED display substr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US7803029B2 (en) Method of fabricating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JP2007128901A (ja) 平板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310782A (ja) 有機発光ダイオード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02208491A (ja) 自己発光型表示装置
US20080224602A1 (en)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WO2015100808A1 (zh) 一种具有氧化物薄膜电晶体的发光装置及其制造方法
KR20140111839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1322563B2 (en) Electroluminescent device with improved luminous efficiency and viewing ang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724483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884536B1 (ko) 유기 발광 소자
KR100600849B1 (ko) 배면발광형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US20190267442A1 (en) Double-face display panel and double-face display device
KR20050049688A (ko) 이중 화소분리구조를 갖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0834345B1 (ko) 유기전기발광소자
KR20030081948A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WO2023231004A9 (zh) 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
KR100705839B1 (ko) 방열층을 포함하는 유기 이엘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 제작방법
KR100611754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765525B1 (ko) 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06718B1 (ko) 능동 구동형 유기 el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097789B1 (ko) 복수의 발광층을 구비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제조방법
KR100669316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KR20050050015A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