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0812B1 - 엠펙-21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 환경에서의 툴 제공 장치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엠펙-21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 환경에서의 툴 제공 장치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0812B1
KR100600812B1 KR1020040039290A KR20040039290A KR100600812B1 KR 100600812 B1 KR100600812 B1 KR 100600812B1 KR 1020040039290 A KR1020040039290 A KR 1020040039290A KR 20040039290 A KR20040039290 A KR 20040039290A KR 100600812 B1 KR100600812 B1 KR 100600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standard terminal
server
mpeg
opti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9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2342A (ko
Inventor
김광용
홍진우
김진웅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050062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2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0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0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2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eparating internal from external traffic, e.g. firewalls
    • H04L63/0227Filtering policies
    • H04L63/0236Filtering by address, protocol, port number or service, e.g. IP-address or UR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03Content authoring by describing the content as an MPEG-21 Digital Item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엠펙-21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 환경에서의 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엠펙-21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주체가 되는 표준단말(DIP 또는 DIA)이 필요로 하는 툴들을 툴 서버에 두고 관리함으로써, 상기 표준단말이 최소한의 툴 정보만을 입력하여 사용용도와 지원되는 툴의 형식에 적합한 툴을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한, 엠펙-21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 환경에서의 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엠펙-21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 환경에서의 툴 제공 장치에 있어서, 외부의 표준단말로부터의 툴 요청 메세지에 따라 상기 표준단말을 연결(접속)시켜 주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싱 수단;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싱 수단을 통해 상기 표준단말이 연결됨에 따라 상기 표준단말과 툴 관리수단 사이에서 툴 정보, 툴 스트림 또는 다른 툴 서버의 유알엘(URL) 리스트를 전달해주기 위한 툴 서버 사용자 인터페이싱 수단; 및 상기 툴 서버 사용자 인터페이싱 수단으로부터 전송받은 툴 정보를 분석하여 그에 상응하는 최적 툴을 검색하여, 상기 최적 툴이 존재하면 최적 툴 스트림을 상기 표준단말에게 전송해주고, 상기 최적 툴이 존재하지 않으면 다른 툴 서버의 유알엘(URL) 리스트를 상기 표준단말에게 전송해주기 위한 상기 툴 관리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엠펙-21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 환경에서의 이기종의 단말과 다양한 유/무선 네트워크 등에 이용됨.
엠펙-21, 툴 서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툴 서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툴 관리부, 표준단말

Description

엠펙-21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 환경에서의 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 tool in MPEG-21 multimedia framework environment}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표준단말(DIP 또는 DIA)과 툴 서버 사이의 연결 관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엠펙-21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 환경에서의 툴 제공 장치(툴 서버)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의 세부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툴 서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세부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툴 관리부의 세부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엠펙-21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 환경에서의 툴 제공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표준단말 110 : DIP
120 : DIA 200 : 툴 서버
210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220 : 툴 서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30 : 툴 관리부 231 : 제어부
232 : 툴 정보 분석부 233 : 툴 검색부
300 : 제 3의 툴 서버
본 발명은 엠펙-21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 환경에서 툴 제공 장치(이하 "툴 서버"라고도 함)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기종의 단말과 다양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엠펙-21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 환경에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구동 툴을 관리하고 그에 상응하는 툴을 제공하기 위한, 엠펙-21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 환경에서의 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사한 기술로는 콘텐츠 제공 서버 시스템이 있었으나, 기존의 콘텐츠 제공 서버 시스템 기술은 일반적으로 콘텐츠 제공 서버에서 콘텐츠를 암호화된 형태로 보관하고 사용자의 구매 요청에 의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암호화된 콘텐츠와 이를 복호화 하기 위한 키 정보(라이센스)를 전달해주는 DRM(Digital Right Management) 에 기반한 서비스 방식으로, 본 발명의 엠펙-21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 환경에서는 사용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72181호의 정보 작성자가 툴을 이용하여 작성한 정보를 정보 요구자에게 제공하는 서버 및 그 방법은, 강사용 컴퓨터로부터의 요구에 응답하여 강의 데이터를 작성하기 위한 툴, 광고 데이터를 송신하는 회로, 수강자용 컴퓨터로부터의 요구에 응답하여 광고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의 데이터를 수강자용 컴퓨터에 송신하는 회로, 툴의 채용 상황에 따라 광고주로부터 징수하는 광고 요금을 산출하는 회로 및 산출된 광고 요금과 강의 데이터의 수강 상황에 따라 강사에게 분배하는 금액을 산출하는 회로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교육용 콘텐츠만을 대상으로 하여 다양한 종류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없고, 이기종 단말과 다양한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에 적합한 툴을 지능적으로 찾을 수 없으며, 엠펙-4 콘텐츠 저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만이 지원되었을 뿐, 엠펙-21 환경에서는 사용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오늘날 멀티미디어 사용자들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다양한 통신망과 단말을 통해서 생성, 유통 및 소비하고 있다.
사용자는 다양한 미디어 포맷에 따라 필요한 플레이어, 코덱 등을 다운로드 받아서 원하는 콘텐츠를 생성하고 소비할 수 있어야 하며, 적법하지 못한 콘텐츠의 유통 거래에 대해서도 보호받을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멀티미디어의 생성, 유통 및 소비에 있어서 표준이 되는 국제 규격의 서비스 프레임워크가 필요하게 되었는데 이것이 바로 엠펙-21 국제 규격이 나오게 된 동기이다.
엠펙-21은 이와 같이 다양한 통신망과 단말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자원의 투명한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통합 멀티미디어 서비스 프레임워크를 제공하자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엠펙-21의 목적에 따라 멀티미디어 자원의 생성 또는 소비의 기능을 담당하는 대상이 필요하게 되었는데 이 대상이 바로 "DIP"이다. "DIP"는 디지털 아이템의 형태로 콘텐츠를 송수신하여 사용자들이 디지털 아이템을 이용, 생성하도록 해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디지털 아이템이란 사용자가 생성 및 소비하는 콘텐츠의 집합체로서, 미디어 리소스에 메타 데이터가 포함된 구조화된 객체를 일컫는다.
엠펙-21에서 또 한 가지 중요한 객체는 "DIA"이다. "DIA"는 디지털 아이템의 전달에 있어서 사용자의 특성, 단말 및 네트워크 환경에 적합하도록 디지털 아이템을 적응시키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때, "DIA"는 디지털 아이템의 적응을 위해 미디어 리소스에 대한 적응 방법과 메타 데이터를 기술하기 위한 적응 방법 및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QoS(Quality of Service) 등을 제어한다.
그러나 문제는 "DIP" 또는 "DIA"(이하 "표준단말"이라 함)에서 사용자가 디지털 아이템을 생성하거나 소비하려면 적합한 구동 툴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상기 구동 툴은 그 사용 용도와 지원되는 툴의 형식에 따라 다양하게 존재하므로 표준단말이 툴의 형식에 맞도록 다양한 툴들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자체 관리하는데에는 어려움이 많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표준단말이 필요로 하는 툴들을 전용 툴 서버에 두고, 이곳을 통해 툴을 관리하며, 필요한 툴을 다운로드받을 수 있게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엠펙-21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주체가 되는 표준단말(DIP 또는 DIA)이 필요로 하는 툴들을 툴 서버에 두고 관리함으로써, 상기 표준단말이 최소한의 툴 정보만을 입력하여 사용용도와 지원되는 툴의 형식에 적합한 툴을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한, 엠펙-21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 환경에서의 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엠펙-21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 환경에서의 툴 제공 장치에 있어서, 외부의 표준단말로부터의 툴 요청 메세지에 따라 상기 표준단말을 연결(접속)시켜 주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싱 수단;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싱 수단을 통해 상기 표준단말이 연결됨에 따라 상기 표준단말과 툴 관리수단 사이에서 툴 정보, 툴 스트림 또는 다른 툴 서버의 유알엘(URL) 리스트를 전달해주기 위한 툴 서버 사용자 인터페이싱 수단; 및 상기 툴 서버 사용자 인터페이싱 수단으로부터 전송받은 툴 정보를 분석하여 그에 상응하는 최적 툴을 검색하여, 상기 최적 툴이 존재하면 최적 툴 스트림을 상기 표준단말에게 전송해주고, 상기 최적 툴이 존재하지 않으면 다른 툴 서버의 유알엘(URL) 리스트를 상기 표준단말에게 전송해주기 위한 상기 툴 관리수단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방법은, 엠펙-21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 환경에서의 툴 제공 방법에 있어서, 표준단말로부터 툴을 요청받는 요청단계; 상기 표준단말과 툴 서버 사이의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연결단계; 상기 표준단말로부터 툴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단계; 상기 입력받은 툴 정보를 분석하여 최적의 툴을 검색하는 검색단계; 상기 검색 결과, 최적 툴이 존재하면 상기 표준단말로 툴 스트림을 전송하는 제 1전송단계; 및 상기 검색 결과, 최적 툴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표준단말로 타 툴 서버의 유알엘(URL) 리스트를 전송하는 제 2전송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표준단말(100) 및 툴 서버(200) 사이의 연결 관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준단말(100)인 DIP(110) 또는 DIA(120)는 툴 서버(200)와 네트워크 메시지를 주고 받으며, 상기 툴 서버(200)에게 필요한 툴을 요청하면 상기 툴 서버(200)는 툴 검색을 통하여 찾은 최적의 툴을 DIP(110) 또는 DIA(120)에게 다운로드해준다.
여기서, 툴 서버에서 연결되는 실선은 툴 다운로드, 툴 서버에서 연결되는 점선은 네트워크 메시지 핸드쉐이킹(Handshaking), DIP와 DIA 사이의 실선은 디지털 아이템의 교환을 의미한다.
이때, 디지털 아이템은 임의의 DIP(110) 사이, 또는 DIP(110)와 DIA(120) 사이에서 상호 교환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DIP(110)는 툴 서버(200) 또는 DIA(120)와 연동하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디지털 아이템을 이용하고 생성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하며, 상기 DIA(120)는 DIP(110) 또는 툴 서버(200)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특성, 사용자의 단말 및 네트워크 환경에 디지털 아이템을 적응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엠펙-21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 환경에서의 툴 제공 장치(툴 서버)(200)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툴 서버(200)는 표준단말(100)로부터 툴 요청 메세지를 입력받아 상기 표준단말(100)과 툴 서버 사이의 네트워크를 연결해주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10),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네트워크가 연결됨에 따라 상기 표준단말(100)과 툴 관리부(230) 사이에서 툴 정보, 툴 스트림 또는 다른 툴 서버의 유알엘(URL) 리스트를 전송해주기 위한 툴 서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 상기 툴 서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로부터 전달받은 툴 정보를 분석하여 그에 상응하는 최적 툴을 검색하여, 상기 최적 툴이 존재하면 최적 툴 스트림을 상기 툴 서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하여 상기 표준단말(100)에게 전송해주고, 상기 최적 툴이 존재하지 않으면 다른 툴 서버의 유알엘(URL) 리스트를 상기 툴 서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하여 상기 표준단말(100)에게 전송해주기 위한 툴 관리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툴 서버(200)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준단말(100)로부터 툴 요청 메세지를 전달받아 그를 분석하는 툴 요청 메세지 파싱(parsing)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10)는 상기 표준단말(100)과 툴 서버(200) 사이의 네트워크를 연결하기 위한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소켓 연결을 지원하고, 여러 표준단말(100)로부터의 연결을 위한 세션(Session)을 관리하며, 표준단말(100)과 툴 서버(200) 사이의 상호 메세지, 오류 메시지, 정정 메시지 등의 네트워크 상태에 대한 이벤트 정보를 기록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 툴 서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툴 서버(200)의 운영체제 시스템의 기본적인 디렉토리를 관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 표준단말(100)로부터 입력되는 툴 정보를 등록, 갱신 및 삭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 표준단말(100)에게 툴 검색 결과를 알려주기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 툴 검색시 최적 툴의 검색 여부에 따라 표준단말(100)에게 최적 툴 스트림이나 타 툴 서버의 유알엘(URL) 리스트를 전달해주기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표준단말(100)로부터 입력되는 툴 정보는 PC(Personal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휴대폰 등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플랫폼 정보, 운영체제나 자바와 같은 VM(Virtual Machine; 가상머신) 정보 또는 툴 구동을 위해 필요한 소프트웨어의 요구사항 등을 포함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정보, 비디오 또는 오디오의 포맷과 샘플링 전송율 등을 포함하는 미디어 대상에 따른 정보, 툴의 생산자 정보, 툴의 라이센스 정보, 툴의 생산일자 정보, 툴에 대한 설명 등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툴 관리부(2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 툴 및 툴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고 기존의 툴 및 툴에 대한 정보를 갱신하며, 표준단말의 요구 사항에 맞춰 필요 없는 툴을 제거하는 툴 분석 기능을 하고, 분석된 툴 정보에 적합한 최적의 툴을 검색하는 최적 툴 검색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툴 관리부(230)는 상기 최적 툴 검색 시, 검색 결과에 적합한 툴이 존재하면 후보 리스트를 만들어 표준단말(100)에게 전달하고 상기 후보 리스트 중 표준단말(100)이 체크해서 보내준 최적의 툴의 스트림을 상기 표준단말(100)에게 전달해주는 툴 리스트 및 툴 스트림 제공 기능을 하고, 상기 최적 툴 검색 시, 최적 툴 스트림을 찾지 못하였을 경우 상기 표준단말(100)에게 다른 툴 서버의 유알엘(URL) 리스트를 제공해주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툴 관리부(230)는 툴 정보 분석부(232)와 툴 검색부(233)를 제어하고, 툴 서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로부터 전달받은 툴 정보를 툴 정보 분석부(232)로 전달해주기 위한 제어부(231), 상기 제어부(231)로부터 전달받은 툴 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툴 정보 분석부(232), 상기 툴 정보 분석부(232)에서 분석된 툴 정보를 이용하여 저장부(234)에 최적의 툴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색하여 툴 리스트, 툴 스트림 또는 다른 툴 서버의 유알엘(URL) 리스트를 상기 제어부(231)를 통하여 표준단말(100)에게 제공해주기 위한 툴 검색부(233), 및 툴 리스트, 툴 스트림, 및 타 툴 서버의 유알엘(URL) 리스트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23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234)는 툴을 검색하기 위한 툴 리스트 및 그에 해당하는 툴 스트림을 저장하고 있는 툴 데이터베이스와, 타 툴 서버의 유알엘(URL) 리스트를 저장하고 있는 타 툴 서버 유알엘(URL) 리스트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이때, 제 3의 툴 서버(300)는 상기 툴 서버(200)를 검색하였지만 최적 툴이 검색되지 않은 경우, 툴 관리부(230)에서 전송해준 타 툴 서버의 유알엘(URL) 리스트 중 표준단말(100)이 선택한 임의의 서버로서, 표준단말(100)로부터 툴 정보를 입력받아 최적 툴을 검색하여 상기 표준단말(100)에게 전송해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제 3의 툴 서버(300)에도 상기 최적 툴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제 3의 툴 서버(300)는 상기 표준단말(100)에게 최적 툴을 찾을 수 없다는 메세지를 전송하고, 그 메세지를 받은 상기 표준단말(100)은 상기 툴 서버(200)에게 다른 툴 서버의 URL 리스트를 요청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엠펙-21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 환경에서의 툴 제공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툴 서버가 표준단말로부터 툴 요청 메시지를 전달받는다(611).
이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가 상기 툴 요청 메시지를 확인하고 툴 서버와 표준단말 사이의 네트워크를 연결한다(612).
이때,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는 TCP/IP 네트워킹을 이용하며, 상호 메세지 교환 중 오류가 발생하면 오류 메세지를 전송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후, 툴 서버가 툴 서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표준단말로부터 툴 정보를 입력받는다(613).
이후, 툴 서버가 상기 입력받은 툴 정보를 분석하여 그에 상응하는 툴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색한다(614).
이때, 상기 툴 정보는 툴 서버 내의 제어부로 입력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툴 정보를 툴 정보 분석부로 전달해준다. 또한 상기 툴 정보 분석부에서 분석된 툴 정보는 툴 검색부로 전달되고 상기 툴 검색부는 저장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분석된 툴 정보에 상응하는 툴이 존재하는지를 검색한다.
이후, 상기 분석된 툴 정보에 상응하는 툴이 존재하면 상기 툴 서버는 후보 툴 리스트를 생성하여 표준단말에게 전송하고, 그를 받은 표준단말은 상기 후보 툴 리스트 중 최적 툴에 체크를 하여 상기 툴 서버에게 재전송하며(621), 상기 툴 서버는 상기 표준단말이 체크해준 최적 툴의 스트림을 표준단말에게 전송한다(622).
이때, 상기 후보 툴 리스트와 최적 툴 스트림은 툴 서버 내의 저장부가 갖고 있는 툴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제공되며, 툴 검색부와 제어부를 거쳐 표준단말에게 전송된다.
그러나 상기 툴 서버에 상기 분석된 툴 정보에 적합한 툴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툴 서버는 다른 툴 서버의 유알엘(URL) 리스트를 표준단말에게 전송한다(631).
상기 다른 툴 서버의 URL 리스트는 툴 서버 내의 저장부가 갖고 있는 타 툴서버 유알엘(URL) 리스트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제공된다.
이후, 상기 표준단말은 상기 다른 툴 서버의 유알엘(URL) 리스트 중 임의의 제 3의 툴 서버를 선택하여 상기 제 3의 툴 서버로 최적 툴을 검색하기 위한 툴 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제 3의 툴 서버는 최적 툴을 검색하여 최적 툴이 존재하면 툴 스트림을 상기 표준단말에게 전송해주고, 상기 최적 툴이 존재하지 않으면 최적툴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메세지를 표준단말에게 전송해준다.
이후, 상기 표준단말에 최적 툴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메세지가 전송되면, 상기 표준단말은 툴 서버에게 다른 툴 서버 유알엘(URL) 리스트를 요청하고, 이후의 과정은 상기와 같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엠펙-21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 환경에서 표준단말이 필요로 하는 구동 툴을 전용 툴 서버에 두고 관리함으로써, 최소한의 툴 정보만을 입력하여도 쉽게 툴을 찾을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사용용도와 지원되는 형식에 적합한 최적의 툴을 다운로드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엠펙-21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 환경에서의 툴 제공 장치에 있어서,
    외부의 표준단말로부터의 툴 요청 메세지에 따라 상기 표준단말을 연결(접속)시켜 주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싱 수단;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싱 수단을 통해 상기 표준단말이 연결됨에 따라 상기 표준단말과 툴 관리수단 사이에서 툴 정보, 툴 스트림 또는 다른 툴 서버의 유알엘(URL) 리스트를 전달해주기 위한 툴 서버 사용자 인터페이싱 수단; 및
    상기 툴 서버 사용자 인터페이싱 수단으로부터 전송받은 툴 정보를 분석하여 그에 상응하는 최적 툴을 검색하여, 상기 최적 툴이 존재하면 최적 툴 스트림을 상기 표준단말에게 전송해주고, 상기 최적 툴이 존재하지 않으면 다른 툴 서버의 유알엘(URL) 리스트를 상기 표준단말에게 전송해주기 위한 상기 툴 관리 수단
    을 포함하는 엠펙-21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 환경에서의 툴 제공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툴 관리 수단은,
    툴 리스트, 툴 스트림, 및 타 툴 서버의 유알엘(URL) 리스트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 수단;
    툴 정보 분석 수단과 툴 검색 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툴 서버 사용자 인터페이싱 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툴 정보를 상기 툴 정보 분석 수단으로 전달해주기 위한 제어 수단;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툴 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상기 툴 정보 분석 수단; 및
    상기 툴 정보 분석 수단에서 분석된 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 수단에 최적의 툴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색하여 툴 리스트, 툴 스트림 또는 다른 툴 서버의 유알엘(URL) 리스트를 상기 표준단말에게 제공해주기 위한 상기 툴 검색 수단
    을 포함하는 엠펙-21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 환경에서의 툴 제공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수단은,
    소정의 툴 리스트와 상기 툴 리스트에 해당하는 툴 스트림을 저장하고 있는 툴 데이터베이스; 및
    다른 툴 서버의 유알엘(URL) 리스트를 저장하고 있는 타 툴 서버 유알엘(URL) 리스트 데이터베이스
    를 포함하는 엠펙-21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 환경에서의 툴 제공 장치.
  4. 엠펙-21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 환경에서의 툴 제공 방법에 있어서,
    표준단말로부터 툴을 요청받는 요청단계;
    상기 표준단말과 툴 서버 사이의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연결단계;
    상기 표준단말로부터 툴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단계;
    상기 입력받은 툴 정보를 분석하여 최적의 툴을 검색하는 검색단계;
    상기 검색 결과, 최적 툴이 존재하면 상기 표준단말로 툴 스트림을 전송하는 제 1전송단계; 및
    상기 검색 결과, 최적 툴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표준단말로 타 툴 서버의 유알엘(URL) 리스트를 전송하는 제 2전송단계
    를 포함하는 엠펙-21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 환경에서의 툴 제공 방법.
KR1020040039290A 2003-12-19 2004-05-31 엠펙-21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 환경에서의 툴 제공 장치및 그 방법 KR1006008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93719 2003-12-19
KR1020030093719 2003-1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2342A KR20050062342A (ko) 2005-06-23
KR100600812B1 true KR100600812B1 (ko) 2006-07-14

Family

ID=37254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9290A KR100600812B1 (ko) 2003-12-19 2004-05-31 엠펙-21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 환경에서의 툴 제공 장치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08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793B1 (ko) 2007-04-18 2010-09-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상호운용적 디지털저작권관리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7987A (ko) * 2001-04-03 2002-10-18 (주) 아이빌소프트 자동실행 에이전트가 첨부된 멀티미디어 컨텐트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22879A (ko) * 2001-06-04 2003-03-17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콘텐츠 제공 및 보호용의 유연 및 공통 ipmp 시스템의장치 및 방법
KR20040082512A (ko) * 2003-03-19 2004-09-3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무선 통신망에서의 다운로드형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20050036383A (ko) * 2003-10-16 2005-04-20 (주) 엠지시스템 피어 투 피어 기반의 코덱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7987A (ko) * 2001-04-03 2002-10-18 (주) 아이빌소프트 자동실행 에이전트가 첨부된 멀티미디어 컨텐트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22879A (ko) * 2001-06-04 2003-03-17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콘텐츠 제공 및 보호용의 유연 및 공통 ipmp 시스템의장치 및 방법
KR20040082512A (ko) * 2003-03-19 2004-09-3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무선 통신망에서의 다운로드형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20050036383A (ko) * 2003-10-16 2005-04-20 (주) 엠지시스템 피어 투 피어 기반의 코덱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2342A (ko) 2005-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82845B1 (en) Information delivery system and information delivery method
US6925495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ing and monitoring an on-demand playlist over a network using a template
US7783635B2 (en) Personalization and recommendations of aggregated data not owned by the aggregator
JP2007157122A (ja) モバイルコンテンツ管理装置
MXPA05000958A (es) Sistemas y metodos de medicion y reporte de uso de datos de medios.
EP2753045B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stream media
WO2008058259A2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ally providing web-based multimedia to a mobile phone
Fox A framework for separating server scalability and availability from Internet application functionality
JP2006524368A (ja) マルチメディア及び双方向サービスを移動端末に提供するためのクライアント・サーバー・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2004185456A (ja) カスタマイズされたコンテンツの配信システム
KR20040005813A (ko) 인터넷에서 클라이언트 시스템에로의 멀티미디어 콘텐츠전송 방법
CN103201734B (zh) 上下文知晓的内容传送
US20020099790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vergent network services
WO20050965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ime-to-live information of media content
KR100586263B1 (ko) 내용기반 검색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JP2002189675A (ja) 情報配信システムおよび情報配信方法
KR100600812B1 (ko) 엠펙-21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 환경에서의 툴 제공 장치및 그 방법
US20030046420A1 (en) Media service e-utility
Metso1A et al. Mobile Multimedia Services–Content Adaptation
KR20030047528A (ko) Crm 데이터 관리 방법, crm 서버 및 기록매체
Nordin et al. Using service-based content adaptation platform to enhance mobile user experience
Di Nitto et al. Adaptation of web contents and services to terminals capabilities: The@ Terminals approach
US20050165655A1 (en) Web Service distribution system over the World Wide Web enabling authorized third parties to track the distribution of and the billing for such Web Services provided by suppliers to users
EP13653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the usage of electronic content over a network
Patel et al. Reference model and functional architecture for information availa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