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0769B1 -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0769B1
KR100600769B1 KR1020040091989A KR20040091989A KR100600769B1 KR 100600769 B1 KR100600769 B1 KR 100600769B1 KR 1020040091989 A KR1020040091989 A KR 1020040091989A KR 20040091989 A KR20040091989 A KR 20040091989A KR 100600769 B1 KR100600769 B1 KR 100600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light
reflectance
steam generator
was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1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4165A (ko
Inventor
안병환
김영수
정보선
조흥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1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0769B1/ko
Publication of KR20060044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4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0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0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06F39/40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2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8Control circuits or arrangement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Abstract

본 발명은 터브의 내측으로 증기를 공급하는 증기발생장치가 설치된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증기발생장치의 히터 표면에 형성된 반사면에 발광부로부터 빛이 발사된 후 상기 반사면에서 반사된 빛이 수광부로 입사되고 상기 반사면의 입사광과 반사광에 대한 조도 차이에 따라 반사면의 반사율이 제어부에 의해 계산되며 상기 반사면의 반사율에 의해 상기 히터의 교체시기가 판단되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므로, 상기 증기발생장치의 히터 교체시기가 정확하게 파악되고, 상기 표시부에 의해 간편하게 확인되는 이점이 있다.
드럼 세탁기, 증기발생장치, 제어부, 표시부, 히터, 광센서, 반사면

Description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Wash machin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럼 세탁기가 도시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럼 세탁기의 상면이 분해되어 도시된 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럼 세탁기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드럼 세탁기 2: 캐비닛
4: 스프링 5: 댐퍼
6: 터브 8: 드럼
10: 리프터 12: 모터
14: 캐비닛 커버 16: 도어
17: 개스킷 18: 탑 플레이트
20: 급수장치 21: 급수호스
22: 급수밸브 어셈블리 22a: 제 1 냉수용 급수밸브
22b: 제 2 냉수용 급수밸브 22c: 제 3 냉수용 급수밸브
22d: 제 1 온수용 급수밸브 23: 세제공급장치
24: 외부 급수호스 24a: 제 1 외부 급수호스
24b: 제 2 외부 급수호스 25: 내부 급수호스
25a: 제 1 내부 급수호스 25b: 제 2 내부 급수호스
25c: 제 3 내부 급수호스 25d: 제 4 내부 급수호스
26: 급수 밸로우즈 27: 증기공급호스
28: 노즐 30: 배수장치
32: 배수호스 34: 배수펌프
36: 밸로우즈관 38: 제어부
38a: 조작부 38b: 표시부
40: 증기발생장치 42: 케이싱
44: 히터 50: 광센서
52: 발광부 54: 수광부
56: 반사면
본 발명은 터브의 내측으로 증기를 공급하는 증기발생장치가 설치된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증기발생장치 내부에 설치된 히터의 정확한 교체시기를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는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물과 세제 및 기계적인 작용 등을 이용하여 의복, 침구 등(이하, 세탁물이라 칭함)에 묻은 오염을 떼어 내도록 세탁, 헹굼, 탈수, 건조 등의 과정을 통해 세탁물을 세정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세탁기는 세탁방식에 따라 크게 교반식(agitator type)과 와류식(pulsator type) 및 드럼식(drum type) 세탁기 등으로 구분된다.
상기 교반식은 세탁조의 중앙에 솟은 세탁봉을 좌우로 회전시켜 세탁하게 되고, 상기 와류식은 세탁조 하부에 형성된 원판 모양의 날개를 좌우로 회전시켜서 물과 포간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세탁하게 되며, 상기 드럼식은 터브의 내부에 드럼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드럼의 내부에 물과 세제 및 포를 넣고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하게 된다.
상기 세탁기에는 외부의 수원(水原)으로부터 물을 공급받기 위한 급수장치가 구비되는 바, 상기 급수장치는 외부 수원으로부터 세탁기 내부의 세탁조 또는 터브로 물을 안내하는 급수호스와, 상기 급수호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급수호스를 통해 급수되는 물을 단속하는 급수밸브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급수장치의 일측에는 세제가 수용되는 세제박스가 연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세탁조 또는 터브의 내부로 급수되는 물과 함께 세제가 투입된다.
한편, 최근의 세탁기에는 세탁물의 세정 성능이 향상될 수 있도록, 상기 세탁조 또는 터브의 내측으로 고온의 증기를 공급하는 증기발생장치가 추가적으로 설치된다.
상기 증기발생장치는 급수밸브 어셈블리로부터 세탁조 또는 터브 사이에 형성된 별도의 급수유로 상에 설치되며, 상기 급수밸브 어셈블리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고온의 증기를 생성한 후 상기 세탁조 또는 터브의 내측으로 공급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상기 증기발생장치는 상기 급수유로와 연통되게 케이싱이 설치되고,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는 물을 가열하는 히터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세탁기는 세탁 또는 헹굼시 상기 증기발생장치에 의해 생성된 증기가 세탁물에 적셔짐으로서, 세탁기의 세탁 및 헹굼 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는 상기 급수밸브 어셈블리로 공급되는 물에 이물질이 포함된 경우, 상기 증기발생장치의 히터에 이물질이 부착되어 상기 히터 표면에 소정의 두께로 이물질층이 형성되고, 상기 이물질층에 의해 상기 히터의 전열 성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상기 히터가 과열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증기발생장치의 성능 저하로 인해 증기의 발생량이 저감되어 상기 세탁기의 세탁 및 헹굼시 세정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히터의 표면에 축적된 이물질량은 상기 증기발생장치를 분해하기 전까지는 파악이 불가능하므로, 상기 히터의 교체시기에 대한 확인이 매우 어렵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히터의 교체시기가 적기에 확인 불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히터의 교체시기를 놓침으로서, 드럼 세탁기와 증기발생장치의 불필요한 성능 저하가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증기발생장치의 히터 표면에 대한 반사율을 측정함으로서, 상기 히터의 표면에 축적되는 이물질량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상기 히터의 교체시기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터브의 내부로 증기가 공급되도록 급수유로 상에 증기발생장치가 연통되게 설치된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증기발생장치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증기발생장치에 내장된 히터의 표면 반사율을 감지하는 광센서와, 상기 광센서의 감지값에 따라 상기 히터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량을 산출하여 상기 히터의 교체시기를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판단된 히터의 교체시기를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히터의 표면 일측에는 특정 반사율을 갖는 도료가 도포된 반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광센서는 상기 히터의 반사면에 일정한 조도로 빛을 발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반사면에 의해 반사된 빛이 입사되어 반사광의 조도를 감지하는 수광부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증기발생장치의 히터 표면에 형성된 반사면에 일정 조도의 빛이 발광부로부터 발사되는 발사단계와, 상기 반사면에 의해 반사된 빛이 수광부에 감지되어 조도가 측정되는 감지단계와, 상기 수광부에 감지된 빛과 발광부로부터 발사된 빛의 조도가 비교되어 상기 히터의 교체시기가 제어부에 의해 판단되는 판단단계와, 상기 히터의 교체시기가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는 표시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반사면의 입사광과 반사광의 조도 차이에 의해 상기 반사면의 반사율이 계산되는 계산과정과, 상기 반사면의 계산된 반사율과 초기 반사율을 비교하여 상기 히터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량이 산출되는 산출과정과, 상기 히터의 산출된 이물질량과 설정치를 비교하여 상기 히터의 교체시기가 결정되는 결정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반사면의 초기 반사율은 상기 반사면을 형성하는 도료의 반사율로 세팅된다.
상기와 다르게, 상기 반사면의 초기 반사율은 상기 히터가 설치된 후 상기 산출과정에서 최초로 계산된 반사면의 반사율로 세팅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럼 세탁기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럼 세탁기의 상면이 분해되어 도시된 도이다.
본 발명의 드럼 세탁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세탁기(1) 의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2)과, 상기 캐비닛(2)의 내측에 설치되어 스프링(4)과 댐퍼(5)에 의해 지지되고 세제와 물이 수용되는 터브(6)와, 상기 터브(6)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복수개의 통공(8a)이 형성되며 내부에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8)과, 상기 드럼(8)의 내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드럼(8)의 회전시 세탁물을 끌어올린 후 일정 높이에서 세탁물을 중력에 의해 낙하시키는 리프터(10)와, 상기 터브(6) 후방에 장착되어 상기 드럼(8)과 회전축이 연결된 모터(12)와, 상기 캐비닛(2)의 전면에 장착되고 세탁물을 투입 및 인출하기 위한 세탁물 출입구(14a)가 형성된 캐비닛 커버(14)와, 상기 캐비닛 커버(14)의 세탁물 출입구(14a)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캐비닛 커버(14)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16)와, 상기 캐비닛(2)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터브(6)의 내부로 증기를 공급하는 증기발생장치(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터브(6)의 입구 및 상기 캐비닛 커버(14)의 세탁물 출입구(14a) 사이에는 상기 드럼(8)의 회전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키는 동시에 세탁수가 외부로 넘치지 않도록 패킹역할을 하는 개스킷(17)이 설치된다.
상기 캐비닛(2)의 상면에는 탑 플레이트(18)가 올림 장착되고, 상기 탑 플레이트(18)의 하측에는 외부의 수원으로부터 터브(6)로 물 및 세제를 공급하기 위해 급수장치(20)가 설치된다.
상기 급수장치(20)는 상기 터브(2)와 외부 수원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터브(6)로 물을 안내하는 급수호스(21)와, 상기 급수호스(21)와 연통되게 캐비닛(2)에 설치되어 상기 급수호스(21)로 유동되는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급수밸 브 어셈블리(22)와, 상기 급수밸브 어셈블리(22)와 터브(6) 사이의 급수호스(21) 상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터브(6)로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장치(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급수호스(21)는 상기 급수밸브 어셈블리(22)와 외부 수원 사이에 연결된 외부 급수호스(24)와, 상기 급수밸브 어셈블리(22)와 세제공급장치(23) 사이에 연결된 내부 급수호스(25)와, 상기 세제공급장치(23)와 급수밸브 어셈블리(22) 사이에 연결된 급수 밸로우즈(26)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급수밸브 어셈블리(22)는 외부로부터 냉수를 공급받는 냉수용 급수밸브 어셈블리(22a,22b,22c)와, 외부로부터 온수를 공급받는 온수용 급수밸브 어셈블리(22d)로 구분되며, 상기 냉수용 급수밸브 어셈블리(22a,22b,22c)와 온수용 급수밸브 어셈블리(22d)에는 제 1,2 외부 급수호스(24a,24b)가 각각 연결된다.
상기 냉수용 급수밸브 어셈블리(22a,22b,22c)는 상기 세제공급장치(23)와 제 1 내부 급수호스(25a)에 의해 연결된 제 1 냉수용 급수밸브(22a)와, 상기 세제공급장치(23)와 제 2 내부 급수호스(25b)에 의해 연결된 제 2 냉수용 급수밸브(22b)와, 상기 증기발생장치(40)와 제 3 내부 급수호스(25c)에 의해 연결된 제 3 냉수용 급수밸브(22c)로 이루어진다.
상기 온수용 급수밸브 어셈블리(22d)는 상기 세제공급장치(23)와 제 4 내부 급수호스(25d)에 의해 연결된 제 1 온수용 급수밸브(22a)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드럼 세탁기(1)의 내부에는 상기 외부 급수호스(24a,24b)와 급수밸브(22a,22b,22c,22d) 및 내부 급수호스(25a,25b,25c,25d)에 의해 복수개의 급 수유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세제공급장치(23)는 상기 제 1,2 내부 급수호스(25a,25b)에 입구가 연결되고, 상기 급수 밸로우즈(26)에 출구가 연결되며, 내부 유로 상에 세제가 수용되도록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세제공급장치(23)는 상기 제 1,2 내부 급수호스(25a,25b)를 통해 유입되는 물에 세제가 씻겨 내려가면서 상기 터브(6)로 공급되며, 상기 제 1,2 냉수용 급수밸브(22a,22b)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면서 상기 터브(6)에 공급되는 세제량을 본 세탁과 예비 세탁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게 된다.
상기 터브(6)의 하측에는 세탁 및 헹굼 등에 사용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배수장치(30)가 설치되는 바, 상기 배수장치(30)는 드럼 세탁기(1)의 외부로 상기 터브(6)의 물을 안내하는 배수호스(32)와, 상기 배수호스(32)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터브(6)의 물을 펌핑하는 배수펌프(34)와, 상기 배수펌프(34)와 터브(6) 사이에 연통되게 연결된 밸로우즈관(36)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배수펌프(34)가 펌핑됨에 따라 상기 밸로우즈관(36)을 통해 터브(6) 내부에 저장된 물이 상기 배수펌프(34)를 지나 상기 배수호스(32)를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캐비닛 커버(14)의 상측에는 드럼 세탁기(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8)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38)에는 상기 드럼 세탁기(1)의 작동을 조작하는 조작부(38a)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드럼 세탁기(1)의 작동을 표시하는 표시부(38b)가 형성된다.
상기 증기발생장치(40)는 상기 캐비닛(2)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고, 드럼 세탁기(1)의 세정 성능이 향상되도록 세탁 또는 헹굼시 상기 터브(6)의 내부로 증기를 공급하게 된다.
물론, 상기 증기발생장치(40)는 상기 드럼 세탁기(1)의 내부 구조에 따라 상기 캐비닛(2) 내부의 다양한 위치에 체결 고정된다.
이러한 증기발생장치(40)는 상기 급수밸브 어셈블리(22)와 터브(6) 사이에 형성된 급수유로 상에 연통되게 설치되되, 상기 세제공급장치(23)와 연결되어 상기 터브(6)로 물과 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유로와는 다른 별도의 급수유로 상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증기발생장치(40)와 급수밸브 어셈블리(22) 사이에는 상기 증기발생장치(40)로 물이 공급되도록 상기 제 3 내부 급수호스(25c)가 연결되고, 상기 증기발생장치(40)와 터브(6) 사이에는 상기 터브(6)의 내부로 증기가 공급되도록 증기공급호스(27)가 연결된다.
상기 증기공급호스(27)는 일단이 상기 증기발생장치(40)에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개스킷(17)에 내부와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고온의 증기에 견딜 수 있도록 내열성 재료로 제작된다.
물론, 상기 개스킷(17)의 내부에 배치된 증기공급호스(27)의 타단측에는 상기 터브(6)의 입구로 증기를 분사하는 노즐(28)이 연통되게 설치되고, 상기 노즐(28)에 의해 증기가 상기 터브(6)의 입구를 통과하여 상기 드럼(8)에 수용된 세탁물로 토출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증기발생장치(40)는 상기 제 3 내부 급수호스(25c)가 연결되는 입구(42a)가 일측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증기공급호스(27)의 일단이 연결되는 출구(42b)가 타측에 형성된 케이싱(42)과, 상기 케이싱(42)의 내부 유로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3 내부 급수호스(25c)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가열하여 증기를 생성하는 히터(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싱(42)은 상기 히터(44)의 열이 외부 부품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단열 성능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유로를 형성하는 일정 크기의 동공이 형성된다.
상기 히터(44)는 상기 케이싱(42)의 내부 유로에 복수개가 설치되어 상기 케이싱(42)의 내부 유로를 따라 유동되는 물을 가열하여 증기를 생성하는 전열 기구이다. 즉, 상기 히터(44)의 표면에는 물이 접촉되면서 유동되고, 상기 히터(44)에 전원이 인가되면 표면을 통해 발산되는 열에 의해 접촉된 물이 가열된다.
상기와 같은 히터(44)는 장시간 사용됨에 따라 물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이 표면에 부착되어 소정의 두께를 갖는 이물질층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증기발생장치(40)의 케이싱(42) 일측에는 상기 히터(44)의 표면 반사율을 측정하기 위해 광센서(50)가 설치된다.
상기 광센서(50)는 상기 히터(44)의 표면으로 빛을 발사하는 발광부(52)와, 상기 히터(44)의 표면에서 반사된 상기 발광부(52)의 빛을 감지하는 수광부(5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발광부(52)는 상기 히터(44)의 표면에 일정 크기의 조도로 빛 을 발사하게 되고, 상기 수광부(54)는 상기 히터(44)의 표면에서 반사된 빛을 감지하여 조도를 측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발광부(52)의 빛이 입사된 후 상기 수광부(54)로 빛을 반사하는 히터(44)의 표면 일측에는 특정 반사율의 도료로 도포된 반사면(56)이 형성된다.
상기 반사면(56)이 특정 반사율을 가지는 도료에 의해 형성되므로, 상기 광센서(50)에 의해 감지되는 히터(44)의 초기 표면 반사율은 상기 도료의 특정 반사율로 세팅된다.
상기와 다르게, 상기 히터(44)의 표면에 반사율을 모르는 미지의 도료가 도포된 경우에는, 상기 광센서(50)에 의해 최초로 측정된 반사율이 초기 표면 반사율로 세팅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38)는 상기 반사면(56)의 초기 반사율과 상기 광센서(50)에 의해 측정된 반사율을 서로 비교함으로서, 상기 히터(44)의 표면에 부착되는 이물질량을 산출하여 상기 히터(44)의 교체시기를 판단하게 된다.
물론, 상기 광센서(50)에 의한 상기 반사면(56)의 반사율 측정은 상기 증기발생장치(40)의 작동이 정지중일 때 실시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럼 세탁기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먼저, 상기 드럼 세탁기(1)에 전원을 인가한 후 작동시키게 되면, 드럼(8)에 투입된 세탁물의 포량에 따라 세탁 코스와 수위 등이 제어부(38)에 의해 결정되고, 증기발생장치(40)의 작동이 정지된 상태에서 광센서(50)에 전원이 인가된다.(S1 참조)
상기와 같이 증기발생장치(40)에 전원 및 급수가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광센서(50)에 전원이 인가되므로, 상기 증기발생장치(40) 내부로 급수된 물이나 또는 상기 증기발생장치(40)의 히터(44)에 의해 발생된 증기로 인해 상기 광센서(50)의 측정이 방해를 받지 않게 된다.
상기 광센서(50)의 발광부(52)는 일정 크기의 조도로 상기 히터(44)의 반사면(56)에 빛을 발사하게 되고, 상기 광센서(50)의 수광부(54)는 상기 히터(44)의 반사면(56)에서 반사된 빛을 감지하여 조도를 측정하게 된다.(S2,S3 참조)
이때, 상기 발광부(52)에서 일정한 조도로 발사된 빛은 상기 반사면(56)에 입사된 후 반사되는 과정에서 조도가 저하되고, 상기 반사면(56)에서 조도가 저하된 빛은 상기 수광부(54)로 반사되어 상기 수광부(54)에 의해 조도가 측정된다.
상기 반사면(56)의 반사율이 저하되는 원인은, 상기 증기발생장치(40)로 급수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히터(44)의 표면에 부착되면서 상기 히터(44)의 표면에 형성된 반사면(56)에도 이물질의 축적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반사면(56)의 반사율은 저하되면, 상기 반사면(56)에 의해 상기 발광부(52)에서 입사된 빛은 조도가 낮아진 후 상기 수광부(54)로 반사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38)는 상기 반사면(56)의 입사광과 반사광에 대한 조도 차이로부터 상기 반사면(56)의 실제 반사율이 계산 가능하게 된다.(S4 참조)
또한, 상기 제어부(38)에 의해 상기 반사면(56)의 실제 반사율이 계산되면, 상기 제어부(38)는 상기 반사면(56)의 초기 반사율을 설정하게 된다.(S5,S6,S7,S8 참조)
상기 반사면(56)의 초기 반사율은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지 않은 반사면(56)에 대한 반사율로서, 상기 제어부(38)는 상기 반사면(56)을 형성하는 도료의 반사율을 알고 있으면 상기 도료의 반사율을 초기 반사율로 설정하고, 상기 반사면(56)의 반사율이 불명확한 경우에는 상기 광센서(50)에 의해 최초로 측정된 감지값에 따른 반사율을 초기 반사율로 설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히터(44)의 사용 전에 상기 반사면(56)을 형성하기 위해 도장되는 도료의 반사율을 정확히 알고 있게 되면, 상기 도료의 반사율이 제어부(38)에 상기 반사면(56)의 초기 반사율로 미리 입력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히터(44)의 표면에 반사면(56)을 형성하는 도료의 반사율이 불명확하게 되면, 상기 광센서(50)의 최초 감지값에 따라 상기 제어부(38)에 의해 계산된 반사면(56)의 반사율이 상기 제어부(38)에 초기 반사율로 저장된다.
상기와 같이 반사면(56)의 초기 반사율이 설정됨과 아울러 상기 광센서(50)의 감지값에 의해 반사면(56)의 실제 반사율이 계산되면, 상기 제어부(38)는 상기 반사면(56)의 계산된 실제 반사율 및 설정된 초기 반사율을 이용하여 상기 히터(44)에 축적된 이물질량을 산출하게 된다.(S9 참조)
상기 반사면(56)에 축적된 이물질량은 상기 반사면(56)의 계산된 실제 반사율이 초기 반사율에 가까워질수록 감소되고, 초기 반사율에서 멀어질수록 증가된 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38)는 실제 반사율과 초기 반사율의 차이에 따라 실험적으로 구해진 데이터에 의해 상기 반사면(56)에 축적된 이물질량이 산출된다.
상기 제어부(38)는 산출된 이물질량을 설정치와 비교함으로서, 상기 히터(44)의 교체시기를 판단하게 된다.(S10,S11,S12 참조)
여기서, 상기 반사면(56)의 산출된 이물질량이 설정치보다 크게되면, 상기 히터(44)의 표면에 축적된 이물질량이 일정 수준 이상이기 때문에, 상기 히터(44)의 성능이 기준치 이하로 저하되어 상기 증기발생장치(40)의 안전성과 효율에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38)는 상기 히터(44)의 교체가 필요하다는 표시를 표시부(38b)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히터(44)의 교체가 필요한 시점이 상기 표시부(38b)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림됨으로서, 상기 히터(44)의 교체 시기가 간편하게 파악되고, 상기 히터(44)의 교체 작업이 적기에 이루어져 상기 히터(44)의 불필요한 성능 저하도 예방된다.
그리고, 상기 반사면(56)의 산출된 이물질량이 설정치보다 작게되면, 상기 히터(44)의 표면에 축적된 이물질량이 일정 수준 이하이기 때문에, 상기 히터(44)의 성능이 기준치 이하로 저하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드럼 세탁기(1)는 정상적으로 상기 제어부(38)에 의해 설정된 세탁 코스로 작동되어 상기 드럼(8)에 투입된 세탁물을 세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은 증기발생장치의 히터 표면에 형성된 반사면에 발광부로부터 빛이 발사된 후 상기 반사면에서 반사된 빛이 수광부로 입사되고 상기 반사면의 입사광과 반사광에 대한 조도 차이에 따라 반사면의 반사율이 제어부에 의해 계산되며 상기 반사면의 반사율에 의해 상기 히터의 교체시기가 판단되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므로, 상기 증기발생장치의 히터 교체시기가 정확하게 파악되고, 상기 표시부에 의해 간편하게 확인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증기발생장치의 히터 교체시기가 표시부를 통해 간편하게 확인되므로, 상기 히터가 적기에 교체되어 상기 증기발생장치의 성능 저하가 예방되고, 상기 증기발생장치의 사후 관리가 편리해져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증기발생장치의 히터 표면에 허용치 이상으로 이물질이 부착되는 현상이 방지됨으로서, 상기 히터의 과열로 인한 화재의 위험성이 감소되고, 상기 정화유닛의 성능 확보가 가능하게 되어 제품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터브의 내부로 증기가 공급되도록 급수유로 상에 증기발생장치가 연통되게 설치된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증기발생장치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증기발생장치에 내장된 히터의 표면 반사율을 감지하는 광센서와; 상기 광센서의 감지값에 따라 상기 히터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량을 산출하여 상기 히터의 교체시기를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판단된 히터의 교체시기를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의 표면 일측에는 특정 반사율을 갖는 도료가 도장된 반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는 상기 히터의 반사면에 일정한 조도로 빛을 발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반사면에 의해 반사된 빛이 입사되어 반사광의 조도를 감지하는 수광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4. 증기발생장치의 히터 표면에 형성된 반사면에 일정 조도의 빛이 발광부로부터 발사되는 발사단계와; 상기 반사면에 의해 반사된 빛이 수광부에 감지되어 조도가 측정되는 감지단계와; 상기 수광부에 감지된 빛과 발광부로부터 발사된 빛의 조도가 비교되어 상기 히터의 교체시기가 제어부에 의해 판단되는 판단단계와; 상기 히터의 교체시기가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는 표시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반사면의 입사광과 반사광의 조도 차이에 의해 상기 반사면의 반사율이 계산되는 계산과정과, 상기 반사면의 계산된 반사율과 초기 반사율을 비교하여 상기 히터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량이 산출되는 산출과정과, 상기 히터의 산출된 이물질량과 설정치를 비교하여 상기 히터의 교체시기가 결정되는 결정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의 초기 반사율은 상기 반사면을 형성하는 도료의 반사율로 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의 초기 반사율은 상기 히터가 설치된 후 상기 산출과정에서 최초로 계산된 반사면의 반사율로 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20040091989A 2004-11-11 2004-11-11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600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1989A KR100600769B1 (ko) 2004-11-11 2004-11-11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1989A KR100600769B1 (ko) 2004-11-11 2004-11-11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4165A KR20060044165A (ko) 2006-05-16
KR100600769B1 true KR100600769B1 (ko) 2006-07-18

Family

ID=37149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1989A KR100600769B1 (ko) 2004-11-11 2004-11-11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076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4165A (ko) 2006-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4962B1 (ko) 압력센서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용 증기발생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7490494B2 (en) Steam generation apparatus for washing machine
RU2311505C2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ею
RU2380463C1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ею
EP1889960B1 (en) Water supply control for a steam generator of a fabric treatment appliance
KR101215347B1 (ko) 드럼세탁기의 스팀발생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060191078A1 (en)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ethod
EP1889961B1 (en) Water supply control for a steam generator of a fabric treatment appliance using a weight sensor
EP2039823B1 (en) Laundry machine
US20070180628A1 (en)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EP1892467A2 (en) Steam generator and laundry machine having the same
KR101147822B1 (ko) 세탁기의 화재방지 제어방법
RU2322537C1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ею
KR20080003021A (ko) 세탁장치 및 그 스팀발생기 제어방법
KR20080056833A (ko) 스팀건조기
JP2004298614A (ja) 蒸気噴射式ドラム洗濯機
US20090078007A1 (en) Laundry machine
KR101455775B1 (ko) 가전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600769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079584B1 (ko) 스팀발생장치를 갖는 세탁기
US20080028772A1 (en) Defrosting method of drum-type washing machine
KR102012455B1 (ko) 건조기 및 그 막힘 검출 방법
KR100688193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600768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739155B1 (ko) 세탁기의 증기발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